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연맹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전쟁 방지 및 평화 유지를 목표로 설립된 국제 기구이다.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의 평화 원칙에 따라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총회, 이사회, 상설 사무국을 주요 조직으로 했다. 미국, 소련 등 주요 국가들의 불참, 만장일치제 의사 결정 방식, 집단 안보 체제의 한계 등으로 인해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본, 독일, 이탈리아 등 주요 국가들의 탈퇴와 함께 영향력이 약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기능을 상실했으며, 1946년 해체되고 자산은 국제 연합으로 이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연맹 - 리튼 조사단
리튼 조사단은 만주사변의 원인과 국제연맹의 대응을 조사하기 위해 국제연맹이 파견한 조사단으로, 만주국이 일본의 조종에 의한 것임을 밝힌 리튼 보고서를 작성하여 국제연맹의 만주국 불승인 계기가 되었으나 일본의 국제연맹 탈퇴를 야기했다. - 국제연맹 - 난센 국제 난민 사무소
프리초프 난센의 난민 구호 사업을 계승하여 국제 연맹에 의해 설립된 난센 국제 난민 사무소는 난민 보호와 지원, 아르메니아인 난민 정착 지원, 1933년 난민 협약 채택 등에 기여하여 1938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곧 해산되어 국제 연맹의 새로운 난민 기구에 통합되었다. - 1920년 설립된 단체 - 대한체육회
대한체육회는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 스포츠 단체로, 국내 대회를 개최하고 가맹 경기 단체를 육성하며 국제 종합 경기에 관한 사업을 수행한다. - 1920년 설립된 단체 - 국민협회
국민협회는 1920년 민원식 주도로 설립되어 신일본주의를 내세우며 조선인의 일본 제국 내 참정권과 자치권을 요구했으나, 조선총독부의 지원 의혹, 민원식 암살 사건, 내부 분열, 자금난 등으로 친일 행적 논란 속에 조선 사회의 정치적 상황과 민족 운동 이해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 - 독일 11월 혁명
독일 11월 혁명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직후 독일 제국에서 발생하여 군주제를 무너뜨리고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진 혁명으로,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 러시아 혁명의 영향, 군부의 붕괴 등이 배경이 되었다. -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 - 베르사유 조약
베르사유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을 위해 1919년 독일과 연합국이 체결한 강화 조약으로, 독일에게 가혹한 조항들을 부과하여 반발을 일으켰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으며 국제 연맹 설립을 규정했다.
국제연맹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국제 연맹 |
프랑스어 명칭 | Société des Nations |
로마자 표기 | Gukje Yeonmaeng |
영어 명칭 | League of Nations |
![]() | |
![]() | |
본부 위치 | 제네바 |
공용어 | 프랑스어, 영어 |
설립 | 1920년 1월 10일 |
해체 | 1946년 4월 18일 |
이전 조직 | 유럽 협조 체제 |
후계 조직 | 국제 연합 |
본부 위치 설명 | "a" 본부는 1920년 11월 1일부터 스위스 제네바의 윌슨 궁전에 있었고, 1936년 2월 17일부터는 제네바에 있는 특별히 지어진 국제 연맹 본부에 있었다. |
지도자 | |
사무총장 | 에릭 드러먼드 경 (1920–1933) 조제프 아베놀 (1933–1940) 숀 레스터 (1940–1946) |
사무차장 | 장 모네 (1919–1923) 조제프 아베놀 (1923–1933) 파블로 데 아스카라테 (1933–1936) 숀 레스터 (1937–1940) 프랜시스 폴 월터스 (1940–1946) |
역사 | |
첫 번째 회의 | 1920년 1월 16일 |
조약 발효 | 베르사유 조약이 발효됨 |
추가 정보 | |
관련 정보 | 국제 기구 |
기타 |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있었던 국제 기관 |
2. 역사적 배경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국제적인 조직에 대한 구상이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여론의 지지를 얻기 시작했다. 1914년, 영국의 정치학자 골즈워디 로즈 디킨슨은 "League of Nations"(국제연맹)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그 조직화를 위한 계획을 세웠다. 디킨슨은 브라이스 경과 함께 국제적인 평화주의자들의 모임 설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46]
1915년, 미국에서는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등이 평화 집행 연맹을 설립했다.[149] 이 조직은 분쟁 해결에는 중재를 이용하고, 공격적인 국가에는 제재를 가하는 것을 제창했다. 영국의 패비안 협회는 강대국을 중심으로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평의회"와 각종 활동에 대한 국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상설 사무국"의 설치를 처음으로 주장했다.[150]
연합국의 지도자인 영국과 중립국인 미국에서는 1916년까지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통일적인 국제기구를 설계하기 위한 장기적인 생각이 시작되고 있었다. 로이드 조지는 우드로 윌슨으로부터 전후 상황을 고려한 입장을 표명하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이러한 조직의 설립을 지지했다. 윌슨 자신도 1918년 1월에 발표한 "14개조 평화 원칙" 안에 "평화와 정의를 확보하기 위한 국가 동맹"을 포함시켰다. 영국의 발푸어 외무장관은 영속적인 평화의 조건으로서 국제적 제재 조치를 고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1]
1918년 초 영국의 발푸어 외무장관은 로버트 세실 경의 주도로 이 문제에 대한 최초의 공식 보고서를 요청했다. 이어 영국의 필리모어 위원회가 1918년 2월에 임명되었다.[146] 필리모어 위원회는 분쟁을 중재하고 위반 국가에 제재를 가하는 "연합국 회의"를 설립하는 것을 제안했고, 이는 영국 정부에 승인되었다. 위원회의 성과 상당수는 후에 국제연맹규약에 담겼다.[153] 프랑스도 1918년 6월에 더 광범위한 제안을 작성했는데, 그 안에서는 모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평의회의 연례 회의와 그 결정을 집행하기 위한 국제군이 제창되었다.[153]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에드워드 하우스 대령에게 자신의 이상주의적인 생각과 필리모어 위원회의 활동을 반영한 미국의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 불복종하는 국가에 대한 강제 수단으로는 가혹한 조치가 포함되었다.[153]
국제연맹규약의 기초는 주로 영국의 정치가 로버트 세실 경과 남아프리카의 정치가 얀 스무츠가 작성했다.[155] 스무츠는 강대국을 상임 이사국, 소국을 비상임 이사국으로 하는 이사회의 설립과 중앙 연합국의 식민지 위임 통치 제도의 설립을 제안했다. 세실은 행정 면에 중점을 두고, 연 1회의 이사회와 4년에 1회의 모든 가맹국에 의한 의회를 제안했다. 또한 연맹의 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대규모 상설 사무국을 설치할 것을 주장했다.[153][156][157]
2. 1. 초기 구상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나라가 하나의 조직을 만들려는 생각은 오래전부터 있었다. 중세 중엽부터 말엽까지 봉건영주 사이의 전쟁을 방지하기 위해 기독교적인 유럽 연대의 관념을 기초로 하는 몇 가지 국제기구를 계획한 바 있었다. 1461년에 보헤미아의 왕 이르지 스 포데브라트가 제기한 마리니의 계획이나, 프랑스 왕 앙리 4세가 1603년에 주창한 슈리 계획 등은 실제로 군주가 제기하여 여러 국가 간 교섭의 대상이 되었으나 실현되지는 못했다.[237] 18세기에 들어와 칸트의 '영구평화론'과 같은 평화유지를 위한 국제기구의 플랜이 제기되었으나, 당시의 국제관계가 발달되지 못했고, 국제기구의 성립을 가능하게 할 만한 정치적·경제적인 조건들이 성숙하지 못하여 실현되지 못했다.[237]19세기 후반, 자본주의 경제의 발전과 함께 여러 국가 간의 교통과 거래가 발달함에 따라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만국우편연합(UPU)과 같은 행정적·기술적인 목적을 갖는 국제 기구가 다수 탄생하게 되었다.[237] 국제 기구는 아니었으나 평화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 협력 기구로서 1815년에 성립한 신성동맹[238]과 1899년의 헤이그 평화 회의[239]에서 설립된 상설중재재판소가 있었다.[237]

국가 간 평화로운 공동체라는 개념은 1795년 이마누엘 칸트의 『영구평화론』[10]에서 국가 간 갈등을 통제하고 평화를 증진하기 위한 국제 연맹의 개념이 제시되면서부터 등장했다. 칸트는 세계 정부가 아닌, 각 국가가 시민을 존중하고 외국 방문객을 동료로 환영하는 자유 국가로 선언함으로써 평화로운 세계 공동체의 수립을 주장했다.[11] 집단 안보를 증진하기 위한 국제 협력은 19세기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 국가 간의 현상 유지를 위한 유럽 연합 콘서트에서 시작되었다.[12]
1910년까지 국제법은 발전하여, 최초의 제네바 협약은 전시 인도적 구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고, 국제 헤이그 협약은 전쟁 규칙과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규정했다.[13] 테오도르 루즈벨트는 1910년 노벨 평화상 수상 연설에서 "진정으로 평화를 원하는 강대국들이 평화 동맹을 결성한다면 그것은 매우 현명한 일일 것이다."라고 말했다.[14]
국제 연맹의 소규모 전신 중 하나인 국제 의회 연맹(IPU)은 1889년 윌리엄 랜덜 크리머와 프레드릭 파시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14년까지 의회가 있는 24개국 의원의 3분의 1이 IPU 회원으로 활동했다. IPU의 기본 목표는 정부가 평화적인 수단으로 국제 분쟁을 해결하도록 장려하는 것이었다. IPU의 구조는 의장이 이끄는 평의회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후에 국제 연맹의 구조에도 반영되었다.[15]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국제 기구에 대한 최초의 계획들이 영국과 미국에서 상당한 대중적 지지를 얻기 시작했다. 영국의 정치학자 골즈워디 로우스 디킨슨은 1914년에 "국제 연맹"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조직 계획을 작성했다. 그는 브라이스 자작과 함께 브라이스 그룹의 설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6] 디킨슨은 1915년 소책자 ''전쟁 후''에서 그의 "평화 연맹"을 본질적으로 중재와 조정을 위한 조직이라고 썼다. 브라이스 그룹의 제안은 영국과 미국 모두에서 널리 배포되었으며, 신생 국제 운동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17]
