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융은 고대 중국에서 서쪽에 거주하던 이민족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주나라 시대에는 간쑤성 일대에 거주하며 주나라와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며, 춘추전국 시대에는 산시성, 허베이성 북부에 거주하는 민족들을 지칭하기도 했다. 융이라는 용어는 전쟁을 의미하는 청동 비문에서 유래되었으며, 맹자는 주 문왕을 서이로 칭하며 서융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한나라 이후에는 저족과 강족이 서융으로 불렸으며, 서역을 경영하면서 서융교위와 같은 직책이 생겨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고대 민족 - 흉노
흉노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동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연맹 또는 제국으로, 묵돌 선우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한나라와의 전쟁과 내분으로 멸망했으며, 민족 및 언어적 기원은 불분명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쿠차
쿠차는 타림 분지의 고대 오아시스 도시 국가로, 실크로드 교역 중심지이자 토하라인 거주지였으며, 다양한 민족 교류와 불교 번성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으나 13세기 이후 쇠락했고, 현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속한다. - 인종 및 민족 차별어 - 니거
'니거'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인종차별적 욕설로, 흑인을 지칭하는 중립적 단어에서 모욕적 의미로 변질되어 현재는 금기시되며, 흑인 사회 내부에서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흑인이 아닌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인종차별 행위로 간주된다. - 인종 및 민족 차별어 - 샤오르번
샤오르번은 중일전쟁 이후 중국에서 일본을 경멸적으로 부르는 용어로, "작은 일본"을 의미하며 일본의 침략에 대한 적개심과 반일 감정의 표현으로 사용된다. - 중국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중국의 역사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서융 | |
---|---|
개요 | |
![]() | |
별칭 | 구이 (九夷) 화융 (華戎) |
위치 | 중국 서부 |
역사 | |
관련 역사 | 주나라 춘추 시대 전국 시대 |
주요 활동 지역 | 옹주, 양주 |
민족적 관계 | 관련 민족: 저족 관련 국가: 진 |
멸망 | 진나라에 의해 흡수 |
언어 및 문화 | |
언어 | 한장어족 (추정) |
문화적 특징 | 호전적인 성향 |
명칭 | |
한자 | 西戎 |
병음 | Xīróng |
웨이드-자일스 | Hsi-jung |
의미 | 서쪽의 융족 (서쪽의 오랑캐) |
2. 어원
역사학자 리펑은 서주 시대에 "용"이라는 용어가 "전쟁"을 의미하는 청동 비문에 자주 사용되었기 때문에, 어떤 민족을 '용'이라고 부를 때 주나라는 그들을 문화적, 민족적 '타자'가 아닌 정치적, 군사적 적대자로 간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6] 폴 R. 골딘도 "용"이 "호전적인"을 의미하는 "가짜 민족명"이라고 제안한다.[7]
서융은 주로 간쑤성 일대에 거주하던 이민족을 부르는 말이었다. 귀방(鬼方), 험윤(獫狁), 견융(犬戎) 등이 상나라 및 주나라 시대에 걸쳐서 나타났으며, 특히 주나라와 오랜 기간 동안 적대 상태에 있었다.[16] 산시성(山西省) 및 허베이성(河北省) 북부 일대에 거주하던 민족들을 산융(山戎)이라 불렀으며 춘추전국 시대에 연(燕)이나 제(齊)를 자주 침범하였다. 이들은 위수 계곡 상류, 펀강을 따라 타이위안 분지, 그리고 타이항 산맥까지의 지역에 위치했는데, 이 지역은 당시 중국의 북서쪽 경계이자 농업과 초원 생활 방식의 전환 지역이었다.
주나라 이후, 이 용어는 초창기 및 중세 시대 후기에 서부에 있는 다양한 민족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시롱은 또한 중국 역사에서 춘추 시대와 전국 시대에 국가의 이름이기도 했다.
시롱은 동쪽의 동이, 북쪽의 북적, 남쪽의 남만과 함께 집단적으로 ''사방''(|s=|t=|labels=no|l=사방}})이라고 불렸다. ''예기'' "예기"는 그들에 대한 고대적 고정관념을 자세히 설명한다.
