교착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착어는 '함께 붙이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에서 유래된 용어로, 어휘당 접사 또는 형태소의 비율이 높고 규칙적인 형태를 띠는 언어를 말한다. 불규칙 동사가 적고, 의미와 형태소가 1대1로 대응하며, SOV형 어순과 후치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굴절어와 비교하여 동사의 활용 규칙성, 명사 격 표시의 제한성, 형태소의 1대1 대응, SOV 어순 등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어, 일본어, 핀란드어, 터키어 등이 교착어의 예시이며, 언어는 교착성을 획득하거나 잃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합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프랑코프로방스어는 프랑스 중동부, 스위스 서부, 이탈리아 북서부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프랑스어, 오크어,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받아 여러 방언으로 분화되었으며, 아르피탄어라고도 불린다. - 종합어 - 바스크어
바스크어(에우스카라)는 서유럽의 유일한 비인도유럽어족 언어로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로마 시대 아키타니아어와의 연관성이 제기되며, 스페인과 프랑스에 걸쳐 사용되고 부활 운동을 거쳤으나, 능격-대격 체계와 복잡한 동사 활용을 특징으로 하는 고립어이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교착어 | |
---|---|
언어 정보 | |
유형 | 합성어 |
하위 유형 | 교착적 언어 |
어족 | 알려진 어족 없음 (모든 교착어에 적용되는 것은 아님) |
특징 | |
형태소 결합 | 형태소가 쉽게 식별 가능하며, 하나의 형태소는 하나의 의미만 나타냄 |
접사 사용 | 접사를 사용하여 문법적 관계 표시 |
단어 형성 | 어근에 접사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 형성 |
문법적 관계 표시 | 주로 접사를 통해 주어, 목적어, 시간, 양상 등을 표시 |
예시 | 한국어, 일본어, 튀르키예어, 몽골어 등 |
예시 언어별 특징 | |
한국어 | 조사 (주격, 목적격 등)를 사용하여 문법적 관계 표시 어미 변화를 통해 시제, 높임법 등을 표현 |
일본어 | 조사 (は, が, を 등)를 사용하여 문법적 관계 표시 동사 활용을 통해 시제, 태 등을 표현 |
튀르키예어 | 다양한 접사를 사용하여 명사의 격, 동사의 시제, 태 등을 표현 모음 조화 현상 존재 |
장점 | |
규칙성 | 형태소와 의미 간의 대응 관계가 비교적 명확하여 언어 학습이 용이함 |
생산성 | 어근에 다양한 접사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쉽게 생성 가능 |
단점 | |
긴 단어 | 여러 형태소가 결합되어 단어가 길어질 수 있음 |
복잡한 형태소 | 형태소가 많아 문장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음 |
기타 | |
관련 용어 | 굴절어, 고립어, 포합어 |
2. 정의 및 특징
"함께 붙이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agglutinare'에서 유래한 교착어는 빌헬름 폰 훔볼트가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2] 교착어는 일반적으로 어휘당 접사 또는 형태소의 비율이 높고, 매우 규칙적인 형태를 띤다. 특히 불규칙 동사가 매우 적거나 거의 없다.
예를 들어 일본어는 완전히 불규칙한 동사가 두 개뿐이며, 약간의 불규칙성을 가진 동사가 약 12개 정도이다. 루간다어에는 하나(또는 "불규칙"의 정의에 따라 두 개)만 있다. 케추아어에서는 모든 일반 동사가 규칙적이다. 조지아어와 같이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한다.
의미와 형태소는 1대1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아, 각 형태소가 하나의 의미나 문법 범주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페르시아어는 동사 및 명사의 어간에 접두사 및 접미사를 붙이는 교착어의 특징을 보인다. "''Mashinhayeshan-ra negah mikardam/ماشینهایشان را نگاه میکردم''"는 '나는 그들의 차를 보고 있었다'는 뜻으로, ''ماشین''(차) + ''ها(ی)''(복수 접미사) + ''شان''(소유격 접미사) + ''را''(후치사)로 분석된다.
터키어 또한 교착어의 예시이다. ''araba''(차) + ''lar''(복수) + ''ın''(소유격 접미사) + ''a''(여격 접미사)는 ''arabalarına''(그들의 차로)가 된다. 그러나 터키어에는 단순 현재 시제의 접미사와 같이 굴절어로 간주될 수 있는 다른 특징도 있다. 다음 표는 터키어 동사 ''sevmek''("사랑하다" 또는 "좋아하다")의 활용 예시이다.
