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각 무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각 무역은 세 지역 간의 상품 및 인적 자원 교환을 특징으로 하는 무역 형태를 의미한다. 가장 잘 알려진 사례는 16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 이루어진 대서양 노예 무역으로, 유럽, 서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의 식민지 간에 노예, 상품, 제조품 등이 교환되었다. 이 외에도 영국, 청나라, 인도 간의 아편 무역, 쿠바, 러시아, 뉴잉글랜드 간의 설탕 무역, 인도양 삼각 무역 등이 존재했다. 대서양 노예 무역은 약 1,250만 명의 아프리카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강제 이주되는 결과를 낳았으며, 포르투갈, 영국, 프랑스, 스페인 등이 주요 노예 수송 국가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서양의 역사 - 대서양 노예 무역
  • 대서양의 역사 - 엔히크 항해왕자
    엔히크 항해왕자는 포르투갈의 왕자로서 아프리카 해안 탐험을 후원하고 항해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포르투갈의 대항해 시대를 이끌었으나, 1460년에 사망했다.
  • 범선 시대 - 무역풍
    무역풍은 지구의 위도권을 따라 동쪽에서 서쪽으로 부는 바람으로, 해들리 순환의 일부이며, 코리올리 효과로 북반구에서는 북동풍, 남반구에서는 남동풍으로 불며, 기상 및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 범선 시대 -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1602년 네덜란드 의회가 설립한 특허 회사로, 동인도와의 무역 독점, 요새 구축, 군대 유지 등의 권한을 가지며 17세기 세계 최대 무역 회사로 성장했으나, 18세기 후반 쇠퇴하여 1799년 해산되었고, 최초의 주식회사로 여겨지지만 식민주의 등의 문제로 비판받는다.
  • 무역사 - 조공
    조공은 종속국이 상위 국가에 바치는 공물이나 예물을 의미하며, 정치적, 경제적 목적으로 활용되었고, 아즈텍 제국, 중국, 이슬람 칼리파국 등 다양한 국가와 제국에서 운영되었다.
  • 무역사 - 상업 혁명
    상업 혁명은 11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에서 일어난 경제 변화로,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을 중심으로 상업 경제가 발전하고 인구 증가, 도시화, 농업 혁명, 금융 시스템 발달, 대항해시대, 식민주의, 중상주의 등장으로 특징지어진다.
삼각 무역
개요
유형무역 방식
설명세 지역 또는 항구 간의 무역
역사적 맥락
주요 무역로대서양 삼각 무역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간의 노예 무역)
관련 개념
관련 무역 방식교역
노예 무역

2. 대서양 삼각 무역

대서양 삼각 무역은 16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 유럽, 서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 사이에서 이루어진 노예, 상품, 자원의 교역을 의미한다.

가장 잘 알려진 삼각 무역은 대서양 간 노예 무역으로, 서아프리카, 카리브해, 미국의 식민지들과 유럽의 식민 세력들, 그리고 영국령 북아메리카의 북부 식민지 (특히 뉴잉글랜드) 간에 이루어졌다.

1727년 침몰한 노예선 ''Luxborough Galley'' ("I.C. 1760"), 카리브해와 영국 사이 삼각 무역의 마지막 구간에서 침몰.


대표적인 예로 식민지 몰라시스 무역이 있다. 상인들은 카리브해의 농장에서 원당(종종 액체 형태인 몰라시스)을 구입하여 뉴잉글랜드와 유럽으로 운송하여 럼주를 생산하는 증류주 회사에 판매했다. 상인 자본가들은 설탕 판매 대금으로 뉴잉글랜드에서 럼주, 모피, 목재를 구입하여 유럽으로 운송했다. 유럽 판매 수익으로 상인들은 도구와 무기 등 유럽산 제조품을 구입하여 다음 항해에서 미국산 설탕과 럼주와 함께 서아프리카로 운송하여 현지 권력자들이 잡은 노예와 교환했다. 이후 노예들을 카리브해로 운송하여 설탕 농장주들에게 판매했다. 브라질, 카리브해 제도, 미국 남부에서 노예 판매 대금은 더 많은 원자재를 구입하는 데 사용되어 순환이 다시 시작되었다. 역사가 클리포드 십턴에 따르면, 삼각 항해 전체는 평균적으로 일 년이 걸렸다.[11]