>다섯 지역, 즉 중원과 [용], [이](그리고 그 주변의 다른 야만족) 사람들은 모두 그들의 여러 본성을 가지고 있었고, 이를 변경할 수 없었다. … 서쪽 부족은 [용]이라고 불렸다. 그들은 머리를 묶지 않고 가죽을 입었다. 그들 중 일부는 곡물을 먹지 않았다. … 중원과 [이], 만, [용], [적] 사람들은 모두 편안하게 살 수 있는 거주지를 가지고 있었고, 선호하는 맛, 적절한 옷, 사용하기에 적절한 도구, 풍부하게 준비된 그릇을 가지고 있었다. 이 다섯 지역에서는 사람들의 언어가 서로 통하지 않았고, 그들의 기호와 욕망이 달랐다. 그들의 마음속에 있는 것을 이해하고, 그들의 기호와 욕망을 전달하기 위해 (관리가 있었다) - … 서쪽에는 [적제] … 가 있었다.[11] [狄鞮 ''didi''(''ti-ti'')라는 용어는 "(''고.'') 서쪽의 야만족, 적의 통역사"로 확인된다.[12] 프랑스어에서 번역 및 각색]
참고: 이 인용구의 "중원"(|p=Zhōngguó}})은 "중국"을 의미한다.
삽 모양의 세 다리 토기, 손잡이가 하나 또는 두 개인 냄비는 시롱의 주요 문화적 특징이었다.
윌리엄 H. 벡스터와 로랑 사가르 (2014)[13]는 용의 상고 중국어 이름을 |róng}}로 재구성한다. 오늘날, 서부 중국의 현대 티베토버만어족 사람들 사이에서 비슷한 소리를 내는 자칭 민족명에는 쓰촨성의 걀롱어, 윈난성 북서부의 눙어와 중어가 있다(''룽어군' 참조). 프루셰크는 주나라 시대의 용과 상나라 시대의 렌( < OC *ni[ŋ) 부족 간의 관계를 제안하지만,[14] 렌()은 상나라의 서쪽이 아닌 동쪽, 즉 산둥성 남부와 장쑤성 북부에 살았다.[15]
3. 역사
주나라의 시조인 후직의 어머니인 강원의 "강"은 "강"과 같으며, 서쪽의 유목민을 의미한다.[29] 고공단보는 융·적에게 공격받아 기산 아래로 옮겨가 처음으로 융·적 풍의 생활 형태인 유목을 고쳐 도시를 건설하고, 북방 수렵민 출신인 상을 멸망시키고 그 자리를 차지한 주나라가 서방 유목민 출신임은 명백하다.[29] 과거에는 주의 문왕에게 토벌당한 적이 있다. 이후 문왕의 태자인 무왕과 동맹을 맺고 함께 상을 멸망시킨 제후국 중 하나인 강 외에도 훈육이나 저, 밀수 등이 포함되었다.
기원전 964년경, 주 목왕이 견융을 격파하고, 이듬해 서융과 욱융을 공격했다. 기원전 859년, 주 의왕(姬燮) 때 주나라 수도가 타이위안의 융에게 공격받았다.[17] 기원전 877년에서 기원전 841년에는 주 여왕 치세 하에 서융과 선운이 주나라 영토 깊숙이 침략했다. 기원전 827년에서 기원전 782년에는 주 선왕이 진나라를 보내 서융을 공격하여 항복시키고 영토를 할양받았으며, 진나라를 보내 북융(아마도 기원전 788년)을 공격하고, 이듬해 융강 씨족을 멸망시켰다. 기원전 781년에서 기원전 771년에는 주 유왕이 견융에게 살해당하면서 서주가 멸망했다.[17] 견융은 기원전 8세기에 주나라의 수도 호경을 함락하여 서주(西周)를 몰락시키고 춘추전국 시대를 불러일으킨 원인이 되었다. 이후 진(秦)이 견융을 정벌하여 서서히 정복·흡수되었다. 주 왕조가 쫓겨난 땅에 진이 봉해졌다. 진의 목공은 여러 차례 융을 토벌하여 패자가 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번 진과 충돌했으며, 결국 진에 흡수되었고, 일부는 흉노에게 흡수되었다.
