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성버스는 1972년 동서교통으로 설립되어, 1990년 남성교통과 통합하여 현재의 상호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에 참여하여 노선 번호를 변경하고,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였다. 현재는 간선, 지선, 광역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2020년 남성교통 주식회사에서 분할되어 주식회사 남성버스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진여객 계열사 - 대진여객 (서울)
대진여객은 1962년 삼선합승 자회사로 시작해 1966년 법인 등록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로, 정릉동을 기점으로 간선, 지선, 심야,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143번은 국민대학교 학생들의 통학 노선으로 주로 이용된다. - 대진여객 계열사 - 대명운수
대명운수는 1999년 동성여객으로 설립되어 사명을 변경한 대한민국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도시형 버스 여러 노선을 운행하고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 202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신수교통
신수교통은 2004년 서울운수로부터 서울특별시 면허 버스 노선 등을 양도받아 설립되었고 이후 신성교통으로부터 일부 노선을 인수받았으며, 현재 서울특별시 은평구를 연고로 간선버스 4개 노선과 지선버스 3개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운송 회사이다. - 202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평택버스
평택버스는 2020년 설립되어 대원고속 노선 인수를 시작으로, 현재 광역급행 및 직행좌석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평택 시민의 교통 편의를 제공하는 평택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다. - 197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KD운송그룹
KD운송그룹은 허명회 회장이 설립한 대원여객을 모태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버스 운송 기업 중 하나로 성장하여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자체 사업 부문과 직원 복지를 위한 계열사도 운영하지만, 과거 노선 폐선 논란이나 안전사고 등의 부정적인 면도 존재한다. - 197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항철공사
항철공사는 1972년 지하철 공사로 설립되어 홍콩의 도시 철도 시스템인 MTR을 운영하며, 철도 운영과 부동산 개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해외로도 사업을 확장하는 기업이다.
| 남성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회사 정보 | |
| 이름 | 주식회사 남성버스 |
| 원어 | Namsung Bus Co., Ltd. |
| 종류 | 주식회사 |
| 창립 | 1972년 6월 21일(남성교통 설립일) 2020년 9월 29일(남성버스 분할설립일) |
| 장소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헌릉로 869(장지동)상법 상 본점 주소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국문로 188(정릉동)이다. |
| 사업 지역 | 분당영업소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탄천상로163번길 8(구미동) |
| 인물 | 김영상(대표이사) |
| 산업 | 운수업 |
| 제품 | 시내버스 |
| 자본금 | 90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9,892,317,809원 (2020.10~12) |
| 영업이익 | 117,362,694원 (2020.10~12) |
| 순이익 | 785,558,099원 (2020.10~12) |
| 자산총액 | 17,119,274,015원 (2020.12) |