삼각 무역은 개별 선박이 순차적인 순환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각 구간별로 특화된 선박이 운항하는 경우가 많았다. 노예선은 많은 사람을 수송하도록 건조되었고, 경작 작물은 주로 유럽에서 아메리카로, 그리고 다시 유럽으로만 항해하는 별도의 함대에 의해 운송되었다.[18]

2017년 연구는 아프리카로의 화약 수출이 대서양 횡단 노예 무역을 증가시켰다는 가설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화약 1% 증가는 5년간의 총-노예 순환을 촉발하여 노예 수출을 평균 50% 증가시켰고, 그 영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증가했다."[21]

뉴포트와 브리스톨은 식민지 삼각 노예 무역에 관여한 주요 항구였다.[37] 많은 중요한 뉴포트 상인과 무역상이 이 무역에 참여하여 카리브해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의 상인과 무역상과 긴밀하게 협력했다.[38]

2개국 간 국제 무역에서 무역 수지가 장기간 불균형을 유지하면 적자국에서 국제 통화(근세·근대에는 )가 계속 유출되어 최종적으로는 결제 수단이 없어진다. 은본위제의 경우, 흑자국은 과잉으로 인해 국내 가치가 하락(인플레이션)한 통화로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외국 상품의 수입을 늘리고, 적자국은 통화 부족으로 인한 디플레이션으로 국내 가격이 하락한 상품을 수출함으로써 무역 수지는 균형을 맞추려고 한다. 이 새로운 수출입의 상대는 제3국이어도 좋다(다국간 무역).

특히, 대항해시대 이후 영국을 중심으로 한 3개국(3지역) 간 무역을 “삼각 무역”이라고 한다. 당시 서아프리카에서는 전쟁 포로를 노예로 수출했는데, 그 노예가 삼각 무역의 주요 상품이었던 것이 현대에는 탈식민주의의 관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해류의 북대서양 순환 등


삼각형의 꼭짓점에 해당하는 지역은 유럽·서아프리카·서인도 제도의 3개 지역이며, 무역 루트는 다음과 같았다.

2. 1. 노예 무역의 구조

서아프리카, 카리브해, 미국의 식민지들과 유럽의 식민 세력들, 그리고 영국령 북아메리카의 북부 식민지 (특히 뉴잉글랜드) 간에 노예, 환금 작물, 제조 상품들이 교역되었다.[47]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대륙 사이에서 이루어진 대서양 횡단 노예 무역은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삼각 무역이었다. 노예선들은 브리스틀과 낭트와 같은 유럽 항구를 떠나 유럽에서 제조된 상품을 싣고 아프리카 항구로 항해했다. 그곳에서 노예 상인들은 상품을 교환하여 노예로 팔린 아프리카인들을 구입한 다음, 중간 항해를 통해 아메리카로 항해하여 유럽 식민지에서 노예로 팔았다. "황금 삼각형"이라고 불리는 이 과정에서 노예선은 유럽으로 돌아가 다시 순환을 시작했다.[3] 노예로 팔린 아프리카인들은 주로 유럽에서 수요가 높았던 사탕수수, 면화, 담배와 같은 귀중한 경작 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구입되었다.[4][5][6][7][8]

1450년부터 1800년까지 국가별 아메리카로 이송된 노예 수


삼각 무역의 첫 번째 구간은 유럽 항구에서 서아프리카(노예 해안) 항구로 가는 구간이었으며, 배는 구리, , 장신구, 노예 구슬, 탄약과 같은 판매 및 교역을 위한 물품을 실었다.[12] 배가 도착하면 화물은 노예와 판매 또는 교환되었다. 위다, 라고스, 아네호(리틀 포포), 그랑드포포, 아구에, 자킨, 포르토노보, 바다그리는 아프리카에서 노예를 수출한 항구였다.[13] 이러한 항구들은 알라다와 위다를 포함한 아프리카 공동체, 부족 및 왕국에서 공급받은 노예를 거래했으며, 이들은 나중에 다호메이 왕국에 의해 점령되었다.[14]

두 번째 구간에서 배는 아프리카에서 신세계로 가는 중간 항해를 했다. 많은 노예들이 노예선의 좁은 선창에서 질병으로 사망했다. 배가 신세계에 도착하면 살아남은 노예들은 카리브해 또는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팔렸다. 그런 다음 배는 철저히 청소하고, 물을 빼내고, 귀항을 위한 수출품을 싣도록 준비되었다.

