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10·1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 10·1 사건은 1946년 10월 대구에서 시작되어 경상도 일대와 남한 전역으로 확산된 대규모 민중 봉기이다. 미군정의 쌀 배급 정책 실패와 콜레라 창궐로 인한 민생고, 친일 경찰의 횡포, 그리고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이후 공산주의 활동 불법화 조치 등이 배경이 되었다. 9월 총파업 이후, 대구에서 경찰의 발포로 인한 사망 사건이 발생하면서 시위가 격화되었고, 북한의 지원을 받은 조선공산당의 '신전술'이 사건에 영향을 미쳤다. 사건 이후 미군정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진압에 나섰으며, 좌우익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 사건은 미군정의 식량 정책 실패와 친일파 등용에 대한 반발, 좌익 세력의 약화, 우익 세력의 강화 등 대한민국 현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10월 - 1946년 10월 프랑스 국민투표
1946년 10월 프랑스 국민투표는 의원내각제를 골자로 하는 새 헌법 제안에 대해 53.2%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 1946년 10월 - 1946년 칸 영화제
1946년 칸 영화제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처음으로 개최되어 21개국에서 온 영화 11편이 최고상에 해당하는 상을 수상했으며, 조르주 위스망이 심사위원장을, 르네 클레망 감독의 《철로변 전투》가 심사위원 대상을, 레이 밀랜드와 미셸 모르강이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대구 10·1 사건 | |
---|---|
사건 개요 | |
명칭 | 대구 10월 사건 |
다른 명칭 | 대구 10·1 사건 |
발생 시기 | 1946년 가을 |
주요 발생지 | 대한민국, 주로 대구 |
결과 | 반란 진압 |
교전 세력 | |
교전 1 | 미국 육군 군정청 우익 단체: 대한청년단 서북청년회 |
교전 2 | 조선공산당 전국노동자평의회 |
주요 인물 | |
교전 1 주요 인물 | 존 하지 |
교전 2 주요 인물 | 박헌영 김재봉 강달영 |
피해 규모 | |
사망자 | 611명 |
부상자 | 7,500명 |
체포자 | 2,609명 |
2. 배경
1946년 9월 30일자 민주중보에 10월 사건이 일어날 조짐을 다룬 기사가 실렸다. 이 기사가 실린 지 이틀 후, 부산 지역신문인 민주중보는 1달 반 동안 휴간에 들어갔다.[40]
광복 이후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USAMGIK) 시기 남한 사회는 경제적,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웠고, 민중들은 불만을 품고 있었다. 1946년 5월에 남조선 전역에 콜레라가 유행하여 경상북도에서만 4,000명이 사망했다.[38] 이후 수해로 인한 교통 마비와 강제 징발 등으로 쌀값이 일제강점기에 비해 10배 이상 폭등했다.[38]
10·1 사건은 역사적 관점에 따라 10월 봉기, 영남 폭동, 10월 폭동 등으로 불린다. 옹호하는 입장에선 10월 봉기, 비판적인 입장에선 영남 폭동 및 10월 폭동, 중립적인 입장에선 10·1 사건이라고 부른다. 조선공산당의 선동과 주도성을 강조하는 시각에서는 10월 폭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거에는 10월 폭동, 영남 폭동, 10월 사건 등의 용어가 혼용되었으며, 공식적으로는 보다 중립적인 10·1 사건이라는 용어로 지칭되었다.[11][12]
2. 1. 미군정의 식량 정책 실패와 민심 악화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USAMGIK) 시기 남한 주민들은 굶주림에 시달렸다. 미군정의 쌀 배급 정책 실패가 원인이었다. 특히 콜레라가 창궐했던 대구는 더욱 심각했다. 대구와 경상북도 일대에서 2천여 명의 콜레라 환자가 발생했지만, 미군정은 제대로 된 치료 조치 없이 대구를 봉쇄하여 전염 확산을 막으려 했다.[14] 이로 인해 차량과 사람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농작물과 생필품 공급이 끊겼고, 특히 쌀 부족이 심각했다.[14] 당시 돈이 있어도 쌀을 구할 수 없어 콜레라를 치료하는 의사들조차 콩나물과 쌀로 죽을 끓여 먹을 정도였다고 한다.설상가상으로, 국립경찰[41]로 채용된 친일파 출신 경찰들이 일제강점기처럼 농민들의 쌀을 강탈하다시피 공출해갔다.[72][42] 이에 시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했고, 경찰에 대한 보복이 곳곳에서 벌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구와 경상북도 일대의 민심은 매우 흉흉했다.[72]
2. 2.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과 조선공산당의 '신전술'
1946년 5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으로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USAMGIK)은 '공산당 활동 불법화'를 공표하고 공산당 간부들에 대한 대대적인 체포령을 내렸다.[44] 그러나 당시 조선공산당은 소련군정에게서 직접 지원금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굳이 위조지폐를 만들 필요가 없었다는 주장도 있다. 장택상이 증거로 제시한 위조지폐도 조선공산당이 만들었다는 증거로는 부족하다.이후 박헌영 계열의 조선공산당 세력은 "미군정에 대항하겠다."면서 '신전술'이라는 방식을 채택하여 더욱 극단적인 성향을 보였다.[44] 이들은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전평)와 함께 노동자들을 선동하여 1946년 9월에 철도 및 운송 노동자들을 중심으로 대규모 파업(9월 총파업)을 일으켰다.[44] 9월 총파업은 부산 지역 철도 노동자들의 파업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조선공산당과 전평은 미군정과 정면으로 충돌하였다.[44] 미군정은 경찰과 반공청년단체를 투입하여 파업을 진압했지만, 대구에서 경찰이 노동자 시위에 발포하면서 사태는 더욱 악화되었다.[45]
