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宋)은 한국의 성씨로, 상나라 제을의 장자인 미자계가 송나라 제후로 봉해진 후 송나라 유민들이 성으로 사용하면서 유래되었다. 고려 시대에 송함홍이 태봉의 신하로 활동했으며, 이후 많은 인물이 고려사에 기록되었다. 송씨의 본관은 여산, 은진, 진천 등 여러 지역이 있으며, 여산 송씨, 은진 송씨, 진천 송씨가 대표적이다. 송씨는 각 본관별로 많은 인물을 배출했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송 (성씨)
성씨 정보
한글
한자宋, 松, 訟
로마자 표기Song
매큔-라이샤워 표기Sŏng

2. 기원

상(商)나라 29대 왕 제을(帝乙)의 장자(長子)이자 주왕(紂王)의 이복형인 미자계(微子啓)는 미(微)에 봉해져 미자계(微子啓)라고 불렸다.[3] (商)이 멸망한 뒤 주(周) 성왕(成王)에게 (宋)의 제후로 봉해졌고, 송나라 유민들이 송(宋)을 성(姓)으로 쓰면서 송씨가 생겼다.[3]

고려사에 최초로 기록된 송함홍(宋含弘)은 태봉(泰封)의 신하로서 문사(文事)를 관장하였고,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자 대상(大相)이 되었다.[3] 목종 3년(1000년) 과거에 급제한 송굉(宋翃), 고려 현종 때 도병마녹사(都兵馬錄事)로 임명된 송균언(宋均彦), 1013년(현종 4년) 100세가 넘어 대광(大匡)의 벼슬을 받은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 송능(宋能), 고려 인종 때 이자겸의 난에 대항한 송행충(宋幸忠) 등이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으나 시조 이전의 계보는 알 수 없다.[3]

현대에 편찬된 송씨통사에 의하면 도시조는 당(唐)나라의 호부상서 송주은(宋柱殷)이라고 주장하나, 구당서·신당서 등 정식 사료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아 고증할 수 없다.[3] 그의 후손 자영(自英)의 세 아들 유익(惟翊)·천익(天翊)·문익(文翊) 3형제가 각각 여산 송씨·은진 송씨·서산 송씨의 시조이며, 다른 본관은 3본에서 분파되었다고 주장한다.[3] 송씨끼리는 이본(異本)이라도 통혼하지 않는 것이 관습이다.[3]

3. 본관

송(宋)씨의 본관은 여산, 은진, 진천, 연안, 야성, 청주, 신평, 김해, 남양, 복흥 등이 있다.[1]

여산 송씨 가문 문장


은진 송씨 가문 문장


송(松)씨의 한 본관은 용(松)씨이다.[2]

3. 1. 여산 송씨

고려의 진사(進士) '''송유익'''(宋惟翊)은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지고, 은청광록대부(銀靑光錄大夫)로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되었다고 한다. 여산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일대다. 송유익의 증손자 '''송송례'''(宋松禮, 1207년 ~ 1289년)가 고려 충렬왕 때 찬성사(贊成事) 중찬(中贊)에 올랐다. 송송례의 장남 송염(宋琰)은 상장군(上將軍)에 이르렀고, 차남 송분(宋玢)은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추성찬화안사공신(推誠贊化安社功臣)에 책록되고 낙랑공(樂浪公)에 봉해졌으며 중찬으로 치사하였다.[4]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07명을 배출하였다. 송질(宋軼)이 중종 때 영의정에 올랐고, 송인명은 영조 때 좌의정에 올랐다. 2015년 인구는 298,231명이다.

3. 2. 은진 송씨

'''은진 송씨'''(恩津 宋氏) 시조 '''송대원'''(宋大源)은 고려 시대에 판원사(判院事)를 지냈으며,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은진은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일대를 가리킨다. 송대원의 증손자 송명의(宋明誼)는 1362년(공민왕 11)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단(司憲府執端)을 역임하였다.[5] 은진 송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79명을 배출하였다. 송시열(宋時烈)은 현종 때 좌의정을 지냈고, 송근수(宋近洙)는 고종 때 좌의정을 지냈다. 2015년 기준으로 인구는 226,050명이다.

