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학유전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학유전학은 유전성 질환의 원인, 진단 및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하는 학문 분야이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 완료 이후 급속도로 발전했으며, 발생생물학, 세포생물학, 분자생물학 등의 성과를 활용하여 유전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 의학유전학은 임상 유전학, 산전 유전 진단, 소아 유전학, 성인 유전학, 암 유전학 등 다양한 하위 전문 분야를 포함하며, 유전 상담, 염색체 연구, 대사 연구, 분자 연구 등을 통해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한다. 이 분야는 윤리적, 법적, 사회적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유전 상담사, 임상 유전학자, 연구 유전학자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 유전학 - 유전자 검사
    유전자 검사는 유전 질환 관련 유전자형, 돌연변이, 표현형 등을 임상적으로 감지하는 검사로, 진단 외 목적으로도 활용되지만 윤리적, 사회적 논란이 있다.
  • 의학 유전학 - 선천성 대사 이상
    선천성 대사 이상은 유전적 원인으로 탄수화물, 아미노산, 유기산, 지방산 등의 대사 과정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으로, 신생아 선별 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하며 식이요법, 약물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학제간 연구 - 여성학
    여성학은 여성의 경험과 젠더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페미니즘 이론과 사회 정의를 바탕으로 교육 및 사회 개혁에 기여하며, 다양한 비판과 논란이 존재한다.
  • 학제간 연구 - 정보과학
    정보과학은 정보의 수집, 분류, 조작, 저장, 검색 및 배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컴퓨터 과학, 커뮤니케이션 연구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사회적 가치 창조를 목표로 한다.
  • 유전병 - 유전 질환
    유전 질환은 유전형질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며, 멘델의 유전 법칙에 따르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뉘고, 단일 유전자 질환, 다인자 유전 질환, 염색체 이상 질환 등으로 분류된다.
  • 유전병 - 유전자 치료
    유전자 치료는 유전 질환, 바이러스 질환, 암 등을 치료하기 위해 유전 물질을 세포 내로 전달하거나 유전체를 교정하는 치료법으로, 2003년 최초의 상업적 유전자 치료제 승인 이후 희귀 유전 질환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유전자 전달 방식에 따라 체세포/생식세포 유전자 치료, 생체 내/외 유전자 치료로 나뉘고 CRISPR 기술 도입과 함께 발전하고 있으나 윤리적 논쟁과 과제도 존재한다.
의학유전학
의학유전학
DNA 이중 나선 애니메이션
DNA 이중 나선 애니메이션
학문 분야
연구 대상유전 질환
관련 학문 분야유전학
의학
분자생물학
생화학
세포생물학
약리학
진단 및 치료
진단 방법유전자 검사
염색체 분석
대사 검사
임상 검사
치료 방법유전자 치료 (연구 중)
효소 대체 요법
식이 요법
약물 치료
수술
주요 유전 질환
염색체 이상다운 증후군
터너 증후군
클라인펠터 증후군
단일 유전자 질환낭포성 섬유증
겸상 적혈구 빈혈증
헌팅턴병
페닐케톤뇨증
복합 유전 질환당뇨병
심장병

자폐증
미토콘드리아 질환MELAS 증후군
Leigh 증후군
관련 인물
주요 연구자빅터 맥큐식
찰스 스크라이버
아서 베어사
기타
관련 협회미국 임상 유전학 및 유전체학회 (ACMG)
유럽 인간 유전학회 (ESHG)
관련 저널Clinical Genetics

2. 유전성 질환

유전성 질환은 유전자 발현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 나타나는 질환으로 유전형질과 함께 다음 세대유전되는 특징이 있다. 유전성 질환은 여러 선천성 질환의 하나로 선천성 질환이 보다 넓은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유전성 질환의 인자가 있다고 모두 다 유전성 질환으로 발전하지는 않는다. 이들 선천적 장애의 약 반수는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단일 유전자에 의해 발생하는 선천성 기형이나 염색체 이상 질환을 보이는 유전병들도 약 10,000여 종 알려져 있다.[45]

현대 의학에서는 대부분의 질병 발병 원인을 유전형질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질병이 거의 100% 유전적인 요소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에만 특별히 유전성 질환이라 부르고 있다.[46]