| 주주 | 남성교통주식회사: 100% |
| 종업원 | 421명 (2020.12) |
2. 연혁
- 1972년 6월 21일: 동서교통으로 설립.[2]
- 1981년: 좌석버스 736번(현 간선버스 462번) 개통.[2]
- 1982년: 도시형버스 66-1번(1기) 개통.[2]
- 1986년: 도시형버스 66번, 66-1번(1기)을 서울특별시 소재 대성운수에 매각.[2]
- 1990년: 택시업체인 남성교통과 통합, 현재의 상호로 변경. 차고지를 성남시 단대동에서 양지동(현 을지대학교 성남캠퍼스)으로 이전. 대성운수에 매각했던 도시형버스 66번 재인수. 도시형버스 36번을 고속터미널역으로 단축, 잉여면허를 보영운수, 서울여객, 동남교통에 매각.[2]
- 1991년: 도시형버스 66-1번(2기, 현 광역버스 9404번), 좌석버스 736-1번(현 광역버스 9408번) 개통.[2]
- 1992년 8월 20일: 도시형버스 36번 노선 변경 (양재역-남부터미널역-교대역-고속터미널).[2]
- 1993년: 도시형버스 66-1번(2기) 노선 단축 (오리역-양재역). 좌석버스 1005번(수서역-광화문역) 공동 신설.[2]
- 1994년: 좌석버스 736번을 심야 좌석버스 916번으로 변경. 좌석버스 1005번 노선 변경 (오리역-광화문역).[2]
- 1995년: 도원교통, 태진운수, 대진운수(현 대진여객)에서 좌석버스 1005번 운영권 포기, 차량 맞교환. 삼선버스 잉여면허 인수, 좌석버스 736-1번 증차. 유진운수 좌석버스 704번 폐선 잉여차량 인수.[2]
- 1996년 12월 9일: 도시형버스 66번 노선 단축 (양지동-영동시장), 좌석버스 1005번 증차.[2]
- 1997년: 동부운수 좌석버스 522번 폐선 잉여면허 인수, 도시형버스 66-1번, 좌석버스 1005번 증차. 좌석버스 736-1번, 916번 노선 단축 및 변경.[2]
- 1998년: 신성교통, 제일여객 잉여면허 인수, 도시형버스 36번, 좌석버스 736-1번, 심야 좌석버스 916번 증차.[2]
- 1999년: 도시형버스 66-1번(2기) 노선 변경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경유). 대성운수 심야 좌석버스 910번(현 광역버스 9406번) 양수.[2]
- 2000년: 도시형버스 66-1번(2기) 노선 연장 및 변경, 좌석버스 6006번으로 형간 전환. 도시형버스 36-1번(현 지선버스 4419번) 개통. 좌석버스 7007번 개통.[2]
- 2001년 8월: 좌석버스 7007번 노선 변경 (여의도 루프).[2]
- 2003년 10월: 좌석버스 1005-2번(현 광역버스 9400번) 개통.[2]
- 2004년 1월: 좌석버스 1005번 폐선, 7007번 노선 변경 (강남대로 경유).[2]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및 버스 개편. 노선 번호 변경, 한국비알티자동차 지분 출자. 광역버스 9404번, 9406번 종점 연장 (신사역).[2]
- 2005년: 광역버스 9406번, 지선버스 4421번 폐선, 지선버스 4419번 연장. 광역버스 9402번 폐선, 간선버스 320번 개통, 성남시 차고지 매각 및 송파공영차고지로 이전.[2]
- 2006년 12월 20일: 지선버스 4423번 폐선, 광역버스 9412번 간선버스 462번으로 변경.[2]
- 2007년: 광역버스 9400번 폐선, 지선버스 3423번(현 3012번) 신설.[2]
- 2008년: 광역버스 9404번 기점 연장, 맞춤버스 8360번 신설.[2]
- 2009년 12월 21일: 맞춤버스 8360번 폐선.[2]
- 2010년: 광역버스 9409번 노선 변경, 간선버스 320번 노선 연장.[2]
- 2012년 2월 28일: 광역버스 9409번 광역버스 9401B번으로 변경.[2]
- 2013년: 지선버스 3423번 3012번으로 변경 및 연장, 광역버스 9404번 노선 변경.[2]
- 2014년: 광역버스 9401B번 9401번으로 변경, 광역버스 9408번 노선 변경, 지선버스 3425번 개통.[2]
- 2017년 2월 25일: 간선버스 320번 노선 변경.[2]
- 2018년 3월 16일: 간선버스 462번 452번으로 변경 및 단축.[2]
- 2020년 9월 29일: '''남성교통 주식회사'''에서 분할, '''주식회사 남성버스''' 설립.[3]
- 2020년 10월 1일: 남성버스, 모든 노선 인수.[3]
2. 1. 1970년대 ~ 1980년대
- 1972년 6월 21일: 동서교통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당시 보유 노선은 다음과 같다.
- 도시형버스 36번 (광주대단지(현 성남시) - 영등포역): 현재 폐선된 지선버스 4423번의 전신이다.
- 도시형버스 66번 (광주대단지(현 성남시) - 을지로5가): 현재 폐선된 지선버스 4421번의 전신이다.
