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통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통주의는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각 종교 내에서 전통적인 교리나 신앙, 관습을 따르는 입장을 의미한다. 기독교에서는 초기 공의회에서 결정된 교리를 따르는 것을, 유대교에서는 토라와 할라카를 엄격히 준수하는 것을, 이슬람교에서는 수니파를 정통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힌두교에는 정통주의라는 용어는 없지만, 베다를 권위로 인정하는 아스티카 학파가 이에 해당한다. 종교적 맥락 외에서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신념이나 신념 체계를 지칭하며, 정치, 경제,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2. 기독교의 정통주의

니케아 신경 준수는 기독교에서 정통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기준 중 하나로 여겨진다.


기독교에서 '정통'(正統, Orthodoxy)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초기 기독교 시대에 형성되고 에큐메니컬 공의회들을 통해 확립된 핵심적인 신앙고백과 교리를 따르는 입장을 가리킨다. 특히 니케아 신경과 같이 삼위일체 교리를 명확히 한 신조들은 정통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져 왔다.

역사적으로 기독교는 여러 신학적 논쟁과 분열을 거치며 다양한 교파로 나뉘었다. 이 과정에서 각 교파는 자신들의 신학적 입장이 초기 교회의 가르침을 올바르게 계승한다는 의미에서 '정통'임을 강조해왔다.

  • 451년 칼케돈 공의회 이후 그리스도론에 대한 이견으로 분리된 오리엔트 정교회는 자신들의 독자적인 신학적 전통을 나타내기 위해 '정통'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1054년 동서 교회 분열 이후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는 모두 스스로를 유일하게 '정통'이며 '가톨릭(보편적)'이라고 주장했다.[5] 시간이 지나면서 서방 교회는 주로 '가톨릭'으로, 동방 교회는 '정교회'(Orthodox Church)로 불리게 되었지만, 두 명칭 모두 초기 교회 시대부터 사용된 역사적 배경을 지닌다.
  • 개신교 내에서도 '정통주의'라는 용어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된다. 루터교 정통주의[6]나 개혁 정통주의[7][8]처럼 특정 역사적 시기의 신학적 경향을 지칭하기도 하고, 주류 개신교[26]나 특정 복음주의 그룹이 자신들의 신학적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정통' 또는 '정통주의'라는 용어는 기독교 내에서 역사적 맥락과 사용 주체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공통적으로는 초기 교회의 신조와 교의를 계승한다는 주장을 내포하는 경우가 많다.

2. 1. 초기 기독교



고전적인 기독교 용법에서 '정통'이라는 용어는 초기 기독교인들이 믿었던 일련의 교리를 가리킨다. 이러한 교리를 공식화하기 위해 수 세기에 걸쳐 여러 에큐메니컬 공의회가 열렸다.

이 시기 가장 중요한 결정 중 하나는 아타나시우스와 에우스타티우스 등이 주장한 호모우시안(동일본질) 교리와, 아리우스와 에우세비우스 등이 주장한 헤테로우시안(유사본질) 교리(아리우스주의) 사이의 논쟁이었다. 호모우시안 교리는 예수하나님과 동일한 본질을 가진 존재로 보았으며, 이는 이후 삼위일체 교리의 핵심이 되었다. 이 교리는 431년 에페수스 공의회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어 교회 내에서 승리하였고, 이전 교부들의 관점을 재확인한 것으로 여겨져 대부분의 기독교 전통에서 '정통' 교리로 간주되었다. (소수의 비삼위일체론자들은 이러한 규정에 동의하지 않는다.)

한편,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는 그리스도론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교회가 다시 분열되었다. 이 공의회의 결정에 동의하지 않은 교회들은 오리엔트 정교회를 형성하였고, 칼케돈파 교회(이후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교회의 모체)와 분리되었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자신들의 독자적인 신학적 전통을 강조하며 '정통'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후 1054년 동서 교회 분열로 서방 기독교 전통의 가톨릭교회와 동방 기독교 전통의 동방 정교회가 최종적으로 나뉘게 되었다. 분열 이후에도 양측은 모두 스스로를 유일하게 '정통'이며 '가톨릭(보편적)'이라고 주장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저서 ''참된 종교에 관하여''에서 "종교는 ... 가톨릭 또는 정통 기독교인, 즉 진리의 수호자이자 올바름의 추종자라고 불리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찾아야 한다"고 쓰기도 했다.[5] 시간이 흐르면서 서방 교회는 주로 '가톨릭'이라는 명칭으로, 동방 교회는 '정통 교회'(Orthodox Church)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지만, 두 명칭 모두 초기 교회 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용어이다.

