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레분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분섬은 일본 홋카이도 북부에 위치한 섬으로, 아이누어에서 유래된 이름은 "바다에 떠 있는 섬"을 의미한다. 최고봉인 레분다케를 비롯해 해식애, 고산 식물 군락 등 다양한 지형과 지질학적 특징을 보이며, 백악기에서 신제3기 중신세에 걸쳐 해저 퇴적된 지층에서 암모나이트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냉대 습윤 기후로 겨울철 기온이 낮고, 쿠릴 해류의 영향으로 여름에도 서늘하며, 흰꼬리되새 등 다양한 조류와 일본족제비, 바다사자 등 동물이 서식한다. 왓카나이 항에서 페리, 왓카나이 공항을 통한 항공편으로 접근 가능하며, 모모이와, 스코톤 곶 등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활용한 관광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타미국 - 리시리섬
    리시리섬은 홋카이도 서쪽 해상에 위치하며 리시리산이 솟아있는 화산섬으로, 리시리정과 리시리후지정으로 나뉘어 리시리군에 속하고, 다시마 생산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지역이다.
  • 기타미국 - 도도섬 (레분정)
    레분섬 북서쪽의 험준한 섬인 도도섬은 과거 바다사자 사냥터였으나 현재는 해양 동물과 바닷새의 서식지이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일제강점기 강제 징용의 아픔을 간직한 관광지이다.
  • 레분정 - 도도섬 (레분정)
    레분섬 북서쪽의 험준한 섬인 도도섬은 과거 바다사자 사냥터였으나 현재는 해양 동물과 바닷새의 서식지이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일제강점기 강제 징용의 아픔을 간직한 관광지이다.
  • 레분정 - 레분 공항
    일본 홋카이도 레분 섬에 있는 레분 공항은 1978년 개항 후 2003년 정기 노선이 폐지되어 현재는 응급 환자 수송 등의 제한적인 용도로 운영되고 있으며, 800m 활주로와 터미널 1동을 갖추고 2009년부터 공용이 중단된 상태이다.
  • 홋카이도의 섬 - 벤텐섬 (왓카나이시)
    벤텐섬은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아이누족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졌으며 바다표범의 주요 서식지이나, 현재는 개체 수 증가로 어업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 홋카이도의 섬 - 오스콜키섬
레분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섬 이름레분섬
로마자 표기Rebun-tō
아이누어Repun
위치동아시아
좌표45° 22′ 07″ N 141° 00′ 55″ E
군도일본 열도
길이29 km
너비8 km
해안선 길이72 km
면적80 km²
최고봉레분다케
해발고도490 m
행정 구역
국가일본
홋카이도
지청소야 지청
레분군
레분정
인구 정보
인구3,194 명 (2007년 12월 31일 기준)
인구 밀도39.3 명/km²
민족아이누족, 일본인

2. 어원

이 섬의 이름은 아이누어에서 유래했는데, Repun|레푼ain은 "(바다에) 떠 있는 섬"을 의미한다 ('rep'는 "먼바다, 외해", '-un'은 "~에 있다"에서 유래).[1][2] 아이누어로는 “바다의 섬”을 뜻하는 repun-sir|레푼시르ain 또는 repuy-sir|레푸이시르ain라고 불리며, 일본어 이름은 이 “레푼”에 한자를 붙인 것이다.[12]

아이누어 연구자인 山田秀三(야마다 슈우조)는 리시리섬의 바다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3. 지리

레분섬은 홋카이도 본토 및 북방 영토를 제외하고 일본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유인도이다.[13] 섬은 전체적으로 구릉성 지형을 이루며, 해안에는 해식애가 발달하였다. 고위도 저온 환경의 영향으로 고산식물이 자생하는 등 독특한 자연환경을 지니고 있다.[14] 섬 북부에는 담수호인 쿠슈코(久種湖)가 있다.

3. 1. 지형 및 지질

국토교통성 국토지리원 [https://mapps.gsi.go.jp/ 지도·항공사진 열람 서비스]의 항공사진을 바탕으로 제작.]]

