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희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희곡은 배우의 대사와 행동을 통해 사건이 전개되는,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하는 문학 장르이다. 등장인물의 행위가 연쇄 반응적으로 묘사되며, 대사와 무대 설명으로 기술된다. 희곡은 연출가, 배우, 스태프 등 작품 제작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공통의 목표를 설정하는 데 활용된다. 희곡은 희극, 비극, 역사극, 뮤지컬, 잔혹극, 부조리극 등 다양한 종류로 나뉘며, 소설이나 수필과는 달리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는다. 또한 희곡은 연극의 대본을 의미하며, 시나리오와 같은 맥락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학에 관한 - 단편 소설
    단편 소설은 완결성을 지닌 짧은 산문 문학 양식으로, 소설처럼 서사 요소를 갖추고 있으나, 소설보다 짧고 한 번에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19세기 매체 발달과 함께 발전했으며, 다양한 작가들의 실험으로 발전하여 현대에는 여러 매체로 각색되기도 한다.
  • 문학에 관한 - 소설
    소설은 작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지만 당대 사회상을 반영하고 비판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유럽에서는 17세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기점으로 근대 소설이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희곡
지도
기본 정보
종류문학 형식
매체공연
형태희곡
장르드라마, 희곡
특징
구성 요소등장인물
줄거리
대사
무대 연출
목적공연을 목적으로 함
역사
기원고대 그리스의 종교 의식
발전중세 시대의 미스터리극, 도덕극 등
현대다양한 실험적 형태 등장
구조
일반적인 구성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관련 분야
연극 이론연기
연출
무대 디자인
극작술
연극 비평공연 작품 분석 및 평가

2. 희곡의 특징

희곡은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하며, 배우의 대사와 행동을 통해 사건이 전개되기 때문에 서술자가 없다. 또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으며, 등장인물 간의 대립과 갈등을 본질로 한다.

등장인물(캐릭터)은 무대 위에서 액션(행위)을 하고, 이 행위는 연쇄 반응으로 나타난다. 초현실주의 희곡처럼 연쇄 반응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특정 행위가 다른 행위를 유발하며 극이 진행된다.

무대 위 행위는 실제 시간 순서대로 기술되며, 대사와 무대 설명이 사용된다. 희곡 기술 방법에는 엄격한 규칙이 없지만, 대사에는 등장인물의 말, 무대 설명에는 등장·퇴장, 동작, 무대 장치, 음향 및 조명 효과, 연출 지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희곡은 연극 제작의 설계도 역할을 하며, 연출가, 배우, 스태프는 희곡을 바탕으로 공동 목표, 방향성, 완성 이미지를 만든다. 즉흥극이나 집단 창작극은 예외지만, 이 경우에도 진행 대본을 준비하고 나중에 희곡화하기도 한다.

2. 1. 희곡의 형식적 구성 요소

희곡은 대사, 지시문, 해설 등으로 구성된다.

  • '''대사:''' 등장인물 간의 대화, 독백(혼잣말), 방백(관객만 알아듣는 말) 등으로 나뉜다.
  • 대화: 배우끼리 서로 주고 받는 말
  • 독백: 혼잣말
  • 방백: 관객만 알아 듣는 말
  • '''지시문:''' 무대 지시문과 동작 지시문으로 나뉘어 무대 연출과 배우의 연기를 지시한다.
  • 무대 지시문: 무대 장치, 조명, 음악, 효과
  • 동작 지시문: 등장인물의 행동, 표정 지시
  • '''해설:''' 연극 시작 전에 등장인물, 배경, 무대 장치 등을 설명해 준다.

