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폭력 저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폭력 저항은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정치적,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려는 행위이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사건에서 나타났으며, 묵가, 유대인, 모리오리족 등 여러 집단이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저항했다. 19세기에는 영국, 아일랜드, 미국 등에서 시민 불복종, 보이콧, 노예제 폐지 운동 등에 활용되었으며, 20세기에는 한국의 삼일 운동, 인도의 비협조 운동,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반대 운동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폭력 저항은 시민 불복종과 유사하지만, 법률 위반, 처벌 수용 등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되며, 혁명적인 목표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비폭력 기독교, 민중 불복종, 시민 저항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관련 다큐멘터리와 단체, 인물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동체 조직화 - 피케팅
피케팅은 노동쟁의, 사회적 또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피켓을 들고 특정 장소에서 집회하는 시위의 한 형태로, 목적과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합법성은 국가별 법률 및 판례에 따라 다르지만, 폭력이나 불법 행위를 수반하는 경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 공동체 조직화 - 로자 파크스
로자 파크스는 1955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촉발시킨 버스에서의 용기 있는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의 핵심 인물이 된 미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비폭력 - 농성
농성은 특정 장소에 앉아 항의하는 비폭력 시위의 한 형태로, 다양한 사회 운동과 노동 쟁의 등에서 활용되며, 시위 대상에 대한 여론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요구를 관철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 비폭력 - 시민 저항
시민 저항은 정부 정책이나 사회 제도에 대한 반대 의사 표출을 위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사회 운동으로, 한국 사회에서는 역사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민주화 운동을 포함한 사회 변화와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항의 방법 - 농성
농성은 특정 장소에 앉아 항의하는 비폭력 시위의 한 형태로, 다양한 사회 운동과 노동 쟁의 등에서 활용되며, 시위 대상에 대한 여론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요구를 관철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 항의 방법 - 피케팅
피케팅은 노동쟁의, 사회적 또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피켓을 들고 특정 장소에서 집회하는 시위의 한 형태로, 목적과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합법성은 국가별 법률 및 판례에 따라 다르지만, 폭력이나 불법 행위를 수반하는 경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비폭력 저항 | |
---|---|
비폭력 저항 | |
![]() | |
개요 | |
정의 | 폭력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이루려는 저항 운동 |
방법 | 시위 파업 보이콧 시민 불복종 비협조 |
특징 | 윤리적 또는 종교적 신념에 기반 전략적 선택 다양한 전술 활용 대중의 참여 |
목표 | 억압적인 권력에 대한 도전 사회적 불평등 해소 정치적 자유와 권리 쟁취 사회 변화 촉진 |
역사적 사례 | |
간디의 인도 독립 운동 | 인도 독립 운동은 비폭력 저항의 대표적인 사례 |
미국의 시민권 운동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주도로 흑인 시민권 쟁취 운동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운동 | 인종차별 정책에 대한 저항 |
동유럽 공산주의 몰락 | 비폭력 시위를 통한 민주화 운동 |
1980년대 필리핀의 권력 이동 | 국민의 힘 혁명 |
2010년대 아랍의 봄 | 북아프리카와 중동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 |
이론적 배경 | |
전략적 비폭력 | 비폭력 저항은 단순한 도덕적 선택이 아닌 전략적 선택 |
권력의 원천 | 권력은 피지배자의 동의에 기반하며, 비협조를 통해 권력을 무력화 가능 |
비폭력 저항의 성공 요인 | 대중의 참여 조직력과 규율 전략적 기획 정치적 기회 활용 국제적 지원 |
비폭력 저항과 폭력 저항의 비교 | |
장점 | 폭력에 의한 인명 피해 최소화 더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 장기적인 사회 변화 가능성 증대 도덕적 우위 확보 |
단점 | 즉각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어려움 저항 운동에 대한 탄압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약점 |
비폭력 저항의 전술 | |
설득과 교육 | 여론 조성 및 비폭력 저항의 정당성을 알리는 활동 |
상징적 행동 | 시위 행진 상징적 장소 점거 |
비협조 | 파업 보이콧 납세 거부 |
시민 불복종 | 법과 규칙에 대한 고의적인 불복종 거리 점거 연좌 농성 |
간섭 | 정부 활동 방해 기술적 방해 |
참고 자료 | |
서적 | The Trifecta of Civil Resistance: Unity, Planning, Discipline Why nonviolent resistance beats violent force in effecting social, political change Civil Resistance Tactics in the 21st Century: Report and Webinar |
학술 자료 | Understanding strategic choice: The determinants of civil war and nonviolent campaign in self-determination disputes The Diffusion of Nonviolent Campaigns Learning about principles or prospects for success? An experimental analysis of information support for nonviolent resistance Allies or Agitators? How Partisan Identity Shapes Public Opinion about Violent or Nonviolent Protests |
2. 역사
비폭력 저항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화권에서 나타나며, 종교적 신념, 정치적 자유, 사회 정의, 민족 자결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활용되었다.
