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근대철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대철학은 르네상스 인문주의, 합리론, 경험론, 칸트의 비판 철학, 독일 관념론, 19세기 철학, 20세기 철학, 정치 철학, 현대 아시아 철학 등 다양한 흐름을 포괄하는 시기이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인간의 가치를 강조하며 스콜라 철학에 반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명제와 함께 합리론이 시작되었다. 경험론은 감각적 경험을 통해 지식이 얻어진다고 주장하며, 칸트는 합리론과 경험론의 대립을 통합하려 했다. 19세기에는 독일 관념론이 발전하고, 실존주의와 실용주의가 등장했으며, 20세기에는 분석 철학과 현상학이 주요 흐름을 이루었다. 정치 철학은 정치, 자유, 정의 등과 관련된 주제를 탐구했으며, 현대 아시아 철학은 신유학, 마오이즘, 불교 근대주의, 교토 학파, 신 베단타 등 다양한 철학적 조류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대별 철학 - 19세기 철학
    19세기 철학은 격변의 시대를 배경으로 후기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학파와 경향이 등장했으며, 공리주의, 마르크스주의, 실존주의 등의 주요 사조가 20세기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일본에서는 서양 철학 유입과 함께 새로운 사상이 형성되었다.
  • 시대별 철학 - 17세기 철학
    17세기 철학은 새로운 자연과학의 등장으로 인간관과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기계론적 자연관이 발전하고 대륙합리론과 경험론으로 대표된다.
  • 서양 철학 - 19세기 철학
    19세기 철학은 격변의 시대를 배경으로 후기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학파와 경향이 등장했으며, 공리주의, 마르크스주의, 실존주의 등의 주요 사조가 20세기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일본에서는 서양 철학 유입과 함께 새로운 사상이 형성되었다.
  • 서양 철학 - 관념론
    관념론은 현실이 관념이나 정신에 근본적으로 기반한다는 철학적 입장으로, 형이상학적으로는 현실의 정신적 기반을, 인식론적으로는 지식의 정신적 구조 기반을 주장하며, 플라톤, 버클리, 칸트, 헤겔 등이 주요 관념론자로 유물론과 대비된다.
  • 근대철학 - 법의 정신
    몽테스키외가 1748년에 발표한 『법의 정신』은 정치적 자유와 권력 분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상호 견제와 균형, 공정한 재판 및 정치 체제 비교 분석을 통해 정치사회학의 기초를 세우고 여러 국가 헌법에 영향을 미친 저서이다.
  • 근대철학 - 미국의 민주주의
    알렉시 드 토크빌의 『미국의 민주주의』는 1830년대 미국 사회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담은 정치사상 및 사회학의 고전으로, 미국 민주주의의 성공 요인과 잠재적 위험을 탐구하고 미국 사회 전반에 미치는 민주주의의 영향을 다룬다.
근대철학
현대 철학
시기19세기 후반 ~ 현재
주요 특징과학, 정치, 사회 변화에 대한 철학적 탐구
주요 분야실존주의
현상학
해석학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비판 이론
페미니즘 철학
언어 철학
심리철학
윤리학
정치철학
주요 인물프리드리히 니체
고틀로프 프레게
에드문트 후설
마르틴 하이데거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카를 마르크스
존 롤스
미셸 푸코
자크 데리다
위르겐 하버마스
근세 철학과의 관계
연속성과 단절이성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 및 새로운 철학적 방법론 모색
영향근세 철학의 문제의식 계승 및 발전
현대 사회에의 영향
다양한 분야에 대한 영향예술
문학
사회과학
정치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권력, 정의, 자유 등의 개념에 대한 재해석

2. 르네상스 철학

르네상스 인문주의는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연설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의 가치를 강조하고 교리와 스콜라 철학에 반대했다.[3] 이러한 인간 활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은 니콜로 마키아벨리군주론과 함께 정치학의 발전을 이끌었다.[3] 인문주의자들은 중세 학자들과 달리 자연 세계를 목적과 목표의 관점에서 보기보다는 수학적으로 질서 있고 다원적인 것으로 보았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그의 노트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명제를 제시했다.[4]