2. 2. 소설, 수필과의 차이점

희곡은 무대 상연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는다.[1] 소설과 수필은 묘사와 해설을 통해 사건과 이야기를 진행시키지만, 희곡은 서술자 없이 등장인물의 대사와 행동으로 이야기를 전달한다.[2]

소설은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5단계 구성을 따르는 반면, 희곡은 발단-전개-절정-하강-대단원의 구성을 따른다.[3]

3. 희곡의 종류

희곡은 내용과 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 '''희극''': 유머를 유발하도록 고안된 연극으로, 재치 있는 대사, 기이한 등장인물, 특이한 상황을 자주 특징으로 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한여름밤의 꿈''과 현대의 ''몰몬경''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익살극''': 과장된 상황과 슬랩스틱 코미디에 의존하는 비논리적인 코미디이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실수극''이나 마크 트웨인의 ''그는 죽었는가?''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 '''풍자극''': 현대 사건에 대한 코믹한 관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정치적 또는 사회적 논평을 하며, 종종 부패와 같은 문제점을 부각한다. 니콜라이 고골의 ''검찰관''과 아리스토파네스의 ''리스이스트라테''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 '''희복원 희극''': 남녀 관계를 탐구하는 장르로, 당시에는 상당히 과감한 주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 몰리에르의 희극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어조와 의도는 다르다.
  • '''비극''': 죽음, 재난 등 어두운 주제를 다루며, 중심인물은 종종 몰락으로 이어지는 비극적 결함을 가지고 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과 존 웹스터의 희곡 ''말피 공작부인''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역사극''': 실제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다루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영향으로 독립적인 장르로 자리 잡았다. 프리드리히 실러의 ''데메트리우스''와 셰익스피어의 ''존 왕''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뮤지컬''': 노래, 춤, 연기가 결합된 연극 형식으로, 길버트 앤 설리번과 Harrigan and Hart의 작품을 통해 핵심 구조가 확립되었다. 위키드지붕 위의 바이올린과 같은 작품이 있다.
  • '''잔혹극''': 1940년대 앙토냉 아르토가 "사회적으로 조건화된 사고"가 아닌 몸을 통해 표현하는 효과에 대해 가설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무거운 주제를 다루며, 언어가 부족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신체적 공연을 통해 잠재의식을 상징하고자 하였다.
  • '''부조리극''': 인간 존재의 부조리함을 다루는 연극 형식으로, 실존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 언어와 행동의 모순, 부조리한 상황 등을 통해 주제를 표현한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사뮈엘 베케트, 장 폴 사르트르, 외젠 이오네스코 등이 있다.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조각상 두 개 앞에서 연극을 공연하는 여배우. 런던 대영박물관 21호실


네레이드 기념비 앞에서 연극을 공연하는 배우. 런던 대영박물관 17호실

3. 1. 희극

희극(comedy)은 유머를 유발하도록 고안된 연극으로, 재치 있는 대사, 기이한 등장인물, 특이한 상황을 자주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고대 그리스 극의 원래 두 장르 중 하나였다. 다른 하나는 비극이다. 희극의 예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한여름밤의 꿈''과 현대의 ''몰몬경''이 있다.[2][3]

희극의 하위 장르로는 익살극, 풍자극, 희복원 희극 등이 있다.

3. 1. 1. 익살극

익살극(Farce)은 유머를 포함하는 비논리적인 코미디의 하위 장르로, 과장된 상황과 슬랩스틱 코미디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익살극의 예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실수극''이나 마크 트웨인의 작품 ''그는 죽었는가?''가 있다.

3. 1. 2. 풍자극

풍자극은 현대 사건에 대한 코믹한 관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정치적 또는 사회적 논평을 하며, 종종 부패와 같은 문제점을 부각한다. 풍자극의 예로는 니콜라이 고골의 ''검찰관''과 아리스토파네스의 ''리스이스트라테''가 있다.[2][3] 풍자극은 독특하고 인기 있는 코미디 형태이며, 종종 독립된 장르로 간주된다.

3. 1. 3. 희복원 희극

희복원 희극은 남녀 관계를 탐구하는 장르로, 당시에는 상당히 과감한 주제를 다루는 경우가 많았다.[4] 등장인물들은 다양한 고정관념을 구현하는 경우가 많아 장르의 일관된 주제에 기여했다. 이러한 유사성은 이 장르의 대부분의 희곡에서 메시지와 내용의 동질성을 가져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복원 희극은 관계의 숨겨진 측면을 탐구함으로써 관객과 공연 사이에 더욱 긴밀한 유대감을 형성했다.