2. 2. 동방 정교회



고전적인 기독교 용법에서 '정통'이라는 용어는 초기 기독교인들이 믿었던 핵심 교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교리들은 여러 에큐메니컬 공의회를 통해 공식화되었으며, 특히 삼위일체 교리를 확립한 니케아 신경 등이 중요한 기준으로 여겨진다.

1054년 동서 교회 분열 이후, 서방 기독교의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는 모두 자신들이 유일하게 '정통'(grc)하고 '가톨릭'(grc)하다고 여겼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참된 종교에 관하여''에서 "종교는 ... 가톨릭 또는 정통 기독교인, 즉 진리의 수호자이자 올바름의 추종자라고 불리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찾아야 한다"고 기술했다.[5] 시간이 흐르면서 서방 교회는 주로 '가톨릭'이라는 명칭과 동일시되었고, 동방 교회는 '정통 교회'라는 명칭과 주로 연결되었다. 그러나 두 명칭 모두 초기 교회 시기부터 사용된 용어였다.

동방 정교회는 451년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수용한 교회들을 지칭하며, 이 공의회에서 발생한 그리스도론적 차이로 인해 오리엔트 정교회와는 구분된다. 오리엔트 정교회 역시 자신들의 신학적 전통을 나타내기 위해 '정통'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동방 정교회는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까지의 초기 7개 에큐메니컬 공의회에서 결정된 신조들을 교의의 기초로 삼는다. 특히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를 중요하게 여기며, 일반적으로 '신경'이라고 하면 이 신조를 가리킨다. 반면, 서방 교회의 전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도신경[24]아타나시우스 신경[25]은 동방 정교회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2. 3. 가톨릭 교회

1054년 동서 교회 분열 이후, 서방 기독교인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는 모두 자신들을 독특하게 "정통"하고 ''가톨릭''이라고 계속 간주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참된 종교에 관하여''에서 "종교는 ... 가톨릭 또는 정통 기독교인, 즉 진리의 수호자이자 올바름의 추종자라고 불리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찾아야 한다."라고 썼다.[5]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방 교회는 점차 "가톨릭"이라는 칭호와 동일시되었고, 서유럽 사람들은 점차 "정통"이라는 칭호를 동방 교회와 연관시켰다. 이는 가톨릭과 정교회 모두 각각 2세기와 4세기부터 교회 형용사로 사용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통파'라는 용어는 가톨릭교회(로마 가톨릭 및 동방 가톨릭 교회)가 스스로를 지칭할 때 사용되기도 하며, 사도 계승을 주장하는 교회(가톨릭교회, 정교회, 동방 기독교 등)들이 스스로를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

2. 4. 개신교

개신교 내에서도 '정통주의'라는 개념이 사용된다. 이는 주로 특정 역사적 시기나 신학적 입장을 가리키는 데 쓰이며, 대표적으로 루터교 정통주의[6]와 개혁 정통주의[7][8] 시기가 언급된다. 또한, 개신교 내부에서도 이 용어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데, 종교개혁 이후 형성된 전통적인 주류 교파를 지칭하기도 하고[26], 때로는 특정 복음주의 그룹이 자신들의 신학적 입장을 강조하며 스스로를 '정통'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2. 4. 1. 루터교 정통주의

루터교 정통주의는 1580년 ''일치신조'' 저술로 시작되어 계몽 시대에 끝난 루터교 역사상의 한 시대를 가리킨다. 이 시기는 칼뱅주의의 개혁 정통주의나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가톨릭교회의 반종교개혁 시대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6]

루터교 정통주의 시대에는 루터교 스콜라주의라는 신학적 방법론이 점차 발전했다. 당시 신학자들은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던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 방식을 저술과 강연에 활용하여 루터교 신앙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다른 교파의 비판으로부터 이를 변호하고자 했다.

역사적 맥락에서 루터교 정통주의는 루터교회 내부의 주류파를 의미하기도 하며, 특히 경건주의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26]

2. 4. 2. 개혁 정통주의

개혁 정통주의 또는 칼뱅주의 정통주의는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칼뱅주의 역사 속의 한 시대였다. 칼뱅주의 정통주의는 루터교 및 트리엔트 로마 가톨릭교회의 반종교개혁 이후 시대와 유사하게 진행되었다. 이 시기에는 칼뱅주의 스콜라주의 또는 개혁 스콜라주의라는 신학적 방법론이 점차 발전하였다.[7][8]