- 1981년: 좌석버스 736번(현 간선버스 462번) (단대동 - 영등포역) 노선을 개통하였다.[2]
- 1982년: 도시형버스 66번의 단축 노선인 도시형버스 66-1번(1기 노선) (단대동 - 영동시장) 노선을 개통하였다.[2]
- 1986년: 도시형버스 66번(단대동 - 을지로5가), 도시형버스 66-1번(단대동 - 영동시장) 노선을 서울특별시 소재 대성운수에 매각하였다.[2]
2. 2. 1990년대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 1990년: 택시업체인 남성교통과 통합하여 현재의 상호로 변경하였고, 차고지를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단대동에서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양지동(現 을지대학교 성남캠퍼스)로 이전하였다. 과거 서울특별시 소재 대성운수로 매각한 도시형버스 66번(단대동 - 을지로5가) 노선을 다시 인수하였다. 도시형버스 36번(단대동 - 영등포역) 노선을 고속터미널역으로 단축하였다. 이 때 감차로 남은 잉여면허를 서울특별시 소재 보영운수와 서울특별시 소재 서울여객, 동남교통에 매각하였다.[2]
- 1991년: 도시형버스 66-1번(2기 노선, 現 광역버스 9404번)(서현동 - 을지로5가) 노선과 좌석버스 736-1번(現 광역버스 9408번)(서현동 - 영등포역) 노선을 개통하였다.[2]
- 1992년 8월 20일: 도시형버스 36번(단대동 - 고속터미널역) 노선을 기존 양재역 - 강남역 - 논현동 경유 고속터미널역 회차에서 양재역 - 남부터미널역 - 교대역 - 삼풍아파트(1동~3동·5동~25동) - 고속터미널 회차로 변경하였다.[2]
- 1993년: 도시형버스 66-1번(2기 노선, 現 광역버스 9404번)(오리역 - 을지로5가) 노선을 양재역으로 단축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남성교통, 서울특별시 소재 대진운수(現 서울특별시 소재 대진여객), 서울특별시 소재 도원교통, 태진운수와 함께 공동으로 좌석버스 1005번(수서역 - 광화문역) 노선을 신설하였다.[2]
- 1994년: 서울시 심야 좌석버스 정책에 의거 좌석버스 736번(現 간선버스 462번)(양지동 - 영등포역) 노선을 심야 좌석버스로 형간 전환하여 노선 번호 역시 916번으로 변경하였다. 좌석버스 1005번(수서역 - 광화문역) 노선을 오리역 - 광화문역 노선으로 변경하였다.[2]
- 1995년 2월 13일: 서울특별시 소재 도원교통측에서 좌석버스 1005번(수서역 - 광화문역) 노선 운영권을 포기하면서 서울특별시 소재 남성교통의 도시형차량과 서울특별시 소재 도원교통의 직행좌석형 차량과 상호 맞트레이드를 진행하였다.[2]
- 1995년 6월 5일: 서울특별시 소재 태진운수측에서 좌석버스 1005번(수서역 - 광화문역) 노선 운영권을 포기하면서 서울특별시 소재 남성교통의 도시형차량과 서울특별시 소재 태진운수의 직행좌석형 차량과 상호 맞트레이드를 진행하였다.[2]
- 1995년 9월: 서울특별시 소재 삼선버스에서 잉여면허를 넘겨받아 수요는 많으나 공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좌석버스 736-1번(現 광역버스 9408번)(서현동 - 영등포역) 노선을 증차하였다.[2]
- 1995년 11월: 군포시·서울특별시 소재 유진운수로부터 좌석버스 704번 폐선으로 인한 잉여차량을 인수받았다.[2]
- 1995년 12월 1일: 서울특별시 소재 대진운수(現 서울특별시 소재 대진여객)측에서 좌석버스 1005번(수서역 - 광화문역) 노선 운영권을 포기하면서 성남시·서울특별시 소재 남성교통의 도시형차량과 서울특별시 소재 대진운수(現 서울특별시 소재 대진여객)의 직행좌석형 차량과 상호 맞트레이드를 진행하였다.[2]
- 1996년 12월 9일: 도시형버스 66번(양지동 - 을지로5가) 노선을 기존 을지로5가에서 영동시장으로 노선을 단축하고, 1부 노후차량을 감차하여 좌석버스 1005번(오리역 - 광화문) 노선에 증차하였다.[2]
- 1997년 4월: 舊 서울특별시 소재 동부운수로부터 좌석버스 522번(장지동 - 공덕동) 폐선으로 인한 잉여면허를 인수 받아 수요는 많으나 공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도시형버스 66-1번(오리역 - 양재역) 노선에 4대, 좌석버스 1005번(오리역 - 광화문) 노선에 2대 증차하였다.[2]
- 1997년 12월 1일: 좌석버스 736-1번(現 광역버스 9408번)(서현동 - 영등포역), 좌석버스 916번(現 간선버스 462번)(양지동 - 영등포역) 노선을 기존 문래동고가 회차에서 현재의 영등포R P턴회차로 단축하였다. 동시에 좌석버스 736-1번(現 광역버스 9408번)(서현동 - 영등포역) 노선을 기존의 서현동 기점에서 오리역 기점으로 연장하였다.[2]