1915년 1월, 제인 애덤스가 주도하는 평화 회의가 미국에서 열렸다. 대표들은 평화와 군축을 위해 노력하는 "영구 중립국 연맹"을 개발하기 위해 국제 기구의 설립을 촉구하는 강령을 채택했다.[18] 몇 달 만에 헤이그에서 국제 여성 회의 개최가 요청되었다. 이 회의의 결과로 여성 국제 평화 자유 연맹(WILPF)이 설립되었다.[19]
1915년, 미국에는 전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가 이끄는 평화 집행 연맹이 설립되었다.[21] 이 단체는 분쟁 해결에 중재를 사용하고 공격적인 국가에 제재를 부과하는 것을 주장했다. 영국의 패비안 협회를 제외하고는 국제 기구를 사법 재판소로 제한하는 법률적 접근 방식을 유지했다. 패비안들은 세계 문제를 심판할 국가들의 "이사회"와 국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상설 사무국 설립을 최초로 주장한 사람들이었다.[22]
제1차 세계 대전의 외교사 과정에서 양측 모두 장기적인 전쟁 목표를 명확히 해야 했다. 1916년까지 영국과 미국에서 장기적인 사상가들은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통합된 국제 기구를 설계하기 시작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가 우드로 윌슨에게 전후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의 입장을 밝히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그러한 기구를 지지했다. 윌슨 자신도 1918년 1월 그의 14개 조항에 "평화와 정의를 보장하기 위한 국제 연맹"을 포함시켰다. 영국의 외무장관 아서 밸푸어는 지속적인 평화의 조건으로 "국제법 뒤에 그리고 적대 행위를 예방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모든 조약 배열 뒤에 가장 용감한 침략자에게도 잠시 주저하게 만드는 일종의 국제 제재를 고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3]
전쟁은 유럽의 사회, 정치 및 경제 시스템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24] 1917년 2월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었고, 그 뒤를 이어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및 오스만 제국이 붕괴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모든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전쟁"으로 묘사되었으며,[25] 그 원인이 활발하게 조사되었다. 제안된 해결책 중 하나는 군축, 공개 외교, 국제 협력, 전쟁을 수행할 권리 제한 및 전쟁을 매력적이지 않게 만드는 처벌을 통해 미래의 전쟁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제 기구를 만드는 것이었다.[26]
런던에서 밸푸어는 1918년 초 로버트 세실 경의 주도로 이 문제에 대한 최초의 공식 보고서를 의뢰했다. 영국 위원회는 1918년 2월에 임명되었다. 이 위원회는 월터 필리모어가 이끌었으며(필리모어 위원회로 알려짐) 아이어 크로, 윌리엄 티렐 및 세실 허스트도 포함되었다.[16] 필리모어 위원회의 권고 사항에는 분쟁을 중재하고 위반 국가에 제재를 부과하는 "연합국 회의"를 설립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이 제안은 영국 정부의 승인을 받았으며, 위원회 결과의 상당 부분은 나중에 국제 연맹 조약에 통합되었다.[24]
프랑스 당국도 1918년 6월에 훨씬 더 광범위한 제안을 작성했는데, 그들은 모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이사회의 연례 회의와 그 결정을 집행하기 위한 "국제군"을 주장했다.[24]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에드워드 M. 하우스에게 윌슨 자신의 이상적인 견해(1918년 1월 14개 조항에서 처음으로 설명됨)와 필리모어 위원회의 작업을 반영하는 미국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 하우스의 작업과 윌슨 자신의 초안 결과는 스파이 활동과 부정직과 같은 "비윤리적인" 국가 행위의 종식을 제안했다. 반항적인 국가에 대한 강제 방법에는 "그 국가의 국경을 전 세계 어느 곳과의 상업이나 교류에서 차단하고 봉쇄하고 필요한 모든 힘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엄격한 조치가 포함될 것이다.[24]
국제 연맹 조약의 두 주요 초안 작성자는 영국의 정치가인 로버트 세실 경과 남아프리카의 국무총리 얀 스무츠였다. 스무츠의 제안에는 강대국으로 구성된 이사회를 상임 이사국으로 하고 소국을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그는 전쟁 중 중앙국의 점령지에 대한 위임 통치 시스템을 설립하는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세실은 행정 측면에 중점을 두고 연례 이사회 회의와 모든 회원국의 총회를 4년에 한 번씩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또한 국제 연맹의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대규모 상설 사무국을 주장했다.[24][27][28]
2. 2. 19세기 후반의 발전
19세기 후반, 자본주의 경제가 발전하면서 여러 나라 간의 교통과 거래가 활발해졌다. 이에 따라 1865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만국우편연합(UPU)과 같이 행정적·기술적인 목적을 가진 국제 기구들이 많이 생겨났다.[237] 국제 기구는 아니지만,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국제 협력 기구로 1815년에 성립한 신성동맹[238]과 1899년 헤이그 평화 회의[239]에서 설립된 상설중재재판소가 있었다.[237]국가 간 평화로운 공동체라는 개념은 1795년 이마누엘 칸트의 『영구평화론』[10]에서 국가 간 갈등을 통제하고 평화를 증진하기 위한 국제 연맹의 개념이 제시되면서 등장했다. 칸트는 각 국가가 시민을 존중하고 외국 방문객을 동료로서 환영하는 자유 국가로 선언함으로써 평화로운 세계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11]
19세기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 국가 간의 현상 유지를 유지하고 전쟁을 피하기 위한 유럽 연합 콘서트[12]에서 집단 안보를 위한 국제 협력이 시작되었다. 1910년까지 국제법이 발전하여, 최초의 제네바 협약은 전시 인도적 구호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고, 국제 헤이그 협약은 전쟁 규칙과 국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규정했다.[13] 테오도르 루즈벨트는 1910년 노벨 평화상 수상 연설에서 "진정으로 평화를 원하는 강대국들이 평화 동맹을 결성한다면 그것은 매우 현명한 일일 것이다."라고 말했다.[14]
국제 연맹의 소규모 전신 중 하나인 국제 의회 연맹(IPU)은 1889년 윌리엄 랜덜 크리머와 프레드릭 파시에 의해 설립되었다. 1914년까지 의회가 있는 24개국 의원의 3분의 1이 IPU 회원으로 활동했다. IPU는 정부가 평화적인 수단으로 국제 분쟁을 해결하도록 장려했고, 연례 회의를 통해 국제 중재 과정을 개선하고자 했다. IPU의 구조는 의장이 이끄는 평의회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훗날 국제 연맹의 구조에 반영되었다.[15]
3. 국제연맹의 설립 및 경위
국제연맹은 국제 협력을 촉진하고 국제 평화 및 안전을 유지한다는 목적을 가진 최초의 국제 기구였다. 국제연맹 규약은 회원국이 전쟁에 호소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것을 명시했다. 또한, 평화 유지를 위해 군비 축소의 필요성을 승인하고, 연맹 총회는 적용이 불가능하게 된 조약의 재심의와 국제 평화를 위태롭게 할 상태에 대한 심의를 회원국에게 요구했다. 연맹 규약을 무시하고 전쟁에 호소한 회원국에 대해서는 다른 모든 회원국이 경제 제재를 할 것을 규정했고, 군사적 제재 가능성도 예정했다.[237]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우드로 윌슨, 세실, 얀 스무츠는 모두 초안을 제출했다. 협상 끝에 허스트–밀러 초안이 조약의 기초가 되었고,[34] 1919년 1월 25일 국제 연맹(Société des Nations|프랑스어 발음프랑스어, Völkerbund|독일어 발음de) 설립 제안이 승인되었다. 최종 국제 연맹 조약은 특별 위원회에서 작성되었으며, 국제 연맹은 1919년 6월 28일에 체결된 베르사유 조약 제1부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러나 연맹 규약은 많은 허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연맹 자체가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에 대한 전승국의 전후 처리 문제 등을 유리하게 이끌고 나가려는 기구로서의 구실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독일, 이탈리아, 일본 제국 등의 파시즘·군국주의의 침략 정책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고,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국제연맹은 붕괴되고 말았다.[237]
국제연맹은 군대를 조직하는 등의 군사적 제재를 내릴 수 없었으며, 경제적 제재를 내리는 것에 그쳤다. 이로 인해 국제 분쟁 해결에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그렇지만 국제 기구로는 사상 처음으로 모든 회원국의 의견 수렴을 시도했다고 평가된다. 만주사변에 관한 일본 제국에 대한 권고안과 에티오피아를 침공한 이탈리아 왕국에 대한 경제 제재 등 상임이사국과 관련된 분쟁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 대응을 했으나, 현재의 유엔에서는 상임이사국 관련 분쟁의 처리가 곤란한 점과 비교된다.
1919년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우드로 윌슨의 '평화 원칙'에 의해 제창되어 베르사유 조약 제1장에 따라 국제연맹 규약이 결정됨으로써 설립되었으나, 미국은 먼로주의를 이유로 미국 상원의 반대로 가입하지 않았다. 1920년 3월 19일, 미국 상원에서 국제연맹 규약 비준안이 표결에 부쳐졌으나 찬성 49표, 반대 35표로 부결되었다.[240] 러시아 혁명 직후의 소련(1934년 가입)과 패전국인 독일(1926년 가입)은 당초 참여가 인정되지 않아 주요국의 불참으로 인해 그 기초가 처음부터 충분하지 않았다.
1920년대에는 소규모 분쟁을 해결한 성공 사례도 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을 앞둔 1930년대에는 일본 제국과 나치 독일이 1933년에 탈퇴하였으며, 이탈리아 왕국도 1937년에 탈퇴했다. 이후에도 추축국 진영의 국가들의 탈퇴가 잇따라 대규모 분쟁 해결에 대한 한계를 노출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사실상 집행이사회는 기능을 하지 못하였다. 1939년 12월 집행이사회에서 핀란드 침략(겨울 전쟁)을 이유로 소련을 제명시키고 집행이사회는 활동을 중지하였다. 유엔 출범 후인 1946년 4월 18일에 열린 제21차 총회에서 국제연맹은 해체와 동시에 자산의 유엔 이양을 결정하였으며, 국제사법재판소와 국제노동기구도 유엔에 인수되었다.
