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은 독일의 시인으로, 특히 독일의 국가인 "독일의 노래" 가사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1841년 헬골란트 섬에서 이 가사를 썼으며, 이 노래는 범게르만주의적 정서를 담아 독일 통일을 염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팔러슬레벤은 문학, 언어학 연구에도 기여했으며, 다수의 동요와 학술 저서를 남겼다. 그는 정치적으로 진보적인 성향을 보였으나, 반유대주의적인 면모도 보였다. 그의 유산은 박물관, 기념비, 문학상 등을 통해 기념되고 있으며, 그의 작품들은 독일 문학과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유럽 - 베니토 무솔리니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독재자로, 파시스트 운동을 창시하여 총리에 오른 뒤 전체주의적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팽창주의적 외교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실각 후 처형되었다. - 19세기 유럽 - 3B 정책
- 브레슬라우 대학교 교수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19세기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해석학과 정수론에 공헌했으며,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증명, 푸리에 급수 수렴성 증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등으로 유명하고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정리들이 존재한다. - 브레슬라우 대학교 교수 - 빌헬름 딜타이
빌헬름 딜타이는 독일에서 태어난 철학자, 역사가, 교육학자로, 역사주의 철학을 발전시키고 '정신과학'을 정립하려 했으며, '이해' 개념을 중심으로 인문과학 이론을 구축하여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삶의 철학'으로 불리는 사상을 남겼다. - 독일의 혁명가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혁명가 - 페르디난트 라살
페르디난트 라살은 19세기 독일의 법학자이자 사회주의 사상가, 정치가로서 전독일 노동자 동맹을 창설하여 독일 노동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마르크스와의 협력 및 갈등 속에서 독자적인 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비스마르크와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으나 결투로 사망하여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정치 운동가로서 논쟁적인 평가를 받는다.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 |
출생 | 1798년 4월 2일 |
출생지 | 팔러스레벤, 신성 로마 제국 |
사망 | 1874년 1월 19일 |
사망지 | 회크스터, 독일 제국 |
국적 | 독일 |
직업 | 시인, 사서, 교수 |
활동 기간 | 알 수 없음 |
알려진 작품 | "" (독일인의 노래) |
2. 생애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은 1798년 니더작센의 팔러슬레벤에서 태어나 1874년 코르베이에서 사망한 독일의 시인이자 독일학자이다. 그의 생애는 학문적 성취와 더불어 당시의 정치적 격변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초기에는 신학을 공부했으나 곧 독일 문학과 언어학 연구로 방향을 틀어 브레슬라우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그러나 그의 자유주의적이고 애국적인 사상을 담은 저작, 특히 ''정치적이지 않은 노래''(Die unpolitischen Lieder|디 운폴리티셴 리더de)가 프로이센 당국의 정치적 탄압을 받아 교수직에서 해임되고 망명 생활을 하게 되었다.[1]
망명 기간 동안 여러 나라를 떠돌았으나 1848년 독일 혁명 이후 프로이센으로 돌아와 명예를 회복했다. 이후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고, 바이마르 등지에서 문학 활동을 이어갔다. 말년에는 코르베이 수도원 성의 사서로 일하다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1][2] 그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2. 1. 출생과 교육
호프만은 당시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에 속했던 니더작센의 팔러슬레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상인이자 시장, 여관 주인이었던 하인리히 빌헬름 호프만(Heinrich Wilhelm Hoffmann), 어머니는 도로테아 발타자르(Dorothea Balthasar)였다.1812년 고향 팔러슬레벤의 국민학교를 졸업한 후 헬름슈테트의 김나지움에 진학했으나, 2년 뒤 브라운슈바이크의 마르티노-카타리노임 학교(Martino-Katharineum)로 전학했다. 1815년 5월에는 네 편의 시를 발표하며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1816년 4월, 18세의 나이로 괴팅겐 대학교에 입학하여 신학을 공부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알테 괴팅거 부르셴샤프트'의 회원이 되었다. 초기에는 고대사에 더 큰 관심을 두었고 요한 요아힘 빙켈만을 학문적 모델로 삼았다. 그러나 1818년 그림 형제를 만났을 때, 야코프 그림으로부터 "조국은 고대보다 더 가까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라는 질문을 받은 것을 계기로, 독일어와 독일 문학 연구(독일학)로 학문 방향을 바꾸게 되었다.
1818년에는 아버지의 인맥과 재력 덕분에 병역 의무를 면제받았다. 같은 해, 그는 자신의 교수였던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벨커(Friedrich Gottlieb Welcker)를 따라 본 대학교로 옮겨, 그곳에서 야코프 그림과 에른스트 모리츠 아른트의 지도를 받았다. 1819년에는 '알텐 본너 부르셴샤프트'의 회원이 되었다.
