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한 쌍둥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성한 쌍둥이는 인도유럽 신화에서 나타나는 주제로, 하늘의 신의 아들 또는 손자로 묘사되며, 새벽이나 태양의 여신과 연관되어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구출하는 역할을 한다. 베다의 아슈빈, 발트 신화의 아슈비에니아, 그리스 신화의 디오스쿠로이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어원은 말과 관련된 단어에서 파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전쟁, 바다 등 위험한 상황에서 인간을 구원하며, 아침과 저녁 별의 의인화로 나타나기도 한다. 신성한 쌍둥이의 모티프는 스칸디나비아, 근동 등 다양한 문화에서 발견되며, 건축,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시 인도유럽 남신 - 디에우스
디에우스는 "빛나다"라는 뜻의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된 신성한 이름으로, 낮의 하늘 또는 밝음을 의미하며, 아버지 하늘로서 대지의 여신과 짝을 이루어 생명의 성장과 유지를 관장하는 중요한 신이었다. - 원시 인도유럽 남신 - 페르쿠노스
페르쿠노스는 원시 인도유럽 신화의 천둥신으로, 천둥, 번개, 참나무와 관련되어 있으며, 여러 신화 속 천둥신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 인도유럽 종교 - 원시 인도유럽 신화
원시 인도유럽 신화는 문헌 기록은 없으나, 여러 인도유럽 민족 신화의 공통 요소를 비교언어학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우주론, 창조 신화, 신들의 계보 등을 다루며 이후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인도유럽 종교 - 디에우스
디에우스는 "빛나다"라는 뜻의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유래된 신성한 이름으로, 낮의 하늘 또는 밝음을 의미하며, 아버지 하늘로서 대지의 여신과 짝을 이루어 생명의 성장과 유지를 관장하는 중요한 신이었다. - 신성한 쌍둥이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신성한 쌍둥이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신성한 쌍둥이 | |
---|---|
신화 정보 | |
분류 | 원시 인도유럽 |
출전 | 원시 인도유럽 신화 |
이름 | 신성한 쌍둥이 |
원어명 | diwós suhₓnū diwós népoth₁e |
그룹 | 남신 |
신앙 중심지 | 얌나야 |
상징 | 백마 |
부모 | 디에우스 파테르, 데곰 |
형제자매 | 하우소스, 페르쿠노스 |
탈것 | 전차 |
다른 문화권에서의 대응 | |
그리스 동등신 | 디오스쿠로이 |
발트 동등신 | 아슈비에니아이 디에바 데리(라트비아) 디에보 수네리아이(리투아니아) |
인도 동등신 | 아슈빈(디보 나파타) |
문화적 배경 | |
지역 | 얌나야 문화권 |
민족 | 원시 인도유럽인 |
2. 명칭
인도유럽조어로 신성한 쌍둥이의 이름을 확실하게 추정하기는 어렵지만, 전례적이고 시적인 전통에서 디에우스 신의 젊은 아들"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던 것은 확실하다.
세 개의 인도유럽어족 전통(그리스, 인도, 발트)은 새벽 또는 태양의 딸과 관련된 기마 쌍둥이의 신화소를 증명한다. 이들의 이름은 동족어의 완전한 그룹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하늘의 신인 '디에우스의 아들 또는 후손'이라는 비슷한 별칭을 공유한다.
지역 | 명칭 | 어원 |
---|---|---|
원시 인도유럽어 | *diwós suHnū́ (디에우스의 아들), 또는 *diwós népoth1e (디에우스의 후손) | |
베다 | Divó nápātā (아슈빈) | "드야우스의 아들" |
리투아니아 | Dievo sūneliai (아슈비에니아) | "디에바스의 아들" |
라트비아 | 디에바 델리 | "디에브스의 아들" |
그리스 | Diós-kouroi (카스토르와 폴룩스) | "제우스의 소년들" |
이탈리아어 | 펠리니의 Ioviois Pvclois와 마르시의 Ioveis Pvcles | 그리스 신명칭 Diós-kouroi의 모사로 해석 |
2. 1. 어원
원시 인도유럽어 (PIE)에서 신성한 쌍둥이의 이름은 현재 언어학적 증거만으로는 확실하게 재구성할 수 없지만, 전례와 시적 전통에서 두 형제와 관련된 가장 빈번한 별칭은 "젊은이"와 하늘 신(Dyēus)의 "후손" (아들 또는 손자)이다.[73]신성한 쌍둥이의 잘 알려진 두 가지 반영형, 인도 신화의 아슈빈과 리투아니아 신화의 아슈비에니아는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어 단어 말 "*h₁éḱwos"에서 파생된 언어적 동족어이다. 이들은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áśva'' 및 아베스타어의 ''aspā''(모두 원시 인도이란어 ''*Haćwa''에서 유래)와 리투아니아어의 ''ašva''와 관련이 있으며, 모두 "암말"이라는 의미를 공유한다. 이는 원래 PIE 신성한 이름 "*h₁éḱw-n-"을 가리킬 수 있지만, 이 형태는 선사 시대에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원시 인도이란어와 원시 발토슬라브어 화자 간의 후기 접촉으로 인해 나타났을 수도 있다.[3]
