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인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철인왕은 플라톤의 저서 《국가》에 등장하는 개념으로, 철학적 지혜와 덕성을 갖춘 통치자를 의미한다. 플라톤은 철학자가 왕이 되거나 왕이 철학적 자질을 갖춰야 이상적인 국가를 건설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철인왕은 진실성, 절제, 정의, 훌륭한 기억력 등을 갖춰야 하며, 35년의 교육과 경험을 통해 통치 자격을 얻는다고 설명된다. 플라톤의 철인왕 사상은 시대와 사상가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비판받아 왔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이슬람 철학자, 근대 사상가들에 의해 비판받기도 했다. 현실에서는 디오니시오스 2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등 여러 인물이 철인왕의 예시로 언급되지만, 그들의 통치가 이상에 부합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톤주의 - 기게스의 반지
기게스의 반지는 리디아의 목동 기게스가 발견한 투명해지는 반지를 통해 권력과 부도덕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고대 그리스 이야기로, 플라톤의 『국가』에 등장하며 정의와 불의,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낸다. - 플라톤주의 - 추덕
추덕은 신중, 용기, 절제, 정의의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 윤리적 가치로서,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유래하여 예술과 문학에서 표현되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기여할 잠재력이 있지만 시대적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정치 제도 - 일당제
일당제는 하나의 정당만이 합법적이거나 권력을 독점하는 정치 체제로,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야당 탄압 등으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며, 정책 결정에 있어 반대 의견 부재로 잘못된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 정치 제도 - 정치 체제
정치 체제는 사회적 가치의 배분 과정과 그에 관여하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포괄하며, 데이비드 이스턴의 정치 시스템 이론은 입력, 출력, 피드백의 순환 과정을 통해 설명되고, 비중앙집권적, 중앙집권적 체제로 분류되며, 서구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 민주주의, 권위주의, 전체주의, 군주제 및 혼합 체제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는 특정 사회 계급의 "독재"로 이해된다.
철인왕 | |
---|---|
철인왕 | |
개념 | 철학자가 통치하는 이상적인 국가의 통치자 |
특징 | 지혜, 정의, 용기, 절제를 갖춘 인물 |
관련 인물 | 플라톤 |
관련 저서 | 국가 |
플라톤의 철인왕 | |
이상적인 통치자 | 지혜를 사랑하고 진리를 추구하는 철학자 |
역할 | 국가의 이익을 위해 헌신하며 정의로운 통치를 실현 |
교육 | 철저한 교육을 통해 육성됨 |
자질 | 도덕적 품성과 지적 능력을 겸비 |
논쟁과 비판 | |
현실과의 괴리 | 이상적인 통치자가 현실에서 존재하기 어려움 |
권력 남용의 위험 | 철인왕의 권력이 남용될 가능성 |
대안적 모델 | 법치주의, 민주주의 등 다양한 정치 체제 |
2. 플라톤의 《국가》에서의 철인왕
《국가》는 소크라테스 대화편으로, 정의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 위해 이상적인 도시 국가를 상상하고, 그곳이 어떻게 기능할지를 탐구한다. 소크라테스는 이상적인 국가는 철학적 성향과 용감한 성품을 모두 갖춘 수호자 계급에 의해 통치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1]
소크라테스는 대화 상대자들이 그가 묘사하는 국가가 현실에서 존재할 수 있는지 묻자, 다음과 같은 한 가지 조건에서만 가능하다고 답한다.