1821년 5월 8일, 호프만은 중세 서사시인 오트프리트(Otfried)의 단편을 발견했으며, 이를 ''Bruchstücke vom Otfried'' (오트프리트의 단편)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했다. 같은 해에 첫 시집 ''Lieder und Romanzen'' (노래와 로맨스)를 출간하면서 처음으로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이라는 필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 2. 학문적 경력
그는 헬름슈테트와 브라운슈바이크의 고전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이후 괴팅겐 대학교와 본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원래 신학을 공부하려 했으나, 곧 문학 연구에 전념하게 되었다. 1821년 12월, 호프만은 본에서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형제의 도움으로 사서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그는 프로이센 전역에 알려진 개인 도서관을 소유한 그레고어 폰 모이제바흐 남작(Gregor von Meusebach)과 교류하게 되었다. 모이제바흐 남작의 성에서 호프만은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루트비히 울란트 등 당대의 저명한 인물들과 친분을 쌓았다.1823년, 호프만은 브레슬라우 대학교 도서관의 사서로 임명되어 1838년까지 재직했다. 1830년에는 요한 구스타프 고틀리프 뷔싱(Johann Gustav Gottlieb Büsching)의 후임으로 같은 대학에서 독일어와 문학의 특별 교수로 임명되었으며, 1835년에는 정교수가 되었다. 이 시기 그는 자택에서 독일 고문서학과 게르만 고대학 세미나를 열었으며, 훗날 유명한 역사가가 되는 구스타프 프라이타크를 가르치기도 했다.
호프만은 특히 네덜란드어 연구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지역을 총 8번 방문하며 연구에 매진했고, 이를 통해 네덜란드 문헌학의 창시자로 인정받아 라이덴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1840년과 1841년에 출판된 그의 시집 ''Die unpolitischen Liedern''(정치적이지 않은 노래)는 제목과는 달리 당시 프로이센 당국에 큰 불쾌감을 주었다. 이 시집은 초판만 12,000부가 팔리고 추가 주문이 쇄도할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으나, 결국 이로 인해 호프만은 1842년 교수직에서 해임되었다.[1]
2. 3. 망명과 귀환
호프만은 그의 저서 ''정치적이지 않은 노래''(Die unpolitischen Lieder|디 운폴리티셴 리더de, 1840–1841)가 프로이센 당국에 많은 불쾌감을 주었기 때문에 1842년 브레슬라우 대학교 교수직에서 해임되었다.[1] 시집 《비정치적 노래》에서 그가 스스로 언급했듯이 그의 애국적이고 민주적인 태도가 해임의 주된 이유였다.[8] 이듬해, 호프만은 프로이센 국적을 박탈당하고 국외로 추방되었다. 이는 그의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8]추방 이후 호프만은 망명 생활을 시작하여 독일 여러 지역과 스위스, 이탈리아를 여행했다.[1] 이 기간 동안 그는 정치인 친구들의 도움을 받았으며, 특히 3월 혁명 전의 정치인 게오르크 파인(Georg Fein)과 같은 인물들과 교류했다.[8] 그러나 경찰의 끊임없는 감시를 받았고, 총 39번이나 추방당했으며, 그중 3번은 그의 고향인 팔러슬레벤에서였다.[8] 망명 시기 동안 그가 머물렀던 포어스펠데(Wolfsburg-Vorsfelde)나 알트-볼프스부르크(Alt-Wolfsburg)와 같은 장소에는 훗날 표지판이 설치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알트-볼프스부르크의 성 마리엔 교회 목사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록되었다: "호프만 폰 팔러스레벤은 1848년 혁명 전 이 목사관에 도착했다. 친구이자 정치적 동료였던 성 마리엔 교회의 목사 다비드 로흐테(David Lochte, 1826 - 1862)와 함께 국가의 추적자로부터 도피하기 위해 은신처를 구하기 위해서였다."[8]
호프만은 오랫동안 메클렌부르크(Mecklenburg)의 기사령에 머물며 피신했는데, 당시 영지의 소유주가 당국에 호프만을 소몰이꾼으로 신고하여 그의 신분을 숨겨주었기 때문이다.[8] 그는 메클렌부르크에서 2~3년 동안 살면서 그곳의 시민권을 얻었다.[1] 이 시기 외딴 시골 생활 속에서 그는 아름다운 동요들을 창작하기도 했다.[8]
1848년 독일 혁명 이후 발표된 대사면법 덕분에 호프만은 프로이센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8][1] 그는 자신의 권리를 회복했으며, 해임되었던 교수직에 대한 급여(대기 비용)를 받을 수 있었지만, 교수직 자체로 복귀하지는 못했다.[1][8]
2. 4. 결혼과 가족
1849년, 프로이센 당국에 의해 교수직에서 해임되었던 호프만은 명예를 회복하고 라인란트로 돌아올 수 있었다.[1] 같은 해, 그는 51세의 나이로 18세였던 자신의 조카 이다 폰 베르게(Ida von Berge)와 결혼했다. 이다는 하노버-보트펠트(Bothfeld-Vahrenheide) 지역 목사의 딸이었다.1854년,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 카를 알렉산더의 의뢰로 문학 연구 잡지를 편집하던 바이마르에서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를 알게 되었다. 이듬해인 1855년, 바이마르에서 아들 프란츠 프리드리히(Franz Friedrich Hoffmann-Fallersleben)가 태어났다. 아들의 이름은 대부였던 프란츠 리스트와 화가 프리드리히 프렐러 Friedrich Preller der Älterede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프란츠 프리드리히는 화가의 길을 걸어 뒤셀도르프 예술학교 Kunstakademie Düsseldorfde와 바이마르의 대공립 예술학교 Großherzoglichen Kunstschulede에서 테오도어 하겐(Theodor Hagen)에게 풍경화를 배웠다. 그는 1888년까지 바이마르에 머물다가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교수직을 맡았으며, 1927년 베를린에서 사망한 후 바이마르에 묻혔다. 그의 그림들은 현재 볼프스부르크-팔러스레벤의 호프만 폰 팔러스레벤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860년, 호프만 가족은 코르베이(Corvey)로 이주했다. 이는 프란츠 리스트와 자인-비트겐슈타인 가문의 마리 공주(Marie zu Sayn-Wittgenstein)의 도움으로 라티보르 공작 빅토르 1세(Victor I. Herzog von Ratibor)의 궁정 도서관 사서직을 얻게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같은 해 아내 이다가 코르베이에서 세상을 떠났다.