중국 전국 시대의 유학자인 맹자는 『맹자』에서 "순은 제풍에서 태어나 부하로 옮겨가 명조에서 죽은 동이 사람이다. 문왕은 기주에서 태어나 필영에서 죽은 서이 사람이다"라고[30][31] 순은 "동이" 사람, 주의 문왕은 "서이" 사람이라고 말했다.[32][33]
서주 시대 동안 다양한 융 집단이 화북 평원의 도시들에 흩어져 있었다. 북적이 북쪽에서 융을 압박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714년, 북융(北戎) 또는 산융(山戎)이 정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706년, 같은 집단이 제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693년에서 기원전 662년에는 노나라 군주인 노나라의 노 장공이 융과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다. 기원전 664년, 산융이 연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662년, 북적이 융을 타이위안에서 몰아냈다. 기원전 650년, 북융이 제나라와 허나라의 공격을 받았다. 기원전 650년 이후, 융은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그들은 주로 제나라와 진나라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17] 기원전 314년, 진나라가 마지막 적대적인 융 부족을 격파했다.[18] 통일된 유목 민족의 침략 위협은 이후 진나라와 한나라 시대에 흉노라는 정체성으로 다시 나타났다.[19] 민족이나 종족으로서는 남북으로 나뉘는 경향이 있는데, 북쪽은 튀르크계, 남쪽은 티베트족과 티베트인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이족으로 여겨진다.
=== 춘추전국시대 ===
서융은 주로 간쑤성 일대에 거주하던 이민족을 부르는 말이었다. 귀방(鬼方), 험윤(獫狁), 견융(犬戎) 등이 상나라 및 주나라 시대에 걸쳐서 나타났으며, 특히 주나라와 오랜 기간 동안 적대 상태에 있었다.[16] 산시성(山西省) 및 허베이성(河北省) 북부 일대에 거주하던 민족들을 산융(山戎)이라 불렀으며 춘추전국 시대에 연(燕)이나 제(齊)를 자주 침범하였다. 니콜라 디 코스모에 따르면, '융(戎)'은 호전적인 외국인을 가리키는 모호한 용어였다. 그는 이들을 위수 계곡 상류, 펀강을 따라 타이위안 분지, 그리고 타이항 산맥까지의 지역에 위치시켰다. 이 지역은 당시 중국의 북서쪽 경계이자 농업과 초원 생활 방식의 전환 지역이었다.[16]
과거에는 주의 문왕에게 토벌당한 적이 있다. 이후 문왕의 태자인 무왕과 동맹을 맺고 함께 상을 멸망시킨 제후국 중 하나인 강 외에도 훈육이나 저, 밀수 등이 포함되었다. 주나라 시대에는 현재의 산시성, 쓰촨성에서 간쑤성, 티베트 자치구 부근에 있었다.
주의 12대 왕 유왕은 폭정을 펼쳐 제후들의 원한을 샀고, 제후 중 한 명인 신공의 유혹을 받은 견융은 기원전 770년에 주의 수도 호경을 함락시키면서 서주 시대의 종말을 고했다. 이 이후 춘추 시대에 접어든다.
서주 시대 동안 다양한 융 집단이 화북 평원의 도시들에 흩어져 있었다. 북적이 북쪽에서 융을 압박했던 것으로 보인다.
주나라가 쫓겨난 땅에 진이 봉해졌다. 진의 목공은 여러 차례 융을 토벌하여 패자가 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번 진과 충돌했으며,
기원전 314년, 진나라가 마지막 적대적인 융 부족을 격파했다.[18] 통일된 유목 민족의 침략 위협은 이후 진나라와 한나라 시대에 흉노라는 정체성으로 다시 나타났다.[19] 결국 진에 흡수되었고, 일부는 흉노에게 흡수되었다. 민족이나 종족으로서는 남북으로 나뉘는 경향이 있는데, 북쪽은 튀르크계, 남쪽은 티베트족과 티베트인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이족으로 여겨진다.