날짜 | 지역 | 주요 문서/사건 | 요약 |
---|---|---|---|
기원전 470–391년 | 중국 | 묵가 | 묵가는 전쟁에 반대했지만, 전국 시대 상황에서 성곽 건설 기술을 발전시켰다. |
서기 26–36년경 | 유대 | 본디오 빌라도 관련 사건 | 유대인들은 로마 제국의 상징물 설치에 반대하며 본디오 빌라도에게 비폭력 시위를 벌였다. |
1500–1835년 이전 | 채텀 제도, 뉴질랜드 | 모리오리족 | 모리오리족은 자원 부족으로 비폭력적 분쟁 해결 관습을 발전시켰다.[9][10][11] |
1819년 | 잉글랜드 | 피터루 학살 | 참정권 확대를 요구하는 평화 시위대에 대한 유혈 진압. 퍼시 비시 셸리는 시를 통해 비폭력 저항을 찬양했다. |
1823–1829년 | 아일랜드 | 가톨릭 협회 | 다니엘 오코넬은 비폭력적 수단을 통해 가톨릭 해방을 추구했다. |
1834–1838년 | 트리니다드 | 트리니다드 노예제도 종식 | 아프리카계 흑인 노인들은 "6년 후가 아니다"를 외치며 평화 시위를 통해 견습 제도를 폐지하고 자유를 쟁취했다.[12][13] |
1838년 | 미국 | 체로키족 강제 이주 | 체로키족은 뉴 에코타 조약을 인정하지 않고 강제 이주에 비폭력적으로 저항했지만, 눈물의 길로 이어졌다. |
1848–1920년 | 미국 | 미국의 여성 참정권 | 여성들은 1세기 이상 비폭력 시위를 통해 참정권을 획득했다. |
1849–1867년 | 오스트리아 제국 | 헝가리의 소극적 저항 | 1848년 헝가리 혁명 실패 후, 헝가리는 소극적 저항을 통해 희망을 유지했다. |
1867–1918년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구 체코당 | 구 체코당은 소극적 저항을 통해 헝가리 왕국에 대한 자치권을 얻었다. |
1860–1894년, 1915–1918년 | 뉴질랜드 | 타이누이-와이카토 | 마오리 왕 타위아오는 영국 식민지화에 맞서 폭력 사용을 금지했고,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징병 거부로 이어졌다.[14] |
1879–1881년 | 뉴질랜드 | 파리하카 | 테 위티 오 롱고마이의 추종자들은 토지 몰수에 대한 소극적 저항으로 투옥되었고, 무장 군인들이 마을을 습격했다.[15][16] |
1879년 | 아일랜드 | 보이콧 | 찰스 스튜어트 파넬은 보이콧 운동을 통해 사회적 추방을 조직하여 법 개혁과 독립 지지를 이끌었다.[17] |
1903–1906년 | 영국 | 1902년 교육법에 대한 항의 | 존 클리포드는 1902년 교육법에 반대하여 세금 납부 거부 운동을 이끌었다.[18][19] |
1905년 | 러시아 | 피의 일요일 (1905년) | 게오르기 가폰 신부가 이끄는 시위대가 겨울 궁전으로 행진하다 총격을 받았다.[20] |
1908–1962년 | 사모아 | 마우 운동 | 20세기 초 식민 통치로부터 사모아의 독립을 위한 비폭력 운동.[21][22][23] |
1919년 3월 1일 | 한국 | 삼일 운동 | 마하트마 간디의 사티아그라하와 아시아의 다른 비폭력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24] |
1919–1922년 | 이집트 | 1919년 이집트 혁명 | 영국의 이집트 점령에 대한 전국적인 혁명으로, 이집트 독립과 새 헌법 제정으로 이어졌다. |
1919–1921년 | 아일랜드 | 아일랜드 비협조 운동 | 영국 지배에 저항하기 위해 영국 의회 보이콧, 세금 저항, 대안 정부 수립 등 비폭력적 수단을 사용했다.[25] |
1919년–현재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 비폭력 저항 |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 등에 대한 전략적인 비폭력 저항.[26][27][28][29][30][31] |
1920–1922년 | 인도 | 비협조 운동 | 마하트마 간디와 인도 국민회의가 이끈 전국적인 비폭력 저항 및 시민 불복종 운동. |