호프만 자신은 1874년 1월 19일, 코르베이에서 뇌졸중으로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 1,000명이 넘는 조문객이 참석한 가운데, 코르베이의 옛 수도원 옆 묘지에 먼저 세상을 떠난 아내 이다 곁에 안장되었다.
2. 5. 코르베이 시절과 사망
1860년, 호프만은 베저 강 근처 회크스터에 위치한 코르베이의 수도원 성에서 라티보르 공작 빅토르 1세의 사서로 임명되었다. 그는 이곳에서 계속 머물렀으며, 1874년에 사망했다.[1][2]3. 작품 활동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은 당대 가장 인기 있는 시인 중 한 명으로, 진보적인 정치 성향을 가졌으며 1848년 혁명 정신을 반영한 정치적인 시를 쓰기도 했다.[1] 동시에 그는 일상의 감정을 단순하고 우아하게 표현한 서정시와 민요로도 널리 알려졌으며, 직접 곡을 붙인 노래들도 많아 독일 전역에서 불렸다.[1]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는 현재 독일의 국가 제3절 가사로 사용되는 독일의 노래( Das Lied der Deutschen|다스 리트 데어 도이첸deu )가 있다.[3] 이 노래는 요제프 하이든의 곡에 가사를 붙인 것으로, 발표 당시에는 범게르만주의적 내용을 담고 있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4]
또한 그는 550편이 넘는 많은 동요를 남겼는데, "Alle Vögel sind schon da|알레 푀겔 진트 숀 다deu", "Summ, summ, summ|줌, 줌, 줌deu", "Morgen kommt der Weihnachtsmann|모르겐 콤트 데어 바이나흐츠만deu" 등은 오늘날에도 독일 어린이들에게 매우 친숙하다.
시인으로서의 활동 외에도 고대 게르만 문학 및 독일어학 연구에 힘써 ''Geschichte des deutschen Kirchenliedes bis auf Luther|게시히테 데스 도이첸 키르헨리데스 비스 아우프 루터deu''("루터까지의 독일 교회 노래의 역사"), ''Unsere volkstümlichen Lieder|운제레 폴크스튐리헨 리더deu''("우리 민요") 등 중요한 학술 저서를 남겼다.[1]
1868년부터 1870년까지 6권짜리 자서전 ''Mein Leben: Aufzeichnungen und Erinnerungen|마인 레벤: 아우프차이히눙엔 운트 에리너룽엔deu''("나의 삶: 기록과 회상")을 출판했으며, 사후에는 전집과 서신 등이 간행되어 그의 문학적, 학문적 업적을 조명하고 있다.[1]
3. 1. 시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은 당대 가장 인기 있는 시인 중 한 명이었으며, 정치적으로는 진보적인 경향에 열렬히 공감했다. 그는 1848년 혁명의 길을 닦은 정치 시인들 중 가장 초창기 멤버이자 가장 효과적인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 그러나 시인으로서 그의 명성은 주로 일상생활의 열정과 염원을 쉽고 단순하며 우아하게 표현하여 얻은 것이다. 그는 정식으로 음악을 배우지는 않았지만, 많은 노래에 직접 멜로디를 작곡했으며, 그가 만든 상당수의 곡은 독일 전역의 모든 계층에서 널리 불리고 있다.[1]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는 "Deutschland, Deutschland über alles|독일, 독일 모든 것 위에de"라는 가사로 시작하는 애국가 "Das Lied der Deutschende"이다. 이 노래는 요제프 하이든이 1797년에 작곡한 곡조를 사용하며, 가사는 1841년 당시 영국령이었던 헬고란트 섬에서 쓰였다.[3] 이 노래의 가사는 당시 혁명적 공화주의자들에게 흔했던 범게르만주의적 정서를 표현했는데, 이는 여러 공국으로 나뉘어 있던 독일에서 선동적이고 반역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당시 'über alles|모든 것 위에de'라는 구절은 외국 정복에 대한 호전적인 생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적 충성심보다 통일된 독일에 대한 충성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의미였다.[4]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의 가장 훌륭한 시집은 ''Gedichtede''("시", 1827)로 꼽히지만, 그의 다른 작품들에서도 큰 가치를 찾을 수 있다.[1]
- ''Alemannische Liederde'' ("알레만 노래", 1826)
- ''Soldatenlebende'' ("병사의 삶", 1852)
- ''Rheinlebende'' ("라인강의 삶", 1865)