조선공산당의 신전술에 따라 1946년 7월부터 전평과 전국농민조합총연맹(전농)을 중심으로 미군정에 대한 강경 투쟁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쌀 배급과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투쟁을 벌였고, 이는 9월 총파업으로 이어졌다. 그 중심에는 철도 노동자들이 있었다.[46]
2. 3. 북한의 개입
소련군정의 스티코프는 자신의 일기에 9월 총파업에 관한 명령과 자금을 북한에서 지원했다고 기록했다. 1946년 남한을 뒤흔들었던 9월 총파업 당시, 북한의 소련군정은 조선공산당 측에 200만엔을 지원했다. 이어 발생한 대구 10·1 사건 기간 중에도 세 차례 추가 자금(300만엔 이상)을 지원했으며, 파업 투쟁에 대한 행동 지침까지 지시했다.[43]1946년 5월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으로 미군정이 '공산당 활동 불법화'를 공표하고 공산당 간부들에 대한 체포령을 내렸지만, 당시 조선공산당은 소련군정에게서 직접적인 지원금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굳이 위조지폐를 만들 이유는 없었다.
3. 영남 지역의 상황
9월 총파업으로 시작된 대구 10·1 사건은 경상북도와 경상남도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경상북도 영천에서는 1만여 명의 시위대가 경찰서를 습격하고 방화하는 등 격렬한 시위가 벌어져 1200여 호의 가옥이 불타고 10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53] 선산군(현재의 구미)에서는 박정희 대통령의 형인 박상희가 시위대를 설득해 경찰들을 피신시켰으나, 다른 지역에서 온 경찰에게 사살되었다.[55] 예천, 영일, 칠곡 등에서도 경찰서 습격과 민간인 살해 등의 사건이 발생했다. 특히 왜관에서는 미곡수집령에 대한 저항이 심해, 분노한 주민들이 경찰서장을 잔혹하게 살해하기도 했다.[57] 달성, 고령, 성주 등 경북 전역에서 사건이 발생했고, 약 77만 3200여 명이 사건에 참여했다.
안동에서는 유교적 전통으로 인해 우익 및 경찰 세력이 강해, 공산주의 지도자들을 사전에 체포하여 큰 불상사를 예방했다.[58] 문경에서는 지역 유지들이 경찰에 협조하고, 경찰서장이었던 조준영 경감이 청렴한 인물로 평가받아 피해가 비교적 적었다.
경상남도는 9월 총파업이 시작된 곳이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소극적이고 분산적인 사건들이 발생했다.[26] 통영에서 최초로 군중들이 읍내를 장악하고 경찰을 공격했으며, 창녕에서도 경찰서와 군청 점령 시도가 있었다. 마산에서는 군중과 군경 간 충돌로 13명 정도가 사망했고,[59] 울산에서는 면사무소가 파괴되고 경찰서가 포위되었으나 미군의 도움으로 탈환되었다. 부산에서도 유혈 충돌로 24명이 사망했다.[26]
3. 1. 대구
9월 총파업 당시 대구에서는 전평 지도부가 9월 23일부터 총파업에 돌입, 10월 1일까지 파업과 시위가 계속되었다.[47] 10월 1일 저녁, 대구부청 앞(오늘날 경상감영공원)에서 기아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시위 도중 경찰의 발포로 황말용, 김종태 라는 노동자가 총에 맞아 사망했다.[47]다음 날 아침, 경찰 발포로 민간인 2명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은 노동자들이 시내에 집결했고, 굶주린 일반 시민과 학생들도 시위에 합세했다. 만여 명의 군중에 포위된 대구경찰서장은 스스로 무장해제를 선언하고 유치장 열쇠를 건네 수감자들을 석방했다. 조선공산당 지도부 통제를 받는 노동자들은 질서 있게 경찰권을 인수하려 했다. 그런데 이때, 거리 한쪽에서 흥분한 군중들이 경찰에 투석을 시작했고, 궁지에 몰린 경찰관들은 군중에게 총을 난사하여 17명의 시위대가 사망했다.[48]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소에는 당시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 있는데, 거리 한쪽에 장총으로 무장한 경찰들이 엄폐물 뒤에 쪼그려 앉아 있고 반대편으로 피신한 시위 군중 쪽에는 여러 명이 바닥에 쓰러져 있다. 시신을 촬영한 사진에는 번호가 24번까지 매겨져 있어 당시 적어도 24명이 사망했음을 알 수 있다.[49]
분노한 군중들은 동향을 살피던 정사복 경찰관들을 구타하거나 경찰 무기고를 털어 총기로 무장했다. 이들은 부잣집과 친일파 가옥을 털어 생필품이나 식량을 가져갔지만, 길바닥에 쌓아놓고 필요한 사람에게 나눠주었다. 일반 가게나 은행은 거의 피해를 입지 않았다. 경찰관을 집단 폭행하거나 살해한 것은 그들 대부분이 일제강점기부터 조선인들을 괴롭혀온 친일 경찰이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50]
대구지역 의사모임인 대구부의사회는 "경관은 시민에게 발포를 중지하라. 동포에게 발포한 경관 부상자 치료를 거부한다"는 경고문을 발표하며 사건에 동참했다.[51]
미군정은 10월 2일 오후 7시 대구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미군을 동원해 표면적으로는 질서를 회복했다. 그러나 미군 개입으로 시위가 경산군, 성주군, 영천군 등 경상북도 일대로 확대되면서 민간인과 미군정 간 충돌은 계속되었다.
