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는 1941년 조르주 드 메스트랄이 우엉 가시에서 영감을 얻어 발명한 잠금 장치이다. 갈고리와 고리 구조를 모방하여 두 재료를 쉽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생체 모방 공학의 예시로 여겨진다. 드 메스트랄은 나일론을 사용하여 이 패스너를 개발했고, 1951년 스위스에 특허를 출원하여 1955년에 승인받았다. 이후 '벨크로'라는 이름으로 상업화되었으며, 의류, 신발, 스포츠 용품, 의료 기기, 군사 장비, 우주 항공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는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가지며, ASTM 표준에 의해 관련 시험 방법이 규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성의태어 - 꾹꾹이
꾹꾹이는 고양이가 앞발을 번갈아 움직여 부드러운 표면을 누르는 행동으로, 행복감과 만족감을 표현하며 야생 고양이의 본능 또는 새끼 고양이의 행동에서 유래되었고 사람과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방식이며,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때 발톱을 세우거나 가르랑거리는 소리를 내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긍정적인 감정 표현, 유대감 강화, 스트레스 해소에 기여한다. - 의성의태어 - 돌돌이
돌돌이는 동글게 말리는 모양을 나타내는 의태어에서 파생된 단어로, 섬유 표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테이프 클리너, 린트 리무버 또는 린트 롤러로도 불리는 도구이다. - 잠금장치 - 고무줄
고무줄은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의 띠로, 물건을 묶거나 고정하는 용도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천연 또는 합성 고무를 원료로 다양한 크기, 색상, 재질로 생산되는 일상적인 소모품이다. - 잠금장치 - 리벳
리벳은 기원전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오래된 체결 방식 중 하나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항공기, 교량 등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 의류 - 복장 규정
복장 규정은 사회적 맥락에 따라 의복에 대한 규칙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사회적 지위나 종교적 신념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현대 사회에서는 특정 환경에서의 규정, 성차별 및 자기 표현의 자유 침해 등의 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 의류 - 한복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복으로, 저고리와 바지 또는 치마를 기본으로 다양한 옷과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삼국시대부터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며 시대와 계층에 따라 변화해왔고, 현대에는 생활한복 등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일상복으로 활용이 증가하며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 |
|---|---|
| 개요 | |
| 유형 | 직물 잠금 장치 |
| 명칭 | |
| 일반 명칭 | 후크앤드루프 (hook-and-loop) 벨크로 (Velcro, 상표명으로 더 널리 알려짐) |
| 다른 명칭 | 매직 테이프 (Magic Tape) 듀얼 락 (Dual Lock) |
| 구조 및 작동 원리 | |
![]() | |
![]() | |
| 작동 원리 설명 | 두 개의 직물 표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 면은 작은 고리(Loop)로, 다른 면은 작은 갈고리(Hook)로 덮여 있다. 두 면을 함께 누르면 갈고리가 고리에 걸려 잠김. |
| 재료 | |
| 주요 재료 | 나일론, 폴리에스터 |
| 역사 | |
| 발명 | 1941년, 스위스의 조르주 드 메스트랄이 발명 |
| 영감 | 옷에 붙은 도꼬마리 씨앗에서 영감을 얻음 |
| 상업적 생산 시작 | 1950년대 후반 |
| 특징 | |
| 장점 | 간편한 사용 재사용 가능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 |
| 단점 | 먼지나 이물질에 의해 기능 저하 가능 내구성의 한계 |
| 용도 | |
| 일반적인 용도 | 의류 신발 가방 의료용품 산업용품 |
| 특수한 용도 | 항공우주 산업 군사 용품 |
| 기타 | |
| 주의사항 | 세탁 시 고리와 루프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 강한 힘으로 잡아당기면 손상될 수 있음 |
2. 역사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는 1941년 스위스 기술자 조르주 드 메스트랄(George de Mestral)이 알프스에서 사냥 후 옷과 개털에 붙은 우엉 가시를 관찰하면서 아이디어를 얻어 발명되었다.[1][2][3][4][31] 우엉 가시의 미세한 갈고리가 섬유의 고리에 걸리는 원리를 모방하여, 나일론과 같은 합성 섬유를 사용하여 갈고리와 루프 구조를 인공적으로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4][8] 이 과정은 약 10년의 연구 개발 끝에 기계화되었고,[4] 1951년 특허를 출원하여 1955년에 승인받았다.[1][32]
드 메스트랄은 자신의 발명품에 '벨크로(Velcro)'라는 이름을 붙이고 1952년 스위스에 회사를 설립하여 생산을 시작했다.[31] 이후 유럽 각국과 미국, 캐나다 등지로 사업을 확장했다.[9] 초기에는 외관상의 문제와 생소함 때문에 섬유 산업에 즉시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나,[10] NASA가 우주복에 사용하면서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기 시작했다. 이후 스키복, 스쿠버 다이빙 장비, 아동복 등 다양한 분야로 사용이 확대되었고, 1960년대 중반에는 패션 디자인에도 활용되었다.[10][13]