  • 우리의 모든 지식은 우리의 인식에서 비롯된다.
  • 수학적 과학이나 수학적 과학에 기반한 과학을 적용할 수 없는 곳에는 확실성이 없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실험을 바탕으로 과학적 방법을 세웠을 뿐만 아니라 수학적 물리학을 통해 물리학 문제에 적용하기 위한 수학적 방법론을 개발했다. 이러한 두 가지 지식 개념은 각각 경험론과 합리주의의 원칙의 배경을 형성했다.[4]

2. 1. 주요 철학자

3. 합리론

인식론에서 합리론은 이성과 선천적 관념의 역할을 강조한다. 합리론자들은 대부분 프랑스와 독일에서 활동했으며, 모든 지식이 선천적 관념에서 시작한다고 주장하였다.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철학적 방법론을 제시했다.[2] 데카르트는 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신이 인간을 체계적으로 기만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들어 오류가 있지만 틀리지 않은 과학과 추론의 일반적인 방법을 옹호했다.

데카르트(1596년-1650년)


니콜라 드 말브랑슈 (1638년-1715년)


한국의 철학 전통에서도 합리론적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선 성리학이기론은 이(理)와 기(氣)의 개념을 통해 세계를 설명하는데, 이는 이성을 통해 세계의 근본 원리를 파악하려는 합리론적 사고방식과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마누엘 칸트는 합리론이 관념의 발생이 경험과 함께 있다는 것을 간과한다고 비판했다.

3. 1. 주요 철학자

4. 경험론

근대 철학은 르네상스 시대에 발달한 수학, 기하학, 자연 철학을 기반으로 한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수학적으로 기술되는 자연이라는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했다. 르네상스를 통해 세계의 중심이 신에서 인간으로 옮겨지면서, '인간의 이성'으로 기계적인 자연을 인식하고 영원불변한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는 세계관이 생겨났다. 이러한 배경에서 경험론합리론과 함께 근대 철학의 중요한 흐름으로 등장했다.

경험론은 지식이 감각적 경험에서 시작된다고 주장한다. 존 로크, 조지 버클리, 데이비드 흄은 대표적인 경험론 철학자들이다.[2] 17세기와 18세기의 인식론, 형이상학의 주요 인물들은 "합리론자"와 "경험론자" 두 그룹으로 나뉜다.[2]

이마누엘 칸트는 관념의 발생이 경험과 함께 있다는 점을 들어 합리주의를 비판하고, 모든 관념이 경험에서 기인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며 경험주의를 비판하여 두 입장을 통합하려 했다.

영국 경험론은 유아론과 회의론 사이에서 경험적 실재론을 추구했지만, 조지 버클리는 로크에게서 데카르트주의적 관념론을 발견하고 신을 끌어들였다. 데이비드 흄은 버클리의 관념론을 계승하여 자아를 "감각의 다발"로 보고 그 실재성을 부정했다.

4. 1. 주요 철학자


  • 존 로크: 영국 경험론의 아버지로, 인식의 기원은 감각(sensation) 또는 반성(reflection)을 통한 경험이라고 주장했다. 관념의 결합, 일치, 불일치, 배반의 지각이 지식이며, 모든 관념과 지식은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고 보았다. 정신, 물체, 신을 실체로 보았지만, 실체 개념을 복합 관념의 일종으로 보고, 단순 관념 속성의 기반이 되는 설명 불가능한 어떤 것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 조지 버클리: 로크의 경험론을 계승하면서도, 물체의 제1성질과 제2성질 구별을 부정하고, 실체란 동시적인 관념의 묶음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물체가 실체임을 부정하고, 지각하는 정신과 신만을 실체로 인정했다. "존재란 지각되는 것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 데이비드 흄: 버클리의 관념론을 계승하여, 자아조차도 "감각의 다발"이라 하여 그 실재성을 부정했다. 그는 모든 관념을 이성으로 기초 지으려는 시도를 부정하고, 관념은 인상(impression)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흄은 인과 관계의 특징은 필연성에 있지만, 인과 관계는 "습관"(habit)에 의해 마음속에 생긴 개연성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5. 칸트의 비판 철학

right-1804년)]]

