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사는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유럽, 유라시아,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된 화기를 장착한 병사를 의미한다. 동아시아에서는 12세기 송나라에서 핸드 캐논이 발명된 이후 명나라와 청나라 군대에서 사용되었으며, 중국, 일본, 조선에서도 머스킷과 관련된 기술이 발전했다. 유럽에서는 스페인의 테르시오, 프랑스의 근위 총사대, 러시아의 스트렐치, 영국의 붉은 외투 등이 총사로 활약했으며, 네덜란드, 스웨덴에서도 머스킷 기술이 발전했다. 아프리카에서는 응고 왕국과 콩고 왕국, 위다 왕국에서 머스킷병이 활용되었다.

2. 동아시아

핸드 캐논은 12세기 송나라에서 발명되어 13세기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14세기에는 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명나라(1368–1644)[1]청나라(1644–1911) 군대에는 아르케부스병과 머스킷병이 고용되었다.

2. 1. 중국

핸드 캐논은 12세기 송나라에서 발명되었으며, 13세기에는 널리 사용되었다. 14세기에는 아시아 전역으로 서쪽으로 전파되었다. 아르케부스병과 머스킷병은 명나라(1368–1644)[1]청나라(1644–1911)의 군대에 고용되었다. 자오 스젠의 1598년 저서 《무비지》(''Shenqipu'')에는 오스만 제국의 투르크인과 유럽 머스킷병의 삽화와 머스킷에 대한 상세한 도해가 담겨 있다.[2] 또한 한족이 유럽식 머스킷 사용을 선호하면서 발사 시 오스만식 꿇어앉는 자세를 채택한 방법에 대한 삽화와 설명도 있었다.[3] 한족은 또한 최초의 연발식 화기를 제작했는데, 작은 나무 방패 뒤에 여러 개의 총열을 배치했다. 사수는 솜심지를 사용하여 이 총열을 하나씩 돌려 점화했다. 이러한 무기는 벽이나 높은 곳에서 발사할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니덤은 이 무기를 "원시적인 기관총"으로 간주했다.[4][5][6]

3. 중앙아시아

티무르 왕조 치하의 중앙아시아에서는 중국을 통해 도입된 머스킷이 널리 사용되었다.

4. 남아시아

무굴 보병의 그림.


매치락 머스킷은 1526년 제1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초대 무굴 제국 황제 바부르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다. 이 무기는 16세기부터 인도 전쟁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으며, 주로 악바르 황제 통치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매치락 머스킷은 전투 코끼리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무굴인, 마라타 동맹, 라지푸트, 시크인, 아홈인들은 엄폐물에서 사격하여 적 보병, 기병 및 코끼리를 매복 공격하기 위해 머스킷병을 사용했다. 많은 인도 총포상들이 무굴 보병을 위해 매치락 머스킷을 제작했으며,[7] 일부 복합 무기도 제작했다.

5. 유럽

머스킷총을 들고 있는 네덜란드 기병대; 야코프 데 헤인 2세(Jacob de Gheyn II)의 1608년 그림


유럽에서는 16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머스킷총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총사들이 활약했다.

  • '''스페인'''에서는 테르시오라 불리는 부대가 강력한 위력을 발휘했다.
  • '''프랑스'''에서는 근위대 기병대가 왕실을 섬기는 정예 부대로 명성을 떨쳤다.
  • '''네덜란드'''는 80년 전쟁 초기부터 머스킷을 활용하여 게릴라 전술을 펼쳤고, 나사우의 마우리츠는 머스킷 전술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 '''스웨덴'''의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머스킷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전투 방식을 발전시켜 스웨덴을 강대국으로 만들었다.
  • '''영국'''의 붉은 외투 부대는 잘 훈련된 머스킷 사격술로 유명했으며, 대영 제국 건설에 큰 역할을 했다.


러시아의 스트렐치에 대해서는 별도의 === 러시아 === 섹션에서 다룬다.

