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 글라이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틸렌 글라이콜은 무색의 끈적한 액체로, 끓는점 197°C, 어는점 -13°C이며 흡습성이 있다. 에틸렌 글라이콜은 에틸렌 옥사이드를 거쳐 에틸렌으로부터 생산되며, 부동액, 폴리에스터 섬유 및 수지 생산에 사용된다. 또한 천연 가스 산업에서 제습제로 사용되며, 유기 합성에서 보호기로 활용된다. 섭취 시 유해하며, 대사산물인 글라이콜산과 옥살산이 독성을 나타내 간, 신장,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환경으로 배출될 경우 분해되지만, 기형 발생 물질로 작용할 수 있으며, 한국에서는 위험물, 유해물, 해양 유해 물질로 지정되어 관련 법규의 적용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케인다이올 - 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α-프로필렌글리콜, C3H8O2)은 프로필렌 옥사이드로부터 생산되어 식품, 의약품, 부동액, 전자담배 액상 등에서 용매, 습윤제, 부동액으로 사용되지만, 안전성 논란 및 알레르기 반응 가능성이 있다. - 알케인다이올 - 1,3-프로페인다이올
1,3-프로페인다이올은 복합 재료, 접착제, 코팅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이며,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의 핵심 원료로 화학적 합성 및 생물학적 방법으로 생산된다. - 당알코올 - 자일리톨
자일리톨은 설탕 대체 감미료로 충치 예방 효과가 있고 혈당 영향이 적어 당뇨 환자에게 유용하지만, 과다 섭취 시 소화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개에게는 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하는 5탄당 알코올이다. - 당알코올 - 말티톨
말티톨은 설탕 대체재로 사용되는 이당류 감미료로, 칼로리가 낮고 충치를 유발하지 않으며, 다양한 식품 및 제약 산업에서 활용되지만 과량 섭취 시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 알코올 용매 - 메탄올
메탄올은 가장 간단한 알코올로, 과거 목재 건류로 얻어 목정이라고도 불렸으나 현재는 합성 가스를 이용해 생산되며, 폼알데하이드 제조, 바이오디젤 생산, 용매, 부동액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독성이 강해 섭취 시 실명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그린 메탄올 생산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 알코올 용매 - 에탄올
에탄올은 두 개의 탄소로 된 알코올로, 음료의 주성분, 살균제, 용매, 연료 등으로 쓰이며 에틸렌 수화 반응이나 당 발효를 거쳐 생산되고, 인화성이 높으며 섭취 시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에틸렌 글라이콜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 | |
![]() | |
![]() | |
관용명 | 에틸렌 글라이콜 |
아이유팩(IUPAC) 명칭 | 에탄-1,2-다이올 |
기타 명칭 | 에틸렌 글라이콜 1,2-에탄다이올 에틸렌 알코올 하이포다이카본산 모노에틸렌 글라이콜 1,2-다이하이드록시에탄 글라이콜 용매 |
식별 정보 | |
약어 | MEG |
화학 물질 데이터베이스(ChEMBL) | 457299 |
표준 국제 화학 식별자(StdInChI) | 1S/C2H6O2/c3-1-2-4/h3-4H,1-2H2 |
표준 국제 화학 식별자 키(StdInChIKey) | LYCAIKOWRPUZTN-UHFFFAOYSA-N |
캐스 등록번호(CAS No.) | 107-21-1 |
펍켐(PubChem) | 174 |
켐스파이더(ChemSpider) 아이디 | 13835235 |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NLM) 식별자 | FC72KVT52F |
유럽 화학 물질 정보 시스템(EINECS) | 203-473-3 |
약물 은행(DrugBank) | 해당 없음 |
쿄토 백과사전 유전자 및 게놈(KEGG) | C01380 |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MeSH) | Ethylene+glycol |
유럽 생물 정보학 연구소(ChEBI) | 30742 |
미국 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소(RTECS) | KW2975000 |