희복원 희극의 기원은 몰리에르의 희극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어조와 의도는 다르다.[5] 이 장르의 도덕과 당시의 지배적인 윤리 사이의 불일치는 희복원 희극을 연구할 때 주목할 만한 점이다. 이러한 불협화음은 초기 성공에도 불구하고 희복원 희극이 17세기를 넘어 지속되지 못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연극 이론가들은 독특한 관습을 가진 공연 스타일을 탐구하면서 희복원 희극에 점점 더 관심을 가져왔다.[6]

3. 2. 비극

비극은 죽음, 재난 등 어두운 주제를 다룬다. 중심 인물 또는 주인공은 종종 몰락으로 이어지는 비극적 결함을 가지고 있다. 비극적인 연극은 광범위한 감정을 포함하고 격렬한 갈등을 강조한다. 비극은 희극과 함께 고대 그리스 연극의 또 다른 원래 장르였다. 비극의 예로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과 존 웹스터의 희곡 ''말피 공작부인''이 있다.[2]

3. 3. 역사극

역사극은 실제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다룬다. 비극이나 희극일 수 있지만, 종종 이러한 분류를 따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역사극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영향으로 독립적인 장르로 자리 잡았다. 역사극의 예로는 프리드리히 실러의 ''데메트리우스''와 셰익스피어의 ''존 왕''이 있다.[7]

3. 4. 뮤지컬

뮤지컬(Musical영어)은 노래, 춤, 연기가 결합된 연극 형식이다. 현대 서구 뮤지컬은 빅토리아 시대에 영국의 길버트 앤 설리번과 미국의 Harrigan and Hart의 작품을 통해 핵심 구조가 확립되었다. 1920년대에 연극 스타일이 결정되면서 작곡가들은 연극 내의 모든 노래를 자유롭게 창작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뮤지컬의 수는 줄어들었고, 많은 작품들이 영화나 소설을 각색했다. 뮤지컬은 노래를 사용하여 이야기를 진행하고 연극의 주제를 전달하며, 일반적으로 안무가 함께한다. 뮤지컬 공연은 시각적으로 정교할 수 있으며, 정교한 무대와 배우들의 연기를 선보인다. 뮤지컬 공연의 예로는 위키드지붕 위의 바이올린이 있다.[1]

3. 5. 잔혹극

이 연극 양식은 1940년대 앙토냉 아르토가 "사회적으로 조건화된 사고"가 아닌 몸을 통해 표현하는 효과에 대해 가설을 세울 때 시작되었다.[8] 아르토는 언어를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단으로 신뢰하지 않았다. 잔혹 연극 장르의 연극들은 추상적인 관습과 내용을 보여준다. 아르토는 자신의 연극이 영향을 미치고 목적을 달성하기를 의도했다. 그의 목표는 언어가 부족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신체적 공연을 통해 잠재의식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아르토는 자신의 연극을 재현이 아닌 행위로 간주하여, 배우들이 현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구현하고 있다고 믿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의 연극은 정신병동 환자와 나치 독일과 같은 무거운 주제를 다루었다. 그는 이러한 공연을 통해 "고통의 원인을 들리게 하려"고 했다. 처음에는 본 것에 놀란 관객들은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그의 작품의 상당 부분은 그 당시 프랑스에서 금지되기도 했다.