3. 의학유전학의 범위

의학유전학은 의사, 유전 상담사, 영양사의 임상 진료, 임상 진단 실험실 활동, 유전 질환의 원인과 유전에 대한 연구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의학유전학의 범위에 속하는 질환으로는 선천성 기형과 형태이상, 지적 장애, 자폐증, 미토콘드리아 질환, 골격 이형성증, 결합 조직 질환, 유전학, 산전 진단 등이 있다.[48] 의학유전학은 점점 더 많은 흔한 질병과 관련성을 갖게 되고 있다. 최근 유전학의 발전으로 신경학, 내분비학, 심장학, 폐 질환, 안과학, 신장학, 정신 의학, 피부 과학적 상태의 병인이 밝혀지면서 다른 의학 전문 분야와의 중첩이 나타나고 있다. 의학유전학 커뮤니티는 선택적 유전자 및 유전체 검사를 받은 개인과 점점 더 많이 관련되고 있다.

4. 의학유전학의 하위 전문 분야

의학유전학의 여러 하위 분야는 임상 치료와 연구가 혼합된 형태이다. 이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같이 과학 및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유전 질환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4. 1. 임상 유전학

임상 유전학은 유전 질환에 중점을 둔 의학 전문 분야이다. 임상 유전학은 산전 유전 진단, 소아 유전학, 성인 유전학, 암 유전학 등으로 세분화된다.[4]

유전 클리닉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전 증후군으로는 염색체 이상 (예: 다운 증후군, 22q11.2 결실 증후군, 터너 증후군, 윌리엄스 증후군), 취약 X 증후군, 마르판 증후군, 신경섬유종증, 헌팅턴병,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등이 있다.

유전 상담사는 의료 유전학 팀의 구성원으로, 가족 위험 평가와 유전 질환에 대한 환자 상담을 전문으로 한다. 유전 상담사의 역할은 질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4] 유전학자와 함께 일할 때, 유전 상담사는 일반적으로 신생아,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나타나는 발달 이상에 초점을 맞춘 소아 유전학을 전문으로 한다. 소아 상담의 주요 목표는 아이의 발달 문제 뒤에 숨겨진 유전적 근거를 부모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유전 상담사는 환자 가족의 병력을 요약한 가족 계통도를 작성하여 임상 유전학자의 감별 진단 과정을 돕는다.[4]

4. 1. 1. 산전 유전 진단

임신 전 또는 임신 중 유전 질환 위험이 있는 부부를 대상으로 한다.[1] 고위험 산전 선별 검사 결과, 태아 초음파 이상 등에 대한 진단을 수행한다.[1]

4. 1. 2. 소아 유전학

소아 유전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환을 다룬다.[1]

  • 선천적 결손
  • 발달 장애, 자폐증, 간질
  • 저신장 및 골격 이형성증

4. 1. 3. 성인 유전학

심근증 및 심장 부정맥, 유전성 신장 질환, 치매 및 신경 퇴행, 결합 조직 질환을 다룬다.[4]

4. 1. 4. 암 유전학

유방/난소암, 대장암, 내분비 종양을 다룬다.[4]

4. 2. 대사/생화학 유전학

선천성 대사 이상과 관련된 효소 결핍증을 진단하고 관리하며, 이는 탄수화물, 아미노산, 지질의 대사에 관여하는 생화학적 경로를 교란한다. 대사 질환의 예로는 갈락토스 혈증, 글리코겐 축적 질환, 리소좀 축적 질환, 대사성 산증, 과산화체 질환, 페닐케톤뇨증, 요소 회로 이상 등이 있다.

4. 3. 세포유전학

세포유전학은 염색체염색체 이상에 대한 연구이다. 세포유전학은 역사적으로 염색체를 분석하기 위해 현미경에 의존했지만, 현재는 배열 비교 유전체 혼성화(aCGH)와 같은 새로운 분자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염색체 이상에는 이수성, 염색체 재배열, 유전체 결손/중복 질환 등이 있다.

