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소포타미아 미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소포타미아 미술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발생한 미술 양식으로, 선사 시대부터 역사 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기와 문화를 아우른다. 선사 시대에는 조각과 거석 유적 등이 나타났으며, 신석기 시대에는 토기 제작과 더불어 할라프, 하수나, 사마라, 우바이드 문화 등에서 독특한 미술 양식이 발전했다. 역사 시대에는 수메르, 아카드, 신 수메르,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신 바빌로니아 문명 등에서 건축, 조각,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메소포타미아 미술은 지리적 환경과 다양한 민족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특징을 가지며, 조각에서는 인물의 특징을 강조하고, 공예에서는 금속 세공 기술을 활용한 정교한 작품을 선보였다. 특히 아시리아 미술은 웅장한 조형물과 부조를 통해 제국의 위용을 과시했으며, 이러한 메소포타미아 미술은 주변 지역과 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소포타미아 - 로마 제국
    로마 제국은 기원전 27년부터 서로마와 동로마 제국의 멸망까지 이어진 고대 로마의 제국 시대로, 팍스 로마나 시대를 거쳐 다민족 국가로 성장했으나 분열과 멸망을 겪었으며, 법, 군사, 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메소포타미아 - 마니교
    마니교는 3세기경 마니가 창시한 종교로, 빛과 어둠의 이원론적 우주관, 금욕주의, 종말론적 세계관을 특징으로 하며 여러 종교 세력의 탄압으로 쇠퇴했으나 그 영향이 중세 유럽과 동아시아까지 미쳤고, 현재는 대부분 소실된 경전의 파편과 번역본만 남아 있다.
메소포타미아 미술
메소포타미아 미술
일반 정보
구데아
라가시의 왕자 구데아의 섬록암 조각상. 기원전 2120년경 (신수메르 시대). 높이: 46 cm, 너비: 33 cm, 깊이: 22.5 cm. 이라크 전역에서 구데아의 수많은 초상 조각상이 발견됨.
역사적 배경
위치메소포타미아
시대기원전 4천년기 ~ 기원전 6세기
문화수메르
아카드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특징
재료
설화 석고
구리
청동

라피스 라줄리
상아
주제

동물
신화
전쟁
일상 생활
주요 장르
조각원통형 인장
신상
왕의 초상
부조
건축지구라트
궁전
신전
회화벽화 (주로 장식용)
기타금속 공예
도자기
보석 세공
대표 유물
조각구데아 조각상
함무라비 법전
람의 뿔을 잡은 숫양
나람신의 승전비
건축우르의 지구라트
바빌론의 이슈타르 문
영향
후대 미술고대 이집트 미술
고대 그리스 미술
페르시아 미술

2. 선사 시대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 고지대는 네안데르탈인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샤니다르 동굴 (65,000–35,000년 전) 유적이 있지만, 이 시기의 예술 작품은 알려진 바 없다.[7][8]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예술 작품은 상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신석기 시대 말기, 무문토기 신석기 A 시대 (기원전 9,500–8,000년)에 단순한 인간과 동물의 묘사, 그리고 거석 유적과 함께 나타난다. 이는 레반트 지역에서 더 발전된 시기를 잇는 것으로, 하요님 동굴에서는 말과 같은 동물의 조각이 구석기 시대 초기 (40,000년에서 18,500년 전 사이)부터 알려져 있다.[9][10][11][12]

주요 선사 시대 유적지 비옥한 초승달 지대 (기원전 7500년경). 메소포타미아 북부와 북서부는 이미 인간이 정착했지만, 강수량이 부족한 나머지 지역은 그렇지 않았다.