세 번째 구간인 모항으로 돌아가는 항해에서, 서인도 제도의 주요 수출품은 설탕, 럼주, 몰라시스였고, 버지니아에서는 담배이었다. 그런 다음 배는 유럽으로 돌아와 삼각형을 완성했다.[15]

아프리카에서 수입된 노예 수 그래프(1501년~1866년)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는 커피 풍습이 퍼지면서 설탕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에 따라 설탕을 생산하는 서인도 제도브라질 북동부 등에서는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럽에서 출항한 배는 카나리아 해류를 타고 서아프리카에 섬유 제품, 럼주, 무기를 운반했다. 수출된 무기는 대립하는 집단에 공급되어 포로(노예) 확보를 촉진하게 되었다. 그러한 물건과 교환으로 얻은 노예를 싣고 남적도 해류를 타고 서인도 제도와 브라질(브라질 해류)로 향해, 교환으로 설탕을 얻어 멕시코 만류북대서양 해류를 타고 본국으로 돌아왔다(노예 무역). 이렇게 유럽→서아프리카→서인도 제도→유럽이라는 일필휘지의 항로가 성립하여 “삼각 무역”이라고 불렸다. 노예의 일부는 미국 남부로 수출되어 대부분 면화 농장에서 일하게 되었다. 면화는 영국의 직물 공장에 수출되어 산업혁명의 기반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2. 2. 미국 독립 혁명 이전의 무역 패턴

미국 독립 혁명 이전의 무역은 18세기 영령(英領) 아메리카 식민지의 상인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삼각 무역 패턴을 보였다.

# 아메리카 식민지 (곡물·육류·목재 등) → 남유럽 (포도주·과일 등) → 영국 (가공품)

# 아메리카 → 서인도 (사탕·당밀 등) → 영국

# 서인도 → 아메리카 (럼주(酒)에 가공) → 아프리카 서해안 (흑인 노예)

이러한 무역은 영국의 항해조례에 의해 규제되었지만, 대(對) 서인도 제도 무역은 영국령 외 지역에서 밀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세 번째 무역 방식은 북부 상업 자본가들에게 큰 이윤을 가져다주었으며, 노예제와 미국 상업 자본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영국 정부는 1733년 당밀 조례를 통해 밀수를 방지하려 했으나, 아메리카 북부 식민지에서는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다. 이후 1764년 설탕 조례가 공포되면서 식민지 삼각 무역은 큰 위협을 받게 되었고, 이는 미국 독립 혁명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3. 영국, 청나라, 인도 간 삼각 무역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영국, 청나라, 인도 사이에는 삼각 무역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 무역은 영국 동인도 회사가 주도했으며, 청나라와의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이 컸다.

영국은 인도에서 생산한 면직물을 인도에 수출하고, 인도는 청나라에 아편을 밀수출했다. 청나라는 영국에 차와 은을 수출하는 구조였다. 초기에는 영국의 대인도 무역은 흑자였지만, 대청나라 무역은 적자여서 영국에서 청나라로 은이 유출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계 무역지인 인도에서 청나라로 은이 유출되는 형태였다.

