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쿄 지하철 01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지하철 01계 전동차는 도쿄 지하철 긴자선의 노후 차량 교체를 위해 1984년에 도입된 전동차이다. "기능성, 밝음, 세련됨"을 디자인 테마로 하여, 1997년까지 총 38개 편성이 제작되었다. 고주파 분권 초퍼 제어 방식을 일본 철도 차량 최초로 채택했으며, 이후 다양한 기술적 개량이 이루어졌다. 2012년부터 도쿄 메트로 1000계 전동차로 교체되기 시작하여 2017년에 운행이 종료되었고, 일부 차량은 구마모토 전기 철도로 매각되어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지하철의 철도 차량 - 도쿄 지하철 08계 전동차
    도쿄 지하철 08계 전동차는 한조몬선의 수송력 증강 및 도부 철도 직통 운행을 위해 2003년에 도입된 10량 편성의 전동차로, 알루미늄 무도장 차체에 보라색 띠와 측면 디자인이 특징이며 "0x계" 계열명을 사용한 마지막 차량이다.
  • 도쿄 지하철의 철도 차량 - 도쿄 지하철 8000계 전동차
    도쿄 지하철 8000계 전동차는 한조몬 선에서 운행된 통근형 전동차로, 1981년부터 도입되어 2025년까지 18000계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으로 변경 및 디자인 개선 등의 리모델링을 거쳤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일본의 철도 차량 - 아키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은 도쿄와 아키타를 잇는 미니 신칸센 노선으로, E6계 전동차 '코마치'호가 운행되며 도호쿠 신칸센과 직결 운행되지만, 모리오카-아키타 구간은 지형적 제약으로 감속 운행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노선이다.
도쿄 지하철 01계 전동차
기본 정보
다메이케산노 방면 01계 전동차
다메이케산노 방면 01계 전동차
운행1984년 1월 1일 ~ 2017년 3월 12일
대체데토 2000계 전동차
후속도쿄 메트로 1000계 전동차
보존4량
노선긴자선
제작 회사가와사키 중공업
일본차량제조
도큐 차량
긴키 차량
차체알루미늄
차량 제원
편성6량 편성 (3M3T)
전기 방식직류 600V, 제3궤조 방식
차량 높이(양산차)
(시작차)
바닥 높이995 mm
차량당 3개
감속도(상용)
(비상)
구동 방식WN 구동 방식
기어비6.73 : 1
차량 무게
쵸퍼 제어(차량당)
VVVF 제어(차량당)
수송 능력
정원100명 (선두차, 좌석 36석)
102명 (중간차, 좌석 42/44석)
제어 장치
초기 차량고주파 분권 쵸퍼 제어
후기 차량IGBT VVVF 인버터 제어
시험차SiC 소자 VVVF 인버터 제어 (01-237)
제동 장치
종류전기 지령식 공기 제동 (회생 제동 병용)
연동 장치CS-ATC 연동
안전 장치
종류CS-ATC
TASC
ATS (구형)
수상
현재 운용
운용 회사구마모토 전기 철도 (4량)

2. 역사

한조몬 선의 8000계까지의 실적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각종 개량 및 검토를 실시하여 1983년에 시제차 1편성(6량)이 취역하였다. 이듬해인 1984년부터 양산이 시작되어 1997년까지 6량 편성 38개(228량)가 제조되었다.[1]

1980년대 당시 긴자 선에서 운용되던 차량에는 전쟁 이전에 사용하던 차량이 있었고, 이후 투입된 차량도 비슷한 디자인이어서 "긴자 선은 오래된 노선"이라는 이미지가 일반 승객들에게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 긴자 선 차량의 이미지를 크게 바꾸는 디자인을 채용하고, 노선의 이미지 개선을 도모했다.

각 객실 문 위쪽에는 노선 안내 표시기가 설치되었다. 이 표시기 양옆에는 문이 열리는 방향을 알려주는 램프가 있었고, 문 차임도 함께 울렸다. 이러한 시설은 당시에는 드물어 승객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처음에는 이 안내 표시기가 양산차와 사양이 달랐지만, 다메이케산노 역 개업 준비 때 양산차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역 넘버링 도입 후에는 역명 표기 부분에 역 번호를 표기한 스티커가 부착되었다.

긴자 선 구형 차량 대체용으로 등장한 "0x계" 시리즈의 첫 번째 계열로, 이후 다른 노선 구형 차량 대체 및 증차용 차량도 모두 "0x계" 계열 이름이 붙었다. 주행 성능은 기존 긴자 선 차량을 크게 상회하여, 히비야 선에 있던 3000계에 필적하는 고속 성능을 가졌다. 1993년 01계로 통일하면서 CS-ATC를 도입하여 긴자선의 고속화를 실현했다.[22]

2. 1. 개발 배경 및 초기 역사

1980년대 초, 긴자선의 대부분 차량들은 노후화되어, 일부 차량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승객들에게 노후한 노선의 이미지를 주었다.[1] 당시 긴자선에는 긴자선 개업 초기부터 사용하던 1200형, 1300형 등의 차량이 있었고, 이후 투입된 2000계 등도 비슷한 디자인이어서 "긴자선은 오래되었다"는 이미지가 일반 승객들에게 널리 퍼져 있었다.[22][21]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긴자선 차량의 이미지를 크게 바꾸는 새로운 디자인을 채택하여 노선의 이미지를 개선하고자 했다.[21] 새로운 디자인 콘셉트는 "기능성", "밝음", "세련됨"이었다.[23]

차량 번호는 기존의 X000 계열 대신, 새롭게 "0x 계열"을 채택했다.[22] 이후 에이단 시대에 설계된 다른 노선의 구형차 교체용 차량 및 증발용 증비차에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0x계"의 계열명이 부여되었다. 01계는 한조몬선용 8000계까지의 실적에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각종 개량과 검토를 거쳐 1983년에 시제차 1개 편성이 완성되었고, 이듬해 1984년부터 양산이 시작되었다.[21] 1997년까지 6량 편성 38개(228량)가 제조되었다.

