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립선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립선언은 한 국가나 특정 지역이 기존에 속해 있던 국가로부터 독립을 공식적으로 선포하는 행위로, 새로운 국가의 탄생을 알리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다. 독립선언은 민족 자결권, 자유, 민주주의 등의 가치를 바탕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독립선언문 작성, 선포, 국제사회의 승인 단계를 거친다. 독립선언은 일방적 선언, 합의에 의한 선언, 혁명이나 전쟁을 통한 선언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주권 확립, 민족 정체성 강화, 국제적 지위 향상에 기여하지만, 분쟁, 정치적 불안정, 경제적 어려움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기도 한다. 주요 독립선언 사례로는 3·1 독립선언, 미국 독립선언, 이스라엘 독립선언 등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독립선언은 민족 자결주의의 원칙을 확립하고 국제 관계의 중요한 이정표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립선언 - 미국 독립선언
    1776년 7월 4일 제2차 대륙 회의에서 채택된 미국 독립선언은 영국으로부터 13개 식민지가 독립된 주권 국가임을 선언하고, 토머스 제퍼슨이 초안을 작성하여 존 로크의 자연권 사상에 기초, 생명, 자유, 행복 추구권을 천명하며 정부의 권리 침해에 대한 국민의 저항권(혁명권)을 명시한 문서이다.
  • 독립선언 - 리투아니아 국가재건법
    리투아니아 국가재건법은 1940년 소련 점령으로 중단된 리투아니아 독립을 1990년 3월 11일에 회복하고 독립 국가임을 재확인하는 법률로, 소련의 압력과 경제 봉쇄에도 굴하지 않고 국제 사회의 지지 속에 독립을 승인받아 유엔에 가입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독립선언
개요
미국 독립 선언서
미국 독립 선언서
유형선언문
주제국가의 독립
국가미국
언어영어
발표일1776년 7월 4일
장소미국 필라델피아
서명1776년 8월 2일
관련 문서미국 헌법, 권리 장전 (미국)
역사적 배경
주요 원인미국 독립 전쟁
영국의 식민 정책에 대한 불만
주요 사건보스턴 차 사건
대륙회의 (미국) 개최
내용
핵심 내용모든 사람은 평등하게 태어났으며,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가진다.
정부는 국민의 동의에 의해 정당성을 가진다.
정부가 국민의 권리를 침해할 경우, 국민은 정부를 변경하거나 폐지할 권리가 있다.
주요 인물토머스 제퍼슨 (주 작성자)
존 애덤스
벤저민 프랭클린
영향
국내 영향미국 독립의 기초
미국 헌법 제정의 토대
민주주의 이념 확산
국제적 영향다른 국가의 독립 운동에 영감 제공
인권과 자유의 가치 확산
법적 지위
미국 내 법적 효력독립 선언 자체는 법적 구속력을 가지지 않음
미국 헌법의 해석에 중요한 영향
국제법적 지위국가의 독립을 선언하는 행위의 정당성에 대한 논쟁 존재
기타 정보
서명자 수56명
원본 보관 장소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
관련 기념일독립 기념일 (7월 4일)

2. 독립선언의 정의

독립선언은 한 국가나 민족이 다른 국가의 지배나 통제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주권 국가를 수립하겠다는 의지를 공식적으로 표명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선언은 해당 국가나 민족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새로운 국가의 탄생을 알리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

독립선언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 독립의 당위성: 왜 해당 국가나 민족이 독립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와 명분을 밝힌다. 주로 역사적, 문화적, 민족적 정체성, 그리고 자유와 자결권에 대한 열망 등을 강조한다.
  • 독립 국가의 수립 선포: 새로운 독립 국가의 탄생을 공식적으로 선언하고, 그 국가의 이름, 국기, 국가 등의 상징을 명시한다.
  • 새로운 정부 구성: 독립 국가를 이끌어갈 새로운 정부의 구성 원칙과 형태를 제시한다.
  • 국제 사회에 대한 호소: 국제 사회에 독립 국가로서의 지위와 주권을 인정받기 위한 호소와 협력 의지를 표명한다.


독립선언은 단순히 정치적인 행위를 넘어, 해당 국가나 민족 구성원들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고취하고, 새로운 미래를 향한 희망과 기대를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국제 사회에서는 새로운 국가의 탄생을 알리고, 그 국가와의 외교 관계 수립 및 국제법적 지위 부여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독립선언이 반드시 국제법적인 효력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국제법적으로 독립 국가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다른 국가들의 승인과 UN 등 국제기구의 회원 가입 절차가 필요하다.

3. 독립선언의 요건

국제법상 독립선언은 특정 요건을 갖춰야 효력을 인정받는다. 일반적으로 국가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정부, 국민, 영토, 주권의 네 가지 요소가 필요하며, 독립선언은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고 있음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행위이다.[19]

독립선언은 단순히 선언문을 발표하는 것 외에도, 실질적인 독립 의지를 보여주는 여러 행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본 통치 시대의 조선의 3·1 독립 선언(1919년)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으로 이어져 독립을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여러 국가들의 독립선언을 정리한 표이다.

