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沈)은 한국의 성씨로, 청송 심씨, 삼척 심씨, 풍산 심씨, 부유 심씨, 전주 심씨 등 여러 본관이 존재한다. 청송 심씨는 고려 시대 심홍부를 시조로 하며, 심덕부, 심온, 심회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삼척 심씨는 심적충을 시조로 하나, 심동로를 1세조로 하여 심준, 심언경 등을 배출했다. 풍산 심씨는 심만승을 시조로 하며, 심귀령, 심정, 심수경 등이 유명하다. 부유 심씨는 심인립을 시조로 하며, 심효생 등이 있다. 전주 심씨는 심현을 시조로 한다. 심씨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히 청송 심씨는 18세기 윤관 묘소 문제로 윤씨 가문과 분쟁을 겪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 (성씨) | |
|---|---|
| 한국의 성씨 | |
| 한자 | 沈 |
| 로마자 표기 | Sim |
| 관련 정보 | |
| 같이 보기 | Shěn 심 (중국 성씨) 한국의 심씨 (韓國 沈氏) 중국의 심씨 (中國 沈氏) |
2. 본관
2. 1. 청송 심씨
청송 심씨(靑松沈氏)의 시조 '''심홍부'''(沈洪孚)는 고려 충렬왕 때 문림랑으로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냈다.심홍부의 증손 심덕부(沈德符)는 고려 우왕 때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서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졌고,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여, 공양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라 청성군충의백(靑城郡忠義伯)에 봉해졌다. 조선이 개국되자 회군공신(回軍功臣) 1등에 추록되어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으며 좌정승(左政丞)에 이르렀다.
심덕부의 다섯째 아들 심온(沈溫)은 세종의 국구(國舅)로서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에 봉해지고 영의정에 올랐으며, 여섯째 심종(沈淙)은 조선 태조의 부마로 청원군(靑原君)에 봉해졌다.
심온의 둘째 아들 심회(沈澮)도 세조 때 영의정(領議政)을 역임하고 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에 봉해졌다. 심회(沈澮)의 증손인 심연원(沈連源)도 명종 때 영의정에 오르고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에 봉해졌다.
심연원(沈連源)의 아들 심강(沈鋼)도 명종의 국구(國舅)로서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에 봉해졌다. 심강(沈鋼)의 손자 심열(沈悅)도 인조 때 영의정에 올랐다.
심열(沈悅)의 고손 심호(沈浩)도 경종의 국구(國舅)로서 청은부원군(靑恩府院君)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240,768명이다.
2. 2. 삼척 심씨
삼척 심씨(三陟沈氏) 시조 '''심적충'''(沈迪冲)은 고려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문림랑(文林郞)으로 군기시주부(軍器寺主簿)를 역임하였다고 한다.그러나 중간 세보가 실전되어 심동로(沈東老)를 1세조로 한다. 심동로(沈東老)는 1342년(충혜왕 3) 생진과에 합격하였고, 1351년(충정왕 3) 지제고(知制誥) 우정언(右正言)을 지냈으며, 1361년(공민왕 10) 헌납(獻納)에 임명된 후 특지(特旨)로 봉선대부(奉善大夫) 중서사인(中書舍人)으로 활동하였지만 권신들의 전횡에 회의를 느껴 벼슬을 버리고 고향 삼척으로 돌아가자 공민왕이 이를 만류하며 노인이 동쪽으로 간다는 뜻의 동로(東老)라는 이름을 하사하였고, 진주군(眞珠君)으로 봉하였다. 초명은 심한(沈漢)이었다.
7세손 심준(沈濬)이 1489년(성종 20년) 문과에 급제한 후 예조정랑과 예문관 제학 등을 지냈다. 그의 아들 심언경(沈彦慶)은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고, 심언광(沈彦光)은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다.
2015년 인구는 17,034명이다.
