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콜라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콜라주의는 라틴어 'scholasticus'에서 유래된 용어로, 중세 유럽에서 발전한 기독교 철학 및 신학의 한 흐름이다. 9세기 카롤링거 르네상스 시기부터 시작되어 16세기까지 이어졌으며, 이성적 탐구와 논리적 분석을 중시하며 권위 있는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사용했다. 초기에는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피에르 아벨라르 등이 활동했으며, 전성기에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수용하여 토마스 아퀴나스가 스콜라 철학을 완성했다. 후기에는 윌리엄 오컴 등이 등장했으며, 19세기 후반에는 신토마스주의로 부활하기도 했다. 스콜라 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의 대결을 통해 전개되었으며, 신학, 자연철학, 경제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마스 아퀴나스 - 신의 단순성
    신의 단순성은 기독교 신학에서 신의 속성이 신을 구성하는 부분이 아니라는 개념으로, 신은 단순하며 그의 속성과 동일하다는 의미를 가지지만, 그 개념의 유효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토마스 아퀴나스 - 순수 이성
    순수 이성은 경험적 요소에 의존하지 않고 선천적으로 타고난 순수한 사유 능력을 의미한다.
  • 철학적 전통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는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제시한 사회, 경제, 정치 이론을 포괄하는 세계관으로, 계급 투쟁을 강조하며 공산주의 사회를 목표로 생산 수단의 공유 소유를 통해 자본주의의 착취적 노동 조건을 없애려 한다.
  • 철학적 전통 - 이슬람 철학
    이슬람 철학은 이슬람 세계에서 그리스 철학, 이슬람 신학, 인도 및 페르시아 철학을 바탕으로 발전했으며, 칼람과 팔사파의 두 흐름 속에서 이븐 시나, 이븐 루시드 같은 철학자들을 배출하며 종교, 신비주의, 유럽 철학에 영향을 주었고 동서로 나뉘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다.
  • 스콜라 철학 - 신학대전
    신학대전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집필한 기독교 신학의 대표적 저서로, 이성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기반으로 하느님의 존재와 본성, 창조, 인간의 본성, 윤리, 법, 은총, 성사, 종말론 등 광범위한 주제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미완성 부분을 제자들이 완성하여 오늘날까지 기독교 신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스콜라 철학 - 실재론
    실재론은 인간의 인식과 독립적으로 실재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철학적 입장이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반실재론과 대립하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서 기원을 찾아 다양한 철학적 논의의 중심에 있었다.
스콜라주의
개요
중세 대학
중세 대학
유형중세 철학 학파
영향 받은 학문아리스토텔레스 철학
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
기독교 신학
이슬람 철학
유대 철학
역사적 배경
발생 시기중세 시대
주요 활동 시기11세기 ~ 17세기
쇠퇴 시기르네상스 시대 이후
특징
방법론논리적 분석
변증법적 추론
권위 있는 텍스트 인용 (성경, 아리스토텔레스 저작 등)
주요 관심사신앙과 이성의 관계
보편자의 문제
형이상학적 질문 (존재, 본질 등)
윤리적 문제
주요 학자 및 사상
주요 인물안셀무스
피에르 아벨라르
피터 롬바르드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보나벤투라
둔스 스코투스
윌리엄 오컴
주요 학파토마스주의
스코투스주의
오컴주의
관련 개념실재론
유명론
개념론
영향 및 유산
영향중세 대학 교육 체계 확립
서양 철학 및 신학 발전에 기여
법학, 의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 영향
현대적 의의비판적 사고 및 논증 능력 함양
형이상학적 탐구의 중요성 제시
윤리적 문제에 대한 심층적 고찰
관련 학문 분야
관련 분야중세 철학
신학
논리학
형이상학
윤리학
추가 정보
참고 문헌에티엔 질송, 《중세 철학의 정신》
데이비드 노울즈, 《중세 사상의 발전》
관련 항목아리스토텔레스주의
아베로에스주의
아비센나주의
네오플라톤주의
신 스콜라주의

2. 어원

"스콜라스틱(scholastic)"과 "스콜라스티시즘(scholasticism)"이라는 용어는 라틴어 ''scholasticusla''에서 유래하며, 이는 고대 그리스어 σχολαστικός|scholastikosgrc의 라틴어화된 형태이다. 이 형용사는 "학교"를 뜻하는 σχολή|scholēgrc에서 파생되었다.[10] ''Scholasticus''는 "학교의 또는 학교에 관한"을 의미한다. "스콜라스틱(scholastics)"은 대략적으로 "학자들(schoolmen)"을 의미한다.