18세기 후반 이마누엘 칸트합리론경험론을 통합하려는 혁신적인 철학 체계를 제시하였다. 칸트는 이 작업으로 19세기 초 독일에서 독일 관념론을 시작으로 하는 철학적 작업의 폭풍을 일으켰다.

칸트는 관념의 발생이 경험과 함께한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보아 합리주의를 비판하고, 반대로 모든 관념이 경험에서 유래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아 경험주의를 비판하며 두 파벌의 대립을 통합했다.

5. 1. 주요 개념

이마누엘 칸트는 합리주의와 경험주의를 비판하며 두 입장을 통합하려 했다. 칸트는 관념이 경험과 함께 발생하지만, 모든 관념이 경험에서 유래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다.

칸트는 데카르트와 로크가 사용한 '관념' 개념을 비판하고, 표상(Vorstellung)을 자신의 인식론 체계의 중심으로 삼았다. 칸트에 따르면, 표상은 의식을 동반하며, 감각(주관적 지각)과 인식(객관적 지각)으로 나뉜다. 인간의 인식 능력에는 감성오성이라는 두 가지 선험적 형식이 있으며, 각각 감각과 인식에 대응한다. 감성은 직관을 통해 수동적으로 주어지는 반면, 인식은 오성의 작용으로 자발적으로 사고한다. 의식은 감성과 오성의 종합으로 "어떤 대상"을 표상하며, 이것이 현상을 구성한다. 칸트는 이러한 사고방식을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라고 불렀다.

칸트는 시간, 공간, 인과 관계 등 제한된 소수의 개념은 인간의 사고에 선험적으로 주어져 있으며, 이러한 개념을 사용하여 경험을 통해 주어진 인식 내용을 처리하고 지식을 획득한다고 보았다. 이는 뉴턴 역학의 기초를 옹호하기 위한 주장이기도 했다.[1]

6. 독일 관념론

이마누엘 칸트합리론경험론을 통합하려는 철학 체계를 제시하며, 19세기 초 독일 관념론의 발흥을 이끌었다.[2] 독일 관념론은 세상과 마음이 동일한 범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특징을 가지며, 헤겔은 "현실적인 것은 합리적이고, 합리적인 것은 현실적이다"라는 명제로 이를 집약했다.[22]

헤겔의 철학은 카를 마르크스쇠렌 키르케고르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마르크스는 헤겔의 역사 철학을 유물론적으로 변형하여 사회 과학의 토대를 마련했고, 키르케고르는 체계 철학을 비판하며 실존주의 철학의 길을 열었다. 아르투르 쇼펜하우어는 무신론과 비관주의를 옹호하였고, 그의 사상은 니체에게 영향을 주어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이어졌다.

19세기 영국에서는 영국 관념론이 주류였으나, 버트런드 러셀과 조지 에드워드 무어 등은 고틀로프 프레게논리를 수용하여 분석 철학을 발전시켰다.[2]

6. 1. 주요 철학자

7. 19세기 철학

칸트합리론경험론을 통합하려는 철학 체계를 제시했지만, 철학적 논쟁을 완전히 종식시키지는 못했다. 칸트의 철학은 19세기 초 독일 관념론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헤겔은 "현실적인 것은 합리적이고, 합리적인 것은 현실적이다"라는 명제를 통해 관념론을 대표하는 철학자로 자리매김했다.[2]