5. 1. 스페인

스페인군에서 ''테르시오'' (''스페인식 사각형''이라고도 불림)는 이론상 최대 3,000명의 창병, 검객, 총사로 구성된 혼성 보병 부대였다.[8] 창의 근접 전투력과 머스킷의 장거리 투사 능력을 결합하여 당시 효과적인 부대였지만, 실제 전장에서는 훨씬 작은 규모였다. 기능 면에서 느슨하게 형성된 팔랑크스와 유사했지만, 훨씬 더 유연하고 치명적이었다. 머스킷병은 이탈리아 전쟁 동안 스페인에서 개발되었으며, 판금 갑옷을 착용한 프랑스 겐다름에 대처하기 위함이었다. 아르케부스는 갑옷을 입은 기사를 쓰러뜨릴 만큼 강력하지 않았지만 벽총은 가능했다. 스페인 야전 지휘관들은 작은 벽총의 화력을 전장에 가져오고 싶었지만 아르케부스만큼 기동성이 뛰어나기를 원했다. 해결책은 더 큰 아르케부스였지만, 무게가 증가하여 조준 및 사격 시 총신을 지지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단각대의 전신인 머스킷 받침대가 사용되었다.[8] 또한 머스킷병은 갑옷을 완전히 포기한 최초의 보병이었다.[9] 머스킷 받침대 외에 머스킷병의 장비는 화약통에서 탄약대로 업그레이드되었다. 머스킷 받침대를 조작하는 어려움과 더 무거운 총을 다루는 데 필요한 힘 때문에 머스킷병은 다른 보병보다 더 강한 남성이었고 더 많은 급여를 받았다.[10]

테르시오의 기마 총사들은 초기 머스킷 시대부터 발전하여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스를 격파하고 왕을 포로로 잡으면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5. 2. 프랑스

근위대 기병대(Musketeers of the Guard)는 프랑스 왕실 군사 조직 내에서 대략 중대 규모로 편성된 하위 부대였다. 루이 13세(Louis XIII of France)는 1622년에 경 기병대(light cavalry) (루이 13세의 아버지인 앙리 4세(Henry IV of France)가 창설한 카라비니어 부대)에 머스킷총을 지급하면서 이 부대를 창설하였다. 기병대는 보병으로서는 도보로, 드라군(dragoons)으로서는 말 위에서 전투에 참여했다.[11] 1745년 폰트노 전투(Battle of Fontenoy)에서 국왕의 기병대는 정규 기병대로 참전하여 칼을 뽑아 영국 보병에게 돌격했다.

왕실 근위대의 하위 부대 중 하나로서, 기병대는 왕족과 밀접한 관련이 없었다. 전통적인 보디가드 임무는 근위대(Garde du Corps)프랑스어상트-쉬스(Cent-suisses)프랑스어가 수행했다. 기병대는 프랑스 귀족의 하위 계급이나, 장남이 더 명망 있는 근위대]](Garde du Corps)프랑스어와 셰보-레제]](Chevau-legers)(경 기병대)에서 복무하는 귀족 가문의 차남들에게 주로 입대 기회가 주어졌다. 대부분 십 대였던 기병대는 곧 용맹함과 다루기 힘든 행동으로 명성을 얻었다.[12]