영어 | 터키어 | 형성 | |||
---|---|---|---|---|---|
나는 좋아했다 | sevdim | sev- "좋아하다" | -di (과거 시제) | -m (1인칭 단수) | |
나는 좋아하지 않았다 | sevmedim | sev- "좋아하다" | -me "아니다" | -di (과거 시제) | -m (1인칭 단수) |
나는 좋아한다 | severim | sev- "좋아하다" | -er (현재 시제) | -im (1인칭 단수) | |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 sevmem | sev- "좋아하다" | -me (부정 현재 시제) | -m (1인칭 단수) |
교착어는 기본 어순이 SOV형인 경우가 많으며, 전치사 대신 후치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2. 1. 굴절어와의 비교
빌헬름 폰 훔볼트가 형태론적 관점에서 언어를 분류하기 위해 제시한 개념인 교착어는, 굴절어와 구별하기 어려울 때도 있지만 몇 가지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1] 굴절어는 불규칙 동사가 많고, 명사의 격 표시 패턴이 다양하며, 여러 문법 범주가 하나의 형태소에 융합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교착어는 명사의 격 표시 패턴이 1종류이거나 매우 제한적이다.교착어와 굴절어는 명확히 구분되는 개념이 아니라 연속적인 개념으로, 다양한 언어가 이 연속선 상의 특정 지점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일본어는 교착어적 특성이 강하지만, 일부 명사(弟|오토토|extra="남동생"일본어 - ''oto'' + ''hito'', 원래는 ''woto'' + ''pito'', "어린, 더 어린" + "사람")와 동사, 형용사, 서술어 및 그 접사에서 굴절 현상을 보인다. 예를 들어, 書く|카쿠|extra="쓰다; [누군가] 쓰다"일본어에 ます|마스|extra=공손 접미사일본어와 た|타|extra=과거 시제 표시자일본어가 붙으면 書きました|카키마시타|extra="[누군가] 썼다"일본어가 되는데, 여기서 ''-mas-'' 부분은 의도된 청중에게 정중하게 거리를 두는 사회적 맥락을 표현한다.
교착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동사 활용의 규칙성: 불규칙 동사가 매우 적고, 불규칙 변화를 하더라도 보충형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일본어에서는 '스루(하다)', '쿠루(오다)'가 불규칙 동사이다. 반면 굴절어는 불규칙 동사가 많고, 영어의 'go - went'처럼 보충형을 갖는 경우도 있다.
- 명사의 격 표시 패턴: 일본어의 목적격처럼, 명사의 격 표시는 1종류이거나 매우 제한적이다. 일본어에서는 목적격은 '명사 + 조사 「을/를」'로 표시된다. 굴절어는 명사의 어형이나 성별에 따라 격 표시 패턴이 다양하며, 대명사를 중심으로 불규칙 변화나 보충형이 많다.
- 의미와 형태소의 1:1 대응: 교착어는 하나의 형태소가 하나의 의미나 문법 범주에 대응하는 경향이 강하다. 굴절어는 여러 문법 범주가 하나의 형태소에 융합되는 경우가 많다.[11] 예를 들어, 러시아어에서는 남성 명사 불가동격이나 중성 명사에서 주격과 대격이 같은 형태를 띠지만, 일본어에서는 주격은 '~가', 대격은 '~을/를'로 표시되어 구별된다.[12]
3. 언어 예시
고대 근동 지역에서 사용된 많은 관련 없는 언어들이 교착어였지만, 더 큰 어족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몇몇 잘 알려진 인공어들도 교착어인데, 예를 들어 검은 언어, 에스페란토, 클링온어, 퀘냐가 있다.
교착성은 언어학적 특징이며 언어적 관계를 의미하지는 않지만, 몇몇 교착어 어족이 있다. 예를 들어, 우랄조어는 우랄어족의 조상 언어였으며 교착어였고, 대부분의 후손 언어들이 이 특징을 물려받았다. 하지만 교착성은 이전에 비교착어 유형을 가졌던 언어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전에 교착어였던 언어에서 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 다른 교착어와의 유전적 관계의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 우랄-알타이어족에 대한 불확실한 이론은 핀란드어, 몽골어, 튀르키예어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원시 언어와의 유전적 관계가 있으며, 때로는 만주어, 일본어, 한국어에서도 발견된다.
많은 언어들이 교착성을 발전시켜 왔으며, 이러한 발전 현상은 언어 이동으로 알려져 있다. 인도네시아어가 이러한 예시이다.