헤겔의 철학은 이후 마르크스키르케고르 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크스는 헤겔의 역사 철학과 영국의 경험적 윤리를 유물론적으로 변형시켜 사회 과학 발달의 토대를 마련했다. 반면, 키르케고르는 모든 체계 철학을 거부하고, 삶의 의미는 해결해야 할 수수께끼가 아니라 살아가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쇼펜하우어는 관념론을 바탕으로 무신론과 비관주의를 옹호했으며, 그의 사상은 니체에게 영향을 주어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이어졌다. 니체는 모든 체계 철학과 고정된 진리를 부정하고, 새로운 자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2]

19세기 영국 철학은 영국 관념론의 영향을 받았지만, 러셀과 무어 등은 프레게의 논리학을 수용하여 전통적인 경험론을 갱신한 분석 철학으로 나아갔다.[2]

7. 1.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가 19세기 중반에 발전시킨 사회, 정치, 경제 이론이다. 마르크스주의의 핵심은 역사 유물론과 변증법적 유물론이다.
역사 유물론은 사회 발전의 원동력을 물질적 생산력, 즉 경제적 기반에서 찾는 이론이다. 마르크스는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모순이 사회 변화를 일으키고, 계급 투쟁을 통해 새로운 사회로 이행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봉건 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의 이행은 생산력 발전과 부르주아 계급의 등장으로 설명된다.
변증법적 유물론헤겔변증법을 유물론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마르크스는 물질 세계가 모순과 대립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한다고 보았다. 이는 자연 현상뿐만 아니라 사회 현상에도 적용된다.

마르크스주의는 한국의 사회주의 운동과 노동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제강점기에는 항일 독립운동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노동 운동과 사회 변혁 운동의 중요한 사상적 자원이었다. 그러나 분단과 냉전으로 인해 마르크스주의는 오랫동안 금기시되거나 왜곡되어 이해되기도 했다.

7. 2. 실존주의

'''실존주의'''는 철학적 사유의 출발점을 개별적인 존재와 개인의 경험으로 보는 철학적, 문화적 운동이다. 실존주의자들은 도덕적 사고과학적 사고만으로는 인간의 존재를 이해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따라서 ''진정성''이라는 규범에 따라 관리되는 추가적인 범주가 인간의 존재를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주장한다.[9][10][11]

쇠렌 키르케고르는 모든 체계 철학을 삶과 의미에 대한 부적절한 안내로 일축했다. 그는 삶은 해결해야 할 수수께끼가 아니라 살아가야 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프리드리히 니체아르투어 쇼펜하우어의 사상을 받아들여 "신은 죽었다"라고 선언하고, 모든 체계 철학과 개별자를 초월하는 고정된 진리를 거부하며, 여기서 비관주의가 아닌 새로운 종류의 자유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7. 2. 1. 주요 철학자

7. 3. 실용주의

'''실용주의'''는 실천과 이론을 연결하는 데 중점을 둔 철학적 전통이다. 실용주의는 이론이 실천에서 추출되어 다시 실천에 적용됨으로써 "지적인 실천"을 형성한다고 본다. 도구주의, 급진적 경험론, 검증주의, 개념적 상대성, 오류주의 등은 실용주의의 중요한 특징들이다. 실용주의자들은 철학이 현대 과학의 방법과 통찰을 고려해야 한다는 데 일반적으로 동의한다.[14]

찰스 샌더스 퍼스윌리엄 제임스, 존 듀이와 함께 실용주의에 큰 공헌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4]

7. 3. 1. 주요 철학자

8. 20세기 철학

19세기 영국 철학은 신헤겔주의 사상의 조류에 영향을 받았으나, 이에 대한 반발로 버트런드 러셀, G. E. 무어와 같은 인물들이 독일의 수학자 고틀로프 프레게가 개발한 논리의 새로운 발전을 수용하여 전통적인 경험주의를 갱신한 분석철학의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20세기 초, 에드문트 후설현상학을 창시했다. 현상학은 독일의 괴팅겐 대학교뮌헨 대학교에서 후설의 추종자들에 의해 확장되어 철학 운동으로 발전했으며, 이후 프랑스, 미국 등지로 퍼져나가 후설의 초기 작업과는 거리가 먼 맥락에서 발전하기도 했다.[12]

