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칠리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칠리아어는 시칠리아 섬과 전 세계 이민자 공동체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이며, 칼라브로-시칠리아어, 시칠리아누, 시쿨루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아랍어 등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으며, 특유의 음운 현상과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시칠리아어는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19세기부터 표준화 노력이 이루어졌지만, 현재는 이탈리아어의 영향으로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시칠리아 자치주는 시칠리아어 교육을 장려하고 있으나,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지는 못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망스어군 - 라딘어
라딘어는 이탈리아 북부 라디니아 지역에서 쓰이는 레토로망스어군 언어로,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지만, 소수 언어로서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 로망스어군 - 프리울리어
프리울리어는 이탈리아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로, 로마 시대 이전 언어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현재는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및 발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분류에 대한 학계 논쟁과 표준화 과정에서의 방언 보존 문제가 있다. - 이탈리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이탈리아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시칠리아어 | |
---|---|
지도 정보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시칠리아어 |
로마자 표기 | sɪ(t)ʃɪˈljaːnu |
사용 국가 | 이탈리아 |
사용 지역 | 시칠리아, 칼라브리아 주, 캄파니아 주, 풀리아 주 |
사용자 | 470만 명 (2002년)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라틴어파 라틴어 로망스어군 이탈리아서부어군 이탈리아달마티아어군 이탈리아로망스어군 극남이탈리아어군 |
방언 | 판테스코 방언 서부 시칠리아 방언 동부 시칠리아 방언 중앙 모음전이 방언 남동 모음전이 방언 엔나 방언 동부 비모음전이 방언 메시나 방언 에올리아노 방언 레지오 방언 |
문자 | 라틴 문자 |
소수 언어 | 시칠리아 (제한적 인정) |
ISO 639-2 | scn |
ISO 639-3 | scn |
글롯로그 | sici1248 |
링구아 | 51-AAA-re & -rf (본토 51-AAA-rc & -rd) |
언어 지도 | |
![]() | |
![]() | |
기타 정보 | |
유네스코 위험 언어 | 위험 |
시칠리아어 홍보 및 발전 계획 | 시칠리아 지역의 모든 학교에서 시칠리아 언어의 홍보 및 발전을 위한 계획 진행 중 |
2. 언어 명칭
시칠리아어의 다른 이름으로는 칼라브로-시칠리아어(Calabro-Sicilian), 시칠리아누(Sicilianu), 시쿨루(Siculu)가 있다.[1] 칼라브로-시칠리아어는 시칠리아어의 한 형태가 칼라브리아 남부, 특히 레지오 칼라브리아주에서 사용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1] 시쿨루(sìculuscn)라는 용어는 기원전 8세기 그리스인들이 도착하기 전 시칠리아에 살았던 더 큰 선사 시대 집단 중 하나(이탈리아계 이탈리아인 시켈리 또는 Siculila)를 원래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사람의 기원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접두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쿨로-아메리카인(sìculu-miricanuscn) 또는 시쿨로-오스트레일리아인 등이 있다.
먼저 시칠리아어에 주목해 보자. 시칠리아 방언은 다른 어떤 방언보다도 더 높은 지위를 차지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이탈리아인들이 쓴 모든 시가 "시칠리아어"로 불리기 때문이다.[34][35]
3. 역사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d4e6fed_1633fa13.png|thumb|살바토레 지아리조의 「시칠리아어 어원 사전」(Dizionario etimologico siciliano)에 나오는 5,000개의 어휘에 대한 어원 분석:[36]
]]
=== 초기 영향 ===
시칠리아는 지중해 최대의 섬으로 페니키아인, 고대 그리스인, 카르타고인, 로마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쳐가면서 시칠리아어는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시칠리아어에 영향을 준 언어는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스페인어, 노르만어, 롬바르드어, 히브리어, 카탈루냐어, 오크어, 아랍어, 게르만어족 언어, 그리고 시켈족, 시카니아인, 엘림인 등의 원주민 언어이다. 시칠리아어의 초기 영향은 선사 시대 지중해 요소와 인도유럽어족 요소가 혼합된 형태이다.
로마 정복 이전 시칠리아에는 시카니아인, 시켈족, 엘림인 등의 원주민 집단이 거주했다. 이후 페니키아인과 그리스인이 유입되었으며, 그리스어의 영향은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다. 시칠리아어에는 고대 지중해 기원의 인도유럽 이전 단어가 남아있지만, 세 선사 시대 집단 중 시켈족만이 인도유럽어족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쌍둥이"를 의미하는 시칠리아어 단어는 현대 이탈리아어, 중세 고대 프랑스어나 카탈루냐어, 리구리아어, 고대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층에서 유래했다.
언어층 | 단어 | 출처 |
---|---|---|
현대 | giameddi | 이탈리아어 gemelliit |
중세 | bizzuni, vuzzuni | 고대 프랑스어 또는 카탈루냐어 bessonsnrf |
binelli | 리구리아어 benelilij | |
고대 | èmmuli | 라틴어 gemellila |
cucchi | 라틴어 copulala | |
minzuddi | 라틴어 mediila | |
ièmiddi, ièddimi | 고대 그리스어 δίδυμοιgrc |
이는 시칠리아어의 어원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선사 시대 지중해에서 유래한 단어들은 주로 지중해 지역의 식물이나 자연 지형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alastrascn`는 "가시덤불", `calancuniscn`는 "빠르게 흐르는 강에 의해 생긴 물결", `timpascn`는 "절벽"을 의미한다. 또한, 시칠리아어에는 고대 인도유럽어족 기원의 단어들도 있는데, `duddascn`는 "뽕나무", `scrozzuscn`는 "발달이 잘 안 된"을 의미한다.
그리스어 기원의 단어로는 `babbiariscn` ("장난치다"), `bucaliscn` ("물병"), `carususcn` ("소년") 등이 있다. 476년부터 535년까지 시칠리아는 오스트로고트족이 지배했지만, 시칠리아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예외적으로 `abbanniariscn` ("물건을 외치며 팔다")는 고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호엔슈타우펜 가문, 특히 프리드리히 2세 시대에는 많은 게르만어의 영향이 있었다. `arbitriariscn` ("밭에서 일하다"), `vardariscn` ("감시하다"), `guddefiscn` ("숲, 나무") 등이 그 예이다. 535년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시칠리아를 비잔티움 제국의 속주로 만들었고, 그리스어는 다시 공식적인 지위를 얻었다. 이 시기 시칠리아는 이중언어 사용 지역으로, 라틴어는 주로 서시칠리아 상류층에서, 그리스어는 동시칠리아에서 사용되었다.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 중반까지 시칠리아는 사라센에게 점진적으로 정복]]당했고, 시칠리아 에미르국은 시칠리아 아랍어를 발전시켰다. 아랍 농업혁명으로 인해 농업 관련 시칠리아어 단어에 아랍어의 영향이 많이 남아있다. `azzizzariscn` ("장식하다"), `babbaluciuscn` ("달팽이"), `카사타scn` (시칠리아 리코타 케이크), `gèbbiascn` (관개용 물을 저장하는 인공 연못), `giuggiulenascn` ("참깨"), `saiascn` ("수로"), `zaffaranascn` ("사프란"), `zibbibbuscn` ("알렉산드리아 머스캣"), `zuccuscn` ("시장") 등이 그 예이다.
이슬람 시대 동안에도 상당한 그리스어 사용 인구가 남아 그리스어 변종을 계속 사용했다.
=== 중세 시대 ===
1000년경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는 여러 주권 국가와 공국으로 나뉘어 있었고, 다양한 언어와 종교가 공존했다.[43] 시칠리아는 엘리트 계층은 사라센인이 지배했지만, 주민들은 그리스어, 라틴어, 시칠리아 아랍어 등을 사용하는 무슬림과 기독교인이 섞여 있었다. 이탈리아 반도 남쪽은 비잔티움 제국의 일부였으나, 많은 지역이 콘스탄티노플로부터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다. 살레르노 공국은 롬바르드족의 지배를 받았고, 이들은 비잔티움 영토를 침범하여 독립적인 도시 국가를 세우기도 했다.[53] 이러한 상황에서 11세기 전반, 노르만인들이 진출했다.