1978년 드 메스트랄의 특허가 만료되면서 타이완, 중국, 대한민국 등에서 저렴한 모조품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오늘날 벨크로 상표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등록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조르주 드 메스트랄은 이 발명으로 미국 국립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2. 1. 발명 배경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 흔히 '벨크로' 또는 '찍찍이'라고 불리는 이 잠금장치는 1941년 스위스 기술자 조르주 드 메스트랄(George de Mestral)에 의해 처음 구상되었다.[1][2][3] 그는 1941년 알프스에서 개와 함께 사냥을 마치고 돌아왔을 때, 자신의 옷과 개의 털에 달라붙은 우엉 씨앗(열매)을 발견했다.[31] 이 씨앗들이 왜 잘 떨어지지 않는지 궁금했던 그는 현미경으로 씨앗을 자세히 관찰했고, 씨앗 표면에 있는 수많은 작은 갈고리들이 옷이나 동물의 털처럼 고리(루프) 형태의 섬유에 단단히 걸리는 원리를 발견했다.[4] 이를 보고 드 메스트랄은 갈고리와 루프 구조를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다면, 두 물체를 쉽게 붙였다 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잠금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1][3]
이처럼 자연 현상에서 영감을 얻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생체 모방(biomimicry) 또는 생체 모방 공학이라고 하는데,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는 스티븐 보겔(Steven Vogel)[5]이나 베르너 나흐티갈(Werner Nachtigall)[6]과 같은 학자들에 의해 생체 모방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드 메스트랄은 1948년부터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31] 그의 혁신적인 생각은 기존에 있던 갈고리-눈 잠금장치(hook-and-eye fastener)의 크기를 아주 작게 만드는 것이었다. 갈고리와 눈의 크기를 줄이면서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생겼다. 첫째, 갈고리들이 일렬로 배열되는 대신 2차원적인 면을 이루게 되었다.[7] 이는 갈고리가 작아지면서 개별적인 힘은 약해졌지만, 많은 수의 갈고리를 배열함으로써 전체적인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특정 갈고리가 특정 고리에만 걸리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갈고리와 고리가 무작위로 얽히는 '불확정적인 일치' 방식이 되었다. 작은 크기에서는 각각의 갈고리와 고리를 정확히 맞추는 것이 비현실적이었기 때문이다.[7]
드 메스트랄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당시 직물 산업의 중심지였던 프랑스 리옹을 찾아갔지만, 처음에는 업계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했다. 다행히 한 직조공의 도움을 받아 면으로 된 두 개의 띠 형태 시제품을 만들 수 있었다. 하지만 면은 쉽게 닳는다는 단점이 있었고, 드 메스트랄은 더 튼튼하고 오래가는 소재를 찾기 위해 합성 섬유에 주목했다.[4] 여러 시행 착오 끝에 그는 나일론을 최종 소재로 선택했다. 나일론은 잘 해지지 않고, 곰팡이가 슬지 않으며, 생분해되지 않고, 다양한 굵기의 실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8] 그는 고온의 적외선을 쬐면 나일론 실이 작은 갈고리 모양으로 변형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 다음 과제는 루프 부분을 만드는 것이었는데, 나일론 실을 고리 모양으로 짜서 열처리를 하면 형태가 유지되고 탄력이 생긴다는 것을 알아냈다. 하지만 이 루프들은 여러 번 잠그고 풀 수 있도록 적절하게 잘라내야 했다. 포기 직전, 그는 가위로 루프의 윗부분을 잘라내면 갈고리와 완벽하게 맞물리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렸다.[4]
갈고리를 자동으로 짜는 공정을 기계화하는 데 8년이 걸렸고, 루프를 자르는 직기를 만드는 데 추가로 1년이 더 걸렸다. 총 10년의 연구 개발 끝에 마침내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계화 공정을 완성했다.[4] 드 메스트랄은 1951년 스위스에 자신의 발명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고, 1955년에 특허를 인정받았다.[1][32]
2. 2. 개발 및 특허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는 1941년 스위스 기술자 조르주 드 메스트랄(George de Mestral프랑스어)이 처음 구상했다.[1][2][3] 그는 알프스에서 개와 함께 사냥을 마치고 돌아왔을 때, 자신의 옷과 개의 털에 달라붙은 우엉 가시를 발견하고 아이디어를 얻었다.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우엉 가시에는 수백 개의 미세한 갈고리가 있어 옷이나 털의 고리(루프)에 걸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 드 메스트랄은 이 갈고리와 루프 구조를 인공적으로 재현하면 두 물체를 쉽게 붙였다 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1][3] 이러한 발상 때문에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는 자연의 메커니즘에서 영감을 얻은 생체 모방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기도 한다.[5][6]