소크라테스는 진정한 철학자와 가짜 철학자를 구분한다. 진정한 철학자는 "각 사물 속의 진실"을 사랑하는 사람이며, 이는 모든 특정한 사물들이 영원한 이데아의 그림자에 불과하다는 플라톤의 믿음을 반영한다. 따라서 철학자만이 절대적 진리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 지식을 국가의 선을 위해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통치할 자격이 있다.[4]
플라톤은 어떤 사람이 "선하다"는 것은 "선을 아는 것"이며, 반대로 악은 "선을 알지 못하는 것"이라는 주지주의를 전개했다. 그는 철학자의 목표는 감각 세계의 배후에 있는 실체인 이데아,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선의 이데아를 보고 아는 것이라고 했다. 이데아를 아는 것은 사물의 진실된 모습, 성질을 아는 것이며, 선의 이데아를 보고 아는 것은 곧 "선을 아는 것"이었다. 따라서 그는 선의 이데아를 아는, 즉 선한 철학자는 가장 사물을 잘 알고 지혜로운 선한 통치자가 될 수 있다고 하여, 철학자를 왕으로 하는 철인왕 사상을 전개했다.
소크라테스는 대화 마지막에 이상적인 국가는 실현될 수 있지만, 한 명 이상의 철학자가 어떻게든 도시에서 권력을 잡을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재확인한다. 그는 또한 만약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철인 왕이 완벽한 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가장 빠른 방법은 열 살 이상인 모든 시민들을 내보내고, 철학적 원칙에 따라 젊은 세대를 양육하는 것이라고 제안한다.[9]
플라톤은 《국가》에서 철학자를 지배자로 하는 이상 국가의 정체와, 다른 정체(명예 지배(군인 지배)의 유형, 과두 지배(부자 지배)의 유형, 민주 지배의 유형, 그리고 플라톤이 최악의 정체라고 하는 참주 독재자 지배의 유형)를 비교하며, 철인왕에 의한 통치가 가장 우수하다고 했다.
2. 1. 철인왕의 자질과 통치
소크라테스는 이상적인 국가가 용기와 철학적 성향을 모두 갖춘 특별히 훈련된 수호자 계급에 의해 통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 진정한 철학자는 "각 사물 속의 진실"을 사랑하며, 이는 영원한 이데아의 그림자에 불과한 특정한 사물들을 사랑하는 사람들과 대비된다.[3] 오직 철학자만이 절대적 진리에 대한 지식을 갖고 국가의 선을 위해 이를 적용할 수 있기에 통치 자격을 갖는다.[4]이상적인 철학자는 진실성, 절제, 정의, 훌륭한 기억력 등의 자질을 갖춰야 한다.[5] 그러나 현실에서는 많은 철학자들이 "완전한 악당"이거나 쓸모없는 존재로 여겨지는데, 소크라테스는 국가의 배 비유를 통해 이를 설명한다. 그는 아테네 민주주의를 항해술에 대한 지식이 없음에도 서로 경쟁하는 선원들에 비유하며, 이들이 자신들의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지 않는 사람에게 욕설을 퍼붓는다고 묘사한다.[6] 소크라테스는 많은 철학자들이 부패한 사회에서 자랐기 때문에 부패했다고 보며, 이상적인 국가에서만 철학자가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7]
철학자들은 35년간의 교육과 15년간의 하급 직책 경험을 거쳐 50세가 되면 통치 자격을 갖게 되지만, 정치 참여 욕망 없이 의무감으로 통치에 임한다.[8]
2. 2. 철인왕의 교육
플라톤은 철인왕을 육성하기 위해 엄격한 교육 프로그램과 선발 과정을 제시했다. 철인왕 후보자들은 수학, 체육, 음악 등의 기초 과목과 예비 학과를 배우고, 그 과정에서 극기심과 청빈 등의 덕을 함양해야 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철학을 배울 수 있었다.[9] 플라톤은 이러한 교육과 선발 과정을 통해 적성이 없는 사람을 걸러내고, 진정한 철인왕을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예비 수호자들은 35년 동안 교육을 받고, 이후 15년 동안 하급 직책을 맡아 실무 경험을 쌓아야 했다. 50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통치할 자격을 갖추게 되는데, 이때 정치 참여는 욕망이 아닌 의무감에서 비롯되어야 했다.[8]
3. 해석의 역사