1983년 5월 중순에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완성되어 반입된 제01편성이 시제차에 해당한다. 입적은 9월, 영업 운전은 1983년 12월 31일의 연말 심야 운행부터이다.[41] 정확히는, 1984년 1월 1일 0시 15분 출발의 우에노역아사쿠사역 행 열차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42]

당초 영업 운전은 양산차가 등장하는 1984년 가을 무렵으로 예정되어 있었다.[43] 그러나, 낮에 긴자선에서 시험 운전을 실시했을 때, 이것을 본 승객으로부터 "언제부터 탈 수 있나요"와 같은 문의가 영단에 많이 접수되었기 때문에, 시기를 대폭 앞당기게 되었다.[41]

영업 운전 며칠 전부터 회생 제동 시 계자 초퍼용 GTO 사이리스터가 잇따라 고장나는 문제가 발생했다.[44] 이 때문에, 영업 운전에서는 회생 제동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하며, 열차에는 제조사의 기술자가 탑승하여 수송 장애에 대비했다.[44] 다행히 문제 없이 넘길 수 있었고, 이 고장은 어떤 제조사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에 오류가 있었던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44]

01계는 1985년 (쇼와 60년)의 철도우호회로렐상, 1989년 (헤이세이 원년) 철도우호회글로리아상을 수상했다.[24][25]

01계의 개발 과정에서 긴자선용 차량은 소형이기 때문에, 제어 방식으로는 장비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는 리니어 모터 구동, VVVF 인버터 제어, 분권 초퍼 제어의 3가지를 검토했다.[22][44] 앞의 두 가지는 비용 문제 등으로 포기하고,[45] 기존의 초퍼 제어의 개량형인 고주파 분권 초퍼 제어(4상한 초퍼 제어, 1C4M 제어 방식)를 일본 철도 차량으로 처음 채용했다.[22][44]

배치편성 번호제작 연도
프로토타입011983년
1차02-231984년-1987년
2차24-271990년
3차28-311991년
4차32-361992년
5차371993년
6차381997년


2. 2. 개량 및 기술 발전

1980년대 초, 긴자선의 대부분의 차량들은 노후화되기 시작했다. 일부 차량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승객들에게 노후한 노선의 이미지를 주었다.[1] 01계는 "기능성, 밝음, 세련됨"을 디자인 테마로 하여 1984년에 도입되었다.[1]

처음 23개 편성에는 노선의 작은 터널 크기로 인한 차량 한계 규제 때문에 원래 에어컨 시스템이 장착되지 않았다. 1990년, 미쓰비시 전기는 240mm 두께의 소형 에어컨 장치를 개발했다.[4] 이 에어컨은 16.2kW의 용량을 가졌다. 시제 에어컨 장치는 8월에 16편성에서 시험되었고, 이후 에어컨이 없는 편성들은 모두 개조되었다. 에어컨이 장착된 열차의 천장은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에어컨이 없는 열차보다 낮았다. 에어컨과 함께 제작된 열차는 항상 낮은 천장을 가지고 있었다.

1986년 11월, 전계 초퍼 장치의 소자로 전력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고주파 분권 초퍼 제어 장치의 실용 시험이 02계를 위해 이 시리즈에서 실시되었다.[5] 2007년, 38편성의 01-238호차에 영구 자석 동기 전동기(PMSM)가 시험적으로 장착되었다.[6] 2011년 1월, 38편성의 중간 4량에 LED 조명이 시험적으로 장착되었다.[6] 2011년 12월, 37편성에는 시험 목적으로 실리콘 카바이드(SiC)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드라이브(VVVF)가 개조되었다.[7]

1983년에 시제차 1개 편성(6량)이 완성되었고, 이듬해 1984년부터 양산이 시작되었다.[21] 1997년까지 6량 편성 38개(228량)가 제조되었다.

2. 3. 퇴역 및 이후

01계 전동차는 2012년 봄부터 새로운 1000계 전동차로 교체되기 시작했다.[9] 2013년 8월, 처음으로 퇴역한 38편성이 폐차되었고,[6] 2016년 4월 1일 기준으로 9개 편성만이 운행 중이었다.[8] 마지막 남은 01계 전동차는 2017년 3월 10일에 정기 운행에서 물러났으며,[10] 3월 12일에는 초청된 손님들을 위한 특별 기념 운행을 가졌다.[10]

2014년 3월 01-121호 차량 해체


2015년 2월, 01-136호와 01-636호 전동차는 규슈의 구마모토 전기 철도에 매각되었으며, 로 궤간이 변경되었다.[11] 이들은 구마모토 전기 철도 01계로 개조되어 팬터그래프, 새로운 대차, 전면 스커트를 추가한 후 2015년 3월부터 운행을 시작했다.[12] 2015 회계 연도에 01-135호와 01-635호 전동차 2량이 구마모토 전기 철도에 추가로 매각되었다.[13]

2016년 5월, 구마모토 전기 철도 01계로 운행중인 01-135와 01-635


차량 번호편성 번호보존 장소
01-1011도쿄도 나카노 차량기지
01-201
01-601
01-12929에도가와구 메트로 박물관 (운전실 부분만)
01-63030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 지바현 실험소



2013년에 영업 운전을 중단한 구 1편성(01-101, 01-201, 01-601)의 3량은 도쿄의 나카노 차량기지에서 훈련용으로 보존되어 있다.

01-129호차의 운전실 부분은 도쿄도 에도가와구에 있는 메트로 박물관 내에 보존되어 있다.

01-630호차는 2017년, 333m 길이의 연구 시험선에서 사용하기 위해 지바현에 있는 도쿄 대학 생산기술연구소 지바 실험소에 기증되었다.

3. 기술적 특징

1983년 도쿄 지하철은 한조몬 선 8000계에 도입된 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01계 전동차 시제차 1편성을 취역시켰다. 긴자선 차량의 소형화에 맞춰 장비 소형화를 위해 리니어 모터 구동, VVVF 인버터 제어, 분권 초퍼 제어 방식을 검토했다.[22][44] 이 중 리니어 모터 구동과 VVVF 인버터 제어는 비용 문제로 채택되지 않았고,[45] 기존 초퍼 제어의 개량형인 고주파 분권 초퍼 제어(4상한 초퍼 제어, 1C4M 제어 방식)가 일본 철도 차량 최초로 채용되었다.[22][44]

기존 20m 차량용으로 설계된 초퍼 장치와 달리, 01계 전동차의 초퍼 장치는 소형 긴자선 차량에 맞게 극한으로 소형화되었다.[30] 스위칭 소자로는 설계 당시 양산 단계에 막 진입한 대용량 GTO 사이리스터를 채택하여 주 회로 구성을 간소화하고,[46] 기존 초퍼 제어 장치 대비 중량과 공간을 약 20% 절감했다.[30]

시제차는 1량마다 미쓰비시 전기[47], 히타치, 도쿄 시바우라 전기(→도시바)의 제어 장치를 탑재했으며,[48][49] 제어 장치는 주 초퍼 장치(전기자 초퍼)와 계자 초퍼 두 종류로 구성되었다.