3. 역할
신성한 쌍둥이는 전쟁터나 바다와 같이 위험한 곳에 있는 인간을 구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하늘을 가로질러 태양 전차를 끄는 말을 타는 기수나 말 자체로 묘사되었다.[1][2] 쌍둥이는 새벽의 여신인 하우소스와 남매 관계이며,[1] 위험에 처한 자를 기적의 전차로 인도하는 치료사이자 조력자로 묘사된다.[2] 이 둘은 서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하나는 육체적으로 강하고 공격적인 전사로 묘사되는 반면 다른 하나는 치유자로 묘사된다.[1]
대부분의 인도유럽 신화에서 신성한 쌍둥이는 아침별과 저녁별을 의인화한 것으로 나타난다.[2] 이들은 태양의 여신이나 새벽의 여신의 동반자로 나타나며, 이러한 속성을 지닌 쌍둥이 신들은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새벽 또는 태양의 여신을 위협으로부터 구해낸다.[1]
밤에 쌍둥이들은 황금 전차를 타고 동쪽으로 돌아왔으며, 매일 아침 하늘로 태양을 되찾기 위해 바다를 건넜다.[1] 청동기 시대에 접어들면서 신성한 쌍둥이는 주로 태양 전차를 끄는 기수로 묘사되었다.[1]
학자 도널드 워드는 인도유럽 신화의 신성한 쌍둥이에게 적용되는 공통적인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1][2]
특징 |
---|
이중적인 부계 |
여성 인물(어머니 또는 자매) 언급 |
다산의 신 |
단일 이중 이름으로 알려지거나, 유사하거나 두운을 가진 이름을 가짐 |
말과 연관됨 |
바다의 구원자 |
천체의 속성 |
맹세의 수호자 |
전투에서 신성한 도움 제공 |
마법의 치유자 |
4. 관련 신격
신성한 쌍둥이는 전쟁터나 바다 같은 위험한 곳에서 인간을 구출하는 역할을 하며, 하늘을 가로질러 태양 전차를 끄는 말을 타는 기수나 말 자체로 묘사되었다.[73] 쌍둥이는 새벽의 여신 하우소스와 남매 관계이며, 위험에 처한 자를 기적의 전차로 인도하는 치료사이자 조력자로 묘사된다.[73] 이들은 한 명은 육체적으로 강하고 공격적인 전사, 다른 한 명은 치유자로 묘사되는 등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기도 한다.
대부분의 인도유럽 신화에서 신성한 쌍둥이는 아침과 저녁 별을 의인화한 존재로 나타난다. 이들은 태양의 여신이나 새벽의 여신의 동반자로 묘사되며,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새벽 또는 태양의 여신을 위협으로부터 구해낸다. 밤에는 황금 전차를 타고 동쪽으로 돌아왔으며, 매일 아침 하늘로 태양을 되찾기 위해 바다를 건넜다. 청동기 시대에는 주로 태양 전차를 끄는 기수로 묘사되었다.
신성한 쌍둥이 신화는 인도유럽 전통에서 널리 퍼져 있었으며, 스칸디나비아에서 근동에 이르기까지 청동기 시대 초기에 그 숭배 증거가 발견된다. 이 모티프는 에트루리아 종교의 "유피테르의 아들"인 ''티나스 클레나르''(Tinas Clenar)에서처럼 비(非)인도유럽 문화에서도 채택되었다. 아티카와 보이오티아에서 형제 또는 남성 쌍둥이에 대한 신화와 이야기가 있다는 점을 근거로, 미케네 시대에도 쌍둥이 신을 숭배했을 가능성이 있다.[60]
후기 신화에서 쌍둥이는 마법사, 치유사, 의사, 선원과 구원자, 전사, 날씨 조절자, 바람 관리자, 출산 조력자, 춤의 신, 맹세 수호자, 도시 창시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으며, 때로는 백조와 관련되기도 한다. 학자들은 쌍둥이 신화가 중세 시대 전설인 ''아미쿠스와 아밀리우스''(Amicus and Amelius)에 반영되었다고 본다.[1] 벨라루스 민속에서 성 게오르기우스와 니콜라스는 짝을 이루어 말과 연관되며, 치유자로서 이중적인 성격을 지닌다.[23] 슬라브 성인 형제인 보리스와 글레브 숭배 또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61][62]
4. 1.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조어로 된 신성한 쌍둥이의 이름은 현재 남아있는 언어적 증거로는 확실하게 추정하기 어렵지만, 전례와 시적 전통에서 디에우스 신의 젊은 아들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는 것은 확실하다.[73]인도 신화의 아슈빈과 발트 신화의 아슈비니아는 인도유럽조어로 말을 의미하는 h₁éḱwos에서 유래한 단어로 추측되며, 이 단어는 산스크리트로 áśva, 아베스타어로 aćua, 리투아니아어로 아슈바 (ašva)로 파생되었으며 모두 암말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73]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 파생된 여러 인도유럽 신화들 중에서도 그리스 신화, 인도 신화, 발트 신화 등은 새벽의 여신 또는 태양의 여신과 관련된 신성한 쌍둥이 신격이 존재한다. 비록 그들의 이름이 완전한 언어적 관계를 형성하지는 않지만, 천공신의 아들 또는 손자 이름으로 이어지는 유사한 동계어를 공유한다.