2. 3. 풍산 심씨
'''풍산 심씨'''(豊山沈氏) 시조 '''심만승'''(沈滿升)은 중국 오흥(吳興) 출신으로 1110년(예종 5년)에 상선을 타고 고려에 동래하여 풍산현(豊山縣)에 정착하였고,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1112년에 상서봉어, 1114년에 태자첨사부 첨사를 역임하였다고 한다.[5] 9세손 심귀령(沈龜齡, 1350년 ~ 1413년)이 이방원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고 풍산군(豐山君)에 봉해졌다.[5] 심귀령의 증손 심정(沈貞)이 1527년 좌의정에 올랐고, 심정의 손자 심수경(沈守慶)이 1590년(선조 23) 우의정에 올랐다. 개화산에 풍산 심씨 묘가 있다. 2015년 인구는 11,187명이다.2. 4. 부유 심씨
'''부유 심씨'''(富有 沈氏)는 전라남도 순천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始祖) '''심인립'''(沈仁立)은 고려조에 지금주사(知錦州事)를 지냈다.[6]심인립의 아들 심효생(沈孝生)은 1383년(고려 우왕 9)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조선의 개국공신(開國功臣) 3등에 책록되었고, 딸이 조선 태조의 세자 이방석의 빈(嬪)이 되면서 예문관대제학에 이르렀으며, 부성군(富城君)에 봉해졌다.[6] 그러나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도전, 남은 등과 함께 숙청되었다.
심효생의 아들 심도원은 세종 때 호조판서를 역임했다. 심도원의 손자 심신은 단종복위운동에 가담했다가 처형되었으나 정조 때 신원, 복관되었다. 2000년 인구는 1,112명이다.
2. 5. 전주 심씨
시조 '''심현'''(沈賢)은 고려 때 예빈성(禮賓省)승동정(丞同正)을 역임했다.3. 역사
3. 1. 고려시대
3. 2. 조선시대
3. 3. 분쟁
18세기에 윤관의 묘가 재발견되면서, 윤씨 가문과 심씨 가문 간에 300년 묵은 가문 분쟁이 시작되었다. 분쟁의 원인은 심씨 가문의 한 사람이 윤관의 묘보다 높은 곳에 묻히면서 원래 묘의 일부를 훼손했기 때문이다. 이 분쟁은 2008년에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2][3][4]4. 현대 인물
- 정치 · 관료
심상정은 진보 정당인 정의당 소속으로 활동하며 당 대표를 역임하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심재철은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등 보수 정당에서 활동하며 정책위의장, 원내대표, 국회 부의장 등을 역임했다. 심대평은 충청남도지사, 국회의원, 자유선진당 대표 등을 역임하며 충청권을 대표하는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 경제
심상호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 사회 · 교육
심봉근은 대한민국의 고고학자, 대학교수이다. 심화진은 대한민국의 교육자, 전 성신여자대학교 총장이다.
- 문화
심보선은 대한민국의 시인, 대학교수이다. 심창민은 대한민국의 가수, 보이 그룹 동방신기의 멤버이다. 심달기, 심은하, 심은진, 심은경, 심은우, 심혜진, 심혜원(예명: 벨,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걸그룹 키스 오브 라이프의 멤버), 심형래, 심형탁, 심지호, 경심, 심민아, 심수봉, 심이영은 대한민국의 배우, 가수, 모델이다.
- 스포츠
심권호는 대한민국의 올림픽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금메달리스트이다. 심재민, 심재원, 심서연, 심수창, 심우연은 대한민국의 야구, 축구선수이다. 심의식은 대한민국의 전 아이스하키 선수, 한국 아이스하키 포인트 기록 보유자이다.