드 메스트랄의 혁신은 기존의 훅앤아이(Hook-and-eye closure)를 극도로 소형화한 데 있었다. 수 세기 동안 사용된 훅앤아이와 달리,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는 갈고리와 루프의 크기를 대폭 줄였다. 이 소형화는 두 가지 중요한 차이를 만들었다. 첫째, 갈고리가 일렬이 아닌 2차원 표면으로 배열되어 접착 면적을 넓혔다. 이는 개별 갈고리의 크기가 작아져 약해진 결합력을 더 많은 수의 갈고리로 보완하기 위함이었다.[7] 둘째, 각 갈고리가 특정 루프와 짝을 이루는 대신, 수많은 갈고리와 루프가 무작위로 결합하는 '불확정적 일치'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미세한 규모에서 각 갈고리와 루프를 정확히 맞추는 것이 비현실적이기 때문이었다.[7]
드 메스트랄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당시 직물 산업의 중심지였던 프랑스 리옹에 가져갔지만, 업계 리더들은 그의 제안을 처음에는 거절했다. 그는 한 직공의 도움을 받아 면으로 시제품을 만들었으나, 면은 쉽게 마모되어 실용성이 떨어졌다.[4] 이에 드 메스트랄은 더 튼튼하고 내구성이 좋은 합성 섬유를 탐구하기 시작했고, 최종적으로 나일론을 선택했다. 나일론은 마모에 강하고, 곰팡이가 슬지 않으며, 생분해되지 않고, 다양한 굵기의 실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8] 여러 시행 착오 끝에 드 메스트랄은 고온의 적외선을 쬐면 나일론 실이 작은 갈고리 모양으로 변형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1] 이후 나일론 실을 고리(루프) 형태로 짜서 열처리하면 모양이 유지되고 탄력이 생긴다는 것도 알아냈다. 하지만 루프를 여러 번 사용하려면 정확한 지점에서 잘라야 했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루프의 윗부분을 가위로 잘라 갈고리와 완벽하게 맞물리는 구조를 만들었다.[4]
이러한 갈고리를 자동으로 짜는 공정을 기계화하는 데 8년이 걸렸고, 루프를 짜고 자르는 직기를 개발하는 데 추가로 1년이 더 소요되었다. 결국 전체 공정을 기계화하는 데 총 10년이 걸렸다.[4]
드 메스트랄은 1948년부터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여[31] 1951년 스위스에 자신의 발명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고, 1955년에 특허를 승인받았다.[1][32] 그는 자신의 발명품에 벨크로(Velcro)라는 이름을 붙였다. 1952년에는 스위스에 Velcro S.A.영어가 설립되어 생산을 시작하는 한편, 각국 기업에 라이선스를 제공하거나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이후 몇 년 안에 독일, 스위스, 영국, 스웨덴,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 특허를 획득하고 사업을 확장했다. 1957년에는 미국 뉴햄프셔주 맨체스터의 섬유 중심지로 사업을 확장했다.
1958년 8월 25일, 칼럼니스트 실비아 포터(Sylvia Porter영어)는 자신의 칼럼 "Your Money's Worth"에서 "드디어 '지퍼 없는 지퍼'가 발명되었다"고 소개하며 이 새로운 잠금 장치가 지퍼보다 더 혁명적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9] 몬트리올의 벨렉(Velek, Ltd.영어)은 북미, 남미, 일본에서의 독점 판매권을 확보했고, 미국의 아메리칸 벨크로(American Velcro, Inc.영어)와 벨크로 세일즈(Velcro Sales영어)가 미국 내 판매를 담당했다.[9]
1978년 드 메스트랄의 특허가 만료되자 타이완, 중국, 대한민국 등에서 저렴한 모조품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오늘날 벨크로 상표는 전 세계 159개 이상의 국가에서 300개 이상의 상표 등록으로 보호받고 있다. 조르주 드 메스트랄은 이 발명으로 미국 국립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2. 3. 초기 상업화
조르주 드 메스트랄은 1951년 스위스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특허로 제출했고[32], 1952년에는 스위스에 Velcro S.A.영어를 설립하여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찍찍이) 생산을 시작했다.[31] 특허는 1955년에 승인받았다.[1][32] Velcro S.A.는 각국 기업에 라이선스를 제공하거나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벨크로'라는 이름으로 제품을 생산하게 했다. 특허 승인 후 몇 년 안에 독일, 스위스, 영국, 스웨덴, 이탈리아, 네덜란드, 벨기에, 캐나다 등지에 상점을 열었으며, 1957년에는 미국 뉴햄프셔주 맨체스터의 섬유 중심지로 사업을 확장했다.1958년 8월 25일, 칼럼니스트 실비아 포터는 자신의 칼럼 'Your Money's Worth'에서 이 제품을 "드디어 '지퍼 없는 지퍼'가 발명되었다... 새로운 잠금 장치는 여러 면에서 25년 전 지퍼보다 더 혁명적일 수 있다"고 소개하며 처음으로 대중에게 알렸다.[9]
몬트리올의 Velek, Ltd.는 북미, 남미, 일본에서의 독점 판매권을 확보했고, 미국 내에서는 뉴햄프셔의 American Velcro, Inc.와 뉴욕의 Velcro Sales가 판매를 담당했다.[9]
드 메스트랄은 발명 초기부터 높은 수요를 예상했지만,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가 섬유 산업에 자리 잡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 초기 제품은 값싼 천 조각처럼 보인다는 외관상의 문제와 함께 비실용적이라는 인식 때문에 1960년대 초반에는 옷에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10]
1959년 뉴욕 월도프-아스토리아 호텔 패션쇼에서 벨크로 제품이 선보였고,[11] 이후 항공 우주 산업에서 우주 비행사들이 부피가 큰 우주복을 쉽게 입고 벗도록 돕는 데 사용되면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았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벨크로가 특수한 용도로만 쓰인다는 인식을 강화하기도 했다. 이후 스키어들이 우주복과 유사한 스키복의 편의성에 주목하면서 스키복에 벨크로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스쿠버 다이빙 및 해양 장비 분야로 사용이 확대되었다. 또한 우주 비행사들이 벽에 식품 파우치를 고정하는 것을 본[12] 아동복 제조업체들도 벨크로를 도입했다.[10] NASA의 채택은 벨크로의 대중화에 기여했지만, 이로 인해 NASA가 발명 주체라는 오해가 생기기도 했다.