세 개의 인도유럽어족 전통(그리스, 인도, 발트)은 새벽 또는 태양의 딸과 관련된 기마 쌍둥이의 신화소를 증명한다. 그들의 이름이 동족어의 완전한 그룹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가능한 조상 이름 또는 별칭으로 이어지는 유사한 별칭을 공유한다. 즉, 하늘의 신인 '디에우스의 아들 또는 후손'이다.
원시 인도유럽어 | 베다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그리스 | |
---|---|---|---|---|---|
신성한 쌍둥이 | *diwós suHnū́ (디에우스의 아들), *diwós népoth1e (디에우스의 후손) | Divó nápātā (아슈빈), 하늘의 신 "드야우스의 아들" (개별 이름 없이 항상 리그베다에서 이중으로 언급) | Dievo sūneliai (아슈비에니), 하늘을 가로질러 사울레 (태양)의 마차를 끄는 "디에바스의 아들" | 디에바 델리, 하늘의 신 "디에브스의 아들" | Diós-kouroi (카스토르와 폴룩스), 하늘의 신 "제우스의 소년들" |
5. 유산
암피온과 제토스는 제우스와 안티오페 사이에서 태어난 쌍둥이로, 테베의 전설적인 창시자로 묘사된다. 에우리피데스는 그의 희곡 ''페니키아 여인들''에서 그들을 "흰 말을 탄 디오스쿠로이"(λευκόπωλοι)라고 불렀다.[23][24] 암피온은 사색적이고 섬세한 인물이었고, 제토스는 사냥과 가축 사육과 같은 육체적 활동에 더 관련된 남성적인 인물이었다.[25]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어머니인 레아 실비아는 그들을 살해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바구니에 담아 강에 띄웠고, 그들은 늑대에게 발견되어 길러졌다.[26] 제우스가 낳은 시칠리아의 쌍둥이 신인 팔리키 역시 이러한 신화적 모티프를 반영한다.[27]
나우크라티스의 아테나이오스는 ''향연''에서 이비코스가 쌍둥이 유리토스와 크테아토스를 "λευκίππους κόρους"| "흰 말을 탄 청년"grc라고 묘사했고, 그들이 은색 알에서 태어났다고 언급했다는 점을 기록했다.[28][29] 이는 그리스 신화의 쌍둥이 형제인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와 그들의 어머니 레다의 신화를 연상시킨다. 이 쌍둥이는 포세이돈과 몰리오네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한다.[30]
5. 1. 종교 및 신화
신성한 쌍둥이는 전쟁터나 바다와 같은 위험한 곳에 있는 사람들을 구하는 역할을 했다. 이들은 하늘을 가로질러 태양 전차를 끄는 말을 타는 기수나 말 자체로 묘사되기도 했다.[1][2] 쌍둥이는 새벽의 여신인 하우소스와 남매 관계이며,[1] 일반적으로 위험에 처한 사람들을 기적의 전차로 인도하는 치료자이자 조력자로 묘사된다.[2] 또한 이 둘은 서로 구분되기도 하는데, 하나는 육체적으로 강하고 공격적인 전사로, 다른 하나는 치료자로 묘사되는 특성을 지닌다.[1]대부분의 인도유럽 신화에서 신성한 쌍둥이는 아침과 저녁 별을 상징한다.[2] 이들은 태양의 여신이나 새벽의 여신의 동반자로 나타나며, 이런 속성을 지닌 쌍둥이 신들은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새벽 또는 태양의 여신을 위협으로부터 구해낸다.[1]
밤에 쌍둥이들은 황금 전차를 타고 동쪽으로 돌아왔으며, 매일 아침 하늘로 태양을 되찾기 위해 바다를 지나갔다.[1] 청동기 시대에 접어들면서 신성한 쌍둥이는 주로 태양 전차를 끄는 기수들로 묘사되었다.[1]
원시 인도유럽 신화에서 파생된 여러 인도유럽 신화들 중에서도 그리스 신화, 인도 신화, 발트 신화등은 새벽의 여신 또는 태양의 여신과 관련된 신성한 쌍둥이의 신격이 존재하며, 비록 그들의 이름이 완전한 언어적 관계를 형성하지는 않지만, 천공신의 아들 또는 손자 이름로 이어지는 유사한 동계어를 공유한다.[1][2]
- 원시 인도유럽 신화 : diwós suhₓnū(디에우스의 아들) 또는 diwós népoth₁e(디에우스의 손자)[2]
- * 브라만교 : 하늘의 신인 디아우스의 아들인 Divó nápātā(아슈빈)는 항상 개인 이름없이 리그베다에서 이중으로 언급되었다.[1]
- * 발트 신화 : 리투아니아에서는 Dievo sūneliai (디에보 수네리아이) - 아슈비에니아이 (Ašvieniai) , "디에바스의 아들", 하늘을 통해 사울레의 마차를 끌어 당김.[1]
- * 그리스 신화 : 하늘의 신인 제우스의 아들들인 "Diós-kouroi"(디오스쿠로이)[1]
학자 도널드 워드는 인도유럽 신화의 신성한 쌍둥이에게 적용되는 공통적인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1][2]
특징 |
---|
이중적인 부계 |
여성 인물(어머니 또는 자매)에 대한 언급 |
다산의 신 |