1929-1946년 | 파키스탄 | 쿠다이 키드마트가르 (하느님의 종들) | 압둘 가파르 칸은 파슈툰족 사이에 비폭력 조직을 설립하고 영국 통치에 저항했다. |
1920–1925년 | 펀자브 주 | 아칼리 운동 | 마한트로부터 구르드와라를 해방시키기 위한 평화 운동. |
1923년 | 독일 | 루르 점령 | 프랑스의 루르 계곡 점령에 대한 소극적 저항 운동. |
1930–1934년 | 인도 | 시민 불복종 운동 | 마하트마 간디와 인도 국민회의가 이끈 세금 거부, 영국 제품 불매운동 등 비폭력 저항. |
1933–1945년 | 독일 | 독일 저항 | 백색 장미와 고백 교회 등 소규모 단체들이 나치에 대항하여 비폭력 기법을 사용했다. |
1940–1943년 | 덴마크 | 덴마크 저항 운동 | 생산 속도 저하, 덴마크 문화 강조 등 비공식적인 저항을 펼쳤다. |
1940–1944년 | 프랑스 | 르 샹봉쉬르리뇨 유대인 피난처 | 르 샹봉쉬르리뇨 주민들은 유대인을 숨겨 나치와 비시 정권에 저항했다. |
1940–1945년 | 노르웨이 | 노르웨이 저항 운동 | 나치화 방지, 불법 신문 배포, 독일군과의 사회적 거리 유지 등 시민 불복종이 이루어졌다. |
1942년 | 인도 | 인도 독립운동 | 인도의 즉각적인 독립을 요구하는 시민 불복종 운동. |
1945–1971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반항 운동 등 | 아프리카 민족회의 등은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는 비폭력 저항을 수행했다. |
1946–1958년 | 하와이 준주 | 1954년 하와이 민주 혁명 | 농장 노동자들은 총파업을 통해 인종 차별과 경제적 불평등에 저항했다. |
1955–1968년 | 미국 | 미국 시민권 운동 등 | 버스 보이콧, 농성, 행진 등 비폭력 저항 전술을 통해 인종 차별 철폐와 투표권 획득에 성공했다. |
1957년–현재 | 미국 | 비폭력 행동 위원회 | 쟁기날 운동 등 핵무기에 대한 비폭력 저항 운동. |
1959년–현재 | 쿠바 | 1959년 이후 쿠바 반대 | 권위주의 정권에 반대하는 비폭력 활동가들이 단식 투쟁 등을 벌였다. |
1965–1972년 | 미국 | 징병 저항 |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젊은이들이 징병제도에 대한 비폭력 저항을 선택했다. |
1967년 2월 11일 | 미국 | 로스앤젤레스 블랙 캣 선술집 시위 | LAPD의 동성애자 탄압 중단을 요구하는 시위. |
1967–1972년 | 북아일랜드 | 북아일랜드 시민권 운동 | 가톨릭교도에 대한 차별 종식을 위해 비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
1968년 | 전 세계 | 1968년 시위 | 학생 주도의 시위는 베트남 전쟁 반대, 시민 자유, 여성주의 등 다양한 사회 변화를 요구했다. |
1968년 | 체코슬로바키아 | 프라하의 봄 | 체코슬로바키아 바르샤바 조약 침공 중 시민들은 소극적 저항으로 대응했다. |
1970–1981년 | 프랑스 | 라르작 | 군 기지 확장에 대한 비폭력 저항. |
1979년 | 이란 | 이란 혁명 | 샤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의 군주제를 전복시킨 사건. |
1980–1981년 | 폴란드 | 연대성 등 | 비폭력을 옹호하며 반공산주의 운동을 펼쳤다. |
1986년 | 필리핀 | 피플 파워 혁명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를 전복시킨 비폭력적인 대규모 거리 시위. |
2. 1. 고대 및 중세
기원전 5세기 중국의 묵가는 전쟁에 반대하는 사상을 가졌지만, 전국 시대의 혼란 속에서 성곽 건설 기술을 발전시켰다. 서기 26년경 로마 제국 유대 지역에서는 유대인들이 본디오 빌라도에게 로마 황제의 초상과 주피터 신의 독수리 상을 예루살렘에 세우지 말 것을 요구하며 비폭력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종교적 신념을 지키기 위해 죽음도 불사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세 시대 뉴질랜드 채텀 제도의 모리오리족은 자원 부족으로 인해 전통적인 전쟁 대신 비폭력적인 분쟁 해결 방식을 택했다.[9][10][11]2. 2. 근대