이러한 무역 구조는 아편 전쟁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 영국 → 인도: 면직물
  • 인도 → 청나라: 아편
  • 청나라 → 영국: 차, 은


2개국 간 국제 무역에서 무역 수지가 장기간 불균형을 유지하면 적자국에서 국제 통화(근세·근대에는 )가 계속 유출되어 최종적으로는 결제 수단이 없어진다. 은본위제의 경우, 흑자국은 과잉으로 인해 국내 가치가 하락(인플레이션)한 통화로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외국 상품의 수입을 늘리고, 적자국은 통화 부족으로 인한 디플레이션으로 국내 가격이 하락한 상품을 수출함으로써 무역 수지는 균형을 맞추려고 한다. 이 새로운 수출입의 상대는 제3국이어도 좋다(다국간 무역).

; 차·아편·면직물의 삼각 무역

삼각형의 꼭짓점에 해당하는 지역은 영국, 인도, 청의 세 나라이며, 주요 상사는 영국 동인도 회사였다. 변에 해당하는 무역 루트는 실제로는 양방향 통행이며, 인도의 중계 무역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삼각형의 형태가 아니지만, 어음의 유통에 의해 삼각형이 된다.

3. 1. 아편 무역의 전개

17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영국, 인도, 청나라 간의 삼각 무역이 이루어졌다. 영국은 인도에서 면직물을 생산하여 인도에 수출하고, 인도는 청나라에 아편을 수출했으며, 청나라는 영국에 차와 은을 수출했다. 초기에는 영국의 대인도 무역은 흑자였고, 대청나라 무역은 적자여서 영국은 은을 청나라에 지불해야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계 무역지인 인도에서 청나라로 은이 유출되는 형태였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영국은 인도에서 생산한 아편을 청나라에 밀수출하기 시작했다. 이는 "외국에 돈이 나가면 손해"라는 중상주의적 사고방식 때문이었다. 청나라에서는 아편 소비가 늘면서 은이 인도의 면제품 수입을 통해 영국으로 다시 흘러 들어갔다. 데이비드 사순과 같은 무역상들이 이러한 삼각 무역을 주도했다.

청나라는 아편 밀수로 인해 대량의 은 유출에 직면하여 아편 단속을 강화했다. 이는 결국 1840년 아편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45]

4. 그 밖의 삼각 무역

"삼각 무역"이라는 용어는 대서양 삼각 무역 외에도 다양한 무역 형태를 가리킨다.


  • 고대 동부 그리스(그리고 아마도 아티카)와 콤모스, 이집트 사이에서 삼각 무역이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40]
  • 미국 독립 전쟁 이전에 영국, 영국 북아메리카 식민지, 카리브해의 영국 식민지 사이에서 무역 패턴이 발전했다. 영국 북아메리카 식민지에서는 생선(특히 소금에 절인 대구), 농산물, 목재서인도 제도의 노예와 농장주에게 수출했고, 카리브해에서는 설탕과 당밀을, 영국에서는 다양한 제조품을 수출했다.[41]
  • 영국 선박으로 뉴펀들랜드의 소금에 절인 대구와 옥수수보스턴에서 남부 유럽으로 수송하는 무역이 있었다.[42] 여기에는 포도주와 올리브 오일을 영국으로 수송하는 것도 포함되었다.
  •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호주로 항해하는 배들은 영국으로 가져갈 화물이 부족했다. 그래서 그들은 뉴사우스웨일스의 석탄을 중국으로 가져가고, 차와 비단을 싣고 영국으로 돌아왔다. 클리퍼선 ''테르모필라이''는 이 삼각 항로를 항해한 배 중 하나였다. 증기선이 충분히 연료 효율이 좋아서 해당 거리를 운항할 수 있게 되자, 일 년에 호주로 두 번 왕복 여행을 할 수 있게 되었는데, 한 번은 호주산 양모를 싣고 영국으로 직접 돌아왔고 다른 한 번은 중국을 경유했다. 이는 중국 및 일본 협의회와 경쟁했는데, 이 협의회는 해운 회사들의 카르텔로서 그들의 무역을 맹렬하게 보호하고 이를 위해 일련의 법정 소송에서 승소했다.[44]


2개국 간 국제 무역에서 무역 수지가 장기간 불균형을 유지하면 적자국에서 국제 통화(근세·근대에는 )가 계속 유출되어 결제 수단이 없어진다. 은본위제의 경우, 흑자국은 과잉으로 인해 국내 가치가 하락(인플레)한 통화로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외국 상품의 수입을 늘리고, 적자국은 통화 부족으로 인한 디플레로 국내 가격이 하락한 상품을 수출함으로써 무역 수지는 균형을 맞추려고 한다. 이 새로운 수출입의 상대는 제3국이어도 좋다(다국간 무역).