3. 2. 경상북도
소요사태는 10월 2일 즈음 진정되는 듯했으나, 주변인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시위를 벌이면서 경북 전역으로 퍼져나갔다.[52]영천에서는 1만여 명의 시위대가 경찰서를 습격하고 군수, 경찰, 관리들을 살해하고는 경찰서와 우체국을 방화했다. (10월 3일) 경찰 응원대가 도착해 질서는 회복되었으나 경찰관들과 우익 청년단원들은 사건 관련자들의 집을 약탈하고 유린했다.[52] 영천에서만 1200여 호의 가옥이 전소, 파괴되었고 사망 40명, 중상자 43명, 10억원의 피해를 입었다.[53]
선산군(현재의 구미)에서는 다른 지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미미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20세기까지 알려졌던 내용은 박정희의 형 박상희를 주동으로 한 2000여 명의 군중들이 구미경찰서를 공격해 경찰서 기능을 마비시키고는 선산인민위원회보안서 간판을 매달아 지역관리에 나섰고 경찰, 우익인사들을 감금하고 부호들의 가산을 파괴했다고 보도되었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 새롭게 밝혀진 사건 조사내용에 의하면 10월 3일 구미 경찰서 습격 당시 경북지역 남로당원들은 폭동이 최악의 사태로 치닫는 것을 오히려 막으려 했다고 밝혀졌다.[54]
이는 박상희의 죽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민주주의민족전선 선산지부 사무국장이던 박상희는 구미에 머물면서 대구의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었다. 그해 10월 3일 시위를 하던 인민들이 선산경찰서를 습격하자, 박상희는 시위대를 설득해 갇혀 있던 경찰들을 무사히 피신시켰다가 뒤늦게 도착했던 타지역 경찰에게 사살되었다.[55]
박상희의 큰딸 박영옥 씨는 2010년 7월 15일 구미 박상희 묘역에서 열린 추모비 제막식에서 다음과 같이 발언했다.[46]
> 63년 전 돌아가신 아버님은 동분서주하시면서 독립운동을 하시다가 수많은 옥고를 치르셨고, 돌아가시던 1946년 10월 5일에도 시위대에 둘러싸인 경찰관이 위태롭다는 전언을 듣고 경찰관을 구하러 가셨다가 변을 당하셨다. 이런데도 불구하고 아버님은 좌익이니, 우익이니, 공산활동을 했느니 하는 부당한 평가에 시달리며 지금까지 지내 왔다. 별세하신 지 60년이 지나도록 묘비 하나 없이 싸늘한 땅에 누워 계셨다.
예천에서는 시위를 막기 위해 미리 경찰들이 파견되었으나 민간인과의 충돌로 인하여 실패했고, 1000여 명의 군중이 경찰서를 습격해 교전까지 벌였다. 미군이 도착할 때까지도 질서가 회복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 후에도 경찰서 공격이 이어져 경찰이 다치고 무기고가 탈취되는 일이 이어져 외곽지역에 경찰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고 한다. 영일에서는 민간인의 공격으로 전도사가 살해당하기도 했다.[56]
칠곡에서도 격렬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500여 명의 군중은 약목지서를 습격해 3명의 경찰을 기둥에 묶어 살해했다. 왜관에서는 2,000여 명의 주민들이 시위와 함께 왜관경찰서를 공격해 경찰 4명이 추가로 피살되었다. 사건 전 왜관지역은 미곡수집령에 대한 저항이 매우 심했는데, 왜관 주민들의 분노가 어찌나 큰지 당시 경찰서장 장석한은 얼굴이 난도질당한 채로 머리부터 밑으로 갈라져 살해당했다고 한다.[57]
이 외에도 달성, 고령, 성주, 군위, 의성, 김천, 경산, 청도, 경주, 영덕, 안동, 상주, 문경, 영주, 봉화 지역에서 사건이 발생했고 약 77만 3200여 명이 사건에 참여했다. 경북 지역의 사건은 다양한 강도(미발생/저강도/중강도/고강도/최고강도로 분류)와 방식(선제공격, 경찰서 습격, 장날 이용, 정치 이념 세력 간의 힘의 균형 이용, 파급이 큰 논농사 지역 이용)을 이용해서 전개되었고, 이에 대한 경찰의 가혹한 보복도 뒤따랐다.
