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도권 전철의 차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의 차량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에서 운행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차를 포괄한다.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인천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신분당선, 공항철도 등 여러 운영 주체가 있으며, 각기 다른 노선과 차량을 사용한다. 전동차는 VVVF 인버터 기반 추진 시스템을 사용하며, 주요 전동차 모델로는 1000호대부터 8000호대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또한, 경전철 노선에서는 U100호대, Y100호대, UL000호대, 1000호대, SL000호대 전동차 등이 운행된다. 대부분의 차량은 비상 절차, 외국어 안내,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 등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 1기 지하철
    1기 지하철은 1970년대 서울의 인구 증가와 교통난 해소를 위해 계획, 건설된 지하철 1, 2, 3, 4호선으로, 특히 2호선은 순환선 형태로 건설되어 강남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수도권 전철 - 서울 경전철
    서울 경전철은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시스템으로, 1993년 계획 수립 이후 여러 차례의 계획 수정과 노선 확정을 거쳐 우이신설선, 신림선 등이 개통되었으며, 현재 여러 노선이 건설 중이거나 계획되어 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수도권 전철의 차량

2. 노선 및 운영 주체

2. 1. 서울교통공사 (구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1~8호선 및 일부 광역철도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2. 1. 1. 노선

아무런 내용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2. 2.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 (개화 - 중앙보훈병원)

2. 2. 1. 노선

(빈칸)

2. 3.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인천 도시철도 1호선(계양 - 송도달빛축제공원)에서 운행된다.

2000호대 전동차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오류 - 운연)에서 운행되는 철제차륜 기반 전동차이다.

SR000호대 전동차서울 지하철 7호선(장암 - 석남(거북시장))에서 운행된다.

7000호대 전동차서울 지하철 7호선(장암 - 석남(거북시장)) 구간에서 운행되는데, 이는 인천교통공사가 일부 구간을 운영하기 때문이다.

2. 3. 1. 노선

(요약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도 비어있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2. 4.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한국철도공사는 광역철도 노선 및 서울 지하철 일부 구간을 운영한다.

2. 4. 1. 노선

(내용 없음)

2. 5. 신분당선 · 경기철도

신분당선경기철도신분당선을 운영한다.

2. 5. 1. 노선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6. 공항철도

1000호대 전동차 - AREX직통[6]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2터미널)(과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운행 안한 적 있음.)

2000호대 전동차 -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2터미널)

2. 6. 1. 노선

(내용 없음)

3. 전동차

3. 1. 주요 전동차 모델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현대로템
none
1-11~1-16
(6개 편성, 60량)군자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1세대)1993–1994
현대정공 (1차분),
대우중공업 (2차분)
none
4-01~4-26,
4-51~4-71
(47개 편성, 470량)창동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1세대)1994-1997
현대정공
|100px|none]]5-01~5-76
(76개 편성, 608량)방화 & 고덕서울교통공사 7000/8000호대(1세대)1995-1996
대우중공업
|100px|none]]7호선: 7-01~7-17
8호선: 8-01~8-15
(32개 편성, 226량) 7호선: 도봉
8호선: 모란서울교통공사 1000호대(2세대)1998–1999, 2002
현대정공 (1차분),
로템 (2차분)
|100px|none]]1-01~1-10
(10개 편성, 92량)군자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1999-2000
현대정공, KOROS
|100px|none]]6-01~6-41
(41개 편성, 328량) 6호선: 신내
7호선: 도봉서울교통공사 7000/8000호대(2세대)1999-2000
한진중공업, KOROS
|100px|none]]7호선: 7-18~7-63
8호선: 8-16~8-20
(원래 76개 편성, 608량) 7호선: 도봉 & 천왕
8호선: 모란서울교통공사 2000호대(3세대, 1차분)2005년 로템
|100px|none]]2-01~2-05,
2-57
(6개 편성, 54량)신정 & 군자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3세대, 2차분)2007–2008
현대로템
|100px|none]]2-15~2-31,
2-58~2-72
(32개 편성, 298량)신정 & 군자서울교통공사 3000호대(2세대)2009–2010
현대로템
|100px|none]]3-01~3-33, 3-36~3-40, 3-49
(39개 편성, 390량)지축 & 수서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SR000" 시리즈)
(3세대)2010-2012
다원시스
|100px|none]]7-64~7-70 (SR001-SR007)
(7개 편성, 56량)천왕서울교통공사 2000호대(3세대, 3차분)2017-2018
다원시스
|100px|none]]2-06~2-13,
2-39~2-42,
2-85~2-92
(21개 편성, 210량)신정 & 군자서울교통공사 5000호대(2세대)2017-2018
현대로템
|100px|none]]5-77~5-80
(4개 편성, 32량)고덕서울교통공사 2000호대(3세대, 4차분)2019-
현대로템
|100px|none]]2-14,
2-32~2-38,
2-56,
2-73~2-84,
2-93
(22개 편성, 214량)신정 & 군자서울교통공사 4000호대(2세대)2019-
현대로템
|100px|none]]4-81~4-85
(5개 편성, 50량)창동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4세대)2020
다원시스7-71~7-72
(2개 편성, 16량)천왕서울교통공사 2000호대(3세대, 5차분)2020–
다원시스2-45~2-48
(4개 편성, 46량)신정 & 군자서울교통공사 3000호대(2세대, 2차분)2020–
다원시스3-16~3-20,
3-34~3-35,
3-41~3-48
(15개 편성, 150량)지축 & 수서서울교통공사 5000호대(3세대)2021–
우진산전
|100px|none]]5-01~5-25
(25개 편성, 200량)고덕rowspan=3|서울교통공사 7000호대(5세대)7-01~7-17 (예상)
(17개 편성, 136량)도봉서울교통공사 8000호대(3세대)8-21~8-29 (예상)
(9개 편성, 72량)모란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3세대)2022–
다원시스4-50~4-70
(21개 편성, 210량)창동