유엔 번호(UN Number) | 3082 |
스마일즈(SMILES) | OCCO |
국제 화학 식별자(InChI) | 1/C2H6O2/c3-1-2-4/h3-4H,1-2H2 |
국제 화학 식별자 키(InChIKey) | LYCAIKOWRPUZTN-UHFFFAOYAD |
베일스타인 등록번호(Beilstein Registry Number) | 505945 |
멜린 등록번호(Gmelin Registry Number) | 943 |
3차원 메타볼롬 데이터베이스(3DMet) | B00278 |
화학적 성질 | |
분자식 | C2H6O2 |
몰 질량 | 62.068 g/mol |
외관 | 무색 액체 |
냄새 | 무취 |
밀도 | 1.1132 g/cm3 |
녹는점 | -12.9 °C |
끓는점 | 197.3 °C |
용해도 | 혼화성 |
다른 용해도 |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THF, 다이옥산에 용해됨. DCM과 혼화되고 다이에틸 에터와 약간 혼화됨. 톨루엔 또는 헥산과 혼화되지 않음. |
증기압 | 7.99 Pa (20 °C) |
점성 | 1.61E-2 Pa·s |
옥탄올-물 분배 계수(LogP) | -1.69 |
열화학 | |
표준 생성 엔탈피 | -460 kJ/mol |
엔트로피 | 166.9 J/(mol·K) |
열용량 | 149.5 J/(mol·K) |
위험성 | |
주요 위험 | 유해함, 섭취 시 독성 옥살산 생성, 가연성 |
미국 화재 예방 협회(NFPA) - 건강 | 2 |
미국 화재 예방 협회(NFPA) - 가연성 | 1 |
미국 화재 예방 협회(NFPA) - 반응성 | 0 |
GHS 신호어 | 경고 |
인화점 | 111 °C (밀폐 용기) |
자동 발화점 | 410 °C |
폭발 한계 | 3.2–15.2% |
미국 산업안전보건청(PEL) | 해당 없음 |
미국 국립 산업 안전 보건 연구소(REL) | 설정된 값 없음 |
즉시 생명 및 건강에 위험한 농도(IDLH) | 해당 없음 |
관련 화합물 | |
관련 작용기 | 프로필렌 글라이콜 다이에틸렌 글라이콜 트라이에틸렌 글라이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
부류 | 다이올 |
2. 성질
무색의 끈끈한 액체이다. 분자량은 62.07, 끓는점은 197°C, 20°C에서의 비중은 1.1155, 어는점은 -13°C이다. 생성열은 -111.1kcal/mole, 연소열은 282.2kcal/mole이다. 흡습성이 있다.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글리세롤, 아세트산, 피리딘과 잘 섞이며, 클로로폼, 에테르, 벤젠, 이황화 탄소에는 잘 섞이지 않는다. 염화 나트륨, 염화 아연, 탄산 칼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칼슘 등의 무기화합물을 녹일 수 있다.
에틸렌 글리콜은 에틸렌옥사이드(에폭시에탄, 옥시란)를 산 촉매 하에서 가수분해하여 얻거나, 무촉매 조건에서 고온, 고압 하에 에틸렌옥사이드와 물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3. 생산
:
2008년 일본 내 에틸렌 글리콜 생산량은 628,793t, 소비량은 12,089t이었다.
3. 1. 산업적 생산
에틸렌 글리콜은 에틸렌(에텐)으로부터 에틸렌 옥사이드를 거쳐 생산된다. 에틸렌 옥사이드는 물과 반응하여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식에 따라 에틸렌 글리콜을 생성한다.
:
이 화학 반응은 산이나 염기에 의해 촉매될 수 있으며, 높은 온도에서 중성 pH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에틸렌 글리콜의 가장 높은 수율은 산성 또는 중성 pH에서 다량의 물이 있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90%의 에틸렌 글리콜 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 주요 부산물은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올리고머이다. 이러한 올리고머와 물을 분리하는 것은 에너지 집약적이다. 2010년 세계 에틸렌 글리콜 생산량은 약 2000만ton이었다.[9]
쉘의 OMEGA 공정을 사용하면 더 높은 선택성을 얻을 수 있다. OMEGA 공정에서 에틸렌 옥사이드는 먼저 이산화 탄소와 반응하여 에틸렌 카보네이트로 전환된다. 이 고리는 두 번째 단계에서 염기 촉매를 사용하여 가수분해되어 98%의 선택성으로 모노에틸렌 글리콜을 생성한다.[10] 이 단계에서 이산화 탄소가 다시 방출되며 공정 회로로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이산화 탄소는 에틸렌 옥사이드 생산의 일부에서 나오는데, 여기서 에틸렌의 일부는 완전히 산화된다.