그는 또한 많은 동요를 남겼는데, ''Fünfzig neue Kinderliederde'' ("50개의 새로운 동요")와 ''Alte und neue Kinderde'' ("오래된 동요와 새로운 동요") 등이 있다.[1] 그의 많은 동요들은 오늘날까지도 인기가 있으며, "Alle Vögel sind schon da|모든 새들은 이미 여기 있네de", "Ein Männlein steht im Walde|숲 속에 서 있는 작은 남자de", "Summ, summ, summ|붕붕붕de", "Winters Abschied|겨울의 작별de" ("''Winter ade, scheiden tut wehde''"), "Kuckuck, Kuckuck, ruft's aus dem Wald|뻐꾹, 뻐꾹, 숲 속에서 외치네de", "Der Kuckuck und der Esel|뻐꾸기와 당나귀de", "A, a, a, der Winter der ist da|아, 아, 아, 겨울이 왔네de", "Der Frühling hat sich eingestellt|봄이 왔네de", 그리고 크리스마스 노래 "Morgen kommt der Weihnachtsmann|내일 산타클로스가 오시네de" 등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독일 어린이들이 알고 있다. 아말리에 숄과 파울리네 폴크슈타인을 포함한 다른 작곡가들은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의 가사에 곡을 붙였다.[5][6]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의 ''Unpolitische Liederde'' ("비정치적 노래"), ''Deutsche Lieder aus der Schweizde'' ("스위스에서 온 독일 노래") 및 ''Streiflichterde'' ("하이라이트")는 주로 그가 작품을 쓴 시대의 사회적, 정치적 움직임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
3. 2. 독일의 노래 (Das Lied der Deutschen)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 중 하나는 'Deutschland, Deutschland über alles'로 시작하는 애국적인 노래 Das Lied der Deutschende이다. 이 곡은 요제프 하이든이 1797년에 작곡한 곡조를 사용하며, 가사는 1841년 당시 영국령이었던 헬고란트 섬에서 쓰여졌다.[3]이 노래의 가사는 당시 독일어 사용 공국들에서 선동적이고 반역적인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1848년 혁명을 지지했던 혁명적 공화주의자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던 범게르만주의 정서를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über alles'(무엇보다도 위에)라는 구절은 흔히 오해되곤 하지만, 작사 당시에는 외국 정복에 대한 호전적인 의미가 아니라, 여러 공국으로 나뉘어 있던 독일인들이 지역적 충성심을 넘어 통일된 독일에 우선적으로 충성해야 한다는 열망을 표현한 것이었다.[4]
3. 3. 동요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은 정치적인 시 외에도 일상생활의 감정을 쉽고 단순하게 표현한 시로도 명성을 얻었다.[1] 그는 총 550편의 어린이 노래를 썼으며, 그중 80편에는 곡이 붙어 있다. 이 곡들의 상당수는 그의 친구인 에른스트 하인리히 레오폴트 리히터(Ernst Heinrich Leopold Richter)와의 합작이다.그의 동요 중 다수는 오늘날까지도 독일 어린이들에게 널리 불리며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아말리에 숄과 파울리네 폴크슈타인을 포함한 다른 작곡가들도 그의 가사에 곡을 붙였다.[5][6]
주요 동요는 다음과 같다.
- Alle Vögel sind schon da|모든 새들이 이미 여기 있다de: 할덴슬레벤(Haldensleben)에서 쓰였으며, 일본에서는 "안개인가 구름인가"라는 제목으로 번안되어 알려져 있다.
- Ein Männlein steht im Walde|작은 남자가 숲에 서 있다de: 1843년 12월 작품으로, 일본에서는 "연못의 비"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 Summ, summ, summ|붕붕붕de: 원제는 Biene|벌de. 일본에서는 "붕붕붕"이라는 제목으로 널리 불린다.
- Winters Abschied|겨울맞이 작별de: 부제는 "Winter ade, scheiden tut weh|겨울이여 안녕, 이별은 괴로워de". 일본에서는 "새의 소리" 또는 "안녕"이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 Kuckuck, Kuckuck, ruft's aus dem Wald|뻐꾹, 뻐꾹, 숲에서 운다de: 일본에서는 "뻐꾸기"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 Der Kuckuck und der Esel|뻐꾸기와 당나귀de
- A, a, a, der Winter der ist da|아, 아, 아, 겨울이 왔다de
- Der Frühling hat sich eingestellt|봄이 찾아왔다de
- Morgen kommt der Weihnachtsmann|내일 산타클로스가 오신다de: 크리스마스 노래로, "반짝반짝 작은 별"의 선율에 가사를 붙인 것이다.