로저 드 오트빌과 그의 형제 로베르 기스카르는 1061년 시칠리아 정복을 시작했을 때 이미 아풀리아와 칼라브리아를 지배하고 있었다. 로저는 시칠리아 정복에 30년이 걸렸고(로베르는 1085년 사망),[53] 이후 시칠리아에 라틴어가 다시 도입되기 시작했고, 노르만어 단어가 유입되었다.[54] 13세기 앙주 가문 샤를 1세 통치 기간에는 파리 프랑스어 차용어가 추가로 유입되었다.
시칠리아어에 영향을 준 언어는 다음과 같다:
- 노르만 프랑스어: accattariscn (사다),[39] ammucciariscn (숨기다), bucceriscn/vucceriscn (정육점),[43] custureriscn (재봉사),[43] firrantiscn (회색의),[39] foddiscn (미친),[43] giugnettuscn (7월),[43] ladiuscn/laiuscn (못생긴),[43] largasìascn (관대함),[39] puseriscn (엄지손가락),[39] racinascn (포도),[43] raggiascn (분노),[43] trippariscn (깡총깡총 뛰다)[39]
- 갈로-이탈리아어: sòggiruscn (장인), cugnatuscn (처남/매부),[56] figghiozzuscn (대자),[57] orbuscn/orvuscn (눈먼), arricintariscn (헹구다), unniscn (어디) 및 요일 이름(luni, marti, mèrcuri, jovi, vènniri).
- 오크어: addumariscn (불을 켜다),[39] aggrifariscn (납치하다),[39] bannascn (측면, 장소),[39] burgisiscn (지주, 시민), lascuscn (드문, 얇은),[39] pariggiuscn (같은)[39] 등. 오크어의 영향은 산 프라텔로 주둔군, 마르가레타 드 나바라의 섭정, 시칠리아 시인학교와 트루바두르 전통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58]
프리드리히 2세 통치 기간(1198년~1250년) 동안 시칠리아어는 시칠리아 학파의 후원으로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다.[62] 단테와 페트라르카도 시칠리아어의 영향을 인정했다. 1266년 앙주 군대가 시칠리아인을 물리치면서 문학적 영향력은 토스카나로 이동했다.[62]
1282년 시칠리아 몰락 이후 아라곤 왕관의 영향으로 카탈루냐어와 아라곤어 어휘가 추가되었다.[63] 14세기 동안 카탈루냐어와 시칠리아어는 왕실 공용어였고, 시칠리아 의회 회의록 등에도 사용되었다. 카탈루냐어 유래 단어로는 addunàrisiscn (알아차리다),[39] affruntàrisiscn (당황하다),[39] arruciariscn (적시다),[39] criscimoniascn (성장),[39] muccaturiscn (손수건),[39] priàrisiscn (기뻐하다),[39] taliariscn (바라보다) 등이 있다.
=== 근대 이후 ===
1282년 시칠리아 몰락 이후, 시칠리아는 아라곤 왕관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었고, 이후 한 세기 동안 카탈루냐어(그리고 밀접하게 관련된 아라곤어)가 새로운 어휘층을 추가하였다. 14세기 전체에 걸쳐 카탈루냐어와 시칠리아어 모두 왕실의 공용어였다. 시칠리아어는 또한 시칠리아 의회(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의회 중 하나)의 회의록과 기타 공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63] 어떤 단어가 오크어가 아닌 카탈루냐어에서 직접 유래했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addunàrisi''(알아차리다), ''affruntàrisi''(당황하다), ''arruciari''(적시다), ''criscimonia''(성장), ''muccaturi''(손수건), ''priàrisi''(기뻐하다), ''taliari''(바라보다) 등이 그 예시이다.[39]
15세기 후반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의 통합 이후, 의회 및 궁정 기록에서 시칠리아어의 이탈리아어화가 시작되었다. 1543년까지 이 과정은 사실상 완료되었고, 토스카나 방언이 이탈리아 반도의 공용어가 되어 시칠리아어를 문어로서 대체하였다.[63]
스페인 통치는 아라곤 왕국과 달리 시칠리아 왕위에 총독을 임명하여 시칠리아 왕국의 위상을 하락시켰고, 이는 시칠리아어가 공식적인 문어에서 구어로 전락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스페인령에서 모든 유대인의 추방(약 1492년)은 시칠리아 인구에 변화를 가져왔고, 시칠리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던 유대인 교육자들의 부재는 시칠리아어 교육 시스템의 가능성을 사라지게 했다.[63] 스페인 통치는 3세기 이상 지속되며 시칠리아어 어휘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는데, ''arricugghìrisi''(집으로 돌아가다), ''balanza''/''valanza''(저울), ''fileccia''(화살), ''làstima''(한탄), ''pinzeddu''(붓), ''ricivu''(영수증), ''spagnari''(겁먹다), ''sulità''/''sulitati''(고독) 등이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이다.[39]
이탈리아 통일(1860~1861년 리소르지멘토) 이후, 시칠리아어는 (토스카나) 이탈리아어의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파시즘 시대에는 모든 학교에서 이탈리아어를 가르치고 사용하는 것이 의무화되었고,[6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교육 수준 향상과 대중 매체의 영향으로 가정에서조차 시칠리아어가 선택 언어가 아닌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69] 시칠리아 주의회는 시칠리아어 교육을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을 의결했지만, 2007년 기준으로 시칠리아어를 가르치는 학교는 극소수에 불과하다.[69] 시칠리아어로 제공되는 대중 매체도 거의 없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되어 시칠리아어는 이탈리아어 어휘와 문법 형태를 계속해서 채택하고 있으며, 많은 시칠리아인들조차도 올바른 시칠리아어 사용법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이다.[70]
3. 1. 초기 영향
시칠리아는 지중해 최대의 섬으로 페니키아인, 고대 그리스인, 카르타고인, 로마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쳐가면서 시칠리아어는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시칠리아어에 영향을 준 언어는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스페인어, 노르만어, 롬바르드어, 히브리어, 카탈루냐어, 오크어, 아랍어, 게르만어족 언어, 그리고 시켈족, 시카니아인, 엘림인 등의 원주민 언어이다. 시칠리아어의 초기 영향은 선사 시대 지중해 요소와 인도유럽어 요소가 혼합된 형태이다.로마 정복 이전 시칠리아에는 시카니아인, 시켈족, 엘림인 등의 원주민 집단이 거주했다. 이후 페니키아인과 그리스인이 유입되었으며, 그리스어의 영향은 여전히 강하게 남아있다. 시칠리아어에는 고대 지중해 기원의 인도유럽 이전 단어가 남아있지만, 세 선사 시대 집단 중 시켈족만이 인도유럽어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쌍둥이"를 의미하는 시칠리아어 단어는 현대 이탈리아어, 중세 고대 프랑스어나 카탈루냐어, 리구리아어, 고대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층에서 유래했다.
언어층 | 단어 | 출처 |
---|---|---|
현대 | giameddi | 이탈리아어 gemelliit |
중세 | bizzuni, vuzzuni | 고대 프랑스어 또는 카탈루냐어 bessonsnrf |
binelli | 리구리아어 benelilij | |
고대 | èmmuli | 라틴어 gemellila |
cucchi | 라틴어 copulala | |
minzuddi | 라틴어 mediila | |
ièmiddi, ièddimi | 고대 그리스어 δίδυμοιgrc |
이는 시칠리아어의 어원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선사 시대 지중해에서 유래한 단어들은 주로 지중해 지역의 식물이나 자연 지형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alastrascn`는 "가시덤불", `calancuniscn`는 "빠르게 흐르는 강에 의해 생긴 물결", `timpascn`는 "절벽"을 의미한다. 또한, 시칠리아어에는 고대 인도유럽어 기원의 단어들도 있는데, `duddascn`는 "뽕나무", `scrozzuscn`는 "발달이 잘 안 된"을 의미한다.
그리스어 기원의 단어로는 `babbiariscn` ("장난치다"), `bucaliscn` ("물병"), `carususcn` ("소년") 등이 있다. 476년부터 535년까지 시칠리아는 오스트로고트족이 지배했지만, 시칠리아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예외적으로 `abbanniariscn` ("물건을 외치며 팔다")는 고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
호엔슈타우펜 가문, 특히 프리드리히 2세 시대에는 많은 게르만어의 영향이 있었다. `arbitriariscn` ("밭에서 일하다"), `vardariscn` ("감시하다"), `guddefiscn` ("숲, 나무") 등이 그 예이다. 535년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시칠리아를 비잔티움의 속주로 만들었고, 그리스어는 다시 공식적인 지위를 얻었다. 이 시기 시칠리아는 이중언어 사용 지역으로, 라틴어는 주로 서시칠리아 상류층에서, 그리스어는 동시칠리아에서 사용되었다.