국가선언날짜관계국서명자최초 승인국
알바니아Alb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알바니아 독립 선언영어1912년 11월 28일오스만 제국블로러 의회오스트리아-헝가리
라플라타 연합 (현재의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볼리비아)Argentine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르헨티나 독립 선언영어1816년 7월 9일스페인투쿠만 회의하와이 왕국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Armenia (1918)|아르메니아 독립 선언영어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아르메니아 국민 회의,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 (ARF Dashnak)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 독립 선언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아제르바이잔 국민 평의회 (하산 베이 아가예프, 파탈리 칸 호이스키, 나시브 유시프베일리, 자모 베이 하진스키, 셰피 베이 루스탐베일리, 나리만 베이 나리만베요프, 자바드 말리크-예가노프, 무스타파 마흐무도프)오스만 제국
아자와드아자와드 독립 선언2012년 4월 6일말리아자와드 해방 민족 운동
방글라데시Proclamation of Bangladeshi Independence|방글라데시 독립 선언영어1971년 3월 26일파키스탄Constituent Assembly of Bangladesh|방글라데시 제헌 의회영어부탄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Third Constituent Charter1918년 3월 25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벨라루스 민주 공화국 라다
백러시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독립 선언의 성명1920년 7월 31일폴란드 제2공화국백러시아 공산당, 노동 조합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백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Declaration of State Sovereignty of the Belarusian Soviet Socialist Republic|label=국가 주권 선언영어1990년 7월 27일소련최고 회의터키
벨기에벨기에 독립 선언1830년 10월 4일Kingdom of the Netherlands|네덜란드 왕국영어벨기에 임시 정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992 Bosnian independence referendum|label=보스니아 독립 선언영어1992년 3월 1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불가리아
브라질 제국브라질 독립1822년 9월 7일포르투갈 왕국페드루 1세미국 (1820년)
부건빌 섬Bougainville Civil War|label=부건빌 독립 선언영어1990년 5월파푸아뉴기니부건빌 임시 정부
불가리아Bulga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불가리아 독립 선언영어1908년 9월 22일오스만 제국페르디난트, Government of Bulgaria|불가리아 정부영어Russian Empire|러시아 제국영어 (1909년 2월 5일)
버마 (1948년)Burmes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버마 독립 선언영어1948년 1월 4일영국
카탈루냐이베리아 연방의 주로서의 카탈루냐 공화국 선언1931년 4월 14일스페인프란세스크 마시아, 카탈루냐 주 정부
카탈루냐스페인 연방 공화국 내의 카탈루냐 국가 선언1934년 10월 6일스페인 제2공화국류이스 쿰파니스, 카탈루냐 주 정부
카탈루냐카탈루냐 독립 선언2017년 10월 27일스페인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Act of Independence of Central America|중앙 아메리카 독립법영어1821년 9월 15일스페인
칠레Chil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칠레 독립 선언영어1818년 2월 12일스페인칠레 국민 의회포르투갈 (1816년)
콜롬비아Colomb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콜롬비아 독립 선언영어1810년 7월 20일스페인
코모로Como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코모로 독립 선언영어1975년 7월 6일프랑스아흐메드 압달라기니
크로아티아 (1990년)크로아티아 공화국의 독립과 주권 국가 성립 선언1991년 7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아이슬란드
크림 공화국크림 독립 선언2014년 3월 11일우크라이나Supreme Council of Crimea|크림 최고 회의영어러시아
체코슬로바키아 (1918년)Czechoslovak Declaration of Independence|체코슬로바키아 독립 선언영어1918년 10월 18일오스트리아-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 국민 회의미국 (1912년)
도미니카 공화국 (1844년)도미니카 독립 선언1844년 2월 27일아이티영국
동티모르 (1975년)동티모르 독립 선언1975년 11월 28일포르투갈모로코
이집트 (1922년)Unilateral Declaration of Egyptian Independence|label=일방적인 독립 선언영어1922년 2월 28일영국영국 정부에 의한 일방적인 독립 허가영국
에스토니아Esto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영어1918년 2월 24일Russian Empire|러시아 제국영어Salvation Committee|에스토니아 구국 위원회영어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에스토니아에스토니아의 독립 회복1991년 4월 20일소련에스토니아 의회아이슬란드 (이전 인식을 재확인)
핀란드핀란드 독립 선언1917년 12월 6일Russian Empire|러시아 제국영어에두스쿤타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Florida in the American Civil War|플로리다 주영어플로리다 주 헌법 (1861년)1861년 1월 10일미국 (1859년)플로리다 주 의회
Republic of Galicia|갈리시아 공화국영어갈리시아 독립 선언1931년 7월 27일스페인
조지아 민주 공화국Georg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918|1918년 조지아 독립 선언영어1918년 5월 26일Russian Empire|러시아 제국영어바이마르 공화국
조지아조지아의 독립 회복1991년 4월 9일[19]소련최고 회의스위스
Georgia in the American Civil War|조지아 주영어조지아 주 탈퇴 선언1861년 1월 29일미국 (1861년)
Kingdom of Greece|그리스 왕국영어그리스 독립 선언1822년 1월 1일 (율리우스력)오스만 제국제1차 에피다우로스 국민 의회아이티 (1820년) (1822년)
기니비사우기니비사우 독립 선언1973년 9월 24일포르투갈
아이티 (1804년)Hait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이티 독립 선언영어1804년 1월 1일프랑스 제1제정장 자크 데살린프랑스 (1825년 4월 17일)[20]
헝가리헝가리 독립 선언1849년 4월 14일합스부르크 왕조
아이슬란드아이슬란드 독립 선언1944년 7월 17일덴마크미국 (1912년)
이라크 왕국이라크 독립 선언1932년 10월 3일영국영국
인도푸르나 스와라지1930년 1월 26일영국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독립 선언1945년 8월 17일네덜란드수카르노와 모하마드 하타이집트 왕국, 바티칸 시국[21]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영어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 선언영어1916년 4월 24일 (이스터 먼데이)영국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 임시 정부영어
아일랜드Irish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일랜드 독립 선언영어1919년 1월 21일영국도일 에이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이스라엘이스라엘 독립 선언1948년 5월 14일영국유대 민족 평의회미국 (1912년)
카탕가국카탕가 독립 선언1960년콩고 공화국 (레오폴드빌)
일본 통치 시대의 조선기미독립선언서|3·1 독립 선언서한국어1919년 3월 1일일본 제국대한민국 임시 정부中華民國 (1912–1949)|중화민국중국어 (1933년)
북부 솔로몬 공화국독립 선언1975년 9월 1일:en:Territory of Papua and New Guinea (오스트레일리아)불명바티칸 시국
코소보코소보 독립 선언2008년 2월 17일세르비아, 국제 연합 코소보 임시 행정 기구민주적으로 선출된 우리의 지도자코스타리카
코소보 공화국코소보 공화국 선언1992년 9월 22일유고슬라비아코소보 의회알바니아
라트비아라트비아 독립 선언1918년 11월 18일바이마르 공화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라트비아 인민 평의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라트비아라트비아 공화국 독립 회복에 관하여1990년 5월 4일소련최고 회의아이슬란드
라이베리아Libe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라이베리아 독립 선언영어1847년 7월 16일미국 식민 협회라이베리아 헌법 제정 회의영국
리투아니아 (1918년)리투아니아 독립 선언1918년 2월 16일독일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리투아니아 평의회바이마르 공화국
리투아니아 (1988년)리투아니아 국가 재건법1990년 3월 11일소련최고 회의아이슬란드
Republic of Lower Canada|로워 캐나다 공화국영어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Lower Canada|로워 캐나다 독립 선언영어1838년 2월 22일영국로버트 넬슨없음
북마케도니아독립 선언1991년 9월 8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불가리아
말라야 (1957년) (현재의 말레이시아)1957년 말라야 연방 독립법1957년 8월 31일영국툰쿠 압둘 라만 (말라야 연방 총리)영국[22]
Mississippi in the American Civil War|미시시피 주영어탈퇴 선언1861년 1월 9일미국 (1859년)
멕시코 제1제국 (현재의 멕시코)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Mexican Empire|멕시코 제국 독립 선언영어 (실질적인 독립)1821년 9월 28일스페인최고 임시 정부 위원회영국 (1825년 1월 4일)[23]
몰도바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Moldova|몰도바 공화국 독립 선언영어1991년 8월 27일소련몰도바 공화국 의회루마니아
모로코모로코 독립 선언1944년 1월 11일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이스티클랄당
몬테네그로독립 선언2006년 6월 3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의회아이슬란드
Kingdom of the Netherlands|네덜란드 왕국|1581영어Act of Abjuration|통치 부인령영어1581년 7월 26일스페인 제국위트레흐트 동맹
United Tribes of New Zealand|뉴질랜드 부족 연합영어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New Zealand|뉴질랜드 독립 선언영어1835년 10월 28일마오리 추장영국[24]
누에바에스파냐 (현재의 멕시코)북아메리카 독립 선언 엄숙법1813년 11월 6일스페인아나우악 회의
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독립 선언1983년 11월 15일키프로스터키
Autonomous Republic of Northern Epirus|북이피로스 자치 공화국영어Northern Epirot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북이피로스 독립 선언영어1914년 2월 28일알바니아 공국북이피로스 임시 정부
노르웨이 (1814년)스웨덴-노르웨이의 주권 하에 성립된 노르웨이 독립 선언, 노르웨이 헌법 제정1814년 5월 17일덴마크-노르웨이 (킬 조약)노르웨이 제헌 의회
파다니아Pad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파다니아 독립 선언영어1996년 9월 15일이탈리아
파키스탄Lahore Resolution|라호르 결의영어1940년 3월 24일영국무슬림 연맹
State of Palestine|팔레스타인국영어팔레스타인 독립 선언1988년 11월 15일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요르단 (1988년까지 요르단강 서안 지구 영유 주장)팔레스타인 민족 평의회아랍 연맹
페루독립 선언1821년 7월 28일스페인호세 데 산 마르틴아르헨티나
필리핀필리핀 독립 선언1898년 6월 12일스페인필리핀 독재 정부 대표 98명[25] (말롤로스 의회에 의해 1898년 9월 29일에 비준됨[26])
로디지아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Rhodesia)|일방적인 독립 선언영어1965년 11월 11일영국이안 스미스와 내각 일동없음
루마니아Romanian War of Independence|독립 선언영어1877년 5월 22일오스만 제국카롤 1세
러시아 (1991년)벨로베시 합의1991년 12월 12일소련최고 회의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빌라 라후 선언1976년 2월 27일스페인령 사하라폴리사리오 전선마다가스카르
Kingdom of Scotland|스코틀랜드 왕국|1542영어아브로스 선언1320년 4월 6일Kingdom of England|잉글랜드 왕국영어스코틀랜드 지도자
세르비아선언 (Proglašenije/Проглашеније)1809년 2월오스만 제국카라조르제와 세르비아 의원
싱가포르독립 선언[27]1965년 8월 9일말레이시아[28][29]리콴유 (싱가포르의 총리)영국 (이전 인식 재확인)[30]
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민족 독립 선언1992년 7월 17일체코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국민 의회
슬로베니아독립 선언1991년 6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크로아티아
소말릴란드Somaliland Declaration of Independence|소말릴란드 독립 선언영어1991년 5월 18일소말리아없음
South Carolina in the American Civil War|사우스캐롤라이나 주영어South Carolina Declaration of Secession|탈퇴 선언영어1860년 12월 24일미국 (1859년)찰스턴의 주 민간인
스리랑카 (1948년)독립 선언 (당시는 "실론")1948년 2월 4일영국
텍사스 공화국텍사스 독립 선언1836년 3월 2일멕시코프랑스 (1794년)
Texas in the American Civil War|텍사스 주영어탈퇴 선언1861년 2월 1일미국 (1859년)텍사스 주 의회
티베트독립 선언1913년청나라달라이 라마 13세


3. 1. 독립선언의 주체

국제 연합 코소보 임시 행정 기구민주적으로 선출된 우리의 지도자[19]코소보 공화국코소보 공화국 선언유고슬라비아코소보 의회라트비아 독립 선언바이마르 공화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라트비아 인민 평의회라트비아 공화국 독립 회복에 관하여소련최고 회의Libe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라이베리아 독립 선언영어미국 식민 협회라이베리아 헌법 제정 회의리투아니아 독립 선언독일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리투아니아 평의회리투아니아 국가 재건법소련최고 회의 Republic of Lower Canada|로워 캐나다 공화국영어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Lower Canada|로워 캐나다 독립 선언영어영국로버트 넬슨 북마케도니아독립 선언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현재의 말레이시아)1957년 말라야 연방 독립법영국툰쿠 압둘 라만 (말라야 연방 총리) Mississippi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미시시피 주영어탈퇴 선언미국멕시코 제1제국 (현재의 멕시코)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Mexican Empire|멕시코 제국 독립 선언영어 (실질적인 독립)스페인최고 임시 정부 위원회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Moldova|몰도바 공화국 독립 선언영어소련몰도바 공화국 의회모로코 독립 선언프랑스이스티클랄당독립 선언세르비아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의회Act of Abjuration|통치 부인령영어스페인 제국위트레흐트 동맹 United Tribes of New Zealand|뉴질랜드 부족 연합영어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New Zealand|뉴질랜드 독립 선언영어마오리 추장 누에바에스파냐 (현재의 멕시코)북아메리카 독립 선언 엄숙법스페인아나우악 회의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독립 선언키프로스 Autonomous Republic of Northern Epirus|북이피로스 자치 공화국영어Northern Epirot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북이피로스 독립 선언영어알바니아북이피로스 임시 정부
Kingdom of Norway (1814)|label=노르웨이 왕국영어노르웨이 독립 선언 (Sweden–Norway|스웨덴-노르웨이영어)의 주권 하 직후, 노르웨이 헌법덴마크-노르웨이 (킬 조약)노르웨이 제헌 의회파다니아Pad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파다니아 독립 선언영어이탈리아Lahore Resolution|라호르 결의영어영국무슬림 연맹팔레스타인 독립 선언이스라엘, 요르단 (1988년까지 요르단강 서안 지구 영유 주장)팔레스타인 민족 평의회 페루독립 선언스페인호세 데 산 마르틴 필리핀필리핀 독립 선언스페인필리핀 독재 정부 대표 98명[25] (말롤로스 의회에 의해 1898년 9월 29일에 비준됨[26])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Rhodesia)|label=일방적인 독립 선언영어영국이안 스미스와 내각 일동Romanian War of Independence|label=독립 선언영어오스만 제국카롤 1세벨로베시 합의소련최고 회의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빌라 라후 선언스페인령 사하라폴리사리오 전선아브로스 선언잉글랜드 왕국스코틀랜드 지도자 세르비아선언 (Proglašenije/Проглашеније)오스만 제국카라조르제와 세르비아 의원독립 선언[27]말레이시아[28][29]리콴유 (싱가포르의 총리)슬로바키아 민족 독립 선언체코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국민 의회독립 선언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omaliland Declaration of Independence|소말릴란드 독립 선언영어소말리아 South Carolina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사우스캐롤라이나 주영어South Carolina Declaration of Secession|label=탈퇴 선언영어미국찰스턴의 주 민간인독립 선언 (당시는 "실론")영국텍사스 공화국텍사스 독립 선언멕시코 Texas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텍사스 주영어탈퇴 선언미국텍사스 주 의회티베트독립 선언중화민국13대 달라이 라마