- 1998년 4월 13일: 서울특별시 소재 신성교통, 제일여객으로부터 잉여면허를 넘겨 받아 수요는 많으나 공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도시형버스 36번(단대동 - 고속터미널역) 노선을 증차하였다.[2]
- 1998년 6월 15일: 서울특별시 소재 신성교통, 제일여객으로부터 잉여면허를 넘겨 받아 수요는 많으나 공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좌석버스 736-1번(現 광역버스 9408번)(오리역 - 영등포역) 노선, 그리고 심야 좌석버스 916번(現 간선버스 462번)(양지동 - 영등포역) 노선에 각각 증차하였다.[2]
- 1999년: 도시형버스 66-1번(2기 노선, 現 광역버스 9404번)(오리역 - 양재역) 노선을 기존 서울공항, 세곡동 경유에서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경유로 변경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대성운수로부터 심야 좌석버스 910번(오리역 - 강남역) 노선을 양수하였다.(현재 폐선된 광역버스 9406번의 전신이 됨)[2]
- 2000년: 도시형버스 66-1번(2기 노선, 現 광역버스 9404번)(오리역 - 양재역) 노선을 기존 오리역에서 신갈동으로 연장하였다. 이후 기존 양재역 회차를 강남역으로 연장하였으나 이후 분당구청의 요청에 의거 2000년 12월 11일에 좌석버스 6006번(신갈동 - 논현역)으로 형간 전환하였다. 도시형버스 36-1번(現 지선버스 4419번)(양지동 - 청담역) 노선을 개통하였다.[2]
- 2000년 6월: 좌석버스 7007번(죽전동 - 영등포역, 현재의 9401번 광역버스) 노선을 개통하였다.[2]
- 2001년 8월: 좌석버스 7007번 노선이 여의도로 단축되어 여의도역 이후 국회의사당, 여의도순복음교회, 여의나루역, 증권거래소 루프로 변경되었다.[2]
- 2003년 10월: 좌석버스 1005-2번(상탑동 - 광화문역) 노선을 개통하였다.(현재 폐선된 광역버스 9400번의 전신이 됨)[2]
- 2004년 1월: 좌석버스 1005번이 폐선되었다. 그리고 7007번이 강남대로 경유로 변경하여 강남역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2]
2. 3.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에 따라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으며, 개편 당시 서울특별시 소재 남성교통은 서울특별시 소재 한국비알티자동차에 지분을 출자하였다.[2] 변경된 노선 번호는 다음과 같다.- 좌석버스 7007번 → 광역버스 9409번
- 좌석버스 736-1번 → 광역버스 9408번
- 좌석버스 9000번 → 광역버스 9402번
- 좌석버스 910번 → 광역버스 9406번
- 좌석버스 916번 → 광역버스 9412번
- 좌석버스 1005-2번 → 광역버스 9400번
- 도시형버스 36번 → 지선버스 4423번
- 도시형버스 36-1번 → 지선버스 4419번
- 도시형버스 66번 → 지선버스 4421번
이 중 광역버스 9404번, 9406번은 종점이 논현역에서 신사역으로 연장되었다.[2]
- 2005년
- * 6월 21일: 광역버스 9406번이 폐선되었다.[2]
- * 6월 28일: 지선버스 4421번이 폐선됨과 동시에 지선버스 4419번이 신사중학교로 연장되었다.[2]
- * 8월 5일: 광역버스 9402번이 폐선되었고(현재는 9401B번이 동일하게 전 구간 운행중), 간선버스 320번(복정역 - 상봉시외버스터미널) 노선을 개통하였으며, 양지동(現.을지대학교 성남캠퍼스)에서 송파공영차고지로 성남 기점 모든 노선을 이전하였으며, 기존 성남차고지는 매각처리되었다.[2]
- 2006년 12월 20일: 지선버스 4423번을 폐선하고, 광역버스 9412번을 간선버스 462번으로 형간 전환하였다.[2]
- 2007년
- * 1월 20일: 광역버스 9400번이 폐선되었다.[2]
- * 2월 10일: 지선버스 3423번(송파공영차고지 - 고속터미널역) 노선이 신설되었다.(현재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과 공동배차 운행중이며, 2013년 3월 19일에 지선버스 3012번으로 변경과 동시에 종점이 동부이촌동으로 연장되었다.)[2]
- 2008년
- * 2월 20일: 광역버스 9404번(신갈동 - 신사역) 노선의 기점을 수원시 소재 수원여객, 성우운수, 용남고속이 함께 사용하는 하갈동 차고지로 연장하였다.[2]
- * 12월 20일: 맞춤버스 8360번(송파공영차고지 - 여의도 버스 환승센터) 노선이 신설됐다.(당시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 한국비알티자동차와 공동배차 운행했다.)[2]