단일 이중 이름으로 알려지거나, 유사하거나 두운을 가진 이름을 가짐 |
말과 연관됨 |
바다의 구원자 |
천체의 속성 |
맹세의 수호자 |
전투에서 신성한 도움을 제공 |
마법의 치유자 |
젊은 남성으로 묘사되어 전투나 해상에서 위험에 처한 필멸자를 구출하는 신성한 쌍둥이는 하늘을 가로질러 태양을 끄는 말을 탔으며 때로는 말 자체로 묘사되기도 했다.[1] 그들은 자매인 새벽(*H₂éwsōs|하우소스ine)을 공유했는데, 이 자매는 인도유럽 신화에서 하늘 신(*Dyēus|디에우스ine)의 딸로 묘사되기도 한다.[1] 두 형제는 일반적으로 치료자이자 조력자로 묘사되며, 기적적인 탈것을 타고 난파된 필멸자를 구한다.[2] 그들은 종종 구별되는데, 한 명은 육체적으로 강하고 공격적인 전사로 묘사되는 반면, 다른 한 명은 가정적인 일, 농업 추구, 또는 낭만적인 모험에 더 관심을 기울이는 치료자로 여겨진다.[1]
베다, 그리스, 발트 전통에서 신성한 쌍둥이는 마찬가지로 새벽별과 저녁별의 화신으로 나타난다.[2] 그들은 태양의 딸, 때로는 새벽인 태양 여성 신의 연인 또는 동반자로 묘사된다. 그들이 등장하는 대부분의 이야기에서 신성한 쌍둥이는 태양의 말로서의 역할에서 비롯된 주제인 물의 위험으로부터 새벽을 구출한다.[1]
밤에는 신성한 쌍둥이가 금색 배를 타고 동쪽으로 돌아가 흑해나 아조프 해를 횡단하여 매일 아침 떠오르는 태양을 가져온다고 한다. 낮에는 그들은 야간 하늘을 가로질러 그들의 배우자, 즉 새벽별을 쫓아갔다. 유럽에 국한된 것으로 보이는 나중의 추가에서, 그들은 마법의 사과 과수원을 소유한 서쪽 바다에 위치한 땅인 "축복받은 섬"에서 하루의 끝에 휴식을 취한다고 한다.[1] 청동기 시대에 신성한 쌍둥이는 말에 의해 움직이는 태양 전차의 마부로도 묘사되었다.[1]
골어(Gaulish)의 Divanno|디바노cel와 Dinomogetimarus는 보호 신으로, 그리스 디오스쿠로이의 "골어적 대응물"이라고 한다.[7] 그들은 프랑스의 기념물과 부조에서 말을 옆에 두고 묘사되는 것으로 보이며,[8] 이는 그들을 골어의 Martes 및 게르만족의 Alcis와 비교할 수 있게 한다.[9] 학자들은 로마 제국의 다른 어떤 지역보다 더 많은 카스토르와 폴룩스에게 바쳐진 수많은 갈로-로마 헌정 비문이 디오스코로이 숭배를 증명한다고 주장한다.[10]
그리스 역사가 티마이오스는 대서양 켈트족이 다른 모든 신보다 "디오스쿠로이"를 숭배했으며 그들이 바다 건너에서 그들을 방문했다고 언급한다.[1]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역사총서''의 네 번째 책에서 바다를 따라 거주하는 켈트족이 다른 신들보다 디오스쿠로이를 숭배했다고 기록한다.[11] 이는 골족 신 디바노와 디노모게티마루스를 지칭한다는 추측은 확고한 근거가 없다.[12]
마하와 관련된 아일랜드 신화 중 하나(아르드 마하의 ''딘드센차스'')에서 그녀는 임신 말기에 얼스터 왕의 말과 경주를 하도록 강요받는다. 재능 있는 기수로서 그녀는 경주에서 승리하지만 결승선을 통과한 직후 피르와 피알을 낳기 시작한다.[13] 이 원형은 "좋은 말을 가진"을 의미하는 벨레누스의 형용사 아테포마루스와 같은 인물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치유의 여신 시로나와 관련된 그라누스 (그녀의 이름은 "별"을 의미한다); 아일랜드 신화에서 다그다의 아들로 여겨지는 마포노스("신의 아들")는 치유와 관련이 있다.[14]
웨일스의 브란과 마나위단 또한 신성한 쌍둥이의 반사일 수 있다.[1]
비교 신화학자 알렉산더 해거티 크라페는 이니아 왕의 아들이자 형제인 페라다흐와 폴트레바르라는 두 영웅이 이 신화의 표현이라고 제안했다. 이 영웅들은 ''피안나''의 ''티르 파 투인''(바다 건너의 영역)으로의 원정에서 그들의 구성원 중 일부를 구출하기 위한 오르페우스와 같은 임무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 길라 데카르와 그의 말의 추적''. 둘 다 전문적인 항해사이다. 한 명은 배를 만들 수 있고 다른 한 명은 야생 새들을 따라갈 수 있다.[15]
다른 가능한 후보는 루의 수행원인 아테포마루스와 모모루스(모모로스)이다.[16] 아테포마루스는 켈트어 어간 ''-epo-'' '말'이 그의 이름에 존재할 가능성에 근거하여 "위대한 기수" 또는 "위대한 말을 가진"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8] 둘 다 리구두눔의 켈트족 왕이자 창시자로 나타난다. 그들은 세레로네우스를 탈출하여 언덕에 도착한다. 점술에 능한 모모루스는 까마귀 떼를 보고 언덕을 까마귀를 따라 ''루고두눔''이라고 명명한다. 이 신화는 로도스의 클리토폰과 의사-플루타르코스의 ''강에 관하여''에 보고되어 있다.[19][18][20][17]