경찰 측의 피해 규모는 당시 지역에서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나 관할 경찰서장의 임기응변에 따라 크게 줄어드는(동시에 경찰의 보복도 가벼운) 경우가 많았는데, 고령군의 경우 10월 3일 오후 8시경 군민청 본부에 모인 군내 민청원 수백 명이 군청을 습격, 접수할 계획을 꾸미고 있다는 정보를 접한 당시 고령경찰서장 최이준(崔二俊)이 직접 민청 간부와 만나 양자간 절충을 시도하고, 협상 결과에 불만을 품고 4일 오전 1시경 괭이와 낫을 들고 경찰서 공격에 나선 민청원과 군중들을 상대로도 최이준 서장이 다시 몸소 나서서 담판을 짓는 모습을 보였는데, 군중들 사이에서 온건파와 강경파 사이의 알력이 벌어져 시간을 끄는 과정에서 대구로부터 지원경찰이 온다는 소식에 군중은 해산, 별다른 피해는 일어나지 않았다.
왕조 시대 이래로 유교적 전통이 강한 만큼 우익 및 경찰 세력도 좌익 못지않게 강했던 안동에서는 10월 3일에 농림학교 교사 8명을 비롯, 공산주의 지도자로 지목된 30명(《대구시보》에는 82명)이 안동 및 영주 경찰에 사전 체포되면서 불상사는 예방되었다고 평가되었다.[58] 문경에서는 황시곤, 이규선 등 문경의 지방 유지들이 광복청년회 점촌지부 점촌소방대와 함께 경찰에 협조했고, 문경경찰서장이었던 조준영 경감은 문경 군민들에게 비교적 "청렴하고 참신한 인물"로 평가받아온 사람이었고 군내 좌익들의 동태를 파악해 예방조치를 강구한 덕분에 피해가 다소 적었는데, 10월 4일 50여 명의 군중이 군내 산양지서를 습격, 파괴하였고 경찰에 용의자 30명이 검거, 별다른 인명피해는 없었다.
3. 3. 경상남도
경남지역은 대구 10·1 사건의 도화선이 되는 9월 총파업이 시작된 곳이다. 하지만 다른 지역과는 달리 9월 총파업의 전개는 매우 소극적이고 온건적이었으며 10월 사건 때에도 분산적이고 고립적인 사건들이 펼쳐졌다.(그럼에도 많은 지역에서 사건이 발생했다.)[26]경남지역에서는 통영에서 최초의 사태가 발생했다. 4000~5000여명의 군중들이 읍내를 장악하고는 경찰을 구타하고 무기를 탈취했다. 창녕에서도 여러 지서가 습격당하고 군중의 경찰서, 군청 점령시도가 있었다. 마산에서는 6일과 7일에 거쳐서 군중과 군경 사이의 치열한 충돌로 13명 정도의 사망자를 내었다.[59] 울산지역에서는 면사무소가 파괴되고 경찰서가 포위당했으나 응원경찰과 미군의 도움으로 곧 탈환되었고 군중 일부는 배를 타고 도망하였다. 소극적인 사건이 있었던 부산에서도 9일에 유혈충돌이 일어나 24명이 목숨을 잃었다.[26]
4. 영남 이외 지역의 상황
경상도에서 시작된 사건은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경기도 광주에서는 경찰을 살해하고 경찰서를 불태우는 투쟁이 벌어졌다. 개풍에서는 경찰서장이 피살되고 대부분의 지서가 이틀에 걸쳐 습격당했다.[61] 파주에서는 폭동이 계획되다가 사전 발각되어 주동자들이 체포되었다.
서울에서는 10월 3일 1200여 명의 군중이 학생들과 함께 시청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10월 21일에는 2000여 명이 종로네거리에서 동대문으로 행진하다가 무장경찰의 발포로 해산되었고, 이 과정에서 권투선수 한 명이 사망했다. 같은 날 종로 5가에서도 시위가 발생하고 서울역에서 폭탄이 터졌다.[62] 11월 2일에도 남대문 앞에서 시위가 있었다.
인천, 연백, 장단 지역에서도 시위와 습격이 잇따랐으며, 10월 20일에서 22일 사이에 사건이 발생했다. (인천 제외)
강원도에서는 횡성에서 수천 명의 군중이 경찰서를 습격했고, 묵호에서는 시위 조사 중 사망자가 발생하자 주민들이 경찰지서 등을 공격해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강릉에서는 경찰이 구타당하고 통신이 두절되었으며, 평창에서는 무기를 든 좌익 세력과 경찰이 충돌했다. 삼척에서는 광산을 둘러싸고 좌우익 간의 소요가 있었다. 강원도에서는 주로 동해안 부근에서 사건이 일어났다.