석탄 매장량이 많고 환경 규제가 덜 엄격한 국가에서는 일산화 탄소로부터 에틸렌 글리콜을 생산한다. 메탄올의 산화적 카르보닐화 반응을 통해 디메틸 옥살레이트를 생성하는 것은 기반 에틸렌 글리콜 생산에 유망한 접근법을 제공한다.[11] 디메틸 옥살레이트는 구리 촉매를 사용한 수소화 반응을 통해 높은 수율(94.7%)로 에틸렌 글리콜로 전환될 수 있다.[12][13]
메탄올은 재활용되므로 일산화 탄소, 수소 및 산소만 소비된다. 연간 200000ton의 에틸렌 글리콜 생산 능력을 갖춘 한 공장은 내몽골 자치구에 있으며, 연간 250000ton의 생산 능력을 갖춘 두 번째 공장은 2012년에 중국 허난성에 건설될 예정이었다.[14] 2015년 기준, 각각 200000ton의 생산 능력을 가진 4개의 공장이 중국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최소 17개의 공장이 더 건설될 예정이다.[15]
에틸렌 글리콜은 에틸렌옥사이드(에폭시에탄, 옥시란)을 산 촉매 하에서 가수분해하면 얻을 수 있다. 무촉매 조건에서도 고온, 고압 하에서 에틸렌옥사이드와 물을 반응시켜 에틸렌 글리콜을 얻을 수 있다.
:
에틸렌 글리콜의 2008년도 일본 국내 생산량은 628,793t, 소비량은 12,089t이다.
3. 2. 생물학적 경로
에틸렌 글라이콜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중합체 유도체를 재활용하여 생산할 수 있다.[16]
3. 3. 역사적 경로
대부분의 자료에 따르면, 프랑스 화학자 샤를 아돌프 뷔르츠(1817–1884)가 1856년에 처음으로 에틸렌 글리콜을 제조했다.[17] 그는 먼저 "에틸렌 요오드화물"(1,2-아이오도에탄)을 아세트산은으로 처리한 다음, 생성된 "에틸렌 디아세테이트"를 수산화 칼륨으로 가수분해했다. 뷔르츠는 새로운 화합물에 "글리콜"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는 에틸 알코올(수산기 1개)과 글리세린(수산기 3개)의 특성을 모두 공유했기 때문이다.[18] 1859년, 뷔르츠는 수화 반응을 통해 에틸렌옥사이드를 반응시켜 에틸렌 글리콜을 제조했다.[19]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에틸렌 글리콜의 상업적 생산이나 응용 사례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독일에서 에틸렌 디클로라이드로부터 합성되어 폭발물 산업에서 글리세롤의 대체물로 사용되었다.
미국에서는 에틸렌 클로로히드린을 이용한 에틸렌 글리콜의 반(半) 상업적 생산이 1917년에 시작되었다. 최초의 대규모 상업용 글리콜 공장은 1925년 웨스트버지니아주 사우스 찰스턴에 Carbide and Carbon Chemicals Co.(현재 유니온 카바이드)에 의해 건설되었다. 1929년까지, 에틸렌 글리콜은 거의 모든 다이너마이트 제조업체에서 사용되었다. 1937년, 카바이드사는 에틸렌을 에틸렌 옥사이드로 기상 산화하는 르포트 공정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공장을 가동했다. 카바이드사는 1953년 과학 설계 공정이 상업화되어 라이센스가 제공될 때까지 직접 산화 공정에 대한 독점권을 유지했다.
4. 용도
에틸렌 글라이콜은 주로 자동차와 냉방 장치 등에서 냉각수의 부동액으로 사용된다.[20] 이러한 장치는 냉각기나 공기 조화기를 외부에 두거나 물의 어는점 이하로 냉각해야 한다. 지열 난방/냉방 시스템에서 에틸렌 글라이콜은 유체로서 지열 히트 펌프를 사용하여 열을 전달한다. 순수한 에틸렌 글라이콜은 물의 약 절반 정도의 비열 용량을 가지고 있어 어는점 방지와 끓는점 상승을 제공하는 동시에 물 혼합물의 비열 용량을 낮춘다. 에틸렌 글라이콜과 물의 혼합물은 부식 및 산 열화를 방지하고 대부분의 미생물 및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하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20]
에틸렌 글라이콜과 물의 혼합물은 어는점을 낮추는 특성 때문에 앞유리 및 항공기용 제빙 액체, 자동차 엔진의 부동액(냉각수)으로 사용되며, 생물학적 조직 및 장기의 저온 보존을 위한 유리화 (결정 방지) 혼합물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또한 수성 혼합물의 끓는점도 높여 열 전달 유체의 작동 온도 범위를 넓힌다.
