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뀌는 한해살이풀로, 습한 환경을 선호하며 북반구 온대와 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줄기는 곧게 서고 잎은 피침형이며, 매운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7~10월에 담녹색 또는 흰색 꽃이 피고, 짙은 갈색 씨앗이 열린다. 여뀌는 폴리고디알과 와버가날 등의 성분으로 매운맛을 내며, 약용, 식용, 향신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특히 일본에서는 '타데'라고 불리며, 잎은 채소로, 어린 싹은 장식용으로 사용되며, 잎을 식초에 절인 '타데즈'는 생선 요리에 곁들여진다. 또한, "여뀌 먹는 벌레도 제각각"이라는 속담의 어원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디풀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마디풀과 - 싱아
싱아는 6~8월에 흰색 꽃을 피우는 높이 1m 내외의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잎과 줄기는 나물로 먹고 어린 대는 신맛이 있어 생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수렴제, 폐렴, 기침 치료제로 사용되고 소설에도 등장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물상 - 부들
부들은 여러해살이 풀로 돗자리나 방석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고 수질 정화 능력으로 습지 복원 사업에도 활용되며, 뉴질랜드 마오리족은 부들을 라우포라고 부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물상 - 키와노
키와노는 아프리카 원산의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타원형 열매로, 젤리 형태의 과육은 독특한 맛을 가지며, 식용, 관상용, 접목 대목으로 사용된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여뀌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Persicaria hydropiper |
이명 | Polygonum hydropiper L. 1753 Persicaria hydropiper (L.) Opiz 1852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1841 Persicaria acris Gilib. Persicaria glandulosa Nakai & Ohki Persicaria urens Garsault Persicaria vernalis Nakai Peutalis hydropiper Raf. Polygonum glandulosum Poir. Polygonum gracile Salisb. Polygonum hecasanthum Schur Polygonum hidropiper Neck. Polygonum oleraceum Schur Polygonum schinzii J. Schust. |
영어 이름 | marshpepper knotweed Pepper leaf |
일본어 이름 | 야나기타데 (柳蓼) 마타데 (真蓼) 혼타데 (本蓼)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미분류) | 속씨식물군 |
강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석죽목 |
과 | 마디풀과 |
아과 | Polygonoideae |
족 | Persicarieae |
아족 | Persicariinae |
속 | 이삭여뀌속 (Persicaria) |
종 | 여뀌 (Persicaria hydropiper) |
변종 및 품종 | |
변종 | 자라츠키야나기타데 (P. h. var. scabrida) |
품종 | 아자부타데 (P. h. f. angustissima) 무라사키타데 (P. h. f. purpurascens) 사츠마타데 (P. h. f. viridis) |
2. 분포 및 생태
북반구의 온대에서 열대 지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부터 남서 제도까지 전역에서 발견된다.[18]
주로 습한 환경을 선호하여[8], 하천이나 강가의 둑 주변, 운하 근처, 하천 부지의 모래땅 등 물이 고이기 쉬운 곳에서 잘 자란다.[8][18] 부분적인 그늘이나 척박한 토양에서도 비교적 잘 견디며[8], 영국에서는 해수면부터 505m 고도까지 자랄 수 있다.[8]
2. 1. 형태

여뀌는 한해살이풀로, 키는 20cm에서 70cm 정도까지 자란다. 전년에 떨어진 씨앗에서 봄에 발아하지만, 물속에서는 여러해살이풀처럼 자라기도 한다. 줄기는 높이 30cm에서 60cm 정도로 곧게 서고 가지를 많이 치며 털이 없다. 줄기의 마디는 굵게 부풀어 오르는 특징이 있으며, 마디에 붙는 잎집의 윗부분에는 짧은 털이 있다.[7]
잎은 어긋나게 달리며, 잎자루는 거의 없거나 짧다. 잎 모양은 좁은 난형이거나 길이 5cm에서 10cm 정도의 피침형이며, 끝은 둔하게 좁아진다. 잎 가장자리에는 매우 짧은 털이 있다. 각 잎의 밑부분에는 줄기를 감싸는 잎집 모양으로 합쳐진 턱잎이 있는데, 윗부분은 느슨하고 가장자리가 있으며 짧은 털이 나 있다.[7] 여뀌는 여러 마디풀 종류 중에서 유일하게 식물 전체에 매운맛이 있는 특징을 가진다.