특히, 대항해시대 이후 영국을 중심으로 한 3개국(3지역) 간 무역을 “삼각 무역”이라고 한다. 당시 서아프리카에서는 전쟁 포로를 노예로 수출했는데, 그 노예가 삼각 무역의 주요 상품이었던 것이 현대에는 탈식민주의의 관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4. 1. 쿠바, 러시아, 뉴잉글랜드 간 삼각 무역

1820년대와 1830년대에는 미국 선박이 쿠바에서 설탕커피를 싣고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가서 연철, 헴프를 뉴잉글랜드로 가져오는 새로운 설탕 삼각 무역이 발달했다.[48]

4. 2. 인도양 삼각 무역

다우선을 이용한 '''인도양 삼각 무역'''은 아라비아인 또는 소말리아 사람들이 주도하였다.

다르에스살람(탄자니아), 카라치(파키스탄), 아덴(예멘)을 향해 출항하여 바스라(이라크), 뭄바이(인도), 몸바사(케냐)로 귀항하는 형태의 무역은 중세부터 1960년대까지 이어졌다. 이들 6개 항구는 무역 관계자들 사이에서 유명했다.[4]

인도양 북서부는 계절풍 및 몬순 해류(계절풍 해류)라고 불리는, 계절에 따라 방향이 바뀌는 해류가 있어 선박이 쉽게 왕복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계절풍과 해류의 영향으로 인도아대륙 북서 해안~아라비아반도 남동 해안~동아프리카를 잇는 큰 왕복 항로에 다양한 작은 항로가 연결되는 형태로 무역로가 형성되었다.[5]

다우선(다르에스살람 부근)

5. 노예 무역 통계

에모리 대학교[39]와 헨리 루이스 게이츠 주니어(Henry Louis Gates Jr.)의 연구에 따르면, 약 1,250만 명의 노예들이 아프리카에서 북미와 남미 식민지로 이송된 것으로 추산된다. 대서양 노예 무역 데이터베이스(Voyages: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Database) 웹사이트는 아프리카에서 과거 노예 매매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으며, 포르투갈, 영국, 프랑스, 스페인이 노예 무역에 가장 많이 관여한 상위 4개국임을 보여준다.

노예 수송 선박의 깃발
목적지포르투갈영국프랑스스페인네덜란드미국덴마크합계
포르투갈령 브라질4,821,1273,8049,4021,03327,7021,1741304,864,372
영국령 카리브해7,9192,208,29622,9205,7956,99664,8361,4892,318,251
프랑스령 카리브해2,56290,9841,003,90572512,7366,2423,0621,120,216
스페인령 아메리카195,482103,00992,944808,85124,19754,90113,5271,292,911
네덜란드령 아메리카50032,4465,1890392,0229,5744,998444,729
미국382264,9108,8771,8511,212110,532983388,747
덴마크령 서인도 제도025,5947,7822775,1612,79967,385108,998
유럽2,6363,43866402,00411908,861
아프리카69,20684113,28266,3913,2102,476162155,568
도착하지 않음748,452526,121216,439176,60179,09652,67319,3041,818,686
합계5,848,2663,259,4431,381,4041,061,524554,336305,326111,04012,521,339