플라톤의 철인왕 사상은 시대와 사상가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비판받아 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저서 ''정치학''에서 플라톤의 정치 이론을 비판했다. 13세기 ''정치학''이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기독교 세계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정치 철학의 기본이 되었고, 플라톤의 사상은 세속 권력과 종교 권력을 분리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 밀려났다. 반면 이슬람 학자들은 플라톤의 ''국가''에 큰 영향을 받아 철인왕을 전통적인 "입법자-예언자"와 같은 존재로 보았다.[10]
알 파라비와 아베로에스의 저작이 히브리어로 번역되면서 철인왕 개념은 유대교 정치 사상에 들어왔다. 모세, 아브라함, 솔로몬과 같은 성경 인물은 이상적인 통치자의 예시로 간주되었으며, 플라톤의 이론은 유대교 철학자들의 요구에 맞게 변형되었다. 바루흐 스피노자 등 영향력 있는 작가들이 마키아벨리의 저작을 본받아 세속적인 정치 철학을 정립하면서 17세기 철인왕 사상은 쇠퇴했다.[13]
19세기 영국에서는 철인왕 사상이 엘리트주의적인 국가 운영 모델로 여겨졌다. 이마누엘 칸트는 영구 평화론에서 "권력은 이성의 판단 능력을 망가뜨린다"며 철인왕 개념을 비판했다.[13] 20세기에는 철인왕 사상이 독재 국가 이데올로기의 근원으로 여겨졌으며, 칼 포퍼는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철인왕을 레닌이나 히틀러와 직결되는 것으로 비판했다.
3. 1.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아리스토텔레스는 저서 《정치학》에서 플라톤의 정치 이론을 비판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시민이 도시 행정에 동등하게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한 명 이상이 다른 시민들보다 덕에서 뛰어나다면 그들을 "평생 동안 그들의 국가의 왕"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했다.[10] 그러나 이 지도자가 반드시 철학에 능숙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으며, 철학자의 이론적 지혜와 통치자의 정치적 지혜를 구분했다.[10]3. 2. 이슬람 철학의 수용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이 13세기에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기독교 세계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정치 철학의 기본이 되었고, 플라톤의 사상은 세속 권력과 종교 권력을 분리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에 밀려났다. 반면 이슬람 학자들은 플라톤의 《국가》에 큰 영향을 받아 철인왕을 전통적인 "입법자-예언자"와 같은 존재로 보았다.[10] 알 파라비는 이상적인 국가는 시민의 영적 교육에 힘써야 하며, 통치자는 인간 존재의 목적을 잘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알 파라비는 플라톤과 달리 이상 국가의 창시자는 철학자이자 예언자여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완벽한 법은 신에게서만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창시자의 후계자는 예언자일 필요는 없지만, 여전히 철학자로서 전달된 법을 정확하게 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11]중세 이슬람 철학자들은 왕실에서 일하며 정치 이론을 실천할 기회가 많았고, 일부는 재상으로 일하기도 했다. 이들은 철인왕 사상을 믿었지만, 스스로 권력을 잡으려 한 이슬람 철학자는 없었으며, 표면적으로는 종속적인 지위에 만족했다. 알 파라비는 필요한 덕을 모두 갖춘 통치자는 드물기 때문에 이상적인 국가의 왕위를 두 사람이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고 썼다. "그 중 한 명은 철학자이고 다른 한 명은 나머지 조건을 충족한다."[12]
3. 3. 유대교 정치 사상의 영향
알 파라비와 아베로에스의 저작이 히브리어로 번역되면서, 철인왕 개념은 유대교 정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13] 모세, 아브라함, 솔로몬과 같은 성경 인물은 이상적인 통치자의 예시로 간주되었으며, 플라톤의 이론은 유대교 철학자들의 요구에 맞게 변형되었다.[13] 바루흐 스피노자 등 영향력 있는 작가들이 마키아벨리의 저작을 본받아 세속적인 정치 철학을 정립하기 시작하면서, 17세기 동안 철인왕 사상은 쇠퇴하였다.[13]3. 4. 근대 이후의 비판