3. 3. 진천 송씨

'''진천 송씨'''(鎭川宋氏) 시조 '''송순공'''(宋舜恭)은 신라 헌강왕 때 대아찬(大阿湌)을 지냈다고 한다. 중시조 송인(宋仁)의 손자 송국첨(宋國瞻)은 과거에 급제하여 고려 고종 때 형부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냈다.[6] 진천 송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2명을 배출하였다.[6] 2015년 인구는 32,690명이다.[6]

3. 4. 기타 본관

연안 송씨(延安宋氏) 시조 송경(宋卿)은 고려 공민왕 때 찬성사(贊成事)를 지내고 연안부원군(延安府院君)에 봉해졌다.[7]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6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13,098명이다.

야로 송씨(冶爐宋氏) 시조 송맹영(宋孟英)은 고려 목종 때 간의대부(諫議大夫), 총부의랑(摠部議郞)을 지내고 야성군(冶城君)에 추증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9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20,201명이다.

신평 송씨(新平宋氏) 시조 송구진(宋丘進)은 고려시대 봉익대부(奉翊大夫) 서운관정(書雲觀正) 겸 습사도감판관(習射都監判官)을 지냈다고 한다. 6세손 송희경(宋希璟)은 조선 세종 때 좌헌납(左獻納), 금산군수(錦山郡守)를 역임하였다. 2015년 인구는 13,916명이다.

남양 송씨(南陽宋氏) 시조 송규(宋奎)는 당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신라에 와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역임하였다고 한다. 고려 말 감찰대부(監察大夫)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낸 송세보(宋世輔)를 기세조로 하는 도촌파와 송공절(宋公節)을 기세조로 하는 안서파가 있다. 2015년 인구는 11,041명이다.

홍주 송씨(洪州宋氏) 시조 송계(宋桂)는 고려 말 시중을 지내고, 조선 건국에 반대하였다고 한다. 중시조 송평(宋枰)은 조선시대 조지서별제(造紙署別提)와 세작익위사익위(世子翊衛司翊衛)를 지내고 전라도 담양으로 이거하였다. 2015년 인구는 9,679명이다.

청주 송씨(淸州宋氏) 시조 송유충(宋有忠)은 고려 충숙왕 때 공을 세워 청원군(淸原君)에 봉해졌다. 2세 송훤(宋暄)은 조선 개국공신으로 서원군(西原君)에 습봉되었다. 2015년 인구는 8,171명이다.

용성 송씨(龍城宋氏) 시조 송엄경(宋嚴卿)은 조선조에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창성진 병마 절제사(昌城鎭兵馬節制使)를 역임하였고, 1455년(세조 1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 2015년 인구는 4,193명이다.

문경 송씨(聞慶宋氏) 시조 송다인(宋臣敬)은 고려 조에 이부전서(吏部典書) 등을 역임하다 혼란한 정세 탓에 관직을 버리고 문경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2015년 인구는 3,251명이다.

서산 송씨(瑞山宋氏) 시조 송이석(宋而碩)은 조선시대에 현신교위(顯信校尉)를 지냈다고 한다. 2015년 인구는 2,119명이다.

김해 송씨(金海宋氏) 시조 송천봉(宋天逢)은 1330년(고려 충숙왕 17년)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첨서밀직사사(簽書密直司事)에 오르고 김해군(金海君)에 봉해졌다.[8] 2015년 인구는 1,149명이다.

덕산 송씨 (德山宋氏) 시조 송호산(宋壺山)은 고려조에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했다고 한다. 2015년 인구는 226명이다.

옥구 송씨 (沃溝宋氏) 시조 송원규(宋原規)는 고려조에 산원(散員), 동정(同正) 등을 역임했다고 한다. 2015년 인구는 147명이다.

나주 송씨(羅州宋氏) 시조 송취억(宋就億)은 1774년(영조 50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을 지냈다.[9] 2015년 인구는 31명이다.

송(宋)씨의 본관은 여산, 은진, 진천, 연안, 야성, 청주, 신평, 김해, 남양, 복흥 등이 있다.[1]

4. 인물


  • 송덕기 (1893–1977)는 택견 명인이다.
  • 송희경 (1376–1446)은 조선 시대 문신이다.
  • 송인 (1126년 사망)은 고려 관리였다.
  • 정순왕후 (1440년 출생)는 조선 단종의 왕비였다.
  • 송진우 (1889–1945)는 한국 언론인이자 동아일보 사장이었으며, 한국민주당 창당인이었다.
  • 송준길 (1606–1672)은 조선 시대 정치인이자 학자였다.
  • 송오균 (1892–1970)은 한국 독립운동가였다.
  • 송상현 (1551–1592)은 조선 시대 문인이자 정치인이었다.
  • 송시열 (1607–1689)은 조선 시대 철학자였다.
  • 송양은 기원전 37년에 고구려 동명성왕에게 항복했다.
  • 송이균 (1885–1927)은 한국 독립운동가였다.