높은 단결력으로 기병대는 왕의 호의를 얻었고, 궁정과 파리에서 자주 목격되었다. 리슐리외 추기경(Cardinal Richelieu)은 기병대 창설 직후 자신을 위한 보디가드 부대를 창설했다. 리슐리외는 왕을 불쾌하게 하지 않기 위해 자신의 보디가드를 국왕의 개인 경호대처럼 근위대(Garde du Corps)라고 부르지 않고, 국왕의 하위 경호 기병대에서 따와 기병대라고 불렀다. 이는 두 기병대 간의 격렬한 경쟁의 시작이었다. 1642년 리슐리외 추기경 사후, 이 부대는 마자랭 추기경(Cardinal Mazarin)에게 넘어갔다. 1661년 마자랭 추기경이 사망하자, 기병대는 국왕 기병대와 추기경 기병대 모두의 바람과는 반대로 루이 14세(Louis XIV of France)에게 넘어갔다. 이후 기병대는 두 개의 중대로 구성된 근위 기병 연대로 재편성되었다. 국왕 기병대는 "회색 기병대"({{lang|fr|mousquetaires gris프랑스어)로 널리 알려진 첫 번째 중대가 되었고, 추기경 기병대는 각각 회색과 검은색 말을 탔기 때문에 "검은 기병대"(mousquetaires noirs프랑스어)로 알려진 두 번째 중대가 되었다. 창설 이후 기병대는 파란색 망토 같은 카소크를 입었고, 빨간색 안감을 대고 은색 자수를 둘렀다. 1688년부터 카소크는 같은 색상의 더 작은 {{lang|fr|수브르베스트]](soubrevestes)} 또는 소매 없는 코트로 대체되었다. 부대 창설 초기에는 기병대가 개인적인 취향과 재산에 따라 카소크 아래에 사복을 입었지만, 1677년에는 붉은색 제복이 채택되었다.[13]

근위대 기병대의 제복, 1660–1814


기병대 입대는 {{lang|fr|근위대]](Garde du Corps)}와 {{lang|fr|셰보-레제]](Chevau-legers)}에 필요한 귀족의 자격(quarterings of nobility)을 갖추지 못한 귀족의 아들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일이었다.[14] 이 두 개의 선임 근위 부대는 최상위 계급과 부유한 귀족 가문에게만 입대가 허용되었다. 따라서 덜 유명한 귀족이나 야심 찬 평민에게 기병대 복무는 왕실 기병 부대에 합류하고 국왕의 눈에 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그러나 입대하려면 추천서와 지원자가 복무 비용(말, 칼, 의복, 하인 및 장비 제공)을 감당할 수 있는 가족 재산이 있다는 증거가 필요했다. 머스킷총, 소매 없는 수브르베스트, 독특한 파란색 카소크만 국왕이 제공했다.[15]

1776년, 기병대는 루이 16세(Louis XVI of France)에 의해 예산상의 이유로 해산되었다. 1814년 7월 6일, 첫 번째 부르봉 왕정 복고 이후 기병대는 이전 왕실의 다른 군 부대와 함께 재설립되었다. 그러나 이 값비싸고 귀족적인 연대는 나폴레옹(Napoleon)이 엘바에서 돌아왔을 때 무능함을 드러냈고, 대부분 흩어졌지만 일부는 루이 18세(Louis XVIII)와 함께 짧은 망명길에 올랐다. 결국 기병대는 두 번째 왕정 복고 이후인 1815년 12월 31일에 해산되었다.[16]

수십 년 후인 1844년부터 이 집단은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père)의 유명한 연재물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의 주제가 되었으며, 1844년 3월부터 7월까지 {{lang|fr|르 시에클]](Le Siècle)} 잡지에 처음 게재되었다. 뒤마는 가티앵 드 코르티 드 상드라(Gatien de Courtilz de Sandras)가 쓴 {{lang|fr|달타냥 부인의 회고록, 국왕 기병대 제1중대 부관 대장]](Mémoires de Monsieur d'Artagnan, capitaine lieutenant de la première compagnie des Mousquetaires du Roi)(1700, 쾰른)을 기반으로 소설을 썼다.[17]