10월 말, 전남에서 사건이 시작되었다. 10월 30일 화순 광부들이 광주로 행진을 시도했고, 다음 날 부녀자와 아이들까지 동참했으나 미군의 설득으로 중단되었다. 11월 4일, 광부들은 도로와 다리를 막고 군경의 지프차를 전복시키며 격렬하게 저항했다.[64]
무안에서는 좌익 청년 단체원 50여 명이 경찰지서를 습격하여 7명이 사망했다. 일로에서는 군중이 경찰을 공격했고, 목포에서는 학생과 노동자들이 파출소를 불태우고 경찰서를 공격하여 야간 통행금지령이 선포되었다.[65]
광주에서는 파업 참여자들과 학생들이 시위를 벌여 학교가 휴교했다. 함평과 영광에서도 군중과 경찰 간의 충돌이 있었다.[66]
나주 지역의 사건은 화순과 함께 전라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격렬했다. 5000여 명의 군중이 나주 진입을 시도했고, 경찰의 총격으로 10명이 사망했다. 11월에는 8000여 명의 군중이 집결하여 미군을 저지하고 각 경찰지서를 공격했다. 보성에서는 면장과 마을 유지, 우익 청년단원들이 공격당했고, 벌교, 장흥, 해남, 강진, 영암에서도 11월과 12월에 걸쳐 작은 사건들이 여러 번 발생했다.
전북에서는 남원과 순창에서만 작은 규모의 사건이 발생했고, 전주에서 경찰의 발포[67]로 대구 10.1 사건은 종결되었다.
4. 1. 충청도
경상도에서 시작된 사건은 충청도로 확산되었다.[27] 충청도에서는 주로 북서부 지역에서 사건이 발생했다. 10월 4일과 7일에는 충북에서, 10월 17일부터 19일 사이에는 충남에서 민간인 소요가 발생했다.[13]10월 17일 당진에서 경찰서가 공격당하고 공공시설 점거, 통신선 절단, 교량 폭파가 일어남을 시작으로 충남 서북부는 사건에 휘말리게 되었다. 홍성에서는 쌀과 토지를 달라고 시위를 벌이는 군중을 향해 경찰이 무차별 발포하여 4명이 죽었다. 예산, 선산, 천안에서도 소요사태가 발생해 경찰과 우익세력을 위협했다.[28]
충북에서는 비교적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다. 청주에서 경찰 1명이 죽고, 영동군에서 300~400여 명의 군중이 경찰서를 습격하려 했으나 실패한 정도였다. 충북 지역에서 사건이 이렇게 미미했던 까닭은 충북의 중심지인 청주가 온건 성향의 좌익이 꽤 우세했었기 때문이었다. (일부 온건세력은 "극단적인 공산주의자는 용납되지 못함"이라는 전단을 뿌리기도 했으며 실제로 극단주의자를 탈퇴시키기도 했다.)[29]
4. 2. 서울, 경기도, 황해도, 강원도
경기도 광주에서는 경찰을 살해하고 경찰서를 불태우는 투쟁을 벌였다. 개풍에서는 경찰서장이 피살되고 대부분의 지서가 이틀에 걸쳐서 습격당했다.[61] 파주에서는 폭동이 계획되다가 사전발각되어 주동자들이 전원 체포되었다.서울에서도 시위가 발생했다. 3일 1200여 명의 군중이 학생들과 합세해 노래를 합창하며 시청 앞에서 시위를 벌였고, 21일 정오에는 2000여 명이 종로네거리에 모여 동대문으로 전진했다. 그러나 기독교 청년회관 앞에서 무장경찰대의 집단발포로 해산당했고, 그 부근을 지나가던 권투선수 한 명이 피살당했다. 그날 종로 5가에도 시위가 발생하고 서울역에는 폭탄이 터졌다.[62] 11월 2일에도 남대문 앞에서 시위가 전개되었다.
그 외에도 인천, 연백, 장단 지역에서도 시위와 습격이 잇따랐고, 10월 20일에서 22일 사이에 사건이 발생했다. (인천 제외)
강원도에서는 횡성에서 수천 명의 군중들이 경찰서를 습격했고, 묵호에서는 시위를 조사하던 도중 사망자가 나자 주민들이 경찰지서 등을 공격해 다수의 사망자가 또 발생했다. 강릉에서도 경찰이 구타당하고 통신이 두절되었으며, 평창에서는 무기를 든 좌익 세력들과 경찰과의 충돌이 발생했다. 삼척에서는 광산을 이유로 좌우익 간의 소요가 일어났다. 강원도의 사건은 동해안 부근에서 사건이 주로 일어났다는 것이 특징이다.
4. 3. 전라도
10월 말, 전남에서 사건이 시작되었다. 10월 30일 화순지구 광부들이 광주를 향해 행진을 시도했고, 다음 날인 31일에도 부녀자와 아이들까지 동참했으나 미군의 설득으로 중단되었다. 그러나 11월 4일, 광부들은 도로와 다리를 막고 군경의 지프차를 전복시키며 돌과 탄환을 날리는 등 격렬하게 저항했다.[64]무안에서는 좌익 청년 단체원 50여 명이 경찰지서를 습격하여 7명이 사망했다. 일로에서는 군중이 경찰을 공격했고, 목포에서는 학생과 노동자들이 파출소를 불태우고 경찰서를 공격하여 야간 통행금지령이 선포되었다.[65]
광주에서는 파업 참여자들과 학생들이 시위를 벌여 학교가 휴교했다. 함평과 영광에서도 군중들과 경찰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66]
나주 지역의 사건은 화순과 함께 전라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격렬했다. 5000여 명의 군중이 나주 진입을 시도했고, 경찰의 총격으로 10명이 사망했다. 11월에는 8000여 명의 군중이 집결하여 미군을 저지하고 각 경찰지서를 공격했다. 보성에서는 면장과 마을 유지, 우익 청년단원들이 공격당했고, 벌교, 장흥, 해남, 강진, 영암에서도 11월과 12월에 걸쳐 작은 사건들이 여러 번 발생했다.