3. 2. 독립선언의 대상

일본 통치 시대의 조선은 1919년 3월 1일에 기미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일본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 선언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1933년 중화민국에 의해 최초로 승인되었다.[20]

3. 3. 독립선언의 명분

(현재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볼리비아)Argentine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르헨티나 독립선언영어1816년 7월 9일스페인:en:Congress of Tucumán하와이 왕국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Armenia (1918)|아르메니아 독립선언영어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en:Armenian National Congress (1917) ARF Dashnak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 독립 선언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en:Azerbaijani National Council (:en:Hasan bey Aghayev, :en:Fatali Khan Khoyski, :en:Nasib Yusifbeyli, :en:Jamo bey Hajinski, Şefi bey Rustambeyli, :en:Nariman bey Narimanbeyov, :en:Javad Malik-Yeganov, :en:Mustafa Mahmudov)오스만 제국아자와드아자와드 독립 선언2012년 4월 6일말리아자와드 해방 민족 운동방글라데시Proclamation of Bangladeshi Independence|방글라데시 독립선언영어1971년 3월 26일파키스탄Constituent Assembly of Bangladesh|방글라데시 제헌의회영어부탄벨라루스 인민 공화국Third Constituent Charter1918년 3월 25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en:Rada of the Belarusian Democratic Republic백러시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독립 선언의 성명1920년 7월 31일1919백러시아 공산당, 노동 조합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백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Declaration of State Sovereignty of the Belarusian Soviet Socialist Republic|국가 주권 선언영어1990년 7월 27일소련최고 회의터키벨기에벨기에 독립 선언1830년 10월 4일Kingdom of the Netherlands|네덜란드 왕국영어:en:Provisional Government of Belgium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992 Bosnian independence referendum|보스니아 독립 선언영어1992년 3월 1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불가리아브라질 제국브라질 독립1822년 9월 7일1816페드루 1세1820부건빌 섬Bougainville Civil War|부건빌 독립 선언영어1990년 5월파푸아뉴기니:en:Bougainville Interim Government불가리아Bulga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불가리아 독립선언영어1908년 9월 22일오스만 제국페르디난트, Government of Bulgaria|불가리아 정부영어Russian Empire|러시아 제국영어 (1909년 2월 5일)1948Burmes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버마 독립선언영어1948년 1월 4일영국카탈루냐이베리아 연방의 주로서의 카탈루냐 공화국 선언1931년 4월 14일스페인:en:Francesc Macià, 카탈루냐 주 정부카탈루냐스페인 연방 공화국 내의 카탈루냐 국가 선언1934년 10월 6일스페인:en:Lluís Companys, 카탈루냐 주 정부카탈루냐카탈루냐 독립 선언2017년 10월 27일스페인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Act of Independence of Central America|중앙아메리카 독립법영어1821년 9월 15일스페인칠레Chil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칠레 독립선언영어1818년 2월 12일스페인국민 의회1816콜롬비아Colomb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콜롬비아 독립선언영어1810년 7월 20일스페인코모로Como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코모로 독립선언영어1975년 7월 6일프랑스[-]기니1990크로아티아 공화국의 독립과 주권 국가의 성립 선언1991년 7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아이슬란드크림 공화국크림 독립 선언2014년 3월 11일우크라이나Supreme Council of Crimea|크림 최고회의영어러시아1918Czechoslovak Declaration of Independence|체코슬로바키아 독립선언영어1918년 10월 18일오스트리아-헝가리:en:Czechoslovak National Council19121844도미니카 독립 선언1844년 2월 27일아이티영국1975동티모르 독립 선언1975년 11월 28일포르투갈모로코1922Unilateral Declaration of Egyptian Independence|일방적인 독립 선언영어1922년 2월 28일영국영국 정부에 의한 일방적인 독립 허가영국에스토니아Esto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에스토니아 독립선언영어1918년 2월 24일Russian Empire|러시아 제국영어Salvation Committee|에스토니아 구세위원회영어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스토니아에스토니아의 독립 회복1991년 4월 20일소련:en:Congress of Estonia아이슬란드 (이전 인식을 재확인)핀란드핀란드 독립 선언1917년 12월 6일Russian Empire|러시아 제국영어에두스쿤타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Florida in the American Civil War|플로리다 주영어플로리다 주 헌법 (1861년)1861년 1월 10일1859플로리다 주 의회Republic of Galicia|갈리시아 공화국영어갈리시아 독립 선언1931년 7월 27일스페인조지아 민주 공화국Georg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918|조지아 독립선언영어1918년 5월 26일Russian Empire|러시아 제국영어바이마르 공화국조지아조지아의 독립 회복1991년 4월 9일[19]소련최고 회의스위스Georgia in the American Civil War|조지아 주영어조지아 주 탈퇴 선언1861년 1월 29일1861Kingdom of Greece|그리스 왕국영어그리스 독립 선언1822년 1월 1일(율리우스력)오스만 제국제1회 에피다우로스 국민 의회1820 (1822년)기니비사우기니비사우 독립 선언1973년 9월 24일포르투갈civilHait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이티 독립선언영어1804년 1월 1일프랑스 제1 제정장 자크 데살린프랑스 (1825년 4월 17일)[20]헝가리헝가리 독립 선언1849년 4월 14일합스부르크 제국아이슬란드아이슬란드 독립 선언1944년 7월 17일덴마크1912이라크 왕국이라크 독립 선언1932년 10월 3일영국영국인도풀나 스와라지1930년 1월 26일영국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독립 선언1945년 8월 17일Kingdom of the Netherlands|네덜란드 왕국영어수카르노와 모하마드 하타이집트 왕국, 바티칸 시국[21]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영어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 선언영어1916년 4월 24일(이스터 먼데이)영국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 임시정부영어아일랜드Irish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일랜드 독립선언영어1919년 1월 21일영국도일 에이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스라엘이스라엘 독립 선언1948년 5월 14일영국유대 민족 평의회1912카탕가 공화국카탕가 독립 선언1960년콩고 공화국일본 통치 시대의 조선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기미독립선언서영어1919년 3월 1일일본 제국대한민국 임시 정부中華民國 (1912–1949)|중화민국중국어 (1933년)북부 솔로몬 공화국독립 선언1975년 9월 1일:en:Territory of Papua and New Guinea (오스트레일리아)불명바티칸 시국코소보코소보 독립 선언2008년 2월 17일2004, 국제 연합 코소보 임시 행정 기구민주적으로 선출된 우리의 지도자코스타리카코소보 공화국코소보 공화국 선언1992년 9월 22일유고슬라비아코소보 의회알바니아라트비아라트비아 독립 선언1918년 11월 18일바이마르 공화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라트비아 인민 평의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라트비아라트비아의 독립 회복에 관하여1990년 5월 4일소련최고 회의아이슬란드라이베리아Libe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라이베리아 독립선언영어1847년 7월 16일미국 식민 협회라이베리아 헌법 제정 회의영국1918리투아니아 독립 선언1918년 2월 16일독일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en:Council of Lithuania바이마르 공화국1988:en:Act of the Re-Establishment of the State of Lithuania1990년 3월 11일소련:en:Supreme Council of Lithuania아이슬란드Republic of Lower Canada|로워 캐나다 공화국영어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Lower Canada|로워 캐나다 독립선언영어1838년 2월 22일영국로버트 넬슨없음마케도니아독립 선언1991년 9월 8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불가리아1957
(현재의 말레이시아):en:Federation of Malaya Independence Act 19571957년 8월 31일영국툰쿠 압둘 라만 (말라야 연방 총리)영국[22]Mississippi in the American Civil War|미시시피 주영어탈퇴 선언1861년 1월 9일1859멕시코 제1 제국
(현재 멕시코)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Mexican Empire|멕시코 제국 독립선언영어1821년 9월 28일1785Supreme Provisional Governmental Board영국 (1825년 1월 4일)[23]몰도바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Moldova|몰도바 독립선언영어1991년 8월 27일소련몰도바 공화국 의회루마니아모로코모로코 독립 선언1944년 1월 11일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이스티클랄당몬테네그로독립 선언2006년 6월 3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의회아이슬란드Kingdom of the Netherlands|네덜란드 왕국|1581영어Act of Abjuration|통치부인령영어1581년 7월 26일스페인 제국위트레흐트 동맹United Tribes of New Zealand|뉴질랜드 부족 연합국영어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New Zealand|뉴질랜드 독립선언영어1835년 10월 28일—마오리 추장영국[24]누에바 에스파냐
(현재 멕시코)북아메리카 독립의 엄숙한 선언1813년 11월 6일1785아나와크 회의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독립 선언1983년 11월 15일1960터키Autonomous Republic of Northern Epirus|북이피로스 자치 공화국영어Northern Epirot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북이피로스 독립선언영어1914년 2월 28일알바니아 공국북이피로스 임시 정부1814
스웨덴-노르웨이의 주권 하에 성립된 노르웨이 독립 선언, 노르웨이 헌법 제정1814년 5월 17일덴마크-노르웨이 (킬 조약):en:Norwegian Constituent Assembly파다니아Pad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파다니아 독립선언영어1996년 9월 15일이탈리아파키스탄Lahore Resolution|라호르 결의영어1940년 3월 24일영국:en:Muslim League (Pakistan)State of Palestine|팔레스타인국영어팔레스타인 독립 선언1988년 11월 15일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요르단 (1988년까지 요르단강 서안 지구 영유 주장)팔레스타인 민족 평의회아랍 연맹페루독립 선언1821년 7월 28일1785호세 데 산 마르틴아르헨티나필리핀필리핀 독립 선언1898년 6월 12일1785독재 정권 대표 98명[25] (말롤로스 의회에 의해 1898년 9월 29일에 비준됨[26])로디지아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Rhodesia)|일방적인 독립 선언영어1965년 11월 11일영국이안 스미스와 내각 일동없음루마니아Romanian War of Independence|독립 선언영어1877년 5월 22일오스만 제국카롤 1세1991벨로베시 합의1991년 12월 12일소련최고 회의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빌라 라후 선언1976년 2월 27일스페인령 사하라폴리사리오 전선마다가스카르Kingdom of Scotland|스코틀랜드 왕국|1542영어아브로스 선언1320년 4월 6일Kingdom of England|잉글랜드 왕국영어스코틀랜드 지도자세르비아선언 (Proglašenije/Проглашеније)1809년 2월오스만 제국카라조르제와 세르비아 의원싱가포르독립 선언[27]1965년 8월 9일말레이시아[28][29]리콴유 (싱가포르 총리)영국 (이전 인식 재확인)[30]슬로바키아독립 선언1992년 7월 17일체코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국민 의회슬로베니아독립 선언1991년 6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크로아티아소말릴란드Somaliland Declaration of Independence|소말릴란드 독립선언영어1991년 5월 18일소말리아없음South Carolina in the American Civil War|사우스캐롤라이나 주영어South Carolina Declaration of Secession|탈퇴 선언영어1860년 12월 24일1859찰스턴의 주 민간인1948독립 선언 (당시는 "실론")1948년 2월 4일영국텍사스 공화국텍사스 독립 선언1836년 3월 2일멕시코1794Texas in the American Civil War|텍사스 주영어탈퇴 선언1861년 2월 1일1859텍사스 주 의회티베트독립 선언1913년청나라달라이 라마 13세