5. 3. 네덜란드

머스킷은 16세기 중반 네덜란드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당시 네덜란드 프로빈스와 스페인 통치 사이에 갈등이 심화되던 시기였다. 초창기 화기는 화승총으로, 화약을 점화하기 위해 불타는 심지가 필요했다.[1] 게이전으로도 알려진 네덜란드 반군은 80년 전쟁 초기 단계에서 게릴라 전술을 위해 머스킷을 개량했다.[1] 네덜란드에서 머스킷 전술 개발의 핵심 인물은 전쟁의 대부분 기간 동안 네덜란드군을 이끈 네덜란드 군 사령관이자 왕자인 나사우의 마우리츠였다.[1] 17세기 후반까지 머스킷 기술은 계속 발전하여, 구식 화승총 설계를 점차적으로 부싯돌 방식이 대체했다.[1] 네덜란드군은 이러한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였지만, 프랑스, 영국과 같은 다른 유럽 강대국으로부터 증가하는 도전에 직면하기도 했다.[1]

5. 4. 스웨덴

구스타브 2세 아돌프는 개혁 덕분에 스웨덴 육군을 이끌어 17세기에 스웨덴을 강대국으로 만든 새로운 전투 방식을 발전시켰다. 이 전투 방식은 머스킷이 지배적인 전쟁의 후반기에 유럽과 식민지 전체에서 새로운 표준이 되었다. 구스타브 자신의 혁신을 바탕으로 한 매뉴얼은 서방 군대의 훈련과 전술을 혁신했다.

5. 5. 영국

문장 지지자: 19세기 명예 포병대의 머스킷총병, 모래


대영 제국의 상징적인 "붉은 외투"는 역사상 가장 큰 제국을 건설한 영국 육군의 주력 부대였다. 영국 보병은 약 1.91cm 구경의 랜드 패턴 머스킷 또는 브라운 베스를 장비했다. 당시 기준으로 훈련이 잘 되어 있었고, 실탄으로 훈련했다. 완벽하게 훈련된 붉은 외투는 분당 4번의 사격을 할 수 있었는데, 이는 중대별 사격 기법(여러 블록의 병사들이 연달아 작은 일제 사격을 하여 연대의 전면에 불의 파도를 일으키는 방식)과 결합되어 영국 머스킷총병이 우세한 적을 상대로 정면 대결에서 승리할 수 있게 했다.

"머스킷총병"이라는 용어는 연대 명칭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예로는 1760년대에 창설 및 해산된 제106 보병 연대 (흑색 머스킷총병), 제110 보병 연대 (여왕의 왕립 머스킷총병) 및 제112 보병 연대 (왕의 왕립 머스킷총병) 등이 있다.

Red coat (military uniform)|레드 코트영어는 영국군의 주요 부대였으며, 세계 최대의 제국을 건설하는 데 기여했다. 처음에는 영국 군인만 빨간 코트를 입었지만, 영국 동인도 회사에 의해 채택되어 인도에서 세포이에게도 지급되었다. 상의의 가장자리에 사용되는 장식은 연대마다 다양한 색상이 채택되었다. 영국 군인은 역사상 가장 완벽하게 훈련된 총병이었으며, 식민지 시대에 실탄 사격을 훈련받는 유일한 군대였다.

머스킷총은 1854년 영국군에서 퇴역했으며, 정확한 사거리가 브라운 베스의 3배 이상인 전장식 미니 소총으로 대체되었다.[18]

6. 유라시아

'''스트렐치'''(Стрельцы|스트렐치ru, 단수 , 문자 그대로 "사수")는 16세기부터 18세기 초까지 러시아의 근위병 부대로, 총기와 바르디슈를 갖추고 있었다. 이들은 ''스트렐치 부대''(Стрелецкое Войско|스트렐레츠코예 보이스코ru)라고도 불렸다. 스트렐치는 "머스킷병"으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아케부스병"이다.

수염을 기른 스트렐치는 연대로 편성되었으며, 각 연대는 독특한 색상의 긴 코트(''카프탄'')와 뾰족한 천 모자를 착용했다. 100명의 머스킷병 지휘관()은 연간 최대 20루블을 받았고, 연대장()은 30~60루블을 받았다.[22] 의류용 섬유와 식료품이 때때로 봉급의 일부로 지급되기도 했다.