플라스틱 산업에서 에틸렌 글라이콜은 폴리에스터 섬유 및 수지의 중요한 전구체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음료 플라스틱 병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에틸렌 글라이콜로 제조된다.
에틸렌 글라이콜은 천연 가스 산업에서 트리에틸렌 글라이콜(TEG)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추가 처리 전에 천연 가스에서 수증기를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높은 끓는점과 물에 대한 친화성 때문에 유용한 제습제이기도 하다.
에틸렌 글라이콜은 축전기 제조, 1,4-다이옥산 제조의 화학적 중간체, 개인용 컴퓨터의 액체 냉각 시스템에서 부식 방지 첨가제, 후면 투사 텔레비전의 음극선관 렌즈 장치 내부 등에도 사용된다. 일부 백신 제조에도 사용되지만, 주사제 자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구두약의 소량(1–2%) 성분, 일부 잉크 및 염료에도 사용된다. 목재 부패 및 곰팡이 처리, 박물관에 전시할 부분적으로 썩은 나무 물체를 처리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함께 화면 세척액의 소량 성분 중 하나일 수 있으며, 해부 시 포름알데히드의 안전한 대체재로서 중등학교에서 생물학적 표본의 보존제로 사용된다. 해저 석유 및 가스 생산 장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수성 유압유의 일부로도 사용된다.
에틸렌 글라이콜은 유기 합성에서 케톤과 알데히드를 조작하기 위한 보호기로 사용된다.[25][26]
에틸렌 글라이콜에서 유래된 다이옥사란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은 상업용 향료인 프룩톤이다.[28] 구리 촉매 하에서 공기 산화시키면 글리옥살을 생성한다. 이크롬산 칼륨을 사용하여 산화시키면 옥살산을 생성한다.
에틸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주 원료 중 하나이며, PEN, PTT 등의 다른 폴리에스터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에틸렌 글라이콜의 에테르류는 '''셀로솔브''' (cellosolve)라고도 불리며, 부틸 셀로솔브, 페닐 셀로솔브, 디메틸 셀로솔브 등이 도료의 용매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융점이 낮은 특성을 살려 자동차의 부동액으로 이용된다. 과거에는 부동액으로 글리세린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에틸렌 글라이콜이 부동액으로서의 성능이 더 높아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자연계에 누출될 경우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커서 최근에는 다시 글리세린이 재평가되는 측면도 있다.
5. 위험성
에틸렌 글라이콜은 단맛이 나고 점막에 자극이 거의 없으나, 섭취 시 치명적이다.[30] 에틸렌 글라이콜 자체는 독성이 크지 않지만, 대사산물인 글라이콜산, 옥살산 등의 유기산이 큰 독성을 가지고 있다. 간이나 신장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중추신경계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심할 경우 혼수상태나 호흡곤란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있는 포메피졸(fomepizole)이라는 해독제가 있다. 실수로 에틸렌 글라이콜을 섭취했고 포메피졸을 구할 수 없는 경우, 응급 처치로 다량의 에탄올을 투여할 수 있다. 혈액투석도 치료에 사용된다.