4. 독립선언의 절차

1919년 3·1 운동 당시 발표된 기미독립선언서는 己未独立宣言書|기미독립선언서일본어라고도 불리며, 일본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1] 이 선언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중화민국이 1933년에 최초로 승인하였다.[21]

국가선언날짜관계국서명자최초 승인국
알바니아Alb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알바니아 독립 선언영어1912년 11월 28일오스만 제국:en:Assembly of Vlorë오스트리아-헝가리
라플라타 연합
(현재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볼리비아)
Argentine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르헨티나 독립 선언영어1816년 7월 9일스페인:en:Congress of Tucumán하와이 왕국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Armenia (1918)|아르메니아 독립 선언 (1918)영어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en:Armenian National Congress (1917) :en:Armenian Revolutionary Federation (ARF Dashnak)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 독립 선언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en:Azerbaijani National Council (:en:Hasan bey Aghayev, :en:Fatali Khan Khoyski, :en:Nasib Yusifbeyli, :en:Jamo bey Hajinski, Şefi bey Rustambeyli, :en:Nariman bey Narimanbeyov, :en:Javad Malik-Yeganov, :en:Mustafa Mahmudov)오스만 제국
아자와드아자와드 독립 선언2012년 4월 6일말리아자와드 해방 민족 운동
방글라데시Proclamation of Bangladeshi Independence|방글라데시 독립 선언영어1971년 3월 26일파키스탄Constituent Assembly of Bangladesh|방글라데시 제헌 의회영어부탄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Third Constituent Charter1918년 3월 25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en:Rada of the Belarusian Democratic Republic
백러시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독립 선언의 성명1920년 7월 31일폴란드 제2공화국백러시아 공산당, 노동 조합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백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Declaration of State Sovereignty of the Belarusian Soviet Socialist Republic|label=국가 주권 선언영어1990년 7월 27일소련최고 회의터키
벨기에벨기에 독립 선언1830년 10월 4일네덜란드:en:Provisional Government of Belgium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992 Bosnian independence referendum|label=보스니아 독립 선언영어1992년 3월 1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불가리아
브라질 제국브라질 독립1822년 9월 7일포르투갈페드루 1세미국
부건빌 섬Bougainville Civil War|label=부건빌 독립 선언영어1990년 5월파푸아뉴기니:en:Bougainville Interim Government
불가리아Bulga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불가리아 독립 선언영어1908년 9월 22일오스만 제국페르디난트, Government of Bulgaria|불가리아 정부영어러시아 제국 (1909년 2월 5일)
미얀마Burmes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버마 독립 선언영어1948년 1월 4일영국
카탈루냐이베리아 연방의 주로서의 카탈루냐 공화국 선언1931년 4월 14일 스페인:en:Francesc Macià, 카탈루냐 주 정부
카탈루냐스페인 연방 공화국 내의 카탈루냐 국가 선언1934년 10월 6일 스페인:en:Lluís Companys, 카탈루냐 주 정부
카탈루냐카탈루냐 독립 선언2017년 10월 27일스페인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Act of Independence of Central America|중앙아메리카 독립법영어1821년 9월 15일 스페인
칠레Chil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칠레 독립 선언영어1818년 2월 12일 스페인국민 의회포르투갈
콜롬비아Colomb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콜롬비아 독립 선언영어1810년 7월 20일 스페인
코모로Como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코모로 독립 선언영어1975년 7월 6일프랑스:en:-기니
크로아티아크로아티아 공화국의 독립과 주권 국가의 성립 선언1991년 7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아이슬란드
크림 공화국크림 독립 선언2014년 3월 11일우크라이나Supreme Council of Crimea|크림 최고회의영어러시아
체코슬로바키아Czechoslovak Declaration of Independence|체코슬로바키아 독립 선언영어1918년 10월 18일오스트리아-헝가리:en:Czechoslovak National Council미국
도미니카 공화국도미니카 독립 선언1844년 2월 27일 아이티영국
동티모르동티모르 독립 선언1975년 11월 28일포르투갈모로코
이집트Unilateral Declaration of Egyptian Independence|label=일방적인 독립 선언영어1922년 2월 28일영국영국 정부에 의한 일방적인 독립 허가영국
에스토니아Esto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영어1918년 2월 24일러시아 제국Salvation Committee|에스토니아 구세 위원회영어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에스토니아에스토니아의 독립 회복1991년 4월 20일소련:en:Congress of Estonia아이슬란드 (이전 인식을 재확인)
핀란드핀란드 독립 선언1917년 12월 6일러시아 제국에두스쿤타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Florida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플로리다 주영어플로리다 주 헌법 (1861년)1861년 1월 10일미국플로리다 주 의회
Republic of Galicia|갈리시아 공화국영어갈리시아 독립 선언1931년 7월 27일 스페인
조지아 민주 공화국Georg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918|조지아 독립 선언, 1918영어1918년 5월 26일러시아 제국바이마르 공화국
조지아조지아의 독립 회복1991년 4월 9일[19]소련최고 회의스위스
Georgia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조지아 주영어조지아 주 탈퇴 선언1861년 1월 29일미국
그리스그리스 독립 선언1822년 1월 1일 (율리우스력)오스만 제국제1회 에피다우로스 국민 의회아이티 (1822년)
기니비사우기니비사우 독립 선언1973년 9월 24일포르투갈
아이티Hait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이티 독립 선언영어1804년 1월 1일프랑스장 자크 데살린 프랑스 (1825년 4월 17일)[20]
헝가리헝가리 독립 선언1849년 4월 14일합스부르크 제국
아이슬란드아이슬란드 독립 선언1944년 7월 17일덴마크미국
이라크 왕국이라크 독립 선언1932년 10월 3일영국영국
인도풀나 스와라지1930년 1월 26일영국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독립 선언1945년 8월 17일네덜란드수카르노와 모하마드 하타이집트 왕국, 바티칸[21]
아일랜드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 선포영어1916년 4월 24일 (이스터 먼데이)영국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 임시 정부영어
아일랜드Irish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일랜드 독립 선언영어1919년 1월 21일영국도일 에이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이스라엘이스라엘 독립 선언1948년 5월 14일영국유대 민족 평의회미국
카탕가국카탕가 독립 선언1960년 콩고 공화국
일본 통치 시대의 조선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기미독립선언서영어1919년 3월 1일일본 제국대한민국 임시 정부중화민국 (1933년)
북부 솔로몬 공화국독립 선언1975년 9월 1일 :en:Territory of Papua and New Guinea (오스트레일리아)불명바티칸
코소보코소보 독립 선언2008년 2월 17일세르비아
국제 연합 코소보 임시 행정 기구
민주적으로 선출된 우리의 지도자코스타리카
코소보 공화국코소보 공화국 선언1992년 9월 22일유고슬라비아코소보 의회알바니아
라트비아라트비아 독립 선언1918년 11월 18일바이마르 공화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라트비아 인민 평의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라트비아라트비아의 독립 회복에 관하여1990년 5월 4일소련최고 회의아이슬란드
라이베리아Libe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라이베리아 독립 선언영어1847년 7월 16일 미국 식민 협회라이베리아 헌법 제정 회의영국
리투아니아리투아니아 독립 선언1918년 2월 16일독일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en:Council of Lithuania바이마르 공화국
리투아니아리투아니아 국가 재건법1990년 3월 11일소련:en:Supreme Council of Lithuania아이슬란드
Republic of Lower Canada|로어캐나다 공화국영어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Lower Canada|로어캐나다 독립 선언영어1838년 2월 22일영국로버트 넬슨없음
마케도니아독립 선언1991년 9월 8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불가리아
말레이시아:en:Federation of Malaya Independence Act 19571957년 8월 31일영국툰쿠 압둘 라만 (말라야 연방 총리)영국[22]
Mississippi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미시시피 주영어탈퇴 선언1861년 1월 9일미국
멕시코 제1제국
(현재 멕시코)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Mexican Empire|멕시코 제국 독립 선언영어
(실제 독립)
1821년 9월 28일스페인최고 임시 정부 위원회영국 (1825년 1월 4일)[23]
몰도바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Moldova|몰도바 공화국 독립 선언영어1991년 8월 27일소련몰도바 공화국 의회루마니아
모로코모로코 독립 선언1944년 1월 11일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이스티클랄당
몬테네그로독립 선언2006년 6월 3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의회아이슬란드
네덜란드Act of Abjuration|통치 부인령영어1581년 7월 26일스페인 제국위트레흐트 동맹
United Tribes of New Zealand|뉴질랜드 부족 연합영어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New Zealand|뉴질랜드 독립 선언영어1835년 10월 28일마오리 추장영국[24]
누에바에스파냐
(현재 멕시코)
:en:Solemn Act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Northern America1813년 11월 6일스페인아나우악 회의
북키프로스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독립 선언1983년 11월 15일키프로스터키
Autonomous Republic of Northern Epirus|북이피로스 자치 공화국영어Northern Epirot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북이피로스 독립 선언영어1914년 2월 28일 알바니아 공국북이피로스 임시 정부
노르웨이노르웨이 독립 선언 (스웨덴-노르웨이)의 주권 하 직후, 노르웨이 헌법1814년 5월 17일덴마크-노르웨이
(킬 조약)
:en:Norwegian Constituent Assembly
파다니아Pad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파다니아 독립 선언영어1996년 9월 15일이탈리아
파키스탄Lahore Resolution|라호르 결의영어1940년 3월 24일영국:en:Muslim League (Pakistan)
팔레스타인팔레스타인 독립 선언1988년 11월 15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요르단 (1988년까지요르단강 서안 지구영유 주장)팔레스타인 민족 평의회아랍 연맹
페루독립 선언1821년 7월 28일스페인호세 데 산 마르틴아르헨티나
필리핀필리핀 독립 선언1898년 6월 12일스페인독재 정권 대표 98명[25] (말롤로스 의회에 의해 1898년 9월 29일에 비준됨[26])
로디지아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Rhodesia)|label=일방적인 독립 선언영어1965년 11월 11일영국이안 스미스와 내각 일동없음
루마니아Romanian War of Independence|label=독립 선언영어1877년 5월 22일오스만 제국카롤 1세
러시아벨로베시 합의1991년 12월 12일소련최고 회의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빌라 라후 선언1976년 2월 27일스페인령 사하라폴리사리오 전선마다가스카르
스코틀랜드 왕국아브로스 선언1320년 4월 6일잉글랜드 왕국스코틀랜드 지도자
세르비아선언 (Proglašenije/Проглашеније)1809년 2월오스만 제국카라조르제와 세르비아 의원
싱가포르독립 선언[27]1965년 8월 9일말레이시아[28][29]리콴유 (싱가포르 총리)영국 (이전 인식 재확인)[30]
슬로바키아독립 선언1992년 7월 17일체코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국민 의회
슬로베니아독립 선언1991년 6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크로아티아
소말릴란드Somaliland Declaration of Independence|소말릴란드 독립 선언영어1991년 5월 18일소말리아없음
South Carolina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사우스캐롤라이나 주영어South Carolina Declaration of Secession|label=탈퇴 선언영어1860년 12월 24일미국찰스턴의 주 민간인
스리랑카독립 선언 (당시는 "실론")1948년 2월 4일영국
텍사스 공화국텍사스 독립 선언1836년 3월 2일멕시코프랑스
Texas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텍사스 주영어탈퇴 선언1861년 2월 1일미국텍사스 주 의회
티베트독립 선언1913년달라이 라마 13세