3. 1.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국제 기구에 대한 구상이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영국의 정치학자 골즈워디 로우스 디킨슨은 1914년에 "국제 연맹"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조직 계획을 작성했다. 그는 브라이스 자작과 함께 브라이스 그룹을 설립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6] 이 그룹은 대중과 영국 자유당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디킨슨은 1915년 소책자 ''전쟁 후''에서 "평화 연맹"이 중재와 조정을 위한 조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20세기 초의 비밀 외교가 전쟁을 초래했다고 생각했고, "전쟁의 불가능성은 외교 정책의 문제가 여론에 알려지고 여론에 의해 통제될수록 비례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썼다. 브라이스 그룹의 '제안'은 영국과 미국에서 널리 배포되었으며, 신생 국제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17]1915년 1월, 제인 애덤스가 주도하는 평화 회의가 미국에서 열렸다. 대표들은 평화와 군축을 위해 노력하는 "영구 중립국 연맹"을 개발하기 위해 행정 및 입법 권한을 가진 국제 기구의 설립을 촉구했다.[18] 몇 달 후 헤이그에서 여성 국제 평화 자유 연맹(WILPF)이 설립되었다.[19]
1915년, 미국에는 전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가 이끄는 평화 집행 연맹이 설립되었다.[21] 이 단체는 분쟁 해결에 중재를 사용하고 공격적인 국가에 제재를 부과하는 것을 주장했다. 영국의 패비안 협회는 세계 문제를 심판할 국가들의 "이사회"와 상설 사무국 설립을 최초로 주장했다.[22]
제1차 세계 대전을 둘러싼 외교적 노력 과정에서 연합국과 중립국인 미국에서 장기적인 사상가들은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통합된 국제 기구를 설계하기 시작했다. 1916년 12월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의 새로운 연립 정부가 집권했을 때, 지식인들과 외교관들 사이에서 그러한 기구를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논의가 있었다. 로이드 조지는 우드로 윌슨에게 전후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의 입장을 밝히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그러한 기구를 지지했다. 윌슨은 1918년 1월 14개 조항에 "평화와 정의를 보장하기 위한 국제 연맹"을 포함시켰다. 영국의 외무장관 아서 밸푸어는 지속적인 평화의 조건으로 "국제법 뒤에 그리고 적대 행위를 예방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모든 조약 배열 뒤에 가장 용감한 침략자에게도 잠시 주저하게 만드는 일종의 국제 제재를 고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3]
전쟁은 유럽의 사회, 정치 및 경제 시스템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고, 여러 제국이 붕괴되었다. 1917년 2월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었고, 그 뒤를 이어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이 붕괴되었다. 전쟁 반대 정서는 전 세계적으로 고조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은 "모든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전쟁"으로 묘사되었다.[8] 확인된 원인에는 군비 경쟁, 동맹, 군국주의적 민족주의, 비밀 외교 및 주권 국가가 자체 이익을 위해 전쟁에 참여할 수 있는 자유가 포함되었다. 제안된 해결책 중 하나는 군축, 공개 외교, 국제 협력, 전쟁을 수행할 권리 제한 및 전쟁을 매력적이지 않게 만드는 처벌을 통해 미래의 전쟁을 막는 국제 기구를 만드는 것이었다.[8]
1918년 초 런던에서 로버트 세실 경의 주도로 이 문제에 대한 최초의 공식 보고서가 의뢰되었다. 1918년 2월 영국 위원회가 임명되었고, 월터 필리모어가 이끌었으며(필리모어 위원회로 알려짐) 아이어 크로, 윌리엄 티렐, 세실 허스트도 포함되었다.[16] 필리모어 위원회의 권고 사항에는 분쟁을 중재하고 위반 국가에 제재를 부과하는 "연합국 회의" 설립이 포함되었다. 이 제안은 영국 정부의 승인을 받았으며, 위원회 결과의 상당 부분은 나중에 국제 연맹 조약에 통합되었다.[24]
1918년 6월 프랑스 당국도 더 광범위한 제안을 작성했는데, 그들은 모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이사회의 연례 회의와 그 결정을 집행하기 위한 "국제군"을 주장했다.[24]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에드워드 M. 하우스에게 윌슨 자신의 견해와 필리모어 위원회의 작업을 반영하는 미국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 하우스의 작업과 윌슨 자신의 초안 결과는 "비윤리적인" 국가 행위의 종식을 제안했다. 반항적인 국가에 대한 강제 방법에는 엄격한 조치가 포함될 것이다.[24]
국제 연맹 조약의 두 주요 초안 작성자는 영국의 정치가인 로버트 세실 경과 남아프리카의 국무총리 얀 스무츠였다. 스무츠의 제안에는 강대국으로 구성된 이사회를 상임 이사국으로 하고 소국을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그는 전쟁 중 중앙국의 점령지에 대한 위임 통치 시스템을 설립하는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세실은 행정 측면에 중점을 두고 연례 이사회 회의와 모든 회원국의 총회를 4년에 한 번씩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또한 국제 연맹의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상설 사무국을 주장했다.[24][27][28]
역사가 패트리샤 클래빈에 따르면, 세실과 영국은 1920년대와 1930년대까지 국제 연맹을 중심으로 규칙 기반의 세계 질서 발전을 계속 주도했다. 영국의 목표는 국가, 시장 및 시민 사회 간의 경제적, 사회적 관계를 체계화하고 정상화하는 것이었다.[29]
3. 2. 연합국의 노력
제1차 세계 대전이 진행되면서,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국제 기구에 대한 구상이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영국의 정치학자 골즈워디 로우스 디킨슨은 1914년에 "국제 연맹"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조직 계획을 세웠다. 그는 브라이스 자작과 함께 국제주의 평화주의자 그룹인 브라이스 그룹을 설립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6] 이 그룹은 대중과 당시 집권당인 자유당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디킨슨은 1915년 소책자 ''전쟁 후''에서 그의 "평화 연맹"을 중재와 조정을 위한 조직으로 묘사했다. 그는 20세기 초의 비밀 외교가 전쟁을 초래했다고 생각했고, "전쟁의 불가능성은 외교 정책의 문제가 여론에 알려지고 여론에 의해 통제될수록 비례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썼다. 브라이스 그룹의 '제안'은 영국과 미국에서 널리 배포되었으며, 신생 국제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17]1915년 1월, 제인 애덤스가 주도하는 평화 회의가 중립국인 미국에서 열렸다. 대표들은 평화와 군축을 위해 노력하는 "영구 중립국 연맹"을 개발하기 위해 행정 및 입법 권한을 가진 국제 기구의 설립을 촉구하는 강령을 채택했다.[18] 몇 달 후, 헤이그에서 국제 여성 회의가 개최되었다. 미아 보이세바인, 알레타 야코브스, 로사 마누스가 조정한 이 회의는 1915년 4월 28일에 개막했으며, 중립국 참가자 1,136명이 참석했다.[19] 이 회의 결과로 여성 국제 평화 자유 연맹(WILPF)이 설립되었다. 회의가 끝날 무렵, 두 명의 여성 대표단이 유럽 국가 원수들을 만나 협정을 맺었다. 그들은 그러한 기구가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 외무 장관들로부터 중립적인 중재 기구의 설립을 참여하거나 방해하지 않겠다는 동의를 얻어냈다. 그러나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전쟁 중에 이를 거부했다.
1915년, 미국에는 전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가 이끄는 평화 집행 연맹이 설립되었다.[21] 이 단체는 분쟁 해결에 중재를 사용하고 공격적인 국가에 제재를 부과하는 것을 주장했다. 영국의 패비안 협회는 세계 문제를 심판할 국가들, 즉 강대국들의 "이사회"와 국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상설 사무국 설립을 최초로 주장했다.[22]
제1차 세계 대전 과정에서 양측은 장기적인 전쟁 목표를 명확히 해야 했다. 1916년까지 연합국과 중립국인 미국에서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통합된 국제 기구를 설계하기 시작했다. 1916년 12월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의 새로운 연립 정부가 집권했을 때, 지식인들과 외교관들 사이에서 그러한 기구를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논의가 있었다. 로이드 조지는 윌슨에게 전후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의 입장을 밝히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그러한 기구를 지지했다. 윌슨은 1918년 1월 그의 14개 조항에 "평화와 정의를 보장하기 위한 국제 연맹"을 포함시켰다. 영국의 외무장관 아서 밸푸어는 지속적인 평화를 위해 "국제법과 모든 조약 배열 뒤에 가장 용감한 침략자에게도 잠시 주저하게 만드는 일종의 국제 제재를 고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3]
전쟁은 유럽의 사회, 정치, 경제 시스템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고, 여러 제국이 붕괴되었다. 1917년 2월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었고, 그 뒤를 이어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이 붕괴되었다. 전쟁 반대 정서는 전 세계적으로 고조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은 "모든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한 전쟁"으로 묘사되었다.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해 군축, 공개 외교, 국제 협력, 전쟁을 수행할 권리 제한 및 전쟁을 매력적이지 않게 만드는 처벌을 포함하는 국제 기구를 만드는 것이 해결책으로 제안되었다.
런던에서 밸푸어는 1918년 초 로버트 세실 경의 주도로 이 문제에 대한 최초의 공식 보고서를 의뢰했다. 1918년 2월, 월터 필리모어가 이끄는 영국 위원회(필리모어 위원회)가 임명되었으며, 아이어 크로, 윌리엄 티렐, 세실 허스트도 포함되었다.[16] 필리모어 위원회는 분쟁을 중재하고 위반 국가에 제재를 부과하는 "연합국 회의" 설립을 권고했다. 이 제안은 영국 정부의 승인을 받았으며, 위원회 결과는 나중에 국제 연맹 조약에 통합되었다.[24]
프랑스 당국도 1918년 6월에 더 광범위한 제안을 작성했는데, 그들은 모든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이사회의 연례 회의와 그 결정을 집행하기 위한 "국제군"을 주장했다.[24]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에드워드 M. 하우스에게 자신의 이상과 필리모어 위원회의 작업을 반영하는 미국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 하우스와 윌슨의 초안은 스파이 활동과 부정직과 같은 "비윤리적인" 국가 행위의 종식을 제안했다. 반항적인 국가에 대한 강제 방법에는 "국경을 전 세계와의 상업이나 교류에서 차단하고 봉쇄하며 필요한 모든 힘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엄격한 조치가 포함되었다.[24]
국제 연맹 조약의 주요 초안 작성자는 영국의 정치가 로버트 세실 경과 남아프리카의 국무총리 얀 스무츠였다. 스무츠는 강대국으로 구성된 이사회를 상임 이사국으로 하고 소국을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하는 것을 제안했다. 그는 전쟁 중 중앙국의 점령지에 대한 위임 통치 시스템 설립을 제안했다. 세실은 행정 측면에 중점을 두고 연례 이사회 회의와 모든 회원국의 총회를 4년에 한 번씩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또한 국제 연맹의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대규모 상설 사무국을 주장했다.[24][27][28]
역사가 패트리샤 클래빈에 따르면, 세실과 영국은 1920년대와 1930년대까지 국제 연맹을 중심으로 규칙 기반의 세계 질서 발전을 주도했다. 영국의 목표는 국가, 시장 및 시민 사회 간의 경제적, 사회적 관계를 체계화하고 정상화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사업 및 금융 문제에 우선순위를 두었지만,[29] 일반 여성, 아동 및 가족의 필요성도 고려했다.[30] 그들은 고위급 지식인들의 논의를 넘어 국제 연맹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 조직을 설립했다. 영국은 특히 중등생을 위한 청소년 지부 설립에 적극적이었다.[31]
국제 연맹은 이전의 국제 기구보다 회원국과 구조 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보편적이고 포괄적이었지만, 자결권을 제한하고 식민지 해체를 막음으로써 인종적 계층 질서를 고착시켰다.[32]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윌슨, 세실, 스무츠는 모두 초안 제안을 제출했다. 허스트–밀러 초안이 조약의 기초로 만들어졌다.[34] 추가 협상과 타협 끝에, 1919년 1월 25일 국제 연맹(, ) 설립 제안이 최종 승인되었다. 최종 국제 연맹 조약은 특별 위원회에서 작성되었으며, 국제 연맹은 1919년 6월 28일에 체결된 베르사유 조약 제1부에 의해 설립되었다.
프랑스 여성 권리 옹호자들은 국제 여성주의자들을 파리 회의와 병행하는 회의에 참여하도록 초청했다. 연합국 여성 회의는 평화 협상 및 위원회에 제안을 제출하고, 여성과 아동 관련 위원회에 참여할 권리를 부여받았다. 그들은 참정권과 남성과 동등한 법적 보호를 요청했지만, 그러한 권리는 무시되었다. 여성들은 국제 연맹 기구에서 모든 직책에서 일할 권리를 획득했다. 또한 회원국이 인신매매를 방지하고 아동, 여성, 남성 노동자에 대한 인도적인 조건을 동등하게 지원해야 한다는 선언을 얻었다. 1919년 5월 17일부터 19일까지 열린 취리히 평화 회의에서 WILPF 여성들은 베르사유 조약의 조항을 비난했다. 영국 여성 참정권 운동가인 캐서린 마셜은 국제 연맹의 절차 규칙이 비민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수정했다.
국제 연맹은 총회, 이사회, 상설 사무국으로 구성되었다. 회원국은 다른 회원국의 영토 보전을 "외부 침략에 대해 존중하고 보존"하고, "국내 안전과 일치하는 최저 수준으로" 군축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모든 국가는 전쟁에 돌입하기 전에 중재 또는 사법 조사를 위해 불만을 제출해야 했다.[16] 이사회는 분쟁에 대한 판결을 내리기 위해 상설 국제 사법 재판소를 설립할 것이다.
윌슨은 국제 연맹 설립에 노력했고, 1919년 10월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미국은 가입하지 않았다. 헨리 캐벗 로지가 이끄는 상원 공화당원들은 미국을 전쟁에 참전시킬 수 있는 것은 의회뿐이라는 단서가 있는 국제 연맹을 원했다. 로지는 상원 의원 과반수를 확보했고 윌슨은 타협을 거부했다. 상원은 1920년 3월 19일에 비준에 대한 투표를 했고, 49대 35로 부결되었다.[38]
국제 연맹은 1920년 1월 16일 파리에서 첫 이사회 회의를 열었다. 1920년 11월 1일, 본부는 런던에서 제네바로 이전되었고, 1920년 11월 15일 첫 총회가 열렸다.[39] 제네바는 중립국이었고 국제 적십자 본부였기 때문에 이상적인 도시였다. 스위스 연방 의원 구스타브 아도르와 경제학자 윌리엄 라파르가 제네바를 지지했다.[40] 제네바 서쪽 호숫가에 있는 윌슨 궁전은 우드로 윌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국제 연맹의 최초의 상설 본부였다.