모든 열차는 VVVF 인버터 기반 추진 시스템을 사용한다. 구형 열차는 일반적으로 GTO를 사용하고, 신형 열차는 일반적으로 IGBT를 사용한다.

3. 1. 1.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 (양주 - 인천), (광운대 - 서동탄)

1000호대 VVVF 전동차 - (양주 - 인천), (광운대 - 서동탄)

2000호대 VVVF 전동차 - (성수 - 성수(10량)), (성수 - 신설동(4량)), (신도림 - 까치산(6량))

3000호대 VVVF 전동차 - (대화 - 오금)

4000호대 VVVF 전동차 - (진접 - 사당), (불암산 - 오이도)

5000호대 전동차 - (방화 - 하남검단산/마천)

6000호대 전동차 - (신내 → 응암 → 독바위 → 응암 → 신내), [5] (장암 - 석남(거북시장))

7000호대 전동차 - (장암 - 석남(거북시장))

8000호대 전동차 - (별내 - 모란)

모든 차량은 길이 19.5m, 폭 3.12m, 높이 3.8m 이다. 서울교통공사에서 운행하는 신형 전동차는 구형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동일한 제원을 갖는 경우가 많다.

5~8호선 모든 열차에는 ATO(자동 열차 운전 장치)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ATO 시스템 고장 시를 대비하여 항상 운전사가 탑승한다.

차량 형식운영 기관제조 연도 및 제작사사진편성 수 및 총 주문량운행 노선배속 기지비고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1세대, 신형 차량)서울교통공사1989/1999/2004 (1999, 2002년 개조)대우중공업, 현대정공, 현대로템|100px|none]]1-11~1-16(6개 편성, 60량)군자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1세대)1993–1994현대정공 (1차분),대우중공업 (2차분)|100px|none]]
|100px|none]]
4-01~4-26,4-51~4-71(47개 편성, 470량)창동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1세대)서울교통공사1994-1997현대정공|100px|none]]5-01~5-76(76개 편성, 608량)방화 & 고덕
서울교통공사 7000/8000호대(1세대)1995-1996대우중공업|100px|none]]7호선: 7-01~7-178호선: 8-01~8-15(32개 편성, 226량) 7호선: 도봉8호선: 모란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2세대)서울교통공사1998–1999, 2002현대정공 (1차분),로템 (2차분)|100px|none]]1-01~1-10(10개 편성, 92량)군자
서울교통공사 6000호대 전동차서울교통공사1999-2000현대정공, KOROS|100px|none]]6-01~6-41(41개 편성, 328량) 6호선: 신내7호선: 도봉
서울교통공사 7000/8000호대(2세대)1999-2000한진중공업, KOROS|100px|none]]7호선: 7-18~7-638호선: 8-16~8-20(원래 76개 편성, 608량) 7호선: 도봉 & 천왕8호선: 모란



모든 열차는 VVVF 인버터 기반 추진 시스템을 사용한다. 구형 열차는 일반적으로 GTO를 사용하고, 신형 열차는 일반적으로 IGBT를 사용한다.

