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盧)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성씨이다. 한국의 노씨는 강씨에서 분파되었으며, 2015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33위를 차지했다. 노(盧)씨는 광주 노씨를 대본으로 하며, 노수(盧穗)를 도시조로 하여 9개의 관향으로 분파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순비 노씨, 노태우, 노무현 등이 있다. 로(魯)씨는 주나라 노나라에서 유래되었으며, 함평 노씨, 강화 노씨, 광주 노씨 등이 있으며, 노(路)씨는 중국 지명에서 유래되었고, 개성 로씨가 있다. 그 외 일본, 남아시아, 게일어, 게르만 등에서도 노(Roh, Ro, Lho)와 관련된 인물과 이름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씨 - 노영심
    노영심은 1989년 데뷔하여 다수의 곡을 작사하며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방송인으로, 《노영심의 작은음악회》 진행, 《연애시대 OST》 참여 등 다양한 음악 및 방송 활동을 펼쳤다.
노 (성씨)

2. 기원 및 역사

한국의 '''노'''씨에는 盧|검을 로중국어(盧), 魯|노나라 로중국어(魯), 路|길 로중국어(路) 세 종류가 있다. 이 중 검을 로(盧)씨가 가장 흔하며,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56,238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순위 33위를 차지했다. 노나라 로(魯)씨는 58,711명, 길 로(路)씨는 223명으로 조사되었다.

노씨 종문


검을 로(盧)씨는 강성(姜姓)에서 유래하였다. 강태공의 후손인 고혜(高傒)가 제나라의 노현(盧縣, 현 산둥성 지난시 창칭구)에 봉읍을 받으면서, 그의 후손들이 지명인 '노'를 성씨로 삼게 되었다고 전해진다.[1] 한국 노(盧)씨의 도시조(都始祖)는 중국 허베이성 범양 출신의 노수(盧穗)로 알려져 있으며, 그는 당나라 한림학사를 지내다 신라로 이주하여 정착했다고 한다. 그의 아홉 아들이 고려 초기에 봉읍을 받으면서 9관(九貫)으로 분파되었다고 한다.

노나라 로(魯)씨는 주나라노나라에 봉해진 백금(伯禽)의 후손들이 나라가 망한 뒤 나라 이름을 성으로 삼은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길 로(路)씨는 중국의 지명에서 유래한 성씨로, 《신당서》에 따르면 중국 신화 속 인물이 봉해진 지명에서 따왔다고 전해진다.

2. 1. 한국의 로(盧)씨

한국에는 성씨로 쓰이는 노(盧), 노(魯), 로(路)가 있다.

대한민국 통계청의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검을 로(盧)씨는 256,238명으로 한국 성씨 인구 순위 33위이며, 노나라 로(魯)씨는 58,711명, 길 로(路)씨는 223명으로 조사되었다.

2. 1. 1. 검을 로(盧)

盧|노중국어. 노(盧)씨는 강성(姜姓)에서 유래했다. 강태공의 6세손인 제 문공의 증손 고혜(高傒)가 제나라의 노현(盧縣, 현 산둥성 지난시 창칭구)에 봉읍을 받자, 그의 후손들이 봉읍의 이름을 따서 노씨(盧氏)를 성으로 삼았다.[1]

한국 노(盧)씨의 도시조(都始祖)는 중국 허베이성 범양(范陽) 출신의 노수(盧穗)이다. 그는 당나라에서 한림원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내다가 신라로 이주하여 처음에는 평안도 정주(定州) 능리촌(菱里村)에 정착했고, 이후 평안도 룡강(龍岡) 쌍제촌(雙悌村)으로 옮겨 뿌리를 내렸다고 전해진다. 노수의 아들 9형제가 신라에서 관직에 나아가 고려 초기에 각자 봉읍(封邑)을 받으면서 9관노씨(九貫盧氏)가 시작되었다. 이들은 각각 광주(光州), 교하(交河), 풍천(豐川), 장연(長淵), 안동(安東), 안강(安康), 연일(延日), 평양(平壤), 곡산(谷山)을 관향으로 삼아 분파하였다. 이후 교하 노씨에서 신창(新昌) 노씨가, 광주 노씨에서 해주(海州) 노씨가, 평양 노씨에서 만경(萬頃) 노씨가 분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주 노씨(光州盧氏)가 노씨의 대본(大本)으로 여겨진다. 광주 노씨는 노만(盧蔓)을 1세조로 하는 만자파(蔓字派)와 노서(盧恕)를 1세조로 하는 노서파(盧恕派)로 나뉜다.