01계 전동차의 전기자 초퍼 제어


01계 전동차의 계자 초퍼 제어


대차는 게이한 전기 철도에서 1960년대 중반 이후 대량 채용되어 곡선 통과 성능이 우수하다고 평가받은 스미토모 금속 공업 FS-520(동력 대차), FS-020(부수 대차) 공기 용수철 대차를 신규 설계했다.[50] 기존 차량 대비 축거는 2,200mm에서 2,000mm로 단축되었고, 4상한 초퍼 제어에 의한 회생 제동 상용을 전제로 기초 제동을 양쪽 감싸기 답면식에서 편압 답면식으로 변경하여 곡선 통과 시 전향 성능 향상, 경량화, 차체 하부 의장 공간 확대를 꾀했다.[50]

01계 전동차에 사용된 FS520 대차


01계 전동차에 사용된 FS020 대차


주 전동기는 고주파 분권 초퍼 제어에 따라 직류 분권 타여자식 정류자 전동기(분권 전동기)를 채택했다. 영단 사내 형식은 MM-3A[51]이며, 정격값은 단자 전압 300V, 전류 440A, 출력 120kW, 회전수 1,600rpm이다.[52]

01계 전동차는 회생 브레이크와의 연동 및 시스템 간소화에 유리한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택했다.[57] 기존 긴자선 차량은 웨스팅하우스 에어 브레이크(WABCO)사의 M 삼동변을 사용한 AMM 자동 공기 브레이크, 혹은 전자변을 추가한 AMME 전자 자동 공기 브레이크를 사용했으나, 01계는 이를 개량한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택했다.[57] 1992년에 제조된 4차 차량(제32~36편성)부터는 보수성 향상을 위해 기초 제동 장치를 싱글 브레이크에서 유닛 브레이크로 변경했다.[57][28]

3. 1. 차체 및 디자인

알루미늄 합금제 차체로 길이는 16m, 너비는 2,550mm이며 3도어 차량이다. 차체 구조는 알루미늄 합금의 대형 압출 형재나 중공 형재를 사용하여, 이를 연속 미그 용접으로 조립하는 새로운 공법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품질 향상과 비용 절감을 꾀했다. 바닥판은 가로보를 생략하고, 중공 형재에 일체 성형된 커튼 레일 모양의 기기 걸이 홈을 만들어, 특수 볼트로 바닥 하부 기기를 매달았다.

외관은 차량 한계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지붕 어깨 부분을 터널 형상에 맞춰 직선으로 잘라내고, 선두차 전면도 직선으로 처리하여 전체적으로 직선적인 디자인을 강조했다.

측창 아래에는 긴자선의 라인 컬러인 오렌지색 띠와 함께 흑백의 가는 띠를 넣어 포인트를 주었다. 초기 검토 단계에서는 측창 전체에 오렌지색 필름을 붙이는 방안도 있었으나, 경쾌함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채택되지 않았다.

전면 형상은 좌우 비대칭이며, 비상구는 관통식(스윙식 플러그 도어)이다. 제3궤조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선로에 내려갈 경우 감전 위험이 있어 비상 계단은 설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2008년경부터 비상용 사다리가 운전실 내에 설치되었다. 전면 유리는 푸르스름한 열선 흡수 유리를 3분할하여 사용했지만, 창 사이의 기둥을 검게 칠해 일체감을 주었다. 창 상부에는 행선 표시기, 운행 번호 표시기와 차량 번호 표기를 배치했다. 행선 표시기는 전면에만 있고 측면에는 설치되지 않았다.

영단의 단장(S 마크)이 표기된 처면의 형식 표기(2002년경)


긴자선은 다른 노선과의 직통 운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영단 시대에는 차량 외부에 심볼 마크(단장, S 마크) 표시가 처면의 형식·차량 중량 표기부에만 있었다. (02계는 측면만) 그러나 도쿄 메트로 출범 시에는 심볼 마크인 '하트 M'이 정면과 측면에 부착되었다.

3. 2. 실내 설비

객실 내부는 베이지색 계열 무늬를 기본으로, 흰색 천장, 베이지색 측벽, 베이지색 바탕에 갈색 사선 줄무늬가 들어간 소매 칸막이 등 화장판을 사용했다.[27]

좌석은 6차 차량까지 1인당 440mm 폭의 롱 시트를 채택했다.[28] 바닥은 중앙을 베이지색, 바깥쪽을 갈색으로 구분하여, 좌석 승객이 다리를 뻗는 것을 방지하는 풋 라인 역할을 했다.[27] 측면 창문은 모두 개폐 가능한 1단 하강창이며,[22] 영업 구간 대부분이 지하 구간이므로 커튼은 설치되지 않았다.

객실 출입문은 실내 쪽도 화장판으로 마감했다. 문 유리는 기존 차량보다 아래쪽으로 더 큰 유리를 채용했다.[22] 도어 엔진은 저소음의 가모이 부착형을 채택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했다. 연결면에는 8000계와 마찬가지로 각 차량 끝에 관통문과 처마 창문을 설치했다.[29]

각 객실 문 위에는 노선도식 차내 안내 표시기와 도어 차임이 설치되었다.[30] 양산차부터는 안내 표시기 양쪽에 다음 역 개폐 방향을 예고하는 램프가 추가되었다.[31] (녹색 램프 점등, 이후 "이 문이 열립니다" 램프로 변경) 시제차는 안내 표시기 사양이 양산차와 달랐으나,[31] 다메이케산노역 개업 준비 시 양산차와 동일하게 갱신되었다. 역 넘버링 도입 후에는 역명 표기부에 역 번호 스티커가 부착되었다.

짐 선반은 스테인리스강 선을 격자형으로 스폿 용접한 새로운 디자인을 채택했다.[27] 손잡이는 삼각형이며, 초기에는 좌석 앞 선로 방향에만 설치했으나, 2차 차량부터 침목 방향으로 증설되었고, 이후 모든 차량의 출입문 상부 선로 방향에도 추가 설치되었다.[32]

이 외에도 차내 방송 장치에 자동 음량 조절 기능을 설치하고, 노선도식 차내 안내 표시기, 도어 차임, 차외 스피커 등 승객 편의를 위한 새로운 기기를 채택했다.[27]

2007년 여름경부터 비상 통보 장치, 비상 코크 안내 표시, 차내 호차 표시, 소화기 표시 스티커가 10000계와 유사한 형광 페인트칠로 변경되었다.