6. 1. 오스만 제국

예니체리의 삽화


예니체리 부대는 오스만 제국 군대의 일원으로, 1440년대 초부터 머스킷을 사용했다.[19] 터키를 중심으로 발칸 반도, 아라비아, 북아프리카로 확장된 오스만 제국은 머스킷을 사용하여 콘스탄티노플(현재의 이스탄불)을 정복했으며, 군사적 충돌에서 머스킷을 가장 먼저 사용한 국가 중 하나였다. 또한 다르다넬스 대포와 같은 대형 대포도 활용했다. 술레이만 대제(재위 1520-1566) 치하의 오스만 제국은 합스부르크가사파비 왕조와 같은 유럽 경쟁국에 대한 군사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무기를 채택했다.

17세기 말에 이르러 오스만 군대는 유럽 군사 기술과 전술, 특히 화기의 급속한 발전을 따라가는 데 점점 더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오스만 군대의 정체는 대튀르크 전쟁 (1683-1699)과 1683년 빈 포위전과 같은 주요 분쟁에서 명백해졌는데, 여기서 오스만 제국은 신성 로마 제국과 그 동맹국 연합군에게 패배했다.

18세기와 19세기 동안 오스만 제국은 특히 유럽 강대국과의 패배에 직면하여 군대를 현대화할 필요성을 인식했다. 셀림 3세(재위 1789-1807)와 마흐무트 2세(재위 1808-1839)를 비롯한 여러 술탄들은 군대를 개혁하고 플린트락 메커니즘을 갖춘 머스킷의 새로운 버전을 포함한 보다 현대적인 화기를 도입하려고 시도했다. 예니체리가 마침내 1826년 "요행 사건"으로 알려진 사건 동안 폐지된 것은 마흐무트 2세 통치 기간이었다. 이는 현대 머스킷과 소총의 광범위한 채택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군사 개혁의 길을 열었다.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오스만 제국은 유럽의 기준에 더 부합하도록 군대를 재편했지만, 제국은 기술 발전을 따라가는 데 계속 어려움을 겪었다.

6. 2. 러시아

이반 뇌제 치세인 1545년에서 1550년 사이에 아케부스로 무장한 최초의 스트렐치 부대가 창설되었다. 이들은 1552년 카잔 공방전에서 처음으로 전투에 참여했다.[20] 스트렐치 부대에서의 군 복무는 평생 지속되었으며 세습되었다.[21]

1674년의 스트렐치


1680년까지 모스크바 스트렐치에는 총 20개 연대가 있었으며, 총 20,048명으로 전체 군대의 약 12%를 차지했다. 모스크바 외곽에서 근무하는 국경 및 수비대 스트렐치도 있었지만, 이들은 훈련과 장비가 덜 갖춰져 있었다.[21]

모스크바 정부는 만성적인 자금 부족에 시달렸기 때문에 스트렐치는 종종 제대로 봉급을 받지 못했다. 1550년대에는 연간 4루블 정도를 받을 자격이 있었지만, 소득을 보충하기 위해 농사를 짓거나 무역을 하는 것이 허용되었다.[22]

17세기 후반, 모스크바의 스트렐치는 다양한 정부 집단 간의 권력 투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반체제 인사를 지지하고 모든 외국의 혁신에 적대감을 보였다.[23]

1689년 소피아 알렉세예브나가 몰락한 후, 표트르 대제의 정부는 스트렐치의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을 점차적으로 제한하는 과정을 시작했다. 표트르 1세는 서유럽식으로 훈련되고, 제복을 입고, 조직된 새로운 정규군을 육성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스트렐치는 표트르 1세가 유럽에서 대사절단을 이끌고 있는 동안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관련된 4개 연대는 해산되었고, 반란자 1,200명이 처형되었다. 나머지는 추방되었고, 재산을 몰수당했으며, 앞으로 군사적 고용이 금지되었다.[24] 1689년에 기술적으로 전체 군단이 폐지되었으나, 1700년 나르바에서 패배를 겪은 후, 정부는 일부 스트렐치 부대를 유지했다.[25]