19세기 영국에서는 피터루 학살 이후 퍼시 비시 셸리가 시 무정부 상태의 가면극에서 비폭력 저항을 찬양하는 등 비폭력 저항을 옹호하는 목소리가 나왔다.[11] 아일랜드에서는 다니엘 오코넬이 가톨릭 협회를 설립하여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영국 정부에 가톨릭 해방을 요구했고, 이는 1829년 로마 가톨릭 구제법 통과로 이어졌다. 또한 찰스 스튜어트 파넬은 보이콧 운동을 통해 아일랜드 토지 동맹이 조직한 사회적 추방을 이끌었고, 이는 보이콧이라는 용어를 탄생시키고 아일랜드 독립에 대한 지지를 높였다.[17]미국에서는 1838년 체로키족 강제 이주에 반대하는 비폭력 저항이 있었으나, 눈물의 길이라는 비극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1848년부터 1920년까지 미국의 여성 참정권 운동이 1세기 이상 지속되며 비폭력 저항을 통해 여성의 참정권을 쟁취했다.
오스트리아 제국에서는 1848년 헝가리 혁명 실패 이후 헝가리에서 소극적 저항이 나타나 헝가리의 희망과 정신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구 체코당 역시 소극적 저항을 통해 헝가리 왕국에 대한 자치권을 얻었으나, 보헤미아 왕관령에는 자치권을 얻지 못했다.
2. 3. 현대
1905년 러시아에서는 피의 일요일 사건이 발생했다. 게오르기 가폰 신부가 이끄는 무장하지 않은 시위대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겨울 궁전으로 행진하여 차르에게 청원서를 제출하려 했으나, 황실 근위대 병사들에게 총격을 당했다.[20]1919년 3월 1일 한국에서는 삼일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마하트마 간디의 사티아그라하와 아시아의 다른 많은 비폭력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24]
1920년부터 1922년까지 인도에서는 마하트마 간디와 인도 국민회의가 주도한 비협조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는 전국적인 비폭력 저항과 시민 불복종 운동이었다. 간디의 비폭력은 인도 사회에서 불가촉천민의 지위 향상에도 기여했다.
1929년부터 1946년까지 파키스탄에서는 압둘 가파르 칸과 그의 동료들이 북서 국경 지방의 파슈툰족 사이에 쿠다이 키드마트가르(하느님의 종들)라는 조직을 설립했다. 이들은 25만 명이 넘는 무장하지 않은 회원을 모집하여 매일 2시간의 지역 사회 봉사를 하고 영국 통치에 대한 비폭력 저항을 실천했다.
1923년 독일에서는 루르 점령에 대한 소극적 저항 운동이 있었다. 프랑스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배상금 지급 불이행을 이유로 독일의 석탄, 철, 강철 생산 중심지인 루르 계곡을 점령했다.
1930년부터 1934년까지 인도에서는 마하트마 간디와 인도 국민회의가 이끈 시민 불복종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는 영국이 부과한 세금 거부, 영국 제조품 불매운동, 대규모 파업을 특징으로 하는 비폭력 저항이었다.
1933년부터 1945년까지 독일에서는 나치즘에 대한 저항 운동이 있었다. 백색 장미와 고백 교회 등 소규모 단체들이 비폭력 기법을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여러 국가에서 나치 점령에 대한 비폭력 저항이 있었다.
- 1940년부터 1943년까지 덴마크에서는 덴마크 저항 운동이 일어났다. 덴마크 정부는 "항의하에 협상"이라는 공식적인 협력 정책을 채택했지만, 많은 덴마크인들은 생산 속도 저하, 덴마크 문화와 역사 강조, 관료적 혼란 등의 비공식적인 저항을 펼쳤다.