열차운영 기관제작 연도및 제작사사진차량 수 및 총 주문량배정 노선차량 기지배정비고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3세대, 1차분)서울교통공사2005년 로템|100px|none]]2-01~2-05,2-57(6개 편성, 54량)신정 & 군자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3세대, 2차분)서울교통공사2007–2008현대로템|100px|none]]2-15~2-31,2-58~2-72(32개 편성, 298량)신정 & 군자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2세대)서울교통공사2009–2010현대로템|100px|none]]3-01~3-33, 3-36~3-40, 3-49(39개 편성, 390량)지축 & 수서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SR000" 시리즈)(3세대)서울교통공사2010-2012다원시스|100px|none]]7-64~7-70 (SR001-SR007)(7개 편성, 56량)천왕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3세대, 3차분)서울교통공사2017-2018다원시스|100px|none]]2-06~2-13,2-39~2-42,2-85~2-92(21개 편성, 210량)신정 & 군자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2세대)2017-2018현대로템|100px|none]]5-77~5-80(4개 편성, 32량)고덕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3세대, 4차분)서울교통공사2019-현대로템|100px|none]]2-14,2-32~2-38,2-56,2-73~2-84,2-93(22개 편성, 214량)신정 & 군자rowspan=2|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2세대)|100px|none]]4-81~4-85(5개 편성, 50량)창동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4세대)2020다원시스7-71~7-72(2개 편성, 16량)천왕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3세대, 5차분)2020–다원시스2-45~2-48(4개 편성, 46량)신정 & 군자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2세대, 2차분)2020–다원시스3-16~3-20,3-34~3-35,3-41~3-48(15개 편성, 150량)지축 & 수서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3세대)2021–우진산전|100px|none]]5-01~5-25(25개 편성, 200량)고덕rowspan=3|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5세대)7-01~7-17 (예상)(17개 편성, 136량)도봉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3세대)8-21~8-29 (예상)(9개 편성, 72량)모란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3세대)서울교통공사2022–다원시스4-50~4-70 (21개 편성, 210량)창동


3. 1. 2.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 (개화 - 중앙보훈병원)

9호선의 모든 열차는 6량으로 운행되며, 초기에는 4량으로 제작된 열차가 많았다.

서울시 메트로9 (9호선 운영) 9000호대

3. 1. 3.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인천 1호선 (계양 - 송도달빛축제공원)에서 운행된다.

2000호대 전동차인천 2호선 (검단오류 - 운연)에서 운행되는 철제차륜 기반 전동차이다.

SR000호대 전동차7000호대 전동차서울 7호선 (장암 - 석남(거북시장))에서 운행된다.

3. 1. 4.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수도권 전철에서 운행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차를 운영하고 있다.

모든 차량은 길이 19.5m, 폭 3.12m, 높이 3.8m이다.

차량 형식운영 기관제조 연도 및 제작사사진편성 수 및 총 주문량운행 노선배속 기지비고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전동차
(1세대)
한국철도공사1996–1998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100px|none]]
311-01~311-41
(41개 편성, 405량)
구로 & 이문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2세대)
한국철도공사1999
KOROS
|100px|none]]
341-26~341-30
(5개 편성, 50량)
안산 & 시흥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2세대)
한국철도공사2002–2004
현대정공, 로템
|100px|none]]
311-42~311-65
(24개 편성, 240량)
구로 & 병점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2세대)
351-23~351-28
(6개 편성, 36량)
분당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3세대, 1차분)
한국철도공사2005–2006
로템
|100px|none]]
311-66~311-82
(17개 편성, 170량)
구로, 병점, 이문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2006/1997
현대로템 (개조)
|100px|none]]
319-01~319-07
(7개 편성, 28량)
구로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한국철도공사2006, 2008–2009
로템, 현대로템
|100px|none]]
321-01~321-21
(21개 편성, 168량)
용문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1세대)
2009년
현대로템
|100px|none]]
331-01~331-13
(13개 편성, 104량)
문산
한국철도공사 361000호대한국철도공사2010년
현대로템
|100px|none]]
361-01~361-14
(14개 편성, 112량)
평내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3세대, 1차분)
한국철도공사2011–2014
현대로템
|100px|none]]
351-29~351-43,
351-61~351-72
(27개 편성, 162량)
분당 & 시흥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2세대)
331-14~331-27
(14개 편성, 66량)
문산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3세대, 2차분)
311-83~311-90,
311-92~311-94
(11개 편성, 102량)
구로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3세대, 3차분)
2016–2017
현대로템
|100px|none]]
311-95~312-03
(9개 편성, 90량)
rowspan=5|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371-01~371-12
(12개 편성, 48량)
부발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1세대)
381-01~381-04
(4개 편성, 16량)
부발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3세대, 2차분)
351-73~351-78
(6개 편성, 36량)
분당 & 시흥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391-01~391-07
(7개 편성, 28량)
}}시흥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3세대)
한국철도공사2019-
현대로템
|100px|none]]
341-31~341-55
(25개 편성, 250량)
시흥rowspan=3|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4세대)
|100px|none]]
312-04-312-15
(12개 편성, 120량)
구로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2세대)
319-08~319-10
(3개 편성, 18량)
(임시)
(향후)
시흥 (임시)
구로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2세대)한국철도공사2022– 현대로템3-87~3-94 (8개 편성, 80량)지축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3세대)한국철도공사2022–우진산전3-68~3-70, 3-95~3-99 (8개 편성, 80량)지축rowspan="2" |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5세대)312-16~312-56 (41개 편성, 410량)구로, 병점, 이문