꽃은 7월에서 10월 사이에 핀다. 꽃차례는 아래로 처진 이삭 모양이며 길이는 약 7cm이다. 작은 꽃들이 간격을 두고 달리는데, 각 꽃의 화피는 4개 또는 5개로 갈라진다. 화피는 밑부분은 녹색이고 가장자리는 흰색 또는 분홍색을 띤다.[7][18] 꽃 안에는 수술 6개와 암술 3개가 있다.[7]
열매는 짙은 갈색의 견과로, 타원형이며 납작하다. 씨앗의 크기는 2.5mm에서 3.5mm 정도의 난형이다.[7] 늦가을에는 단풍이 든다.
근연종인 털여뀌(학명: ''Persicaria foliosa'' var. ''paludicola'')는 잎이 더 가늘고 양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매운맛이 없다.[19] 모습이 매우 비슷한 개여뀌(학명: ''Persicaria pubescens'')의 잎에도 매운맛이 없다.
3. 화학적 성분
여뀌는 다양한 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두 종류의 이고리 세스퀴테르페노이드인 폴리고디알(타데오날)과 와버가날이 있는데, 이들은 여뀌 특유의 매운맛을 내는 원인이다.[9] 폴리고디알은 드라만 골격을 가진 불포화 디알데히드이다. 또한 쓴맛을 내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루틴도 함유하고 있다.
여뀌에는 약 0.5%의 정유(에센셜 오일)가 들어 있으며, 이는 여러 모노테르페노이드와 세스퀴테르페노이드로 구성된다. 주요 정유 성분은 다음과 같다:
- α-피넨
- β-피넨
- 1,4-시네올
- 펜촌
- α-후물렌
- β-카리오필렌
- 트랜스-β-베르가모텐
이 외에도 카르복실산(계피산, 발레르산, 카프로산)과 이들의 에스테르가 미량 존재한다. 여뀌의 화학적 성분 구성은 유전적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야생 여뀌는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오일을 생성하기도 한다.[10] 여뀌의 매운맛 성분은 소화를 돕는 효과가 있어 소화 불량 예방에 사용되기도 하며, 벌레 물린 곳에 바르거나 구충제로도 활용된다.[22]
4. 용도
피를 멈추는 데 효능이 있어 약으로 쓰인다. 주로 자궁출혈·치질출혈 등의 내출혈에 사용되며, 휘발성 정유 성분이 혈관을 넓혀 혈압을 내려주는 효과도 있다. 잎과 줄기에는 탄닌이 많이 함유되어 항균 작용을 한다. 또한, 여뀌를 찧어 물고기를 잡는 데 쓰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타데'(蓼|타데일본어)라 불리며 식용하는데, 특히 생선회의 곁들임 채소나 은어 소금구이 등에 쓰이는 소스 '타데즈'(蓼酢|타데즈일본어)의 재료로 이용된다.[11][18] 유럽에서는 전쟁 중 후추의 대체품으로 먹기도 했다.[11] 중국에서는 '라 랴오'(辣蓼|라 랴오중국어)라 하여 중국 전통 의학에 사용되며, 인도 전통 의학에서는 기생충 구제에 사용되었다.
청동기 시대 유적에서 향신료로 사용된 흔적이 발견되었으며[20],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부터 향신료로 이용되었다[21].