1960년대 중반에는 피에르 가르뎅, 앙드레 쿠레주, 파코 라반과 같은 패션 디자이너들이 미래 지향적인 작품에 벨크로를 사용했다.[13]
1978년 드 메스트랄의 특허가 만료되자 타이완, 중국, 대한민국 등에서 저렴한 모조품이 시장에 등장했다. 조르주 드 메스트랄은 이 발명으로 미국 국립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3. 명칭
가장 널리 알려진 명칭인 '''벨크로'''(Velcro영어)는 1941년 스위스 기술자 조르주 드 메스트랄(George de Mestral)이 처음 이 패스너를 발명하고 붙인 이름이다.[1][2][3] 이는 프랑스어 velours|벨루르프랑스어(벨벳)와 crochet|크로셰프랑스어(갈고리)를 합쳐 만든 상표명이다. 현재 상표권은 미국 뉴햄프셔주 맨체스터에 본사를 둔 벨크로 USA(Velcro USA영어)가 소유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일본 벨크로(현 쿠라레)가 '매직 테이프'(マジックテープ|매직 테이프일본어)라는 상표명으로 1960년부터 제조 및 판매를 시작했으며,[33] 현재는 그 자회사인 쿠라레 파스닝(구 매직 테이프)이 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고 있다.[34]
상표명이 아닌 일반 명칭으로는 영어권에서 hook-and-loop fastener|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영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일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표현은 아니다. 군사 관련 분야에서는 '파일 앤드 후크'(Pile and Hook|파일 앤드 후크영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면 패스너'(面ファスナー)라는 일반 명칭도 사용된다.
4. 종류 및 특징

일반적인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는 한쪽 면에는 작은 갈고리(hook) 모양의 돌기가 촘촘히 있고, 다른 한쪽 면에는 부드러운 고리(loop) 모양의 섬유가 밀집해 있다. 이 두 면을 서로 눌러 붙이면 갈고리가 고리에 걸리면서 부착되고, 떼어낼 때는 갈고리가 고리에서 빠져나오면서 분리된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쉽게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다.[15][16]
패스너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테플론 루프, 폴리에스터 후크, 유리 뒷면으로 만들어진 패스너는 우주왕복선과 같은 항공우주 분야의 특수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결합 강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 결합 상태: 갈고리가 고리에 얼마나 잘 삽입되었는지에 따라 강도가 달라진다.
- 접촉 면적: 갈고리와 고리가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을수록 더 강하게 결합된다.
- 분리 힘의 방향: 패스너를 떼어내는 힘이 어떤 방향으로 작용하는지에 따라 필요한 힘의 크기가 달라진다.
특히 자동차 차체 패널이나 프레임처럼 두 개의 단단하고 강성이 높은 표면을 결합할 때는 결합력이 매우 강해진다. 이는 떼어내는 힘이 모든 갈고리에 걸쳐 균등하게 분산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두 조각을 함께 누르는 힘은 더 많은 갈고리와 고리를 맞물리게 하는 데 집중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진동이 가해지면 강성 표면 간의 결합이 오히려 더 강해지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사람 몸 전체를 덮는 후크 앤드 루프 슈트를 만들어 벽에 사람을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주머니 덮개처럼 한쪽 또는 양쪽이 유연한 재질일 경우에는 조각을 떼어낼 때 한 번에 비교적 적은 수의 갈고리에만 힘이 집중되는 박리(peeling) 동작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유연한 조각이라도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당기면 힘이 넓게 분산되어 강성 표면과 유사하게 강한 결합력을 보인다.
두 개의 유연한 조각 사이의 결합 강도를 최대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결합 면적 증가: 더 넓은 면적의 패스너를 사용한다.
- 힘의 방향 조절: 도르래 원리를 이용하거나 모서리를 구부리는 것처럼, 힘이 패스너 표면과 평행하게 작용하도록 한다.
- 밀도 증가: 단위 면적당 갈고리와 고리의 수를 늘린다.
신발에 사용되는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는 비교적 작은 면적으로도 큰 힘을 견딜 수 있다. 이는 스트랩이 슬롯을 통과하며 도르래 시스템처럼 작용하여 결합부에 가해지는 힘을 절반으로 줄여주고(기계적 이점), 끈이 꺾이는 부분의 마찰이 힘의 일부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힘이 스트립 표면에 평행하게 작용하도록 유도한다.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는 일반적으로 안전하며 특별한 유지 보수가 필요 없다. 여러 번 반복해서 사용해도 기능 저하가 적은 편이다. 패스너를 떼어낼 때 나는 특유의 소리는 소매치기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몇 가지 단점도 존재한다.
- 오염: 갈고리 부분에 머리카락, 먼지, 털 등이 쉽게 달라붙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 내구성 저하: 장기간 사용하면 고리 부분이 늘어나거나 끊어지고, 갈고리에 의해 손상되어 접착력이 떨어진다. 심하게 마모되면 패스너 전체를 교체해야 할 수 있다.