안나 송(1971년 출생)은 한국계 미국 정치인이다. 아리 송(1986년 출생)은 태국계 한국인 프로 골프 선수이다. 송보배(1986년 출생)는 대한민국 프로 골프 선수이다. 송병구(1988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프로 스타크래프트 선수이다. 캐시 송(1955년 출생)은 미국 시인이다. 송창의(1979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창호(1986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창식(1947년 출생)은 한국 가수이다. 송종국(1979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다. 송대관(194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송대남(1979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유도 선수이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데이원 송(1975년 출생)은 한국계 미국 프로 스케이트보더이다. 송도영(195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송동환(198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포워드이다. 송동진(198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동욱(1962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이다. 송두율(1944년 출생)은 뮌스터 대학교 교수이다. 송건희(1997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기원(1947년–2024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송기숙(1935년–2021년)은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송해(1927년–2022년)는 대한민국의 TV 진행자 및 가수이다. 송해성(196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및 시나리오 작가이다. 송한복(198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호영(195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영상의학과 전문의이다. 송호영(축구 선수)(1988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혜교(1981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형근(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송현욱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송이한(199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송일곤(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및 시나리오 작가이다. 송일국(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일수(1950년 출생)는 일본 전 야구 선수 및 감독이다. 송인영(199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자(1936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및 학자, 전 교육부 장관이다. 송재학(1955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시인 및 치과의사이다. 송재희(1979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재호(1937년–2020년)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재호(펜싱 선수)(1990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다. 송재정(197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이다. 송재근(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다. 송재림(1985년–2024년)은 대한민국의 배우 및 모델이다. 송재웅(1945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다이빙 선수이다. 송제헌(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지은(199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걸그룹 시크릿 전 멤버이다. 송지은(핸드볼 선수)(199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이다. 송지호(1992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지현(1969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송지만(197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송지나(1959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시나리오 작가이다. 송진형(1987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진우(1966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송종선(1981년 출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선수이다. 송준석(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송중기(1985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주희(1977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축구 코치 및 전 선수이다. 송주석(1967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다. 송정현(197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강(199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강호(1967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국향(2001년 출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도 선수이다. 루크 송(1972년 출생)은 미국 패션 디자이너이다. 송미진(198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송민호(1993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래퍼, 보이 밴드 위너 멤버이다. 송민재(2012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민지(1998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사이클 선수이다. 송민순(1948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및 외교관,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다. 송명섭(198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태권도 무술가이다. 송남향(1996년 출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프로 다이버이다. 나리 송(1986년 출생)은 태국계 한국인 프로 골프 선수이다. 노아 송(1997년 출생)은 미국 프로 야구 선수이다. 송옥주(1965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송옥숙(196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새벽(1979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상희(1970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미술가이다. 송상현(194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변호사, 전 국제형사재판소 재판관이다. 송승헌(197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승현(1992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음악가, 록 밴드 FT아일랜드 전 멤버이다. 송승준(198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송승태(1972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필드하키 선수이다. 송신도(1922년–2017년)는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송소희(1997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송순천(193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복싱 선수이다. 송석우(1983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다. 송태곤(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이다. 송태림(198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의영(1993년 출생)은 싱가포르 프로 축구 선수이다. 송영(1940년–2016년)은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송요찬(1918년–1980년)은 대한민국의 전 국무총리이다. 송유근(1997년 출생)은 대한민국 최연소 대학생이다. 송윤아(1973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영길(196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송윤수(1995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컴파운드 양궁 선수이다. 송유빈(1998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보이 밴드 마이틴 전 멤버이다.

4. 1. 역사 속 인물


  • 송덕기 (1893–1977)는 택견 명인이다.
  • 송희경 (1376–1446)은 조선 시대 문신이다.
  • 송인 (1126년 사망)은 고려 관리였다.
  • 정순왕후 (1440년 출생)는 조선 단종의 왕비였다.
  • 송진우 (1889–1945)는 한국 언론인이자 동아일보 사장이었으며, 한국민주당 창당인이었다.
  • 송준길 (1606–1672)은 조선 시대 정치인이자 학자였다.
  • 송오균 (1892–1970)은 한국 독립운동가였다.
  • 송상현 (1551–1592)은 조선 시대 문인이자 정치인이었다.
  • 송시열 (1607–1689)은 조선 시대 철학자였다.
  • 송양은 기원전 37년에 고구려 동명성왕에게 항복했다.
  • 송이균 (1885–1927)은 한국 독립운동가였다.