레분섬은 홋카이도 본토 및 북방 영토를 제외하고 일본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유인도이다. 섬의 크기는 동서 약 7.9km, 남북 약 25.8km이며, 둘레는 약 72km에 달한다. 섬 북단의 스코톤곶과 킨다노곶 사이에는 지름 5km 크기의 반원형 선착만이 형성되어 있다. 섬의 최고봉은 레분다케(해발 490m)이다.[13] 스코톤곶에서 북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에는 토도섬이라는 작은 섬이 자리 잡고 있다.

섬의 지형은 해식애가 발달한 저지대 한랭지이며, 고산식물 군락이 분포하고 주빙하 지형의 특징을 보인다. 전체적으로 구릉성 지형을 이루며, 섬의 북부와 남부에는 해발고도 100m 전후의 제4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형성된 해안 단구가 나타난다.[14]

취락은 주로 동해안과 섬의 북부 및 남부에 집중되어 있다. 서해안에는 모토치(元地), 우엔나이(宇遠内), 니시우에도마리(西上泊), 테뿌(鉄府) 등의 작은 취락들이 있다. 섬의 중심 취락은 카부카(香深, 카후카)와 후나도마리(船泊)이며, 이들을 포함한 동해안과 북부 지역은 비교적 개방된 지형이다. 섬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주요 차도는 동해안을 따라 북부-동부-남부를 연결하지만, 서해안을 종단하는 도로는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임도뿐이다. 섬의 거의 중앙부에는 레분 임도라는 비포장 도로가 지나간다. 섬 북부에는 쿠슈코(久種湖)라는 담수호가 있다.

지질학적으로 레분섬은 백악기부터 신제3기 중신세에 걸쳐 해저에서 퇴적된 사암, 이암, 화산암 지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장암 주변에서는 약 1억 1150만 년 전의 암모나이트 화석이 발견되기도 했다. 신제3기 중신세 지층은 주로 해저 화산 활동의 잔해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코톤 곶과 시레토코 지역에 노출되어 있다. 백악기 지층은 레분다케를 중심으로 섬의 중앙부에 넓게 분포한다. 또한, 모모이와(桃岩)는 약 1300만 년 전 마그마가 해저에서 굳어져 형성된 지형이다. 이러한 지질학적 증거들은 레분섬이 해저에서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섬이 남북으로 길게 뻗은 형태는 섬의 골격을 이루는 백악기 지층이 남북 방향으로 습곡 작용을 받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15]

섬 곳곳에서는 안산암현무암으로 이루어진 주상절리가 암맥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화석규암, 그리고 '레분 메노우'라고 불리는 부싯돌이 많이 산출된다.

4. 기후

케펜의 기후 구분 상 아한대 습윤 기후(Df)에 속한다.[10]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겨울철 기온은 -16°C 이하로 잘 내려가지 않지만, 쿠릴 해류(리만 해류)의 영향으로 낮에도 기온이 크게 오르지 않아 1월과 2월의 최고 기온은 -3°C 정도에 머문다. 2010년 2월 3일에는 낮 최고 기온이 -12.5°C까지 떨어지는 한파를 기록하기도 했다.

섬의 서해안은 지형이 험준하고 서쪽에서 불어오는 강한 계절풍이 연중 지속되어 기후가 혹독하다. 이 때문에 키 큰 나무가 자라기 어려워 황량한 억새밭이 넓게 펼쳐져 있다.

레분섬의 기후 (2003년~2020년 평년값, 극값 2004년~현재)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역대 최고 기온 (°C)6.96.711.017.420.824.629.930.529.022.315.510.930.5
평균 최고 기온 (°C)-2.7°C-2.1°C1.7°C6.6°C11.6°C15.9°C20.4°C22.6°C20.5°C13.9°C6.1°C-0.3°C9.5°C
일평균 기온 (°C)-4.6°C-4.3°C-0.4°C4.1°C8.5°C12.8°C17.3°C19.7°C17.4°C11.2°C3.6°C-2.4°C6.9°C
평균 최저 기온 (°C)-6.5°C-6.4°C-2.4°C1.8°C6°C10.3°C14.9°C17.3°C14.5°C8.4°C1.2°C-4.5°C4.6°C
역대 최저 기온 (°C)-15.8°C-17.1°C-9.6°C-5.7°C0.2°C4°C8.1°C10.9°C5.8°C-1.1°C-11.4°C-13.4°C-17.1°C
평균 강수량 (mm)73.451.644.149.279.784.6101.0138.6131.1100.498.491.51043.6
평균 강수일수 (≥ 1.0 mm)17.914.410.98.79.79.67.58.910.511.612.916.2138.8
월평균 일조시간47.572.2153.8192.7170.4125.9126.5154.2186.7159.682.042.51514.3
출처: JMA[30][31]