개미산 등 특유의 매운맛 때문에 가축은 잘 먹지 않지만[12], 일부 곤충은 먹는데, 이 때문에 일본 속담 "''타데 쿠 무시 모 스키즈키''"(蓼食う虫も好き好き일본어, "여뀌 먹는 벌레도 제각각")가 생겨났으며, 이는 "취향은 존중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4. 1. 식용
일본에서는 물여뀌를 '타데'(蓼|타데일본어) 또는 '야나기 타데'(柳蓼|야나기 타데일본어)라고 부르며 식용한다. 잎은 주로 재배된 것을 채소로 사용하는데, 야생종은 맛이 훨씬 자극적이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보통 묘목 형태로 판매된다.[11] 어린 붉은 싹은 '베니 타데'(紅蓼|베니 타데일본어)라고 하며, 사시미, 튀김, 스시 등의 요리에 장식으로 올라간다. 특히 여름 요리에 인기가 많다.[11] 씨앗을 발아시킨 직후의 어린잎은 "싹타데"라고 불리며, 생선회의 곁들임 채소로 사용된다. 붉은색을 띠는 "홍타데"와 녹색의 "청타데"가 있다. 생선회 곁들임 채소로는 여뀌의 변종인 '''자주여뀌'''(''Persicaria hydropiper'' f. ''purpurascens'')가 많이 사용된다.물여뀌 잎을 잘게 썰거나 갈아서 식초에 담그고 약간의 찐 쌀을 넣어 만든 '타데즈'(蓼酢|타데즈일본어)라는 소스도 있다. 때로는 카보스 즙을 첨가하기도 한다. 이 소스는 일본 요리에서 전통적으로 은어와 같은 민물고기 소금구이나 냄새가 나는 생선 요리에 곁들여 먹지만, 바닷물고기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한국에서는 "여뀌 먹는 벌레도 제각각"이라는 속담의 유래가 된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매운맛이 나는 잎을 향신료로 이용한다.[18] 어린잎을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물에 담가 무침으로 먹기도 한다. 향신료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식중독에 약용 효과가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역사적으로 청동기 시대 유적 여러 곳에서 여뀌가 향신료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발견되었다[20].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부터 향신료로 이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21].
중국에서는 물여뀌를 '라 랴오'(辣蓼|라 랴오중국어)라고 부르며 중국 전통 의학에서 사용한다. 인도의 전통 의학에서는 물여뀌 잎을 장내 기생충 감염 치료에 사용해왔으며, 실제 연구를 통해 주목할 만한 구충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전통적인 사용법을 뒷받침하고 있다. (DOI: 10.1007/s12639-022-01559-2) 유럽에서는 과거 전쟁 중에 후추의 대체품으로 재배되어 식용되기도 했다.[11]
이 식물은 개미산을 비롯한 여러 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가축은 잘 먹지 않는다.[12] 포유류는 야생 물여뀌를 피하지만 일부 곤충은 이를 먹는데, 여기서 "타데 쿠 무시 모 스키즈키"(蓼食う虫も好き好き|타데 쿠 무시 모 스키즈키일본어, "여뀌 먹는 벌레도 제각각")라는 일본 속담이 유래했다. 이는 "취향은 존중되어야 한다" 또는 "사람마다 좋아하는 것이 다르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일본 내에서는 후쿠오카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된다.
4. 2. 약용
피를 멈추는 효능이 있어 약으로 사용된다. 주로 자궁출혈, 치질출혈 등 내출혈에 효과가 있다. 또한, 휘발성 정유 성분이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준다. 잎과 줄기에는 탄닌이 풍부하여 항균 작용을 나타낸다.중국에서는 물여뀌를 辣蓼|라랴오중국어라고 부르며 중국 전통 의학에서 사용한다. 인도의 전통 의학에서는 잎을 장내 기생충 감염 치료에 활용하는데, 한 연구에 따르면 물여뀌 잎이 주목할 만한 구충 효과를 가지고 있어 이러한 전통적인 사용법을 뒷받침한다. (DOI: 10.1007/s12639-022-01559-2)
일본에서는 식중독 예방이나 소화 불량 개선, 벌레 물린 곳에 사용하며, 구충제로도 쓰인다.[22]
여뀌에는 정유 (0.5%)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모노테르펜과 세스퀴테르펜 (α-피넨, β-피넨, 시네올, 펜콘, α-후물렌, β-카리오필렌, trans-β-bergamotene 등)으로 구성된다. 카복실산 (계피산, 발레르산, 카프로산)의 에스터 또한 발견된다.