주의 시조인 후직의 어머니인 강원의 "강"은 "강"과 같으며, 서쪽의 유목민을 의미한다.[29] 고공단보는 융·적에게 공격받아 기산 아래로 옮겨가 처음으로 융·적 풍의 생활 형태인 유목을 고쳐 도시를 건설하고, 북방 수렵민 출신인 상을 멸망시키고 그 자리를 차지한 주나라가 서방 유목민 출신임은 명백하다.[29]
중국 전국 시대의 유학자인 맹자는 『맹자』에서 "순은 제풍에서 태어나 부하로 옮겨가 명조에서 죽은 동이 사람이다. 문왕은 기주에서 태어나 필영에서 죽은 서이 사람이다"라고[30][31], 순은 "동이" 사람, 주의 문왕은 "서이" 사람이라고 말했다.[32][33]
=== 한나라 이후 ===
한나라 이후에는 저족(氐族), 강족(羌族)이 서융으로 일컬어졌다. 후한(後漢) 말에서 서진(西晉) 시대에 걸쳐 저족과 강족들이 산시성(陝西省) 지역으로 이주해 살게 되었으며, 서진의 강통(江統)은 《사융론(徙戎論)》을 지어 융인(戎人)과 적인(狄人)을 색출해서 몰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족과 강족은 오호십육국 시대에 화북에서 성한(成漢), 전진(前秦), 후진(後秦), 후량(後凉) 등의 왕조를 건국하였다.
서역(西域)을 경영하게 되면서 서융교위(西戎校尉)와 같은 직책도 생겨났다. 일반적으로 고대 서융에 해당하는 간쑤 성 지역은 한나라 이래로 중국에 거의 복속되었기 때문에 서역 지역의 국가들이 서융에 해당하게 되었으며, 중국의 정사에는 〈서역전〉으로 편제되었다. 당나라는 서역의 여러 국가들을 〈서융전〉에 편성하였다. 당나라 이후 중국의 역대 정사들은 주변 국가들을 야만인으로 취급하는 인식에서 발전하여 주변 국가들을 외국(外國)으로서 열전에 편성하였다.
3. 1. 상나라 및 주나라 시대
서융은 주로 간쑤성 일대에 거주하던 이민족을 부르는 말이었다. 귀방(鬼方), 험윤(獫狁), 견융(犬戎) 등이 상나라 및 주나라 시대에 걸쳐서 나타났으며, 특히 주나라와 오랜 기간 동안 적대 상태에 있었다.[16] 산시성(山西省) 및 허베이성(河北省) 북부 일대에 거주하던 민족들을 산융(山戎)이라 불렀으며 춘추전국 시대에 연(燕)이나 제(齊)를 자주 침범하였다. 이들은 위수 계곡 상류, 펀강을 따라 타이위안 분지, 그리고 타이항 산맥까지의 지역에 위치했는데, 이 지역은 당시 중국의 북서쪽 경계이자 농업과 초원 생활 방식의 전환 지역이었다.
주나라의 시조인 후직의 어머니인 강원의 "강"은 "강"과 같으며, 서쪽의 유목민을 의미한다.[29] 고공단보는 융·적에게 공격받아 기산 아래로 옮겨가 처음으로 융·적 풍의 생활 형태인 유목을 고쳐 도시를 건설하고, 북방 수렵민 출신인 상을 멸망시키고 그 자리를 차지한 주가 서방 유목민 출신임은 명백하다.[29] 과거에는 주의 문왕에게 토벌당한 적이 있다. 이후 문왕의 태자인 무왕과 동맹을 맺고 함께 상을 멸망시킨 제후국 중 하나인 강 외에도 훈육이나 저, 밀수 등이 포함되었다.