'''과거 기상 기록'''


  • 역대 최고 기온: 31°C (1989년 7월 26일, 선박지구(船泊地区))
  • 역대 최저 기온: -19.4°C (1978년 2월 16일, 선박지구(船泊地区))
  • 연간 강수량 최다: 1247mm (1999년, 선박지구(船泊地区))
  • 연간 강수량 최소: 709mm (1979년, 선박지구(船泊地区))
  • 일 최대 강수량: 111mm (2007년 8월 1일, 호로하쿠지구(幌泊地区))
  • 최대 순간 풍속: 29.9 m/s (2010년 9월 29일, 향심지구(香深地区))

5. 동식물

레분섬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섬에는 흰꼬리되새, 검은지빠귀 등 여러 종류의 조류가 서식하며, 특히 구슈호 주변과 해안가에서 다양한 철새와 바닷새를 관찰할 수 있다. 포유류로는 일본족제비(이입종), 시마다람쥐 등이 살고 있으나, 불곰이나 에조사슴 같은 대형 포유류는 서식하지 않는다.[10] 과거에는 일본물개의 주요 서식지였으며, 독도를 제외하면 일본에서 마지막으로 일본물개가 관찰된 곳이기도 하다.[16] 현재는 바다사자얼룩바다표범기각류가 서식하며, 드물게 고래류도 관찰된다.

식물상은 고산 식물의 보고로 유명하며, '꽃의 섬'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주요 수종으로는 솔송나무와 다케칸바 등이 있으며, 저지대에서도 시베리아잣나무 군락을 볼 수 있다.[23] 특히 레분초, 레분솜다리, 레분복주머니란과 같은 레분섬 고유종을 포함한 다양한 야생화가 자생하여 독특한 식물 생태계를 이룬다.

5. 1. 동물상

조류로는 흰꼬리되새, 검은지빠귀, 울새, 흰턱멧새, 갈색멧새 등이 서식한다. 구슈호(久種湖) 주변에서는 황로, 큰뒷부리도요, 장다리물떼새, 검은머리촉새 등이 관찰되기도 한다. 해안가에서는 가마우지, 갈매기, 검은머리갈매기를 볼 수 있다.

포유류의 경우, 불곰, 에조사슴, 여우는 서식하지 않으며[10], 일본족제비(이입종), 시마다람쥐, 야치쥐, 땃쥐, 박쥐 등이 섬 안에 서식한다. 과거에는 불곰, 에조다람쥐, 에조모몽가, 일본산미치광이, 일본수달, 일본물개, 긴수염돌고래도 서식했으나 현재는 멸종했다. 레분섬은 과거 일본물개의 주요 서식지 중 하나였으며, 조몬 시대부터 사냥이 이루어졌다. 다케시마를 제외하면 일본 내 마지막 일본물개 기록은 1974년 이 섬에서 관찰된 것이다[16]. 또한, 긴수염돌고래 사냥은 12세기경까지 이루어졌는데, 일본 내에서는 레분섬과 지바현에서만 발견된 기록이 있다.

현재 서식하는 기각류로는 바다사자얼룩바다표범 등이 있다. 바다사자는 일본 환경성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나, 어업 피해 문제로 인해 포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고래류는 현재 거의 관찰되지 않지만, 밍크고래, 쇠돌고래, 부리고래, 범고래, 태평양흰줄무늬돌고래, 낫돌고래, 참돌고래 등은 계절적으로 관찰되며, 드물게 흰돌고래가 회유하기도 한다[17]. 고고학적 발견[18][19]과 포획 기록을 통해, 포경 시대 이전에는 북극고래[20], 북방긴수염고래[21], 혹등고래, 긴수염고래 등 대형 고래류도 풍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양서류인 에조붉은개구리와 갑각류인 일본가재도 소수 서식하고 있다. 뱀은 섬에 살지 않는다[22].