- 1940년부터 1944년까지 프랑스에서는 르 샹봉쉬르리뇨 지역 주민들이 유대인을 숨겨 나치와 비시 정권에 저항했다. 이들은 3,000명에서 5,000명의 유대인을 구출한 것으로 추산된다.
- 1940년부터 1945년까지 노르웨이에서는 노르웨이 저항 운동이 있었다. 노르웨이 교육 제도의 나치화 방지, 불법 신문 배포, 독일군과의 사회적 거리 유지("얼음 정면") 등의 시민 불복종이 이루어졌다.
1945년부터 1971년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아프리카 민족회의(ANC) 등이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는 비폭력 저항 운동을 전개했다.
1946년부터 1958년까지 하와이 준주에서는 농장 노동자들이 총파업을 통해 인종 차별과 경제적 불평등에 저항했다.
1955년부터 1968년까지 미국에서는 미국 시민권 운동이 전개되었다. 버스 보이콧, 자유 기수, 농성, 행진, 대규모 시위 등의 비폭력 저항 전술이 사용되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제임스 비벨은 이 운동의 주요 지도자였으며, 간디의 비폭력 저항에서 영감을 받았다.
1957년부터 미국에서는 비폭력 행동 위원회가 핵무기에 대한 비폭력 저항 운동을 펼쳤다. 쟁기날 운동은 가톨릭 사제와 수녀들로 구성되어 1980년부터 70건 이상의 행동을 벌였다.
1959년부터 쿠바에서는 권위주의 정권에 반대하는 비폭력 활동가들이 단식 투쟁 등을 벌였다.
1965년부터 1972년까지 미국에서는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많은 젊은이들이 징병제도에 대한 비폭력 저항을 선택했다.
1967년부터 1972년까지 북아일랜드에서는 북아일랜드 시민권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들은 가톨릭교도에 대한 차별 종식을 위해 행진, 피케팅, 농성, 시위 등의 비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1979년 이란에서는 이란 혁명이 일어났다. 이는 샤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의 군주제를 전복시킨 사건이다.
1980년부터 1981년까지 폴란드에서는 연대성 운동이 비폭력을 옹호하며 반공산주의 운동을 펼쳤다.
1986년 필리핀에서는 피플 파워 혁명이 일어났다. 이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를 전복시키고 코라손 아키노를 권력에 올린 비폭력적인 대규모 거리 시위였다. 이 혁명은 대한민국의 6월 항쟁에도 영향을 주었다.
3. 시민 불복종과의 비교
시민 불복종과 비폭력 저항은 종종 동의어로 여겨지지만, 서로 다른 함축과 약속을 지닌다. 베렐 랭(Berel Lang)은 시민 불복종 행위의 조건으로 (1) 법률 위반, (2) 의도성, (3) 처벌 수용을 제시하며, 비폭력 저항은 이러한 기준을 충족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68] 따라서 랭은 두 개념을 동일시할 수 없다고 본다.
시민 불복종은 개혁을 목표로 하는 정치 행동의 한 형태이며, 특정 법률이나 법률 집단에 대한 이의 제기를 통해 정부의 권위를 인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반면, 비폭력 저항은 혁명적 목표를 가질 수 있다.
랭에 따르면, 시민 불복종은 반드시 비폭력적일 필요는 없지만, 폭력의 정도와 강도는 비혁명적인 의도에 의해 제한된다. 그는 국가 대표에 대한 치명적인 폭력 사용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강제 구금 시설로 이전되는 시민들의 폭력적인 저항은 시민 불복종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비폭력 저항으로는 간주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68]
4. 주요 개념
비폭력 저항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폭력 기독교 | 민간 기반 방위 | 민중 불복종 |
민간 저항 | 직접 행동 | 꽃의 힘 |
산업 행동 | 인터넷 저항 | 수동성 |
이슬람 비폭력 | 불가침 원칙 | 저항 거부 |
비폭력 | 비폭력 혁명 | 평화주의 |
수동적 복종 | "펜은 칼보다 강하다" | 반란 |
섹스 파업 | 시위 농성 | 사회 방위 |
조세 저항 | 강좌 | 제3자 비폭력 개입 |
전환무장 |
(변경사항 없음: 주어진 결과물은 이미 모든 지시사항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원본 소스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며, 허용된 위키텍스트 문법만을 사용했습니다. 템플릿은 사용되지 않았고, 중복되는 내용도 없습니다.)