4. 3. 기타
일본에서는 물여뀌(''Persicaria hydropiper'')를 식용으로 이용하며, 蓼|타데일본어 또는 柳蓼|야나기 타데일본어라고 부른다.[11] 야생종은 맛이 매우 자극적이기 때문에 주로 재배된 식물의 잎을 채소로 사용하며, 시장에서는 보통 묘목 형태로 판매된다.[11] 어린 붉은 싹은 紅蓼|베니 타데일본어라고 불리며, 사시미, 튀김, 스시 등을 장식하는 데 쓰이고 특히 여름 요리에 인기가 많다.[11] 씨앗은 와사비에 첨가되기도 한다.蓼酢|타데즈일본어라는 이름의 물여뀌 소스는 잘게 썬 물여뀌 잎을 식초에 담그고 소량의 찐 쌀을 넣어 만든다. 때로는 카보스 즙을 첨가하기도 한다. 이 소스는 일본 요리에서 전통적으로 은어와 같은 민물고기 구이에 곁들여 먹지만, 바닷물고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18] 생선회 곁들임 채소로는 주로 물여뀌의 변종인 자주여뀌(''Persicaria hydropiper'' f. ''purpurascens'')가 사용된다. 향신료로 사용되며, 식중독 예방을 위한 약용으로도 쓰였다.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부터 여뀌를 향신료로 이용했으며[21], 청동기 시대 유적 여러 곳에서도 향신료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발견되었다[20].
중국에서는 물여뀌를 辣蓼|라 랴오중국어라고 부르며 중국 전통 의학에서 약재로 사용한다.
인도의 전통 의학에서는 물여뀌 잎을 장내 기생충 감염 치료에 사용해왔다. 한 연구에 따르면 물여뀌 잎은 주목할 만한 구충 효과를 보여, 이러한 전통적인 사용법을 뒷받침한다. DOI: 10.1007/s12639-022-01559-2
유럽에서는 과거 전쟁 중에 물여뀌를 재배하여 후추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했다.[11]
물여뀌는 개미산을 포함한 여러 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가축은 잘 먹지 않는다.[12] 포유류는 야생 물여뀌를 먹지 않지만 일부 곤충은 먹는데,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여뀌 먹는 벌레도 제각각"이라는 의미의 蓼食う虫も好き好き|타데 쿠 무시 모 스키즈키일본어라는 속담이 생겨났다. 이는 "취향은 존중해야 한다" 또는 "사람마다 좋아하는 것이 다르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5. 문화
일본에서는 물여뀌를 식용하며, 蓼|타데일본어 또는 더 구체적으로 柳蓼|야나기 타데일본어라고 부른다. 잎은 재배된 식물의 채소로 사용되는데, 이는 야생종의 맛이 훨씬 더 자극적이기 때문이다. 이 허브는 보통 시장에서 묘목 형태로 판매된다.[11] 어린 붉은 싹은 紅蓼|베니 타데일본어라고 불리며, 사시미, 튀김, 스시 등을 장식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여름 요리에 인기가 많다.[11] 씨앗은 와사비에 첨가되기도 한다.
蓼酢|타데즈일본어라고 불리는 물여뀌 소스는 전통적으로 잘게 썬 물여뀌 잎을 식초에 담그고 소량의 찐 쌀을 넣어 만든다. 때로는 카보스(Citrus × sphaerocarpa) 즙을 첨가하기도 한다. 일본 요리에서는 전통적으로 구운 민물고기, 특히 은어 소금구이 등에 곁들여 사용하지만, 바닷물고기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18] 생선회 곁들임 채소로는 여뀌의 변종인 '''자주여뀌'''(''Persicaria hydropiper'' f. ''purpurascens'')가 많이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부터 여뀌를 향신료로 이용했으며[21], 식중독에 약용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물여뀌를 辣蓼|라 랴오중국어라고 부르며 중국 전통 의학에서 사용한다.