9세기 중반부터 10세기 중반까지 시칠리아는 사라센에게 점진적으로 정복]]당했고, 시칠리아 에미르국은 시칠리아 아랍어를 발전시켰다. 아랍 농업혁명으로 인해 농업 관련 시칠리아어 단어에 아랍어의 영향이 많이 남아있다. `azzizzariscn` ("장식하다"), `babbaluciuscn` ("달팽이"), `카사타scn` (시칠리아 리코타 케이크), `gèbbiascn` (관개용 물을 저장하는 인공 연못), `giuggiulenascn` ("참깨"), `saiascn` ("수로"), `zaffaranascn` ("사프란"), `zibbibbuscn` ("알렉산드리아 머스캣"), `zuccuscn` ("시장") 등이 그 예이다.
이슬람 시대 동안에도 상당한 그리스어 사용 인구가 남아 그리스어 변종을 계속 사용했다.
3. 2. 중세 시대
1000년경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는 여러 주권 국가와 공국으로 나뉘어 있었고, 다양한 언어와 종교가 공존했다.[43] 시칠리아는 엘리트 계층은 사라센인이 지배했지만, 주민들은 그리스어, 라틴어, 시칠리아-아랍어 등을 사용하는 무슬림과 기독교인이 섞여 있었다. 이탈리아 반도 남쪽은 비잔티움 제국의 일부였으나, 많은 지역이 콘스탄티노플로부터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다. 살레르노 공국은 롬바르드족의 지배를 받았고, 이들은 비잔티움 영토를 침범하여 독립적인 도시 국가를 세우기도 했다.[53] 이러한 상황에서 11세기 전반, 노르만인들이 진출했다.로저 드 오트빌과 그의 형제 로베르 기스카르는 1061년 시칠리아 정복을 시작했을 때 이미 아풀리아와 칼라브리아를 지배하고 있었다. 로저는 시칠리아 정복에 30년이 걸렸고(로베르는 1085년 사망),[53] 이후 시칠리아에 라틴어가 다시 도입되기 시작했고, 노르만어 단어가 유입되었다.[54] 13세기 앙주 가문 샤를 1세 통치 기간에는 파리 프랑스어 차용어가 추가로 유입되었다.
시칠리아어에 영향을 준 언어는 다음과 같다:
- 노르만 프랑스어: accattariscn (사다),[39] ammucciariscn (숨기다), bucceriscn/vucceriscn (정육점),[43] custureriscn (재봉사),[43] firrantiscn (회색의),[39] foddiscn (미친),[43] giugnettuscn (7월),[43] ladiuscn/laiuscn (못생긴),[43] largasìascn (관대함),[39] puseriscn (엄지손가락),[39] racinascn (포도),[43] raggiascn (분노),[43] trippariscn (깡총깡총 뛰다)[39]
- 갈로-이탈리아어: sòggiruscn (장인), cugnatuscn (처남/매부),[56] figghiozzuscn (대자),[57] orbuscn/orvuscn (눈먼), arricintariscn (헹구다), unniscn (어디) 및 요일 이름(luni, marti, mèrcuri, jovi, vènniri).
- 오크어: addumariscn (불을 켜다),[39] aggrifariscn (납치하다),[39] bannascn (측면, 장소),[39] burgisiscn (지주, 시민), lascuscn (드문, 얇은),[39] pariggiuscn (같은)[39] 등. 오크어의 영향은 산 프라텔로 주둔군, 마르가레타 드 나바라의 섭정, 시칠리아 시인학교와 트루바두르 전통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58]
프리드리히 2세 통치 기간(1198년~1250년) 동안 시칠리아어는 시칠리아 학파의 후원으로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다.[62] 단테와 페트라르카도 시칠리아어의 영향을 인정했다. 1266년 앙주 군대가 시칠리아인을 물리치면서 문학적 영향력은 토스카나로 이동했다.[62]
1282년 시칠리아 몰락 이후 아라곤 왕관의 영향으로 카탈루냐어와 아라곤어 어휘가 추가되었다.[63] 14세기 동안 카탈루냐어와 시칠리아어는 왕실 공용어였고, 시칠리아 의회 회의록 등에도 사용되었다. 카탈루냐어 유래 단어로는 addunàrisiscn (알아차리다),[39] affruntàrisiscn (당황하다),[39] arruciariscn (적시다),[39] criscimoniascn (성장),[39] muccaturiscn (손수건),[39] priàrisiscn (기뻐하다),[39] taliariscn (바라보다) 등이 있다.
3. 3. 근대 이후
1282년 시칠리아 몰락 이후, 시칠리아는 아라곤 왕관의 영향 아래 놓이게 되었고, 이후 한 세기 동안 카탈루냐어(그리고 밀접하게 관련된 아라곤어)가 새로운 어휘층을 추가하였다. 14세기 전체에 걸쳐 카탈루냐어와 시칠리아어 모두 왕실의 공용어였다. 시칠리아어는 또한 시칠리아 의회(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의회 중 하나)의 회의록과 기타 공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63] 어떤 단어가 오크어가 아닌 카탈루냐어에서 직접 유래했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addunàrisi''(알아차리다), ''affruntàrisi''(당황하다), ''arruciari''(적시다), ''criscimonia''(성장), ''muccaturi''(손수건), ''priàrisi''(기뻐하다), ''taliari''(바라보다) 등이 그 예시이다.[39]15세기 후반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의 통합 이후, 의회 및 궁정 기록에서 시칠리아어의 이탈리아어화가 시작되었다. 1543년까지 이 과정은 사실상 완료되었고, 토스카나 방언이 이탈리아 반도의 공용어가 되어 시칠리아어를 문어로서 대체하였다.[63]
스페인 통치는 아라곤 왕국과 달리 시칠리아 왕위에 총독을 임명하여 시칠리아 왕국의 위상을 하락시켰고, 이는 시칠리아어가 공식적인 문어에서 구어로 전락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스페인령에서 모든 유대인의 추방(약 1492년)은 시칠리아 인구에 변화를 가져왔고, 시칠리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던 유대인 교육자들의 부재는 시칠리아어 교육 시스템의 가능성을 사라지게 했다.[63] 스페인 통치는 3세기 이상 지속되며 시칠리아어 어휘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는데, ''arricugghìrisi''(집으로 돌아가다), ''balanza''/''valanza''(저울), ''fileccia''(화살), ''làstima''(한탄), ''pinzeddu''(붓), ''ricivu''(영수증), ''spagnari''(겁먹다), ''sulità''/''sulitati''(고독) 등이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이다.[39]
이탈리아 통일(1860~1861년 리소르지멘토) 이후, 시칠리아어는 (토스카나) 이탈리아어의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파시즘 시대에는 모든 학교에서 이탈리아어를 가르치고 사용하는 것이 의무화되었고,[6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교육 수준 향상과 대중 매체의 영향으로 가정에서조차 시칠리아어가 선택 언어가 아닌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69] 시칠리아 주의회는 시칠리아어 교육을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을 의결했지만, 2007년 기준으로 시칠리아어를 가르치는 학교는 극소수에 불과하다.[69] 시칠리아어로 제공되는 대중 매체도 거의 없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되어 시칠리아어는 이탈리아어 어휘와 문법 형태를 계속해서 채택하고 있으며, 많은 시칠리아인들조차도 올바른 시칠리아어 사용법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이다.[70]
4. 음운
시칠리아어는 다른 주요 로망스어와 구별되는 여러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권설음이 두드러진다.[72][75]
- '''ḌḌ'''/'''DD''' — 권설음 (보통 이중 또는 장음 [ɖː])는 일반적으로 라틴어 -''ll''-의 진화 결과이다.[73][74] 이 음소는 사르데냐어, 남 코르시카어, 칼라브리아 방언 등 일부 로망스어에 존재한다.[74]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은 음소는 극남 이탈리아 방언군의 나머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74] 일부 방언에서는 이전의 [lː] 연쇄가 유지되고 있으며,[73] 이 음소를 치경음 [dː]로 발음하는 것이 점점 흔해지고 있다.[75] 전통적으로 시칠리아어에서는 ''-đđ-''로 표기되었고, 보다 현대적인 용법에서는 ''-dd-''가 사용되어 왔다. 또한 ''-ddh-'' 또는 ''-ddr-''로 쓰이는 경우도 흔하다. 시칠리아 아카데미아의 철자 제안과 시칠리아어 사전의 기술적 철자법에서는 이중자음 ''-ḍḍ-''를 사용한다.[75][76]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 belloit에 해당하는 시칠리아어는 [ɖɽ]/beḍḍu}}이다.[72]
- '''DR'''과 '''TR''' — 시칠리아어에서 이중자음 ''-dr-''과 ''-tr-''의 발음은 [75] 또는 , 이다. 비음 자음 ''n''이 앞에 오면 권설음 비음 이 된다.