4. 1. 비폭력의 종류
- 비폭력 기독교
- 민간 기반 방위
- 민중 불복종
- 민간 저항
- 직접 행동
- 꽃의 힘
- 산업 행동
- 인터넷 저항
- 수동성
- 이슬람 비폭력
- 불가침 원칙
- 저항 거부
- 비폭력
- 비폭력 혁명
- 평화주의
- 수동적 복종
- "펜은 칼보다 강하다"
- 반란
- 섹스 파업
- 시위 농성
- 사회 방위
- 조세 저항
- 강좌
- 제3자 비폭력 개입
- 전환무장
```
(변경사항 없음: 주어진 결과물은 이미 모든 지시사항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원본 소스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며, 허용된 위키텍스트 문법만을 사용했습니다. 템플릿은 사용되지 않았고, 중복되는 내용도 없습니다.)
5. 관련 다큐멘터리
- 힘의 원천 - 스티브 요크(Steve York) 감독
- 혁명의 시작 - 루어리드 애로우(Ruaridh Arrow) 감독
6. 관련 단체 및 인물
- 평화 운동가 목록
- 반전 단체 목록
- :Category:비폭력 단체
- :Category:비폭력 저항 운동
- :Category:국가별 반전 운동가
- :Category:국가별 인권 운동가
- :Category:국가별 민주주의 운동가
참조
[1]
웹사이트
Why nonviolent resistance beats violent force in effecting social, political change
https://news.harvard[...]
2019-02-04
[2]
서적
A Force More Powerful: A Century of Non-violent Conflict
Palgrave
2001
[3]
논문
The Diffusion of Nonviolent Campaigns
2017
[4]
논문
Learning about principles or prospects for success? An experimental analysis of information support for nonviolent resistance
2020
[5]
웹사이트
The Trifecta of Civil Resistance: Unity, Planning, Discipline
https://commonslibra[...]
2023-05-03
[6]
웹사이트
Civil Resistance Tactics in the 21st Century: Report and Webinar
https://commonslibra[...]
2021-04-16
[7]
논문
Allies or Agitators? How Partisan Identity Shapes Public Opinion about Violent or Nonviolent Protests
2020-08-18
[8]
논문
Understanding strategic choice: The determinants of civil war and nonviolent campaign in self-determination disputes
https://www.prio.org[...]
2013
[9]
서적
Guns, germs, and steel: the fates of human societies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10]
서적
Transactions and Proceedings of the New Zealand Institute
https://books.google[...]
New Zealand Institute
[11]
서적
New Zealand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09-05-20
[12]
서적
The Living Age
https://archive.org/[...]
Littell, Son and Co.
2009-05-20
[13]
서적
Sixteen Years in the West Indies
http://www.nalis.gov[...]
T.C. Newby
2009-05-20
[14]
웹사이트
Resistance to conscription – Maori and the First World War | NZHistory.net.nz, New Zealand history online
http://www.nzhistory[...]
Nzhistory.net.nz
2007-07-17
[15]
웹사이트
James Cowan, ''The New Zealand Wars: A History of the Maori Campaigns and the Pioneering Period: Volume II, 1922, page 478.
http://www.nzetc.org[...]
2009-05-15
[16]
웹사이트
The Legacy of Parihaka
http://www.historic.[...]
2008-02-15
[17]
서적
Captain Boycott and the Irish
https://books.google[...]
André Deutsch
[18]
서적
The Quest for National Efficiency: a Study in British Politics and Political Thought, 1899–191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10-27
[19]
위키피디아
Sources quoted in John Clifford and Education Act 1902 Wikipedia pages.
[20]
서적
A History of Modern Europe 1789–1968
[21]
웹사이트
The Mau Movement for Samoan Independence
https://commonslibra[...]
2019-03-29
[22]
서적
Nonviolent action: a research guid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3]
서적
Protest, Power, and Chang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4]
웹사이트
Why Did Mao, Nehru and Tagore Applaud the March First Movement?
http://www.koreafocu[...]
Korea Focus
[25]
서적
The Irish War of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6]
뉴스
EU rebukes Israel for convicting Palestinian protester
https://www.bbc.co.u[...]
2010-08-26
[27]
뉴스
Deporting Gandhi from Palestine
http://www.huffingto[...]
2010-04-21
[28]
뉴스
Palestinians test out Gandhi-style protest
http://news.bbc.co.u[...]
2010-04-14
[29]
뉴스
Criminalizing Peaceful Protest: Israel Jails Another Palestinian Gandhi
http://www.huffingto[...]