무전구간 주행 시 실내등 조도는 이전의 1500N(N2 포함)형보다 개선되어 다소 어두워지지만 문제없는 수준이 되었다.[33] 무전구간 통과 시 실내등 조도 저하 문제는 후속 차량인 1000계에서 완전히 해결되었다.

3. 3. 승무원실

승무원실 내장은 녹색, 주간 제어기 계기반은 남색 데스크 타입이다. 주간 제어기는 전후로 슬라이드하는 가로축 레버의 투 핸들 방식이다.[34][30] 계기반 중앙에는 아날로그 계기식 속도계 (90 km/h 표시)가 있고, 좌측 끝에는 고장 표시기[35]가 있다.

승무원실과 객실 칸막이에는 앞면 창과 같은 비율로 창문이 3개 있으며, 차광막은 모든 칸막이 창에 설치되어 있다. 원칙적으로 큰 창과 승무원실 칸막이 문 창이 사용된다. 칸막이 문 창은 개폐 가능한 창문으로, 유리에는 오렌지색 착색 유리를 사용하며, 객실에서 봤을 때 1번 오른쪽 창은 투명 유리를 사용한다. 칸막이 문에 오렌지색 착색 유리를 사용한 것은 운전사가 차광막을 사용하지 않아도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차장이 안내 방송을 할 때 승객의 시선을 신경 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30]

01계 차량의 운전대
사진은 제38편성의 것이지만,
각 편성 모두 거의 동일하다


승무원실 칸막이 부분
칸막이 문의 유리는
오렌지색 착색 유리

3. 4. 주행 장치

한조몬 선의 8000계까지의 실적에 더욱 새로운 기술을 도입, 1983년에 시작차 1편성이 취역하였다. 긴자선용 차량은 소형이기 때문에, 장비 소형화를 위해 리니어 모터 구동, VVVF 인버터 제어, 분권 초퍼 제어의 3가지를 검토했다.[22][44] 이 중 리니어 모터 구동과 VVVF 인버터 제어는 비용 문제로 포기하고[45], 기존 초퍼 제어의 개량형인 고주파 분권 초퍼 제어(4상한 초퍼 제어, 1C4M 제어 방식)를 일본 철도 차량 최초로 채용했다.[22][44]

이 초퍼 장치는 20m 차용으로 설계되었던 기존 초퍼 장치와 달리, 소형의 긴자선용 차량에 맞게 극한까지 소형화되었다.[30] 스위칭 소자에는 설계 당시 양산 단계에 도달한 지 얼마 안 된 대용량 GTO 사이리스터를 채용하여 주 회로 구성의 간소화를 꾀했으며[46], 기존 초퍼 제어 장치에 비해 중량과 공간을 약 20% 줄였다.[30]

시제차에서는 1량마다 미쓰비시 전기[47], 히타치, 도쿄 시바우라 전기(→도시바) 제어 장치를 탑재했다.[48][49] 제어 장치는 주 초퍼 장치(전기자 초퍼)와 계자 초퍼의 2종류로 구성된다.

대차는 게이한 전기 철도에서 1960년대 중반 이후 대량 채용되어 곡선 통과 성능이 양호하다고 평가받았던, 축상 지지 장치가 측량 완충 고무식인 스미토모 금속 공업 FS-520(동력 대차), FS-020(부수 대차) 공기 용수철 대차가 신규 설계되었다.[50] 기존 차량과 비교해 축거는 2,200mm에서 2,000mm로 단축되었고, 4상한 초퍼 제어에 의한 회생 제동 상용을 전제로 기초 제동을 양쪽 감싸기 답면식에서 편압 답면식으로 변경하여, 곡선 통과 시의 전향 성능 향상과 경량화, 차체 하부 의장 공간 확대를 도모했다.[50]

주 전동기는 고주파 분권 초퍼 제어이므로, 직류 분권 타여자식 정류자 전동기(분권 전동기)가 채용되었다. 영단의 사내 형식은 MM-3A[51]이며, 정격값은 단자 전압 300V, 전류 440A, 출력 120kW, 회전수 1,600rpm이다.[52]

3. 5. 제동 장치

01계 전동차는 응답성이 좋고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회생 브레이크와의 연동이 가능한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택했다.[57]

긴자 선의 기존 차량들은 웨스팅하우스 에어 브레이크(WABCO)사의 M 삼동변을 사용하는 AMM 자동 공기 브레이크 방식을 사용했으며, 이후 전자변을 추가한 AMME 전자 자동 공기 브레이크 방식으로 개량되었다. 01계 전동차는 이러한 방식을 개량하여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택했다.[57]

1992년에 제조된 4차 차량(제32~36편성)부터는 보수성 향상을 위해 기초 제동 장치를 싱글 브레이크에서 유닛 브레이크로 변경했다.[57][28]

4. 차량 형태 분류

볼스터 부착 대차싱글 브레이크120kW자막식비 버킷 타입없음없음1차차1984년 ~ 1987년02 ~ 23고주파 분권 초퍼완충 고무식
볼스터 부착 대차싱글 브레이크120kW자막식비 버킷 타입없음없음2차차1990년24 ~ 27고주파 분권 초퍼완충 고무식
볼스터 부착 대차싱글 브레이크120kW자막식버킷 타입없음있음3차차1991년28 ~ 31고주파 분권 초퍼완충 고무식
볼스터 부착 대차싱글 브레이크120kW자막식버킷 타입없음있음4차차1992년32 ~ 36고주파 분권 초퍼완충 고무식
볼스터 부착 대차유닛 브레이크120kWLED식버킷 타입있음있음5차차1993년37IGBT 소자
VVVF 인버터모노 링크식
볼스터리스 대차유닛 브레이크120kWLED식버킷 타입있음있음6차차1997년38IGBT 소자
VVVF 인버터모노 링크식
볼스터리스 대차유닛 브레이크120kWLED식버킷 타입있음있음



각 차종별 세부적인 특징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4. 1. 시제차 (1983년)

1983년 5월 중순에 가와사키 중공업에서 완성되어 반입된 제01편성이 해당한다. 입적은 9월, 영업 운전은 1983년(쇼와 58년) 12월 31일의 연말 심야 운행부터이다[41]

정확히는 1984년(쇼와 59년) 1월 1일 0시 15분 출발의 우에노역아사쿠사역 행 열차부터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42]。하지만 영업 운전 며칠 전부터 회생 제동 시 계자 초퍼용 GTO 사이리스터가 잇따라 고장나는 문제가 발생했다[44]。이 때문에 영업 운전에서는 회생 제동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했으며, 열차에는 제조사 기술자가 탑승하여 수송 장애에 대비했다[44]。다행히 문제 없이 넘길 수 있었고, 이 고장은 특정 제조사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 오류가 원인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44]