기원전 964년경, 주 목왕이 견융을 격파하고, 이듬해 서융과 욱융을 공격했다. 기원전 859년, 주 의왕(姬燮) 때 주나라 수도가 타이위안의 융에게 공격받았다.[17] 기원전 877년에서 기원전 841년에는 주 여왕 치세 하에 서융과 선운이 주나라 영토 깊숙이 침략했다. 기원전 827년에서 기원전 782년에는 주 선왕이 진나라를 보내 서융을 공격하여 항복시키고 영토를 할양받았으며, 진나라를 보내 북융(아마도 기원전 788년)을 공격하고, 이듬해 융강 씨족을 멸망시켰다. 기원전 781년에서 기원전 771년에는 주 유왕이 견융에게 살해당하면서 서주가 멸망했다.[17] 견융은 기원전 8세기에 주나라의 수도 호경을 함락하여 서주(西周)를 몰락시키고 춘추전국 시대를 불러일으킨 원인이 되었다. 이후 진(秦)이 견융을 정벌하여 서서히 정복·흡수되었다. 주 왕조가 쫓겨난 땅에 진이 봉해졌다. 진의 목공은 여러 차례 융을 토벌하여 패자가 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번 진과 충돌했으며, 결국 진에 흡수되었고, 일부는 흉노에게 흡수되었다.
중국 전국 시대의 유학자인 맹자는 『맹자』에서 "순은 제풍에서 태어나 부하로 옮겨가 명조에서 죽은 동이 사람이다. 문왕은 기주에서 태어나 필영에서 죽은 서이 사람이다"라고[30][31] 순은 "동이" 사람, 주의 문왕은 "서이" 사람이라고 말했다.[32][33]
서주 시대 동안 다양한 융 집단이 화북 평원의 도시들에 흩어져 있었다. 북적이 북쪽에서 융을 압박했던 것으로 보인다. 기원전 714년, 북융(北戎) 또는 산융(山戎)이 정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706년, 같은 집단이 제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693년에서 기원전 662년에는 노나라 군주인 노나라의 노 장공이 융과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다. 기원전 664년, 산융이 연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662년, 북적이 융을 타이위안에서 몰아냈다. 기원전 650년, 북융이 제나라와 허나라의 공격을 받았다. 기원전 650년 이후, 융은 거의 언급되지 않는다. 그들은 주로 제나라와 진나라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17] 기원전 314년, 진나라가 마지막 적대적인 융 부족을 격파했다.[18] 통일된 유목 민족의 침략 위협은 이후 진나라와 한나라 시대에 흉노라는 정체성으로 다시 나타났다.[19] 민족이나 종족으로서는 남북으로 나뉘는 경향이 있는데, 북쪽은 튀르크계, 남쪽은 티베트족과 티베트인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이족으로 여겨진다.
3. 2. 춘추전국시대
서융은 주로 간쑤성 일대에 거주하던 이민족을 부르는 말이었다. 귀방(鬼方), 험윤(獫狁), 견융(犬戎) 등이 상나라 및 주나라 시대에 걸쳐서 나타났으며, 특히 주나라와 오랜 기간 동안 적대 상태에 있었다.[16] 산시성(山西省) 및 허베이성(河北省) 북부 일대에 거주하던 민족들을 산융(山戎)이라 불렀으며 춘추전국 시대에 연(燕)이나 제(齊)를 자주 침범하였다. 니콜라 디 코스모에 따르면, '융(戎)'은 호전적인 외국인을 가리키는 모호한 용어였다. 그는 이들을 위수 계곡 상류, 펀강을 따라 타이위안 분지, 그리고 타이항 산맥까지의 지역에 위치시켰다. 이 지역은 당시 중국의 북서쪽 경계이자 농업과 초원 생활 방식의 전환 지역이었다.[16]
과거에는 주의 문왕에게 토벌당한 적이 있다. 이후 문왕의 태자인 무왕과 동맹을 맺고 함께 상을 멸망시킨 제후국 중 하나인 강 외에도 이나 , 등이 포함되었다. 주대에는 현재의 산시성, 쓰촨성에서 간쑤성, 티베트 자치구 부근에 있었다.