참조

[1] 서적 Colonial triangular trade: an economy based on human misery Discovery Enterprises Ltd
[2] 학술지 The Triangular Trade Informa UK Limited
[3] 서적 United States V. Amistad: Slave Ship Mutiny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2006
[4] 웹사이트 La traite négrière nantaise de 1763 à 1793 http://www.esclavage[...]
[5] 학술지 Nantes, Bordeaux et l'économie esclavagiste – Au XVIIIe siècle, les villes de Nantes et de Bordeaux profitent toutes deux de la "traite négrière" et de l'économie esclavagiste 2013-06-00
[6] 서적 Slavery and the British Empire: From Africa to Ame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16
[7] 서적 The British slave trade and public mem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6
[8] 서적 Liverpool and the Slave Trade https://books.google[...] Merseyside Maritime Museum
[9] 웹사이트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http://africanhistor[...] 2007-11-06
[10] 웹사이트 Triangular Trade http://www.nmm.ac.uk[...]
[11] 서적 And a Bottle of Rum Three Rivers Press
[12] 웹사이트 Scotland and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 http://www.ltscotlan[...] 2007-03-28
[13] 학술지 An African Family Archive: The Lawsons of Little Popo/Aneho (Togo), 1841-1938 2007
[14] 서적 West African Kingdoms in the Nineteenth Century Routledge
[15] 서적 Tobacco Coast
[16] 학술지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ip Crowding and Slave Mortality https://www.cambridg[...] 2014-06-00
[17] 웹사이트 Encyclopedia Virginia https://encyclopedia[...] Virginia Humanities – Library of Virginia 2021-03-04
[18] 서적 The Dutch in the Atlantic Economy, 1580–1880
[19] 서적 The Atlantic Slave Tra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20] 서적 The Atlantic Slave Tra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학술지 The Gun-Slave Hypothesis and the 18th Century British Slave Trade https://mpra.ub.uni-[...]
[22] 웹사이트 Slavery in Rhode Island http://www.slavenort[...] 2011-09-11
[23] 서적 American Slavers: Merchants, Mariners, and the Transatlantic Commerce in Captives, 1644-1865 Yale University Press 2023-05-30
[24] 학술지 Ships Going Out https://www.nybooks.[...] 2023-09-00
[25] 서적 Sea of Storms: A History of Hurricanes in the Greater Caribbean from Columbus to Katr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26] 학술지 A Crisis of Charter and Right: Piracy and Colonial Resistance in Seventeenth-Century Rhode Island 2012
[27] 서적 Pirate Nests and the Rise of the British Empire, 1570-1740 UNC Press Books 2015-10-22
[28] 학술지 Markets and Composite Farms in Early America 1998
[29] 학술지 Dams, Fishes, and Farmers: Defense of Public Rights in Eighteenth-Century Rhode Island 1985
[30] 서적 From British Peasants to Colonial American Farmers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014-02-01
[31] 학술지 Competency and Competition: Economic Culture in Early America 1990
[32] 서적 Grassroots Leviathan: Agricultural Reform and the Rural North in the Slaveholding Republic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20
[33] 서적 Dark Work: The Business of Slavery in Rhode Island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16
[34] 서적 Final Passages: The Intercolonial Slave Trade of British America, 1619-1807 https://books.google[...] UNC Press Books 2014
[35] 서적 Dark Work: The Business of Slavery in Rhode Island https://books.google[...] NYU Press 2016
[36] 서적 The Civil War of 1812: American Citizens, British Subjects, Irish Rebels, and Indian Allies https://books.google[...] Alfred A. Knopf 2010
[37] 웹사이트 The Unrighteous Traffick http://www.projo.com[...] 2010-07-31
[38] 학술지 The Elusive Guineamen: Newport Slavers, 1735–1774 1982
[39] 웹사이트 Slave Voyages https://slavevoyages[...]
[40] 서적 External relations of early Iron Age Crete, 1100–600 B.C.
[41] 서적 Cod: A Biography of the Fish That Changed the World Walker 1997
[42] 서적 Bristol and the Atlantic Trade in the Eigh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43] 서적 Baltic Iron in the Atlantic World in the Eighteenth Century Brill 2007
[44] 서적 The Aberdeen Line : George Thompson Jnr's incomparable shipping enterprise The History Press 2017
[45] 문서 ブリュッセイ, 2019年
[46] 백과사전 日本銀 旺文社世界史事典 三訂版
[47] 웹사이트 The Trans-Atlantic Slave Trade http://africanhistor[...] 2007-11-06
[48] 서적 Baltic Iron in the Atlantic World in the Eighteenth Century Brill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