- '''GHI'''와 '''CHI''' — 두 이중자음 -''gh''-와 -''ch''-는 앞에 모음 ''i'' 또는 ''e'' 또는 반모음 ''j''가 올 때 경구개음 파열음 와 로 발음될 수 있다. 이탈리아어의 -''gl''- 대신에 이중 삼중자음 -ggh(i)scn-가 사용되며 로 발음된다. -ch(j)scn-가 이중으로 되면 -cch(j)scn-가 되며 로 발음될 수 있다.
- '''RR''' — 이중자음 ''-rr-''는 시칠리아어 방언에 따라 장음 진동음 (이후 길이 표시 없이 전사됨)[75] 또는 유성 권설음 유음 가 될 수 있다.[72] 이러한 혁신은 약간 다른 상황에서 폴란드어( ''-rz-''로 표기됨)와 일부 북부 노르웨이어 방언에서도 발견되는데, 이 방언에서는 화자가 와 사이에서 변화한다. 단어의 처음에 오는 단일 문자 ''r''은 마찬가지로 항상 이중으로 발음되지만, 이는 철자법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현상은 rhotacism이나 apheresis(아래 참조)로 인해 단일 ''r''로 시작하는 단어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이중 ''r''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철자법으로 표시해서는 안 된다.
- 유성 '''S'''와 '''Z''' — 와 음소는 또는 다른 유성음 뒤에 오면 와 로 유성화된다. 시칠리아어 이중자음 ''-sb-''와 ''-sv-''에서 는 유성화되고 구개음화되어 유성 후치경 마찰음 이 되며, 유성음 /, /와 함께 발음된다.
- '''STR'''과 '''SDR''' — 시칠리아어 삼중자음 ''-str-''과 ''-sdr-''는 또는 , 그리고 또는 이다.[75] ''t''는 전혀 발음되지 않으며 ''s''와 ''r'' 사이에 미세한 휘파람 소리가 난다. 유성 대응어는 일부 영어 사용자가 "wa'''s dr'''iving"이라는 구절을 발음하는 방식과 다소 유사하다.
- 라틴어 '''FL''' — 시칠리아어의 또 다른 독특한 음소는 ''-fl-''을 포함하는 라틴어 단어에서 파생된 단어에서 발견된다. 표준 문어 시칠리아어에서는 무성 경구개 마찰음 를 나타내는 ''-ci-'' (예: ciumiscn("강", 라틴어 에서 유래))로 표기되지만, ''-hi-'', -x(h)-scn, ''-çi-'', 또는 잘못된 ''-sci-''와 같은 형태로도 발견될 수 있다.[77]
- 자음의 연화 — 로마 지배 이후 섬에 도입된 속어 라틴어와 그 이후 시칠리아어의 발달 사이에 자음 음소의 추가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음소 변화에는 라틴어 ''-nd-''에서 시칠리아어 ''-nn-''로; 라틴어 ''-mb-''에서 시칠리아어 ''-mm-''로; 라틴어 ''-pl-''에서 시칠리아어 ''-chi-''로; 그리고 라틴어 ''-li-''에서 시칠리아어 ''-gghi-''로의 변화가 포함된다.
- Rhotacism과 apheresis — 이 변화는 단일 ''d''를 ''r''로 대체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칠리아어에서는 혀의 단일 접촉을 통해 상악치조에 대한 접촉으로 를 생성한다. 이 현상은 rhotacism(즉, 다른 자음을 ''r''로 대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부와 서부 시칠리아뿐만 아니라 남부 이탈리아, 특히 나폴리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내부적으로 발생하거나 초기 ''d''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반적인 ''r''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철자법으로 표시해서는 안 된다(위 참조). 예: pediscn("발")는 로 발음됨; Madonnascn("성모 마리아")는 로 발음됨; lu diriscn("그것을 말하다")는 로 발음됨. 마찬가지로, 특정 방언에서 apheresis가 발생하여 'ranniscn 와 같이 granniscn "큰"이 되는 경우가 있다.[75]
시칠리아어에서 대부분의 자음 음소는 겹자음화가 특징적이지만, 몇몇 자음은 모음 뒤에서만 겹자음화될 수 있다: , , , , 및 .
단어의 시작 부분에 있는 문자 는 앞에 오는 단어에 따라 두 가지 다른 소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jornuscn("날")에서는 로 발음된다. 그러나 비음 뒤에 오거나 구문적 겹자음화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 un jornuscn의 또는 tri jornascn("삼일")의 에서와 같이 로 발음된다.
colspan=2 | | 양순음 | 순치음 | 치음/치경음 | 권설음/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비음 | m | colspan=2 | | n | colspan=2 | | ɲ | colspan=2 | | |||||
파열음 | p | b | colspan=2 | | t | d | ɖ | k | ɡ | |||
파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ts | tʃ | dʒ | colspan=2 | | |||||
마찰음 | colspan=2 | | f | v | s | ʃ | colspan=2 | | |||||
유음 | 설측음 | colspan=2 | | colspan=2 | | l | colspan=2 | | colspan=2 | | |||||
전동음 | colspan=2 | | colspan=2 | | r | colspan=2 | | colspan=2 | | ||||||
탄음 | colspan=2 | | colspan=2 | | ɾ | colspan=2 | | colspan=2 | | ||||||
반모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j | colspan=2 | | |||||
4. 1. 자음
시칠리아어는 다른 주요 로망스어와 구별되는 여러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권설음이 두드러진다.[72][75]- '''ḌḌ'''/'''DD''' — 권설음 (보통 이중 또는 장음 [ɖː])는 일반적으로 라틴어 -''ll''-의 진화 결과이다.[73][74] 이 음소는 사르데냐어, 남 코르시카어, 칼라브리아 방언 등 일부 로망스어에 존재한다.[74]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은 음소는 극남 이탈리아 방언군의 나머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74] 일부 방언에서는 이전의 [lː] 연쇄가 유지되고 있으며,[73] 이 음소를 치경음 [dː]로 발음하는 것이 점점 흔해지고 있다.[75] 전통적으로 시칠리아어에서는 ''-đđ-''로 표기되었고, 보다 현대적인 용법에서는 ''-dd-''가 사용되어 왔다. 또한 ''-ddh-'' 또는 ''-ddr-''로 쓰이는 경우도 흔하다. 시칠리아 아카데미아의 철자 제안과 시칠리아어 사전의 기술적 철자법에서는 이중자음 ''-ḍḍ-''를 사용한다.[75][76] 예를 들어, 이탈리아어 belloit에 해당하는 시칠리아어는 [ɖɽ]/beḍḍu}}이다.[72]
- '''DR'''과 '''TR''' — 시칠리아어에서 이중자음 ''-dr-''과 ''-tr-''의 발음은 [75] 또는 , 이다. 비음 자음 ''n''이 앞에 오면 권설음 비음 이 된다.
- '''GHI'''와 '''CHI''' — 두 이중자음 -''gh''-와 -''ch''-는 앞에 모음 ''i'' 또는 ''e'' 또는 반모음 ''j''가 올 때 경구개음 파열음 와 로 발음될 수 있다. 이탈리아어의 -''gl''- 대신에 이중 삼중자음 -ggh(i)scn-가 사용되며 로 발음된다. -ch(j)scn-가 이중으로 되면 -cch(j)scn-가 되며 로 발음될 수 있다.