3. 3. 윌슨 대통령의 역할
1919년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우드로 윌슨은 '평화 원칙'을 제창했고, 베르사유 조약 제1장에 따라 국제연맹 규약이 결정됨으로써 국제연맹이 설립되었다.[240] 미국은 윌슨 대통령이 주창한 원칙을 기반으로 출발한 기구임에도 불구하고, 먼로주의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당시 공화당이 절대 다수였던 미국 상원의 반대로 가입하지 않았다. 1920년 3월 19일, 미국 상원에서 국제연맹 규약 비준안이 표결에 부쳐졌으나 찬성 49표, 반대 35표로 정족수인 2/3에 미달하여 부결되었다.[240]제1차 세계 대전이 진행되는 동안,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국제 기구에 대한 구상들이 영국과 미국에서 상당한 대중적 지지를 얻기 시작했다. 영국의 정치학자 골즈워디 로우스 디킨슨은 1914년에 "국제 연맹"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조직 계획을 작성했다. 그는 브라이스 자작과 함께 브라이스 그룹을 설립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6] 이 그룹은 대중과 영국 자유당 내에서 영향력 있는 압력 단체로 성장했다. 디킨슨은 1915년 소책자 ''전쟁 후''에서 "평화 연맹"을 중재와 조정을 위한 조직으로 묘사했다. 그는 20세기 초의 비밀 외교가 전쟁을 초래했다고 생각했고, "전쟁의 불가능성은 외교 정책의 문제가 여론에 알려지고 여론에 의해 통제될수록 비례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썼다.[17]
1915년, 제인 애덤스가 주도하는 평화 회의가 미국에서 열렸다. 대표들은 평화와 군축을 위해 노력하는 "영구 중립국 연맹"을 개발하기 위한 국제 기구 설립을 촉구하는 강령을 채택했다.[18] 몇 달 후, 헤이그에서 국제 여성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여성 국제 평화 자유 연맹의 설립으로 이어졌다.[19] 회의가 끝날 무렵, 두 명의 여성 대표단이 유럽 국가 원수들을 만나 중립적인 중재 기구 설립에 대한 협정을 얻어냈지만, 윌슨 대통령은 전쟁 중에 이를 거부했다.
1915년, 미국에는 전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가 이끄는 평화 집행 연맹이 설립되었다.[21] 이 단체는 분쟁 해결에 중재를 사용하고 공격적인 국가에 제재를 부과하는 것을 주장했다. 영국의 패비안 협회는 세계 문제를 심판할 국가들의 "이사회"와 국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상설 사무국 설립을 최초로 주장했다.[22]
제1차 세계 대전을 둘러싼 외교적 노력 과정에서, 양측 모두 장기적인 전쟁 목표를 명확히 해야 했다. 1916년까지 영국과 미국에서 장기적인 사상가들은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통합된 국제 기구를 설계하기 시작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가 윌슨에게 전후 상황을 고려하여 자신의 입장을 밝히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윌슨은 그러한 기구를 지지했다. 윌슨은 1918년 1월 그의 14개 조항에 "평화와 정의를 보장하기 위한 국제 연맹"을 포함시켰다. 영국의 외무장관 아서 밸푸어는 지속적인 평화의 조건으로 "국제법 뒤에 그리고 적대 행위를 예방하거나 제한하기 위한 모든 조약 배열 뒤에 가장 용감한 침략자에게도 잠시 주저하게 만드는 일종의 국제 제재를 고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3]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은 에드워드 M. 하우스에게 자신의 이상적인 견해와 필리모어 위원회의 작업을 반영하는 미국 계획을 작성하도록 지시했다. 하우스의 작업과 윌슨 자신의 초안 결과는 "비윤리적인" 국가 행위의 종식을 제안했다. 반항적인 국가에 대한 강제 방법에는 "그 국가의 국경을 전 세계 어느 곳과의 상업이나 교류에서 차단하고 봉쇄하고 필요한 모든 힘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엄격한 조치가 포함될 것이다.[24]
국제 연맹 조약의 주요 초안 작성자이자 설계자는 영국의 정치가인 로버트 세실 경과 남아프리카의 국무총리 얀 스무츠였다.[26] 스무츠의 제안에는 강대국으로 구성된 이사회를 상임 이사국으로 하고 소국을 비상임 이사국으로 선출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그는 전쟁 중 중앙국의 점령지에 대한 위임 통치 시스템을 설립하는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세실은 행정 측면에 중점을 두고 연례 이사회 회의와 모든 회원국의 총회를 4년에 한 번씩 개최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또한 국제 연맹의 행정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대규모 상설 사무국을 주장했다.[24][27][28]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윌슨, 세실, 스무츠는 각각 초안을 제출했다. 대표자 간의 긴 협상 끝에, 세실 허스트와 공동으로 작성한 예비 초안을 바탕으로 검토가 진행되었다.[158] 더욱 협상과 타협을 거듭하여, 1919년 1월 25일, 대표단은 최종적으로 국제 연맹 창설 제안을 승인했다. 최종적인 국제 연맹 규약은 특별 위원회에 의해 작성되었다.
윌슨 미국 대통령은 연맹의 설립과 추진에 헌신한 공로로 1919년 10월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미국은 헨리 캐벗 로지와 윌리엄 보라 등 몬로주의를 주장하는 미국 상원의 반대로 각 강화 조약을 비준하지 않았고, 그 이후의 정권도 국제 연맹에 참가하지 않았다. 로지 등은 국제 연맹 규약 제10조 및 16조에 규정된 내용 때문에 다른 국가 간의 분쟁에 미국이 휘말리는 것을 우려하여 반대했다.[159] 윌슨이 타협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입에 필요한 3분의 2의 찬성을 얻지 못해 미국은 연맹에 가입하지 못하게 되었다.[160]
3. 4. 국제연맹 규약의 탄생
1919년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의 '평화 원칙'에 의해 제창되어 베르사유 조약 제1장에 따라 국제연맹 규약이 결정됨으로써 국제연맹이 설립되었다.미국은 윌슨 대통령이 주창한 원칙을 기반으로 출발한 기구임에도 불구하고 먼로주의에 맞지 않는다며 당시 공화당이 절대 다수였던 미국 상원의 반대로 가입하지 않았다. 특히 1920년 3월 19일에는 미국 상원에서 국제연맹 규약 비준안이 표결에 부쳐지고도 찬성 49표, 반대 35표를 기록하여 정족수인 2/3에 미달하여 부결되었다.[240]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국제 기구에 대한 계획들이 특히 영국과 미국에서 상당한 대중적 지지를 얻기 시작했다. 영국의 정치학자인 골즈워디 로우스 디킨슨은 1914년에 "국제 연맹"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조직 계획을 작성했다. 그는 브라이스 자작과 함께 나중에 국제 연맹 연합이 된 국제주의 평화주의자 그룹인 브라이스 그룹의 설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6]
1915년, 미국에는 전 대통령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가 이끄는 브라이스 그룹과 유사한 단체인 평화 집행 연맹이 설립되었다.[21]
제1차 세계 대전을 둘러싼 외교적 노력 과정에서 양측 모두 장기적인 전쟁 목표를 명확히 해야 했다. 1916년까지 연합국 편에서 싸운 영국과 중립국인 미국에서 장기적인 사상가들은 미래의 전쟁을 막기 위한 통합된 국제 기구를 설계하기 시작했다.
국제 연맹 조약의 두 주요 초안 작성자이자 설계자는 영국의 정치가인 로버트 세실 경과 남아프리카의 국무총리 얀 스무츠였다.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윌슨, 세실, 스무츠는 모두 초안 제안을 제출했다. 대표들 간의 장시간 협상 끝에, 허스트–밀러 초안이 마침내 조약의 기초로 만들어졌다.[34] 추가 협상과 타협 끝에, 대표들은 1919년 1월 25일 국제 연맹(Société des Nations|프랑스어 발음프랑스어, Völkerbund|독일어 발음de) 설립 제안을 최종 승인했다. 최종 국제 연맹 조약은 특별 위원회에서 작성되었으며, 국제 연맹은 1919년 6월 28일에 체결된 베르사유 조약 제1부에 의해 설립되었다.
국제 연맹은 모든 회원국을 대표하는 총회, 주요 강국으로 구성된 이사회, 그리고 상설 사무국으로 구성되었다.
3. 5. 미국의 불참과 초기 문제
1919년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우드로 윌슨의 '평화 원칙'에 의해 제창되어 베르사유 조약 제1장에 따라 국제연맹 규약이 결정됨으로써 설립되었다. 미국은 윌슨 대통령이 주창한 원칙을 기반으로 출발한 기구임에도 불구하고 먼로주의에 맞지 않는다며 당시 공화당이 절대다수였던 미국 상원의 반대로 가입하지 않았다. 특히 1920년 3월 19일에는 미국 상원에서 국제연맹 규약 비준안이 표결에 부쳐졌으나 찬성 49표, 반대 35표를 기록하여 정족수인 2/3에 미달하여 부결되었다.[240] 또한 러시아 혁명 직후의 소련(1934년 가입)과 패전국인 독일(1926년 가입)은 당초 참여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주요국의 불참에 의해 그 기초가 처음부터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4. 조직 및 활동
국제 연맹은 총회, 이사회, 상설 사무국을 주요 기관으로 두고, 국제사법재판소와 국제노동기구를 부속 기구로 두었다. 그 외에도 여러 보조 기관과 위원회가 있었다. 각 기관의 예산은 총회에서 배정했다.[50]
총회와 이사회의 관계, 그리고 각 기관의 권한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다. 각 기관은 국제 연맹의 권한 범위 내의 모든 문제 또는 세계 평화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문제를 다룰 수 있었다.[48] 총회와 이사회의 결정에는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만장일치가 필요했다. 이는 국제 연맹이 각국의 주권을 존중하고, 명령이 아닌 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 했기 때문이다. 다만, 분쟁 당사국의 동의는 만장일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53]
제네바에 위치한 상임 사무국은 사무총장 지휘 아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50] 주요 부서는 정치, 재정 및 경제, 교통, 소수 민족 및 행정( 사르 및 단치히 행정), 위임 통치, 군축, 보건, 사회(아편 및 여성·아동 매매), 지적 협력 및 국제 사무국, 법률, 정보였다. 사무국 직원들은 이사회와 총회의 의제를 준비하고 회의 보고서 등을 작성하며 국제 연맹의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 1931년 직원 수는 707명이었다.[5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위임 통치 제도가 결정되었다.[73] 이 제도는 국제 연맹을 대신하여 여러 국가가 구 독일 식민지와 오스만 제국 영토를 관리하는 방식이었다.[73] 위임 통치는 A, B, C 세 등급으로 나뉘었으며, 상설 위임 통치 위원회가 이를 감독했다.[74] A급 위임 통치는 구 오스만 제국 지역, B급 위임 통치는 이전 독일 식민지, C급 위임 통치는 남서아프리카와 일부 남태평양 섬들에 적용되었다.[75]
국제연맹의 공식 언어는 영어와 프랑스어였다.[44]
4. 1. 주요 기관
국제 연맹의 주요 헌법 기관은 총회, 이사회, 그리고 상설 사무국이었다.[49] 국제사법재판소와 국제노동기구라는 두 개의 주요 부속 기구와, 그 외에도 여러 보조 기관 및 기구들이 있었다.[50] 각 기관의 예산은 회원국의 재정 지원을 받은 국제 연맹의 총회에서 배정되었다.총회와 이사회의 관계와 각 기관의 권한은 대부분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았다. 각 기관은 국제 연맹의 권한 범위 내의 모든 문제 또는 세계 평화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문제를 다룰 수 있었으며, 특정 질문이나 과제는 어느 기관에든 회부될 수 있었다.[48]
절차 문제 및 신규 회원국의 가입과 같은 일부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총회와 이사회의 결정에는 만장일치가 필요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국제 연맹의 구성국 주권에 대한 신념을 반영한 것이었으며, 국제 연맹은 명령이 아닌 합의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했다. 분쟁의 경우, 분쟁 당사국의 합의는 만장일치에 필요하지 않았다.[53]
총회는 국제 연맹 회원국 대표들로 구성되었으며, 각 국가는 최대 3명의 대표와 1표를 가졌다.[53] 총회는 제네바에서 열렸으며, 1920년 첫 회의 이후[72] 매년 9월에 소집되었다.[53] 총회의 특별 기능에는 신규 회원국의 가입, 이사회의 비상임 이사 정기 선출, 이사회와 함께 상임 재판소 판사 선출, 예산 관리 등이 포함되었다. 실제로 총회는 국제 연맹 활동의 일반적인 지휘 기구였다.[48]

이사회는 총회 업무를 지휘하는 행정 기관의 역할을 했다.[48] 처음에는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의 4개 상임 이사국과 총회에서 3년 임기로 선출된 4개의 비상임 이사국으로 구성되었다.[42] 최초의 비상임 이사국은 벨기에, 브라질, 그리스, 스페인이었다.[54]
이사회의 구성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비상임 이사국 수는 1922년 9월 22일 6개로, 1926년 9월 8일 9개로 증가했다. 베르너 닻크보르트는 그의 국가가 국제 연맹에 가입할 것을 촉구했고, 1926년 가입하면서 독일은 이사회의 5번째 상임 이사국이 되었다.[54] 나중에 독일과 일본이 국제 연맹을 탈퇴한 후, 비상임 이사국 수는 9개에서 11개로 증가했고, 소비에트 연방이 상임 이사국이 되어 이사회는 총 15개의 이사국으로 구성되었다. 이사회는 평균적으로 1년에 5번 회의를 열었고, 필요에 따라 임시 회의를 열었다. 1920년부터 1939년까지 총 107차례 회의가 열렸다.[55]
제네바에 있는 국제 연맹 본부에 설립된 상임 사무국은 사무총장의 지휘 아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50] 주요 부서는 정치, 재정 및 경제, 교통, 소수 민족 및 행정( 사르 및 단치히 행정), 위임 통치, 군축, 보건, 사회(아편 및 여성·아동 매매), 지적 협력 및 국제 사무국, 법률, 정보였다. 사무국의 직원들은 이사회와 총회의 의제를 준비하고 회의 보고서 및 기타 일상적인 업무를 담당하여 국제 연맹의 공무원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했다. 1931년 직원 수는 707명이었다.[51]
그밖에도 다음과 같은 위원회가 있었다.