타키투스는 나하르발리 족이 숭배하는 알키스라는 신성한 쌍둥이에 대해 언급하며, 그들을 로마의 쌍둥이 기마병 카스토르와 폴룩스에 비유했다.[1] 이 쌍둥이는 다양한 인도유럽 문화에서 증명된 신성한 쌍둥이 기마병(디오스쿠리)의 인도유럽 신화와 관련될 수 있다.[1] 후기 게르만 민족 사이에서 헹기스트와 호르사와 같은 쌍둥이 건국 인물들은 신성한 쌍둥이의 모티프를 암시한다. 앵글로색슨 영웅들은 포위된 브리튼의 왕 보르티게른의 간청에 응하여 바다를 건너왔다고 전해진다. 오딘의 후손인 그들의 이름은 각각 '종마'와 '말'을 의미하며,[1] 이러한 연결고리를 강화한다.[1]
스칸디나비아에서는 기원전 15세기부터 서기 8세기까지 신성한 쌍둥이의 이미지가 증명되었으며, 이후 종교적 변화의 결과로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노르드 텍스트에는 식별 가능한 신성한 쌍둥이가 없지만, 학자들은 신과 영웅 사이에서 유사점을 찾아왔다.[1]
아이슬란드 정착민 잉골프르 아르나르손과 히외를레이프르 흐로마르손의 신화는 아이슬란드 정착의 전설적인 기록에 등장하며, 인도유럽 쌍둥이 신화(건국자이자 형제)의 여러 모티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헹기스트와 호르사와도 유사하다.[21][22]
게르만 전통에서 또 다른 쌍둥이 건국 인물은 학자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쓴 ''데인의 사적 Gesta Danorum''에 묘사된 형제 단과 앙굴 (엔겔)이다.[22]
하딩야르는 게르만 전설의 많은 버전에 등장하는 두 형제였다.
암피온과 제토스, 제우스와 테베의 안티오페 사이에서 태어난 또 다른 쌍둥이는 테베의 전설적인 창시자로 묘사된다. 에우리피데스는 그의 희곡 ''페니키아 여인들''에서 그들을 "흰 말을 탄 디오스쿠로이"(λευκόπωλοι)라고 불렀다(같은 칭호는 ''헤라클레스''와 유실된 희곡 ''안티오페''에서도 사용되었다). 쌍둥이 간의 구별이라는 주제에 따라 암피온은 더 사색적이고 섬세한 인물로, 제토스는 사냥과 가축 사육과 같은 육체적 활동에 더 관련된 남성적인 인물로 여겨졌다.[23][24][25]
로물루스와 레무스의 어머니인 레아 실비아는 죽기 전에 그들을 바구니에 담아 강에 띄워 살해로부터 보호했고, 그들은 늑대에게 발견되어 길러졌다.[26] 제우스가 낳은 시칠리아의 쌍둥이 신인 팔리키 역시 원래의 신화적 모티프의 반영일 수 있다.[27]
그리스의 수사학자이자 문법학자인 나우크라티스의 아테나이오스는 저서 ''향연'' 2권에서 시인 이비코스가 그의 ''멜로디''에서 쌍둥이 유리토스와 크테아토스를 "λευκίππους κόρους"| "흰 말을 탄 청년"grc라고 묘사했고, 그들이 은색 알에서 태어났다고 언급했다.[28][29] 이 이야기는 그리스의 신성한 쌍둥이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와 그들의 어머니 레다의 신화를 연상시킨다. 이 쌍둥이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과 인간 어머니 몰리오네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한다.[30]
Ūsiņš|우신스lt(또는 Ūsinis)는 라트비아 신화에 언급된 발트 신으로, 다이나스에서 나오는 신화적 주제의 반사일 가능성이 있다. 그는 말, 빛과 태양, 그리고 아마도 디에브스의 아들 중 하나와 연관되어 있다. 역사 언어학자 바츨라프 블라제크는 그가 "기능적이고 어원적으로 대응하는 존재"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베다의 사소한 인물인 ''Auśijá-'' (베다의 쌍둥이의 하인이자 꿀벌과 관련된)와 ''Aśvins'' 자신과 관련이 있다. 또한, 데이비드 리밍에 따르면, 우신은 두 마리의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하늘을 가로지르는 마부로 나타난다.
아우세클리스가 라트비아에서 신화적 주제의 또 다른 반사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아우세클리스는 ''다이나스''(민요)의 맥락에서 남성으로 언급되며, 사울레스 메이타("태양의 딸")의 신랑으로 여겨지는데, 그녀를 구애하기 위해 독일까지 왔다. 또한 학자 엘자 코카레에 따르면, 아우세클리스는 "천상의 결혼"에 관한 신화적 드라마에 참여하는 천상의 신들 그룹에 속한다. 아우세클리스는 여성 발트 태양인 사울레의 딸인 ''사울레스 메이타''의 신랑으로 여겨진다. 때때로 그는 메네스의 다툼으로 인해 신부(''Ausekļa līgaviņa'' 및 변형)를 빼앗기기도 한다. 다른 설명에서는 그는 사울레스 메이타와 다른 인물의 결혼식에서 손님 또는 신부 행렬의 일원이다. 그는 또한 그가 샀거나 그를 위해 산 말을 소유하고 있다고 한다. 마리야 김부타스의 분석에 따르면, 아우세클리스는 태양이 그에게 준 말을 가지고 나타나 (여성) 태양("Saules dukterims")의 딸과 사랑에 빠지는 "디에바이트"(작은 신)이다.