3. 역사

게르만 민족의 이동 이후 유럽은 문화 부진의 시기를 겪었다. 이 시기 문화는 대륙이 아닌 아일랜드잉글랜드에서 유지되었다. 프랑크 왕국의 카를 대제는 '카롤링거 르네상스'를 통해 학예를 발전시켜 중세 유럽 최초의 문화를 개화시켰다. 카를 대제는 성직자 교양을 높여 기독교 신앙을 전파하려 했고, 이를 위해 요크의 알쿠인을 초빙하여 잉글랜드 북부 문화를 대륙에 이식했다.

카롤링거 르네상스 이후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받은 고트샤르크(808경-867)는 이중예정설을 주장해 이단으로 선고받았으나, 서프랑크 왕국에서 신학 논쟁을 활발하게 만들었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는 <자연구분론(自然區分論)>을 통해 중세 전반의 유일한 철학 체계를 제시했다. 10세기에는 유럽 문화가 다시 침체되었다.

11세기에는 베렌가리우스(999/998-1088)가 이성을 중요시하며 성찬에 대해 이단적인 주장을 펼쳤다. 캔터베리 대주교가 된 란프랑쿠스(1004경-1089)는 이성의 악용에 반대하며 신앙을 강화하는 것은 인정했다. 그의 제자 안셀무스는 이성에만 의거한 신의 본체론적 증명을 제시했다.

안셀무스의 영향으로 12세기에는 논리만능, 인문주의, 신비주의가 스콜라 철학 발전을 촉진했다. 13세기에는 파리·옥스퍼드 대학이 발전하고 탁발수도회 수도사들이 대학 조직을 유지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유럽에 유입되었다.

프란체스코회 학파는 아우구스티누스 전통을 지키며 보수적 경향을 보였다. 헬즈의 알렉산데르(1170경-1245)는 <신학대전(神學大全)>을 썼고, 보나벤투라는 신비주의를 주장했다. 로저 베이컨은 아라비아 자연 과학자들의 광학 사상을 받아들였다. 도미니코회 학파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적극 수용하며 중도적 입장을 취했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기독교화하려 했고,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수용하여 기독교와의 대화를 확립했다.

둔스 스코투스토마스 아퀴나스와 대결하며 아우구스티누스를 내세워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의 종합을 시도했다. 그는 겐트의 헨리를 인용하여 주지주의를 배격하고 의지의 우위를 주장했다.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나 오컴의 윌리엄유명론근세철학, 자연과학으로 이어지는 길을 열었다.

16세기에는 이탈리아, 에스파냐, 포르투갈에서 스콜라 철학 부흥이 일어났다. 이탈리아의 카예타누스(1469-1534)는 폼포나치를 공격했고, 에스파냐에서는 제수이트회의 폰세카(1528-1599)와 모리나(1535-1600)가 은총과 자유의지의 조화를 주장했다. 수아레스는 이들의 주장을 종합하려 했으나 절충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스콜라 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의 대결을 통해 발전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재발견은 기독교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2세기 중기 논리학에 이어 <자연학>과 <형이상학>이 번역되어 파리에서 읽혔다. 이슬람교 아리스토텔레스주의 대표자들의 철학은 교의와 모순되어 위험시되었고, 관련 저작 주해는 금지령을 받았다.

오베르뉴의 윌리엄(1180경-1249)은 자연학의 탁월함을 인정하면서 아라비아 철학자 주장을 비판했다. 헬즈의 알렉산데르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전체를 알아 교의 확립에 기여했다. 아비켄나의 우주 영원성, 아베로에스의 이중진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마이모니데스는 유대 신학을 총결산하여 기독교 사상가에게 영향을 미쳤다. 13세기에는 모르베카의 윌리엄(1215-1286경) 등에 의해 주요 저작이 그리스어 원전에서 번역되어 바른 이해를 얻게 되었다. 토마스 아퀴나스를 중심으로 한 노력으로 기독교적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토착화되었고, 1366년에는 아리스토텔레스 연구가 의무가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중세철학에 영향을 끼친 원인으로는 이슬람 세력의 침략과 기독교 철학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내적 연관이 있다.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은 신과 영혼에 집중하여 자연학이 부족했기에, 기독교 철학이 만유를 포괄하는 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필요했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을 조화시키려 했다. 토마스는 '제1동자(第一動者)'를 만유의 창조 원인인 신으로 파악하고, "은총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고 완성한다"라고 생각했다.