당초 영업 운전은 양산차가 등장하는 1984년 가을 무렵으로 예정되어 있었다[43]。본 편성에서는 새로운 방식의 제어 장치를 채용했기 때문에, 제어 회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한 궤도 회로의 유도 장애 등의 확인 및 대책이 필요했고, 1983년(쇼와 58년) 6월부터 12월까지 각종 성능 시험을 실시했다. 그러나 낮에 긴자선에서 시험 운전을 했을 때, 이를 본 승객들로부터 "언제부터 탈 수 있나요"와 같은 문의가 영단에 많이 접수되었기 때문에, 시기를 대폭 앞당기게 되었다[41]

긴자선용 차량은 소형이기 때문에, 제어 방식으로는 장비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는 리니어 모터 구동, VVVF 인버터 제어, 분권 초퍼 제어의 세 가지를 검토했다[22][44]。앞의 두 가지는 비용 문제 등으로 포기하고[45], 기존 초퍼 제어의 개량형인 고주파 분권 초퍼 제어(4상한 초퍼 제어, 1C4M 제어 방식)를 일본 철도 차량으로 처음 채용했다[22][44]

이 초퍼 장치는 종래 영단에서 설계 제작했던 초퍼 장치가 20m 차용이어서, 소형인 긴자선용 차량에는 케이스가 너무 커 실장이 곤란했기 때문에, 해당 노선용으로 극한까지 소형화되었다[30]스위칭 소자에는 설계 당시 양산 단계에 도달한 지 얼마 안 된 대용량 GTO 사이리스터를 채용하여 주 회로 구성 간소화가 가능해졌고[46], 기존 초퍼 제어 장치에 비해 중량 및 공간을 약 20% (영단 지하철 자료) 소형 경량화했다[30]

시제차에는 1량마다 미쓰비시 전기[47], 히타치 제작소, 도쿄 시바우라 전기(→도시바)제 제어 장치를 탑재했다[48][49]。제어 장치는 주 초퍼 장치(전기자 초퍼)와 계자 초퍼의 두 종류로 구성된다.

대차는 게이한 전기 철도에서 1960년대 중반 이후 대량 채용되어 곡선 통과 성능이 양호하다고 평가받았던, 축상 지지 장치가 측량 완충 고무식인 스미토모 금속 공업 FS-520(동력 대차), FS-020(부수 대차) 공기 용수철 대차를 신규 설계했다[50]。기존 차량과 비교해 축거는 2,200mm에서 2,000mm로 단축했고, 4상한 초퍼 제어에 의한 회생 제동 상용을 전제로 기초 제동을 양쪽 감싸기 답면식에서 편압 답면식으로 변경하여, 곡선 통과 시 전향 성능 향상과 경량화, 차체 하부 의장 공간 확대를 도모했다[50]

주 전동기는 고주파 분권 초퍼 제어이므로, 직류 분권 타여자식 정류자 전동기(분권 전동기)가 채용되었다. 영단 사내 형식은 MM-3A[51]이며, 정격값은 단자 전압 300V, 전류 440A, 출력 120kW, 회전수 1,600rpm이다[52]

긴자선은 개업 이후 마루노우치선용 차량용 기기 시험차였던 1400형에서 일시적으로 SMEE전기 직통 브레이크를 채용했던 것을 제외하고는, 재래차 각 형식과 혼용 및 혼결 필요성 등에서, 마루노우치선용과 마찬가지로 WN 드라이브를 채용한 차량을 포함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웨스팅하우스 에어 브레이크사(WABCO) 개발 M 삼동변에 의한 AMM자동 공기 브레이크, 또는 여기에 전자 급배기변을 부가하여 6량 편성화를 가능하게 한 AMME 전자 자동 공기 브레이크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본 계열에서는 장래적인 재래차 전수 교체에 의한 ATS 등 보안 시스템을 포함한 긴자선 시스템 전체 쇄신을 염두에 두고, 재래차와 혼결을 상정하지 않는 계획이 되었으므로, 응답성이 우수하고 시스템 간소화가 가능하며, 초퍼 제어기에 의한 회생 브레이크와 동기 및 연계 동작에 유리한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가 채용되었다. 또한 운전대 브레이크 조작도 제어기와 일체화된 2축 횡축 마스콘에 통합되어 조작 용이성이 실현되었다.

'''주행 기기류'''

차내 화장판은 무광 마감, 좌석 모켓은 8000계 완성 당시와 마찬가지인 와인 레드로 구분 무늬가 들어간 것을, 실버 시트(당시)는 회색 단색을 각각 채용했다[27]。측창틀은 알루미늄제이다.

이 편성의 차내 안내 표시기는 디자인 차이로 3종류가 있으며, 다음 역 개폐 예고등은 설치되지 않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메이케산노역 개업 시 양산 타입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그 때문에 도어 차임도 제02편성 이후와는 다른 음색이었다.

 시험 제작차1차차2차차3차차4차차5차차6차차
제조 연도1983년도1984 - 87년도1990년도1991년도1992년도1993년도1997년도
편성 번호0102 - 2324 - 2728 - 3132 - 363738
제어 방식고주파 분권 초퍼IGBT 소자
VVVF 인버터
대차완충 고무식
볼스터 부착 대차
모노 링크식
볼스터리스 대차
기초 브레이크 장치싱글 브레이크유닛 브레이크
주 전동기 출력120 kW
행선 표시기자막식LED식
좌석 형태비 버킷 타입버킷 타입
휠체어 공간없음있음
난방 장치없음있음


4. 2. 1차차 (1984년 ~ 1987년)

4. 3. 2·3차차 (1990년, 1991년)

4. 4. 4차차 (1992년)

4. 5. 5·6차차 (1993년, 1997년)


01계 제38편성
(VVVF 인버터 제어, 1997년 (헤이세이 9년) 도메이케산노역 개업에 따라 낙성)


 5차차6차차
제조 연도1993년도1997년도
편성 번호3738
제어 방식IGBT 소자
VVVF 인버터
대차모노 링크식
볼스터리스 대차
기초 브레이크 장치유닛 브레이크
주 전동기 출력120 kW
행선 표시기LED식
좌석 형태버킷 타입
휠체어 공간있음
난방 장치있음

5. 운용 및 편성

01계는 긴자선 전 구간에서 운행된다. 1983년 시제차 1편성(6량)이 취역한 후, 1984년부터 1997년까지 총 38개 편성(228량)이 제작되었다.[21] 38개 편성 모두 우에노 검차구에 배치되어 있으며, 최대 운용 본수는 35편성이고 3편성은 예비 편성이다.