- Froschgesang|개구리 노래de: 일본에서는 "개구리 합창"이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다.
3. 4. 학술 저서
고대 게르만 문학 연구 분야에서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은 매우 끈기 있고 깊이 있는 학식을 갖춘 독일 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 그의 주요 연구 성과는 여러 저서를 통해 발표되었는데, 대표적인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1]- ''Horae Belgicae'' (Horae Belgicae|벨기에의 시간lat)
- ''Fundgruben für Geschichte deutscher Sprache und Literatur'' (Fundgruben für Geschichte deutscher Sprache und Literatur|독일어와 문학의 역사를 위한 자료deu)
- ''Altdeutsche Blätter'' (Altdeutsche Blätter|고대 독일 논문deu)
- ''Spenden zur deutschen Literaturgeschichte und Findlinge'' (Spenden zur deutschen Literaturgeschichte und Findlinge|독일 문학사와 발견에 대한 기여deu)
그가 편집한 역사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Reineke Vos''
- ''Monumenta Elnonensia''
- ''Theophilus''
1836년에 출판된 ''Die deutsche Philologie im Grundriss'' (Die deutsche Philologie im Grundriss|독일어학의 기본deu)는 당시 독일어학 연구 분야에 귀중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 독일 문학 역사가들은 오늘날에도 그의 다음 저작들을 중요하게 여긴다.[1]
- ''Geschichte des deutschen Kirchenliedes bis auf Luther'' (Geschichte des deutschen Kirchenliedes bis auf Luther|루터까지의 독일 교회 노래의 역사deu, 1832년 초판, 1861년 제3판)
- ''Unsere volkstümlichen Lieder'' (Unsere volkstümlichen Lieder|우리 민요deu, 1869년 제3판)
- ''Die deutschen Gesellschaftslieder des 16. und 17. Jahrh.'' (Die deutschen Gesellschaftslieder des 16. und 17. Jahrh.|16~17세기 독일 사교 노래deu, 1860년 제2판)
4. 정치적 사상
아우구스트 하인리히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은 프랑스 혁명 직후 분열된 독일의 전제 군주제 환경 속에서 성장하며 어린 시절부터 정치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점령기에는 시민권의 도입(법 앞의 평등, 신교의 자유, 재판 공개 등)을 경험했으나, 이후 하노버 왕국 체제 하에서 과거의 신분 질서가 복원되는 것을 목격했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잃어버린 시민적 자유를 되찾고 분열된 독일 땅을 하나로 통일하려는 정치적 활동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열망은 당시 학생들과 자유주의적 시민들 사이에서 널리 불린 "독일인의 노래"와, 제목과 달리 검열, 전제군주제, 소국 분립 상태 등 당대 정치 현실을 비판한 시집 ''Die Unpolitischen Lieder''에 잘 나타나 있다.
하지만 호프만은 완전한 민주주의자는 아니었다. 그의 정치적 목표의 핵심은 독일 통일이었으며, 이를 위해서라면 황제 중심의 제정 부활도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의 사상에는 프랑스에 대한 강한 적개심이 존재했으며, 배타적인 민족주의 성향과 함께 뿌리 깊은 반유대주의적 시각도 드러냈다.[9] 1845년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 방문 당시, 덴마크에 맞서는 독일 민족 운동에 처음에는 열광했지만, 슐레스비히 시 집회 이후 지역 주민들과의 문화적 이질감을 느끼며 실망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이는 그의 민족주의가 지닌 한 단면을 보여준다.
호프만의 작품은 그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지만, 그의 정치적 견해는 때로 논란을 일으키며 직업적 어려움을 야기하기도 했다. 그가 평생 염원했던 독일의 통일과 자유는 그가 살아있던 1871년,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주도로 독일 제국이 건국되면서 현실화되었다.
4. 1. 민주주의와 독일 통일 지향
:신은 우리에게 이 중대한 투쟁의 결과를 영광스럽게 만들고 인류에게 큰 공헌을 보여줄 것을 맡겨주셨다. 나의 공헌은 우리 모두에게 "모든 사람에게 으뜸가는 독일"을 현실로 만드는 것이다. (아돌프 슈트륌펠에게 보낸 편지, 1870년 8월 27일)
1845년, 호프만은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을 방문하여 덴마크 왕정에 맞서는 독일 민족 운동에 감격했다. 하지만 슐레스비히 시에서 열린 집회 이후, 그는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실망감을 일기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저 슐레스비히인들과 우리와 공통된 것은 거의 언어뿐이라고 해도 좋다. 그들 중에는 덴마크 기질이 깊이 박혀 있으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것이 떠올라 보인다…… (https://www.slesvigland.dk/asp_mdb_arkiv/loadtext.asp?billede=miniature_mtekst&nummer=1980-04-06de&sprog=dk&id=1-2&soegeord=&soegekriterie=&artikel_sprog=&admin=&de=ja Slesvigland, 1980, Nr. 4)
호프만은 또한 뿌리 깊은 반유대주의 성향을 보였다. 독일 민족 중심적 사고를 가졌던 그는 "유대-코스모폴리탄"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으며, 이는 그의 시에서도 나타난다.