전남과 달리 전북에서는 남원과 순창에서만 작은 규모의 사건이 발생했고, 전주에서 경찰의 발포[67]로 대구 10.1 사건은 종결되었다.
5. 피해
10·1 사건의 정확한 피해 규모는 기록 미비로 알려지지 않았고, 2차 피해를 우려한 참가자들의 신고도 적어 피해 상황은 명확히 추산할 수 없다.[33] 대구를 포함한 경상북도 지역에서만 사망자가 공무원 63명, 일반인 73명으로 총 136명인 것으로 발표되었다. 역시 경북 지역에서만 관청 건물 4동과 일반 건물 6동이 불에 타 전소되기도 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체포된 사람은 수천 명에 이르렀다.[68]
10·1 사건이 전국적인 시위로 확대되면서 경찰만으로는 이를 진압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미군과 대한민국 국방경비대를 비롯한 반공 우익 인사들의 지원이 필요했고, 각 지역에서는 한국민주당, 대한청년단, 서북청년회, 백의사 등도 동원되었다. 그 결과, 대한청년단, 백의사, 서북청년단 등 여러 반공 우익 단체 관련자들이 시위에 참여한 좌익 세력을 체포한다는 명목으로 테러 또는 재산 피해를 반복적으로 가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일부 좌익과 민간인들은 산으로 도피하기도 했다.)[32]
한 보고서에 따르면, 경상북도의 총 피해액은 4억원에 달했다. 경비대(경찰 보조원 및 자율 방위대)를 포함한 경찰 측의 사상자는 사망 80명, 실종 145명, 피랍 96명으로 집계되었다. 우익 및 민간인 측의 피해는 사망 24명, 부상 41명, 피랍 21명으로 집계되었다.[34]
6. 당대의 반응
소련군정의 스티코프의 일기에 따르면, 9월 총파업에 관한 명령과 자금이 개입되었다고 작성되었다. 1946년 남한을 뒤흔들었던 9월 총파업 당시 북한의 소련군정은 조선공산당 측에 200만 엔을, 이어 발생한 10월 대구폭동 기간 중에도 세 차례 추가 자금(300만 엔 이상)을 지원했으며, 파업 투쟁에 대한 행동 지침까지 지시했다.[43]
이 사건은 역사적 관점에 따라 10·1 사건, 10월 봉기, 영남 폭동, 10월 폭동 등 다양하게 불린다. 옹호하는 입장에선 10월 봉기, 비판적인 입장에선 영남 폭동 및 10월 폭동, 중립적인 입장에선 10·1 사건이라고 부른다. 조선공산당의 선동과 주도성을 강조하는 시각에서는 10월 폭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거에는 여러 용어가 혼용되었으며, 공식적으로는 보다 중립적인 10·1 사건이라는 용어로 지칭되었다.[11][12]
6. 1. 박헌영과 조선공산당의 평가
박헌영은 이 사건을 '10월 인민항쟁'으로 부르며, 동학농민운동, 3.1 운동과 함께 조선의 3대 위대한 인민항쟁으로 평가했다.[69] 조선공산당은 공식적으로 시위를 선동한 적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지역의 공산당원들은 읍면마다 터진 시위대의 맨 선두에 서서 싸우다가 죽거나 감옥으로 끌려갔다.[69]6. 2. 우익 세력의 비판
한국민주당은 '이번 파업 투쟁은 박헌영 일파의 모략 선동에 기인한 것'이라며 맹비난했다.[69]6. 3. 좌익 내부의 비판
조선공산당을 제외한 좌익 계열 9개 정당 대표들(정백, 이영)은 긴급 회동을 갖고 이번 싸움이 박헌영의 공산당이 벌인 모험주의라며 격렬히 비난했다.[69]6. 4. 좌우합작 세력의 양비론
여운형과 김규식은 10월 말 미군정청 브라운 소장과의 회담에서 "'10·1 폭동'이 경찰에 대한 반감, 군정 내 친일파의 존재, 일부 한국인 관리의 부패, 파괴분자들의 선동 탓에 일어났다"고 군정청을 비판했다. 이들은 '대구폭동'이 미군정의 정책 파탄에 따른 한국 민간인의 불만에서 비롯된 것이긴 하지만, 사태를 살육과 파괴로 몰고 간 책임은 '신전술'로 과격한 투쟁 노선으로 기울어 잘못된 정책을 채택한 조선공산당에 있다고 주장했다.[70] 김규식은 "이러한 행동들은 국제적으로 조선 민족의 위신을 떨어뜨려 독립을 방해하는 결과를 가져올 뿐"이라며 자제를 촉구했다.[71]6. 5. 최능진의 증언
1946년 10월 24일 덕수궁 한미공동회담에 참석한 최능진 수도경찰청 국장은 "대구폭동은 공산주의자들의 책동에 의한 불행한 사건이다. 그러나 그 원인은 우리 경찰 내부에도 있다. 국립경찰은 친일경찰과 부패 경찰관들의 피난처가 되었다"라고 말했다. 이는 당시 10월 사건의 이유 중 하나였던 친일 경찰의 실태를 경찰 스스로 증언한 것이었다.[72]7. 의의 및 영향
10·1 사건은 해방 이후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사건이다. 미군정 하에서 발생한 최초의 대규모 민중 봉기로, 해방 직후 한국 사회의 혼란과 좌우익 갈등의 심화를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10·1 사건은 미군정의 식량 정책 실패와 친일 경찰 채용에 대한 불만, 그리고 조선공산당의 선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특히, 미군정의 강압적인 쌀 공출 정책은 농민들의 불만을 증폭시켰고, 이는 대구에서 시작된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74] 미군정은 10월 항쟁의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대구 지역 저명인사 19명을 인터뷰했는데, 그들은 군정의 양곡 수집 정책, 비효율적인 쌀 배급, 공출 과정에서 경찰의 잔인한 수법, 배급 과정에서 경찰과 관리의 부정부패 등을 지적했다.[74]