1519년 마치에이 미에호비타에 의해 처음 언급된 폴란드 신인 렐과 폴렐은 여신 라다(그리스 신화의 레다에 해당)와 알려지지 않은 남성 신 사이에서 태어난 카스토르와 폴룩스에 해당한다. 1969년, 슬라브족 벨레티의 숭배 중심지였던 피셔린젤 섬에서 머리가 붙어있는 두 남성 형상을 묘사하는 우상이 발견되었다. 학자들은 이 조각상이 렐과 폴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한다. ''레레크''는 러시아 방언으로 "강한 청년"을 의미한다.[44] 쌍둥이자리 별자리의 가장 밝은 별인 α Gem과 β Gem은 벨라루스 전통에서 쌍둥이 캐릭터를 따라 원래 ''레레''와 ''폴렐레''로 명명되었다고 여겨진다.[45]
야체크 바나슈키에비치 폴란드 중세 역사 교수에 따르면, 두 포라비아 신인 포레비트와 포레누트는 디오스쿠로스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그에 따르면, 그들의 이름의 첫 부분은 "힘"을 의미하는 원시 슬라브어 어근 ''-por''에서 파생되었으며, 첫 번째는 "힘의 군주" - 더 강한 존재, 다른 하나는 "지원이 필요한 군주(힘)" - 더 약한 존재이다. 그들은 각각 다섯 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으며, 주신 루기에비트와 함께 나타난다.[1]
출산 중, 폴란드 영웅 쌍둥이 왈리고라 ("산 꺾는 자")와 비르비다브 ("오크 찢는 자")의 어머니는 숲에서 죽었고, 야생 동물들이 그들을 돌보았다.[46] 왈리고라는 암늑대에 의해, 비르비다브는 암곰에 의해 길러졌으며, 그들의 젖으로 그들을 먹였다. 그들은 함께 왕국을 괴롭히는 용을 물리쳤고, 이에 감사한 왕은 그들에게 왕국의 절반과 그의 두 딸 중 한 명을 아내로 주었다. 크라크의 아들인 크라크 2세와 레흐 2세도 폴란드 전설에서 바벨 용을 죽인 자로 등장한다.[47]
또 다른 가능한 반사 작용은 나쿨라와 사하데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공주 마드리에 의해 낳아진 쌍둥이는 그녀의 아들을 낳기 위해 아슈빈(Aśvins)을 소환하는 기도를 올렸고(그리하여 그들을 'Ashvineya'(आश्विनेय)라고 부름), 다섯 판다바 형제 중 두 명이며, 같은 여성인 드라우파디와 결혼했다. 마하바라타 서사시에서 나쿨라는 그의 뛰어난 아름다움, 전사 기질 및 무술 실력으로 묘사되는 반면, 사하데바는 인내심, 지혜, 지능 및 "학식 있는 사람"으로 묘사된다. 나쿨라는 비라타의 말에 큰 관심을 가지며, 그의 형제 사하데바는 비라타의 목동이 되었다.[1][48][49][50] 학문적으로는 베다 아슈빈(Ashvins)이 '아스피나스'(Aspinas)라는 아베스타 대응물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지적한다.[51][52][53]
아르메니아 영웅 사나사르와 발다사르는 서사 전통에서 쌍둥이로 등장하며, 공주 초비나르의 아들로 태어났다(이들은 ''사순의 용사들''에 묘사되어 있음).[54] 사나사르는 "불의 말"을 찾아 형제보다 더 호전적이며, 영웅 왕조의 시조가 된다.[55][56] 다른 이야기에서는, 그들의 어머니가 공주 사란으로, 말의 발자국에서 물을 마시고 두 영웅을 낳았다고 한다.[57]
학자 아르멘 페트로시안은 아르메니아 서사 전통에 등장하는 영웅 형제들의 다른 쌍에서도 신성한 쌍둥이의 반사점을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아르마네악과 아르마이스; 에루안트(예르반트)와 에루아즈(예르바즈)가 있다.[58] 같은 맥락에서, 사르기스 하루튜니안은 아르메니아 영웅들뿐만 아니라, 쿠르드족의 ''샤라프나마''에 언급된 쌍둥이 이자딘(또는 이자딘)과 쟈아딘이 신성한 쌍둥이, 즉 신성한 기원을 가진 형제 창시자들의 신화의 기반이라고 주장한다.[59]
알바니아 전설 서사시인 ''Kângë Kreshnikësh''의 영웅 형제이자 주요 등장인물인 무지와 할릴리는 인도유럽어족 신성한 쌍둥이의 공통적인 특징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신성한 쌍둥이의 신화적 주제는 인도유럽 전통에서 널리 퍼져 있었으며, 그들의 숭배에 대한 증거는 스칸디나비아에서 근동에 이르기까지 청동기 시대 초기에 발견된다. 이 모티프는 또한 비(非)인도유럽 문화에서도 채택되었으며, 에트루리아 종교의 "유피테르의 아들"인 ''티나스 클레나르''(Tinas Clenar)에서 증명된다.[1] 아티카와 보이오티아에서 형제 또는 남성 쌍둥이에 대한 신화와 이야기가 존재한다는 점을 근거로, 미케네 시대에도 쌍둥이 신을 숭배했을 가능성이 있다.[60]
후기 신화에서 쌍둥이와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기능은 마법사, 치유사, 의사, 바다의 선원과 구원자, 전사 및 전투에서 신성한 도움을 제공하는 자, 날씨의 조절자 및 바람의 관리자, 출산을 돕는 자, 춤의 신, 맹세의 수호자, 도시의 창시자이며, 때로는 백조와 관련되기도 한다.[1] 학자들은 쌍둥이의 신화적 주제가 중세 시대의 전설인 ''아미쿠스와 아밀리우스''(Amicus and Amelius)에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1] 벨라루스 민속에서 성 게오르기우스와 니콜라스는 짝을 이루어 말과 연관되며, 치유자로서 이중적인 성격을 지닌다.[23] 슬라브 성인 형제인 보리스와 글레브의 숭배 또한 관련이 있을 수 있다.[61][62]