대한민국 통계청의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노(盧)씨는 대한민국에 256,238명이 거주하며, 성씨 인구 순위 33위를 차지한다.

노씨는 조선 시대에 정승(상신) 6명, 대제학 1명, 청백리 2명을 배출했다. 주요 역사 인물로는 고려 공양왕의 왕비인 순비 노씨, 조선 태종 때 검교우의정을 지낸 노숭, 성종 때 성균관 대사성을 역임한 노자형, 선조 때 영의정에 오른 노수신노사신 등이 있다.

현대 인물로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있다.

  • 노태우 (1932–2021):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 (교하 노씨)
  • 노무현 (1946–2009): 대한민국의 제16대 대통령, 변호사 (광주 노씨)
  • 노신영 (1930–2019): 대한민국 국무총리
  • 노재봉 (1936년 출생): 대한민국 국무총리
  • 노회찬 (1956–2018): 대한민국 정치인
  • 노웅래 (1957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
  • 노형욱 (1962년 출생): 대한민국 활동가 및 정부 관료
  • 노소영 (1961년 출생): 대한민국 기업 임원
  • 노영하: 바둑 기사 및 해설가
  • 노준환: 바둑 기사
  • 노천명 (1912–1957): 대한민국 시인
  • 노희경 (1966년 출생): 대한민국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 및 수필가
  • 노인경 (1980년 출생): 대한민국 작가 및 일러스트레이터
  • 노덕 (1980년 출생): 대한민국 영화 감독 및 각본가
  • 노경태 (1972년 출생): 대한민국 영화 제작자, 감독, 각본가
  • 노현정: 전 아나운서
  • 노홍철 (1979년 출생): 대한민국 방송인 및 기업가
  • 노사연 (1957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및 텔레비전 방송인
  • 노우진 (1980년 출생): 대한민국 코미디언
  • 노민우 (198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및 가수
  • 노영학 (1993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노종현 (1993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노행하 (199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노정의 (200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 노윤서 (200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및 모델
  • 노상현 (1990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배우 및 모델
  • 노지훈 (1990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및 댄서
  • 노태현 (1993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및 댄서
  • 노장진: 전 야구 선수
  • 노병준 (1979년 출생): 대한민국 전 프로 축구 선수
  • 노상래 (1970년 출생): 대한민국 은퇴한 축구 선수
  • 노경은 (1984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야구 선수
  • 노승열 (1991년 출생): 대한민국 프로 골프 선수
  • 노아름 (1991년 출생): 대한민국 쇼트트랙 선수
  • 노도희 (1995년 출생): 대한민국 쇼트트랙 선수
  • 노도영 (1963년 출생): 대한민국 물리학자
  • 노태원 (1957년 출생): 대한민국 물리학자


노(盧)씨의 로마자 표기는 공식적으로 '''No''', '''Ro''', 또는 '''Lho'''로 사용되며, '''Noh'''로 표기되기도 한다.

2. 1. 2. 노나라 로(魯)

(함평 31,729명 + 함풍 3,502명)강화(江華)노용신(魯龍臣)고려 명종 때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냈으며, 고종 때 몽골 침입으로 강화도로 천도할 당시 강화현령(江華縣令)으로서 공을 세워 강화군(江華君)에 봉해졌다. 현대 인물로는 노회찬 전 국회의원이 있다.17,073명광주(廣州)노필상(魯弼商)대대로 광주에 살아온 사족(士族)의 후예로, 조선시대에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에 이르렀다.654명



2. 1. 3. 길 로(路)

로(路)씨는 중국의 지명에서 유래한 성씨이다. 《신당서》 〈재상세계표〉에 따르면, 중국 신화 속 인물인 제지의 아들 현원을 임금이 중로(中路)라는 곳에 봉했고, 그 후손들이 봉읍의 지명을 따서 성으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는 신화상의 이야기이며, 실제로 해당 시기에는 성이나 씨의 개념이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 결과, 한국 내 로(路)씨 인구는 223명으로 집계되었다.

한국 로씨의 본관 중 하나인 '''개성 로씨'''(開城路氏)의 시조는 '''로은경'''(路誾儆)이다. 그는 원나라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냈으며, 고려 공민왕 재위 시기 노국공주(魯國公主)를 따라 고려에 들어와 개성에 정착하였다.