기독교 스콜라 철학의 기초는 보에티우스(Boethius)가 마련했으며,[3] 스콜라 철학의 선구자이자 동반자는 이슬람의 칼람(Ilm al-Kalām)과 유대 철학이었다.[11][12] 스콜라학은 학문 기법과 사고 과정을 가리키며, 수도원에서 사용되었던 학문 기법과 대조적이었다. 스콜라학의 특징은 문제로부터 이성적, 논리적 답을 도출하는 데 있었고, 궁극적인 목적은 모순 해결이었다. 신학뿐 아니라 철학 등 여러 학문에 이르는 광범위한 것이었다.

스콜라학은 서방 교회에서 큰 위치를 차지했지만, 정교회에서는 17세기경 영향을 받았으나,[38] 19세기 이후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39] 20세기 이후에도 논리와 이성을 기반으로 하는 서방 신학과 정적을 기반으로 하는 동방 신학은 방법이 다르다고 여겨진다.[40] 일반적인 스콜라 철학은 논리학, 형이상학, 의미론 등을 통합하여 인간의 사물 이해를 심화시켰다.

성기 스콜라 학파 시대(1250년-1350년)에 스콜라 학파 방법론은 신학, 자연철학, 자연학(물리학), 인식론(≒과학철학) 등에 응용되었다. 스페인에서는 경제 이론 발전에 기여하여 오스트리아 학파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스콜라 학파는 기독교 교리에 구속되었으며, 신앙을 흔들 수 있는 질문은 이단으로 몰리지 않는 한 허용되지 않았다.

1400년대부터 1500년대에 걸쳐 인문주의자들은 스콜라 학파를 경직되고 형식주의적이며 구식이라고 비판하며 잊혀진 듯했다. 19세기 후반 가톨릭 교회에서 신토마스주의 운동이 일어나 다시 주목받았으나, 토마스 아퀴나스 등에 한정된 좁은 범위였다. 스콜라 학파는 마이모니데스 등의 유대 철학과 아베로에스 등의 이슬람 철학의 움직임과 연동한 사상 운동이었다.

스콜라 학파에서 주로 참고된 저자들은 다음과 같다.

저자주요 저작 및 내용
아리스토텔레스(단순히 “철학자”라고 하면 그를 가리킨다) 및 이븐 루슈드(아베로에스)의 『주해』(단순히 『주해』라고 하면 이 저술을 가리킨다)
보에티우스특히 『철학의 위안』
아우구스티누스
플라톤특히 『티마이오스』
페트루스 롬바르두스특히 『명제집』
성경


3. 1. 초기 스콜라 철학 (9세기 - 12세기)

카롤링거 르네상스 후기의 주요 사상가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받아 이중예정설을 주장한 고트샤르크(808경-867)와 스코투스 에리우게나가 있다. 특히, 스코투스 에리우게나의 <자연구분론(自然區分論)>은 중세 전반의 유일한 철학서로 평가받는다.[16] 10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럽 문화는 다시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11세기에 캔터베리 대주교가 된 란프랑쿠스(1004경-1089)는 이성을 통해 신앙을 강화하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이성의 남용에는 반대했다. 그의 제자인 안셀무스는 신의 존재를 성서의 권위가 아닌 이성에만 의거하여 논증하고자 한 '본체론적 증명'으로 유명하다.

안셀무스의 선구적 활동으로 준비된 스콜라 철학은 12세기에 논리만능주의, 인문주의, 신비주의의 영향을 받아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서구에서 학문이 크게 부흥한 것은 초기 중세의 카롤링거 르네상스 때였다. 샤를마뉴는 요크의 알쿠인 등의 조언을 받아 영국과 아일랜드 학자들을 초빙했는데, 이 지역에는 일부 그리스어 원본이 보존되어 있었다. 787년 칙령에 따라 제국 내 모든 수도원에 학교가 설립되었고, 이 학교들은 스콜라 철학의 명칭 유래가 되었으며, 중세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13]

이 시기에는 아일랜드를 제외한 서구에서 고대 그리스어 지식이 사라졌지만, 아일랜드 수도원 학교에서는 그리스어 교육이 일반적이었다.[14] 아일랜드 학자들은 프랑크 궁정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그중에는 스콜라 철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815~877)도 있었다.[15][16] 에리우게나는 그리스어에 능통하여 많은 작품을 라틴어로 번역했고, 카파도키아 교부들과 그리스 신학 전통을 접할 수 있게 했다.[15]