:''„Des deutschen Kaisers Kammerknechte''
:''sind jetzt Europas Kammerherrn.''
:''Am Himmel aller Erdenmächte,''
:''o Israel, wie glänzt dein Stern“'' [9]
:(번역)
:독일 황제의 하녀들이
:이제 유럽의 시종이 되었네
:땅의 나라들이 모두 하늘이라 우러르는 그곳에
:오 이스라엘이여, 그대의 별은 얼마나 빛나는가
호프만의 작품은 그에게 명성을 가져다주었지만, 동시에 그의 직업적 성공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그가 평생 염원했던 독일의 통일과 자유는 그가 살아있던 1871년,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주도로 독일 제국이 건국되면서 현실이 되었다.
4. 2. 민족주의와 반유대주의
신은 우리에게 이 중대한 투쟁의 결과를 영광스럽게 만들고 인류에게 큰 공헌을 보여줄 것을 맡겨주셨다. 나의 공헌은 우리 모두에게 "모든 사람에게 으뜸가는 독일"을 현실로 만드는 것이다.아돌프 슈트륌펠에게 보낸 편지, 1870년 8월 27일
1845년, 호프만은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을 방문하여 덴마크 왕정에 맞선 독일 민족 운동에 처음에는 열광적인 지지를 보냈다. 그러나 슐레스비히 시에서 열린 집회를 본 뒤에는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며, 슐레스비히인들이 독일인과는 언어 외에는 공통점이 거의 없으며 덴마크적 기질이 깊다고 평가했다. 이는 그의 민족주의가 특정 지역이나 문화적 차이에 대해 배타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저 슐레스비히인들과 우리와 공통된 것은 거의 언어뿐이라고 해도 좋다. 그들 중에는 덴마크 기질이 깊이 박혀 있으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것이 떠올라 보인다……
[https://www.slesvigland.dk/asp_mdb_arkiv/loadtext.asp?billede=miniature_mtekst&nummer=1980-04-06de&sprog=dk&id=1-2&soegeord=&soegekriterie=&artikel_sprog=&admin=&de=ja Slesvigland, 1980, Nr. 4]
또한 호프만은 뿌리 깊은 반유대주의자였다. 그는 독일 민족을 우위에 두는 관점에서 당시 유럽 사회에서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던 유대인들을 "유대-코스모폴리탄"이라 부르며 경계하고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의 이러한 생각은 아래 시에서도 드러난다.
''„Des deutschen Kaisers Kammerknechte
''sind jetzt Europas Kammerherrn.''
''Am Himmel aller Erdenmächte,''
''o Israel, wie glänzt dein Stern“'' [9]
(번역)
독일 황제의 하녀들이
이제 유럽의 시종이 되었네
땅의 나라들이 모두 하늘이라 우러르는 그곳에
오 이스라엘이여, 그대의 별은 얼마나 빛나는가
이 시는 당시 유럽 사회에서 유대인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대한 반감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4. 3.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
1845년, 호프만은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의 두 공국을 방문했다. 그는 처음에 덴마크 왕실 정권에 대항하는 독일 국민의 봉기를 보고 크게 감격했다. 그러나 슐레스비히 시에서 열린 집회에 참석한 후에는 실망감을 느꼈다. 그는 자신의 일기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저 슐레스비히인들과 우리와 공통된 것은 거의 언어뿐이라고 해도 좋다. 그들 중에는 덴마크 기질이 깊이 박혀 있으며,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것이 떠올라 보인다……" [https://www.slesvigland.dk/asp_mdb_arkiv/loadtext.asp?billede=miniature_mtekst&nummer=1980-04-06de&sprog=dk&id=1-2&soegeord=&soegekriterie=&artikel_sprog=&admin=&de=ja Slesvigland, 1980, Nr. 4]
5. 유산과 영향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의 문학적, 정치적 유산은 오늘날에도 독일 사회 곳곳에서 기려지고 있다. 그의 생애와 업적을 조명하는 박물관(볼프스부르크 시 팔러슬레벤 성)이 운영되고 있으며, 헬고란트 섬을 비롯한 여러 장소에 기념물이 세워졌다. 또한 브라운슈바이크, 하노버, 헤크스터, 바이마르, 볼프스부르크 등 여러 도시에 그의 이름을 딴 학교들이 존재하며, 그의 정신을 기리는 문학상(호프만 폰 팔러슬레벤 상)과 기념 행사(호프만 폰 팔러슬레벤 메달 수여식)도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다.