위원회 | 설명 |
---|---|
국제사법재판소 | |
상설 사무 위임 통치 위원회 | |
상설 군사 자문 위원회 | |
군축 위원회 | |
위임 통치 위원회 | |
국제 지적 협력 위원회[173] | 유네스코의 전신 |
법률가 전문가 위원회 | |
난센 국제 난민 사무소, 독일 난민 고등 판무관 사무소 → 국제 연맹 난민 고등 판무관 사무소 | 유엔난민기구(UNHCR)의 전신 |
아편 상설 중앙 위원회 | 국제 마약 통제 위원회의 전신 |
난민 위원회 | |
노예 위원회 | |
보건 기구 | 세계보건기구(WHO)의 전신 |
경제 금융 기구 | |
통신 운수 기구 | |
사회 문제 자문 위원회 | |
국제노동기구 | |
부녀 아동 매매 자문 위원회 | |
대사회의 |
이들 기구 중 국제노동기구, 국제사법재판소( 국제사법재판소로), 보건 기구( 세계보건기구로 재편[174])의 3개 기구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국제연합으로 이관되었다.[175]
4. 2. 기타 기구
국제 연맹의 주요 헌법 기관은 총회, 이사회, 그리고 상임 사무국이었다. 또한 국제사법재판소와 국제노동기구라는 두 개의 중요한 부속 기구가 있었다. 이 외에도 상설 위임통치위원회, 상설 군사자문위원회, 군비축소위원회, 법률전문가위원회 등 여러 보조 기관과 기구들이 있었다.[50]
총회와 이사회의 관계와 각 기관의 권한은 대부분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았다. 각 기관은 국제 연맹의 권한 범위 내의 모든 문제 또는 세계 평화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문제를 다룰 수 있었다.[50]
절차 문제 및 신규 회원국의 가입과 같은 일부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총회와 이사회의 결정에는 만장일치가 필요했다. 이는 국제 연맹 구성국 주권에 대한 신념을 반영한 것이었으며, 국제 연맹은 명령이 아닌 합의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했다. 분쟁의 경우, 분쟁 당사국의 합의는 만장일치에 필요하지 않았다.[53]
제네바에 있는 국제 연맹 본부에 설립된 상임 사무국은 사무총장의 지휘 아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었다.[50] 주요 부서는 정치, 재정 및 경제, 교통, 소수 민족 및 행정( 사르 및 단치히 행정), 위임 통치, 군축, 보건, 사회(아편 및 여성·아동 매매), 지적 협력 및 국제 사무국, 법률, 정보였다. 사무국 직원들은 이사회와 총회의 의제를 준비하고 회의 보고서 및 기타 일상적인 업무를 담당하여 국제 연맹의 공무원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했다. 1931년 직원 수는 707명이었다.[51]
총회는 국제 연맹 회원국 대표들로 구성되었으며, 각 국가는 최대 3명의 대표와 1표를 가졌다.[53] 총회는 제네바에서 열렸으며, 1920년 첫 회의 이후 매년 9월에 소집되었다.[53] 총회의 특별 기능에는 신규 회원국의 가입, 이사회의 비상임 이사 정기 선출, 이사회와 함께 상임 재판소 판사 선출, 예산 관리 등이 포함되었다.[48]
이사회는 총회 업무를 지휘하는 행정 기관의 역할을 했다.[48] 처음에는 영국(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의 4개 상임 이사국과 총회에서 3년 임기로 선출된 4개의 비상임 이사국으로 구성되었다.[42] 최초의 비상임 이사국은 벨기에, 브라질, 그리스, 스페인이었다.[54]
이사회의 구성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비상임 이사국 수는 1922년 9월 22일 6개로, 1926년 9월 8일 9개로 증가했다. 베르너 닻크보르트는 그의 국가(독일)가 국제 연맹에 가입할 것을 촉구했고, 1926년 가입하면서 독일은 이사회의 5번째 상임 이사국이 되었다. 나중에 독일과 일본이 국제 연맹을 탈퇴한 후, 비상임 이사국 수는 9개에서 11개로 증가했고, 소비에트 연방이 상임 이사국이 되어 이사회는 총 15개의 이사국으로 구성되었다.[54] 이사회는 평균적으로 1년에 5번 회의를 열었고, 필요에 따라 임시 회의를 열었다. 1920년부터 1939년까지 총 107차례 회의가 열렸다.[55]
상설국제사법재판소는 연맹규약에서 "이사회가 설치안을 작성하고, 가맹국이 채택한다"고 규정되어 있어, 연맹규약에 의해 직접 설치된 것은 아니다. 상설국제사법재판소의 규약은 이사회와 총회에 의해 제정되었다. 재판관은 이사회와 총회에서 선출되었고, 예산은 총회가 부담했다. 재판소는 관계자가 제출한 모든 국제분쟁을 심리하고 판결을 내렸다. 또한, 이사회나 총회로부터 위탁받은 분쟁이나 문제에 대해 권고적인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다. 재판소는 일정한 광범위한 조건 하에서 세계 모든 국가에 개방되어 있었다.[176]
4. 3. 위임통치령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위임 통치 제도가 결정되었다.[73] 이 제도는 국제 연맹을 대신하여 여러 국가가 구 독일 식민지와 오스만 제국 영토를 관리하는 방식이었다.[73]위임 통치는 국제 연맹 조약 제22조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상설 위임 통치 위원회가 이를 감독했다.[74] 위임 통치는 A, B, C 세 등급으로 나뉘었다.[74]
A급 위임 통치는 구 오스만 제국 지역에 적용되었는데, 이들은 독립 국가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위임 통치국의 행정적 지원을 받으며 자치 능력을 키워나갔다.[75]
B급 위임 통치는 이전 독일 식민지에 적용되었으며, 이 지역에서는 양심과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고, 노예 매매, 무기 거래 등이 금지되었다.[75]
C급 위임 통치는 남서아프리카와 일부 남태평양 섬들에 적용되었는데, 이 지역들은 인구가 적거나 문명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위임 통치국의 법률에 따라 관리되었다.[75]
4. 4. 언어
영어와 프랑스어가 국제연맹의 공식 언어였다.[44] 일부 회원국들은 에스페란토를 공식 언어로 추가하려 했으나 프랑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939년 뉴욕 세계 박람회에 사용된 국제 연맹의 깃발과 상징은 파란색 오각형 안에 다섯 개의 오각별이 있는 디자인이었다. 이는 지구의 다섯 대륙과 "다섯 인종"을 상징했다. 깃발 윗부분에는 영어로 "League of Nations", 아랫부분에는 프랑스어로 "''Société des Nations''"라고 쓰여 있었다.[44]
5. 분쟁 해결 노력
국제연맹은 국제 협력 증진과 국제 평화 및 안전 유지를 목표로 한 최초의 국제 기구였다. 국제연맹 규약은 회원국 간의 전쟁을 금지하고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명시했다. 또한, 평화 유지를 위해 군비 축소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조약 재심의 및 국제 평화를 위태롭게 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심의를 회원국에게 요구했다. 전쟁을 일으킨 회원국에 대한 경제 제재와 군사적 제재 가능성도 규정했다.[237]
그러나 연맹 규약에는 허점이 많았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 전승국들이 패전국에 대한 전후 처리를 유리하게 이끌려는 기구로서의 성격도 있었기 때문에,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의 침략 정책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붕괴되었다.[237]
국제연맹은 자체적인 군사력을 보유하지 못해 경제 제재에 의존해야 했고, 이는 국제 분쟁 해결에 한계로 작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회원국의 의견 수렴을 시도한 최초의 국제 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만주사변에서 일본 제국에 대한 권고안, 에티오피아를 침공한 이탈리아 왕국에 대한 경제 제재 등 상임이사국 관련 분쟁에도 대응하려 노력했다. 이는 상임이사국 관련 분쟁 처리가 어려운 현재의 유엔과 비교되는 점이다. 하지만 강대국이 약소국을 움직여 국제연맹의 여론을 조작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연맹은 국경 문제 등 여러 문제들을 다루었다. 초기에는 연합국 최고회의에서 어려운 문제들을 국제연맹에 회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점차 역할이 확대되어 1920년대 중반에는 국제 활동의 중심이 되었다.
국제연맹은 다음과 같은 여러 분쟁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분쟁 | 내용 | 결과 |
---|---|---|
올란드 제도 분쟁 | 발트해에 위치한 올란드 제도의 스웨덴과 핀란드 간 영유권 분쟁 | 1921년 6월, 국제연맹은 올란드 제도를 핀란드령으로 유지하되, 주민 보호 및 비무장화를 보장하는 결정을 내렸다. |
알바니아 국경 분쟁 |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결정되지 않은 알바니아 국경 문제 | 1921년 11월, 국제연맹은 알바니아 국경을 1913년 국경과 동일하게 확정했다. 1923년 8월, 이탈리아 장군 암살 사건으로 코르푸 사건이 발발했으나, 국제연맹의 중재로 해결되었다. |
모술 문제 | 이라크 왕국과 터키 공화국 간의 모술 주 지배권 분쟁 | 1926년, 국제연맹은 모술을 이라크에 할당하는 결정을 내렸다. |
젤리골스키의 반란 | 폴란드와 리투아니아 간의 빌뉴스 지역 영유권 분쟁 | 1922년 3월, 빌뉴스와 주변 지역은 폴란드에 병합되었고, 1923년 3월 연합국 회의는 빌뉴스를 폴란드 영토로 확정했다. |
콜롬비아-페루 전쟁 | 콜롬비아와 페루 간의 국경 분쟁 | 1934년 5월, 국제연맹의 중재로 평화 협정이 체결되어 레티시아가 콜롬비아에 반환되었다. |
사르 국민투표 |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국제연맹 통치하에 있던 사르 지역의 귀속 문제 | 1935년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독일로 귀속되었다. |
페트리치 사건 | 그리스와 불가리아 국경 분쟁 | 국제연맹은 그리스의 침공을 비난하고 철수와 배상을 요구했다. |
라이베리아 강제 노역 문제 | 라이베리아 내 강제 노역 및 노예 제도 문제 | 국제연맹, 미국, 라이베리아 공동 위원회 조사를 통해 노예 제도와 강제 노역의 존재를 확인하고, 라이베리아 정부의 개혁을 촉구했다. |
5. 1. 성공 사례
국제연맹은 영토 분쟁 해결과 더불어 여러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클라이페다 분쟁: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연합국의 임시 통치를 받던 클라이페다(메멜) 지역은 1923년 리투아니아가 무력 점령하였다. 국제연맹은 조사 위원회를 통해 메멜을 리투아니아에 할양하고 자치권을 부여하는 클라이페다 협약을 중재하여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했다.[79] 그러나 1939년 나치 독일이 이 지역을 다시 점령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 하타이 공화국: 프랑스 위임 통치령 시리아의 알렉산드레타 산자크는 1937년 국제연맹의 감독 하에 자치권을 얻었다. 이후 하타이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포했고, 1939년 튀르키예에 합병되었다.[80]
국제연맹은 영토 분쟁 해결 외에도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성과를 보였다.