19세기 영국에서는 철인왕 사상이 엘리트주의적인 국가 운영의 모델로 여겨졌다. 이마누엘 칸트는 영구 평화론에서 "권력은 이성의 판단 능력을 망가뜨린다"며 철인왕 개념을 비판했다.[13]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철인왕 사상은 독재 국가 이데올로기의 근원으로 여겨지게 되었으며, 특히 칼 포퍼는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철인왕을 레닌이나 히틀러와 직결되는 것으로 비판했다.4. 《법률》에서의 "밤의 회의"
플라톤은 후기 저작인 《법률》에서 '철인왕' 대신 ''''밤의 회의''''라는 기구를 제시한다.[1] 밤의 회의는 철인왕과 유사한 교육을 받고 국정 실무 경험을 갖춘 복수의 인물들로 구성되며, 국체와 법률을 보존하고 덕과 선을 분별하는 역할을 맡는다.[1]
이는 철인왕 사상의 현실적 수정 또는 발전된 형태로 해석될 수 있다.[1]
5. 현실에서의 철인왕 사례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이상적인 국가가 현실에서 세워지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14] 그는 철학의 원리에 따라 통치자를 교육하려는 주목할 만한 시도를 한 적이 있었다.
플라톤의 친구 아르키타스, 알렉산드로스 대왕,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등이 철인왕의 잠재적 예시로 제시된다.[18][19][20][21][22][23]
이 외에도 여러 역사적 인물들이 철인왕의 예시로 거론된다.
지역 | 인물 | 통치 기간 | 비고 |
---|---|---|---|
아시아 | 아소카 | 기원전 268년 ~ 232년 | 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불교 황제 |
아시아 | 호스로 1세 | 512년경 ~ 579년 | 이란 통치자, 인품, 덕, 그리스 철학 지식으로 존경받음[24][25][26] |
아시아 | 알마문 | 786년 ~ 833년 | 아바스 칼리프, 이슬람 황금 시대 지원[27][28][29][30] |
아시아 | 알무타심 | 796년 ~ 842년 | 아바스 칼리프, 알마문의 후계자[31][32] |
아시아 | 아부 야쿠브 유수프 | 1135년 ~ 1184년 | 안달루시아 칼리프, 아베로에스 후원[33][34] |
아시아 | 네자후알코요틀 | 1402년 ~ 1472년 | 테스코코 (아즈텍 삼자 동맹) 틀라토아니, 법, 시, 문화 황금 시대[37] |
아시아 | 술탄 쉴레이만 | 1494년 ~ 1566년 | 오스만 제국 술탄, 예술과 시 후원[39] |
아시아 | 악바르 | 1542년 ~ 1605년 | 무굴 황제, 문화, 학문, 종교, 철학 후원, 딘-이 일라히 창시 |
유럽 | 율리아누스 | 330년 ~ 363년 | 로마 황제, 플라톤 철학자 |
유럽 | 프리드리히 2세 | 1194년 ~ 1250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시칠리아 왕 |
유럽 | 머티어스 코르비누스 | 1443년 ~ 1490년 |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 |
유럽 | 프리드리히 대왕 | 1712년 ~ 1786년 | 프로이센 왕, 정치 철학자[40] |
북아메리카 | 토머스 제퍼슨 | 1743년 ~ 1826년 | 미국 대통령, 미국 독립 선언서 저자, 버지니아 대학교 설립자[41] |
아시아 |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 | 1888년 ~ 1975년 | 인도 대통령, 비교 종교 및 철학 학자 |
아시아 | 리콴유 | 1923년 ~ 2015년 | 싱가포르 총리, 온정적 독재 리더십[42] |
5. 1. 디오니시오스와 디온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에서 자신의 이상적인 국가가 현실에서 세워지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14] 그는 철학의 원리에 따라 통치자를 교육하려는 주목할 만한 시도를 한 적이 있었다. 기원전 367년,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오스 2세가 그의 삼촌이자 플라톤의 친구이자 제자인 시라쿠사의 디온의 감독하에 시라쿠사의 권력을 잡았다. 디온은 플라톤에게 시라쿠사로 와서 디오니시오스의 조언자가 되어달라고 요청했고, 플라톤은 이를 수락했다. 그러나 그는 폭군에 대한 완화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이상을 기대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디오니시오스를 진정한 철학자 왕으로 변모시킬 수 있다고 믿었을 것 같지는 않다. 결국 디오니시오스는 배우려는 의지가 없는 학생이었고, 그 시도는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15][16]이후 디온은 스스로 권력을 잡으려 시도하다가 결국 암살당했다. 그의 위작일 가능성이 있는 《일곱 번째 편지》에서 플라톤은 디온의 죽음을 애도했다.[17]