5. 1. 독일 문학과 음악에 끼친 영향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은 당대 가장 인기 있는 시인 중 한 명이었다. 정치적으로는 진보적인 경향에 공감했으며, 1848년 혁명의 길을 연 정치 시인들 중 초기 멤버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였다. 그러나 시인으로서 그는 일상생활의 감정을 쉽고 단순하며 우아하게 표현하여 명성을 얻었다. 정식 음악 교육을 받지는 않았지만, 많은 노래에 직접 멜로디를 붙였고, 이 곡들 중 상당수는 독일 전역의 모든 계층에게 널리 불리고 있다.[1]가장 잘 알려진 곡은 Das Lied der Deutschen|독일인의 노래de로, "Deutschland, Deutschland über alles"라는 가사로 시작하며 요제프 하이든이 1797년에 작곡한 곡조를 사용한다. 이 가사는 1841년 당시 영국령이었던 헬고란트 섬에서 쓰였다.[3] 가사는 당시 혁명적 공화주의자들 사이에서 흔했던 범게르만주의적 정서를 담고 있어, 여러 독일 공국에서는 선동적이고 반역적으로 여겨졌다. 당시 "über alles"(무엇보다 위에)라는 구절은 다른 나라에 대한 호전적인 의미가 아니라, 지역적 충성심보다 통일된 독일에 대한 충성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의미였다.[4]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의 가장 뛰어난 시집은 ''Gedichte''("시", 1827)로 평가받지만, 다른 작품들 역시 높은 가치를 지닌다.
- ''Alemannische Lieder'' ("알레만 노래", 1826)
- ''Soldatenleben'' ("병사의 삶", 1852)
- ''Rheinleben'' ("라인강의 삶", 1865)
- ''Fünfzig neue Kinderlieder'' ("50개의 새로운 동요")
- ''Alte und neue Kinderlieder'' ("오래된 동요와 새로운 동요")[1]
그가 쓴 많은 동요는 오늘날까지도 큰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Alle Vögel sind schon da", "Ein Männlein steht im Walde", "Summ, summ, summ", "Winters Abschied" ("''Winter ade, scheiden tut weh''"), "Kuckuck, Kuckuck, ruft's aus dem Wald", "Der Kuckuck und der Esel", "A, a, a, der Winter der ist da", "Der Frühling hat sich eingestellt", 그리고 크리스마스 노래 "Morgen kommt der Weihnachtsmann" 등은 거의 모든 독일 어린이들이 알고 있을 정도이다. 아말리에 숄과 파울리네 폴크슈타인을 포함한 다른 작곡가들도 그의 가사에 곡을 붙였다.[5][6]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의 ''Unpolitische Lieder'' ("비정치적 노래"), ''Deutsche Lieder aus der Schweiz'' ("스위스에서 온 독일 노래"), ''Streiflichter'' ("하이라이트") 등은 그가 활동했던 시대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고대 게르만 문학 연구자로서 그는 매우 끈기 있고 수준 높은 독일 학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는다. 그의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은 저작들에 담겨 있다.
- ''Horae Belgicae'' ("벨기에의 시간")
- ''Fundgruben für Geschichte deutscher Sprache und Literatur'' ("독일어와 문학의 역사를 위한 자료")
- ''Altdeutsche Blätter'' ("고대 독일 논문")
- ''Spenden zur deutschen Literaturgeschichte und Findlinge'' ("독일 문학사와 발견에 대한 기여")[1]
그가 편집한 주요 역사 작품은 다음과 같다.
- ''Reineke Vos''
- ''Monumenta Elnonensia''
- ''Theophilus''
''Die deutsche Philologie im Grundriss'' ("독일어학의 기본", 1836)는 출판 당시 어학 연구에 귀중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독일 문학 역사가들은 여전히 그의 다음 저작들을 중요하게 여긴다.
