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의 차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의 차량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에서 운행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차를 포괄한다.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인천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신분당선, 공항철도 등 여러 운영 주체가 있으며, 각기 다른 노선과 차량을 사용한다. 전동차는 VVVF 인버터 기반 추진 시스템을 사용하며, 주요 전동차 모델로는 1000호대부터 8000호대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또한, 경전철 노선에서는 U100호대, Y100호대, UL000호대, 1000호대, SL000호대 전동차 등이 운행된다. 대부분의 차량은 비상 절차, 외국어 안내,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 등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 1기 지하철
1기 지하철은 1970년대 서울의 인구 증가와 교통난 해소를 위해 계획, 건설된 지하철 1, 2, 3, 4호선으로, 특히 2호선은 순환선 형태로 건설되어 강남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수도권 전철 - 서울 경전철
서울 경전철은 서울특별시의 경전철 시스템으로, 1993년 계획 수립 이후 여러 차례의 계획 수정과 노선 확정을 거쳐 우이신설선, 신림선 등이 개통되었으며, 현재 여러 노선이 건설 중이거나 계획되어 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수도권 전철의 차량 |
---|
2. 노선 및 운영 주체
2. 1. 서울교통공사 (구 서울메트로/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는 서울 지하철 1~8호선 및 일부 광역철도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 1호선 (양주 - 인천), (광운대 - 서동탄)
- 1000호대 VVVF 전동차 - 1호선 (양주 - 인천), (광운대 - 서동탄)
- 2000호대 VVVF 전동차 - 2호선 (성수 - 성수(10량)), (성수 - 신설동(4량)), (신도림 - 까치산(6량))
- 3000호대 VVVF 전동차 - 3호선 (대화 - 오금)
- 4000호대 VVVF 전동차 - 4호선 (진접 - 사당), (불암산 - 오이도)
- 5000호대 전동차 - 5호선 (방화 - 하남검단산/마천)
- 6000호대 전동차 - 6호선 (신내 → 응암 → 독바위 → 응암 → 신내), 7호선[5] (장암 - 석남(거북시장))
- 7000호대 전동차 - 7호선 (장암 - 석남(거북시장))
- 8000호대 전동차 - 8호선 (별내 - 모란)
2. 1. 1. 노선
아무런 내용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2. 2.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 - (개화 - 중앙보훈병원)2. 2. 1. 노선
(빈칸)2. 3.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계양 - 송도달빛축제공원)에서 운행된다.2000호대 전동차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오류 - 운연)에서 운행되는 철제차륜 기반 전동차이다.
SR000호대 전동차는 서울 지하철 7호선(장암 - 석남(거북시장))에서 운행된다.
7000호대 전동차도 서울 지하철 7호선(장암 - 석남(거북시장)) 구간에서 운행되는데, 이는 인천교통공사가 일부 구간을 운영하기 때문이다.
2. 3. 1. 노선
(요약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도 비어있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2. 4. 한국철도공사 (코레일)
한국철도공사는 광역철도 노선 및 서울 지하철 일부 구간을 운영한다.- 3000호대 전동차 - 3호선 (대화 - 오금)
- 311000호대ᆞ312000호대 전동차 - 1호선 (연천 - 인천), (광운대 - 신창/서동탄), (용산 - 동인천 급행)
- 319000호대 전동차 - 1호선 (영등포 - 광명 셔틀(4량)), 경의선 (임진강 - 문산 - 서울역(4량), 문산 - 용산(4량))
- 321000호대 전동차 - 경의·중앙선 (문산 - 용문/지평)
- 331000호대 전동차 - 경의·중앙선 (문산 - 용문/지평(8량), 임진강 - 문산/문산 - 서울역(4량), 문산 - 용산(4량))
- 341000호대 전동차 - 4호선 (당고개 - 오이도)
- 351000호대 전동차 - 수인·분당선 (청량리 - 왕십리 - 인천)
- 361000호대 전동차 - 경춘선 (광운대 , 청량리, 상봉 - 춘천)
- 368000호대 전동차 - ITX-청춘[6] (용산 - 춘천(경춘선의 청량리 ~ 춘천 선로 공용(일부역 무정차))
- 371000호대 전동차 - 경강선 (판교 - 여주)
- 391000호대 전동차 - 서해선 (일산 - 대곡 - 원시)
2. 4. 1. 노선
(내용 없음)2. 5. 신분당선 · 경기철도
신분당선과 경기철도는 신분당선을 운영한다.2. 5. 1. 노선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2. 6. 공항철도
1000호대 전동차 - AREX직통[6]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2터미널)(과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운행 안한 적 있음.)2000호대 전동차 -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2터미널)
2. 6. 1. 노선
(내용 없음)3. 전동차
3. 1. 주요 전동차 모델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현대로템
(6개 편성, 60량)
현대정공 (1차분),
대우중공업 (2차분)

4-51~4-71
(47개 편성, 470량)
현대정공

(76개 편성, 608량)
대우중공업

8호선: 8-01~8-15
(32개 편성, 226량)
8호선: 모란
현대정공 (1차분),
로템 (2차분)

(10개 편성, 92량)
현대정공, KOROS
(41개 편성, 328량)
7호선: 도봉
한진중공업, KOROS

8호선: 8-16~8-20
(원래 76개 편성, 608량)
8호선: 모란

2-57
(6개 편성, 54량)
현대로템

2-58~2-72
(32개 편성, 298량)
현대로템

(39개 편성, 390량)
(3세대)
다원시스

(7개 편성, 56량)
다원시스

2-39~2-42,
2-85~2-92
(21개 편성, 210량)
현대로템

(4개 편성, 32량)
현대로템

2-32~2-38,
2-56,
2-73~2-84,
2-93
(22개 편성, 214량)
현대로템

(5개 편성, 50량)
(4세대)
다원시스
(2개 편성, 16량)
다원시스
(4개 편성, 46량)
다원시스
3-34~3-35,
3-41~3-48
(15개 편성, 150량)
우진산전

(25개 편성, 200량)
(17개 편성, 136량)
(9개 편성, 72량)
다원시스
(21개 편성, 210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