차량 번호는 "0x 계열" 표기를 사용하여, 01-1xx부터 01-6xx까지 6자리 숫자로 구성된다. 처음 두 자리 "01"은 계열을, 나머지 세 자리는 편성 내 순서(백의 자리)와 편성 번호(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를 나타낸다.

MT비는 3M3T이다. 각 전동차(M)에는 제어 장치, 제어차(CT)에는 15 kVA 출력의 전동 발전기(제37·38편성은 40 kVA 출력 정지형 인버터(SIV))·공기 압축기(CP)·축전지가 탑재되어 있다. 냉방 전원용 110 kVA 출력 SIV는 부수차(T)에 탑재되어 있다.[22] 부수차 01-300형은 장래 차량 성능 향상을 위해 전동차로 개조할 것을 고려했었다.[22]

01계의 중요부 검사·전반 검사는 마루노우치선 나카노후지미초역 부근의 나카노 공장에서 실시된다. 따라서 나카노 공장으로의 입출고 회송 열차가 부정기적으로 운행된다.

과거에는 이벤트 열차 등의 임시 열차로 마루노우치선(주로 오기쿠보 - 아카사카미쓰케 간)을 주행한 적이 있으나, 홈도어 설치 후에는 문 위치 관계상 영업 열차로서의 입선은 불가능하다. 과거 이벤트 열차로는 설날 심야 운전 시 운행된 "하쓰모데 신춘 라이너"와 그 후속 열차인 "신춘 라이너 아사쿠사호", "신춘 라이너 오기쿠보호", 스미다강 불꽃 축제 개최일에 운행된 "불꽃 라이너" 등이 있다.

2010년 5월 2일에는 영화 『가면 라이더 × 가면 라이더 × 가면 라이더 THE MOVIE 초·덴오 트리로지』 개봉 기념 이벤트 열차 "메트로 덴 라이너"가 우에노 - 아카사카미쓰케 - 나카노후지미초 간에서 운행되었으며, 제2편성이 사용되었다.

특별 도색 열차 운행 기록은 다음과 같다.


쿠마몬 랩핑이 적용된 제30편성 (2017년 2월 시부야역 - 오모테산도역 간)

5. 1. 편성표

도쿄 지하철 01계 전동차는 6량 편성(3M3T)으로, 시부야 방면 1호차와 아사쿠사 방면 6호차를 포함하여 3량의 전동차(M)와 3량의 부수차(T)로 구성되어 있다.[8]

차량 번호는 01-1xx부터 01-6xx까지 6자리 숫자로 구성되며, 각 차량에는 아래 표와 같이 주요 장치들이 탑재되어 있다.

colspan="3"|
style="vertical-align:top;"|style="vertical-align:top;"|style="vertical-align:top;"|



colspan="2"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ccc;"|colspan="6"|차체
제작사
준공 시기
1호차2호차3호차4호차5호차6호차
01-
100형
(CT1)
01-
200형
(M)
01-
300형
(T)
01-
400형
(M')
01-
500형
(M)
01-
600형
(CT2)
탑재 기기MG
CP
BT
CHPSIVCHPCHPMG
CP
BT
시제차1983년도 제작01-10101-20101-30101-40101-50101-601가와사키 중공업1983년 9월 20일
1차차1984년도 제작01-102
01-103
01-104
01-105
01-106
01-202
01-203
01-204
01-205
01-206
01-302
01-303
01-304
01-305
01-306
01-402
01-403
01-404
01-405
01-406
01-502
01-503
01-504
01-505
01-505
01-602
01-603
01-604
01-605
01-606
가와사키 중공업
가와사키 중공업
일본차량제조
도큐 차량제조
긴키 차량
1984년 11월
1984년 12월
1984년 12월
1985년 3월
1985년 3월
1985년도 제작01-107
01-108
01-109
01-110
01-111
01-112
01-207
01-208
01-209
01-210
01-211
01-212
01-307
01-308
01-309
01-310
01-311
01-312
01-407
01-408
01-409
01-410
01-411
01-412
01-507
01-508
01-509
01-510
01-511
01-512
01-607
01-608
01-609
01-610
01-611
01-612
긴키 차량
도큐 차량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가와사키 중공업
가와사키 중공업
가와사키 중공업
1985년 7월
1985년 8월
1985년 10월
1985년 11월
1986년 1월
1986년 3월
1986년도 제작01-113
01-114
01-115
01-116
01-117
01-118
01-213
01-214
01-215
01-216
01-217
01-218
01-313
01-314
01-315
01-316
01-317
01-318
01-413
01-414
01-415
01-416
01-417
01-418
01-513
01-514
01-515
01-516
01-517
01-518
01-613
01-614
01-615
01-616
01-617
01-618
일본차량제조
일본차량제조
일본차량제조
일본차량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가와사키 중공업
1986년 7월 1일
1986년 8월 21일
1986년 9월 25일
1986년 12월
1987년 2월
1987년 2월
1987년도 제작01-119
01-120
01-121
01-122
01-123
01-219
01-220
01-221
01-222
01-223
01-319
01-320
01-321
01-322
01-323
01-419
01-420
01-421
01-422
01-423
01-519
01-520
01-521
01-522
01-523
01-619
01-620
01-621
01-622
01-623
긴키 차량
도큐 차량제조
일본차량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가와사키 중공업
1987년 7월
1987년 8월
1987년 11월
1987년 12월
1987년 12월
2차차1990년도 제작01-124
01-125
01-126
01-127
01-224
01-225
01-226
01-227
01-324
01-325
01-326
01-327
01-424
01-425
01-426
01-427
01-524
01-525
01-526
01-527
01-624
01-625
01-626
01-627
일본차량제조1990년 12월
1991년 1월
1991년 2월
1991년 2월
3차차1991년도 제작01-128
01-129
01-130
01-131
01-228
01-229
01-230
01-231
01-328
01-329
01-330
01-331
01-428
01-429
01-430
01-431
01-528
01-529
01-530
01-531
01-628
01-629
01-630
01-631
일본차량제조1991년 6월 10일
1991년 6월 21일
1991년 7월 2일
1991년 7월 15일
4차차1992년도 제작01-132
01-133
01-134
01-135
01-136
01-232
01-233
01-234
01-235
01-236
01-332
01-333
01-334
01-335
01-336
01-432
01-433
01-434
01-435
01-436
01-532
01-533
01-534
01-535
01-536
01-632
01-633
01-634
01-635
01-636
일본차량제조1992년 4월 27일
1992년 5월 14일
1992년 5월 25일
1992년 6월 3일
1992년 6월 12일
colspan="2"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ccc;"|colspan="6"|차체
제작사
준공 시기
1호차2호차3호차4호차5호차6호차
01-
100형
(CT1)
01-
200형
(M)
01-
300형
(T)
01-
400형
(M')
01-
500형
(M)
01-
600형
(CT2)
탑재 기기SIV2
CP
BT
VVVFSIV1VVVFVVVFSIV2
CP
BT
5차차1993년도 제작01-13701-23701-33701-43701-53701-637일본차량제조1993년 7월 20일
6차차1997년도 제작01-13801-23801-33801-43801-53801-638긴키 차량1997년 8월 28일



5자리 형식 번호에서 처음 두 자리 "01"은 계열을, 나머지 세 자리는 편성 내 순서(백의 자리)와 편성 번호(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를 나타낸다.