- 2009년 12월 21일: 맞춤버스 8360번이 폐선되었다.[2]
- 2010년
- * 1월 8일: 광역버스 9409번(죽전동 - 여의도역) 노선의 회차지를 기존 여의도역에서 한남동으로 변경하였으며, 이후 2010년 8월 21일에 남산순환로 경유를 조건으로 서울역으로 연장되었다.[2]
- * 4월 29일: 간선버스 320번(복정역 - 상봉시외버스터미널) 노선의 회차지를 중랑구청으로 연장하였다.[2]
- 2012년 2월 28일: 광역버스 9409번(죽전동 - 서울역) 노선을 광역버스 9401B번(오리역 - 서울역) 노선으로 대폭 개편하였으며, 과거에 폐선된 광역버스 9402번과 동일하게 변경하였다.[2]
- 2013년
- * 3월 19일: 지선버스 3423번의 종점이 고속터미널역에서 동부이촌동으로 연장되면서 노선번호가 3012번으로 변경되었다.(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 한서교통과 공동배차 운행중)[2]
- * 6월 5일: 수원시 소재 수원여객, 성우운수, 용남고속과 함께 사용하던 하갈동 차고지의 계약 만료 및 용인시 도시계획시설 개설사업편입으로 인하여 광역버스 9404번(하갈동 - 신사역) 노선의 기점을 오리역으로 대폭 단축하고, 회차지를 압구정동 - 신사역 루프 회차 방식으로 변경하였다.[2]
- * 12월 30일: 광역버스 9404번(오리역 - 압구정동) 노선의 회차지를 종전대로 신사역으로 단축하였다.[2]
- 2014년
- * 7월 16일: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는 직행좌석버스 및 광역버스의 입석 승차 운행 금지 시행으로 인하여 광역버스 9401B번의 노선과 노선 번호가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 광역버스 9401번으로 변경과 동시에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 9401번과 동일한 경로로 운행을 하게 되었으며, 광역버스 9408번의 경우 기존 분당내곡도시고속화도로 경유에서 서울공항, 세곡동 경유로 노선이 변경되었다.[2]
- * 11월 1일: 세곡지구 입주로 지선버스 3425번을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과 공동배차로 개통하였다.[2]
- 2017년 2월 25일: 면목2동 주민 버스편의로 간선버스 320번 노선 변경되었다.[2]
- 2018년 3월 16일: 서울특별시의 일방적인 장거리 노선 조정으로 인해 간선버스 462번이 흑석역, 중앙대병원으로 단축되어 452번으로 변경되었다.[2]
- 2020년
- * 9월 29일: '''남성교통 주식회사'''에서 일부를 분할하여 '''주식회사 남성버스''' 설립.[3]
- * 10월 1일: 남성버스가 모든 노선 인수하여 운행.[3]
3. 운행 노선
2023년 5월 13일 기준 남성버스의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4]
|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320번 | 복정역 ↔ 중랑구청 | 7~9 | 24 | |
| 361번 | 복정역 ↔ 국회의사당역 | 9~13 | 27 | 舊 4419번 연장, 舊 36-1번. 2022년 5월 1일 노선 변경 |
| 452번 | 복정역 ↔ 흑석역 | 8~12 | 34 | 舊 9412번, 舊 462번. 2018년 3월 16일 흑석역~영등포 구간 단축 |
| 3420번 | 복정역 ↔ 구반포역 | 9~14 | 16 | 舊 3423번 연장, 3012번 단축.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과 공동배차 운행 |
| 9401번 | 분당(구미동) ↔ 서울역 | 3~5 | 14 | 舊 45-2번.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과 공동배차 운행 |
| 9401-1번 | 푸른마을 ↔ 블루스퀘어 | 10~20 | 5 |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과 공동배차 운행 |
| 9404번 | 분당(구미동) ↔ 신사역 | 6~10 | 26 | 舊 6006번, 舊 66-1번 |
| 9408번 | 구반포역 ↔ 분당(구미동) | 10~18 | 18 | 舊 736-1번 |
| 서울06출근번 | 경기광주 능평동 → 강남역 | 1일 3회 | 3 | 2023년 11월 6일 노선 신설. |
| 서울06퇴근번 | 강남역 → 경기광주 능평동 | 1일 2회 | 2 | 2024년 6월 10일 노선 신설. |
- 하위 섹션에서 간선버스, 지선버스, 광역버스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간략하게 통합된 표만 제시한다.