아르토는 당시의 전통적인 연극이 제2차 세계 대전 후 치유 과정을 돕는 카타르시스적 경험을 관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일축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관객이 스스로 듣는 말을 자신의 몸과 연결할 수 있는 라디오 연극에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그의 작품을 더욱 친밀하고 개별적으로 만들었고, 그는 이것이 고통의 경험을 전달하는 데 효과를 높일 것이라고 믿었다.[8]

3. 6. 부조리극

부조리극은 인간 존재의 부조리함을 다루는 연극 형식으로, 실존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 언어와 행동의 모순, 부조리한 상황 등을 통해 주제를 표현한다.[9] 부조리 연극은 이성을 거부하고 인간 조건의 심연으로 빠져드는 불가피성을 받아들인다. 이러한 문제들을 직접 논의하기보다는 구현하여, 관객들이 연극 내용에 대해 스스로 생각하고 토론하도록 유도한다.[9]

부조리극의 핵심적인 특징은 언어와 행동 사이의 의도적인 모순이다. 등장인물 간의 대화는 종종 그들의 행동과 뚜렷하게 대비된다.[9]

대표적인 부조리극 작가로는 사뮈엘 베케트, 장 폴 사르트르, 외젠 이오네스코, 아르튀르 아다모프, 장 주네 등이 있다.[9]

4. 희곡과 시나리오

희곡은 연극의 대본이고, 시나리오는 영화, 드라마 등 영상 매체의 대본이다. 넓은 의미에서는 시나리오도 희곡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일상 대화나 글에서는 희곡과 시나리오를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시나리오는 영어로 screenplay(영화 극본의 경우)나 teleplay(텔레비전 극본의 경우)라고 부르고, 희곡은 play이므로, “영화용 희곡”, “텔레비전용 희곡” 등으로도 번역이 가능하다. 또한, 공공도서관 등에서는 시나리오 책을 희곡으로 분류하고 있다.

쓰쓰이 야스타카는 저서 『문예시평』에서 시나리오 작가이자 소설가인 쓰쓰이 도모미의 작품을 논평하면서, “희곡=문학, 시나리오=비문학이라는 구분은 이미 의미가 없다”라고 하였다.

5.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

희곡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작가와 작품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작가와 작품은 다음과 같다.


  • 한국: 이강백 (파수꾼, 결혼, 봄날 등), 오태석 (태, 자전거,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등), 차범석 (산불, 불모지 등), 함세덕 (동승, 산허구리 등)

5. 1. 한국

이강백은 한국 현대 희곡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으로, 우화적인 기법을 통해 현실의 부조리를 비판하는 작품을 주로 썼다. 대표작으로는 《파수꾼》, 《결혼》, 《봄날》 등이 있다. 오태석은 한국 전통 연희 양식을 현대적으로 계승하고 발전시킨 작가이다. 대표작으로는 《태》, 《자전거》, 《심청이는 왜 두 번 인당수에 몸을 던졌는가》 등이 있다. 차범석은 사실주의 희곡을 대표하는 작가로, 《산불》, 《불모지》 등 한국전쟁과 분단의 비극을 다룬 작품을 썼다. 함세덕은 일제강점기 민족의 현실을 다룬 《동승》, 《산허구리》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5. 2. 서양

5. 3. 일본

지카마쓰 몬자에몬의 소네자키신주, 이즈미 교카의 야차가이케, 덴슈 이야기, 해신별장, 기노시타 준지의 유즈루, 오카모토 기도의 슈젠지 이야기, 미시마 유키오의 사드 후작 부인, 나의 친구 히틀러, 가나메칸, 이노우에 히사시의 아버지와 함께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lay http://dictionary.re[...] 2008-01-03
[2] 웹사이트 THE ANCIENT GREEK DRAMA & THEATRE HISTORY PAGE http://anarchon.trip[...] 2008-06-16
[3] 웹사이트 Origin of Comedy http://www.theatrehi[...] 2008-06-16
[4] 논문 Marriage of Convenience and the Moral Code of Restoration Comedy 1962
[5] 서적 The Ornament of Ac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6] 서적 Restoration Comedy in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7] 서적 The Three Richards: Richard I ... – Google Book Search https://books.google[...] A & C Black 2008-06-17
[8] 서적 Antonin Artaud and the Impossible Theatre: The Legacy of the Theatre of Cruelty MIT Press 1997
[9] 서적 Theatre of the Absurd Random House|Knopf Doubleday Publishing 2001
[10] 웹사이트 中村三春・Mプロジェクト・サイト https://web.archiv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