5. 2. 기타 사례
플라톤의 친구 아르키타스, 알렉산드로스 대왕,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등이 철인왕의 잠재적 예시로 제시된다.[18][19][20][21][22][23]이 외에도 여러 역사적 인물들이 철인왕의 예시로 거론된다.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지역 | 인물 | 통치 기간 | 비고 |
---|---|---|---|
아시아 | 아소카 | 기원전 268–232 | 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불교 황제 |
아시아 | 호스로 1세 | 512년경–579 | 이란 통치자, 인품, 덕, 그리스 철학 지식으로 존경받음[24][25][26] |
아시아 | 알마문 | 786–833 | 아바스 칼리프, 이슬람 황금 시대 지원[27][28][29][30] |
아시아 | 알무타심 | 796–842 | 아바스 칼리프, 알마문의 후계자[31][32] |
아시아 | 아부 야쿠브 유수프 | 1135–1184 | 안달루시아 칼리프, 아베로에스 후원[33][34] |
아시아 | 네자후알코요틀 | 1402–1472 | 테스코코 (아즈텍 삼자 동맹) 틀라토아니, 법, 시, 문화 황금 시대[37] |
아시아 | 술탄 쉴레이만 | 1494–1566 | 오스만 제국 술탄, 예술과 시 후원[39] |
아시아 | 악바르 | 1542–1605 | 무굴 황제, 문화, 학문, 종교, 철학 후원, 딘-이 일라히 창시 |
유럽 | 율리아누스 | 330–363 | 로마 황제, 플라톤 철학자 |
유럽 | 프리드리히 2세 | 1194-1250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시칠리아 왕 |
유럽 | 머티어스 코르비누스 | 1443–1490 |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 |
유럽 | 프리드리히 대왕 | 1712–1786 | 프로이센 왕, 정치 철학자[40] |
북아메리카 | 토머스 제퍼슨 | 1743–1826 | 미국 대통령, 미국 독립 선언서 저자, 버지니아 대학교 설립자[41] |
아시아 | 사르베팔리 라다크리슈난 | 1888–1975 | 인도 대통령, 비교 종교 및 철학 학자 |
아시아 | 리콴유 | 1923–2015 | 싱가포르 총리, 온정적 독재 리더십[42] |
5. 2. 1. 아시아
W. K. C. 거스리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에 따르면, 플라톤의 친구인 아르키타스가 철인왕 개념의 원조일 수 있다고 한다. 아르키타스는 뛰어난 피타고라스 철학자이자, 유능한 군사 장군이며 대중적인 정치 지도자였다. 그는 이탈리아 타렌토 시에서 '스트라테고스'를 일곱 번이나 역임했다.[18][19]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로, 종종 철인왕으로 묘사되었다. 그의 동시대인 오네시크리토스는 그를 "무장한 철학자"라고 칭했다. 1세기의 플라톤주의자인 플루타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지혜, 관대함, 절제, 용기를 칭찬했다. 플루타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가 이전에 이상으로만 여겨졌던 원칙들을 실제로 구현했고 "수많은 민족들의 야만적인 관습을 변화시켰기" 때문에 그를 철학자라고 불렀다고 말했다.[20] 그러나 알렉산드로스는 다양한 역사가들이 현대까지 그를 매우 다르게 묘사했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는 인물로 남아있다.[21]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역시 철인왕의 이상을 실현한 인물로 자주 언급된다. ''Historia Augusta''와 같은 고대 자료들은 그를 "철학자"라고 부르며 그의 통치의 관대함을 칭찬한다. 그의 스토아 저서인 ''명상록''은 봉사와 의무의 철학에 대한 문학적 기념비로 여전히 존경받고 있다.[22][23]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철인왕의 예시로 제시된다.