- 의류 손상: 갈고리가 스웨터처럼 올이 성긴 옷에 걸려 손상시킬 수 있다.
- 소음: 떼어낼 때 나는 소리가 미국 육군의 육군 전투복과 같은 군복에서는 조용한 환경에서 불필요한 주의를 끌 수 있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소음이 적은 저소음형 패스너도 개발되었다.
- 위생: 피부에 직접 닿는 부위에 사용하면 땀이나 수분을 흡수하여 세탁하지 않으면 냄새가 날 수 있다.
- 열 취약성: 대부분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져 다리미질 등 열에 약해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특수한 목적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가 개발되었다.
| 종류 | 특징 | 예시 |
|---|---|---|
| 양면형 | 한 면에 갈고리와 고리가 함께 있어 구분 없이 부착 가능하며, 부착 실수를 줄일 수 있다. | - |
| 버섯형 | 양면에 버섯 모양의 돌기가 있어 서로 맞물릴 때 딸깍 소리가 나며 강력하게 결합된다. 강력한 점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 3M 듀얼 락 (Dual Lock), 듀오텍 (Duotec) |
| 샤크바이트형 | 상어 이빨 같은 톱니 모양 구조로 특수한 결합 특성을 가진다. | - |
| 슬라이딩 결합형 | 일반 패스너의 오염 문제 등을 개선하기 위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는 구조.[15][16] | - |
| 저소음형 | 결합 및 분리 시 발생하는 소음을 크게 줄인 형태. | 조용한 클로저 (Quiet Closure) |
5. 활용 분야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는 사용 편의성 덕분에 임시 결합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의류에서는 단추나 지퍼 대신 사용되며, 특히 신발끈 조작이 어려운 어린이용 신발이나 착용 편의성이 중요한 맞춤형 의류에 적용된다.[4] 의료 분야에서는 정형외과 보조기나 혈압계 커프 등 신체나 기구를 고정하는 용도로 쓰이며, 수술 시 임시 봉합 등에 사용된 사례도 있다.[4]
NASA는 후크앤드루프 패스너의 주요 사용자 중 하나로, 우주복에 장비를 고정하거나 무중력 환경에서 물체가 떠다니는 것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으로 활용한다.[8][14]
이 외에도 원자력 발전소나 전차 등 특수 환경에서의 물품 고정, 자동차 내부 부품 접착, 가정 내 커튼이나 카펫 고정 등 산업 및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4] 또한 배낭이나 가방류의 잠금 장치, 스포츠 용품, 악기 액세서리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어 편리함을 더하고 있다.
5. 1. 의류 및 잡화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는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 때문에 임시 결합이 필요한 다양한 곳에 활용된다. 특히 의류에서는 단추나 지퍼를 대신하여 사용되며, 신발에서는 아직 신발끈을 제대로 묶지 못하는 어린이를 위한 잠금 장치로 인기가 높다. 착용이 편리하고 사이즈 조절이 유연하여 가방, 지갑, 배낭, 서류 가방 등 여러 잡화의 잠금 장치로도 널리 쓰인다.
어린이용 운동화에 후크앤드루프 패스너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아이들이 신발끈을 스스로 묶기 어려워하고, 풀린 신발끈을 밟아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신발이 '어린이용'이라는 인식이 강해 성인용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았으나, 2010년대부터는 디자인 요소를 갖춘 스니커즈 등이 출시되면서 성인 패션 아이템으로도 자리 잡았다.
또한, 맞춤형 의류 분야에서도 후크앤드루프 패스너가 유용하게 쓰인다. 단추나 지퍼를 조작하기 어려운 장애인, 노인, 허약자 등을 위한 의류에 적용되어 입고 벗는 과정을 더 쉽게 만들어준다.