2. 2. 기타 국가

한국의 성씨 '노' 외에도, 일본, 남아시아, 아일랜드, 독일 등 다른 문화권에서도 '노(Roh)' 또는 유사한 발음의 이름이나 성씨가 발견된다. 각 지역에서의 유래와 의미는 다르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한다.

2. 2. 1. 일본

로(Roh)는 이름에 사용되는 한자 朗|로일본어의 일본어 발음이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2. 2. 2. 남아시아

남아시아에서 사용되는 노(Roh)는 때때로 노(Noh), 로(Ro), 로(Lho)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이 이름은 산스크리트어 기원으로, 남성 이름인 Rohit|로히트san에서 유래했으며, "떠오르는 태양" 또는 "붉은 지평선"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2. 2. 3. 게일어

'Roh'는 아일랜드어 단어 'rough'에서 유래한 게일어 남자 이름이기도 하다. 초기 암흑 시대에 자주 쓰였으며, 아일랜드인의 호전적이고 반항적인 성격을 나타낸다.

2. 2. 4. 게르만

Roh|로deu는 '거친 병사'에서 '호기심 많은 기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를 가진 게르만어 기원의 이름이자 성씨이기도 하다. 주목할 만한 예는 다음과 같다.

3. 분파



한국 노(盧)씨의 도시조(都始祖)는 중국 범양(范陽, 현 허베이성 줘저우시) 출신인 노수(盧穗)로 알려져 있다. 그는 당나라에서 한림원(翰林院)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내다가 신라로 건너와 평안도 정주(定州) 능리촌(菱里村)에 정착하였고, 이후 평안도 룡강(龍岡) 쌍제촌(雙悌村)으로 옮겨 뿌리를 내렸다고 전해진다.[1]

노수의 아들 아홉 형제가 신라에서 벼슬길에 올라 고려 초기에 각자 봉읍(封邑)을 받으면서 9관노씨(九貫盧氏)가 시작되었다. 이들은 각각 광주(光州), 교하(交河), 풍천(豐川), 장연(長淵), 안동(安東), 안강(安康), 연일(延日), 평양(平壤), 곡산(谷山)을 관향으로 삼아 분파하였다. 이후 교하에서 신창(新昌), 광주에서 해주(海州), 평양에서 만경(萬頃)으로 다시 분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盧)씨의 대본(大本)은 '''광주 노씨'''(光州盧氏)이다. 광주 노씨는 노만(盧蔓)을 1세조로 하는 만자파(蔓字派)와 노서(盧恕)를 1세조로 하는 노서파(盧恕派)로 나뉜다.

노(魯)씨는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이었던 노(魯)나라 시조 백금(伯禽)의 후손들이 기원전 256년 노나라 멸망 후 나라 이름을 성으로 삼은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한국 노(魯)씨의 도시조는 기자를 따라 고조선에 왔다고 전해지는 노중련(魯仲連)이다. 주요 본관으로는 함평, 강화 등이 있다.

노(魯)씨 주요 본관
본관시조주요 인물비고
함평(咸平)노목(魯穆)노인고려 인종 때 이자겸의 난 평정 공으로 함풍군(咸豊君)에 봉해짐. 함풍은 현재 전라남도 함평군.
강화(江華)노용신(魯龍臣)노회찬고려 명종 때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냈고, 고려 고종 때 몽골 침입 당시 강화현령(江華縣令)으로 공을 세워 강화군(江華君)에 봉해짐.
광주(廣州)노필상(魯弼商)광주 지역 토착 사족(士族)의 후예로 조선시대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로(路)씨는 중국의 지명에서 유래한 성씨이다. 한국 로(路)씨의 시조는 '''개성 로씨'''(開城路氏)의 로은경(路誾儆)이다. 그는 원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있다가 공민왕 때 노국공주(魯國公主)를 따라 고려에 들어와 개성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4. 주요 인물

노(盧)씨는 조선시대에 여러 정승과 학자를 배출했으며, 대표적인 역사 인물로는 고려 공양왕의 왕비 순비 노씨, 조선노숭, 노자형, 노수신, 노사신 등이 있다. 현대에는 노태우, 노무현 전 대통령과 노신영, 노재봉 전 국무총리 등이 있다.

노(魯)씨의 주요 인물로는 역사적으로 노인이 있으며, 현대 인물로는 노회찬 등이 있다.