- '''RR''' — 이중자음 ''-rr-''는 시칠리아어 방언에 따라 장음 진동음 (이후 길이 표시 없이 전사됨)[75] 또는 유성 권설음 유음 가 될 수 있다.[72] 이러한 혁신은 약간 다른 상황에서 폴란드어( ''-rz-''로 표기됨)와 일부 북부 노르웨이어 방언에서도 발견되는데, 이 방언에서는 화자가 와 사이에서 변화한다. 단어의 처음에 오는 단일 문자 ''r''은 마찬가지로 항상 이중으로 발음되지만, 이는 철자법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현상은 rhotacism이나 apheresis(아래 참조)로 인해 단일 ''r''로 시작하는 단어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이중 ''r''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철자법으로 표시해서는 안 된다.
- 유성 '''S'''와 '''Z''' — 와 음소는 또는 다른 유성음 뒤에 오면 와 로 유성화된다. 시칠리아어 이중자음 ''-sb-''와 ''-sv-''에서 는 유성화되고 구개음화되어 유성 후치경 마찰음 이 되며, 유성음 /, /와 함께 발음된다.
- '''STR'''과 '''SDR''' — 시칠리아어 삼중자음 ''-str-''과 ''-sdr-''는 또는 , 그리고 또는 이다.[75] ''t''는 전혀 발음되지 않으며 ''s''와 ''r'' 사이에 미세한 휘파람 소리가 난다. 유성 대응어는 일부 영어 사용자가 "wa'''s dr'''iving"이라는 구절을 발음하는 방식과 다소 유사하다.
- 라틴어 '''FL''' — 시칠리아어의 또 다른 독특한 음소는 ''-fl-''을 포함하는 라틴어 단어에서 파생된 단어에서 발견된다. 표준 문어 시칠리아어에서는 무성 경구개 마찰음 를 나타내는 ''-ci-'' (예: ciumiscn("강", 라틴어 에서 유래))로 표기되지만, ''-hi-'', -x(h)-scn, ''-çi-'', 또는 잘못된 ''-sci-''와 같은 형태로도 발견될 수 있다.[77]
- 자음의 연화 — 로마 지배 이후 섬에 도입된 속어 라틴어와 그 이후 시칠리아어의 발달 사이에 자음 음소의 추가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음소 변화에는 라틴어 ''-nd-''에서 시칠리아어 ''-nn-''로; 라틴어 ''-mb-''에서 시칠리아어 ''-mm-''로; 라틴어 ''-pl-''에서 시칠리아어 ''-chi-''로; 그리고 라틴어 ''-li-''에서 시칠리아어 ''-gghi-''로의 변화가 포함된다.
- Rhotacism과 apheresis — 이 변화는 단일 ''d''를 ''r''로 대체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칠리아어에서는 혀의 단일 접촉을 통해 상악치조에 대한 접촉으로 를 생성한다. 이 현상은 rhotacism(즉, 다른 자음을 ''r''로 대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부와 서부 시칠리아뿐만 아니라 남부 이탈리아, 특히 나폴리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된다. 내부적으로 발생하거나 초기 ''d''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반적인 ''r''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철자법으로 표시해서는 안 된다(위 참조). 예: pediscn("발")는 로 발음됨; Madonnascn("성모 마리아")는 로 발음됨; lu diriscn("그것을 말하다")는 로 발음됨. 마찬가지로, 특정 방언에서 apheresis가 발생하여 'ranniscn 와 같이 granniscn "큰"이 되는 경우가 있다.[75]
시칠리아어에서 대부분의 자음 음소는 겹자음화가 특징적이지만, 몇몇 자음은 모음 뒤에서만 겹자음화될 수 있다: , , , , 및 .
단어의 시작 부분에 있는 문자 는 앞에 오는 단어에 따라 두 가지 다른 소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jornuscn("날")에서는 로 발음된다. 그러나 비음 뒤에 오거나 구문적 겹자음화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 un jornuscn의 또는 tri jornascn("삼일")의 에서와 같이 로 발음된다.
colspan=2 | | 양순음 | 순치음 | 치음/치경음 | 권설음/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비음 | m | colspan=2 | | n | colspan=2 | | ɲ | colspan=2 | | |||||
파열음 | p | b | colspan=2 | | t | d | ɖ | k | ɡ | |||
파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ts | tʃ | dʒ | colspan=2 | | |||||
마찰음 | colspan=2 | | f | v | s | ʃ | colspan=2 | | |||||
유음 | 설측음 | colspan=2 | | colspan=2 | | l | colspan=2 | | colspan=2 | | |||||
전동음 | colspan=2 | | colspan=2 | | r | colspan=2 | | colspan=2 | | ||||||
탄음 | colspan=2 | | colspan=2 | | ɾ | colspan=2 | | colspan=2 | | ||||||
반모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j | colspan=2 | | |||||
4. 2. 모음
시칠리아어에는 , , , , 의 다섯 가지 음소 모음이 있다.[43] 중모음 와 는 원어 단어의 무강세 위치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이탈리아어, 영어 등에서 차용된 현대어에서는 나타날 수 있다. 시칠리아어의 와 는 각각 세 개의 라틴어 모음(무강세 위치에서는 네 개)의 합류를 나타내므로, 그 빈도가 높다.[43]
무강세 와 는 일반적으로 ‘가능한’과 ‘토끼’에서처럼, 단어/구의 끝 위치를 제외하고는 축약되어 각각 와 가 된다.
이탈리아어와 마찬가지로, 모음은 음운론적으로 강세 개방음절에서 장화된다. 원래 단어가 로 시작하는 경우, 시칠리아어에서는 대부분 이 음절이 완전히 생략되었다. 이는 초기 가 있었던 경우에도 발생했으며, 와 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정도는 덜하다. mpurtantiscn "important", gnurantiscn "ignorant", nimicuscn "enemy", ntirissantiscn "interesting", llustrariscn "to illustrate", mmàgginiscn "image", conascn "icon", miricanuscn "American".[77]
5. 문법
5. 1. 명사 및 형용사
대부분의 여성 명사와 형용사는 단수형에서 '-a'로 끝난다: 집/casascn, 문/portascn, 종이/cartascn. 자매/soruscn와 무화과/ficuscn는 예외이다. 일반적인 남성 단수형 어미는 '-u'이다: 남자/omuscn, 책/libbruscn, 이름/nomuscn. 단수형 어미 '-i'는 남성 또는 여성일 수 있다.[79]표준 이탈리아어와 달리, 시칠리아어는 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 형용사 모두에 동일한 표준 복수형 어미 '-i'를 사용한다: 집들 또는 상자들/casiscn, 문들 또는 항구들/portiscn, 탁자들/tàuliscn. 일부 남성 복수 명사는 대신 '-a'로 끝나는데, 이는 라틴어 중성 어미 '-um, -a'에서 유래한 특징이다: 책들/libbrascn, 날들/jornascn, 팔들/vrazzascn(이탈리아어/braccioit, 와 비교), 정원들/jardinascn, 작가들/scritturascn, 표지판들/signascn.[79] 일부 명사는 불규칙 복수형을 가지고 있다: ''omu''는 를 가지고 있다 (이탈리아어/uomoit, 와 비교), 게임/jocuscn ( 이탈리아어/giocoit, 와 비교), 그리고 침대/lettuscn (이탈리아어/lettoit, '''letti'''와 비교). 세 개의 여성 명사는 복수형에서 불변이다: 손[들]/manuscn, 무화과[들]/ficuscn 그리고 자매[들]/soruscn.