인도의 전통 의학에서는 여뀌(''P. hydropiper'') 잎을 장내 기생충 감염 치료에 사용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여뀌 잎은 주목할 만한 구충 효과를 가지고 있어, 전통 의학에서의 사용을 뒷받침한다. (DOI: 10.1007/s12639-022-01559-2)
유럽에서는 물여뀌가 한때 재배되어 전쟁 중에 후추의 대체품으로 사용되었다.[11]
청동기 시대 유적 여러 곳에서 여뀌가 향신료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20]
이 식물은 개미산을 포함한 여러 산을 함유하고 있어 가축이 먹기에는 맛이 없다.[12] 포유류는 야생 물여뀌를 먹지 않지만, 일부 곤충은 먹는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蓼食う虫も好き好き|타데 쿠 무시 모 스키즈키일본어"라는 속담이 생겨났는데, 이는 "여뀌를 먹는 벌레도 좋아하기 나름이다"라는 뜻으로, "취향은 존중되어야 한다" 또는 "각자에게 맞는 것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국의 속담 "여뀌 먹는 벌레도 제각각" 역시 이 종에서 유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lant List, ''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
http://www.theplantl[...]
[2]
웹사이트
arsesmart
[3]
웹사이트
Flora of China, ''Polygonum hydropiper'' Linnaeus, 1753. 辣蓼 la liao
http://www.efloras.o[...]
[4]
간행물
Polygonaceae, version 2009:1. In MF Duretto (Ed.) Flora of Tasmania Online. 17 pp. (Tasmanian Herbarium, Tasmanian Museum & Art Gallery: Hobart).
2009
[5]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4 county distribution map
http://bonap.net/Map[...]
[6]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Persicaria hydropiper'' (L.) Spach
http://luirig.alterv[...]
[7]
웹사이트
Water pepper: ''Persicaria hydropiper''
http://www.luontopor[...]
NatureGate
2013-12-30
[8]
웹사이트
Persicaria hydropiper {{!}} Online Atlas of the British and Irish Flora
https://plantatlas.b[...]
2022-05-16
[9]
웹사이트
Sesquiterpenoid unsaturated dialdehydes - Structural properties that affect reactivity and bioactivity
https://web.archive.[...]
1996
[10]
웹사이트
Flora of North America
http://www.efloras.o[...]
[11]
서적
The Cultural History of Plants
Routledge
2005
[12]
웹사이트
Illinois Wildflowers
http://www.illinoisw[...]
[13]
웹사이트
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 ヤナギタデ(標準)
2023-06-11
[14]
웹사이트
Polygonum hydropiper L. ヤナギタデ(シノニム)
2023-06-11
[15]
웹사이트
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 var. filiformis Araki ヤナギタデ(シノニム)
2023-06-11
[16]
웹사이트
YList 植物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簡易検索結果
http://ylist.info/yl[...]
琉球大学
2018-12-04
[17]
서적
植物分類表
アボック社
[18]
서적
野に咲く花 : 写真検索
山と溪谷社
[19]
웹사이트
ふくいミュージアムNo.18
https://www.pref.fuk[...]
福井県立歴史博物館
2022-04-20
[20]
웹사이트
Wasserpfeffer (Persicaria hydropiper)
https://phyto-kitche[...]
2023-06-01
[21]
웹사이트
ヤナギタデ | 熊本大学薬学部薬用植物園 薬草データベース
https://www.pharm.ku[...]
2024-04-23
[22]
논문
In vitro cestocidal activity of Persicaria hydropiper (L.) Delarbre, a traditionally used anthelmintic plant in India
https://link.springe[...]
202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