이 사건은 미군정의 정책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군정은 좌우합작 노선을 추진했으나, 10·1 사건 이후 민족 정책으로 전환하게 되었다.[37] 또한, 미소공동위원회가 붕괴되는 상황 속에서 발생한 이 사건은 좌익 세력의 약화와 우익 세력의 강화를 초래했다.[16]
봉기 발생 후, 미군정과 중도주의 세력은 한미 공동 회담을 개최하여 봉기의 원인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했다. 회담에서는 경찰에 대한 민중의 적대감, 군정 내 친일파의 존재, 일부 한국 관리의 부패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고, 군정 내 친일파 처벌이 권고되었다. 봉기 결과, 좌익 세력의 역량이 크게 약화된 반면, 우익 세력은 조직을 결성하고 역량을 강화했다.[16]
10·1 사건은 1946년 5월 남조선 전역에 콜레라가 유행하고, 수해와 강제 징발로 쌀값이 폭등하는 상황에서 발생했다.[38] 9월부터 시민들의 항의 시위가 벌어졌고, 10월 1일 대구부청 앞에서 열린 시위에 경찰이 발포하여 시민을 사살했다. 이에 10월 2일 미군이 계엄령을 선포했고, 남조선 전역에서 230만 명이 참가하는 소요 사태가 발생했다.[38] 미군, 남조선 국방경비대, 경찰, 우익 단체가 투입되어 진압 과정에서 136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사건 이후, 남조선인의 미군에 대한 지지가 사라지고, 공산주의 단체에 대한 지지가 강해졌다.[38]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이 사건은 억압받는 민중들의 정당한 요구가 무참히 짓밟힌 비극적인 사건으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사건에 대한 진상 규명과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참조
[1]
뉴스
[Editorial] We must properly understand and define the 1946 Daegu uprising
http://english.hani.[...]
Hankyoreh
2013-04-16
[2]
논문
U.S. policy in Korea 1945–1948: A Neo-colonial model takes shape
http://dx.doi.org/10[...]
1973
[3]
논문
Colonial Legacies and the Struggle for Social Membership in a National Community: The 1946 People's Uprisings in Korea
http://dx.doi.org/10[...]
2011
[4]
서적
Asia's Unknown Uprisings: South Korean Social Movements in the 20th Century
PM Press
[5]
웹사이트
p. 117. Retrieved 26 March 2021
http://www.mitpressj[...]
2021-03-26
[6]
웹사이트
Special Project – Having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Korea's Modern History
http://www.champyung[...]
Pyungkangcheil Church
2013-04-18
[7]
서적
Korea: Division, Reunification, & U.S. Foreign Policy
https://archive.org/[...]
Monthly Review Press
[8]
서적
Pathways From The Periphery: The Politics Of Growth In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new Asian industrialism
Cornell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Korean War in World Histor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1]
논문
1946년 10월 대구·영남 사건의 명명 작업과 그것의 정치성: 사건·사태, 소요·소동, 민요·민란을 중심으로
https://www.kci.go.k[...]
2019
[12]
논문
지역의 목소리 : 대구와 10월항쟁, -"10,1사건을" 을 보는 눈, 폭동에서 항쟁으로
http://www.papersear[...]
2004
[13]
논문
농민항쟁의 측면에서 본 1946년 10월사건 경북 영천의 사례연구
http://www.papersear[...]
2011
[14]
논문
1945~1946년 대구지역 좌파세력의 국가건설 운동과 '10월 인민항쟁'
https://www.dbpia.co[...]
2004
[15]
논문
1946년 9월총파업과 10월항쟁의 상호 융합, 운동의 급진화
https://www.dbpia.co[...]
2006
[16]
웹사이트
대구십일사건(大邱十一事件)
http://encykorea.aks[...]
[17]
서적
박헌영 평전
Silcheonmunhagsa
[18]
논문
10월, 대구 대항쟁
https://www.dbpia.co[...]
2019
[19]
서적
박헌영 평전
Silcheonmunhagsa
[20]
뉴스
The expansion of cases in Daegu is caused by fratricide and people's livelihoods.
http://viewer.nl.go.[...]
1946-11-01
[21]
논문
비화: 북조선 노동당과 대구 10월 폭동
http://scholar.dkyob[...]