2. 4. 3. 복음주의와 정통주의

개신교 내에서 '정통주의'라는 용어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며, 때로는 서로 상반되는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특히 복음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첫째, 16세기 종교개혁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비교적 전통적인 개신교 교파들을 '정통주의'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는 종교개혁 초기에 형성되어 국가나 영방의 공인을 받고 주류 지위를 확립한 루터교회, 칼뱅주의에 기반한 개혁교회 및 장로교회, 그리고 이 둘이 연합한 교회들이 포함된다. 넓은 의미에서는 성공회도 여기에 포함될 수 있으며, 비교적 후대에 등장했지만 감리교 (특히 감리교 감독 교회) 등도 포함되기도 한다. 이들은 소위 '주류 개신교'라고도 불린다. 이 의미의 '정통주의'는 때때로 경건주의와 대비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26]

둘째, 위와는 반대로, 주로 근현대 영국미국을 중심으로 성장한 특정 복음주의 그룹이 스스로를 '정통주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은 종교개혁의 원점으로 돌아가려는 지향과 부흥 신앙을 강조하며, 성경 무오설을 핵심 교리로 삼는다. 이러한 입장을 가진 교파들로는 홀리니스 교회, 오순절 교회, 침례교회의 일부 등이 있다. 이들은 근대의 성서 비평학, 자유주의 신학, 신정통주의 신학 등을 비판하며, 이러한 흐름이 기독교의 본질인 성서의 권위를 훼손한다고 본다. 또한, 로마 가톨릭교회 등과의 에큐메니컬 운동이나 타 종교와의 대화가 혼합주의로 흐를 수 있다고 경계한다. 이 맥락에서 '정통주의'는 성경 무오설을 중심으로 한 복음주의 또는 기독교 근본주의적 신앙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주의할 점은 '복음주의'라는 용어 자체도 여러 의미로 사용된다는 것이다. 독일어에서는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의 주류 개신교(루터파, 개혁파)를 가리키는 evangelisch|에반겔리슈de와, 근현대의 성경 무오설 등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운동을 가리키는 evangelikal|에반겔리칼de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정통주의'와 '복음주의'의 관계를 이해할 때는 어떤 의미로 각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3. 유대교의 정통주의

정통 유대교는 전통적인 유대교 분파들을 아우르는 용어이다. 전통적인 유대교 신앙과 관습을 온전히 지키려는 경향을 보이며, 근대성세속화의 도전에 맞서 형성되었다. 신학적으로는 토라(성문 토라와 구전 토라 모두)가 시나이 산에서 하나님으로부터 문자 그대로 계시되었고, 그 이후 충실하게 전승되었다고 보는 것이 핵심이다.

정통 유대교는 신성한 토라에 기반한 엄격한 ''할라카''(유대 율법) 준수를 강조한다. ''할라카''는 영원하며 역사적 영향력 밖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본질적으로는 변경될 수 없다고 본다. 변화하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는 있지만, 그 해석은 반드시 전승된 방법에 따라야 한다고 믿는다.

정통 유대교는 중앙에서 통제하는 단일 조직이 아니다. 여러 하위 그룹들 사이의 관계는 때때로 긴장감이 있으며, 정통 유대교의 정확한 범위가 어디까지인지에 대해서는 내부에서도 격렬한 논쟁이 있다. 크게 보면, 외부 사회에 대해 더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성향을 보이는 하레디 유대교와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현대 정통 유대교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각각은 다시 여러 독립적인 흐름으로 구성된다. 이들 그룹은 거의 예외 없이 자신들만이 유일한 정통 유대교라고 주장하며, 다른 비정통적 해석은 타당하지 않다고 거부하는 배타적인 입장을 보인다.

4. 이슬람의 정통주의

수니파 이슬람은 때때로 "정통 이슬람"이라고 불린다.[13][14][15] 존 버턴과 같은 다른 이슬람 학자들은 "정통 이슬람"과 같은 것은 없다고 믿는다.[16]

5. 힌두교의 정통주의

힌두교에는 서구 종교에서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정통주의가 존재하지 않는다.[9] "힌두교"라는 단어 자체가 인도 북서부를 흐르는 신두강 너머에 살았던 사람들의 다양한 믿음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힌두교는 수천 명의 구루들이 받아들인 가르침을 기록한 것으로, 일부에서는 이들을 예언자와 동일시하기도 한다.[10] 힌두교는 특정 창시자나 중앙 권위, 강제적인 명령 체계가 없으며, 오직 권고만이 존재한다.