4. 1. 정치 · 관료
심재철은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등 보수 정당에서 활동하며 정책위의장, 원내대표, 국회 부의장 등을 역임했다. 반면 심상정은 진보 정당인 정의당 소속으로 활동하며 당 대표를 역임하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심대평은 충청남도지사, 국회의원, 자유선진당 대표 등을 역임하며 충청권을 대표하는 정치인으로 활동했다.심흥선은 육군참모차장 · 육군사관학교 교장 · 육군 대장 · 합참의장을 역임하고, 공보부 장관, 총무처 장관을 역임하였다. 심의환은 상공부 차관, 총무처 장관을, 심우영은 경상북도지사, 청와대 행정수석, 총무처 장관을 역임하였다. 심상명은 서울북부지검장 · 전주지검장 · 광주지검장 · 수원지검장 · 부산고검장 · 광주고검장 ·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 ·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4. 2. 경제
심현영은 현대건설 사장 및 현대엔지니어링 회장을 역임했다. 심옥진은 현대건설 사장과 한국플랜트엔지니어협회(한국플랜트정보기술협회) 회장을 지냈다. 심이택은 한진지리정보 사장 및 대한항공 부회장을 역임했다. 심훈은 한국은행 부총재, 금융통화위원, 부산은행 행장을 역임했다. 심상호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4. 3. 사회 · 교육
심훈은 일제강점기 농촌계몽운동과 항일독립운동에 참여한 작가이자 독립운동가이다. 심호섭은 대한민국 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초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심상철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장을 역임했다. 심종섭은 산림청장, 전북대학교 총장, 대한민국 학술원 회장을 역임했다. 심윤종은 성균관대학교 총장과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을 지냈다. 심화진은 성신여자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4. 4. 문화
심수관은 일본에서 활동하는 사쓰마자기의 종가(宗家)이자 시조인 심당길의 후손으로 세계적인 도자기 명문가이다. 심훈은 작가, 연기자, 영화배우 등으로 활동했다. 심영은 연기자, 영화배우로 활동했다. 심수봉은 가수로 활동하고 있다. 심형래는 코미디언, 영화감독 등으로 활동했다. 심혜진과 심은하는 영화배우로 활동했다.4. 5. 스포츠
심권호는 레슬링 선수로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스포츠의 위상을 높였다. 심석희는 쇼트트랙 선수로 활약하며 동계 스포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심재복, 심해인은 핸드볼 선수이다. 심의식은 아이스하키 선수 및 감독으로 활동했다. 심정수, 심재학, 심성보, 심광호, 심창민, 심수창, 심동섭, 심재민, 심우준, 심규범 등은 야구 선수로 활동했다. 심재원, 심상민, 심동운, 심우연, 심영성, 심서연은 축구선수이다. 심성영은 농구선수, 심경섭은 배구선수이다.5. 상징
5. 1. 청송 심씨 문장
청송 심씨의 문장은 강, 소나무, 심(沈)을 묘사한다. 강과 소나무는 장수를 의미한다. 원은 해와 달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이는 자손들이 성공하고 조상에 걸맞을 것임을 상징한다.6. 참고 사항
6. 1. 청송 심씨 항렬
청송 심씨는 세대별로 항렬자를 사용한다.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 19세: 지(0之)
- 20세: 능(能0)
- 21세: 의(宜0)
- 22세: 택(0澤)
- 23세: 상(相0)
- 24세: 섭(0燮)
- 25세: 재(載0)
- 26세: 보(0輔)
- 27세: 규(揆0)
- 28세: 용(0用)
- 29세: 영(寧0)
- 30세: 기(0起)
- 31세: 장(章0)
- 32세: 후(0厚)
6. 2. 족보
2002년, 청송 심씨 족보가 책으로 출판되었다. 이 족보는 10권의 족보, 색인, 그리고 청송 심씨 문중의 역사에 대한 소개로 구성되어 있다. 청송 심씨 관계자에 따르면, 다른 족보를 인터넷에 게시할 예정이다.참조
[1]
웹사이트
심 沈
http://www3.encyber.[...]
Doosan Encyclopedia
[2]
웹사이트
Quest for perfect grave keeps Korean feud alive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3]
웹사이트
Feuding Korean clans end 400-year fight over graves
https://www.reuters.[...]
Reuters
2007-12-24
[4]
웹사이트
Quest for perfect grave keeps Korean feud alive – Asia – Pacific –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https://www.nytimes.[...]
2006-07-19
[5]
웹사이트
태종실록 25권, 태종 13년 6월 20일 정묘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웹사이트
『태조실록』 14권, 태조 7년 8월 26일 기사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