주의 12대 왕 유왕은 폭정을 펼쳐 제후들의 원한을 샀고, 제후 중 한 명인 신공의 유혹을 받은 은 기원전 770년에 주의 수도 호경을 함락시키면서 서주 시대의 종말을 고했다. 이 이후 춘추 시대에 접어든다.
주가 쫓겨난 땅에 진이 봉해졌다. 진의 목공은 여러 차례 융을 토벌하여 패자가 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번 진과 충돌했으며,
주의 시조인 후직의 어머니인 강원의 "강"은 "강"과 같으며, 서쪽의 유목민을 의미한다.[29] 고공단보는 융·적에게 공격받아 기산 아래로 옮겨가 처음으로 융·적 풍의 생활 형태인 유목을 고쳐 도시를 건설하고, 북방 수렵민 출신인 상을 멸망시키고 그 자리를 차지한 주가 서방 유목민 출신임은 명백하다.[29]
중국전국 시대의 유학자인 맹자는 『맹자』에서 "순은 제풍에서 태어나 부하로 옮겨가 명조에서 죽은 동이 사람이다. 문왕은 기주에서 태어나 필영에서 죽은 서이 사람이다"라고[30][31], 순은 "동이" 사람, 주의 문왕은 "서이" 사람이라고 말했다.[32][33]
3. 3. 한나라 이후
한나라 이후에는 저족(氐族), 강족(羌族)이 서융으로 일컬어졌다. 후한(後漢) 말에서 서진(西晉) 시대에 걸쳐 저족과 강족들이 산시성(陝西省) 지역으로 이주해 살게 되었으며, 서진의 강통(江統)은 《사융론(徙戎論)》을 지어 융인(戎人)과 적인(狄人)을 색출해서 몰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족과 강족은 오호십육국 시대에 화북에서 성한(成漢), 전진(前秦), 후진(後秦), 후량(後凉) 등의 왕조를 건국하였다.
서역(西域)을 경영하게 되면서 서융교위(西戎校尉)와 같은 직책도 생겨났다. 일반적으로 고대 서융에 해당하는 간쑤 성 지역은 한나라 이래로 중국에 거의 복속되었기 때문에 서역 지역의 국가들이 서융에 해당하게 되었으며, 중국의 정사에는 〈서역전〉으로 편제되었다. 당나라는 서역의 여러 국가들을 〈서융전〉에 편성하였다. 당나라 이후 중국의 역대 정사들은 주변 국가들을 야만인으로 취급하는 인식에서 발전하여 주변 국가들을 외국(外國)으로서 열전에 편성하였다.
니콜라 디 코스모에 따르면, '융(戎)'은 호전적인 외국인을 가리키는 모호한 용어였다.[16] 그는 이들을 위수 계곡 상류, 펀강을 따라 타이위안 분지, 그리고 타이항 산맥까지의 지역에 위치시켰다.[16] 이 지역은 당시 중국의 북서쪽 경계이자 농업과 초원 생활 방식의 전환 지역이었다.[16]
과거에는 주의 문왕에게 토벌당한 적이 있다. 이후 문왕의 태자인 무왕과 동맹을 맺고 함께 상을 멸망시킨 제후국 중 하나인 강 외에도 훈육이나 저, 밀수 등이 포함되었다.
주대에는 현재의 산시성, 쓰촨성에서 간쑤성, 티베트 자치구 부근에 있었다. 주의 12대 왕 유왕은 폭정을 펼쳐 제후들의 원한을 샀고, 제후 중 한 명인 신공의 유혹을 받은 견융은 기원전 770년에 주의 수도 호경을 함락시키면서 서주 시대의 종말을 고했다. 이 이후 춘추 시대에 접어든다.