5. 2. 스포츠
축구의 정강이 보호대 잠금 장치 등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용 신발의 경우, 신발끈을 사용하는 편이 더 세밀한 조절이 가능하고, 일반 신발과 마찬가지로 "어린이용"이라는 이미지가 있어 최상위 선수들의 경기용으로는 벨크로가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2010년대부터 기능성을 갖춘 제품이 출시되면서 변화가 생겼다. 고교 야구에서 벨크로를 사용한 스파이크가 채택되거나, 프로 야구 선수 중 외야수가 수비용(인조 잔디용)과 타격용(흙용) 스파이크를 쉽게 갈아 신기 위해 벨크로를 사용한 스파이크를 착용하는 예가 있다.5. 3. 의료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는 착용하기 쉽고 사이즈 조절이 편리하다는 장점 덕분에 의료 분야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특히 부상자나 신체 장애인의 사지 고정용 기구, 휠체어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 혈압 측정기 등 주로 신체를 고정하는 용도로 많이 활용된다.5. 4. 군사
프랑스군은 1970년대부터 계급장 부착에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를 도입했다. 이는 계급장 테이프를 패스너에 직접 꿰매는 단순한 방식이었다. 특히 가슴 중앙에 계급장을 부착하는 방식은 프랑스가 세계 최초로 채택했으며, 21세기에 들어 미 육군도 이를 따랐다. 1990년대에는 부대 마크 뒷면에도 이 방식이 적용되었다. 프랑스군만의 독특한 활용 사례로는 멜빵 등 부분에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를 적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는 착탈을 용이하게 했지만, 안정성이 부족하여 병사들이 비닐 테이프나 신발끈 등으로 고정하는 경우가 많았다.미 육군은 과거 국적 마크, 계급장, 부대 마크, 이름표 등 와펜을 미싱으로 전투복에 직접 꿰맸다. 하지만 전투복은 자주 세탁해야 하므로 와펜이 쉽게 손상되고 교체에 번거로움과 비용이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 미 육군 전투복(ACU)에서는 세탁 시 와펜만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부착 방식을 도입했다. 이러한 미군의 변화는 세계 여러 나라 군대의 전투복에도 영향을 미쳐 후크앤드루프 패스너 채택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일본의 자위대 역시 현재 전투복에 이 방식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36]
5. 5. 항공우주
NASA는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한다.초기 우주 개발 과정에서 벨크로는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동시에 위험성을 드러내기도 했다. 1967년 아폴로 1호 사고 조사 당시, 사령선 내부에 광범위하게 사용된 벨크로(약 약 3.16m2)가 화재 확산에 기여한 가연성 물질 중 하나로 지목되었다. 이 비극적인 사고로 우주 비행사 거스 그리섬, 에드 화이트, 로저 채피가 목숨을 잃었다.[20]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폴로 계획(1969–1972)의 달 탐사 임무에서는 우주복, 표본 수집 가방, 달 착륙선 등에 벨크로 브랜드 패스너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다.[19]
이후 우주 왕복선 프로그램에서는 각 왕복선마다 테플론 루프, 폴리에스터 후크, 유리 백킹으로 특수 제작된 벨크로가 약 약 25400.00cm 길이로 장착되어 비행에 활용되었다.[8] 무중력에 가까운 우주 환경에서 벨크로는 장비나 물건들이 떠다니지 않도록 임시로 고정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쓰인다.[14] 예를 들어, 우주 비행사의 헬멧 안쪽에 작은 벨크로 조각을 붙여 코를 긁는 용도로 사용하거나,[4][8] 식사 시간에는 벨크로를 이용해 트레이를 허벅지에 고정하기도 한다.[12]
오늘날 벨크로는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무인기의 외부를 덮는 단열 시트를 고정하는 등 항공우주 분야의 특수한 목적을 위해서도 활용된다.
5. 6. 기타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는 사용 편의성 덕분에 임시 결합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의류 및 생활용품'''
단추나 지퍼를 대체하여 의류에 사용되며, 특히 신발끈을 묶기 어려운 어린이용 신발이나 맞춤형 의류에 많이 쓰인다. 맞춤형 의류는 장애인, 노인 등 잠금 장치 조작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설계된다. 배낭, 서류 가방, 노트북 가방 등의 잠금 장치나 천 기저귀에도 사용된다. 2010년대 이후에는 패션성을 갖춘 성인용 벨크로 스니커즈도 등장했다.
'''산업 및 특수 환경'''
원자력 발전소나 육군 전차 내부에서 손전등과 같은 물건을 벽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자동차 내부에서는 헤드라이너, 바닥 매트, 스피커 커버 등을 접착하는 용도로 쓰인다. 가정에서는 커튼 주름 잡기, 카펫 고정, 실내 장식 부착 등에도 활용된다.[4]
'''의료 분야'''
복부 구획 증후군 치료 시 임시 근막 확장 보철물로 사용되거나(미국 특허 번호: US8,469,996 B2), 최초의 인공 심장 수술 중 심장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부상자나 신체 장애인의 사지 고정 기구, 휠체어 낙상 방지 벨트, 혈압계 커프 등 신체 고정이 필요한 다양한 의료 기구에 널리 쓰인다.
'''우주 항공'''
미국 항공 우주국(NASA)는 후크앤드루프 패스너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각 우주왕복선에는 테플론 루프, 폴리에스터 후크, 유리 백킹으로 제작된 특수 잠금 장치가 약 25400.00cm 가량 장착되었다.[8] 우주 비행사의 우주복에 장비를 고정하거나, 무중력 상태의 궤도에서 물체가 떠다니는 것을 막기 위해 임시 고정용으로 사용된다.[14] 헬멧 내부에는 코를 긁기 위한 용도로 부착되기도 하며,[4][8] 식사 시에는 허벅지에 트레이를 고정하는 데 쓰인다.[12]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도 활용된다. 아폴로 우주선에서는 무중력 공간에서 물건을 벽이나 계기판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었고, 무인 우주선의 외부 단열 시트 고정에도 쓰인다.
'''스포츠 및 레저'''
스노보드 장갑의 손목 보호대 고정 장치, 태그 럭비나 플래그 풋볼과 같은 게임, 서핑보드 리드, 정형외과용 보조기 등에 사용된다. 축구의 정강이 보호대 등에도 쓰인다. 스포츠 신발의 경우, 과거에는 "어린이용"이라는 인식이 있었으나 2010년대부터 기능성을 갖춘 제품이 등장하여 고교 야구용 스파이크나 프로 야구 선수의 스파이크에도 사용되는 사례가 있다.