5. 독립선언의 유형

독립선언은 한 국가 또는 지역이 다른 국가로부터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선포하는 행위이다. 독립선언은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각 유형은 특정한 역사적, 정치적 맥락을 반영한다.
독립선언의 유형

유형설명사례
일방적 독립선언한 국가 또는 지역이 다른 국가의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포하는 경우.미국 독립선언, 코소보 독립선언, 로디지아 독립선언
합의에 의한 독립선언양측의 합의를 통해 독립이 이루어지는 경우.싱가포르 (말레이시아로부터 분리 독립)
혁명이나 전쟁을 통한 독립선언혁명이나 전쟁의 결과로 독립을 쟁취하고 이를 선언하는 경우.알제리 독립선언, 방글라데시 독립선언
식민지 해방 과정에서의 독립선언식민 지배를 받던 국가가 독립을 선언하는 경우.인도 독립선언, 인도네시아 독립선언
국가 분열에 따른 독립선언기존 국가가 여러 개의 국가로 분열되면서 독립을 선언하는 경우.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 소련의 붕괴 (여러 독립 국가로 분열)



각 독립선언은 해당 국가 또는 지역의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국제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일제 강점기하에서 발표된 대한 독립 선언은 한국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린 중요한 사건이었다.[7]

6. 독립선언의 영향

(현재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볼리비아)Argentine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르헨티나 독립 선언영어스페인하와이 왕국 최초 승인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Armenia (1918)|아르메니아 독립 선언영어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최초 승인아제르바이잔 독립 선언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오스만 제국 최초 승인아자와드아자와드 독립 선언말리Proclamation of Bangladeshi Independence|방글라데시 독립 선언영어파키스탄최초 승인벨라루스 인민 공화국Third Constituent Charter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백러시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독립 선언의 성명1919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최초 승인백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Declaration of State Sovereignty of the Belarusian Soviet Socialist Republic|label=국가 주권 선언영어최초 승인벨기에 독립 선언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992 Bosnian independence referendum|label=보스니아 독립 선언영어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최초 승인브라질 제국브라질 독립최초 승인 부건빌 섬Bougainville Civil War|label=부건빌 독립 선언영어Bulga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불가리아 독립 선언영어(1909년 2월 5일) 최초 승인Burmes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버마 독립 선언영어이베리아 연방의 주로서의 카탈루냐 공화국 선언 스페인스페인 연방 공화국 내의 카탈루냐 국가 선언 스페인카탈루냐 독립 선언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Act of Independence of Central America|중앙 아메리카 독립법영어 스페인Chil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칠레 독립 선언영어 스페인최초 승인Colomb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콜롬비아 독립 선언영어 스페인]]|22px|border|link=]] 코모로Como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코모로 독립 선언영어최초 승인크로아티아 공화국의 독립과 주권 국가의 성립 선언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최초 승인크림 공화국크림 독립 선언최초 승인Czechoslovak Declaration of Independence|체코슬로바키아 독립 선언영어최초 승인도미니카 독립 선언 아이티최초 승인동티모르 독립 선언최초 승인Unilateral Declaration of Egyptian Independence|label=일방적인 독립 선언영어최초 승인Esto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영어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최초 승인에스토니아의 독립 회복(이전 인식을 재확인) 최초 승인핀란드 독립 선언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최초 승인 Florida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플로리다 주영어플로리다 주 헌법 (1861년) Republic of Galicia|갈리시아 공화국영어갈리시아 독립 선언 스페인조지아 민주 공화국Georg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918|조지아 독립 선언영어바이마르 공화국 최초 승인조지아조지아의 독립 회복최초 승인[19] Georgia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조지아 주영어조지아 주 탈퇴 선언그리스 독립 선언(1822년) 최초 승인기니비사우 독립 선언Hait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이티 독립 선언영어프랑스 제1 제정 프랑스 (1825년 4월 17일) 최초 승인[20] 헝가리헝가리 독립 선언합스부르크 제국아이슬란드 독립 선언최초 승인이라크 왕국이라크 독립 선언최초 승인풀나 스와라지인도네시아 독립 선언이집트 왕국 및 최초 승인[21]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 선언영어 아일랜드Irish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일랜드 독립 선언영어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최초 승인이스라엘 독립 선언최초 승인 카탕가 공화국카탕가 독립 선언 콩고 공화국일본 통치 시대의 조선Kore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기미독립선언서영어(1933년) 최초 승인 북부 솔로몬 공화국독립 선언 :en:Territory of Papua and New Guinea (오스트레일리아)최초 승인코소보 독립 선언
국제 연합 코소보 임시 행정 기구최초 승인코소보 공화국코소보 공화국 선언최초 승인라트비아 독립 선언바이마르 공화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최초 승인라트비아의 독립 회복에 관하여최초 승인Libe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라이베리아 독립 선언영어 미국 식민 협회영국 최초 승인리투아니아 독립 선언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바이마르 공화국 최초 승인:en:Act of the Re-Establishment of the State of Lithuania최초 승인 Republic of Lower Canada|로워 캐나다 공화국영어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Lower Canada|로워 캐나다 독립 선언영어영국 마케도니아독립 선언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최초 승인
(현재의말레이시아):en:Federation of Malaya Independence Act 1957[22] 최초 승인 Mississippi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미시시피 주영어탈퇴 선언멕시코 제1 제국
(현재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Mexican Empire|멕시코 제국 독립 선언영어
(real independence)영국 (1825년 1월 4일) 최초 승인[23]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Moldova|몰도바 독립 선언영어최초 승인모로코 독립 선언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독립 선언최초 승인Act of Abjuration|통치부인령영어스페인 제국 United Tribes of New Zealand|뉴질랜드 부족 연합국영어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New Zealand|뉴질랜드 독립 선언영어[24] 최초 승인 누에바 에스파냐
(현재 ):en:Solemn Act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Northern America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독립 선언최초 승인 Autonomous Republic of Northern Epirus|북이피로스 자치 공화국영어Northern Epirot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북이피로스 독립 선언영어 알바니아 공국
노르웨이 독립 선언, 스웨덴-노르웨이의 주권 하 직후, 노르웨이 헌법덴마크-노르웨이
파다니아Pad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파다니아 독립 선언영어이탈리아Lahore Resolution|라호르 결의영어팔레스타인 독립 선언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1988년까지요르단강 서안 지구영유 주장)최초 승인 페루독립 선언최초 승인 필리핀필리핀 독립 선언스페인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Rhodesia)|label=일방적인 독립 선언영어Romanian War of Independence|label=독립 선언영어벨로베시 합의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빌라 라후 선언스페인령 사하라최초 승인아브로스 선언 세르비아선언 (Proglašenije/Проглашеније)독립 선언[27][28][29]
(이전 인식 재확인)[30] 최초 승인독립 선언독립 선언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최초 승인Somaliland Declaration of Independence|소말릴란드 독립 선언영어 South Carolina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사우스캐롤라이나 주영어South Carolina Declaration of Secession|label=탈퇴 선언영어독립 선언 (당시는 "실론")텍사스 공화국텍사스 독립 선언 멕시코최초 승인 Texas in the American Civil War|label=텍사스 주영어탈퇴 선언티베트독립 선언


7. 주요 독립선언 사례

3·1 운동은 1919년 3월 1일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일어난 독립 운동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주도했으며, 1933년 중화민국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승인하였다. 1945년 9월 2일 호찌민베트남에서 베트남 독립선언을 발표하여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고, 소련이 베트남을 최초로 승인하였다. 1948년 5월 14일, 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했고, 유대 민족 평의회가 독립을 주도했으며, 미국이 최초로 승인하였다.