교착어로 분류되는 언어는 튀르크어족(튀르크어, 위구르어, 우즈베크어, 카자흐어 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만주어 등), 일본어, 한국어와 우랄어족(핀란드어, 헝가리어 등), 드라비다어족(타밀어 등), 티베트-미얀마어파, 고대어(엘람어, 수메르어, 하티어, 후리어, 우라르투어 등), 인공어(에스페란토 등)이다.
에스키모-알류트어족, 마야어족 등도 교착어적이지만, 교착의 길이가 극단적(문장 전체가 교착)이므로 포합어(정확히는 복합 통합 언어)로 하는 경우가 많다.
3. 1. 일본어
일본어는 교착어의 예로, 동사 활용이 매우 규칙적이다. 예를 들어 "날다"라는 동사 는 다음과 같이 활용된다.[9]- : "날지 않아"
- : "납니다"
- : "날면"
- : "날자" (발음은 토보)
이처럼 어간에 다양한 어미를 붙여 문법적 기능을 나타낸다. 불규칙 동사는 'する(하다)', '来る(오다)' 등 매우 적으며, 약간의 불규칙성을 가진 동사도 약 12개 정도에 불과하다.
3. 2. 핀란드어
talossanifi는 talofi(집)에 내격을 나타내는 -ssafi(~안에서)와 소유 접사-nifi(나의)가 붙은 것이다.[1]3. 3. 터키어
터키어는 교착어의 일반적인 예시이며, 단어를 형성하는 방식이 유사하다.[3] ''araba''(차) + ''lar''(복수) + ''ın''(소유격 접미사, 영어의 "of"와 동일한 기능 수행) + ''a''(여격 접미사, 영어의 "to"와 같이 동작의 수신자를 위해)는 ''arabalarına''(문자 그대로 "그들의 차로")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미사는 모음 조화에 따라 달라진다. ''ev''("집")에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면 ''evlerine''(그들의 집으로)가 된다.터키어에는 단순 현재 시제의 접미사와 같이 굴절어로 간주될 수 있는 다른 특징이 있다. 이것은 부정 접미사가 시제 접미사 앞에 포함될 수 있는 것과 달리, 긍정형과 부정형에 각각 다른 두 개의 접미사가 있는 유일한 시제이다. ''sevmek''("사랑하다" 또는 "좋아하다")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영어 | 터키어 | 형성 | |||
---|---|---|---|---|---|
나는 좋아했다 | sevdim | sev- "좋아하다" | -di (과거 시제) | -m (1인칭 단수) | |
나는 좋아하지 않았다 | sevmedim | sev- "좋아하다" | -me "아니다" | -di (과거 시제) | -m (1인칭 단수) |
나는 좋아한다 | severim | sev- "좋아하다" | -er (현재 시제) | -im (1인칭 단수) | |
나는 좋아하지 않는다 | sevmem | sev- "좋아하다" | -me (부정 현재 시제) | -m (1인칭 단수) |
evimdetr는 evtr ("집") -imtr ("나"의, 소유격 접미사) -detr (~에서, 위치격)로 분석할 수 있다.
4. 언어 변화
교착성은 언어 변화의 한 과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어와 같이 비교착어 유형에서 교착성을 획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교착어에서 굴절어, 분석어, 고립어를 거쳐 다시 교착어로 순환하는 진화 경향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 이는 문법화 이론과 단어 종결부의 단어 생략 및 음운 탈락을 포함한 일반적인 언어 마모 현상에서 관찰되는 경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이다.[1]
5. 기타
일반적으로 "교착"이라는 단어는 ("교착 상태"에서처럼) 붙어서 쉽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언어학에서 교착어의 "교착"은 단어에 접사를 붙인다는 의미로만 사용되며,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는 없다.[13]
참조
[1]
서적
The Ethnographer's Magic and Other Essays in the History of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
Etymology
agglutination
[3]
학술지
Persian Syntax
https://cedar.wwu.ed[...]
2019-05-15
[4]
서적
A Dictionary of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2-05-06
[5]
웹사이트
Sumerian is clearly an agglutinative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1-03-20
[6]
웹사이트
Orkish and the Black Speech
http://folk.uib.no/h[...]
University of Bergen
2013-09-02
[7]
웹사이트
The Uralo-Altaic Theory in the Light of the Soviet Linguistics
http://feb-web.ru/fe[...]
2010-04-07
[8]
문서
형태소 분석과 자연어
[9]
문서
학교 문법과 어간
[10]
문서
한국어 조사의 예시
[11]
문서
스페인어 어미의 다의성
[12]
문서
동음이의어의 예시
[13]
서적
エスペラント―異端の言語
[14]
서적
The Ethnographer's Magic and Other Essays in the History of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5]
Etymology
agglutin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