'''군사 분야'''
프랑스군은 1970년대부터 계급장에 벨크로를 사용했으며, 가슴 중앙 부착 방식을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 이후 미 육군도 이를 따랐다. 1990년대부터는 부대장 뒷면에도 벨크로가 사용되었다. 프랑스군의 멜빵 등 부분에도 벨크로가 사용되지만, 안정성 문제로 병사들이 추가 고정을 하기도 한다.
미 육군의 전투복(ACU)은 세탁 시 와펜 손상을 줄이고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국적장, 계급장, 부대장, 이름표 등 와펜을 벨크로로 부착한다. 이러한 방식은 세계 여러 나라 군대의 전투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일본 자위대의 전투복에도 벨크로 사용이 늘고 있다.[36]
'''기타'''
기타 이펙터 페달을 페달 보드에 고정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특수촬영물에서 괴수나 히어로의 슈트를 탈착할 때 기존의 지퍼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지퍼는 노출 시 리얼리티를 해치거나 땀, 흙 등으로 고장 나기 쉬웠으나, 벨크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주었다.[37]
6. 벨크로 점핑
벨크로 점프는 고리가 달린 옷을 입은 사람들이 달려가 최대한 높이 루프가 달린 벽에 몸을 던지는 게임이다.[8][17] 벽은 공기 주입식으로 만들어져 다른 공기 주입식 구조물과 비슷하게 생겼다. 벽 전체가 루프 재료로 덮여 있는 것은 아니며, 종종 수직으로 루프 띠가 붙어 있다. 때로는 달려가서 점프하는 대신 작은 트램펄린을 사용하기도 한다.
텔레비전 쇼 진행자 데이비드 레터맨은 1984년 2월 28일 NBC에서 방송된 ''늦은 밤, 데이비드 레터맨과 함께'' 에피소드에서 이 게임을 선보이며 대중화시켰다. 레터맨은 방송 중 직접 벨크로 점프를 시연하며, 충분한 양의 재료만 있으면 사람이 벽에 던져져 붙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4][10][17]
벨크로 점핑은 데이비드 레터맨 쇼 이후 유행하기 시작했다. 유흥 회사들은 벽과 점프 슈트를 하루에 400USD~500USD에 대여해주기도 했다.[17] 또한 뉴욕과 뉴질랜드의 펍에서도 정기적으로 열렸는데, 참가자들은 얼마나 높이 발을 땅에서 뗄 수 있는지를 겨루었다.[18] 뉴질랜드 네이피어의 크리 바 앤 그릴(Cri Bar and Grill)의 제레미 베일리스와 그레이엄 스미스는 미국 우주 비행사들이 우주 비행 중 벽에 붙는 모습에서 영감을 받아 이 게임을 시작했다. 그들은 "인간 파리(Human Fly)" 대회를 위해 자체 장비를 제작했고, 이를 뉴질랜드의 다른 여러 곳에 판매했다.[18] 1992년까지 벨크로 벽 점프는 뉴질랜드 수십 개의 바에서 행해졌으며, 당시 뉴질랜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바 활동 중 하나로 꼽혔다.[18]
이 게임은 1991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Sports Illustrated)가 관련 기사를 게재하면서 미국으로 퍼져나갔다. 뉴욕시의 퍼펙트 토미스 바(Perfect Tommy's bar)의 아담 파워스와 스티븐 웨스텔은 이 기사를 읽고 "휴먼 바 플라이(Human Bar Fly)" 장비의 미국 유통업자가 되었다.
7. 대중문화 속 벨크로
- 1966–1969년: 스타 트렉: 오리지널 시리즈에서는 벨크로를 사용하여 승무원 유니폼에 페이저와 통신기를 허리띠나 홀스터 대신 우주 시대 방식으로 부착했다.[21][22]
- 1984년: 미국의 유명 토크쇼 진행자 데이비드 레터맨은 벨크로로 만든 옷을 입고 트램펄린에서 뛰어올라 벨크로로 덮인 벽에 달라붙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이는 벨크로 컴퍼니의 미국 산업 판매 이사와의 인터뷰 중에 이루어졌다.[23]
- 1996년: 존 프랑켄하이머 감독의 영화 ''모로 박사의 DNA''에서는 모로 박사의 조수가 농담으로 박사가 벨크로를 발명하여 노벨상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장면이 나온다.[24]
- 1997년: 영화 ''맨 인 블랙''에서 K는 벨크로가 원래 외계 기술이었다고 주장한다. 이는 벨크로가 현대 인류가 발명할 수 없는 첨단 기술이라는 식의 농담이 여러 매체에서 반복되는 사례 중 하나이다.[25]
- 2002년: 드라마 ''스타 트렉: 엔터프라이즈''의 에피소드 "카본 크릭"에서는 1957년 벌칸족이 인류에게 벨크로를 소개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특히,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벌칸 중 한 명의 이름은 실제 벨크로 발명가이자 브랜드 창립자인 메스트랄이다.[26]
- 2004년: 영화 ''가든 스테이트''의 등장인물 중 한 명은 "소음 없는 벨크로"를 발명하여 큰 부자가 되었다는 설정으로 나온다.[27]
- 2016년: 자동차 회사 렉서스는 만우절 장난으로, 운전자를 시트에 벨크로 브랜드 제품으로 고정시켜 더 공격적인 코너링을 가능하게 하는 "가변 부하 연결 후방 배향(V-LCRO)" 기술을 발표했다.[28]
8. 관련 표준
- ASTM D5169-98 (2010) 후크 앤 루프 터치 패스너의 전단 강도(동적 방법)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 ASTM D5170-98 (2010) 후크 앤 루프 터치 패스너의 박리 강도("T" 방법)에 대한 표준 시험 방법
- ASTM D2050-11 섬유 제품에 사용되는 패스너 및 잠금 장치 관련 표준 용어
참조
[1]
웹사이트
How a Swiss invention hooked the world
https://www.swissinf[...]