- 국제 무역 감독: 1925년 무기 및 탄약과 전쟁 수단의 국제 무역 감독을 위한 회의를 개최하여 국제 무기 데이터를 수집했다.[101]
- 제네바 의정서 채택: 1925년 전쟁에서 독가스 사용을 금지하는 제네바 의정서 채택을 주도했다.[101]
- 난민 지원: 난센 여권을 도입하여 무국적 난민의 국제적 이동을 지원했다.[84]
- 마약 통제: 만국 아편 조약으로 설립된 아편 상설 중앙 위원회를 통해 아편, 모르핀, 코카인, 헤로인 거래를 감독하고, 합법적인 마약 거래를 위한 허가 시스템을 확립했다.[84]
- 지적 협력: 1922년 앙리 베르그송을 위원장으로 하는 지적 협력 위원회를 소집하여 지적 재산권 보호, 대학 간 협력, 고고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증진했다.[84]
5. 2. 실패 사례
국제연맹은 많은 허점을 지닌 규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국에 대한 전승국의 전후 처리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기구로서의 구실을 했기 때문에,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의 파시즘·군국주의 침략 정책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결국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국제연맹은 붕괴되었다.[237]국제연맹은 군대를 조직하는 등의 군사적 제재를 내릴 수 없었고, 경제적 제재를 내리는 것에 그쳤다. 이 때문에 국제 분쟁 해결에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
만주사변에 관한 일본 제국에 대한 권고안과 에티오피아를 침공한 이탈리아 왕국에 대한 경제 제재 등 상임이사국과 관련된 분쟁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 대응을 했다.
주요 실패 사례
- 만주사변 (1931년): 일본 제국의 만주 침략에 대해 국제연맹은 리튼 보고서를 통해 만주국을 인정하지 않고 만주를 중화민국에 반환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은 이를 무시하고 국제연맹을 탈퇴했다.[86][87]
- 차코 전쟁 (1932년): 볼리비아와 파라과이 간의 차코 지역 분쟁을 막지 못했다. 국제연맹의 중재 노력에도 불구하고 파라과이는 분쟁 지역 대부분을 장악한 후 국제연맹을 탈퇴했다.[89][90]
- 아비시니아 위기 (1935년): 이탈리아 왕국의 에티오피아 침공에 대해 국제연맹은 경제 제재를 가했지만, 석유 판매 금지나 수에즈 운하 폐쇄와 같은 실질적인 조치는 취하지 못했다. 이는 영국과 프랑스가 이탈리아를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 독일과 동맹으로 몰아넣을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91]
- 스페인 내전 (1936년): 스페인 내전에 대해 국제연맹은 불간섭 정책을 유지했지만,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왕국은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국민파를, 소련은 공화파를 지원하면서 국제연맹의 무력함을 드러냈다.[93]
- 중일 전쟁 (1937년): 일본 제국의 중화민국 침략에 대해 국제연맹은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사건을 9개국 조약 회의에 넘겼다.[94][95]
군축 노력의 실패국제연맹은 군축을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삼았지만, 이 역시 실패했다.
- 1923년 상호원조 조약 초안: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군축과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나, 영국 정부의 거부로 채택되지 못했다.[103][104]
- 1924년 제네바 의정서: 공격적인 전쟁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회원국들이 침략 피해국을 방어할 의무를 지도록 했으나, 영국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05]
- 세계 군축 회의 (1932년): 60개국이 참여했으나, 각국의 이해관계 대립과 나치 독일의 재군비 등으로 인해 실패했다.[107]
이러한 실패들은 국제연맹이 강대국의 이익에 휘둘리고,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부족했으며, 회원국들의 협력 의지가 부족했음을 보여준다.
6. 한계와 해체
국제연맹은 국제 협력 증진과 국제 평화 및 안전 유지를 목표로 한 최초의 국제 기구였다.[237] 국제연맹 규약은 회원국들이 전쟁 대신 평화적인 방법으로 분쟁을 해결하고, 군비 축소를 통해 평화 유지 조건을 만들도록 규정했다. 또한, 규약을 어기고 전쟁을 일으킨 회원국에게는 경제 제재를 가하고, 필요하다면 군사적 제재 가능성도 열어두었다.[237]
하지만 국제연맹은 여러 한계점을 안고 있었다. 규약 자체에 허점이 많았고, 제1차 세계 대전 전승국들이 패전국에 대한 전후 처리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기구로 활용되면서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의 침략 정책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237] 결국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국제연맹은 붕괴되었다.[237]
국제연맹은 자체 군사력이 없어 경제 제재에만 의존해야 했고, 이는 국제 분쟁 해결에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만주사변이나 에티오피아 침공과 같이 상임이사국 관련 분쟁에도 대응했지만, 현재의 유엔과 달리 상임이사국의 우월적 지위가 없어 강대국이 여론을 조작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었다.
1939년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고, 회원국이었던 프랑스와 영국마저 나치 독일의 공격을 받으면서 국제연맹은 무력화되었다. 결국 1946년 공식 해체되었고, 1945년 10월에 창설된 국제연합(UN)이 그 역할을 이어받았다.[242]
국제연맹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평화를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지만, 제창국인 미국이 가입하지 않았고, 에티오피아 침공,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과 프랑스 침공, 일본 제국의 태평양 전쟁 등을 막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미국의 불참과 태평양 전쟁 이전까지의 중립 유지가 국제연맹의 무력함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있다.
6. 1. 구조적 문제점
국제연맹은 국제 협력과 평화 유지를 목표로 한 최초의 국제 기구였지만, 여러 구조적 문제점으로 인해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을 막지 못하고 붕괴되었다.[237]국제연맹 규약은 회원국 간의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전쟁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많은 허점을 가지고 있었다.[237]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승국들이 패전국에 대한 전후 처리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기구로 활용되면서,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의 침략 정책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237]
국제연맹은 자체적인 군사력을 보유하지 않았고, 경제 제재에만 의존했기 때문에 국제 분쟁 해결에 어려움을 겪었다.[237] 만주사변과 에티오피아 침공 등 상임이사국 관련 분쟁에 대응했지만, 현재의 유엔과 비교했을 때 상임이사국의 우월적 지위가 없어 강대국이 약소국을 움직여 여론을 만들 수 있다는 비판도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은 국제연맹의 주요 목적인 전쟁 방지에 실패했음을 보여주었다. 미국의 불참,[110] 회원국들의 소극적인 태도, 집단 안보 체제의 약점 등이 실패의 주요 원인이었다. 특히, 회원국들은 만장일치 투표제를 통해 사실상 거부권을 행사하여 효과적인 조치를 어렵게 만들었다.[110]
집단 안보 개념과 개별 국가 간의 국제 관계 사이의 모순도 국제연맹의 약점으로 작용했다. 아비시니아 사태에서 영국과 프랑스는 자국의 안보와 이탈리아의 지원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어야 했고, 결국 집단 안보 개념은 유화 정책으로 대체되었다.[1]
유고슬라비아 알렉산더 1세 암살 사건 이후 국제연맹은 테러리즘에 대한 국제적 논쟁을 벌였고, 이는 9/11 이후 테러리즘 담론에 영향을 주었다.[111]
미국의 외교사학자 새뮤얼 플래그 베미스는 국제연맹이 강대국들의 이기심과 민주주의의 쇠퇴로 인해 실패했다고 평가했다.[112]
국제연맹은 자체 군대가 없어 강대국에 의존해야 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제재와 군사 행동에 소극적이었다.[113] 영국 보수당은 국제연맹에 미온적이었고, 군축 옹호는 국제연맹의 권위를 약화시켰다.[238]
1936년 국제연맹의 평화를 위한 방송 이용 협약은 자유로운 국제 공론장을 만들려 했으나, 나치 독일과 소련 등에 의해 무시되었고, 표현의 자유를 제약한다는 비판을 받았다.[114]
국제연맹규약은 집단안보와 군축을 통해 전쟁을 예방하고, 중재를 통해 국제 분쟁을 해결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했다.[130] 그러나 인종차별철폐 제안 부결 등 인종 문제 해결에도 실패했다.
6. 2. 주요 국가들의 탈퇴
1933년 일본 제국과 나치 독일이 국제연맹을 탈퇴하였고, 1937년에는 이탈리아 왕국이 탈퇴했다.[240] 이후 추축국 진영 국가들의 탈퇴가 이어지면서 국제연맹은 대규모 분쟁 해결에 대한 한계를 드러냈다. 1925년 코스타리카가 지역 분쟁 해결 실패를 이유로, 1926년 브라질이 상임이사국 진출 실패를 계기로 각각 연맹을 탈퇴했다. 1930년대 말부터 중남미 국가들의 탈퇴가 급증했다.[240]1933년 독일에서는 바이마르 공화국이 무너지고 나치 독일이 세워졌다. 국제연맹이 일본 제국의 만주 침략을 문제 삼자 일본 제국이 탈퇴하였으며, 뒤를 이어 나치 독일이 탈퇴하였다. 1937년에는 이탈리아 왕국이 탈퇴하고 1939년에 베르사유 조약에 불만이 많았던 헝가리 왕국이 탈퇴했다.[240]
6. 3.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해체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국제연맹이 또 다른 세계 대전을 방지한다는 주요 목적에 실패했음을 보여주었다. 국제연맹은 회원국이 전쟁에 호소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그 상호간의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할 것을 명시했지만, 일본 제국과 나치 독일이 1933년에 탈퇴하였으며, 이탈리아 왕국도 1937년에 탈퇴하는 등 추축국 진영 국가들의 탈퇴가 이어지면서 대규모 분쟁 해결에 대한 한계를 노출했다.[237]국제연맹은 군대를 조직하는 등의 군사적 제재를 내릴 수 없었으며, 경제적 제재를 내리는 것에 그쳤다. 이로 인해 국제 분쟁 해결에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237] 만주사변에 관한 일본 제국에 대한 권고안과 에티오피아를 침공한 이탈리아 왕국에 대한 경제 제재 등 상임이사국과 관련된 분쟁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 대응을 했지만, 세계 속의 현실적 갈등에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었다.
1939년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을 시작으로 이듬해인 1940년 회원국이었던 프랑스가 나치 독일에 침공당했고, 같은 해 회원국인 영국마저도 나치 독일의 공습을 받으면서 국제연맹은 점차 무력화되었다. 1939년 12월 집행이사회에서 핀란드 침략(겨울 전쟁)을 이유로 소련을 제명시키고 집행이사회는 활동을 중지하였다.[242]
결국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되면서 1946년에 국제연맹은 공식 해체되었고, 국제연맹의 후신으로 1945년 10월에 현재의 국제연합(UN)이 창설되어 국제연맹에서 맡았던 직무는 UN으로 이양되었다.[242]
참조
[1]
서적
The United Nations at Age Fifty: A Leg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
웹사이트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2011-08-30
[3]
웹사이트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2009-04-20
[null]
서적
Treaty of Versailles
http://en.wikisource[...]