10세기 후반부터 무슬림 스페인의 톨레도 번역학교에서 아랍어 문헌을 라틴어로 번역하기 시작했다. 12세기 레콩키스타 이후 스페인은 기독교 학자들에게 개방되었고, 유대-이슬람 철학을 접하게 되면서 아랍과 유대인들의 수학 및 천문학 지식이 유럽에 전해졌다.[17] 12세기 라틴어 번역에는 이탈리아의 콘스탄티누스 아프리카누스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베네치아의 야코보도 포함되었다. 배스의 아델라르드와 같은 학자들은 스페인과 시칠리아로 가서 천문학과 수학 작품을 번역했는데, 여기에는 유클리드의 ''원론''의 첫 번째 완전한 라틴어 번역도 포함되었다.

동시에 샤르트르 학파는 샤르트르의 베르나르의 플라톤의 ''티마이오스'' 주석과 콩슈의 윌리엄의 작품을 통해 중세 기독교 개념에서 고전 철학 원천의 사용을 조화시키려 했다.[18] 라온의 안셀무스는 성경 주해를 체계화했고, 아벨라르의 작품에서 변증법이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피에르 롬바르는 교부 등의 의견을 모은 ''명제''를 제작했다.[19]

3. 2. 전성기 스콜라 철학 (13세기 - 14세기)

13세기와 14세기 초는 스콜라 철학의 전성기로 여겨진다. 13세기 초, 윌리엄 오브 모어베크 등 번역가들의 노력으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저작들이 그리스어 원전에서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17] 이는 이전에 아랍어 번역본에 의존하던 것보다 훨씬 정확한 이해를 가능하게 했다.

이 시기 유럽 대도시에서는 대학이 발전했고, 프란체스코 수도회와 도미니코 수도회 같은 수도회들이 대학을 중심으로 스콜라 철학 연구를 주도했다. 아시시의 프란체스코가 1209년에 설립한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보나벤투라는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과 플라톤 철학을 옹호하는 전통주의자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일부를 신플라톤주의적 요소와 함께 통합했다. 그는 철학이 종교적 신앙에 의해 밝혀질 때만 이성이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22] 던스 스코투스, 피터 오리올, 윌리엄 오컴도 중요한 프란체스코회 스콜라 학자들이었다.[23][24]

성 도미니크가 1215년에 설립한 도미니코 수도회는 이성을 강조하고 아리스토텔레스 자료를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토마스 아퀴나스가 대표적인 도미니코회 사상가였다.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기독교 교리를 종합하여 스콜라 철학을 집대성했다. 그는 이성과 논증을 중시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을 적극 수용하여, 초기 스콜라 철학의 주류였던 신플라톤주의와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서 벗어났다.[25]

토마스 아퀴나스

3. 3. 후기 스콜라 철학 (14세기 - 16세기)

둔스 스코투스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에 반대하며, 아우구스티누스를 중심으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의 종합을 시도했다. 그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주지주의를 비판하고 의지의 우위를 강조했으며, 존재와 본질의 실재적 구별을 부정했다.[26]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와 오컴의 윌리엄유명론근대철학자연과학으로 이어지는 길을 열었고, 이는 근대적 자아(自我) 탄생의 배경이 되었다.

중세 말 쇠퇴했던 스콜라 철학은 16세기에 이탈리아, 에스파냐, 포르투갈 등지에서 다시 부흥했다. 이탈리아의 카예타누스(1469-1534)는 파도바 대학교에서 형이상학을 가르치며 아베로에스설을 비판했다. 에스파냐에서는 제수이트회의 폰세카(1528-1599)와 그의 제자 모리나(1535-1600)가 은총과 자유의지의 조화를 주장했다. 모리나의 주장은 토미즘(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과 조화를 이루려 한 수아레스에 의해 종합되었으나, 절충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요한 베이커스(Johann Beukes)는 1349년부터 1464년까지, 즉 윌리엄 오컴과 니콜라우스 쿠사누스가 사망할 때까지의 시기를 스콜라 철학의 방법론은 유지하면서도 제도 비판과 유물론 등에서 벗어난 "강건하고 독립적인 철학자들"의 시대로 보았다. 이 시기의 철학자들로는 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 토마스 브래드워딘, 존 위클리프, 시에나의 카타리나, 장 쥐르송, 가브리엘 비엘 등이 있으며, 니콜라우스 쿠사누스로 끝맺는다.[26]

1400년대부터 1500년대에 걸쳐 활동한 인문주의자들은 스콜라 철학을 "경직되고 형식주의적이며 구식이고, 철학에서 부적절한 방법"이라고 비판하며, 스콜라 철학은 잊혀진 듯 했다.