1776년 7월 4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부터 미국 독립선언이 발표되었고, 텍사스 공화국1836년 3월 2일 멕시코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아자와드는 2012년 4월 6일에 말리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으며, 이는 아자와드 민족해방운동에 의해 주도되었다.

국가선언날짜관계국서명자최초 승인국
알바니아Alb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알바니아 독립 선언영어1912년 11월 28일오스만 제국블로러 회의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Armenia (1918)|아르메니아 독립 선언영어1918년 5월 28일러시아 제국아르메니아 국민 회의 (1917),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아르메니아아르메니아 국가 주권 선언1990년 8월 23일소련레본 테르-페트로샨과 아르메니아 최고 회의 서기 아라 사하키안리투아니아
아르차흐나고르노-카라바흐 공화국 선포1991년 9월 2일소련아제르바이잔 SSR의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 및 샤후먄 지구 인민 대표 위원회
아자와드아자와드 독립선언2012년 4월 6일말리아자와드 해방을 위한 국민 운동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아제르바이잔 독립 선언1918년 5월 28일러시아 제국아제르바이잔 국민 회의오스만 제국
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 국가 독립 회복에 관한 법률1991년 10월 18일소련아제르바이잔 최고 회의튀르키예
방글라데시Proclamation of Bangladeshi Independence|방글라데시 독립 선언영어1971년 3월 26일파키스탄Constituent Assembly of Bangladesh|방글라데시 제헌 의회영어부탄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제3차 제헌 헌장1918년 3월 25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벨라루스 민주 공화국 라다
백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독립 선언의 성명1920년 7월 31일폴란드백러시아 공산당, 노동 조합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벨라루스Declaration of State Sovereignty of the Belarusian Soviet Socialist Republic|label=국가 주권 선언영어1990년 7월 27일소련BSSR 최고 소비에트튀르키예
벨기에벨기에 독립 선언1830년 10월 4일네덜란드 연합왕국벨기에 임시 정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992 Bosnian independence referendum|label=보스니아 독립 선언영어1992년 3월 1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불가리아
부건빌부건빌 독립 선언1990년 5월파푸아뉴기니부건빌 임시 정부
브라질 제국브라질 독립 선언1822년 9월 7일포르투갈브라질의 페드루 1세미국
불가리아Bulga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불가리아 독립 선언영어1908년 9월 22일오스만 제국페르디난트, Government of Bulgaria|불가리아 정부영어러시아 제국 (1909년 2월 5일)
버마Burmes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버마 독립 선언영어1948년 1월 4일영국
카탈루냐이베리아 연방의 국가로서의 카탈루냐 공화국 선언1931년 4월 14일스페인프란세스크 마시아, 카탈루냐 주 정부
카탈루냐스페인 연방 공화국 내의 카탈루냐 국가 선언1934년 10월 6일스페인루이스 콤파니스, 카탈루냐 주 정부
카탈루냐카탈루냐 독립 선언2017년 10월 27일스페인
중앙 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중앙 아메리카 독립 선언1821년 9월 15일스페인
칠레칠레 독립 선언1818년 2월 12일스페인국민 회의포르투갈
콜롬비아콜롬비아 독립 선언1810년 7월 20일스페인
코모로코모로 독립 선언1975년 7월 6일프랑스기니
크로아티아주권 및 독립 크로아티아 공화국 설립 선언1991년 7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아이슬란드
크림 공화국크림 독립 선언2014년 3월 11일우크라이나Supreme Council of Crimea|크림 최고회의영어러시아
체코슬로바키아Czechoslovak Declaration of Independence|체코슬로바키아 독립 선언영어1918년 10월 18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체코슬로바키아 국민 회의미국
도미니카 공화국도미니카 독립 선언1844년 2월 27일아이티영국
동티모르동티모르 독립 선언1975년 11월 28일포르투갈모로코
이집트Unilateral Declaration of Egyptian Independence|이집트 독립 일방 선언영어1922년 2월 28일영국영국 정부의 독립 일방 부여영국
에스토니아Esto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영어1918년 2월 24일러시아 제국Salvation Committee|에스토니아 구국위원회영어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에스토니아에스토니아 독립 재확인1991년 4월 20일소련에스토니아 의회아이슬란드 (이전 승인 재확인)
갈리시아 공화국갈리시아 독립 선언1931년 7월 27일스페인
조지아 민주 공화국Georg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918|1918년 조지아 독립 선언영어1918년 5월 26일러시아 제국조지아 국민 회의독일
조지아조지아 국가 독립 복원 행위1991년 4월 9일[3]소련조지아 공화국 최고 회의스위스
조지아 주조지아 분리 이유 선언1861년 1월 29일미국
그리스 왕국그리스 독립 선언1822년 1월 1일 (율리우스력)오스만 제국제1 국민 회의아이티 (1822년)
기니비사우기니비사우 독립 선언1973년 9월 24일포르투갈
아이티Hait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이티 독립 선언영어1804년 1월 1일프랑스 제1제국장자크 데살린프랑스[4]
헝가리헝가리 독립 선언1849년 4월 14일합스부르크 제국
아이슬란드아이슬란드 독립 선언1944년 7월 17일덴마크미국
인도인도 독립 선언1930년 1월 26일영국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독립 선언1945년 8월 17일네덜란드수카르노 & 모하마드 하타이집트 왕국[5]
이라크 왕국이라크 독립 선언1932년 10월 3일영국영국
아일랜드 공화국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 선언영어1916년 4월 24일 (이스터 먼데이)영국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 임시 정부영어
아일랜드Irish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아일랜드 독립 선언영어1919년 1월 21일영국도일 에이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이스라엘이스라엘 독립 선언1948년 5월 14일영국유대인 국민 위원회미국
카탕가카탕가 독립 선언1960년콩고 레오폴드빌
대한민국대한 독립 선언1919년 3월 1일일본 제국대한민국 임시 정부중화민국 (1933년)
코소보코소보 독립 선언2008년 2월 17일세르비아, 국제 연합 코소보 임시 행정 기구"우리 국민의 민주적으로 선출된 지도자"코스타리카
코소보 공화국코소보 공화국 선언1992년 9월 22일유고슬라비아코소보 의회알바니아
라트비아라트비아 독립 선언1918년 11월 18일독일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라트비아 인민 회의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라트비아On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Latvia|라트비아의 독립 회복에 관하여영어1990년 5월 4일소련최고 회의아이슬란드
라이베리아Libe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라이베리아 독립 선언영어1847년 7월 16일미국 식민 협회라이베리아 헌법 제정 회의영국
리투아니아리투아니아 독립 선언1918년 2월 16일독일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리투아니아 평의회독일 제국
리투아니아Act of the Re-Establishment of the State of Lithuania|리투아니아 국가 재건 법률영어1990년 3월 11일소련최고 회의아이슬란드
로어캐나다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Lower Canada|로어캐나다 독립 선언영어1838년 2월 22일영국로버트 넬슨없음
마케도니아독립 선언1991년 9월 8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불가리아
말라야 연방Federation of Malaya Independence Act 1957|말라야 연방 독립 법 1957영어1957년 8월 31일영국툰쿠 압둘 라만, 말라야 연방 총리영국[6]
미시시피미시시피 연방 탈퇴를 유발하고 정당화하는 즉각적인 원인 선언1861년 1월 9일미국
멕시코 제1제국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Mexican Empire|멕시코 제국 독립 선언영어
(실질적인 독립)
1821년 9월 28일스페인최고 임시 정부 위원회영국
몰도바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Moldova|몰도바 독립 선언영어1991년 8월 27일소련몰도바 의회루마니아
모로코모로코 독립 선언1944년 1월 11일프랑스이스티클랄당
몬테네그로독립 선언2006년 6월 3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의회아이슬란드
네덜란드Act of Abjuration|통치부인령영어1581년 7월 26일스페인 제국위트레흐트 동맹
누에바에스파냐Solemn Act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Northern America|북아메리카 독립 선언의 엄숙한 법률영어1813년 11월 6일스페인아나와크 의회
북키프로스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독립 선언1983년 11월 15일키프로스튀르키예
북에피루스Northern Epirot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북에피루스 독립 선언영어1914년 2월 28일알바니아 공국북에피루스 임시 정부
노르웨이노르웨이 독립 선언, 노르웨이 헌법1814년 5월 17일덴마크-노르웨이노르웨이 제헌 의회
파다니아Pad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파다니아 독립 선언영어1996년 9월 15일이탈리아
파키스탄라호르 결의안1940년 3월 24일영국파키스탄 무슬림 연맹
팔레스타인팔레스타인 독립 선언1988년 11월 15일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팔레스타인 민족 회의아랍 연맹
페루페루 독립 선언 조항1821년 7월 28일스페인호세 데 산마르틴아르헨티나
필리핀필리핀 독립 선언1898년 6월 12일스페인필리핀 독재 정부의 대표 98명[7] (1898년 9월 29일 말롤로스 의회에서 비준)[8]
라플라타 연합주아르헨티나 독립 선언1816년 7월 9일스페인투쿠만 의회하와이 왕국
로디지아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Rhodesia)|로디지아 독립 선언영어1965년 11월 11일영국이안 스미스와 내각의 나머지 구성원없음
루마니아Romanian War of Independence|label=독립 선언영어1877년 5월 22일오스만 제국카롤 1세
러시아벨로베시 조약1991년 12월 12일소련최고 회의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비르 레흘루 선언1976년 2월 27일스페인령 사하라폴리사리오 전선마다가스카르
스코틀랜드 왕국아브로스 선언1320년 4월 6일잉글랜드 왕국스코틀랜드 지도자들
세르비아선언1809년 2월오스만 제국카라조르제, 세르비아 의회
싱가포르싱가포르 선포[9]1965년 8월 9일말레이시아[10][11]리콴유, 싱가포르 총리영국[12]
슬로바키아Slovak National Council'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Slovak Nation|독립 선언영어1992년 7월 17일체코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국민 의회
슬로베니아독립 선언1991년 6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크로아티아
소말릴란드Somaliland Declaration of Independence|소말릴란드 독립 선언영어1991년 5월 18일소말리아없음
사우스캐롤라이나 주South Carolina Declaration of Secession|탈퇴 선언영어1860년 12월 24일미국찰스턴의 주 민간인
스리랑카독립 선언 (당시는 "실론")1948년 2월 4일영국
텍사스 공화국텍사스 독립 선언1836년 3월 2일멕시코프랑스
텍사스 주탈퇴 선언1861년 2월 1일미국텍사스 주 의회
티베트독립 선언1913년청나라달라이 라마 13세
핀란드Itsenäisyysjulistus|핀란드 독립 선언fi1917년 12월 6일러시아핀란드 의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아일랜드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공화국 선언영어[21], Forógra na Poblachta|포블라흐타 너 헤이렌ga1916년 이스터 먼데이(부활절)영국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Irish Republic|아일랜드 임시 정부영어
북솔로몬 공화국독립 선언1975년 9월 1일파푸아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불명
뉴질랜드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New Zealand|뉴질랜드 독립 선언영어1835년 10월 28일마오리 추장영국[24]