4. 2. 현대 인물

안나 송(1971년 출생)은 한국계 미국 정치인이다. 아리 송(1986년 출생)은 태국계 한국인 프로 골프 선수이다. 송보배(1986년 출생)는 대한민국 프로 골프 선수이다. 송병구(1988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프로 스타크래프트 선수이다. 캐시 송(1955년 출생)은 미국 시인이다. 송창의(1979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창호(1986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창식(1947년 출생)은 한국 가수이다. 송종국(1979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다. 송대관(194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송대남(1979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유도 선수이자,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데이원 송(1975년 출생)은 한국계 미국 프로 스케이트보더이다. 송도영(195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송동환(198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아이스하키 포워드이다. 송동진(198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동욱(1962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이다. 송두율(1944년 출생)은 뮌스터 대학교 교수이다. 송건희(1997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기원(1947년–2024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송기숙(1935년–2021년)은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송해(1927년–2022년)는 대한민국의 TV 진행자 및 가수이다. 송해성(196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및 시나리오 작가이다. 송한복(198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호영(195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영상의학과 전문의이다. 송호영(축구 선수)(1988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혜교(1981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형근(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 테니스 선수이다. 송현욱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송이한(199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송일곤(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및 시나리오 작가이다. 송일국(197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일수(1950년 출생)는 일본 전 야구 선수 및 감독이다. 송인영(199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자(1936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정치인 및 학자, 전 교육부 장관이다. 송재학(1955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시인 및 치과의사이다. 송재희(1979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재호(1937년–2020년)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재호(펜싱 선수)(1990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다. 송재정(197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이다. 송재근(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다. 송재림(1985년–2024년)은 대한민국의 배우 및 모델이다. 송재웅(1945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다이빙 선수이다. 송제헌(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지은(199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걸그룹 시크릿 전 멤버이다. 송지은(핸드볼 선수)(199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이다. 송지호(1992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지현(1969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송지만(197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송지나(1959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시나리오 작가이다. 송진형(1987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진우(1966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송종선(1981년 출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선수이다. 송준석(197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송중기(1985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주희(1977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축구 코치 및 전 선수이다. 송주석(1967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다. 송정현(197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강(199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강호(1967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국향(2001년 출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도 선수이다. 루크 송(1972년 출생)은 미국 패션 디자이너이다. 송미진(198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이다. 송민호(1993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래퍼, 보이 밴드 위너 멤버이다. 송민재(2012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민지(1998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사이클 선수이다. 송민순(1948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및 외교관, 전 외교통상부 장관이다. 송명섭(198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태권도 무술가이다. 송남향(1996년 출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프로 다이버이다. 나리 송(1986년 출생)은 태국계 한국인 프로 골프 선수이다. 노아 송(1997년 출생)은 미국 프로 야구 선수이다. 송옥주(1965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송옥숙(196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새벽(1979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상희(1970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미술가이다. 송상현(1941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변호사, 전 국제형사재판소 재판관이다. 송승헌(197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승현(1992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음악가, 록 밴드 FT아일랜드 전 멤버이다. 송승준(1980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송승태(1972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필드하키 선수이다. 송신도(1922년–2017년)는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송소희(1997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송순천(193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복싱 선수이다. 송석우(1983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다. 송태곤(1986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이다. 송태림(1984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송의영(1993년 출생)은 싱가포르 프로 축구 선수이다. 송영(1940년–2016년)은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송요찬(1918년–1980년)은 대한민국의 전 국무총리이다. 송유근(1997년 출생)은 대한민국 최연소 대학생이다. 송윤아(1973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송영길(1963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송윤수(1995년 출생)는 대한민국의 컴파운드 양궁 선수이다. 송유빈(1998년 출생)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배우, 보이 밴드 마이틴 전 멤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ong https://www.doopedia[...] Doosan Encyclopedia
[2] 웹사이트 Song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9-18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송함홍
[4] 웹사이트 『고려사』 권125, 열전38, 간신1 https://terms.naver.[...]
[5]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송명의
[6] 웹사이트 『고려사』 권102, 열전15 https://terms.naver.[...]
[7] 웹사이트 《고려사》 세가 권제41 공민왕(恭愍王) 14년 6월 http://db.history.go[...]
[8] 웹사이트 『고려사』 권111, 열전24 https://terms.naver.[...]
[9]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송취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