19세기 후반, 가톨릭 교회는 신토마스주의 운동을 통해 스콜라 철학을 다시 주목했다. 그러나 이 운동은 토마스 아퀴나스 등에 한정된 좁은 범위의 스콜라 철학만을 다루었으며, 다른 분야로의 영향은 고려되지 않았다.

3. 4. 스페인 스콜라 철학 (16세기)

살라망카 학파를 중심으로 스콜라 철학이 부흥하여 법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스페인에서는 스콜라 학파의 방법론이 경제 이론 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후에 오스트리아 학파에 영향을 미쳤다.[1] 그러나 스콜라 학파는 여전히 기독교 교리에 구속되었으며, 신앙 자체를 흔들 수 있는 질문은 이단으로 몰리지 않는 한 허용되지 않았다.[1]

4. 스콜라 철학의 방법론

스콜라 철학은 이성적인 탐구와 논리적인 분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문 방법론을 사용했다. 권위 있는 텍스트(예: 성경, 교부들의 저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등)를 읽고 분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36]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모순과 논쟁점을 찾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변증법적 토론을 한다. 변증법적 토론은 찬성과 반대 양쪽의 주장을 제시하고, 논리적인 분석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렉시오(lectio), 메디타시오(meditatio), 콰에스티오(quaestio), 디스푸타티오(disputatio) 등의 단계를 거쳐 학문적인 탐구를 진행한다.[37]

스콜라 교육은 여러 요소로 구성되었다. 먼저 교사가 권위 있는 본문을 읽고 해설을 덧붙이는 '렉시오'(lectio)가 진행되었는데, 이때 질문은 허용되지 않았다. 이어서 학생들이 본문을 깊이 생각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메디타시오'(meditatio, 명상 또는 숙고)가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콰에스티오'(quaestio)에서 학생들은 메디타시오 동안 떠올랐던 질문(quaestiones)을 할 수 있었다. 결국 콰에스티오네스에 대한 논의는 렉시오와는 별개의 것이 되었고, 권위 있는 본문과는 독립적인 탐구 방법이 되었다. 논쟁적인 콰에스티오네스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푸타티오네스'(disputationes)가 마련되었다.[37]

논쟁할 질문들은 보통 미리 발표되었지만, 학생들은 교사에게 예고 없이 질문을 제기할 수 있었다 – '디스푸타티오네스 데 콰들리벳'(disputationes de quodlibet). 이 경우, 교사가 답변하고 학생들이 반박했다. 다음 날 교사는 논쟁 중에 적은 메모를 사용하여 모든 주장을 요약하고 최종 입장을 제시하며 모든 반박에 응수했다.[37]

콰에스티오 추론 방법은 처음에는 두 개의 권위 있는 본문이 서로 모순되는 것처럼 보일 때 특히 사용되었다. 두 개의 모순되는 명제는 둘 중 하나의 질문 형태로 고려되었으며, 질문의 각 부분은 옳다고(sic) 또는 틀리다고(non) 판단해야 했다. 취한 입장에 대한 주장이 차례로 제시된 후, 그 입장에 반대하는 주장이 제시되고, 마지막으로 반대 주장이 반박되었다. 이 방법은 학자들이 상반되는 관점을 고려하고 자신의 주장을 방어하도록 만들었다.[36]

스콜라학의 방법에서는, 우선 성경 등 저명한 학자들이 저술한 텍스트가 주제로 선택된다. 학습자는 텍스트를 세심하고 비판적으로 읽음으로써 저자의 이론을 먼저 습득한다. 다음으로 텍스트와 관련된 참고문헌을 참조한다(예를 들어 성경의 경우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공의회 문서집, 교황 칙서 등).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통해 그 텍스트들 사이의 불일치점이나 논쟁점이 도출된다. 예를 들어 성경의 경우 고대부터 현대까지 학자들이 저술한 문서와 성경 사이의 모순점, 논쟁점이 모두 제기되고 다각적으로 편견 없이 고찰한다.