주가 쫓겨난 땅에 진이 봉해졌다. 진의 목공은 여러 차례 융을 토벌하여 패자가 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번 진과 충돌했으며, 결국 진에 흡수되었고, 일부는 흉노에게 흡수되었다. 민족이나 종족으로서는 남북으로 나뉘는 경향이 있는데, 북쪽은 튀르크계, 남쪽은 티베트족과 티베트인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이족으로 여겨진다.
주의 시조인 후직의 어머니인 강원의 "강"은 "강"과 같으며, 서쪽의 유목민을 의미한다.[29] 고공단보는 융·적에게 공격받아 기산 아래로 옮겨가 처음으로 융·적 풍의 생활 형태인 유목을 고쳐 도시를 건설하고, 북방 수렵민 출신인 상을 멸망시키고 그 자리를 차지한 주가 서방 유목민 출신임은 명백하다.[29]
중국 전국 시대의 유학자인 맹자는 『맹자』에서 "순은 제풍에서 태어나 부하로 옮겨가 명조에서 죽은 동이 사람이다. 문왕은 기주에서 태어나 필영에서 죽은 서이 사람이다"라고[30][31], 순은 "동이" 사람, 주의 문왕은 "서이" 사람이라고 말했다.[32][33]
3. 4. 당나라 이후
니콜라 디 코스모에 따르면, '융(戎)'은 호전적인 외국인을 가리키는 모호한 용어였다.[16] 이들은 위수 계곡 상류, 펀강을 따라 타이위안 분지, 그리고 타이항 산맥까지의 지역에 위치했는데, 이곳은 당시 중국의 북서쪽 경계이자 농업과 초원 생활 방식의 전환 지역이었다.
과거에는 주의 문왕에게 토벌당한 적이 있다. 이후 문왕의 태자인 무왕과 동맹을 맺고 함께 상을 멸망시킨 제후국 중 하나인 강 외에도 훈육/훈육중국어이나 저/저 (민족)중국어, 밀슈/밀수중국어 등이 포함되었다.
주나라 시대에는 현재의 산시성, 쓰촨성에서 간쑤성, 티베트 자치구 부근에 있었다. 주의 12대 왕 유왕은 폭정을 펼쳐 제후들의 원한을 샀고, 제후 중 한 명인 신공의 유혹을 받은 견융/견융중국어은 기원전 770년에 주의 수도 호경을 함락시키면서 서주 시대의 종말을 고했다. 이 이후 춘추 시대에 접어든다.
주나라가 쫓겨난 땅에 진이 봉해졌다. 진의 목공은 여러 차례 융을 토벌하여 패자가 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번 진과 충돌했으며, 결국 진에 흡수되었고, 일부는 흉노에게 흡수되었다. 민족이나 종족으로서는 남북으로 나뉘는 경향이 있는데, 북쪽은 튀르크계, 남쪽은 티베트족과 티베트인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이족으로 여겨진다.
주의 시조인 후직의 어머니인 강원의 "강"은 "강"과 같으며, 서쪽의 유목민을 의미한다.[29] 고공단보는 융·적에게 공격받아 기산 아래로 옮겨가 처음으로 융·적 풍의 생활 형태인 유목을 고쳐 도시를 건설하고, 북방 수렵민 출신인 상을 멸망시키고 그 자리를 차지한 주나라가 서방 유목민 출신임은 명백하다.[29]
중국 전국 시대의 유학자인 맹자는 『맹자』에서 "순은 제풍에서 태어나 부하로 옮겨가 명조에서 죽은 동이 사람이다. 문왕은 기주에서 태어나 필영에서 죽은 서이 사람이다"라고[30][31], 순은 "동이" 사람, 주의 문왕은 "서이" 사람이라고 말했다.[32][33]
4. 민족
서주 시대-전국 시대(기원전 1122–476년) 동안의 흉노는 시노-티베트어족의 티베토-버마어파 언어를 사용했으며, 강 씨족과 연합하여 주나라에 반기를 들었다고 여겨진다.[20][21] 맹자는 심지어 주 문왕도 "서쪽 오랑캐" (西夷)의 조상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22]
7세기 학자 안사고는 "서쪽 오랑캐"에 포함된 우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서역의 오랑캐 (戎; ''Róng'') 중 우순의 모습이 가장 특이하다. 눈이 녹색이고 머리카락이 붉으며, 원숭이와 같은 모습을 가진 현재의 오랑캐 (胡人; ''húrén'')는 이 사람들의 후손이다."[23][24][25] 외부 명칭 húrén/胡人중국어 "외국인, 오랑캐"[23]는 6세기부터 이란계 민족, 특히 소그디아나인을 비롯한 다른 비중국계 민족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6]
서융과 관련된 고대 강족 유적에 대한 유전적 데이터는 현대의 시노-티베트족과 양사오 문화의 고대 '황하 농부'와 높은 유전적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7][28]
5. 문화
참조
[1]
웹사이트
Silk Road Texts
https://depts.washin[...]