5. 2. 식물상

침엽수는 대부분 솔송나무(トドマツ|토도마츠일본어)이다. 활엽수로는 다케칸바(ダケカンバ|다케칸바일본어)와 사할린버들(オノエヤナギ|오노에야나기일본어)이 자라며, 저지대에서는 해발 20m부터 시베리아잣나무(ハイマツ|하이마츠일본어)가 보인다.[23] 초원에는 섬대(チシマザサ|치시마자사일본어)와 구마이자사사(クマイザサ|쿠마이자사일본어)가 분포한다. 수림 아래에서 자라는 사사 종류인 섬대(ネマガリダケ|네마가리다케일본어)는 크게 자라며, 덩굴옻나무(ツタウルシ|츠타우루시일본어)에 덮여 있는 경우도 많다.

레분섬에는 다양한 종류의 꽃이 피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레분초(レブンソウ|레분소우일본어), 레분솜다리(レブンウスユキソウ|레분우스유키소우일본어), 레분복주머니란(レブンアツモリソウ|레분아츠모리소우일본어), 흰그늘용담(チョウノスケソウ|초우노스케소우일본어), 두잎구슬붕이(フタナミソウ|후타나미소우일본어), 레분앵초(レブンコザクラ|레분코자쿠라일본어), 레분하나노시부(レブンハナノシブ|레분하나노시부일본어), 섬쥐손이(チシマフウロ|치시마후우로일본어), 레분카라마츠(レブンカラマツ|레분카라마츠일본어) 등이 있다.

6. 역사

섬의 형성은 신생대 제3기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선사 시대에는 오호츠크 문화 시기의 유적이 향후정(香深井)과 선박(船泊)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아이누 시대의 차시(チャシ, 아이누족의 성채 또는 제례 장소) 유적도 확인되었다.


  • 1456년 (가정(康正) 2년): 향후정 아이누와 이소야 아이누 사이에 전투가 현재의 도암(桃岩) 부근에서 벌어졌다.
  • 1685년 (조쿄(貞享) 2년): 마쓰마에 번(松前藩)이 직접 관리하는 소야군(宗谷郡)의 부속 지역이 되었다.
  • 1765년 (메이와(明和) 2년): 레분, 리시리, 소야가 독립된 행정 구역으로 분리되었다.
  • 1819년 (분세이(文政) 2년): 후지노 이헤이(藤野伊兵衛)가 마쓰마에 번 소야 지역의 운영을 도급받았다.
  • 1846년 (고카(弘化) 3년): 무쓰국(陸奥国) 미마야무라(三厩村, 현 아오모리현)에서 이주해 온 야나야 만노스케(柳谷万之助)가 샤쿠닌(尺忍, 현재의 향후 지역)에 도섬 어장을 개척했다.[24]
  • 1885년 (메이지 18년): 오타루시리시리섬, 레분섬을 잇는 정기 항로가 개설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향후항(香深港) 참조)
  • 1919년 (다이쇼 8년)경: 섬에서 석탄 채굴이 이루어졌다.
  • 1924년부터 1926년 사이: 치시마 열도(千島列島)의 신시루섬(新知島)에서 들쥐 구제와 모피 양식을 목적으로 들여온 붉은여우가 기생충 에키노코쿠스(Echinococcus)의 감염원이 되었다. 이로 인해 1963년경까지 약 200명의 섬 주민이 포충증(에키노코쿠스증)으로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했다. 이후 지속적인 여우 사냥을 통해 여우를 완전히 없앴고, 포충증도 사라져 현재는 청정 지역이 되었다.[25]
  • 1948년 (쇼와(昭和) 23년) 5월 9일: 개기일식의 중심 경로가 레분섬을 통과하면서,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전문 및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섬을 방문했다.[26]

7. 주요 지역


  • 레분산
  • 복숭아 바위 또는 모모이와(桃岩)
  • 지장 바위
  • 고양이 바위 또는 네코이와(猫岩)
  • 스코톤 곶
  • 카네다 곶
  • 고로타 곶
  • 스카이 곶
  • 토도 섬
  • 쿠슈 호수
  • 야무나이 계곡
  • 레분 삼림 도로
  • 레분 폭포


레분섬의 모든 지역 사회는 레분정에 속한다. 대략 북쪽에서 남쪽으로 순서대로 다음과 같다.[8]

지역명 (북쪽 → 남쪽 순)
스쿠토온 (Sukoton)
아와비코톤 (Awabikoton)
하마나카 (Hamanaka)
후나도마리 (Funadomari)
호로도마리 (Horodomari)
우에도마리 (Uedomari)
나이로 (Nairo)
키토우스 (Kitousu)
카후카이 (Kafukai)
카후카 (Kafuka)
시레토코 (Shiretoko)


8. 주요 명소

레분섬의 주요 명소는 다음과 같다.