MT비는 3M3T이다. 각 전동차(M)에는 제어 장치가, 제어차 (CT)에는 15 kVA 출력의 전동 발전기(37·38편성은 40 kVA 출력 정지형 인버터 (SIV))·공기 압축기 (CP)·축전지가 탑재되어 있다. 냉방 전원용 110 kVA 출력 SIV는 부수차(T)에 탑재되어 있다. 부수차 01-300형은 장래 차량 성능 향상에 대비해 전동차로의 개조를 고려했었다.[22]

38개 편성 모두 우에노 검차구에 배치되어 있으며, 최대 운용 본수는 35편성, 예비 편성은 3편성이다.

5. 2. 운용

01계는 긴자선 전 구간에서 운행되며, 우에노 검차구에 배치되어 있다. 최대 운용 본수는 35편성이고, 3편성은 예비 편성이다.[22]

MT비는 3M3T이다. 각 전동차(M)에는 제어 장치, 제어차(CT)에는 15 kVA 출력의 전동 발전기(제37·38편성은 40 kVA 출력의 정지형 인버터(SIV))·공기 압축기(CP)·축전지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냉방 전원으로서 부수차(T)에는 110 kVA 출력의 SIV가 탑재되어 있다.[22]

01계의 중요부 검사·전반 검사는 마루노우치선 나카노후지미초역 부근의 나카노 공장에서 실시된다. 따라서 나카노 공장으로의 입출고 회송 열차가 부정기적으로 운행된다.

과거에는 이벤트 열차 등의 임시 열차로 마루노우치선(주로 오기쿠보 - 아카사카미쓰케 간)을 주행한 적이 있다. 그러나 마루노우치선 각 역에 홈도어가 설치된 후에는 문 위치 관계상 영업 열차로서의 입선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과거 이벤트 열차로는 설날 심야 운전 시 운행된 "하쓰모데 신춘 라이너"와 그 후속 열차인 "신춘 라이너 아사쿠사호", "신춘 라이너 오기쿠보호", 스미다강 불꽃 축제 개최일에 운행된 "불꽃 라이너" 등이 있다.

2010년 5월 2일에는 영화 『가면 라이더 × 가면 라이더 × 가면 라이더 THE MOVIE 초·덴오 트리로지』 개봉 기념 이벤트 열차 "메트로 덴 라이너"가 우에노 - 아카사카미쓰케 - 나카노후지미초 간에서 운행되었으며, 제2편성이 사용되었다.