2010-10-25
[30]
뉴스
West Bank Arrest Violated International Law, Palestinian Claims
http://www.haaretz.c[...]
2011-04-24
[3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1-04-25
[32]
웹사이트
Lessons from the Greensboro Student Sit-ins
https://commonslibra[...]
2019-03-15
[33]
웹사이트
Nashville Student Movement
http://www.crmvet.or[...]
[34]
서적
Freedom Rider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5-12
[35]
서적
Bracing for Armageddon: why civil defense never worke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9-05-20
[36]
서적
Domestic socie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5-20
[37]
서적
Radical pacifism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9-05-20
[38]
웹사이트
Guillermo Fariñas ends seven-month-old hunger strike for Internet access
https://web.archive.[...]
Reporters Without Borders
2006-09-01
[39]
웹사이트
Amnesty International USA's Medical Action
https://web.archive.[...]
2009-05-03
[40]
서적
Boitel vive: Testimonio desde el actual presidio político cubano
http://www.cadal.org[...]
Konrad-Adenauer-Stiftung
2009-05-05
[41]
서적
Confronting the War Machine: Draft Resistance During the Vietnam War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3
[42]
서적
Hell No, We Won't Go!: Resisting the Draft During the Vietnam War
Viking Press
1991
[43]
서적
The New Exiles: American War Resisters in Canada
https://books.google[...]
Liveright Publishers
1971
[44]
간행물
Black Cat Protest (Now LeBar), City of Los Angeles, Historic Cultural Monument Resistance to LAPD Raids Against Homosexuals
2009
[45]
간행물
Los Angeles Gay and Lesbian History Tour
Center for Preservation Education and Planning
2000
[46]
서적
Gay L.A.: a History of Sexual Outlaws, Power Politics, and Lipstick Lesbians
Basic Books
2006
[47]
웹사이트
1968 and the Environmental Movement in Europe
http://www.kent.ac.u[...]
2008-02
[48]
웹사이트
Defending without the military
http://www.iss.co.za[...]
2011-06-09
[49]
서적
Judging Nonviolence: The Dispute Between Realists and Idealis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UK)
2004-01
[50]
서적
Justice Without Violence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1993-02
[51]
서적
Emmanuel, Solidarity: God's Act, Our Response
https://archive.org/[...]
Xlibris Corporation
2001-01-01
[52]
웹사이트
ChangeMaker Chat with Myint Cho: Burmese Pro-Democracy Activist
https://commonslibra[...]
2021-11-16
[53]
웹사이트
Summary/Observations – The 2006 State of World Liberty Index: Free People, Free Markets, Free Thought, Free Planet
http://www.stateofwo[...]
Stateofworldliberty.org
2010-09-01
[54]
웹사이트
From the Berlin Wall to Today — Lessons for Harnessing the Moment of the Whirlwind
https://commonslibra[...]
2023-12-03
[55]
웹사이트
Working Tirelessly for Peace and Equality Civil Resistance and Peacebuilding in Liberia
https://commonslibra[...]
2023-06-13
[56]
서적
Environmental politics in Latin America : elite dynamics, the left tid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ttp://worldcat.org/[...]
Routledge
2014-11-13
[57]
서적
Dominant elites in Latin America : from neoliberalism to the 'pink tide'
https://www.worldcat[...]
2017-01-01
[58]
학술지
Diplomacy at a Canadian Mine Site in Guatemala
http://dx.doi.org/10[...]
2018-10-09
[59]
웹사이트
Libyan Writer Detained Following Protest Call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1-02-08
[60]
뉴스
Gaddafi Ready for Libya's 'Day of Rage'
http://aawsat.com/en[...]
2011-02-09
[61]
참조
[62]
위키페이지
Shia Islam in Saudi Arabia
[63]
위키페이지
2011–12 Saudi Arabian protests
[64]
웹사이트
everywheretaksim.net – online archive of articles and data related to the Turkish protests 2013
http://everywheretak[...]
2013-06-18
[65]
웹사이트
An in depth look at the Hong Kong democracy movement
https://commonslibra[...]
2024-04-19
[66]
웹사이트
Umbrella Movement Reflections
https://commonslibra[...]
2024-04-20
[67]
웹사이트
US backed regime change as it 'wants bases in Pakistan'
https://tribune.com.[...]
2023-03-25
[68]
학술지
Civil Disobedience and Nonviolence: A Distinction with a Difference
19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