4. 1. 한국



한국의 노(盧)씨는 중국 강성(姜姓)에서 유래했다. 강태공의 후손인 고혜(高傒)가 제나라의 노현(盧縣, 현 산둥성 지난시 창칭구)에 봉읍을 받으면서, 그 후손들이 지명을 성으로 삼은 것이 시초이다.[1]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노(盧)씨는 256,238명으로, 한국 성씨 중 인구 순위 33위를 차지한다.

한국 노(盧)씨의 도시조(都始祖)는 중국 허베이성 범양(范陽) 출신의 노수(盧穗)이다. 그는 당나라에서 한림원 학사를 지내다 신라로 건너와 평안도 정주(定州) 능리촌(菱里村)에 정착했고, 이후 평안도 용강(龍岡) 쌍제촌(雙悌村)으로 옮겨 뿌리를 내렸다고 전해진다. 노수의 아들 아홉 명이 신라에서 관직에 올라 고려 초기에 각자 봉읍을 받으면서 9관 노씨(九貫盧氏)가 시작되었다. 이들은 각각 광주(光州), 교하(交河), 풍천(豐川), 장연(長淵), 안동(安東), 안강(安康), 연일(延日), 평양(平壤), 곡산(谷山)을 관향으로 삼았다. 이후 교하에서 신창(新昌), 광주에서 해주(海州), 평양에서 만경(萬頃)으로 분관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노(盧)씨의 대본(大本)은 '''광주 노씨'''(光州盧氏)이다. 광주 노씨는 노만(盧蔓)을 1세조로 하는 만자파(蔓字派)와 노서(盧恕)를 1세조로 하는 노서파(盧恕派)로 나뉜다.

조선시대에 노(盧)씨 가문은 정승 6명, 대제학 1명, 청백리 2명을 배출했다. 대표적인 역사 인물로는 고려 공양왕의 왕비인 순비 노씨, 조선 태종 때 우의정을 지낸 노숭, 조선 성종 때 성균관 대사성을 역임한 노자형, 조선 선조 때 영의정에 오른 노수신노사신 등이 있다.

현대 인물로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 노태우(교하 노씨), 제16대 대통령 노무현(광주 노씨), 국무총리를 지낸 노신영, 노재봉 등이 있다. 그 외 주요 인물은 아래와 같다.

한국의 노(魯)씨는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이었던 노나라에서 유래했다. 노나라 시조 백금(伯禽)의 후손들이 기원전 256년 노나라 멸망 후 나라 이름을 성으로 삼았다고 한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노(魯)씨는 58,711명으로 집계되었다. 주요 본관으로는 함평, 강화 등이 있다. 한국 노(魯)씨의 도시조는 기자를 따라 고조선에 왔다고 전해지는 노중련(魯仲連)이다.

한국의 로(路)씨는 중국의 지명에서 유래한 성씨이다. 《신당서》에 따르면, 중국 신화 속 인물인 제지의 아들 현원을 임금이 중로(中路)에 봉했고, 그 후손들이 지명을 성으로 삼았다고 한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조사에서 로(路)씨는 223명으로 집계되었다.

한국의 노씨 성은 로마자로 표기할 때 공식적으로 '''No''', '''Ro''', 또는 '''Lho'''로 쓰이며, 때로는 '''Noh'''로 표기되기도 한다.

이름생몰년주요 활동 분야
노신영1930–2019정치인 (국무총리)
노태우1932–2021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군인
노무현1946–2009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변호사
노사연1957년 출생가수, 방송인
노태원1957년 출생물리학자
노웅래1957년 출생정치인
노회찬1956–2018정치인
노소영1961년 출생기업인
노형욱1962년 출생공무원
노도영1963년 출생물리학자
노희경1966년 출생드라마 작가, 수필가
노상래1970년 출생축구인
노경태1972년 출생영화 감독, 각본가
노병준1979년 출생축구 선수
노홍철1979년 출생방송인
노우진1980년 출생코미디언
노인경1980년 출생작가, 일러스트레이터
노덕1980년 출생영화 감독, 각본가
노경은1984년 출생야구 선수
노민우1986년 출생배우, 가수
노행하1990년 출생배우
노상현1990년 출생배우, 모델
노지훈1990년 출생가수
노아름1991년 출생쇼트트랙 선수
노승열1991년 출생골프 선수
노종현1993년 출생배우
노영학1993년 출생배우
노태현1993년 출생가수
노도희1995년 출생쇼트트랙 선수
노윤서2000년 출생배우, 모델
노정의2001년 출생배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