1994
[22]
서적
(다시 쓰는) 한국현대사. 1
dolbegae
[23]
서적
10월 인민항쟁연구
https://books.google[...]
열음사
[24]
서적
10월 인민항쟁연구
https://books.google[...]
열음사
[25]
서적
10월 항쟁 – 1946년 10월 봉인된 시간속으로
돌베개
2016
[26]
서적
10월 인민항쟁연구
https://books.google[...]
열음사
[27]
서적
1面으로 보는 근현대사-02
서해문집
[28]
서적
10월 인민항쟁연구
https://books.google[...]
열음사
[29]
서적
10월인민항쟁연구
https://books.google[...]
열음사
1988
[30]
서적
10월 인민항쟁연구
https://books.google[...]
열음사
[31]
서적
10월 인민항쟁연구
https://books.google[...]
열음사
[32]
서적
10월 인민항쟁연구
https://books.google[...]
열음사
[33]
논문
한국전쟁 전 대구경북지역의 민간인학살사건의 실태와 특징 – 제4대국회「양민학살사건진상조사보고서」의 기록을 중심으로
https://www.dbpia.co[...]
2011
[34]
논문
기억의 역사, 망각의 역사 – 제주 4ㆍ3사건과 대구 10ㆍ1사건을 중심으로
http://www.earticle.[...]
2009
[35]
서적
박현영 평전
Silcheonmunhagsa
[36]
웹사이트
좌우익 대결에서 친일경찰 항쟁으로 이어진 대구 10·1사건
http://shindonga.don[...]
2006-03-01
[37]
논문
대구의 역사 갈등과 역사화해
http://scholar.dkyob[...]
2020
[38]
뉴스
주린배 움켜쥔 소시민들의 저항운동(餓えた腹を握りしめた小市民たちの抵抗運動)
http://idaegu.com/in[...]
2007-02-08
[39]
뉴스인용
10월, 역사 뒤의 숨은 진실을 재조명하다
http://www.knun.net/[...]
경북대신문
2006-10-04
[40]
간행물
민주중보
[41]
문서
군정기 시절 경찰은 '국립경찰'이라고 불리었다.
[42]
Youtube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
[43]
뉴스인용
모두 소련지시-소련자금이었다, 총파업-대구폭동진실
http://www.newdaily.[...]
뉴데일리
2011-06-02
[44]
문서
당시 박헌영은 미군정의 체포령을 피해 비밀리에 월북, 해주에 있다가 소련을 방문하였다.
[45]
서적
박헌영 평전
[46]
웹사이트
이관술을 사슬에 채운 때 벌어진 9월 총파업과 박헌영 월북
http://m.usjournal.k[...]
[47]
뉴스인용
[대구] 10월 사건 거리순례 및 추모제 개최 - 잰걸음 내딛는 대구의 10월 사건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6-10-02
[48]
서적
박헌영 평전
[49]
웹사이트
손가락 까딱하면 "타당"... 박정희 대통령 형마저도
http://www.ohmynews.[...]
[50]
서적
박헌영 평전
실천문학사
[51]
뉴스
독립신보
1946-11-01
[52]
서적
The origin of the Korean War
CIC report
[53]
서적
10월 인민항쟁 연구
[54]
웹사이트
독립운동가 '박상희' 선생 재조명을 기대한다
http://www.pn.or.kr/[...]
[55]
웹사이트
독립운동가 열전 <삶과 넋> 62 박정희 셋째 형, 경북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박상희
https://www.labortod[...]
[56]
서적
G-2 Periodic Report
USAFIK
[57]
서적
G-2 Weekly Summary No.57
USAFIK
[58]
서적
폭풍의 10월
한길사
1990
[59]
서적
10월 인민항쟁
세계
1986
[60]
서적
10월 인민항쟁 연구
[61]
뉴스
조선일보, 서울신문
[62]
서적
G-2 Weekly Summary No.59
USAFIK
[63]
서적
G-2 Weekly Summary, No.59
USAFIK
[64]
서적
G-2 Weekly Summary, No.61
USAFIK
[65]
뉴스
서울신문, 영남일보
1946-11-05
[66]
서적
G-2 Periodic Report, No.381
USAFIK
[67]
문서
좌익청년단체가 합법적으로 집회를 열었으나 집회시간을 조금 넘긴 것을 이유로 경찰이 군중을 한쪽으로 몰아놓고 발포해 6명이 죽었다
[68]
서적
세대
[69]
서적
박헌영 평전
[70]
웹인용
<신동아> 2006년 3월호. -좌우익 대결에서 친일경찰 항쟁으로 이어진 대구 10·1폭동-
http://shindonga.don[...]
2010-09-14
[71]
서적
박헌영 평전
[72]
방송
인물현대사
KBS
[73]
뉴스
폭동 아닌 항쟁이 있었다, 70년前 대구의 오늘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74]
뉴스
미군정은 왜 일제도 안 했던 하곡 공출을 강행했나
https://www.hani.co.[...]
한겨레
[75]
서적
박헌영 평전
실천문학사
[76]
구술증언
박갑동 구술 증언
2010-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팩트체크]윤석열 옹호 영화 ‘힘내라 대한민국’···역사적 사실이 담겼을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