선사 시대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기후는 이집트인더스 문명보다 더 시원했다.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계곡은 오늘날의 사막과 매우 달랐으며, 고지대에는 초원과 사바나가 섞인 숲이 있었고, 염소, 멧돼지, 사슴, 여우가 풍부했다. 농업의 발명 이후, 농부들은 계곡에서 일했지만, 공동체는 더 쉽게 요새화할 수 있는 언덕에 살았다. 중국 및 인더스 문명과 달리, 메소포타미아 마을은 곡물 경작지와 아나톨리아 산맥의 금, 구리 광산을 향하는 두 가지 경제적 방향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은 메소포타미아 문화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했으며, 이는 장점과 어려움을 동시에 가져왔다.

2. 1. 무문토기 신석기 시대 (기원전 9000년 ~ 기원전 7000년)

메소포타미아 고지대는 네안데르탈인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샤니다르 동굴(65,000–35,000년 전)과 같은 유적이 있지만, 이 시기의 예술 작품은 알려진 바 없다.[7][8] 메소포타미아 최초의 예술 작품은 상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신석기 시대 말기, 무문토기 신석기 A 시대에 나타나는데, 단순한 인간과 동물의 묘사, 그리고 거석 유적(기원전 9,500–8,000년) 등이 그 예시이다. 이는 레반트 지역에서 더 발전된 시기를 잇는 것으로, 하요님 동굴에서는 말과 같은 동물의 조각이 구석기 시대 초기로부터 알려져 있다.[9][10][11][12]

선사 시대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기후는 이집트인더스 문명보다 더 시원했다.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계곡은 오늘날의 사막과는 매우 달랐으며, 고지대에는 초원과 사바나가 섞인 숲이 있었고, 염소, 멧돼지, 사슴, 여우가 풍부했다. 농업의 발명 이후, 농부들은 계곡에서 일했지만, 공동체는 더 쉽게 요새화할 수 있는 언덕에 살았다. 중국 및 인더스 문명과 달리, 메소포타미아 마을은 곡물 경작지와 아나톨리아 산맥의 금, 구리 광산을 향하는 두 가지 경제적 방향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환경은 메소포타미아 문화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했으며, 이는 장점과 어려움을 동시에 가져왔다.

2. 1. 1. 무문토기 신석기 A

근동 에피팔레올리틱 시대 이후, 상 메소포타미아 지역과 메소포타미아 북부 산악 지대에서 여러 선사 시대 신석기 A기 유적지가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9000년경 유프라테스 강 상류 유역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거석인 괴베클리 테페가 등장했다는 점이 특징이다.[13] 같은 시기에 앞선 나투피안 문화의 유적인 텔 아부 후레라에서 농경이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기원전 9000년경으로 추정되는, 동물을 묘사한 수많은 사실적인 부조와 몇 점의 조각상, 그리고 인간 또는 신을 묘사한 부조 조각 파편들이 괴베클리 테페에서 발견되었다. 근처 다른 유적지에서 발견된 우르파 남자는 선사 시대 신석기 시대에 해당하는 기원전 9000년경의 유물로, "가장 오래된 자연주의적 실물 크기의 인간 조각상"으로 여겨진다.[15][16][17] 샨리우르파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그보다 약간 늦은 시기인 기원전 8500년에서 8000년 사이에, 무레이베트와 같은 상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다른 유적지에서 돌과 구운 점토로 만든 초기 인물 조각상들이 발견되었다.[18][19]

우르파 남자

2. 1. 2. 무문토기 신석기 B

기원전 8000년경, 토기가 발명되기 전인 무문토기 신석기 B기 동안, 여러 초기 정착지에서 설화석고나 화강암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모래로 형태를 만들고 연마하는 방식으로 아름답고 매우 정교한 석기 용기를 만드는 데 전문가가 되었다. 장인들은 재료의 결을 사용하여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했다. 이러한 물건들은 오늘날 시리아 동부에 해당하는 상부 유프라테스 강 유역, 특히 부크라스 유적지에서 많이 발견되었다.[20]