4. 4. 분자 유전학

분자 유전학은 많은 단일 유전자 질환의 근본이 되는 DNA 돌연변이를 발견하고 실험실에서 검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일 유전자 질환의 예로는 연골무형성증, 낭성 섬유증, 뒤쉔 근이영양증, 유전성 유방암 (BRCA1/2), 헌팅턴병, 마르판 증후군, 누난 증후군, 레트 증후군 등이 있다. 분자 검사는 엔젤만 증후군, 베크위드-비데만 증후군, 프래더-윌리 증후군, 단일 부모 염색체 이수성과 같은 후성 유전학적 이상을 포함하는 증후군의 진단에도 사용된다.

4. 5. 미토콘드리아 유전학

미토콘드리아 유전학은 분자적 근거를 가지지만 에너지 생산 부족으로 인해 종종 생화학적 이상을 초래하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의 진단 및 관리에 관한 것이다.[1]

5. 유전 상담

유전 상담은 유전 질환, 진단 검사, 그리고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위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유전 상담사는 의사가 아닌 의료 유전학 팀의 구성원으로, 가족 위험 평가와 유전 질환에 대한 환자 상담을 전문으로 한다.[4]

유전 상담사는 소아 유전학을 전문으로 하여 신생아, 유아, 어린이에게 나타나는 발달 이상에 초점을 맞춘다. 소아 상담의 주요 목표는 아이의 발달 문제 뒤에 숨겨진 유전적 근거를 부모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유전 상담사는 환자 가족의 병력을 요약한 가족 계통도를 작성한다. 이는 임상 유전학자가 감별 진단 과정을 돕고, 환자를 돕기 위해 어떤 추가 단계를 거쳐야 할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4]

6. 의학유전학의 역사

유전학은 19세기 보헤미아의 수도사 그레고어 멘델과 다른 선구적인 과학자들의 연구에서 그 뿌리를 두고 있지만, 인간 유전학은 그보다 늦게 등장했다. 20세기 전반기에 비록 느리지만 발전하기 시작했다. 멘델의 유전 법칙(단일 유전자)에 따른 유전은 백색증, 단지증 (손가락과 발가락이 짧아지는 질환), 그리고 혈우병과 같은 여러 중요한 질병에서 연구되었다.[1] 또한 수학적 접근 방식이 고안되어 인간 유전학에 적용되었다.[1] 집단 유전학이 창시되었다.[1]

의학 유전학은 제2차 세계 대전 (1945년)이 끝난 후, 우생학 운동이 평판을 잃게 되면서 주로 등장했다.[1] 나치의 우생학 남용은 우생학의 종말을 알렸다.[1] 우생학이 사라지면서 과학적 접근 방식이 사용될 수 있었고, 인간 및 의학 유전학에 적용되었다.[1] 의학 유전학은 20세기 후반에 급격한 성장을 보였으며, 21세기에도 지속되고 있다.[1]

7. 의학유전학의 진단 및 치료

의학유전학의 목적은 유전성 질환의 원인과 발병 기전을 이해하여 유전질환을 진단하고 원인을 규명하며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이다.[47] 2003년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성됨에 따라 인간 유전체가 모두 밝혀져 의학유전학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45]

의학유전학은 발생생물학, 세포생물학, 분자생물학, 면역유전학 등 여러 생물학 분야의 성과를 두루 활용하여 각종 유전성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임상 검사에서는 DNA 분석과 가계도 작성과 같은 방법이 쓰인다.[48]

현재는 몸 전체 세포에 존재하는 유전적 변화를 교정할 수 있는 치료법은 없다. 그러나 많은 유전 증후군에서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치료법이 존재한다. 특히, 선천성 대사 이상의 경우 질병 기전이 잘 알려져 있어 식이 요법 및 의학적 관리를 통해 장기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 결핍된 효소를 대체하기 위해 수액 치료가 사용되기도 한다. 현재 유전자 치료나 다른 새로운 약물을 이용한 특정 유전 질환 치료법이 연구 중에 있다.[4]

7. 1. 진단 평가

환자는 각자의 징후와 증상에 맞춰 진단 평가를 받는다. 임상 유전학자는 감별 진단을 통해 염색체 이상 질환, 선천성 대사 이상, 단일 유전자 질환 등에 대한 검사를 권장한다.