  • 레분산
  • 복숭아 바위 또는 모모이와 (桃岩)
  • 지장 바위
  • 고양이 바위 또는 네코이와 (猫岩)
  • 스코톤 곶
  • 카네다 곶
  • 고로타 곶
  • 스카이 곶
  • 토도섬
  • 쿠슈 호수
  • 야무나이 계곡
  • 레분 삼림 도로
  • 레분 폭포


냉량한 기후 덕분에 섬의 최고봉인 레분다케(490m)에서 섬 서쪽 지역에 걸쳐 레분아츠모리소우 등 약 300종의 고산식물이 분포한다. 동부 해안에서는 레분수도를 사이에 두고 리시리후지의 아름다운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이러한 수려한 자연 경관과 풍부한 해산물은 레분섬 관광의 핵심 요소이다.

섬 최북단 스코톤 곶에서 서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트레킹 코스로 "사랑과 로맨스의 8시간 코스", "곶 순례 코스"(구 꽃의 4시간 코스)[27], "플라워로드" 등이 잘 정비되어 있어 고산식물을 관찰하며 걷기 좋다. 레분 폭포와 같이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비경도 존재하지만, 일부 코스에는 위험한 구간이 있을 수 있으므로 레분정이나 자연 가이드가 제공하는 정보를 확인하고 안전 수칙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섬 남서부에는 모모이와, 지장 바위, 고양이 바위와 같은 독특한 형태의 기암들과 고산식물 군락지가 곳곳에 있어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낸다. 이 지역은 스코톤 곶 등과 함께 관광버스 노선에 자주 포함된다.

2007년에는 레분섬온천 개발에 성공하여 온천욕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섬 북쪽 끝의 후나도메만 등을 중심으로 야생 아자라시가 서식하고 있어 일 년 내내 관찰할 수 있다. 토도섬(바다표범섬)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된 토도는 과거 남획 등으로 수가 줄었지만, 드물게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레분섬에는 후지미가오카 스키장과 쿠슈코호반 스키장, 두 곳의 스키장이 있다.[28] 이 중 쿠슈코호반 스키장은 일본 최북단에 위치한 스키장이다. 스키장 옆의 쿠슈코는 일본 실효 지배 지역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호수이며, 호숫가에는 캠프장이 잘 갖추어져 있다.

또한, 섬 내 여러 어항의 테트라포드에서는 검은볼락, 가야, 까치복, 아이나메 등을 낚는 낚시를 즐길 수도 있다.

모모이와


고로타곶에서 본 스코톤곶과 토도섬(바다표범섬)

9. 교통

레분섬으로 가는 주요 교통수단은 페리이며, 왓카나이 등에서 출발하는 노선이 있다. 섬 내의 레분 공항은 현재 운영이 중단되었으므로, 항공편 이용 시에는 왓카나이 공항을 통해 왓카나이로 이동한 후 페리를 이용해야 한다.

9. 1. 항로


  • 페리: 와카나이항과 리시리섬의 오시도마리항, 쿠츠가타항에서 레분섬의 코우진항으로 가는 페리가 운항된다. 하트랜드 페리(구 동일본해 페리)가 운영하며, 상세 노선 정보는 아래와 같다.

코우진항 페리 노선
출발지소요 시간운항 횟수 (1일)비고
와카나이항2시간 5분 ~ 2시간 50분2~5편
오시도마리항 (리시리섬)40분1~2편
쿠츠가타항 (리시리섬)40분2편5월 ~ 9월 한정 운항


  • 항공편: 레분섬으로 직접 가는 항공편은 없으나, 왓카나이 공항을 이용하여 왓카나이로 이동한 후 페리를 이용할 수 있다.

9. 2. 항공

'''레분 공항'''은 2009년 4월 9일부터 2026년 3월 31일까지 운용이 중단되었다.[29] 2003년 4월 이후 정기 항공편은 운항하지 않고 있다.