힌두교에서 정통주의와 가장 유사한 개념은 '교리에 엄격히 따르는 것'이라는 의미보다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전통'이라는 의미에 더 가깝다. 예를 들어, 사나타나 다르마는 종종 외부에서 힌두 철학의 핵심 교리로 여겨지지만, 이는 '영원한 전통'으로 번역될 수 있다. 이는 특정 교리나 강제적인 규율이라기보다는, 수천 년에 걸쳐 환경적 요인과 여러 세대의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유지되어 온 전통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 철학에는 ''아스티카''와 ''나스티카''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 이는 각각 '정통주의'와 '이단'과 유사한 측면을 가진다. 특히 ''아스티카''는 베다를 인식적 권위로 받아들이는 학파나 사상 체계를 가리킨다.[11][12]

6. 기타 종교의 정통주의

케메틱 정통주의는 케메티즘의 한 종파로, 현대 신봉자들이 고대 이집트 다신교를 개혁하고 재건하려는 움직임이다. 이들은 자신들의 영적인 뿌리가 고대 이집트 종교에 있다고 주장한다.[17] 또한, 슬라브 토착 신앙 (로드노베리)을 따르는 일부 단체들도 자신들의 종교를 정통주의라고 부르거나 유사한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7. 비종교적 맥락에서의 정통주의

종교적인 맥락 외에서도 '정통(orthodox)'이라는 용어는 특정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신념이나 신념 체계를 가리킬 때 자주 사용된다. 특히 이러한 원칙들, 즉 '교리'라고도 할 수 있는 것들이 도전을 받을 때 더욱 그렇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통'이라는 말은 다소 경멸적인 뉘앙스를 가질 수도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정통성'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정치적 정통성
  • 정통 마르크스주의
  • 사회적 정통성
  • 경제적 정통성
  • 과학적 정통성
  • 예술적 정통성
  • 정통 의학[18]


'정통' 또는 '정통성'이라는 용어는 아이디어나 신념 외의 다른 대상을 지칭하는 데에도 보다 넓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문제를 해결하는 새롭고 독특한 방식은 '비정통적'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반대로 일반적이고 주류적인 문제 해결 방식은 '정통적'이라고 표현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erseus Digital Greek Word Study Tool https://www.perseus.[...] 2019-12-03
[2] 웹사이트 orthodoxy 2016-01-27
[3] 뉴스 orthodox https://www.dictiona[...] Dictionary.com 2008-03-03
[4] 웹사이트 Kalama Sutta: To the Kalamas https://www.accessto[...] Barre Center for Buddhist Studies 2018-03-14
[5] 서적 The Orthodox Imperative: Selected Essays of Avery Cardinal Dulles, S.J. https://www.amazon.c[...] First Things Press
[6] 서적 The Inspiration of Scripture: A Study of the Theology of the 17th Century Lutheran Dogmaticians https://books.google[...] Oliver and Boyd
[7] 서적 Introduction to Reformed Scholasticism Reformation Heritage Books
[8] 서적 A Companion to Reformed Orthodoxy Brill
[9] 학술지 The Human Icon: A Comparative Study of Hindu and Orthodox Christian Beliefs
[10] 웹사이트 Githa Vahini http://altlib.org/it[...] 2020-07-07
[11] 웹사이트 Nāstika {{!}} Indian philosoph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8-13
[12] 웹사이트 Āstika {{!}} Vedic, Upanishads, Brahman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8-13
[13] 서적 Dictionary of Terrorism Routledge 2013-09-05
[14] 서적 The Status of Women Under Islamic Law and Modern Islamic Legislation BRILL 2009
[15] 서적 What You Need to Know about Islam & Muslims B&H Publishing Group 2000
[1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adith Edinburgh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What is Kemetic Orthodoxy?: Introduction http://www.kemet.org[...] The House of Netjer 2013-10-04
[18] 뉴스 How much of orthodox medicine is evidence based? https://www.bmj.com/[...] British Medical Journal 2007-11-08
[19] 서적 Stolen Churches or Bridges to Orthodoxy?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23-11-17
[20] 서적 The Mind on Paper: Reading, Consciousness and Rational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1-17
[21] 서적 A Social-Political History of Monotheism: From Judah to the Byzantin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3-11-17
[22] 서적 The Age of Post-Rationality: Limits of economic reasoning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3-11-17
[23] 서적 The Pol Pot Regime: Race, Power, and Genocide in Cambodia Under the Khmer Rouge, 1975-79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3-11-17
[24] 웹사이트 東方正教会の基本信条 http://www.orthodox-[...] 2021-08-23
[25] 서적 日本聖公会 祈祷書 日本聖公会管区事務所
[26] 웹사이트 敬虔主義(読み)けいけんしゅぎ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21-08-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