University of Washington
2014-04-20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orbat.com/sit[...]
2011-04-23
[3]
웹사이트
Hun & Huns -- Political, Social, Cultural, Historical Analysis Of China -- Research Into Origins Of Huns, Uygurs, Mongols And Tibetans
http://www.imperialc[...]
[4]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nemies: The Rise of Nomadic Power in East Asi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5]
웹사이트
灵台白草坡 西周墓葬里的青铜王国
http://www.kaogu.net[...]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CASS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6]
서적
Landscape And Power In Early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7]
간행물
Steppe Nomads as a Philosophical Problem in Classical China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1
[8]
학술지
A Contextual Explanation for "Foreign" or "Steppic" Factors Exhibited in Burials at the Majiayuan Cemetery and the Opening of the Tianshan Mountain Corridor
https://www.academia[...]
2013
[9]
학술지
China and the steppe: technological study of precious metalwork from Xigoupan Tomb 2 (4th–3rd c.BCE) in the Ordos region, Inner Mongolia
2021-04-26
[10]
학술지
Transmission and innovation on gold granulation: the application of tin for soldering techniques in ancient China
2022-08-04
[11]
서적
The Li Ki
Clarendon Press
1879
[12]
문서
Grand dictionnaire Ricci de la langue chinoise
Grand Ricci
2001
[13]
서적
Old Chinese: A New Reconstr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4]
서적
Chinese Statelets and the Northern Barbarians in the period 1400-300 BC
New York
1971
[15]
간행물
The northern frontier in pre-imperial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6]
문서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999
[17]
문서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8]
문서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19]
웹사이트
Xiongnu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6-08-02
[20]
문서
'The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
1983
[21]
웹사이트
Fortress Village - The Ethnic Minorities of Southwest China
http://ethno.ihp.sin[...]
[22]
문서
Mencius
https://ctext.org/me[...]
[23]
문서
Book of Han
http://www.guoxue123[...]
[24]
간행물
A Study of Saka Hist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8
[25]
웹사이트
Book of Han
http://ef.cdpa.nsysu[...]
[26]
간행물
The Qai, the Khongai, and the Names of the Xiōngnú
https://repository.u[...]
2015
[27]
학술지
Paternal genetic structure of the Qiang ethnic group in China revealed by high-resolution Y-chromosome STRs and SNPs
https://www.scienced[...]
2022-11-01
[28]
학술지
Ancient DNA reveals genetic connections between early Di-Qiang and Han Chinese
2017-12-04
[29]
서적
だれが中国をつくったか
PHP研究所
2005-09-16
[30]
문서
quotation
[31]
학술지
基調講演記録 華夷の変 ―華語語系研究の新しいビジョン―
https://aichiu.repo.[...]
愛知大学国際問題研究所
2020-03-16
[32]
보고서
第8回 「中華」の世界観と「正統」の歴史
https://ocw.u-tokyo.[...]
東京大学教養学部
2021
[33]
학술지
清朝の「非漢民族世界」における「大中華」の表現 : 『大義覚迷録』から『清帝遜位詔書』まで
https://ushimane.rep[...]
島根県立大学北東アジア地域研究センター
201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