에틸렌 글라이콜은 포유류에게 비교적 높은 독성을 나타내며, 경구 LDLo은 인간의 경우 786mg/kg으로 메탄올과 거의 비슷하다.[30] 주요 위험 요인은 단맛 때문에 어린이와 동물을 유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섭취 시 에틸렌 글라이콜은 글리콜산으로 산화되고, 이는 다시 옥살산으로 산화되어 독성을 나타낸다. 옥살산과 그 독성 부산물은 먼저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고, 이어서 심장, 마지막으로 신장에 영향을 미친다. 충분한 양을 섭취하면 치료하지 않을 경우 치명적이다.[31] 미국에서만 매년 여러 건의 사망 사례가 기록된다.[32]
에틸렌 글라이콜 대신 프로필렌 글라이콜을 함유한 자동차용 부동액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프로필렌 글라이콜은 에틸렌 글라이콜만큼 맛이 좋지 않으며, 신체 내에서 대사 및 운동의 정상적인 산물인 젖산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 더 안전하다고 여겨진다.[35]
호주, 영국, 그리고 17개의 미국 주(2012년 기준)는 부동액에 쓴맛을 내는 향료(데나토늄 벤조에이트) 첨가를 의무화하고 있다. 2012년 12월, 미국 부동액 제조업체들은 미국 소비자 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부동액에 쓴맛 향료를 자발적으로 첨가하기로 합의했다.[36]
2022년, 인도네시아와 감비아에서 뉴델리에 본사를 둔 Maiden Pharmaceuticals가 제조한 파라세타몰 시럽에 에틸렌 글라이콜과 디에틸렌 글라이콜이 포함되어 수백 명의 어린이가 급성 신부전으로 사망했다. 이 성분들은 감비아에서 급성 신장 손상으로 인한 어린이 사망과 관련이 있다.[37] 2022년 12월, 우즈베키스탄 보건부는 노이다에 위치한 Marion Biotech이 제조한 기침 시럽 내 에틸렌 글라이콜로 인해 어린이들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는 뉴델리 근처에 있다.[38]
에틸렌 글리콜은 단맛을 띠며, 생체 내에서 대사되면 유독하게 변한다. 대사 물질인 수산에 의한 저칼슘혈증, 수산칼슘의 석출에 의한 신장 손상을 일으킨다.[44][45] 부동액의 오음, 와인 등의 식품 첨가물에 오용(과거, 일본이나 독일에서는 고의로 이용)되어 중독 사건이 발생하고 사회 문제화되기도 한다. 디에틸렌 글리콜도 마찬가지이다.
오음했을 경우나 자살 목적으로 음용한 경우에는, 대사를 길항하기 위해 에탄올을 투여하여 에틸렌 글리콜이 대사되지 않고 소변으로 배설되기를 기다린다.
6. 환경 영향
에틸렌 글라이콜은 대량 생산 화학 물질이다. 공기 중에서 약 10일, 물 또는 토양에서는 몇 주 안에 분해된다. 특히 공항에서 활주로 및 항공기 제빙에 사용되는 에틸렌 글라이콜 함유 제품이 흩뿌려지면서 환경에 유입된다.[39] 장기간 저용량의 에틸렌 글라이콜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치사량에 가까운 경우(≥ 1000mg/kg/일)에는 기형 발생 물질로 작용한다. "상당히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노출 경로에 관계없이 쥐와 생쥐에게서 골격 변형 및 기형을 유발한다."[40]
7. 한국의 관련 법규
- 소방법에 따르면 제4류 위험물 중 제3석유류로 분류된다.[46]
- 노동안전보건법에 따르면 노동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8조의2에 의거, 명칭 등을 통지해야 할 위험물 및 유해물에 해당하며, 안전 데이터 시트 교부 의무가 있다.[46] 또한, 노동안전보건법 제100조 제1항 및 후생노동성령에 근거한 2015년 유해물 노출 작업 보고 대상 물질이다. (단, 함유량 0.1% 미만의 제제는 제외)[47]
- 해양 오염 등 및 해상 재해 방지에 관한 법률(해양 오염 방지법)에 따르면, 해양 오염 등 및 해상 재해 방지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제1에 따라 해양 환경 보전 관점에서 유해한 물질(Y류 물질)로 지정되어 있다.[48]
- 특정 화학 물질의 환경으로의 배출량의 파악 등 및 관리 개선의 촉진에 관한 법률(화학 물질 배출 파악 관리 촉진법, PRTR법)에 따르면 제1종 지정 화학 물질에 해당한다.[46]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웹사이트
Ethylene glycol (CHEBI:30742)
https://www.ebi.ac.u[...]
[3]
웹사이트
Ethylene glycol (CHEBI:30742)
https://www.ebi.ac.u[...]
[4]
웹사이트
Viscosity
http://physics.info/[...]
2007-10-02
[5]
웹사이트
Ethylene glycol
https://www.chemsrc.[...]
[6]
문서
"{{PGCH|0272}}"
[7]
웹사이트
3.8: 3.8 Alcohols -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https://chem.librete[...]
2018-10-13
[8]
간행물
Interstellar Antifreeze: Ethylene Glycol
2002-05-20
[9]
간행물
Ethylene glycol: properties, synthesis, and applications
2012
[10]
서적
Synthetic Organic Chemicals
Springer
[11]
웹사이트
Coal to MEG, Changing the Rules of the Game
http://www.chemsyste[...]