모순점이나 논쟁점이 명확해지면, 변증법적으로 두 가지 대조적인 입장(예를 들어 찬성과 반대)이 제시되고 논의가 이루어지며, 마침내 합의점이 도출된다. 이 합의점에 이르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철학적 분석이다. 용어가 철저히 검토되고 저자의 의도하는 의미가 검증된다. 의미가 모호한 용어에 대해서는 상대적인 입장에서 합의에 이를 수 있는 의미를 검토한다. 둘째는 논리의 규칙에 따른 이론적 분석을 통해 모순 자체를 독자의 주관적인 것으로 해소하는 방법이다.

5. 스콜라 철학의 주요 주제

스콜라 철학은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하고, 신 존재 증명, 보편 논쟁, 존재와 본질의 문제, 자유 의지, 은총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수용하여 기독교 신학과 통합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38]


  • 신앙과 이성: 스콜라 철학의 최대 주제는 신앙과 이성의 관계였다. "참된 종교란 참된 철학이며, 그 역도 또한 참이다"라는 명제는 스콜라 철학의 기본 입장을 보여준다.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수용: 알베르투스 마그누스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기독교 신학과 조화시키려 노력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제1동자(第一動者)', 즉 '부동(不動)의 원동자(原動者)'를 만유의 창조 원인인 신으로 파악했다. 그는 자연과 은총(Gratia)을 구별했지만, "은총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고 완성한다"(gratia non tollit naturam, sed perficit)고 보았다.
  • 신학대전: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은 기독교 신학의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는 방대한 저술이었다.

6. 주요 스콜라 철학자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Medieval Philoso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 서적 The Love of Learning and the Desire for God Fordham University Press
[2] 서적 A companion to philosophy in the middle ages John Wiley & Sons
[3] 서적 The Cambridge Dictionary of Christian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God and Reason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quin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Love of Learning and the Desire for God Fordham University Press
[6] 사전 Schoolmen
[7] 학술지 Modern Philology http://dx.doi.org/10[...] 1950-05-01
[8] 서적 God and Reason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Spirit of Medieval Philosophy (Gifford Lectures 1933–35)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0] 웹사이트 school http://www.etymonlin[...]
[10] 사전 scholastic http://www.etymonlin[...]
[10] 사전 σχολή, σχολαστικός
[1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Classical Islamic Th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Handbook to Life in the Medieval World
[13] 서적 Medieval foundations of the western intellectual tradition, 400–1400 Yale University Press
[14] 서적 A History of Classical Scholarship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John Scottus Eriugena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04-10-17
[16] 서적
[17] 서적 The foundations of modern science in the Middle Ages: their religious, institutional and intellectual contex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Medieval Philosoph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Peter Lombard, Master of the Sentences http://www.ligonier.[...] Ligonier Ministries
[20] 서적 Introduction to Scholastic Theology http://worldcat.org/[...]
[21] 학술지 Toward a Cultural History of Scholastic Disputation 2012-04-01
[22] 서적 A companion to Bonaventure Brill
[23] 서적 Fifty key medieval thinkers Routledge
[24] 서적 A companion to philosophy in the middle ages John Wiley & Sons
[25] 서적 The genesis of science: How the Christian Middle Ages launched the scientific revolution Simon and Schuster
[26] 학술지 The case for post-scholasticism as an internal period indicator in Medieval philosophy 2021-03-19
[2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Calv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웹사이트 The Thomistic tradition, Part I (archived copy) http://edwardfeser.b[...] 2009-10-15
[29] 웹사이트 The Revival of Thomism: An Historical Survey http://domcentral.or[...]
[30] 웹사이트 Edward Feser: The Thomistic tradition, Part I http://edwardfeser.b[...] 2009-10-15
[31] 웹사이트 Vanni Rovighi, Sofia http://www.treccani.[...]
[32] 웹사이트 GIACON, Carlo http://www.treccani.[...]
[33] 서적 Vita quaerens intellectum Millennium Romae
[34] 백과사전 Analytical Thomism: traditions in dialogue Ashgate
[35] 백과사전 Neo-Aristotelian Metaphysics and the Theology of Nature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1-10-11
[36] 서적 The art of medicine: medical teaching at the University of Paris, 1250–1400 Brill 1998
[37] 서적 Medieval foundations of the western intellectual tradition, 400–1400 Yale University Press 1999
[38] 웹사이트 ◆第17世紀◆ http://www.orthodox-[...]
[39] 웹사이트 ◆第19世紀◆ http://www.orthodox-[...]
[40]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Orthodox Spirituality and Other Traditions http://www.orthodox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