7. 1. 1. 염색체 연구

염색체 연구는 발달 지연 또는 지적 장애, 선천적 결함, 기형, 자폐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 유전학 클리닉에서 사용된다. 또한 태아가 이수성 또는 기타 염색체 재배열에 영향을 받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산전 환경에서도 수행된다. 암 샘플에서 염색체 이상이 자주 발견되기도 한다. 염색체 분석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 핵형 분석: 현미경으로 각 염색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밝고 어두운 띠를 생성하는 특수 염색을 포함한다.
  • 형광 현미경 검사(FISH): 특정 DNA 서열에 결합하는 프로브의 형광 표지화가 포함되며, 이수성, 게놈 결실 또는 중복을 식별하고, 염색체 전좌를 특성화하며, 환상 염색체의 기원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 염색체 염색: 각 염색체를 차별적으로 표지하기 위해 각 염색체에 특정한 형광 프로브를 사용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복잡한 염색체 재배열이 발생할 수 있는 암 세포유전학에서 더 자주 사용된다.
  • 어레이 비교 게놈 하이브리제이션: 개별 DNA 샘플을 게놈의 고유한 영역을 나타내는 분자 프로브(대략 200kb 박테리아 인공 염색체에서 작은 올리고뉴클레오티드까지)가 포함된 유리 슬라이드 또는 마이크로어레이 칩에 하이브리드화하는 새로운 분자 기술이다. 이 방법은 게놈 전체에서 게놈 획득 또는 손실을 감지하는 데 특히 민감하지만, 균형 잡힌 전좌를 감지하거나 중복된 유전 물질의 위치(예: 직렬 중복 대 삽입 중복)를 구별하지는 못한다.

7. 1. 2. 대사 연구

생화학적 연구는 체액, 일반적으로 혈액(혈장/혈청) 또는 소변, 경우에 따라 뇌척수액(CSF)에서 대사 물질의 불균형을 선별하기 위해 수행된다.[1] 특정 상황에서는 효소 기능에 대한 특정 검사(백혈구, 피부 섬유아세포, 간 또는 근육)도 사용된다.[1] 대사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받을 수 있다.[1]

  • 정량적 아미노산 분석: 일반적으로 닌히드린 반응을 사용하여 수행되며, 이어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샘플(소변, 혈장/혈청 또는 CSF)의 아미노산 양을 측정한다.[1]
  • 소변 유기산 분석: 정량적 또는 정성적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지만, 어느 경우든 이 검사는 비정상적인 유기산의 배설을 감지하는 데 사용된다.[1]
  • 아실카르니틴 결합 프로파일: 카르니틴에 결합된 유기산 및 지방산과 같은 화합물을 감지한다.[1]
  • 피루브산과 젖산: 정상적인 대사의 부산물이며, 특히 혐기성 대사 중에 생성된다.[1]
  • 암모니아: 아미노산 대사의 최종 생성물이며, 간에서 일련의 효소 반응을 통해 요소 회로라고 하는 과정을 거쳐 요소로 전환된다.[1]
  • 효소 검사: 선별 검사를 기반으로 의심되는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광범위한 대사 질환에 대해 수행된다.[1]

7. 1. 3. 분자 연구

DNA 염기 서열 분석은 특정 유전자의 유전체 DNA 염기 서열을 직접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발현된 단백질(엑손)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부분과 소량의 인접한 비번역 영역 및 인트론만 분석한다. 따라서 이러한 검사는 매우 특이적이고 민감하지만,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모든 돌연변이를 일상적으로 식별하지는 못한다.[1]

DNA 메틸화 분석은 유전체 각인 및 단일 부모성 이염색체와 같은 후성 유전 메커니즘의 파괴로 인해 발생하는 특정 유전 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1]

서던 블롯은 젤 전기 영동을 통해 크기별로 분리된 DNA 조각을 검출하고 방사성 동위원소 표지 탐침을 사용하여 검출하는 초기 기술이다. 이 검사는 뒤셴 근이영양증과 같은 질환에서 결실 또는 중복을 감지하는 데 일상적으로 사용되었지만, 고해상도 배열 비교 유전체 혼성화 기술로 대체되고 있다. 서던 블롯은 삼핵산 반복으로 인한 질환의 진단에 여전히 유용하다.[1]