- ''Geschichte des deutschen Kirchenliedes bis auf Luther'' ("루터까지의 독일 교회 노래의 역사", 1832; 제3판: 1861)
- ''Unsere volkstümlichen Lieder'' ("우리 민요", 제3판: 1869)
- ''Die deutschen Gesellschaftslieder des 16. und 17. Jahrh.'' ("16~17세기 독일 사교 노래", 제2판: 1860)[1]
1868년부터 1870년까지 호프만은 6권으로 이루어진 자서전 ''Mein Leben: Aufzeichnungen und Erinnerungen'' ("나의 삶: 기록과 회상")을 출판했으며, 이는 1894년에 2권으로 요약되어 다시 출판되었다. 그의 작품 전체를 모은 ''Gesammelte Werke'' ("전집")는 H. 게르스텐베르크가 편집하여 8권(1891~1894)으로 나왔고, 주요 작품을 선별한 ''Ausgewählte Werke'' ("선집")는 H. 벤츠만이 편집하여 4권(1905)으로 출판되었다. 이 외에도 ''Briefe von Hoffmann von Fallersleben und Moritz Haupt an Ferdinand Wolf'' ("페르디난트 볼프에게 보낸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과 모리츠 하우프트의 편지", 1874), J. M. 바그너의 ''Hoffmann von Fallersleben, 1818~1868'' (1869~1870), R. 폰 고트샬의 ''Porträts und Studien'' ("초상과 연구", 제5권, 1876) 등에서 그의 삶과 업적을 더 찾아볼 수 있다.[1]
5. 2. 한국에 미친 영향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은 당대 독일에서 매우 인기 있는 시인이었으며, 정치적으로는 진보적인 입장을 강하게 지지했다. 그는 1848년 혁명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한 초기 정치 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 그의 시는 독일 민족의 통일과 정체성에 대한 열망을 담고 있었는데, 이는 당시 여러 공국으로 분열되어 있던 독일의 상황을 반영한 것이었다.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오늘날 독일 국가의 가사로 사용되는 Das Lied der Deutschen|독일인의 노래deu이다. 이 노래는 요제프 하이든이 1797년에 작곡한 곡조에, 호프만이 1841년 당시 영국령이었던 헬고란트 섬에서 가사를 붙인 것이다.[3] 가사 중 특히 Deutschland, Deutschland über alles|독일이여, 독일이여, 세상의 무엇보다 위에deu라는 구절은 당시 혁명적 공화주의자들이 공유하던 범게르만주의적 정서를 나타낸다. 이는 각 지역의 충성심보다 통일된 독일에 대한 충성을 우선시하자는 의미였으나, 당시 보수적인 독일 공국들에게는 위험하고 선동적인 내용으로 받아들여졌다.[4]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의 작품이 한국에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기록은 찾기 어렵다. 하지만 그의 시가 담고 있는 민족적 자긍심 고취, 분열된 조국의 통일에 대한 염원, 그리고 기존 질서에 대한 저항 정신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독일인의 노래'와 같이 민족적 정체성과 단결을 강조하는 내용은, 국가적 위기나 외세의 억압 아래 놓인 다른 민족에게도 영감을 줄 수 있는 보편적인 힘을 지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만약 그의 작품이 일제강점기 한국에 알려졌다면, 비슷한 처지에서 독립과 민족 해방을 갈망하던 한국의 지식인이나 독립운동가들에게 그의 시가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저항 정신을 북돋우는 데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특히 분열과 억압 속에서도 민족의 통일과 미래를 노래한 그의 정신은, 식민 통치의 고통 속에서 독립을 염원했던 당시 한국인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을 수 있다.
5. 3. 기념 사업
볼프스부르크 시의 팔러슬레벤 성에는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 박물관이 개설되어 있다. 호프만의 생가(Hoffmann-Haus)는 현재 연회장이 딸린 호텔 겸 레스토랑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볼프스부르크 시의 소유이다. 건물 앞에는 호프만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조각가 지크프리트 노이엔하우젠은 2007년에 호프만의 초상화가 새겨진 청동 부조를 제작했다. 이 부조는 하노버의 니더작센 주 의사당 건물인 라이네슐로스의 이름을 새긴 문 아치에 부착되어 있다. 두 번째 부조는 2008년부터 볼프스부르크 시청에 전시되어 있다.
북해의 헬고란트 섬에는 호프만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브라운슈바이크, 하노버, 헤크스터, 뤼텐부르크, 바이마르, 볼프스부르크 등 여러 도시에서는 호프만의 이름을 따서 학교 이름을 지었다. 호프만을 기념하기 위해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 협회'가 2년마다 문학상인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 상'을 수여하고 있다. 또한 매년 5월 1일에는 코르베이 성의 대강당에서 호프만 폰 팔러슬레벤 메달이 수여된다. 이는 1860년 5월 1일 호프만이 코르베이에서 사서직에 취임한 것을 기념하는 것으로, 독일 통일에 특히 헌신한 인물에게 주어진다.
하노버-보트펠트의 성 니콜라이 교회에는 1941년 독일의 노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호프만을 추모하기 위해 심은 참나무가 있다. 보트펠트는 호프만이 1849년에 결혼하여 많은 전원시를 창작한 곳이며, 이 사실은 석비에 새겨져 있다.
참조
[1]
간행물
Hoffmann, August Heinrich
[2]
웹사이트
Hoffmann von Fallersleben
http://www.gymmuench[...]
2011-10-03
[3]
문서
[4]
서적
The European Revolutions, 1848-185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5]
웹사이트
Amalie Karoline Luise Scholl Song Texts {{!}} LiederNet
https://www.lieder.n[...]
2023-02-25
[6]
웹사이트
Pauline Volkstein und ihre Volkslieder. Von Dr. Armin Knab. - Deutsche Digitale Bibliothek
http://www.deutsche-[...]
2023-03-04
[7]
뉴스
DAAD Letter
Deutschen Akademischen Austauschdienst e. V. Bonn
1991-09
[8]
서적
'Findbuch zum Bestand Nachlaß des Demokraten Georg Fein (1803 – 1869) sowie Familie Fein (1737-) ca. 1772-1924'
Niedersächsische Archivverwaltung, Wolfenbüttel
1991
[9]
웹사이트
Salvator Mundi
http://www.von-fal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