8. 1. 분석 철학

분석 철학은 20세기 영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발전한 철학적 전통이다. 명료성과 논증을 강조하며, 현대 형식 논리와 언어 분석을 통해 철학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자연 과학에 대한 존중을 중시한다.[15][16][17][18][19][20]

19세기 영국 철학은 독일 관념론의 영향을 받은 영국 관념론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이에 대한 반발로 버트런드 러셀과 조지 에드워드 무어 등은 독일 수학자 고틀로프 프레게의 새로운 논리를 받아들여 전통적인 경험주의를 발전시킨 분석 철학을 제시하였다.

미국, 영국, 캐나다, 스칸디나비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여러 국가에서 분석 철학은 철학과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24][25][26]

8. 1. 1. 주요 철학자

8. 2. 현상학

현상학은 경험의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20세기 초 에드문트 후설에 의해 창시되었다. 독일괴팅겐 대학교뮌헨 대학교에서 후설의 추종자들에 의해 확장된 광범위한 철학 운동으로,[12] 이후 프랑스, 미국 등지로 퍼져나가 후설의 초기 작업과는 거리가 먼 맥락에서 발전하기도 했다.[12]

8. 2. 1. 주요 철학자

9. 정치 철학

17세기와 18세기 정치 철학토머스 홉스, 장자크 루소 등 여러 철학자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2] 이들은 윤리학과 더불어 정치 철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19세기 영국 철학은 신헤겔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나, 버트런드 러셀, G. E. 무어 등은 고틀로프 프레게의 새로운 논리를 수용하여 경험론을 갱신한 분석철학을 발전시켰다.[2]

9. 1. 주요 철학자

10. 현대 아시아 철학

근대 시기 아시아에서는 다양한 철학적 운동이 일어났다.

철학 조류
신유학
마오이즘
불교 근대주의
교토 학파
신 베단타



이 철학 조류들은 각기 다른 배경과 특징을 가지며 발전하였다.

10. 1. 주요 철학 조류


  • 신유학
  • 마오이즘
  • 불교 근대주의
  • 교토 학파
  • 신 베단타

참조

[1] 서적 From Plato to Derrida Pearson Prentice Hall 2008
[2] 간행물 The Future for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 웹사이트 Niccolo Machiavelli {{!}} Biography, Books, Philosophy, & Facts https://www.britanni[...] 2019-05-30
[4] 웹사이트 Western philosophy - Renaissance philosophy https://www.britanni[...]
[5] 서적 From Plato to Derrida Pearson Prentice Hall
[6] 서적 Political philosophy https://books.google[...]
[7] 서적 Sociology 14th Edition https://archive.org/[...] Pearson
[8] 뉴스 Idealis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9] 간행물 The Continuum Companion to Continental Philosophy 2009
[10] 간행물 Kierkegaard and Existentialism 2010
[11] encyclopedia Existentialism http://plato.stanfor[...] 2010-10
[12] 간행물 Husserl's Phenomenology Stan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Pragmatism, old & new: selected writings https://books.google[...] Prometheus Books 2006-04-11
[14] 간행물 Pragmatism and educational research Rowman and Littlefield 2003
[15] 인용
[16] 인용
[17] 인용
[18] 웹페이지 “Analytic” and “Continental” Philosophy https://web.archive.[...] 2006
[19] 간행물 "Was Wittgenstein an Analytic Philosopher?" 2004
[20] 인용 The Making of a Philosopher: My Journey through Twentieth-Century Philosophy HarperCollins 2002
[21] 서적 From Plato to Derrida Pearson Prentice Hall 2008
[22] 서적 Sociology 14th Edition Pearson
[23] 뉴스 Idealism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4] 인용 The Making of a Philosopher: My Journey through Twentieth-Century Philosophy HarperCollins 2002
[25] 웹페이지 “Analytic” and “Continental” Philosophy http://www.philosoph[...] 2006
[26] 간행물 "Was Wittgenstein an Analytic Philosoph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