5. 2. 동사
시칠리아어에는 보조 동사가 하나뿐인데, 바로 '갖다'를 뜻하는 아비리/aviriscn이다.[80] 이 동사는 의무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예: 아비 아 이리/avi a jiriscn, '[그/그녀는] 가야 한다').[78] 또한 시칠리아어는 대부분 종합적인 미래 시제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 시제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 아비 아 칸타리/avi a cantariscn, '[그/그녀는] 노래할 것이다'.[80]영어와 다른 많은 로망스어와 마찬가지로, 시칠리아어에서는 '가다'를 뜻하는 동사 이리/jiriscn를 어떤 일을 하려고 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바이우 아 칸타리/Vaiu a cantariscn는 '나는 노래하려고 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리/jiriscn + 아/ascn + 동사원형은 미래 시제를 구성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81]
시칠리아어의 주요 활용은 '있다'라는 뜻의 동사 에시리/èssiriscn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원형 | 에시리/èssiriscn / 시리/siriscn | |||||
---|---|---|---|---|---|---|
현재분사 | 에센누/essennuscn / 센누/sennuscn | |||||
과거분사 | 스타투/statuscn | |||||
직설법 | 나(eu/iu/ju) | 너(tu) | 그(iḍḍu) | 우리(nuàutri) | 너희(vuàutri) | 그들(iḍḍi) |
현재 | 수뉴/sugnuscn | 시/si'scn | 에스티/estiscn / 에/èscn | 세무/semuscn | 시티/sitiscn | 순누/sunnuscn / 수/su'scn |
미완료 | 에라/erascn | 에리/eriscn | 에라/erascn | 에라무/èramuscn | 에라부/èravuscn | 에라누/èranuscn |
과거 | 푸이/fuiscn | 푸스티/fustiscn | 푸/fuscn | 포무/fomuscn | 푸스티부/fùstivuscn | 포루/foruscn |
미래1 | — | — | — | — | — | — |
조건법2 | 나(ju) | 너(tu) | 그(iḍḍu) | 우리(nuàutri) | 너희(vuàutri) | 그들(iḍḍi) |
포라/forascn | 포리/foriscn | 포라/forascn | 포라무/fòramuscn | 포라부/fòravuscn | 포라누/fòranuscn | |
가정법 | 나(ju) | 너(tu) | 그(iḍḍu) | 우리(nuàutri) | 너희(vuàutri) | 그들(iḍḍi) |
현재 | 시아/siascn | 시/si'scn / 푸시/fussiscn | 시아/siascn | 시아무/siamuscn | 시아티/siatiscn | 시아누/sianuscn |
미완료 | 푸시/fussiscn | 푸시/fussiscn | 푸시/fussiscn | 푸시무/fùssimuscn | 푸시부/fùssivuscn | 푸시루/fùssiruscn |
명령법 | — | 너(tu) | 당신(vossìa)3 | — | 너희(vuàutri) | — |
— | 시/sìscn | 푸시/fussiscn | — | 시티/sitiscn | — |
시칠리아어의 종합미래시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완전히 사라지는 추세이다.[80] 대신 미래를 표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일반적으로 시간 부사가 앞서는 현재 직설법을 사용하는 방법:
- *: 스타시라 바이우 오 티아트루/Stasira vaju ô tiatruscn — '오늘 저녁 나는 극장에 간다'(또는 영어와 비슷한 구조로 '오늘 저녁 나는 극장에 갈 것이다')
- *: 두마니 티 스크리부/Dumani ti scrivuscn — '내일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쓸 것이다'
- 문제의 동사의 원형과 아비리 아/aviri ascn('~해야 한다')의 적절한 활용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복합 형태를 사용하는 방법:
- *: 스타시라 아이우 아 기리/Stasira aju a ghiriscn('j'는 모음 뒤에서 'gh'가 된다) 오 티아트루/ô tiatruscn — '오늘 저녁 나는 극장에 갈 것이다/가야 한다'
- *: 두마니 타이우 아 스크리비리/Dumani t'aju a scrìviriscn — '내일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쓸 것이다/써야 한다'
- *: 구어체에서는 ''aviri''의 축약형이 자주 사용된다.
- ** 아이우 아/aju ascn → 하/hâscn/헤/hêscn; 아이 아/ai ascn → 하/hâscn; 아비 아/avi ascn → 아바/avâscn; 아베무 아/avemu ascn → 아마/amâscn; 아비티 아/aviti ascn → 아타/atâscn
- ** 두마니 타 스크리비리/Dumani t'hâ scrìviriscn — '내일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쓸 것이다/써야 한다'.[81]
종합조건법 또한 (메시나 방언 미시니시/missinisiscn를 제외하고) 사용되지 않는다. 조건법에는 두 가지 시제가 있다.
- 현재 조건법은 다음 중 하나로 대체된다.
- *: 현재 직설법:
- ** 치 키아무 시 투 미 두니 루 소 눔마루/Cci chiamu si tu mi duni lu sò nùmmaruscn — "네가 그녀의 번호를 준다면 나는 그녀에게 전화할 것이다"
- *: 미완료 가정법:
- ** 치 키아마시 시 투 미 다시 루 소 눔마루/Cci chiamassi si tu mi dassi lu sò nùmmaruscn — '네가 그녀의 번호를 준다면 나는 그녀에게 전화할 것이다'
- 과거 조건법은 과거완료 가정법으로 대체된다.
- ** 치 아비시 유투 시 투 마비시 디투/Cci avissi jutu si tu m'avissi dittuscn [/디치우투/diciutuscn] 운니 에스티/unni estiscn / 에/èscn — '네가 그곳이 어딘지 알려줬다면 나는 갔을 것이다'
- *: 가정법 문장에서는 두 시제 모두 미완료 및 과거완료 가정법으로 대체된다.
- ** 시 푸시 리쿠 마카타시 누 팔라추/Si fussi riccu m'accattassi nu palazzuscn — '내가 부자라면 궁전을 살 것이다'
- ** 사비시 트라바기아투 누나비시 파투투 라 미세리아/S'avissi travagghiatu nun avissi patutu la misèriascn — '내가 일했더라면 고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 2인칭 단수(정중한)는 파라시/parrassiscn와 같은 현재 가정법의 구형을 사용하는데, 이는 명령보다는 요청으로 약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명령법의 2인칭 단수와 복수형은 현재 직설법과 동일하며, 어미가 3인칭 단수와 같은 '-ari' 동사의 2인칭 단수는 예외이다: 파라/parrascn.
6. 방언
시칠리아어는 여러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주요 그룹은 다음과 같다.[1]
- 서시칠리아 방언 (팔레르모의 팔레르미타노 방언, 트라파니의 트라파네세 방언, 아그리젠토의 중서부 아그리젠티노 방언)
- 중부 메타포네틱 방언 (칼타니세타 현, 메시나 광역시, 엔나 현, 팔레르모 광역시, 아그리젠토 현의 일부 지역을 포함한 시칠리아 중부 지역)
- 동남부 메타포네틱 방언 (라구사 현과 시라쿠사 현 인근 지역)
- 엔네세 방언 (엔나 현)
- 동부 비메타포네틱 방언 (시칠리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카타니아 광역시와 시라쿠사 현 인근 지역. 카타네세 방언으로 알려져 있다.)
- 메시네세 방언 (시칠리아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인 메시나 광역시)
- 에올리아노 방언 (에올리에 제도)
- 판테스코 방언 (판텔레리아 섬)
- 레지노 방언 (레조칼라브리아 광역시[31][32] 특히 스칠라-보바 지역[33])
7. 현재 상태
시칠리아어는 시칠리아 섬 대부분의 주민과 전 세계 이민자 공동체가 사용하는 언어이다.[9] 이민자 공동체는 지난 한 세기 동안 많은 시칠리아인들이 이민을 간 미국(특히 뉴욕주 브루클린의 그레이브센드와 벤슨허스트, 버펄로 및 서뉴욕주), 캐나다(특히 몬트리올, 토론토, 해밀턴), 오스트레일리아,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등에 거주하고 있다. 지난 4, 50년 동안 많은 시칠리아인들이 이탈리아 북부의 공업 지대와 유럽 연합 지역으로 유입되었다.[9]
시칠리아어는 시칠리아를 포함한 어떤 곳에서도 공식적인 지위를 갖고 있지 않지만,[10][11] 학자들은 표준화된 형태를 개발해왔다. 19세기 중반 빈첸초 모르티야로(Vincenzo Mortillaro)가 시칠리아 전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를 공통된 정서법으로 담으려는 포괄적인 시칠리아어 사전을 출판했다. 같은 세기 후반에는 주세페 피트레(Giuseppe Pitrè)가 ''Grammatica Siciliana''(1875)에서 공통 문법을 확립하였으며, 시칠리아 방언들 간의 음운 차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제공한다.
20세기에는 시칠리아어 문헌 및 언어 연구 센터(Centro di studi filologici e linguistici siciliani)의 연구원들이 시칠리아어의 자연스러운 음역 범위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광범위한 기술적 정서법을 개발했다.[12] 이 시스템은 시칠리아어 사전(Vocabolario siciliano)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가에타노 치폴라(Gaetano Cipolla)의 ''Learn Sicilian'' 교재 시리즈[13]와 아르바 시쿨라(Arba Sicula)의 저널에서도 사용된다.
