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계 무역가능 보고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무역가능 보고서는 세계 각국의 무역 환경을 평가하여 순위를 매기는 지수이다. 2016년에는 싱가포르가 1위를 차지했으며, 2014년과 2012년, 2010년, 2009년, 2008년에도 순위가 발표되었다. 대한민국은 2008년 24위, 2009년 26위, 2010년 27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학 출판물 - 과학으로서의 경제학이 지닌 속성과 중요성
    과학으로서의 경제학은 로빈스의 정의에 따라 희소한 자원과 인간 행동의 관계를 연구하며, 실증 경제학과 규범 경제학을 구분하고 경제학 방법론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민국 경제 개발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다.
  • 무역 정책 - 비관세 장벽
    비관세 장벽은 관세 외 무역 제한 조치로, 각국이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기술, 환경 규제, 수입 할당량, 현지화 요구 사항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며, 보호무역주의적 수단으로 악용되어 국제 무역 질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 무역 정책 - 자유 무역
    자유 무역은 관세나 수입 할당량 없이 재화와 서비스를 교역하는 것으로, 비교우위 이론에 따른 경제적 이점이 있지만 소득 불평등 심화, 환경 문제 악화, 개발도상국 착취 등의 비판과 보호무역과의 대립, 무역 협정과 국제적 분쟁을 야기하기도 한다.
  • 국제 순위 - V-Dem 민주주의 지수
    V-Dem 민주주의 지수는 민주주의 다양성 연구소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선거, 자유, 참여, 숙의, 평등 민주주의 등 다섯 가지 핵심 지수를 포함하여 민주주의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한다.
  • 국제 순위 - 세계 언론 자유 지수
    세계 언론 자유 지수는 국경 없는 기자회에서 발표하는 보고서로, 각국의 언론 자유 수준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며, 설문 조사와 데이터 결합을 통해 산출되고 정치, 법 등 5가지 범주를 기준으로 평가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언론 자유도가 높다.
세계 무역가능 보고서
보고서 정보
제목세계 무역가능 보고서
원제Global Enabling Trade Report
발행 기관세계 경제 포럼
최초 발행2008년
편집자로버트 Z. 로렌스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스쿨 교수)
마르가레타 드제니에크 하누즈 (세계 경제 포럼)
내용국가별 무역 활성화 정도 측정 및 분석
평가 지표시장 접근
국경 관리
운송 인프라
비즈니스 환경
웹사이트세계 경제 포럼 - 세계 무역가능 보고서

2. 2016년 세계 무역 가능 지수

2016년 기준 세계 무역 가능 지수는 다음과 같다.[8][2]

순위국가점수
1Singapore|싱가포르영어5.97
2Nederland|네덜란드nl5.70
3香港|홍콩중국어5.66
4Lëtzebuerg|룩셈부르크lb5.63
5Sverige|스웨덴sv5.61
6Suomi|핀란드fi5.60
7Österreich|오스트리아de5.52
8United Kingdom|영국영어5.52
9Deutschland|독일de5.49
10België|벨기에nl5.45
11Schweiz|스위스de5.45
12Danmark|덴마크da5.42
13France|프랑스프랑스어5.37
14Eesti|에스토니아et5.32
15España|스페인es5.28
16日本|일본일본어5.28
17Norge|노르웨이no5.27
18New Zealand|뉴질랜드영어5.27
19Ísland|아이슬란드is5.27
20Éire|아일랜드ga5.27
21Chile|칠레es5.26
22United States|미국영어5.24
23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5.23
24Canada|캐나다영어5.15
25Česko|체코cs5.12
26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5.10
27대한민국|대한민국한국어5.04
28Portugal|포르투갈pt5.01
29Lietuva|리투아니아lt5.01
30ישראל|이스라엘he4.99


3. 2014년 세계 무역 가능 지수

2014년 기준 세계 무역 가능 지수는 다음과 같다.[9]

순위국가점수
1싱가포르5.9
2홍콩5.5
3네덜란드5.3
4뉴질랜드5.2
5핀란드5.2
6영국5.2
7스위스5.2
8칠레5.1
9스웨덴5.1
10독일5.1
11룩셈부르크5.1
12노르웨이5.1
13일본5.1
14캐나다5.0
15미국5.0
16아랍에미리트5.0
17덴마크5.0
18오스트리아5.0
19카타르4.9
20벨기에4.9
21프랑스4.9
22아이슬란드4.9
23오스트레일리아4.9
24대만4.9
25말레이시아4.8
26아일랜드4.8
27스페인4.8
28에스토니아4.8
29모리셔스4.7
30대한민국4.7
31오만4.7
32이스라엘4.7
33바레인4.6
34몰타4.6
35포르투갈4.5
36조지아4.5
37키프로스4.4
38슬로베니아4.4
39체코4.4
40요르단4.4
41라트비아4.4
42코스타리카4.4
43모로코4.4
44리투아니아4.4
45폴란드4.3
46튀르키예4.3
47이탈리아4.3
48사우디아라비아4.3
49몬테네그로4.3
50헝가리4.3
51페루4.3
52파나마4.3
53아르메니아4.3
54중화인민공화국4.3
55슬로바키아4.3
56크로아티아4.2
57타이4.2
58인도네시아4.2
59남아프리카 공화국4.2
60우루과이4.2
61멕시코4.1
62과테말라4.1
63마케도니아 공화국4.1
64필리핀4.1
65에콰도르4.1
66르완다4.1
67그리스4.0
68니카라과4.0
69알바니아4.0
70불가리아4.0
71엘살바도르4.0
72베트남4.0
73콜롬비아4.0
74쿠웨이트4.0
75루마니아3.9
76튀니지3.9
77아제르바이잔3.9
78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3.9
79도미니카 공화국3.9
80자메이카3.9
81나미비아3.9
82레바논3.8
83우크라이나3.8
84스리랑카3.8
85온두라스3.8
86브라질3.8
87볼리비아3.7
88보츠와나3.7
89세르비아3.7
90케냐3.7
91잠비아3.7
92몰도바3.7
93캄보디아3.7
94카자흐스탄3.7
95아르헨티나3.7
96인도3.6
97이집트3.6
98라오스3.6
99감비아3.6
100세네갈3.6
101우간다3.6
102가나3.6
103마다가스카르3.6
104가이아나3.6
105러시아3.5
106리비아3.5
107부탄3.5
108레소토3.5
109키르기스스탄3.5
110모잠비크3.5
111탄자니아3.5
112말라위3.5
113파라과이3.5
114파키스탄3.5
115방글라데시3.4
116네팔3.3
117코트디부아르3.3
118에티오피아3.2
119카메룬3.2
120알제리3.2
121미얀마3.2
122가봉3.1
123말리3.1
124나이지리아3.1
125아이티3.1
126라이베리아3.1
127베냉3.1
128예멘3.0
129모리타니3.0
130몽골3.0
131이란3.0
132부룬디3.0
133부르키나파소2.9
134짐바브웨2.9
135기니2.9
136앙골라2.8
137베네수엘라2.8
138차드2.5