3. 1. 간선버스
2023년 5월 13일 기준이다.[4]| 노선번호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분) | 인가대수 | 비고 |
|---|---|---|---|---|
| 320번 | 복정역 ↔ 중랑구청 | 7~9 | 24 | |
| 361번 | 복정역 ↔ 국회의사당역 | 9~13 | 27 | 舊 4419번 연장, 舊 36-1번. 2022년 5월 1일 노선 변경 |
| 452번 | 복정역 ↔ 흑석역 | 8~12 | 34 | 舊 9412번, 舊 462번. 2018년 3월 16일 흑석역~영등포 구간 단축 |
| 3420번 | 복정역 ↔ 구반포역 | 9~14 | 16 | 舊 3423번 연장, 3012번 단축.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과 공동배차 운행 |
3. 2. 지선버스
2023년 5월 13일 기준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4]| 운행 노선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 320번 | 복정역 | ↔ | 중랑구청 | 7~9 | 24 | |
| 361번 | 국회의사당역 | 9~13 | 27 | 舊 4419번 연장, 舊 36-1번. 2022년 5월 1일 노선 변경 | ||
| 452번 | 흑석역 | 8~12 | 34 | 舊 9412번, 舊 462번. 2018년 3월 16일 흑석역~영등포 구간 단축 | ||
| 3420번 | 구반포역 | 9~14 | 16 | 舊 3423번 연장, 3012번 단축.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과 공동 배차 운행 | ||
- 3012번: 송파공영차고지 - 복정역 - 장지역 - 문정역 - 송파역 - 석촌역 - 삼전역 - 대치역 - 도곡역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남부터미널 - 교대역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신반포역 - 구반포역 - 서빙고역 - 이촌동. 2022년 6월 27일 구반포역으로 단축 후 3420번으로 변경.
- 3423번: 송파공영차고지 - 복정역(동서울대학) - 장지역(가든파이브) - 문정역 - 가락시장역(가락시장) - 송파역 - 석촌역 - 삼전역 - 배명역 - 학여울역(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 대치역 - 도곡역 - 매봉역 - 양재역(서초구청) - 뱅뱅사거리 - 남부터미널역(서울남부버스터미널) - 교대역(서울교육대학교) - 고속터미널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2013년 3월 19일 이촌동으로 연장 후 3012번으로 변경.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 서울특별시 소재 한서교통과 공동 배차 운행.
- 3425번: 송파공영차고지 ↔ 복정역 ↔ 강남자동차검사소 ↔ 세곡동 ↔ 은곡마을 진입로 ↔ 세곡지구 ↔ 못골마을 ↔ 쟁골마을 ↔ 수서역 ↔ 궁마을 ↔ 일원역 (삼성의료원) ↔ 수서태화복지관 ↔ 일원터널 ↔ 개포주공4단지 ↔ 경기여자고등학교 ↔ 개포동역 ↔ 대치역 ↔ 은마아파트 ↔ 은마파출소 ↔ 대치현대아파트 ↔ 대치사거리 → 포스코사거리 → 삼성역 (회차 지점) → 휘문중고등학교 → 대치현대아파트 (이하 역순). 2022년 5월 1일 성남 구간 연장 및 공동 배차 철수, 현 지선버스 4425번.