10. 고대사

섬의 형성은 신생대 제3기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선사 시대에는 조몬 시대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후나도마리 유적에서는 약 3,800년에서 3,5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조몬 여성의 유해가 발굴되었다. 이 유해의 하플로그룹 분석 결과는 D1b2a(D-CTS220)로 밝혀져, 하플로그룹 D1b가 조몬 계통 중 하나라는 가설을 뒷받침한다.[9] 이후 오호츠크 문화 시대의 유적이 향후정(香深井)과 선박(船泊) 지역에서 발견되어, 다양한 문화가 섬에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아이누 시대에는 방어 시설인 차시 유적이 확인되어, 당시 아이누 사회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11. 대중문화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인 식극의 소마에서 레분섬은 홋카이도 전역에서 열리는 승진 시험의 마지막 단계 장소로 등장한다.

참조

[1] 백과사전 礼文島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8-27
[2] 백과사전 礼文島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8-27
[3] 백과사전 礼文島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8-22
[4] 학술지 みちのくの海のイルカたち(特集 みちのくの海と水族館の海棲哺乳類) http://isanakai.web.[...] Faculty of Fisheries of University of Nagasaki, Isanakai 2017-03-09
[5] 뉴스 (北海道)「シャチ送り」の遺構か 礼文島の遺跡で出土 Asahi Shimbun 2017-10-04
[6] 웹사이트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https://www.data.jma[...] JMA 2022-02-16
[7] 웹사이트 気象庁 /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JMA 2022-02-16
[8] 서적 Japan Handbook Moon Publications, Inc. 1993-12
[9] 학술발표 礼文島船泊縄文人の核ゲノム解析 http://anthrop-meeti[...]
[10] 웹사이트 環境省_自然環境の概要 利尻礼文サロベツ国立公園 http://www.env.go.jp[...] 2014-06-12
[11] 웹사이트 礼文島役場ホームページ http://www.town.rebu[...]
[12] 웹사이트 アイヌ語地名リスト ル~ワ P141-145 http://www.pref.hokk[...] 北海道 環境生活部 アイヌ政策推進室 2007
[13] 웹사이트 北海道離島振興計画(令和5年度(2023年度)~令和14年度(2032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20
[14] 간행물 利尻研究 http://www.town.rish[...]
[15] 간행물 礼文島 北海道開発庁
[16] 웹사이트 絶滅危惧種情報(動物)- ニホンアシカ - http://www.biodic.go[...] 環境省 2009-08-08
[17] 간행물 知床博物館研究報告 http://shiretoko-mus[...] 2014-06-12
[18] 간행물 知床博物館研究報告 http://www.cho.co.jp[...] 2014-06-17
[19] 웹사이트 北の海の道リイシリのアイヌ史 http://www.frpac.or.[...] 2014-06-12
[20] 웹사이트 西部系群コククジラ Eschrictius robustus の記録集成と通過海峡 http://www.h6.dion.n[...] 2014-06-12
[21] 간행물 Historic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the 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in the North Pacific, Bering Sea, Sea of Okhotsk and Sea of Japan from the Maury Whale Charts http://www.sfcelticm[...] 2014-06-12
[22] 서적 地球の歩き方 島旅04 利尻・礼文
[23] 서적 利尻・礼文自然観察ガイド 山と渓谷社
[24] 서적 原色・日本島図鑑 新星出版社
[25] 웹사이트 礼文島エキノコックス症の自然史 http://idsc.nih.go.j[...] 国立感染症研究所感染症情報センター 2008-04-07
[26] 웹사이트 礼文島金環日食 ―実現に向けての日食委員会記録と礼文島日食再検討―(天文月報、2020年) https://www.asj.or.j[...]
[27] 웹사이트 散策路マップ http://www.town.rebu[...] 2014-01-13
[28] 웹사이트 礼文町教育委員会ポータル :: 富士見ヶ丘スキー場・久種湖畔スキー場 http://www.reikyoi.j[...] 2014-06-12
[29] 정부발표 2021年(令和 3年)2月25日付国土交通省告示第108号 2021-02-25
[30] 웹인용 観測史上1~10位の値(年間を通じての値) https://www.data.jma[...] JMA 2022-02-16
[31] 웹인용 気象庁 / 平年値(年・月ごとの値) https://www.data.jma[...] JMA 2022-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