2017년 처음, 그리고 2024년 업데이트된 버전으로 비영리 단체인 카데미아 시칠리아나(Cademia Siciliana)는 언어의 문어 형태를 표준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서법 제안을 만들었다.[14][15][16][17] 이 정서법은 구글과의 협력을 통해 시칠리아어를 구글 번역기에 도입하는 데 사용되었다.[18][19]
시칠리아 자치주 의회는 모든 학교에서 시칠리아어 교육을 장려하는 지역법 제9호/2011호를 제정했지만, 교육 시스템에 대한 진입은 더뎠다.[20] CSFLS는 이 법을 준수하기 위해 "Dialektos"라는 교재를 만들었지만, 언어를 쓸 수 있는 정서법을 제공하지는 않는다.[21] 시칠리아에서는 방언학 과정의 일부로만 가르치지만, 이탈리아 외부에서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브루클린 칼리지, 마누바 대학교에서 시칠리아어가 가르쳐졌다. 2009년부터 뉴욕시의 미국 이탈리아 자선 단체에서 가르치고 있는데, 이곳은 시칠리아와 이탈리아를 제외한 가장 큰 시칠리아어 사용 공동체의 본거지이다.[22][23] 또한 가족 협회, 교회 단체 및 사회, 사회 및 민족 역사 클럽, 심지어 인터넷 소셜 그룹, 주로 그레이브센드와 벤슨허스트에서 보존 및 교육되고 있다.[24][25][26] 2018년 5월 15일, 시칠리아 지역은 학교에서 시칠리아어 교육을 다시 한번 의무화했고, 공식적인 의사소통에서 방언이 아닌 언어로 언급했다.[7]
이 언어는 칼타지로네[27] 및 그라미켈레[28]과 같이 일부 시칠리아 마을의 시 조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며, 여기서는 "시칠리아어의 불가침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선포된다. 또한 시칠리아어는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ECRML)에 따라 보호되고 홍보될 것이다. 이탈리아는 조약에 서명했지만, 이탈리아 의회는 비준하지 않았다.[29] 이탈리아 법률 제482호/1999호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시칠리아의 다른 소수 언어는 포함되어 있다.[30]
시칠리아어 화자는 약 500만 명으로 추산된다.[82] 그러나 시칠리아어는 여전히 동료나 가까운 사람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가정어의 성격이 강하다. 특히 젊은 세대의 언어에서는 지역 이탈리아어(Regional Italian)가 시칠리아어를 많이 대체하고 있다.[83]
문어로서 시칠리아어는 주로 시칠리아의 시와 연극에 국한되어 사용된다. 앞서 언급한 최근의 법률 개정에도 불구하고 교육 시스템에서는 시칠리아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지역 대학교들은 시칠리아어 강좌를 개설하거나 시칠리아어를 방언학(dialettologia)의 대상으로 설명한다.
레지오 칼라브리아 방언은 레지오 칼라브리아 광역시(Reggio Calabria metropolitan area)에서 약 26만 명이 사용한다.[84] 이 방언은 2012년에 공포된 칼라브리아(Calabria) 지역 정부의 법률에 따라 다른 칼라브리아 방언들과 함께 칼라브리아의 언어 유산을 보호받고 있다.[85]
시칠리아와 칼라브리아 남부를 제외하고는 남북 아메리카의 여러 주요 도시와 유럽, 오스트레일리아의 다른 지역에 시칠리아어를 사용하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가 존재하며, 그곳에서는 시칠리아어가 다양한 정도로 보존되어 왔다.
7. 1. 보존 노력
아르바 시쿨라(Arba Sicula)는 시칠리아어와 영어 번역본으로 이야기, 시, 수필을 출판하여 시칠리아어 보존에 힘쓰고 있으며, 이러한 작품들은 이 단체의 이중언어 연간지인 ''아르바 시쿨라''와 격년으로 발행되는 뉴스레터 ''시칠리아 파라(Sicilia Parra)''에 실린다.영화 ''지진(La Terra Trema)''(1948)는 전적으로 시칠리아어로 제작되었으며, 많은 지역 아마추어 배우들이 출연했다.
비영리 단체인 카데미아 시칠리아나(Cademia Siciliana)는 분기별 잡지 "유네스코 쿠리어(UNESCO Courier)”의 시칠리아어판을 발행한다.
8. 한국과의 관계
9. 참고 문헌
- 데이비드 아불라피아/David Abulafia영어 (무슬림 시칠리아의 종말/The End of Muslim Sicily영어)
- 재클린 알리오/Alio, Jacqueline영어 (2018), ''시칠리아 연구: 교육자를 위한 안내 및 교과 과정/Sicilian Studies: A Guide and Syllabus for Educators영어'', 트리나크리아/Trinacria영어,
- ''아르바 시쿨라/Arba Siculascn'', II권 (1980) en,scn영어
- J. K. "커크" 보너/J. K. "Kirk" Bonner영어 (2001), ''시칠리아 문법 소개/Introduction to Sicilian Grammar영어'', 레가스/Legas영어, 오타와,
- 살바토레 카밀레리/Salvatore Camilleriit (1998), ''이탈리아어-시칠리아어 어휘집/Vocabolario Italiano Sicilianoit'', 에디치오니 그레코/Edizioni Grecoit, 카타니아
- 시칠리아어 언어학 연구 센터/Centro di Studi Filologici e Linguistici Sicilianiit (조르조 피치토/Giorgio Piccittoit) (1977-2002), ''시칠리아어 어휘집/Vocabolario Sicilianoit'' it,scnit, 카타니아-팔레르모
- 가에타노 치폴라/Gaetano Cipolla영어 (2004), 시칠리아어는 언어인가, 방언인가? / 시칠리아어는 언어인가?/Is Sicilian a Language or a Dialect? / Sicilianu: Lingua o dialettu?영어, ''아르바 시쿨라/Arba Sicula영어'' en,scn영어, XXV권, 1&2호
- 가에타노 치폴라/Gaetano Cipolla영어 (2005), ''시칠리아어의 소리: 발음 안내/The Sounds of Sicilian: A Pronunciation Guide영어'', 레가스/Legas영어, 오타와,
- 살바토레 자리초/Salvatore Giarrizzoit (1989), ''시칠리아어 어원 사전/Dizionario etimologico sicilianoit'', 헤르비타/Herbitait, 팔레르모 itit
- 로버트 휴즈/Robert Hughes영어 (2011), ''바르셀로나/Barcelona영어'', 노프 더블데이 출판 그룹/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영어,
- 제프리 헐/Geoffrey Hull영어 (2001), ''다국어 이탈리아: 언어, 방언, 사람들/The Languages of Italy: A. Language, Dialect, People영어'', 레가스/Legas영어, 오타와,
- 애덤 레지웨이/Adam Ledgeway영어 (2016), 로망스어에 대한 옥스퍼드 안내/The Oxford Guide to the Romance Languages영어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Oxford University Press영어 남부 이탈리아 방언/Southern Italian dialects영어 246–69쪽
- 니노 마르토글리오/Nino Martoglio영어 (가에타노 치폴라/Gaetano Cipolla영어 편집 및 번역) (1993), ''니노 마르토글리오의 시/The Poetry of Nino Martoglio영어'', 레가스/Legas영어, 오타와, en,scn영어
- 조반니 멜리/Giovanni Meli영어 (1995), ''우화와 다른 시들: 이중 언어(시칠리아어/영어) 선집/Moral Fables and Other Poems: A Bilingual Anthology (Sicilian/English)영어'', 레가스/Legas영어, 오타와, en,scn영어
- 루이스 멘돌라/Louis Mendola영어 (2015), ''시칠리아 왕국 1130-1860/The Kingdom of Sicily 1130-1860영어'', 뉴욕,
- 앙리에제 네프/Annliese Nef프랑스어 (2003), 시칠리아 백작국/Contea di Sicilia프랑스어
- 존 줄리어스 노위치/John Julius Norwich영어 (1992), ''태양 아래의 왕국/The Kingdom in the Sun영어'', 펭귄 북스, 런던,
- 주세페 피트레/Giuseppe Pitrèit (2002), ''시칠리아어 문법: 방언과 시칠리아어 구어에 대한 완전한 연구: 부록으로 문학적 심화 연구/Grammatica Siciliana: Un Completo Studio del Dialetto e Della Letteratura Sicilianait'', 브랑카토/Brancatoit, itit
- 조셉 프리비테라/Joseph Privitera영어 (2001), 시칠리아의 노르만인 2부 / 시칠리아의 노르만인 2부/The Normans of Sicily, Part II / I Normanni in Sicilia, Parte II영어, ''아르바 시쿨라/Arba Sicula영어'' en,scn영어, XXII권, 1&2호, 148–157쪽
- 조셉 프레데릭 프리비테라/Joseph Frederic Privitera영어 (2004), ''시칠리아어: 가장 오래된 로망스어/Sicilian: The Oldest Romance Language영어'', 레가스/Legas영어, 오타와,
- 조반니 루피노/Giovanni Ruffinoit (2001), ''시칠리아/Siciliait'', 라테르차/Laterzait, 바리, itit
- 스티븐 런시먼/Steven Runciman영어 (1958), ''시칠리아 만종/The Sicilian Vespers영어'', 캠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케임브리지,
- 니콜라 징가렐리/Nicola Zingarelliit (2006), ''Lo Zingarelli 2007. 이탈리아어 사전. CD-ROM 포함/Lo Zingarelli 2007. Vocabolario della lingua italiana. Con CD-ROMit'', 자니켈리/Zanichelliit, itit
참조
[1]
웹사이트
Sicilian entry in Ethnologue
https://www.ethnolog[...]