- 4419번: 송파공영차고지 - 산성역 - 한국폴리텍대학 성남기능대학 - 남한산성입구역 - 금광시장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 (구) 성남시청 (신흥1동주민센터) - 태평역 - 가천대역 (가천대학교) - 복정역 (동서울대학) - 세곡동사거리 - 수서차량사업소 - 수서역 - 궁마을 - 일원역 (삼성의료원) - 일원터널 - 대모산입구역 - 학여울역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 휘문고등학교 - 삼성역 (코엑스, 무역센터, 한국도심공항) - 봉은사 (봉은사역) - 청담역 (경기고등학교) - 청담지구대 - 갤러리아백화점 압구정점 (압구정로데오역) - 압구정역 - 신사중학교 (구 36-1번).
- 4421번: 한국폴리텍대학 성남기능대학 - 남한산성입구역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 (舊) 성남시청(수정구보건소) - 태평역 - 경원대역(경원대학교) - 복정역(동서울대학) - 세곡동4거리 - 헌인릉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꽃시장(양재시민의숲역, 양재시민의 숲, 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강남역 - 신논현역(교보타워4거리) - 논현역 → 신사역 → 신사동고개 → 안세병원 → 학동역 → 논현역. 2005년 6월 28일 폐선. ((舊) 66번, 지선버스).[5]
- 4423번: 송파공영차고지 - 산성역 - 한국폴리텍대학 성남기능대학 - 남한산성입구역 - 단대오거리역 - 신흥역 - (舊) 성남시청(수정구보건소) - 태평역 - 경원대역(경원대학교) - 복정역(동서울대학) - 세곡동4거리 - 헌인릉 - 내곡동주민센터 - 양재꽃시장(양재시민의숲역, 양재시민의 숲, AT센터)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역(서초구청) - 뱅뱅4거리 - 남부터미널역(서울남부버스터미널) - 교대역(서울교육대학교) - 고속터미널역(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시티). 2006년 12월 20일 광역버스 9412번과 통합되어 간선버스 462번으로 통합. ((舊) 36번, 지선버스).
3. 3. 광역버스
2023년 5월 13일 기준이다.[4]|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9401번 | 분당(구미동) | 서울역 | 3~5 | 14 | 舊 45-2번.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과 공동배차 운행 |
| 9401-1번 | 푸른마을 | 블루스퀘어 | 10~20 | 5 | 서울특별시 소재 동성교통과 공동배차 운행 |
| 9404번 | 분당(구미동) | 신사역 | 6~10 | 26 | 舊 6006번, 舊 66-1번 |
| 9408번 | 구반포역 | 분당(구미동) | 10~18 | 18 | 舊 736-1번 |
| 서울06출근번 | 경기광주 능평동 | 강남역 | 1일 3회 | 3 | 2023년 11월 6일 노선 신설 |
| 서울06퇴근번 | 강남역 | 경기광주 능평동 | 1일 2회 | 2 | 2024년 6월 10일 노선 신설 |
4. 본사 및 영업소
5. 보유 차량
| 차종 | 구분 | 비고 |
|---|---|---|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 저상 | |
| 현대 일렉시티 | ||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 ||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엘레강스 | ||
| 자일대우 FX ii 116 크루징 애로우 | 자일대우버스 | |
| 하이거 하이퍼스 | 하이거 버스 |
참조
[1]
문서
상법 상 본점 주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국문로 188(정릉동)
[2]
문서
신성교통 (서울) 잉여면허 및 도시형버스 75번 인수 관련 내용
서울특별시 신성교통 (서울)
1979
[3]
문서
주식회사 남성버스 등기부 등본 열람 확인
[4]
웹사이트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5]
문서
4421번 노선 폐선 관련 내용
서울특별시
[6]
문서
1005번 노선 개설 및 통폐합 관련 내용
광주시 (경기도)
[7]
문서
서현역 미정차 관련 내용
[8]
문서
낙생육교 하차 후 도보 관련 내용
[9]
문서
경기고속 9000번 노선 운행 및 변경 관련 내용
광주시 (경기도) 경기고속
2008-09-20
[10]
문서
4423번 노선 폐선 관련 내용
서울특별시
[11]
문서
경기고속 9000번 노선 운행 및 변경 관련 내용
광주시 (경기도) 경기고속
2008-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