2010-01-23
[3]
문서
Minority Treaties
[4]
웹사이트
The women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www.latrobe.[...]
2023-10-28
[5]
웹사이트
The Elusiveness of Trust: the experience of Security Council and Iran
http://www.oldsite.t[...]
Transnational Foundation of Peace and Future Research
2008-06-27
[6]
서적
The participation of the Soviet Union in univers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 political and legal analysis of Soviet strategies and aspirations inside ILO, UNESCO and WHO
https://books.google[...]
Springer
[7]
서적
Modernism, Nationalism, and the Nove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9]
서적
The Origin, Structure & Working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books.google[...]
Lawbook Exchange Ltd
[10]
웹사이트
Perpetual Peace: A Philosophical Sketch
http://www.mtholyoke[...]
Mount Holyoke College
2008-05-16
[11]
웹사이트
Perpetual Peace
http://www.constitut[...]
Constitution Society
2011-08-30
[12]
웹사이트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World Peace--A Critique of the League of Nations Covenant
https://scholarship.[...]
[13]
서적
The League of Nations: Its life and times, 1920–1946
Leicester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Marvelous Career of Theodore Roosevelt: Including what He Has Done and Stands For; His Early Life and Public Services; the Story of His African Trip; His Memorable Journey Through Europe; and His Enthusiastic Welcome Home
https://archive.org/[...]
John C. Winston Company
[15]
웹사이트
Before the League of Nations
http://www.unog.ch/8[...]
The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2008-06-14
[16]
서적
The League of Nations: Its life and times, 1920–1946
Leicester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League of Nations and the Rule of Law, 1918–1935
https://books.google[...]
Russell & Russell
[18]
학술지
A Woman's Peace Party Full Fledged for Action
https://archive.org/[...]
2017-08-31
[19]
웹사이트
Hirschmann, Susanna Theodora Cornelia (1871–1957)
http://resources.huy[...]
Huygens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the Netherlands
2017-06-22
[20]
뉴스
Victory / Democracy / Peace / Make them secure by a League of Nations
https://newspaperarc[...]
1918-12-25
[21]
학술지
Toward the Concept of Collective Security: The Bryce Group's "Proposals for the Avoidance of War," 1914–1917
[22]
서적
International Government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23]
학술지
'On the Safe and Right Lines': The Lloyd George Government and the Origins of the League of Nations, 1916–1918
[24]
웹사이트
The League of Nations
http://www.let.rug.n[...]
American History
2013-12-10
[25]
뉴스
Text of the President's Two Speeches in Paris, Stating His Views of the Bases of a Lasting Peace
https://newspaperarc[...]
1918-12-15
[26]
웹사이트
The League of Nations: a retreat from international law?
http://www.columbia.[...]
Journal of Global History
2013-12-10
[27]
학술지
Lord Cecil and the Pacifists in the League of Nations Union
[28]
학술지
The Preamble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The Contribution of Jan Smuts
http://heinonline.or[...]
[29]
학술지
Britain and the Making of Global Order after 1919
[30]
학술지
'Families of mankind': British liberty, League internationalism, and the traffic in women and children
https://birmingham.e[...]
[31]
학술지
Creating liberal-internationalist world citizens: League of Nations Union junior branches in English secondary schools, 1919–1939
https://radar.brooke[...]
[32]
서적
Worldmaking after Empire: The Rise and Fall of Self-Determination
https://www.jstor.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9
[33]
학술지
The Library of the League of Nations at Geneva
https://www.journals[...]
1961-07
[34]
서적
The drafting of the Covenant
https://archive.org/[...]
Johnson Reprint Corp.
[35]
뉴스
Inter-Allied Women's Conference in Paris
https://www.newspape[...]
2017-08-31
[36]
뉴스
Women and the Peace Conference
https://www.newspape[...]
1919-02-18
[37]
뉴스
Women Gain Victory at Paris Conference
https://www.newspape[...]
1919-03-15
[38]
학술지
Henry Cabot Lodge and the League of Nations
[39]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Chronology
http://www.unog.ch/8[...]
The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40]
학술지
Challenges to Swiss Democracy: Neutrality, Napoleon, & Nationalism
https://scholarsarch[...]
[41]
서적
From War to Peace
Yale University Press
[42]
서적
From War to Peace
[43]
학술지
American membership of the League of Nations: US philanthropy and the transformation of an intergovernmental organisation into a think tank
[44]
웹사이트
Language and Emblem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45]
웹사이트
Chronology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www.unog.ch/[...]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46]
웹사이트
National Membership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www.indiana.e[...]
University of Indiana
[47]
웹사이트
South America
http://www.bartleby.[...]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48]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chronology
http://www.unog.ch/8[...]
United Nations
[49]
학술지
Complex structur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ttps://www.rivistew[...]
2017
[50]
웹사이트
Budget of the League
http://www.indiana.e[...]
University of Indiana
[51]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Secretariat, 1919–1946
http://biblio-archiv[...]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52]
웹사이트
Main Organs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www.ungeneva[...]
1920-12-16
[53]
웹사이트
Organization and establishment:The main bodies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web.archive.[...]
The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54]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Photo Archive
http://www.indiana.e[...]
University of Indiana
[55]
웹사이트
Chronology 1939
http://www.indiana.e[...]
University of Indiana
[56]
학술논문
Archives Distant Reading: Mapping the Activity of the League of Nations' Intellectual Cooperation
https://halshs.archi[...]
[57]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http://www.nla.gov.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58]
웹사이트
Health Organisation Correspondence 1926–1938
http://oculus.nlm.ni[...]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59]
학술지
The International Health Organization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www.jstor.or[...]
1924
[60]
웹사이트
Demise and Legacy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61]
웹사이트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http://www.indiana.e[...]
University of Indiana
[62]
웹사이트
Origins and history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63]
서적
International public health between the two world wars: the organizational problems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64]
학술지
Communicable Disease: Information, Health, and Globalization in the Interwar Period
[65]
문서
Italo-Ethiopian Dispute
British Cabinet
1935-06-18
[66]
백과사전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25
Americana Corporation
[67]
웹사이트
Nansen International Office for Refugees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68]
서적
Cambridge Igcse Moder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Hodder Education Group
[69]
학술지
Setting New Standards: International Feminism and the League of Nations' Inquiry into the Status of Women
https://www.remedial[...]
[70]
웹사이트
A Brief Survey of Women's Rights
https://www.un.org/w[...]
United Nations
2010-02-25
[71]
서적
The Economic and Financial Organization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books.google[...]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1946
[72]
서적
Order and Rivalry: Rewriting the Rules of International Trade after the First World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73]
뉴스
Woodrow Wilson Was More Racist Than Wilsonianism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15-12-03
[74]
학술지
The Mandate System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zenodo.org/r[...]
1921-07
[75]
웹사이트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Article 22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09-04-20
[76]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and Decolonization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1-09-15
[77]
학술지
The Struggle for Upper Silesia, 1919-1922
http://piotrwroblews[...]
[78]
학술지
The admission of Albania in the League of Nations
https://e-jlia.com/i[...]
2016
[79]
학술지
Settlement of the Memel Controversy
https://www.jstor.or[...]
1924
[80]
서적
Islam, secularism, and nationalism in modern Turkey
Taylor & Francis
[81]
학술지
The Case for an ‘Interim Peace-Sustainable Peace’ Dichotomy from the Middle East: Reconsidering Mosul Arbitration at its Centenary
https://ctad.hacette[...]
2023
[82]
서적
The verdict of the League
World Peace Foundation
[83]
학술지
International Affairs: The Saar Plebiscite
[84]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in the Heart of Europe
http://www.unog.ch/8[...]
United Nations
2011-09-15
[85]
학술지
Liberia, the League and the United States
1933-07
[86]
서적
The Manchurian crisis, 1931–1932: a tragedy in international relations
[87]
서적
Japan and the League of Nations: Empire and World Order, 1914–1938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8
[88]
서적
Britain between the Wars 1918–1940
[89]
학술지
The League of Nations and the Settlement of Disputes
http://www.jstor.org[...]
2024-09-03
[90]
학술지
The Chaco Dispute and the Peace System
2024-09-03
[91]
서적
Events Leading Up to World War II
Library of Congress
[92]
웹사이트
Appeal to The League of Nations:June 1936, Geneva, Switzerland
http://www.black-kin[...]
Black King
2008-06-06
[93]
서적
A History of the League of Nations
[94]
서적
The China White Paper
Stanford University Press
[95]
웹사이트
Japanese Attack on China 1937
http://www.mtholyoke[...]
Mount Holyoke University
2011-09-15
[96]
서적
The Growth of American Foreign Policy. A history
Alfred A. Knopf
[97]
서적
Stalin. Waiting for Hitler, 1929–1941
Penguin
[98]
서적
The Gathering Storm
Houghton Mufflin
[99]
웹사이트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Article 8
http://www.yale.edu/[...]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06-05-17
[100]
학술지
The Administrative Anatomy of Failure: The League of Nations Disarmament Section, 1919–1925
[101]
학술지
Making Disarmament Work: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national Disarmament Provisions in the League of Nations Covenant, 1919–1925
[102]
학술지
Gas and germ warfare: International legal history and present status
[103]
서적
The Illusion of Peace: International Relations in Europe 1918-1933
Bloomsbury Publishing
[104]
서적
History of the League of Nations
[105]
학술지
"Absolutely Irresponsible Amateurs": The Temporary Mixed Commission on Armaments, 1921-1924
[106]
논문
The Geneva Protocol of 1924 for the Pacific Settlement of International Disputes
[107]
서적
The Whispering Gallery Of Europe
https://archive.org/[...]
[108]
논문
Why did the League of Nations fail?
[109]
서적
Soldiers of the Sun: The Rise and Fall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Random House
[110]
서적
The League of Nations Union
Clarendon Press
[111]
논문
'International Terrorism' as Conspiracy: Debating Terrorism in the League of Nations
[112]
서적
American diplomatic history: two centuries of changing interpretations
[113]
서적
The Economic Weapon: The Rise of Sanctions as a Tool of Modern War
Yale University Press
[114]
논문
Liberal and Illiberal Internationalism in the Making of the League of Nations Convention on Broadcasting in the Cause of Peace
[115]
논문
La connaissance est un réseau
http://www.cairn.inf[...]
2014-10-15
[116]
서적
New Zealand in the League of Nations: The Beginnings of an Independent Foreign Policy, 1919–1939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1-11-08
[117]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Chronology
http://worldatwar.ne[...]
[118]
뉴스
League of Nations Ends, Gives Way to New U.N.
Syracuse Herald-American
1946-04-20
[119]
논문
Liquidation of League of Nations Functions
[120]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Archives 1919–1946
https://web.archive.[...]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7
[121]
논문
The League of Nations and the Great Powers, 1936-1940
http://www.jstor.org[...]
2024-07-28
[122]
논문
Back to the League of Nations
American Historical Review
2007-10-01
[123]
서적
Guide to the Archives of the League of Nations 1919–1946
United Nations
[124]
웹사이트
Digitization Programmes: Total Digital Access to the League of Nations Archives (LONTAD) Project
https://web.archive.[...]
2019-12-18
[125]
문서
ヴェルサイユ条約発効日
[126]
문서
第21回総会終了宣言日翌日
1946-04-20
[127]
웹사이트
80th anniversary of the laying of the founding stone of the Palais des Nations
https://www.unog.ch/[...]