swissinfo.ch
2022-09-16
[2]
서적
Better to Light One Candle: The Christophers' Three Minutes a Day: Millennial Edition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1999-08
[3]
웹사이트
About us: History
http://www.velcro.co[...]
Velcro.us
2013-11-13
[4]
서적
The Big Idea: How Business Innovators Get Great Ideas to Market
https://books.google[...]
Kaplan Business
2001-12
[5]
서적
Life's Devices: The Physical World of Animals and Plants
[6]
문서
Biological Mechanisms of Attachment: the comparative morphology and bionengineering of organs for linkage
New York : Springer-Verlag
[7]
서적
Forks, Phonographs, and Hot Air Balloons: A Field Guide to Inventive Think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3-02
[8]
서적
Dr. Joe & What You Didn't Know: 99 Fascinating Questions About the Chemistry of Everyday Life
https://books.google[...]
Ecw Press
2003-10
[9]
뉴스
Your Money's Worth
Syracuse Herald-Journal
1957-08-25
[10]
서적
Why Didn't I Think of That: Bizarre Origins of Ingenious Inventions We Couldn't Live Without
https://books.google[...]
Wiley
1997-09
[11]
뉴스
A Brief History of: Velcro
http://content.time.[...]
Time.com
2010-06-15
[12]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NASA
https://books.google[...]
Alpha
2002-01
[13]
서적
Fear and fashion in the Cold War
Victoria & Albert Museum
2008-09-01
[14]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NASA
https://books.google[...]
Alpha
2002-01
[15]
웹사이트
Invention awards The New Velcro
https://www.popsci.c[...]
Popular Science
2007-05-14
[16]
웹사이트
Velcro Reinvented
http://inventorspot.[...]
InventorSpot.com
2007-06-11
[17]
서적
101 Stunts for Principals to Inspire Student Achievement
https://books.google[...]
Corwin Press
2004-11
[18]
웹사이트
Fly Through Air, Hit a Wall. Now Stay There.
https://query.nytime[...]
1992-01-05
[19]
웹사이트
Working on the Moon
http://www.workingon[...]
2016-05-16
[20]
웹사이트
The Apollo 1 Fire
http://www.spacesafe[...]
2023-05-14
[21]
웹사이트
How were the original Star Trek phasers holstered without a belt or a pocket?
https://scifi.stacke[...]
2023-08-29
[22]
웹사이트
Star Trek: The Original Series Props – Auction House Archive, Part 1
https://www.original[...]
2023-08-29
[23]
웹사이트
LiveScience: Who Invented Velcro?
http://www.livescien[...]
2016-05-16
[24]
웹사이트
''The Island of Dr. Moreau'' (1996)
http://movies.nytime[...]
1996-08-23
[25]
웹사이트
'Men in Black:' DO believe the hype
http://www.cnn.com/S[...]
CNN
1997-07-04
[26]
웹사이트
Startrek.com:Carbon Creek
http://www.startrek.[...]
CBS Studios
2008-05-11
[27]
웹사이트
Garden State (2004)
http://movies.nytime[...]
2004-07-28
[28]
웹사이트
TIME: Best April Fools Day Jokes
https://time.com/427[...]
2016-05-16
[29]
웹사이트
登録1328163
https://www.j-platpa[...]
特許情報プラットフォーム
2023-06-17
[30]
웹사이트
登録0546323
https://www.j-platpa[...]
特許情報プラットフォーム
2023-06-17
[31]
뉴스
From Velcro to high-speed trains: 5 examples of technology inspired by nature
https://www.dw.com/e[...]
ドイチェ・ヴェレ
2018-06-09
[32]
간행물
METHOD FOR PRODUCING A VELVET TYPE FABRIC
https://patentscope2[...]
国際・国内特許データベース検索
[33]
웹사이트
株式会社クラレ 製品情報マジックテープ
https://www.kuraray.[...]
[34]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s://www.magic-ta[...]
クラレ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35]
웹사이트
面ファスナー
https://nichisenku.j[...]
日本繊維製品・クリーニング協議会
[36]
문서
주로 [[포켓]]류・[[소매]]・[[옷깃]]이나 네임류에 사용되고 있지만, 미군 등과 달리 계급장은 꿰매어 붙일 필요가 있다. [[매점|PX]]에서 관급품과는 재질이 다른 계급장이 판매되고 있어, 그것을 대용하는 것이 가능.
[37]
문서
예를 들어, 근년의 [[고지라]]의 탈인형은 등지느러미부의 파트가 면ファスナー로 탈착할 수 있어, 등지느러미부를 떼어낸 후에 통상의 선ファスナー가 있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이라면 등을 비춰도 선ファスナー는 보이지 않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