5. 3. 특별 도색



참조

[1] 간행물 運転協会誌 日本鉄道運転協会 2002-06-01
[2] 잡지 鉄道ピクトリアル 1995-07-01
[3] 웹사이트 1985年 ブルーリボン・ローレル賞選定車両 http://www.jrc.gr.jp[...] Japan Railfan Club
[4] 잡지 鉄道ピクトリアル 電気車研究会 2016-12-01
[5] 서적 60年のあゆみ 帝都高速度交通営団
[6] 웹사이트 東京メトロ01系第38編成が搬出される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3-08-17
[7] 웹사이트 SiC適用鉄道車両用インバーターの製品化 http://www.mitsubish[...] Mitsubishi Electric 2011-10-03
[8] 서적 私鉄車両編成表 2016 Kotsu Shimbunsha 2016-07-25
[9] 뉴스 銀座線:12年から新型車両 開業時のレモンイエロー復活 http://mainichi.jp/s[...] The Mainichi Newspapers 2011-02-17
[10] 뉴스 東京を走り33年…地下鉄銀座線01系が営業運転終了 12日ラストラン http://www.iza.ne.jp[...] Sankei Digital Inc. 2017-03-10
[11] 웹사이트 もと東京メトロ01系が熊本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5-02-24
[12] 잡지 熊本電気鉄道01形 Kōtsū Shimbun 2015-06-01
[13] 웹사이트 東京メトロ銀座線と熊本電鉄で01系車両譲渡記念列車を運行します http://www.tokyometr[...] Tokyo Metro & Kumamoto Electric Railway 2015-05-21
[14] 잡지 非公開の保存車両に注目 Kotsu Shimbun 2017-03-01
[15] 웹사이트 【東京地下鉄】01系が地下鉄博物館で展示を開始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Co., Ltd. 2016-07-16
[16] 뉴스 東京メトロ、銀座線01系01-630号車を東京大学に譲渡 - 研究用車両で活用へ http://news.mynavi.j[...] Mynavi Corporation 2017-05-29
[17] 문서 試作車・1次車
[18] 문서 1 - 5次車
[19] 문서 1次車
[20] 문서 1・6次車
[21] 서적 60年のあゆみ 帝都高速度交通営団
[22] 잡지 営団銀座線に試作車01系登場 交友社 1983-08-01
[23] 간행물 運転協会誌 日本鉄道運転協会 2002-06-01
[24] 서적 60年のあゆみ 帝都高速度交通営団
[25] 문서 グローリア賞に関しては02系・03系・05系も同時受賞。
[26] 문서 1981年に製造された山陽電気鉄道3050系4次車で実績のある工法である。
[27] 잡지 営団銀座線に試作車01系登場 交友社 1983-08-01
[28] 잡지 鉄道ピクトリアル 電気車研究会 2016-12-01
[29] 문서 ただし、冷房車では冷房用配電盤スペースとするために北側の妻窓が埋め込み・省略されている。
[30] 잡지 営団銀座線に試作車01系登場 交友社 1983-08-01
[31] 잡지 営団地下鉄新車の話題 交友社 1985-05-01
[32] 문서 第38編成は落成時より設置済みである。
[33] 문서 新・地下鉄ものがたり
[34] 문서 マスコンハンドルは力行1 - 4ノッチ・ブレーキ操作器は常用ブレーキ1 - 7段・非常
[35] 문서 過電流・過電圧・ブレーキ故障・戸閉故障など8点の故障を表示する。
[36] 문서 駅間のトンネル部を冷房化し、車両の窓を開けることでそこから冷気を取り入れる冷房方式。
[37] 문서 240 mm厚の車載用冷房機としては、日本初のミニ地下鉄として建設された大阪市交通局長堀鶴見緑地線用の[[大阪市交通局70系電車|70系]]のために1989年に設計された三菱電機CU-741([[冷凍能力]]12,500 kcal/h)が先行して実用化されていた。
[38] 문서 最初の冷房改造車の第16編成のみ全ての通風口を塞いでいるが、それ以降の編成では工数削減のために一部を残している。また、第15編成などでは全て残されている。
[39] 문서 新製冷房車は屋根肩部が平滑に仕上がっている。
[40] 웹사이트 まもなく消える銀座線の「非暖房車」 http://response.jp/a[...] 2014-02-01
[41] 서적 私鉄車両めぐり152『帝都高速度交通営団』 1995-07
[42]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銀座線01系試作車 鉄道図書刊行会 1984-10
[43] 간행물 営団銀座線に試作車01系登場 1983-08
[44] 서적 電機子チョッパ制御の開発と車両制御技術 鉄道図書刊行会 1999-03
[45] 문서 リニアモーター方式は空隙による電気損失が大きいこと、検査のため回送を行う丸ノ内線にもリアクションプレートの設置が必要なため。
[46] 간행물 鉄道車両へのパワーエレクトロニクスの応用 https://www.hitachih[...] 日立製作所 1986-03
[47] 간행물 車両用チョッパ制御装置 https://www.giho.mit[...] 三菱電機 1984-01
[48] 서적 営団における電子制御車の移り変わり 鉄道図書刊行会 1995-07
[49] 문서 営団地下鉄の制御システムは三菱電機、日立製作所(6000系以降)の2社が担当してきたが、本形式よりGTOサイリスタで実績のある東京芝浦電気(→東芝)が加わる(鉄道図書刊行会『鉄道ピクトリアル』1999年3月号)。
[50] 문서 60年のあゆみ 帝都高速度交通営団
[51] 문서 三菱電機MB-3290-A、東芝SE-639、[[東洋電機製造]]TDK-87010-Aの総称。
[52] 서적 復刻版 私鉄の車両22 帝都高速度交通営団 ネコ・パブリッシング
[53] 간행물 車両用チョッパ制御装置 https://www.giho.mit[...] 三菱電機 1985-01
[54] 간행물 【特集】東京地下鉄 2016-12
[55] 간행물 営団地下鉄銀座線信号保安システム 京三製作所 1994
[56] 문서 2号車と5号車の南側。
[57] 문서 形式名はFS520,FS020のまま。
[58]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01系増備車 鉄道図書刊行会 1994-10
[59] 간행물 IGBT応用車両用3レベルVVVFインバータ制御装置 https://www.giho.mit[...] 三菱電機 1993-11
[60] 웹사이트 SS130A SS030A 帝都高速度交通営団01系 https://web.archive.[...]
[61] 간행물 補助電源装置 東洋電機製造 1994-07
[62] 간행물 「東京メトロ銀座線車両向けPMSM主回路システム」 https://www.global.t[...] 2008-06
[63] 간행물 「低騒音と省エネを実現した東京メトロ丸ノ内線車両用のPMSM主回路システム」 https://www.global.t[...] 2009-09
[64] 보도자료 環境にやさしい地下鉄を目指して 銀座線でLED照明搭載車両が走ります。35%以上の省エネルギー化を見込んでい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1-01-24
[65] 보도자료 省エネ、小型・軽量な環境配慮型車両推進制御システム SiC適用鉄道車両用インバーターの製品化 http://www.mitsubish[...] 三菱電機 2011-10-03
[66] 보도자료 世界初、鉄道車両の営業運転で省エネを実証「SiC適用鉄道車両用主回路システム」搭載車両での実証結果のお知らせ http://www.mitsubish[...] 三菱電機 2012-09-27
[67] 문서 鉄道ピクトリアル2016年12月臨時増刊号記事
[68] 웹사이트 銀座線に「70年記念列車」登場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69] 보도자료 人にやさしい、より親しまれる地下鉄を目指して「70年記念列車」登場 未体験ゾーンの運転にご招待! 『地下鉄走って70年』記念イベント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1997-09-24
[70]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社]] 1998-03
[71] 간행물 熊本県の復興を支援します! 銀座線「くまモンラッピング電車」期間限定で運行! 2017年1月1日(日・祝)〜2月24日(金)まで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熊本県東京事務所 2016-12-27
[72] 문서 日本鉄道車両機械技術協会「R&m」2010年9月号「千代田線16000系車両の登場にあたって」
[73] 서적 〜その後の東京メトロ・東武・西武の話題〜 交友社 2009-06-01
[74] 서적 鉄道ピクトリアル 鉄道図書刊行会 2012-12-01
[75] 서적 東京メトロ フレッシュアップ! 交友社 2015-10-01
[76] 뉴스 新型だけど「旧型」?…東京メトロ、銀座線「特別仕様車」公開 http://response.jp/a[...] Response 2017-01-11
[77] 서적 鉄道ピクトリアル 鉄道図書刊行会 2011-10-01
[78] 간행물 ホームページで運行ダイヤをお知らせいたします 銀座線新型車両1000系いよいよデビュー 平成24年4月11日(水)記念ヘッドマークを掲出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2012-03-26
[79] 간행물 私鉄車両のうごき 交通新聞社 2013-10-01
[80] 간행물 銀座線01系が熊本へ移籍します 東京メトロ銀座線と熊本電鉄で01系車両譲渡記念列車を運行します 2015年5月23日(土)から6月7日(日)まで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熊本電気鉄道 2015-05-18
[81] 간행물 銀座線01系車両が引退します! 2017年3月10日(金)に営業運転終了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7-01-27
[82] 간행물 銀座線01系車両(01-630号車)を東京大学に譲渡しました 東京大学生産技術研究所において研究用車両として活躍され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7-05-15
[83] 간행물 東京大学 生産技術研究所 附属千葉実験所 ITS R&R 実験フィールド 千葉試験線2.0で活用する 新たな研究用車両の導入について http://www.nozomi.ii[...] 東京大学生産技術研究所次世代モビリティ研究センター 2017-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