2020-06-06
[128]
서적
The United Nations at Age Fifty: A Leg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29]
문서
国際連盟
[130]
웹사이트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2011-08-30
[131]
웹사이트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avalon.law.ya[...]
2009-04-20
[131]
웹사이트
Treaty of Versailles
http://en.wikisource[...]
2010-01-23
[132]
웹사이트
The Elusiveness of Trust: the experience of Security Council and Iran
http://www.oldsite.t[...]
Transnational Foundation of Peace and Future Research
2008-06-27
[133]
웹사이트
Château de Pregny, Geneva, Switzerland
https://family.roths[...]
2016-12-05
[134]
서적
The participation of the Soviet Union in univers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 political and legal analysis of Soviet strategies and aspirations inside ILO, UNESCO and WHO
https://books.google[...]
Springer
[135]
서적
Modernism, Nationalism, and the Nove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37]
서적
The Origin, Structure & Working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books.google[...]
Lawbook Exchange Ltd
[138]
웹사이트
Perpetual Peace: A Philosophical Sketch
https://web.archive.[...]
Mount Holyoke College
2008-05-16
[139]
웹사이트
Perpetual Peace
http://www.constitut[...]
Constitution Society
2011-08-30
[140]
서적
The League of Nations: Its life and times, 1920–1946
Leicester University Press
[141]
서적
Toward an Entangling Alliance: American Isolationism, Internationalism, and Europe, 1901–1950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42]
웹사이트
About Theodore Roosevelt
https://web.archive.[...]
2017-04-07
[143]
서적
The Marvelous Career of Theodore Roosevelt: Including what He Has Done and Stands For; His Early Life and Public Services; the Story of His African Trip; His Memorable Journey Through Europe; and His Enthusiastic Welcome Home
https://archive.org/[...]
John C. Winston Company
[144]
웹사이트
Roosevelt's Nobel Peace Prize acceptance speech
https://en.wikisourc[...]
2016-09-13
[145]
웹사이트
Before the League of Nations
http://www.unog.ch/8[...]
The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2008-06-14
[146]
서적
The League of Nations: Its life and times, 1920–1946
Leicester University Press
[147]
서적
The League of Nations and the Rule of Law, 1918–1935
https://books.google[...]
Russell & Russell
[148]
뉴스
Victory / Democracy / Peace / Make them secure by a League of Nations
https://newspaperarc[...]
1918-12-25
[149]
학술지
Toward the Concept of Collective Security: The Bryce Group's "Proposals for the Avoidance of War," 1914–1917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50]
서적
International Government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151]
학술지
‘On the Safe and Right Lines’: The Lloyd George Government and the Origins of the League of Nations, 1916–1918
[152]
서적
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 in Europe
[153]
웹사이트
The League of Nations – Karl J. Schmidt
http://www.let.rug.n[...]
American History
2013-12-10
[154]
뉴스
Text of the President's Two Speeches in Paris, Stating His Views of the Bases of a Lasting Peace
https://newspaperarc[...]
1918-12-15
[155]
웹사이트
The League of Nations: a retreat from international law?
http://www.columbia.[...]
Journal of Global History
2013-12-10
[156]
학술지
Lord Cecil and the pacifists in the League of Nations Union
[157]
학술지
The Preamble of the United Nations Charter: The Contribution of Jan Smuts
http://heinonline.or[...]
[158]
서적
The drafting of the Covenant
https://archive.org/[...]
Johnson Reprint Corp.
[159]
서적
逆転の大戦争史
文藝春秋
2018-10-10
[160]
학술지
Henry Cabot Lodge and the League of Nations
[161]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Chronology
https://web.archive.[...]
The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2015-04-04
[162]
웹사이트
Language and Emblem
http://visit.un.org/[...]
United Nations
2011-09-15
[163]
학술지
Complex structur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ttp://www.martingra[...]
2017
[164]
웹사이트
Budget of the League
http://www.indiana.e[...]
University of Indiana
2011-10-05
[165]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Secretariat, 1919–1946
http://biblio-archiv[...]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2011-09-15
[166]
문서
日本が国際連盟からの脱退を通告したことにより辞職
[167]
웹사이트
Organization and establishment:The main bodies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www.unog.ch/8[...]
The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2008-05-18
[168]
뉴스
第七回総会開く、明暗交錯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26-09-08
[169]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Photo Archive
http://www.indiana.e[...]
University of Indiana
2011-09-15
[170]
뉴스
ドイツ加入、満場一致で総会承認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26-09-09
[171]
웹사이트
Chronology 1939
http://www.indiana.e[...]
University of Indiana
2011-09-15
[172]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http://www.nla.gov.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11-09-15
[173]
웹사이트
Archives Distant Reading: Mapping the Activity of the League of Nations’ Intellectual Cooperation
https://halshs.archi[...]
Digital Humanities 2016
2017-09-15
[174]
웹사이트
Health Organisation Correspondence 1926–1938
https://oculus.nlm.n[...]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1-03-25
[175]
웹사이트
Demise and Legacy
http://visit.un.org/[...]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2011-09-15
[176]
웹사이트
Permanent Court of International Justice
http://www.indiana.e[...]
University of Indiana
2011-09-15
[177]
웹사이트
Origins and history
http://www.ilo.org/g[...]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2008-04-25
[178]
문서
British Cabinet Paper 161(35) on the "Italo-Ethiopian Dispute" and exhibiting a "Report of the Inter-Departmental Committee on British interests in Ethiopia" dated 18 June 1935 and submitted to Cabinet by Sir John Maffey
[179]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Volume 25
Americana Corporation
[180]
웹사이트
Nansen International Office for Refugees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11-08-30
[181]
서적
Cambridge Igcse Moder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Hodder Education Group
2013
[182]
웹사이트
A Brief Survey of Women's Rights
https://www.un.org/w[...]
United Nations
2011-09-15
[183]
학술지
A Woman's Peace Party Full Fledged for Action
https://archive.org/[...]
Survey Associates for the Charity Organization Society of New York City
1915-01-23
[184]
뉴스
Women Intend to End Strife
https://www.newspape[...]
The Washington Herald
1915-01-10
[185]
웹사이트
Hirschmann, Susanna Theodora Cornelia (1871–1957)
http://resources.huy[...]
Huygens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the Netherlands
2017-06-22
[186]
뉴스
Inter-Allied Women's Conference in Paris
https://www.newspape[...]
1919-05-23
[187]
뉴스
Women and the Peace Conference
https://www.newspape[...]
1919-02-18
[188]
뉴스
Women Gain Victory at Paris Conference
https://www.newspape[...]
1919-03-15
[189]
서적
The Economic and Financial Organization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books.google[...]
1946
[190]
웹사이트
Chronology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www.unog.ch/[...]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2018-10-09
[191]
웹사이트
National Membership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www.indiana.e[...]
University of Indiana
2011-09-15
[192]
뉴스
ブラジルが脱退を通告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26-06-15
[193]
학술지
The Mandate System of the League of Nations
https://zenodo.org/r[...]
1921-07
[194]
웹사이트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Article 22
http://avalon.law.ya[...]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09-04-20
[195]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and Decolonization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1-09-15
[196]
서적
Islam, secularism, and nationalism in modern Turkey
Taylor & Francis
[197]
서적
The verdict of the League
World Peace Foundation
[198]
웹사이트
The United Nations in the Heart of Europe
http://www.unog.ch/8[...]
United Nations
2011-09-15
[199]
학술지
Liberia, the League and the United States
1933-07
[200]
서적
The Manchurian crisis, 1931–1932: a tragedy in international relations
[201]
학술지
石原莞爾の対中国観を追う
https://cir.nii.ac.j[...]
2018-09
[202]
뉴스
予告期間が満了、日本脱退の効力発生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35-03-27
[203]
서적
Britain between the Wars 1918–1940
[204]
뉴스
エチオピア皇帝、総会で悲憤の演説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36-07-02
[205]
웹사이트
Appeal to The League of Nations:June 1936, Geneva, Switzerland
http://www.black-kin[...]
Black King
2008-06-06
[206]
서적
The China White Paper
Stanford University Press
[207]
웹사이트
Japanese Attack on China 1937
http://www.mtholyoke[...]
Mount Holyoke University
2011-09-15
[208]
뉴스
国際連盟がソ連に撤兵を求める最後通告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39-12-13
[209]
뉴스
ソ連、連盟の調停を拒否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39-12-14
[210]
뉴스
連盟総会、ソ連除名を決議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39-12-15
[211]
뉴스
連盟を脱退したら財界はどうなる? : まず為替相場をみる : 時事解説
東京日日新聞
1934-12-17
[212]
서적
The Growth of American Foreign Policy. A history
Alfred A. Knopf
[213]
서적
Stalin. Waiting for Hitler, 1929–1941
Penguin
[214]
서적
The Gathering Storm
Houghton Mufflin
[215]
웹사이트
The Covenant of the League of Nations:Article 8
http://www.yale.edu/[...]
The Avalon Project at Yale Law School
2006-05-17
[216]
서적
The Whispering Gallery Of Europe
https://archive.org/[...]
[217]
서적
Soldiers of the Sun: The Rise and Fall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218]
서적
The League of Nations Union
Clarendon Press
[219]
서적
Events Leading Up to World War II
Library of Congress
[220]
논문
'International Terrorism' as Conspiracy: Debating Terrorism in the League of Nations
[221]
서적
American diplomatic history: two centuries of changing interpretations
[222]
신문
連盟を脱退したら財界はどうなる? : まず為替相場をみる : 時事解説
中外商業新報
1933-02-19
[223]
서적
日本史講座 - 第9巻
東京大学出版会
[224]
문서
紛爭解決ニ至ラサルトキハ聯盟理事會ハ全會一致又ハ過半數ノ表決ニ基キ當該紛爭ノ事實ヲ述へ公正且適當ト認ムル勸告ヲ載セタル報告書ヲ作成シ之ヲ公表スヘシ
[225]
문서
聯盟理事會ノ報告書カ【紛爭當事國ノ代表者ヲ除キ】他ノ聯盟理事會員全部ノ同意ヲ得タルモノナルトキハ聯盟國ハ該報告書ノ勸告ニ應スル紛爭當事國ニ對シ戰爭ニ訴ヘサルヘキコトヲ約ス(報告書が当事国を除く理事会全部の同意を得たときは連盟国はその勧告に応じた紛争当事国に対しては戦争に訴えない)
[226]
간행물
國際聯盟離脱ニ關スル詔書ノ聖旨奉體方
外務省
1933-03-27
[227]
문서
第1次近衛内閣が国家総動員法を成立させた1938年(昭和13年)4月から7か月後の11月に、国際労働機関(ILO)を脱退したことになる。
[228]
웹사이트
日本外交文書 日中戦争
https://www.mofa.go.[...]
外務省
[229]
신문
大阪朝日新聞
1938-11-03
[230]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Chronology
http://worldatwar.ne[...]
[231]
뉴스
League of Nations Ends, Gives Way to New U.N.
Syracuse Herald-American
1946-04-20
[232]
논문
Liquidation of League of Nations Functions
[233]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Archives 1919–1946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7
[234]
웹사이트
La connaissance est un réseau
http://www.cairn.inf[...]
United Nations Office in Geneva
2014-10-15
[235]
서적
Guide to the Archives of the League of Nations 1919–1946
United Nations
[236]
웹사이트
Digitization Programmes: Total Digital Access to the League of Nations Archives (LONTAD) Project
https://www.unog.ch/[...]
2019-12-18
[237]
백과사전
국제연맹
글로벌 세계 대백과
[238]
백과사전
국제연맹
글로벌 세계 대백과
[239]
백과사전
국제연맹
글로벌 세계 대백과
[240]
뉴스
[책갈피 속의 오늘]1920년 美국제연맹 가입안 부결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2-05-28
[241]
백과사전
국제연맹의 가맹국
글로벌 세계 대백과
[242]
웹사이트
국제연맹
https://terms.naver.[...]
2018-1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