모든 열차는 VVVF 인버터 기반 추진 시스템을 사용한다. 구형 열차는 일반적으로 GTO를 사용하고, 신형 열차는 일반적으로 IGBT를 사용한다.

3. 1. 5. 신분당선 · 경기철도

D000호대 전동차는 (신사 - 광교)에서 운행되는 전동차이다.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열차는 ATO로 제어되며, 열차 내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3][4]

3. 1. 6. 공항철도

1000호대 전동차는 AREX직통[6]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2터미널) 노선에서 운행되며, 과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된 적이 있었다. 2000호대 전동차는 서울역과 인천국제공항2터미널 사이를 운행한다. 두 전동차 모두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3. 2. 기술적 특징

모든 수도권 전철의 차량은 VVVF 인버터 기반 추진 시스템을 사용한다. 구형 열차는 일반적으로 GTO를 사용하고, 신형 열차는 일반적으로 IGBT를 사용한다.

3. 2. 1. 제어 방식

모든 수도권 전철의 차량은 VVVF 인버터 기반 추진 시스템을 사용한다. 구형 열차는 일반적으로 GTO를 사용하고, 신형 열차는 일반적으로 IGBT를 사용한다.

3. 2. 2. 자동 열차 운전 장치 (ATO)

서울 지하철 5~8호선과 이후에 건설된 노선에는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가 도입되어 열차의 출발, 가속, 타력 운전, 정속 운전, 제동, 정지 등의 기능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ATO 시스템 고장으로 열차가 정상적으로 운행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모든 열차에는 운전사가 탑승한다.

3. 2. 3. 기타

아무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

4. 특징

4. 1. 비상 절차

모든 열차에는 최소 1개의 소화기가 비치되어 있으며, 비상시 문을 열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대부분의 차량과 모든 신규 차량에는 비상 호출(SOS) 전화가 설치되어 있다.

서울 지하철 열차의 문을 여는 방법.

4. 2. 외국어 안내

모든 열차는 각 정류장에 대한 한국어와 영어 안내 방송을 제공한다. 역명 표지판은 한글로마자로 표기되어 있다. 많은 열차에는 출입문 위나 객차 중앙에 한국어와 영어로 정보를 표시하는 LED 디스플레이가 있다.
서울 지하철
그러나 승강장 스크린 도어 설치로 인해 시인성이 감소하여 열차 측면의 많은 목적지 표지판이 제거되었다. 일부 최신 열차는 출입문 위나 열차 중앙에 짧은 광고와 역 정보를 표시하는 LCD 화면을 갖추고 있다.

5. 경전철

5. 1. 운영 주체 및 노선

참조

[1] 웹사이트 서울메트로 2호선 239편성 외선순환 열차 건대입구역 출발 (ソウルメトロ2号線旧2000系2039F編成電車) https://www.youtube.[...] 2015-07-28
[2] 웹사이트 Line 9 extension fans overcrowding fears https://www.koreatim[...] 2018-12-04
[3] 웹사이트 EMUs https://www.hyundai-[...] Hyundai Rotem 2014-07-29
[4] 웹사이트 Railway System https://www.hyundai-[...] Hyundai Rotem 2014-07-29
[5] 문서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