2016-08-08
[12]
특허
Process for continuously preparing ethylene glycol
[13]
간행물
Highly-Dispersed Copper-Based Catalysts from Cu–Zn–Al Layered Double Hydroxide Precursor for Gas-Phase Hydrogenation of Dimethyl Oxalate to Ethylene Glycol
2012-09
[14]
뉴스
China's coal-based chemicals are a trade-off
http://www.icis.com/[...]
2012-01-30
[15]
서적
Industrial Coal Gasification Technologies Covering Baseline and High-Ash Coal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4-11-24
[16]
간행물
Enzymes' Power for Plastics Degradation
https://hal.science/[...]
2023
[17]
간행물
Sur le glycol ou alcool diatomique
http://gallica.bnf.f[...]
1856
[18]
문서
Wurtz (1856), page 200: ''"… je propose de le nommer ''glycol'', parce qu'il se rapproche à la fois, par ses propriétés, de l'alcool proprement dit et de la glycérin, entre lesquels il se trouve placé."'' ( … I propose to call it ''glycol'' because, by its properties, it is simultaneously close to [ethyl] alcohol properly called and glycerin, between which it is placed.)
[19]
간행물
Synthèse du glycol avec l'oxyde d'éthylène et l'eau
[20]
웹사이트
Hydratech - Specialist Fluid Solutions
http://www.hydratech[...]
2020-02-24
[21]
서적
Heat Transfer
McGraw-Hill Companies, Inc
[22]
서적
Fundamentals of Heat and Mass Transfer
John Wiley and Sons, Inc.
[23]
간행물
Ethylene Glycol
[24]
웹사이트
Glycol til industri og erhverv
https://lcglad.dk/gl[...]
[25]
웹사이트
Ethylene glycol acetal
http://www.synarchiv[...]
synarchive.com
[26]
서적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27]
간행물
Selective hydrolysis of α,β- and β,γ-unsaturated ketals: method for deconjugation of β,β-disubstituted α,β-unsaturated ketones
[28]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16
[29]
간행물
Synthesis of pentacoordinate silicon complexes from SiO2
https://deepblue.lib[...]
1991-10-17
[30]
웹사이트
Safety (MSDS) data for ethylene glycol
http://msds.chem.ox.[...]
Oxford University
2009-11-23
[31]
웹사이트
Ethylene glycol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08-08-22
[32]
EMedicine
Ethylene Glycol Toxicity
[33]
서적
The Merck Index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3
[34]
서적
The Merck Index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3
[35]
웹사이트
Ethylene Glycol Poisoning
http://www.resteddog[...]
The Rested Dog Inn
2010-01-27
[36]
웹사이트
Antifreeze and Engine Coolant Being Bittered Nationwide
http://www.cspa.org/[...]
Consumer Specialty Products Association
2012-12-13
[37]
뉴스
Indonesia says child deaths from acute kidney injury rise to 133
https://www.aljazeer[...]
2022-10-22
[38]
뉴스
Marion Biotech: Uzbekistan links child deaths to India cough syrup
https://www.bbc.co.u[...]
2022-12-29
[39]
웹사이트
Ethylene Glycol
https://wwwn.cdc.gov[...]
CDC
2015-03-12
[40]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Science Report for Ethylene Glycol
http://www.hc-sc.gc.[...]
Health Canada www.hc-sc.gc.ca
2013-06-24
[41]
웹사이트
Viscosity
http://hypertextbook[...]
[42]
학술지
Interstellar Antifreeze: Ethylene Glycol
https://iopscience.i[...]
2002-04-23
[43]
웹사이트
経済産業省生産動態統計・生産・出荷・在庫統計
http://www.meti.go.j[...]
[44]
보고서
MSDS - エチレングリコール
http://www.sankyo-ch[...]
三協化学株式会社
2016-04-0
[45]
웹사이트
http://www.umin.ac.j[...]
[46]
웹사이트
製品安全データシート {{!}} エチレングリコール
https://anzeninfo.mh[...]
厚生労働省
2006-11-06
[47]
문서
<平成27年報告版>「有害物ばく露作業報告」の手引き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都道府県労働局・労働基準監督署編
2014
[48]
웹사이트
海洋汚染等及び海上災害の防止に関する法律施行令(昭和四十六年政令第二百一号)別表第1 海洋環境の保全の見地から有害である物質(Y類物質)
https://laws.e-gov.g[...]
総務省行政管理局
2019-04-26
[49]
웹인용
Viscosity
http://physics.info/[...]
[50]
웹인용
Ethylene glycol
https://www.chemsrc.[...]
[51]
문서
PGCH|02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