7. 2. 치료

현재 신체의 모든 세포에 존재하는 유전적 변화를 교정할 수 있는 치료법은 없다. 그러나 많은 유전 증후군에서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치료법이 존재한다. 특히, 선천성 대사 이상의 경우 질병의 기전이 잘 알려져 있어 식이 요법 및 의학적 관리를 통해 장기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다. 결핍된 효소를 대체하기 위해 수액 치료가 사용되기도 한다. 현재 유전자 치료나 다른 새로운 약물을 이용한 특정 유전 질환 치료법이 연구 중에 있다.[4]

7. 2. 1. 대사 장애 관리

식이 제한 및 보충은 갈락토스 혈증, 페닐케톤뇨증(PKU), 단풍 시럽 뇨병, 유기산뇨증 및 요소 회로 장애를 포함한 여러 대사 장애에서 핵심적인 조치이다. 이러한 식단은 환자와 가족이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대사 장애에 대한 경험이 있는 영양사와 긴밀한 상담이 필요하다. 식단은 성장하는 아이의 칼로리 요구량에 따라 달라지며, 여성이 이러한 장애 중 하나에 걸린 경우 임신 중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1]

약물 치료는 잔여 효소 활성 증진, 독성 화합물 축적 방지, 독성 화합물 배출 촉진 등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호모시스틴뇨증 환자 중 일부에게는 고용량의 피리독신(비타민 B6)을 사용하여 잔여 시스타티온 신타제 효소의 활성을 높인다. 비오티니다제 결핍 시에는 비오틴을 투여하여 여러 효소의 활성을 회복시킨다. 티로신혈증에서는 니티시논(NTBC)을 사용하여 간 독성을 유발하는 석시닐아세톤 생성을 억제한다. 요소 회로 장애에서는 벤조산 나트륨을 사용하여 암모니아 축적을 줄인다.[1]

효소 대체 요법은 특정 리소좀 축적 질환 치료에 사용된다. 실험실에서 생산된 재조합 효소를 주입하여 여러 조직에서 화합물 축적을 줄이는 방식이다. 고셔병, 파브리병, 뮤코다당증 및 폼페병(글리코겐 저장 질환 2형)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이 치료법은 효소가 영향을 받는 부위에 도달하는 능력에 제한이 있으며(예: 혈액-뇌 장벽은 효소가 뇌에 도달하는 것을 막음), 때로는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장기적인 임상 효과는 질환에 따라 다르다.[1]

7. 2. 2. 기타 치료 예시

8. 의학유전학 관련 직업 및 교육

의학유전학 분야에는 다양한 진로가 있으며, 각 분야에 필요한 교육 과정은 다르다.[47]

진로학위설명교육
임상 유전학자MBBS, MD, DO, 또는 MD-PhD진료실이나 병원에서 환자를 평가한다. 병력, 가족력(계보도), 신체 검사, 영상 및 검사 결과 검토, 감별 진단 설정, 진단 검사 권고 등을 수행한다.대학교(4년) → 의과대학(4년) → 1차 레지던시(1년) → 임상 유전학 레지던시(2년). 일부는 PhD 학위(4~7년)도 취득하며, 의과대학 졸업 후 임상 유전학 분야에서 4년의 1차 레지던시를 제공하는 과정도 있다.
유전 상담사석사환자와 가족에게 유전 정보를 전달하며, 임상 유전학자 등과 협력하여 검사 결과를 전달한다.대학교(4년) → 유전 상담 석사 과정(2년).
대사 간호사 및/또는 영양사학사/이학사, 석사, RN대사 질환 환자의 식이 관리를 조정한다.대학교(4년) → 간호 학교 또는 영양학 석사 과정.
생화학 진단학사, 석사, 박사, MBBS, MD, DO, MD-PhD선천성 대사 이상을 전문으로 하며, 진단 실험실에서 아미노산, 유기산, 효소 활성을 측정하는 전문 생화학 검사를 분석하고 해석한다.대학교(4년) → 대학원(PhD, 보통 4~7년) 및/또는 의과대학(4년)
세포유전학 진단학사, 석사, 박사, MBBS, MD, DO, MD-PhD세포유전학을 전문으로 하며, 진단 실험실에서 핵형, FISH, 비교 게놈 혼성화 검사를 분석하고 해석한다.대학교(4년) → 대학원(PhD, 보통 4~7년) 및/또는 의과대학(4년)
분자 유전학학사, 석사, 박사, MBBS, MD, DO, MD-PhD분자 유전학을 전문으로 하며, 진단 실험실에서 DNA의 질병 유발 돌연변이를 찾는 유전자 검사를 분석하고 해석한다.대학교(4년) → 대학원(PhD, 보통 4~7년) 및/또는 의과대학(4년)
연구 유전학자학사, 석사, 박사, MBBS, MD, DO, MD-PhD인간 질병의 유전적 기반을 연구하거나 질병 메커니즘을 연구한다.대학교(4년) → 대학원(PhD, 보통 4~7년) 및/또는 의과대학(4년) → 박사후 연구 훈련(보통 3년 이상)
실험실 기술자전문학사, 학사, 석사진단 또는 연구 실험실에서 샘플을 처리하고 분석을 수행한다.대학교(4년), 석사 학위(2년 이상) 소지자도 있다.