- 아소카 (기원전 268–232), 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불교 황제
- 호스로 1세 (–579), 이란 통치자, 그의 인품, 덕, 그리스 철학에 대한 지식으로 페르시아 및 다른 지역에서 존경받음.[24][25][26]
- 알마문 (786–833), 아바스 칼리프. 이슬람 황금 시대의 절정기에, 그리스-아랍 번역 운동을 지원하고, 당시 최대의 연구 도서관인 바이트 알 히크마를 대중에게 공개하고, 알콰리즈미와 같은 많은 철학자와 박식가를 후원하여 "대수학"으로 알려진 유명한 책을 출판하고, 합리적인 이슬람 신학 운동으로서의 무타질라를 후원했으며, 당시 유럽의 기독교 교회에 의해 이단으로 여겨지던 많은 그리스 필사본을 구하는 데 성공했다.[27][28][29][30]
- 알무타심 (796–842), 아바스 칼리프이자 군사 장군, 알마문의 후계자가 되어 이슬람 황금 시대 동안 과학적 노력을 계속 지원했다. 그는 알킨디와 알자히즈와 같은 철학자와 박식가의 후원자로 알려져 있다.[31][32]
- 아부 야쿠브 유수프 (1135–1184), 안달루시아 칼리프이자 아베로에스의 후원자.[33][34]
- 네자후알코요틀 (1402–1472), 테스코코 (아즈텍 삼자 동맹) 시의 틀라토아니로, 그의 도시를 위해 법, 시, 문화의 황금 시대를 일구었다.[37]
- 술탄 쉴레이만 (1494–1566),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예술과 시에 대한 그의 후원으로 특히 유명하다.[39]
- 악바르 (1542–1605), 무굴 황제로, 문화, 학문, 종교, 철학에 대한 그의 후원과 종교 딘-이 일라히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5. 2. 2. 유럽
W. K. C. 거스리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에 따르면 플라톤의 친구인 아르키타스가 철인왕 개념의 원조일 수 있다고 한다. 아르키타스는 뛰어난 피타고라스 철학자이자, 유능한 군사 장군 및 대중적인 정치 지도자였으며, 이탈리아 타렌토 시에서 일곱 번이나 '스트라테고스'를 역임했다.[18][19]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였던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종종 철인왕으로 묘사되었다. 그의 동시대인 오네시크리토스는 그를 "무장한 철학자"라고 칭했으며, 1세기의 플라톤주의자인 플루타르코스는 그의 지혜, 관대함, 절제, 용기에 대해 칭찬했다. 플루타르코스가 알렉산드로스를 철학자라고 부른 이유는 그가 이전에 이상으로만 여겨졌던 원칙들을 실제로 구현했고 "수많은 민족들의 야만적인 관습을 변화시켰기" 때문이라고 말했다.[20] 그러나 알렉산드로스는 다양한 역사가들이 현대까지 그를 매우 다르게 묘사했기 때문에 논쟁의 여지가 있는 인물로 남아있다.[21]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역시 철인왕의 이상을 실현한 인물로 자주 언급된다. ''Historia Augusta''와 같은 고대 자료들은 그를 "철학자"라고 부르며 그의 통치의 관대함을 칭찬하는 반면, 그의 스토아 저서인 ''명상록''은 봉사와 의무의 철학에 대한 문학적 기념비로 여전히 존경받고 있다.[22][23]
그 외에도 율리아누스 (330–363, 로마 황제이자 플라톤 철학자), 호스로 1세 (512년경–579, 이란 통치자), 프리드리히 2세 (1194-1250,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시칠리아 왕), 머티어스 코르비누스 (1443–1490,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 프리드리히 대왕 (1712–1786, 프로이센의 왕이자 널리 읽힌 정치 철학자)[40] 등이 철인왕으로 언급된다.