7. 1. 아시아

3·1 운동은 1919년 3월 1일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일어난 독립 운동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이 운동을 주도했으며, 1933년 중화민국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승인하였다.

1945년 9월 2일 호찌민베트남에서 베트남 독립선언을 발표하여 프랑스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소련은 베트남을 최초로 승인한 국가였다.

1948년 5월 14일, 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언했다. 유대 민족 평의회가 독립을 주도했으며, 미국이 최초로 승인하였다.

국가선언날짜관계국서명자최초 승인국
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 독립 선언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아제르바이잔 국민 평의회 (하산 베이 아가예프, 파탈리 칸 호이스키, 나시브 유시프베일리, 자모 베이 하진스키, 셰피 베이 루스탐베일리, 나리만 베이 나리만베요프, 자바드 말리크-예가노프, 무스타파 마흐무도프)오스만 제국
아자와드아자와드 독립선언2012년 4월 6일말리아자와드 해방 민족 운동
방글라데시Proclamation of Bangladeshi Independence|방글라데시 독립 선언영어1971년 3월 26일파키스탄Constituent Assembly of Bangladesh|방글라데시 제헌 의회영어부탄
북키프로스북키프로스 튀르키예 공화국 독립 선언1983년 11월 15일키프로스튀르키예


7. 1. 1. 대한민국

3·1독립선언서는 1919년 3월 1일, 일본의 식민 지배하에 있던 대한민국에서 발표된 독립선언서이다. 이 선언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으며, 1933년에 중화민국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승인하였다.[19]

7. 1. 2. 베트남

1945년 9월 2일 호찌민베트남 독립선언을 하였다.[1] 이는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 것이었다. 소련이 최초로 베트남을 승인하였다.[1]

국가선언날짜관계국서명자최초 승인국
베트남베트남 독립선언1945년 9월 2일프랑스호찌민소련


7. 1. 3. 이스라엘

1948년 5월 14일 영국의 위임통치가 종료되면서 이스라엘은 독립을 선언했다.[19] 이 선언은 시온주의 운동의 결과이자, 팔레스타인 지역에 유대인 국가를 세우고자 했던 오랜 노력의 결실이었다. 유대 민족 평의회가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19] 미국이 이스라엘을 최초로 승인했다.[19]

7. 2. 유럽

유럽에서는 여러 국가가 독립을 선언했다.

국가선언날짜관계국서명자최초 승인국
알바니아Alb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알바니아 독립선언영어1912년 11월 28일오스만 제국블로러 의회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Armenia (1918)|아르메니아 독립선언영어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아르메니아 국민 회의 (1917),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 (ARF Dashnak)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아제르바이잔 독립 선언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아제르바이잔 국민 회의 (하산 베이 아가예프, 파탈리 칸 호이스키, 나시브 유시프베일리, 자모 베이 하진스키, 셰피 베이 루스탐베일리, 나리만 베이 나리만베요프, 자바드 말리크-예가노프, 무스타파 마흐무도프)오스만 제국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Third Constituent Charter1918년 3월 25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벨라루스 민주 공화국 라다
백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독립 선언의 성명1920년 7월 31일폴란드백러시아 공산당, 노동 조합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백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Declaration of State Sovereignty of the Belarusian Soviet Socialist Republic|label=국가 주권 선언영어1990년 7월 27일소련최고 회의터키
벨기에벨기에 독립 선언1830년 10월 4일네덜란드 연합왕국벨기에 임시 정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992 Bosnian independence referendum|label=보스니아 독립 선언영어1992년 3월 1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불가리아
불가리아Bulgar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불가리아 독립선언영어1908년 9월 22일오스만 제국페르디난트, Government of Bulgaria|불가리아 정부영어러시아 제국 (1909년 2월 5일)
카탈루냐이베리아 연방의 주로서의 카탈루냐 공화국 선언1931년 4월 14일스페인프란세스크 마시아, 카탈루냐 주 정부
카탈루냐스페인 연방 공화국 내의 카탈루냐 국가 선언1934년 10월 6일스페인류이스 쿰파니스, 카탈루냐 주 정부
카탈루냐카탈루냐 독립 선언2017년 10월 27일스페인
크로아티아크로아티아 공화국의 독립과 주권 국가의 성립 선언1991년 7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아이슬란드
크림 공화국크림 독립 선언2014년 3월 11일우크라이나Supreme Council of Crimea|크림 최고회의영어러시아
체코슬로바키아Czechoslovak Declaration of Independence|체코슬로바키아 독립선언영어1918년 10월 18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체코슬로바키아 국민 회의미국 (1912)
에스토니아Esto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에스토니아 독립선언영어1918년 2월 24일러시아 제국Salvation Committee|에스토니아 구국위원회영어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에스토니아에스토니아의 독립 회복1991년 4월 20일소련에스토니아 의회아이슬란드 (이전 인식을 재확인)
Republic of Galicia|갈리시아 공화국영어갈리시아 독립 선언1931년 7월 27일스페인
조지아 민주 공화국Georg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918|조지아 독립선언영어1918년 5월 26일러시아 제국독일
조지아조지아의 독립 회복1991년 4월 9일[19]소련최고 회의스위스
그리스 왕국그리스 독립 선언1822년 1월 1일 (율리우스력)오스만 제국제1차 에피다우로스 국민 의회아이티 (1822년)
헝가리헝가리 독립 선언1849년 4월 14일합스부르크 제국
아이슬란드아이슬란드 독립 선언1944년 7월 17일덴마크미국 (1912)
코소보코소보 독립 선언2008년 2월 17일세르비아, 국제 연합 코소보 임시 행정 기구민주적으로 선출된 우리의 지도자코스타리카
코소보 공화국코소보 공화국 선언1992년 9월 22일유고슬라비아코소보 의회알바니아
라트비아라트비아 독립 선언1918년 11월 18일독일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라트비아 인민 평의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라트비아라트비아의 독립 회복에 관하여1990년 5월 4일소련최고 회의아이슬란드
리투아니아리투아니아 독립 선언1918년 2월 16일독일 제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리투아니아 평의회독일 제국
리투아니아리투아니아 국가 재건 법률1990년 3월 11일소련최고 회의아이슬란드
Republic of Lower Canada|로어캐나다 공화국영어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Lower Canada|로어캐나다 독립선언영어1838년 2월 22일영국로버트 넬슨없음
마케도니아독립 선언1991년 9월 8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불가리아
몰도바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Moldova|몰도바 독립선언영어1991년 8월 27일소련몰도바 의회루마니아
몬테네그로독립 선언2006년 6월 3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몬테네그로 의회아이슬란드
네덜란드Act of Abjuration|통치부인령영어1581년 7월 26일스페인 제국위트레흐트 동맹
Autonomous Republic of Northern Epirus|북이피로스 자치 공화국영어Northern Epirot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북이피로스 독립선언영어1914년 2월 28일알바니아 공국북이피로스 임시 정부
노르웨이노르웨이 독립 선언, 노르웨이 헌법1814년 5월 17일덴마크-노르웨이
파다니아Padan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파다니아 독립선언영어1996년 9월 15일이탈리아
루마니아Romanian War of Independence|label=독립 선언영어1877년 5월 22일오스만 제국카롤 1세
러시아벨로베시 합의1991년 12월 12일소련최고 회의
세르비아선언1809년 2월오스만 제국카라조르제, 세르비아 의회
슬로바키아독립 선언1992년 7월 17일체코슬로바키아슬로바키아 국민 의회
슬로베니아독립 선언1991년 6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크로아티아


7. 2. 1. 핀란드

Itsenäisyysjulistusfi는 1917년 12월 6일에 핀란드 의회러시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사건이다.[19] 당시 러시아는 러시아 혁명으로 소비에트 정권이 수립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19] 핀란드는 이러한 상황을 틈타 독립을 선언했으며,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 최초로 핀란드의 독립을 승인하였다.[19]

지역선언날짜연도관련국조인국최초 인식 지역
핀란드핀란드 독립선언1917년 12월 6일1917러시아핀란드 의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7. 2. 2. 아일랜드

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영어[21], Forógra na Poblachta|포블라흐타 너 헤이렌ga은 1916년 이스터 먼데이(부활절)에 아일랜드에서 부활절 봉기가 시작되면서 발표되었다. 이 선언문에서, 아일랜드 의용군아일랜드 시민군으로 구성된 '아일랜드 임시 정부'는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아일랜드 공화국'이 수립되었음을 선포했다.[21] 패트릭 피어스가 이 선언문을 낭독했다.