계보도를 가지고 연구하는 유전학자


미국의 임상, 상담, 진단 분야 실무자는 일반적으로 미국 의학유전학 위원회를 통해 자격증을 취득한다. 유럽에서는 [https://www.uems.eu/ 유럽 전문의 연합(UEMS)]에서 임상/의학 유전학 의사 교육을 감독하며, [https://uems-genetics.org/Education.html 의학 유전학에 대한 유럽 교육 요구 사항(ETR)]을 제정했다.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호주 왕립 의사 협회가 교육을 감독한다.

9. 윤리적, 법적, 사회적 문제

유전 정보는 개인과 그 가족에 대한 고유한 유형의 지식을 제공하며, 이는 개인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일반적인 실험실 검사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유전 정보와 유전 질환의 고유한 특성은 윤리적, 법적, 사회적 문제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파급 효과를 갖는다.[45]

2015년 3월 19일, 과학자들은 CRISPR 및 아연 핑거를 사용하여 상속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인간 게놈을 편집하는 방법, 특히 임상 사용에 대해 전 세계적인 금지를 촉구했다.[7][8][9][10] 2015년 4월과 2016년 4월, 중국 연구자들은 CRISPR을 사용하여 생존할 수 없는 인간 배아의 DNA를 편집하는 기초 연구 결과를 보고했다.[11][12][13] 2016년 2월, 영국 과학자들은 배아가 7일 이내에 파괴되는 조건으로 CRISPR 및 관련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 배아를 유전자 변형할 수 있는 허가를 규제 기관으로부터 받았다.[14] 2016년 6월, 네덜란드 정부는 14일의 제한을 명시하는 유사한 규정을 따를 계획이라고 보고되었다.[15]

10. 관련 학회 및 기관

미국 인간 유전학회(ASHG)는 1948년에 설립되어 그 해부터 연례 회의를 시작하였고, 1956년 창립된 국제 인간 유전학 학회(ICHG)는 5년마다 회의를 개최하고 있다.[4] ASHG는 월간지인 미국 인간 유전학 저널을 발행한다.

미국에서 의학 유전학은 미국 의학 유전학 위원회와 미국 의학 유전학 대학(ACMG)을 갖춘 별개의 의학 전문 분야로 인정받고 있다.[1] ACMG는 연례 과학 회의를 개최하고, 월간 학술지인 ''의학 유전학''을 발행하며, 인간 유전학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입장문과 임상 실무 지침을 발표한다.

호주와 뉴질랜드에서는 의학 유전학자들이 호주 왕립 내과의사 대학의 후원하에 훈련을 받고 자격을 취득하지만, 호주 인간 유전학회(HGSA)와 호주 임상 유전학자 협회(ACGC)에 소속되어 있다.[3]

유럽에서는 [https://www.uems.eu/ 유럽 전문의 연합(UEMS)]에서 의학 유전학 의사의 교육을 감독한다. UEMS는 [https://uems-genetics.org/Education.html 의학 유전학에 대한 유럽 교육 요구 사항(ETR)]을 제정했다. 최종 자격 인증에는 [https://www.uems-ecmgg.org/Home.html 유럽 의학 유전학 및 유전체학 인증서(ECMGG)]가 포함될 수 있다.