5. 2. 문학
아서 버나드 쿡의 ''고대 종교 연구, 제우스''(1925)에서 인도유럽 신성 쌍둥이의 신화 모티프를 찾아볼 수 있다. 영국의 학자 쿡은 그리스와 이탈리아 출처에서 수집된 ''춤추는 물, 노래하는 사과, 말하는 새''의 일부 판본에 불가사의한 아이들(세쌍둥이 또는 남성 2명/여성 1명의 형제자매)의 모습에서 헬렌과 그녀의 형제인 디오스쿠로이의 잔재가 담겨 있으며, 그들의 몸에는 천문학적 모티프가 있다고 주장했다.[63] 안젤로 데 구베르나티스의 ''동물 신화'' 1권에서도 이 아이디어가 반복된다.[64] 이탈리아 학자 구베르나티스는 황금별을 가진 소년들 형식의 변형에서 쌍둥이를 베다 전승의 "아슈비나"(Asvins)로 분석했다.[65]5. 3. 건축
아슈비에냐이는 "지르젤리아이" 또는 작은 말로 묘사되며, 집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리투아니아 지붕의 일반적인 모티프이다.[66][67][68][69] 비슷한 모티프는 벌집, 굴레, 침대 프레임 및 기타 가정 용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70]
저지 독일식 가옥의 일종인 "파흐할렌하우스"의 장식에도 비슷한 이미지가 나타난다. 박공 끝은 (양식화된) 말 머리 모양의 조각된 나무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종 바람으로부터 지붕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말 머리는 작센족의 상징인 작센 말과 관련이 있다. 지붕 마루 장식으로서의 분포는 여러 북부 독일 마을과 촌의 문장에도 반영되어 있다. 이 교차된 말머리는 "오래된 이교도 상징"이라고 한다.[71] "게이블 십자가"(Gable Cross, de)라고도 불리는 이 상징은 전설적인 창시자 헹기스트와 호르사(Hengist and Horsa)와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헹기스트 운트 호르스"라고 불렸기 때문이다.[72]
참조
[1]
논문
"Ami et Amile" and Myths of Divine Twinship
1990
[2]
간행물
"An Indo-European Mythological Theme in Germanic Tradition"
https://doi.org/10.9[...]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
[3]
웹사이트
Indo-Aryan Inherited Lexicon
https://www.scribd.c[...]
[4]
논문
The instrumental case in the thematic noun inflection of Continental Celtic
2011
[5]
논문
Two Archaic Inscriptions from Latium
1960
[6]
서적
The Regional Diversification of Latin 200 BC - AD 60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7]
논문
Two Romans Provençal portrait reliefs
1976
[8]
논문
Le bas-relief funéraire de Saint-Julien-lès-Martigues
1943
[9]
논문
Essai sur l'évolution de la religion gauloise
1965
[10]
논문
Cultes gaulois et gallo-romains. 3. Dieux d'époque gallo-romaine
https://www.persee.f[...]
1989
[11]
서적
Diodorus of Sicily,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C. H. Oldfather
Heinemann
1933
[12]
서적
Dictionary of Celtic religion and culture
https://www.worldcat[...]
Boydell Press
1997
[13]
간행물
“A Confluence of Wisdom: The Symbolism of Wells, Whirlpools, Waterfalls and Rivers in Early Celtic Sources”
http://www.jstor.org[...]
2006
[14]
간행물
"The hippomorphic goddess and her offspring"
1990
[15]
간행물
“La poursuite du Gilla Dacker et les Dioscures celtiques”
https://archive.org/[...]
1932
[16]
서적
Dictionnaire de Mythologie Celte
Éditions du Rocher
1996
[17]
논문
Lugus et le cheval
2002
[18]
논문
Inscriptions de Rennes
1971
[19]
서적
The Sons of Remus: Identity in Roman Gaul and Spai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7
[20]
논문
XIII. Religion, culture, identité. Mais où sont les druides d'autan... ? (DHA, 11, 1985, p. 557-604)
https://www.persee.f[...]