4. 2012년 세계 무역 가능 지수

World Trade Enabling Report영어 2012에 따르면, 2012년 세계 무역 가능 지수 순위는 다음과 같다.[4]

순위국가점수
16.14
25.67
35.41
45.39
55.34
65.34
75.32
85.29
95.22
105.20
115.18
125.17
135.13
145.12
155.12
165.08
175.08
185.08
195.07
205.03
214.96
224.96
234.90
244.90
254.86
264.85
274.84
284.82
294.81
304.80


5. 2010년 세계 무역 가능 지수

2010년 세계 무역 가능 지수 상위 20개국은 다음과 같다.[10]

순위국가점수
1Singapore|싱가포르영어6.06
2Hong Kong|홍콩중국어5.70
3Danmark|덴마크da5.41
4Sverige|스웨덴sv5.41
5Schweiz|스위스de5.37
6New Zealand|뉴질랜드영어5.33
7Norge|노르웨이no5.32
8Canada|캐나다영어5.29
9Lëtzebuerg|룩셈부르크lb5.28
10Nederland|네덜란드nl5.26
11Ísland|아이슬란드is5.26
12Suomi|핀란드fi5.25
13Deutschland|독일de5.20
14오스트리아5.17
15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5.13
16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아랍에미리트ar5.12
17United Kingdom|영국영어5.06
18Chile|칠레es5.06
19United States|미국영어5.03
20France|프랑스프랑스어5.02

[5]

6. 2009년 세계 무역 가능 지수

2009년 상위 20개국의 세계무역가능지수는 다음과 같다.[11]

순위국가점수
1Singapore영어|싱가포르}}5.97
2Hong Kong중국어|홍콩}}5.57
3Schweizde|스위스}}5.44
4Danmarkda|덴마크}}5.44
5Sverigesv|스웨덴}}5.44
6Canada영어|캐나다}}5.35
7Norgeno|노르웨이}}5.33
8Suomifi|핀란드}}5.33
9오스트리아5.29
10Nederlandnl|네덜란드}}5.27
11New Zealand영어|뉴질랜드}}5.27
12Deutschlandde|독일}}5.24
13Lëtzebuerglb|룩셈부르크}}5.12
14Australia영어|오스트레일리아}}5.07
15Éirega|아일랜드}}5.02
16United States영어|미국}}5.02
17France프랑스어|프랑스}}5.02
18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ar|아랍에미리트}}4.97
19Chilees|칠레}}4.96
20United Kingdom영어|영국}}4.93



2008년에 비해 일본벨기에가 제외되고, 칠레아랍에미리트가 부상하였다.[6]

7. 2008년 세계 무역 가능 지수

2008년 세계 무역 가능 지수 상위 20개국은 다음과 같다.[12]


8. 대한민국의 세계 무역 가능 지수

대한민국의 세계 무역 가능 지수는 2008년 24위, 2009년 26위, 2010년 27위를 기록했다.

연도순위
2008년24위
2009년26위
2010년27위


8. 1. 대한민국의 무역 정책 변화

2008년 24위, 2009년 26위, 2010년 27위를 기록했다.

8. 2. 비판

세계 무역가능 보고서의 순위가 2008년 24위에서 2010년 27위로 하락한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lobal Enabling Trade Report 2008 http://www.weforum.o[...] World Economic Forum, Geneva, Switzerland 2009-03-11
[2] 웹사이트 Enabling Trade rankings http://reports.wefor[...]
[3] 웹사이트 Rankings: Global Enabling Trade Report 2014 http://www.weforum.o[...]
[4] 웹사이트 Global Enabling Trade Report 2012 http://www3.weforum.[...] 2020-08-08
[5] 웹사이트 Rankings: Global Enabling Trade Report 2010 http://www.weforum.o[...]
[6] Google books Global Enabling Trade Report 2009
[7] Google books Global Enabling Trade Report 2008
[8] 웹인용 Enabling Trade rankings http://reports.wefor[...]
[9] 웹인용 The Enabling Trade Index 2014 rankings http://www3.weforum.[...]
[10] 웹인용 Rankings: Global Enabling Trade Report 2010 http://www.weforum.o[...] 2012-01-29
[11] 웹인용 Rankings: Global Enabling Trade Report 2009 http://www.weforum.o[...] 2010-05-26
[12] 웹인용 Rankings: Global Enabling Trade Report 2008 http://www.weforum.o[...] 2009-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