2017-12-27
[2]
서적
Lingue e dialetti d'Italia
Carocci
[3]
서적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Bilingualism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4]
서적
Sicily
https://books.google[...]
New Holland Publishers
[5]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6-08-16
[6]
웹사이트
Lingue riconosciute dall'UNESCO e non tutelate dalla 482/99
https://web.archive.[...]
Associazion Linguìstica Padaneisa
2016-03-04
[7]
resolution
Iniziative per la promozione e valorizzazione della lingua Siciliana e l'insegnamento della storia della Sicilia nelle scuole di ogni ordine e grado della Regione
http://www.regione.s[...]
2018-07-17
[8]
서적
Sicily: An Informal History
https://books.google[...]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2001-01-01
[9]
웹사이트
Diaspora Sicilians Outside Italy
http://www.bestofsic[...]
2017-12-27
[10]
학술지
Sicilian Language Usage: Language Attitudes and Usage in Sicily and Abroad
https://www.jstor.or[...]
2016
[11]
웹사이트
Sicilian
https://www.ethnolog[...]
2024-03-18
[12]
서적
Vocabolario siciliano
https://books.google[...]
Centro di studi filologici e linguistici siciliani, Opera del Vocabolario siciliano
1997
[13]
서적
Learn Sicilian
Legas
2013
[14]
뉴스
LINGUA SICILIANA / Da Firefox in Siciliano alla proposta di Norma Ortografica, vi raccontiamo la Cademia Siciliana
http://www.identitai[...]
2017-12-20
[15]
뉴스
Orthography Standardisation - Cademia Siciliana
http://cademiasicili[...]
2017-12-20
[16]
뉴스
L'Accademia che studia il siciliano: "È ancora chiamato dialetto, ma ha un valore immenso"
http://catania.liveu[...]
University of Catania
2017-12-12
[17]
웹사이트
Standardizzazione Ortografica
https://cademiasicil[...]
2024-11-22
[18]
웹사이트
Google Translate in Siciliano
https://www.ilgiorna[...]
2024-06-29
[19]
웹사이트
Perché la nostra è una lingua (da tradurre): c'è Google Translate in siciliano, come si usa
https://www.balarm.i[...]
2024-11-22
[20]
웹사이트
Centro di studi filologici e linguistici siciliani » Legge Regionale 31 maggio 2011, N. 9
http://www.csfls.it/[...]
2017-12-14
[21]
웹사이트
Home
http://dialektos.it/
2017-12-20
[22]
웹사이트
Sicilian Language and Culture {{!}} LPS Course Guide
https://www.sas.upen[...]
2017-12-20
[23]
뉴스
La langue de Pirandello bientôt enseignée
http://www.lapresse.[...]
2017-12-20
[24]
웹사이트
Sicilian American Club
https://web.archive.[...]
2013-10-31
[25]
백과사전
Sicilian Americans - History, Modern era, The first sicilians in america
http://www.everycult[...]
[26]
웹사이트
Welcome to the National Sicilian American Foundation
https://web.archive.[...]
National National Sicilian American Foundation
2017-01-02
[27]
웹사이트
Gazzetta Ufficiale della Regione Siciliana: Statuto del Comune di Caltagirone
http://www.regione.s[...]
Legislative and legal office of Regione Sicilia
[28]
웹사이트
Gazzetta Ufficiale della Regione Siciliana: Statuto del Comune di Grammichele
http://www.regione.s[...]
Legislative and legal office of Regione Sicilia
[29]
웹사이트
Italy moves closer to ratification of the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https://web.archive.[...]
2007-12-12
[30]
법률
Legge 482
http://www.camera.it[...]
1999-12-15
[31]
서적
Italienisch, Korsisch, Sardisch
Max Niemeyer Verlag
[32]
서적
I dialetti delle regioni d'Italia
https://archive.org/[...]
Sansoni
[33]
서적
Il dialetto reggino – Tradizione e nuovo vocabolario
Iiriti
[34]
웹사이트
Dantis Alagherii De Vulgari Eloquentia
http://www.thelatinl[...]
[35]
웹사이트
Dante Online - Le Opere
http://www.danteonli[...]
[36]
서적
Sicilian: The Oldest Romance Language
https://books.google[...]
Legas
2004
[37]
harvnb
2001
[38]
서적
Dictionnaire étymologique des noms de famille et prénoms de France
éditions Larousse
1980
[39]
harvnb
1989
[40]
harvnb
2001
[41]
웹사이트
Nicu
https://scn.m.wiktio[...]
2022-06-06
[42]
웹사이트
Guastare: significato - Dizionario italiano De Mauro
http://dizionario.in[...]
[43]
서적
Polyglot Italy: Languages, Dialects, Peoples
CIS Educational
1989
[44]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45]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46]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47]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48]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49]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50]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51]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52]
웹사이트
San Libertino di Agrigento Vescovo e martire
http://www.santiebea[...]
Santi e Beati
2010-01-26
[53]
harvnb
1992
[54]
웹사이트
I Normanni in Inghilterra e in Sicilia. Un capitolo della storia linguistica europea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Palermo
2017
[55]
웹사이트
CNRTL : etymology of ''acheter''
http://www.cnrtl.fr/[...]
CNRTL
[56]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57]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58]
서적
Sicilian
Hippocrene Books
2003
[59]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2-12-11
[60]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61]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62]
harvnb
2004
[63]
harvnb
2004
[64]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65]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66]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67]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68]
웹사이트
Ġabra
https://mlrs.researc[...]
2020-03-06
[69]
harvnb
2004
[70]
서적
Dizionario Siciliano Italiano
Terzo Millennio
2000
[71]
서적
Basic Sicilian : a brief reference grammar
Edwin Mellen Press
1998
[72]
harvnb
2001
[73]
학술지
Principal differences among Sicilian dialects: Part I. Phonological differences (English version)
https://raco.cat/ind[...]
2003
[74]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Romance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75]
웹사이트
Proposta di normalizzazione ortografica comune della lingua siciliana per le varietà parlate nell'isola di Sicilia, arcipelaghi ed isole satelliti, e nell'area di Reggio Calabria di Cademia Siciliana 2017
http://cademiasicili[...]
2017-12-28
[76]
서적
Vocabolario siciliano
https://books.google[...]
Centro di studi filologici e linguistici siciliani, Opera del Vocabolario siciliano
1997
[77]
harvnb
2002
[78]
harvnb
2001
[79]
harvnb
2001
[80]
harvnb
1998
[81]
harvnb
2001
[82]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83]
harvnb
2001
[84]
웹사이트
cfr art. 1 comma 2
http://www.consiglio[...]
[85]
웹사이트
Consiglio Regionale della Calabria
http://www.consigl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