점차적으로, 스트렐치는 정규군에 편입되었다. 동시에, 차르 정부는 시 스트렐치를 해산하기 시작했다. 마지막 스트렐치 부대(그 당시에는 군사적이라기보다는 사회적 집단)의 해산은 마침내 1728년에 완료되었다.[26]

프레오브라젠스키와 세메노프스키는 스트렐치를 대신하여 차르에게 가장 가까운 정치적, 군사적 세력으로 제국 근위대에 편입되었다.[27]

7. 아프리카

응고 왕국은 16세기 앙골라의 포르투갈과의 전쟁에서 머스킷병 부대를 발전시켰다. 1585년, 40명의 머스킷병이 포르투갈에 맞서 배치된 공격 부대의 일부를 구성했다.[28] 콩고 왕국에서는 주로 포르투갈계 콩고인 혼혈인 메스티소|메스티수pt로 구성된 소규모 머스킷병 부대가 허가되었다. 1665년 음빌라 전투에서 300명 이상의 머스킷병이 포르투갈에 맞서 콩고 군대에 복무했다.[29][30]

머스킷병은 1680년부터 위다 왕국 군대에 고용되었지만, 창병, 검객, 궁수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았다. 전쟁에서 머스킷병은 군대의 최전선에서 싸우면서 가장 먼저 전투에 투입되었다.[31]

참조

[1] 서적 Chase 2003 https://books.google[...]
[2] 간행물 Needham, Volume 5, Part 7
[3] 간행물 Needham, Volume 5, Part 7
[4]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ume 5, Part 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Chinese ideas about nature and society: studies in honour of Derk Bodde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6] 서적 Weapon: A Visual History of Arms and Armor https://books.google[...] DK Publishing 2006
[7] 서적 The French Army 1914–18 Bloomsbury USA 1993
[8] 서적 Discourse on Spanish Musketry in the Late 16th Century 2022
[9] 서적 Discourse on Spanish Musketry in the Late 16th Century 2022
[10] 서적 The Army of Flanders and the Spanish Roa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
[11] 서적 French Musketeer 1622–1775 Osprey Publishing
[12] 서적 French Musketeer 1622–1775 Bloomsbury USA 2013
[13] 서적 French Musketeer 1622–1775 Osprey Publishing
[14] 서적 French Musketeer 1622–1775 Bloomsbury USA 2013
[15] 서적 French Musketeer 1622–1775 Bloomsbury USA 2013
[16] 서적 French Musketeer 1622–1775 Bloomsbury USA 2013
[17] 서적 French Musketeer 1622–1775 Bloomsbury USA 2013
[18] 서적 A History of the Regiments & Uniforms of the British Army Sphere Books
[19] 서적 The Janissaries https://archive.org/[...] Osprey
[20] 서적 Armies of Ivan the Terrible https://archive.org/[...] Bloomsbury USA 2006
[21] 서적 Armies of Ivan the Terrible https://archive.org/[...] Bloomsbury USA 2006
[22] 서적 Armies of Ivan the Terrible https://archive.org/[...] Bloomsbury USA 2006
[23] 서적 Peter the Great's Army 1: Infantry https://archive.org/[...] 1993
[24] 서적 Winds of Revolution
[25] 서적 Peter the Great's Army 1: Infantry https://archive.org/[...] 1993
[26] 서적 Armies of Ivan the Terrible https://archive.org/[...] Bloomsbury USA 2006
[27] 서적 Peter the Great's Army 1: Infantry https://archive.org/[...]
[28] 서적 Warfare in Atlantic Africa, 1500-1800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9] 논문 African Dimensions of the Stono Rebellion
[30] 논문 The Art of War in Angola, 1575–1680
[31] 논문 Firearms and Warfare on the Gold and Slave Coasts from the Sixteenth to the Nineteenth Centur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