한국에서는 대한의학유전학회, 한국유전체학회 등이 활동하고 있으며, 질병관리청 희귀질환관리과에서 관련 정책을 담당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merican Board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http://abmgg.org/
[2] 웹사이트 Training Options - ABMGG http://abmgg.org/pag[...]
[3] 웹사이트 Clinical Genetics https://www.racp.edu[...] Royal Australasian College of Physicians
[4] 논문 A new definition of genetic counseling: national society of genetic counselors' task force report 2006-05-19
[5] 서적 The Politics of Life Itself : Biomedicine, Power, and Subjectiv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6] 논문 Eugenics and the Genetic Challenge, Again: All Dressed Up and Just Everywhere to Go 2011-03-25
[7] 뉴스 Scientists Seek Ban on Method of Editing the Human Genome https://www.nytimes.[...] BBC 2015-03-20
[8] 뉴스 A Powerful New Way to Edit DNA https://www.nytimes.[...] 2015-03-20
[9] 논문 A prudent path forward for genomic engineering and germline gene modification 2015-03-19
[10] 논문 Don't edit the human germ line 2015-03-26
[11] 뉴스 Chinese Scientists Edit Genes of Human Embryos, Raising Concerns https://www.nytimes.[...] 2015-04-24
[12] 논문 CRISPR/Cas9-mediated gene editing in human tripronuclear zygotes 2015-04-18
[13] 웹사이트 Chinese Researchers Experiment with Making HIV-Proof Embryos https://www.technolo[...] 2016-06-10
[14] 뉴스 Scientists get 'gene editing' go-ahead https://www.bbc.co.u[...] BBC 2016-06-10
[15] 웹사이트 Dutch government seeks to allow creation of human embryos for research http://www.bionews.o[...] 2016-06-10
[16] 논문 On the allelic spectrum of human disease
[17] 논문 The allelic architecture of human disease genes: common disease-common variant...or not?
[18] 논문 The allelic structure of common disease
[19] 논문 Human migrations and population structure: what we know and why it matters
[20] 논문 Meta-analysis of genetic association studies supports a contribution of common variants to susceptibility to common disease
[21] 논문 How many diseases does it take to map a gene with SNPs?
[22] 논문 Using haplotype blocks to map human complex trait loci
[23] 논문 Race, ancestry, and genes: implications for defining disease risk
[24] 논문 Are rare variants responsible for susceptibility to complex diseases?
[25] 논문 Multiple rare alleles contribute to low plasma levels of HDL cholesterol
[26] 간행물 Categorization of humans in biomedical research: genes, race and disease http://genomebiology[...]
[27] 논문 Searching for the genetic determinants in a new millennium
[28] 논문 Genomewide scans of complex human diseases: true linkage is hard to find
[29] 논문 A comprehensive review of genetic association studies
[30] 서적 Genetic factors in ethnic disparities in health
[31] 논문 Population stratification and spurious allelic association
[31] 논문 The effects of human population structure on large genetic association studies
[32] 논문 Point: population stratification: a problem for case-control studies of candidate-gene associations?
[33] 논문 Counterpoint: bias from population stratification is not a major threat to the validity of conclusions from epidemiological studies of common polymorphisms and cancer
[34] 논문 Tests and estimates of allelic association in complex inheritance
[35] 논문 Control of confounding of genetic associations in stratified populations
[36] 논문 Assessing the impact of population stratification on genetic association studies
[37] 논문 Accounting for ancestry: population substructure and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2008-10
[38] 논문 Design and analysis of admixture mapping studies
[39] 논문 Methods for high-density admixture mapping of disease genes
[40] 논문 A high-density admixture map for disease gene discovery in African Americans
[41] 논문 Prospects for admixture mapping of complex traits
[42] 논문 Ethnicity as an epidemiological determinant—crudely racist or crucially important?
[43] 논문 A vision for the future of genomics research
[44] 웹사이트 의예과 교과목 해설 http://med.dongguk.a[...]
[45] 웹사이트 유전질환에서의 맞춤의학의 진전 및 발전 http://www.asanscien[...]
[46] 웹사이트 희귀난치성질환센터 http://helpline.cdc.[...]
[47] 웹사이트 학과소개 http://genetics.ohpy[...]
[48] 서적 한눈에 알 수 있는 의학유전학 E PUBL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