1989
[21]
논문
A Pre-Modern Nation? Icelanders' Ethnogenesis and Its Mythical Foundations
2018-04-01
[22]
서적
Sturla Þórðarson
[23]
논문
Reflexes of Ancient Ideas about Divine Twins in the Images of Saints George and Nicholas in Belarusian Folklore
2018-08
[24]
서적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
[25]
웹사이트
Apollodorus, Library, book 3, chapter 5, section 5
https://www.perseus.[...]
[26]
서적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https://www.worldcat[...]
Facts On File
2010
[27]
간행물
"The Sicilian Palici as representatives of the indo-european divine twins"
2004-2005
[28]
웹사이트
Athenaeus, the Deipnosophists, Book II., chapter 50
https://www.perseus.[...]
[29]
웹사이트
Ibycus
https://www.loebclas[...]
[30]
서적
The Lyric of Ibycus: Introduction, Text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3
[31]
서적
The Lyric of Ibycus: Introduction, Text and Commentary
Walter de Gruyter
2013
[32]
논문
Latvian Ūsiņš 'bee-god and patron of horses'
2012-12-29
[33]
서적
Lichtgott der alten Letten
Almquist & Wiksell
1976
[34]
간행물
Development of the Study of Religion in Latvian in the 20th Century
Brill
2015
[35]
서적
The Handbook of Religions in Ancient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6]
서적
From Olympus to Camelot: The World of European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orld Myth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8]
학위논문
Indo-European Poetics and the Latvian Folk Songs
https://www.academia[...]
1996
[39]
학술지
A solar calendar from Latvian dainas
https://e-journals.k[...]
2008-12-20
[40]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gods and goddesses, devils and demons
Routledge
2004
[41]
간행물
A survey of the basic structures in Latvian mythology
http://www.folklore.[...]
1996
[42]
서적
Encyklopedie baltské mytologie
Libri
2012
[43]
서적
Baltai priešistoriniais laikais: etnogenezė, materialinė kultūra ir mitologija
Mokslas
1985
[44]
서적
Mitologia Słowian
Wydawn. Uniwersytetu Warszawskiego
2006
[45]
학술지
Astronyms in Belarussian folk beliefs
https://e-journals.k[...]
2008-12-20
[46]
서적
Klechdy: starożytne podania i powieści ludu polskiego i Rusi
https://books.google[...]
w Drukarni Piotra Baryckiego
1837
[47]
서적
Królowie z gwiazd : mitologia plemion prapolskich
Wydawnictwo Armoryka
2011
[48]
서적
The New Comparative Mythology: An Anthropological Assessment of the Theories of Georges Dumézil - Revised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49]
서적
Stealing Helen: The Myth of the Abducted Wife in Comparative Perspectiv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50]
서적
Hindu World: An Encyclopedic Survey of Hinduism. Volume II M-Z
Routledge
2019
[51]
서적
Iran And India Through The Ages
Asia Publishing House
1962
[52]
서적
Etymologische Forschungen auf dem Gebiete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https://books.google[...]
1836
[53]
서적
Hindu World: An Encyclopedic Survey of Hinduism In Two Volum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54]
서적
David of Sassoun : the Armenian folk epic in four cycles
Ohio University Press
1964
[55]
서적
The Indo‑european and Ancient Near Eastern Sources of the Armenian Epic
https://www.academia[...]
Washington, D.C.: Institute for the Study of Man
2002
[56]
간행물
Genetic and Diffusional Themes in the Armenian Sasna Crer: The Sanasar Cycle
https://archive.org/[...]
2005
[57]
학술지
Armeno-Indian Epic Parallels
2017
[58]
학술지
First Capitals of Armenia and Georgia: Armawir and Armazi (Problems of Early Ethnic Associations)
2012
[59]
학술지
Armenian Epic Tradition and Kurdish Folklore
1997
[60]
서적
A History of Boeotia
th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1979
[61]
학술지
The Cult of Boris and Gleb: Remnant of a Varangian Tradition?
1978-04
[62]
간행물
Communicating an Indo-European Myth to the Christian Kievan Rus’: Boris and Gleb as the Divine Twins
Wydawnictwo UWM, Olsztyn
2019
[63]
서적
Zeus, A Study In Ancient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5
[64]
서적
Zoological mythology; or, The legends of animals
Trübner & Co
1872
[65]
서적
The Folk-Tales of the Magyars
Published for the Folk-lore society by Elliot Stock
1889
[66]
간행물
'"Žirgelių" ornamento semantinis laukas'
1997
[67]
웹사이트
The Sumerians and Gemini: Sumerian Astronomical Interpretations as Origins of the Divine Horse Twins and Solar Chariots in Indo-European Mythology (Unpublished manuscript)
https://web.archive.[...]
[68]
학술지
The Cosmology of the Ancient Balts
1997-02
[69]
서적
Lietuvių etnologija
Mokslas
1991
[70]
웹사이트
Arklys tradicijose
https://web.archive.[...]
Horse Museum – Branch of A. Baranauskas and A. Vienuolis-Žukauskas Memorial Museum
2003-06-09
[71]
서적
Deutsche Feuerversicherungs-Schilder
VVW Karlsruhe
1989
[72]
서적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D.S. Brewer
2007
[73]
간행물
Indo-Aryan Inherited Lexicon
https://www.scribd.c[...]
Leiden Univers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