참조
[1]
서적
Republic
1991
[2]
서적
Republic
1991
[3]
서적
Republic
1991
[4]
서적
Republic
1991
[5]
서적
Republic
1991
[6]
서적
Republic
1991
[7]
서적
Republic
1991
[8]
서적
Republic
1991
[9]
서적
Republic
1991
[10]
서적
The Philosopher King in Medieval and Renaissance Jewish Political Thought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3
[11]
서적
2003
[12]
서적
Identidades marginales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2003
[13]
서적
2003
[14]
서적
The Development of Plato's Political Theory
https://archive.org/[...]
Methuen and Co
1986
[15]
서적
An Examination of Plato's Doctrin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6]
서적
1986
[17]
웹사이트
The Seventh Letter by Plato
http://classics.mit.[...]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2022-01-19
[18]
서적
Archytas of Tarentu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9]
서적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2
[20]
서적
2011
[21]
간행물
From Tyrant to Philosopher–King: A Literary History of Alexander the Great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England by Charles Russell Stone (review)
https://www.deepdyve[...]
2014-02-28
[22]
웹사이트
Marcus Aurelius: Plato's Philosopher King
https://www.worldhis[...]
2018-05-09
[23]
서적
A Companion to Marcus Aurelius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2012
[24]
서적
Iran: Empire of the Mind: A History from Zoroaster to the Present Day
Penguin Adult
2008
[25]
서적
Iran, the Arabs, and the West: the story of twenty-five centuries
Vantage Press
1987
[26]
서적
Zoroastrianism: An Introduction
I.B.Tauris
2011
[27]
서적
Al-Ma'mun (Makers of the Muslim World)
Oneworld Publications
2005
[28]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Middle East
Westview Press
2002
[29]
서적
The History of al-Ṭabarī, Volume XXXII: The Reunification of the ʿAbbāsid Caliphate: The Caliphate of al-Maʾmūn, A.D. 813–33/A.H. 198–213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7
[30]
서적
Arabic culture: the Graeco-Arabic translation movement in Baghdad and early Abbasid society
1998
[31]
서적
History Of Islamic Philoso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6-23
[32]
서적
Light from the East: How the Science of Medieval Islam Helped to Shape the Western World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5-03-30
[33]
웹사이트
Averroës
https://www.britanni[...]
2022-01-23
[34]
서적
Maimonides In His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35]
서적
Man and the Western World
https://books.google[...]
Hinds, Hayden & Eldredge
2022-05-25
[36]
서적
The Emperor Frederick II of Hohenstaufen: Immutator Mundi
https://archive.org/[...]
Oxford, Clarendon Press
1972
[37]
간행물
Netzahualcoyotl
[38]
웹사이트
Marsilio Ficino: Magnus of the Renaissance, Shaper of Leaders
http://integralleade[...]
2007-03
[39]
웹사이트
The Golden Age of Ottoman Art
https://archive.aram[...]
1987-07
[40]
서적
Frederick the Great
https://archive.org/[...]
Longman
2000
[41]
서적
Thomas Jefferson : America's Philosopher-King
Taylor & Francis Group
2014
[42]
간행물
Lee Kuan Yew: The Philosopher King
https://content.time[...]
2023-03-30
[43]
웹사이트
philosopher kingの使い方と意味 - 英辞郎
https://eow.alc.co.j[...]
[44]
학술저널
哲人王と理想的な政治家
https://doi.org/10.1[...]
神戸女学院大学
201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