1919년 1월 21일, 도일 에이렌(아일랜드 의회)은 Irish Declaration of Independence영어[21]를 발표하여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재확인했다.

7. 3. 아메리카

1776년 7월 4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부터 미국 독립선언이 발표되었고, 텍사스 공화국1836년 3월 2일 멕시코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19]

7. 3. 1. 미국

1776년 7월 4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부터 미국 독립선언이 발표되었다. 이 선언은 제2차 대륙회의에서 결의되었다.[19]

관계국조인국최초 인식 지역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제2차 대륙회의프랑스


7. 3. 2. 텍사스

텍사스 공화국1836년 3월 2일 멕시코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문서이다.[19] 이 선언은 멕시코-미국 전쟁 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텍사스 독립 선언은 텍사스 혁명의 결과로, 멕시코 중앙 정부의 권위 강화와 텍사스 주민들의 자치권 요구가 충돌하면서 발생했다.

7. 4. 아프리카

아자와드는 2012년 4월 6일에 말리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으며, 이는 아자와드 민족해방운동에 의해 주도되었다.[19]

7. 4. 1. 아자와드

아자와드 독립선언은 2012년 4월 6일에 말리로부터 아자와드가 독립을 선언한 사건이다. 이 독립선언은 아자와드 민족해방운동에 의해 주도되었다.[19]

선언날짜관계국서명자
아자와드 독립선언2012년 4월 6일말리아자와드 민족해방운동


7. 5. 오세아니아

국가선언날짜관계국서명자최초 승인국
부건빌 섬부건빌 독립 선언1990년 5월:en:Bougainville Interim Government
북부 솔로몬 공화국독립 선언1975년 9월 1일 :en:Territory of Papua and New Guinea (오스트레일리아)불명
Te Wakaputanga o te Rangatiratanga o Nu Tirene|테 와카푸탕아 오 테 랑아티라탕아 오 누 티레네miDeclaration of the Independence of New Zealand|뉴질랜드 독립 선언영어1835년 10월 28일마오리 추장[24]


8. 국제 관계

국가선언날짜관계국서명자최초 승인국
라플라타 연합아르헨티나 독립 선언1816년 7월 9일스페인툭쿠만 의회하와이 왕국[23]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Հայաստանի անկախության հռչակագիր|아르메니아 독립 선언hy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아르메니아 국민 의회,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 독립 선언1918년 5월 28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아제르바이잔 국민 의회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Third Constituent Charter1918년 3월 25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벨라루스 민주 공화국 의회
백러시아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독립 선언의 성명1920년 7월 31일백러시아 공산당, 노동 조합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Дэкларацыя аб дзяржаўным суверэнітэце Беларускай Савецкай Сацыялістычнай Рэспублікі|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주권 선언be1990년 7월 27일최고 회의
브라질 제국브라질 독립1822년 9월 7일페드루 1세[20]
불가리아Независимост на България|불가리아 독립 선언bg1908년 9월 22일페르디난트, Правителство на България|불가리아 정부bg(1909년 2월 5일)
칠레Acta de Independencia de Chile|칠레 독립 선언es1818년 2월 12일스페인국민 의회
에스토니아Manifest kõigile Eestimaa rahvastele|에스토니아 독립 선언et1918년 2월 24일Eestimaa Päästekomitee|에스토니아 구국 위원회et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에스토니아에스토니아 독립 회복1991년 4월 20일에스토니아 의회(이전 인식을 재확인)
핀란드Suomen itsenäisyysjulistus|핀란드 독립 선언fi1917년 12월 6일에두스쿤타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조지아 민주 공화국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დამოუკიდებლობის აქტი|조지아 독립 선언, 1918ka1918년 5월 26일바이마르 공화국
조지아조지아의 독립 회복1991년 4월 9일[19]최고 회의
그리스 독립 선언1822년 1월 1일 (율리우스력)제1회 에피다우로스 국민 의회(1822년)
헝가리Függetlenségi Nyilatkozat|헝가리 독립 선언hu1849년 4월 14일합스부르크 제국
아이슬란드아이슬란드 독립 선언1944년 7월 17일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독립 선언1945년 8월 17일수카르노와 모하마드 하타이집트 왕국, [21]
이스라엘이스라엘 독립 선언1948년 5월 14일유대 민족 평의회
일본 통치 시대의 조선기미독립선언서|기미독립선언서한국어1919년 3월 1일대한민국 임시 정부(1933년)
코소보코소보 독립 선언2008년 2월 17일, 국제 연합 코소보 임시 행정 기구민주적으로 선출된 우리의 지도자
라트비아라트비아 독립 선언1918년 11월 18일바이마르 공화국,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라트비아 인민 평의회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라트비아라트비아의 독립 회복에 관하여1990년 5월 4일최고 회의
리투아니아리투아니아 독립법1918년 2월 16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리투아니아 평의회바이마르 공화국
리투아니아리투아니아 국가 재건법1990년 3월 11일최고 회의
북마케도니아독립 선언1991년 9월 8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몰도바Declarația de independență a Republicii Moldova|몰도바 독립 선언ro1991년 8월 27일몰도바 공화국 의회
몬테네그로독립 선언2006년 6월 3일몬테네그로 의회
팔레스타인팔레스타인 독립 선언1988년 11월 15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1988년까지 요르단강 서안 지구 영유 주장)팔레스타인 민족 평의회
페루독립 선언1821년 7월 28일호세 데 산 마르틴
러시아벨로베시 합의1991년 12월 12일최고 회의
슬로베니아독립 선언1991년 6월 25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참조

[1] 웹사이트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of the Unilater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Respect of Kosovo http://www.icj-cij.o[...] Icj-cij.org 2024-11-05
[2] 웹사이트 Inglaterra: primer país que reconoce la Independencia de México http://www.memoriapo[...] Memoria Politica de México 2011-09-18
[3] 웹사이트 Act of Restoration of State Independence of Georgia https://matsne.gov.g[...]
[4]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a new survey of universal knowledge, Volume 11 https://books.google[...] 2016-05-11
[5] 웹사이트 EXCLUSIVE: Indonesian President's Advisor: 'We have a long history with Egypt' https://www.egypttod[...] 2017-10-30
[6] 문서 Federation of Malaya Independence Act 1957
[7] 서적 Philippine History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panish-American and Philippine-American War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9] 웹사이트 Independence of Singapore Agreement 1965 http://statutes.agc.[...]
[10] 문서 Agreement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Singapore from Malaysia as an independent and sovereign state
[11] 문서 Agreement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Singapore from Malaysia as an independent and sovereign state/proclamation of singapore
[12] 문서 Singapore Act 1966
[13] 서적 Ukraine and Russia: The Post-Soviet Transition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2020-02-24
[14] 서적 A Century of Lawmaking for a New Nation : U.S. Congressional Documents and Debates 1774-1875 http://memory.loc.go[...] Library of Congress
[15] 서적 Timothy Matlack, Scribe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McFarland
[16] 웹사이트 US-Morocco Diplomatic Relationship http://www.embassyof[...]
[17] 웹사이트 Why Morocco Matters To The U.S. https://www.forbes.c[...] 2013-11-21
[18] 간행물 Documents >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www.waitangi.[...] Waitangi Associates 1836-05-25
[19] 웹사이트 Act of Restoration of State Independence of Georgia https://matsne.gov.g[...] 2021-08-20
[20]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a new survey of universal knowledge, Volume 11 https://books.google[...] 2016-05-11
[21] 웹사이트 Murti Hadi SJ: Soegija Bukan Film Dakwah http://filmindonesia[...] 2019-10-03
[22] 문서 Federation of Malaya Independence Act 1957
[23] 웹사이트 Inglaterra: primer país que reconoce la Independencia de México http://www.memoriapo[...] Memoria Politica de México 2011-09-18
[24] 간행물 Documents >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www.waitangi.[...] Waitangi Associates 1836-05-25
[25] 서적 Philippine History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26]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panish-American and Philippine-American War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7] 웹사이트 Independence of Singapore Agreement 1965 http://statutes.agc.[...]
[28] 문서 Agreement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Singapore from Malaysia as an independent and sovereign state
[29] 문서 Agreement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Singapore from Malaysia as an independent and sovereign state/proclamation of singapore
[30] 문서 Singapore Act 1966
[31] 서적 Ukraine and Russia: The Post-Soviet Transition https://books.google[...] Hoover Press 2020-02-24
[32] 서적 A Century of Lawmaking for a New Nation : U.S. Congressional Documents and Debates 1774-1875 http://memory.loc.go[...] Library of Congress
[33] 서적 Timothy Matlack, Scribe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McFarland
[34] 웹사이트 US-Morocco Diplomatic Relationship http://www.embassyof[...]
[35] 웹사이트 Why Morocco Matters To The U.S. https://www.forbes.c[...] 2013-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