메소포타미아 북동부에서는 자르모 문화(기원전 7500년)가 자르모 (Qal'at Jarmo) 유적지를 중심으로 발전했는데, 이곳은 현대 이라크의 자그로스 산맥 기슭에 위치한 선사시대 고고학 유적이다. 발굴 결과 자르모는 자연 강우를 이용한 관개를 기반으로 하는 기원전 7500년경의 농업 공동체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곳은 메소포타미아 중부의 충적 평야로 인간이 확장되기 전 시대에 해당한다. 이 곳은 레반트 남부의 예리코, 아나톨리아차탈회위크, 또는 시리아 북부의 텔 사비 아비야드와 같은 다른 중요한 신석기 유적과 대체로 동시대였다. 약 기원전 7000년에 토기가 발명되기 전인 기원전 7500년경의 석기 용기 및 설화석고 단지의 파편도 자르모에서 발견되었다.[21][22][23]

2. 2. 초기 토기 제작 (기원전 7000년경)

텔 하수나와 자르모 등 북부 메소포타미아 유적들은 근동 지역에서 토기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유적들 중 일부이며, 최근 발굴된 층에서 발견되어 기원전 7천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1] 이 토기는 수작업으로 만들어졌으며, 단순한 디자인에 두꺼운 측면을 가지고 있고, 식물성 용매로 처리되었다.[25] 점토 인물상도 있는데, 동물형 또는 인물형으로, 임신한 여성의 모습은 같은 지역의 후기 신석기 시대 문화의 어머니 여신과 유사한 다산 여신으로 여겨진다.

2. 3. 할라프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할라프 문화의 도자기는 추상적인 기하학적 패턴과 장식으로 꾸며졌으며, 특히 선으로 칠해진 점토 비옥함 조각상이 유명하다. 점토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주요 재료였으며, 종종 모델링된 조각상에 검은색 장식을 칠했다. 정교하게 제작되고 염색된 항아리, 특히 주전자와 그릇은 교역되었다. 염료로는 산화철을 함유한 점토를 다양한 정도로 희석하거나 다양한 광물을 혼합하여 다른 색상을 만들었다.

할라프 문화에서는 도장 인장이 처음으로 나타났으며,[26] 주로 기하학적 패턴을 특징으로 했다.[26]

칠해진 점토로 만들어진 여성 비옥함 조각상은 아마도 여신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6000~5100년경에 나타났다.[27]

2. 4. 하수나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5000년)

하수나 문화는 기원전 6천년 초 메소포타미아 북부에 존재했던 신석기 시대고고학적 문화이다. 이 문화는 이라크의 텔 하수나라는 기준 유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하수나 시대의 유물이 발견된 다른 유적지로는 텔 셈샤라 등이 있다. 토기의 장식은 본질적으로 기하학적 형태와 몇몇 아이벡스 디자인으로 이루어져 있다.[1]

2. 5. 사마라 문화 (기원전 6000년 ~ 기원전 4800년)

사마라 문화는 대략 기원전 5500년에서 4800년 사이로 추정되는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채석기 시대 고고학 문화이다. 이는 하수나와 초기 우바이드와 부분적으로 겹친다.[1]

2. 6. 우바이드 문화 (기원전 6500년 ~ 기원전 3800년)

우바이드 시대(기원전 6500–3800년경)는 메소포타미아선사 시대에 해당한다.[28]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이 시대는 충적 평원에서 알려진 가장 초기 시대이지만, 충적토 아래에 더 이전 시대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30] 남부에서는 기원전 6500년경부터 3800년경까지 매우 오랜 기간 지속되었으며, 이 시기는 우루크 시대로 대체되었다.[31]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우바이드 문화는 기원전 5300년경부터 4300년경 사이에 확장되었다.[31] 이 시대는 할라프 시대와 할라프-우바이드 과도기에 선행되며, 후기 찰코리틱 시대로 이어진다. 새로운 시대는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우바이드와 구별하기 위해 북부 우바이드라고 명명되었다.[32]

우바이드 3기(기원전 4500년경)에 페르시아만을 따라 딜문까지 수많은 우바이드 도기 예가 발견되었으며, 이곳에서는 인더스 문명의 도기도 발견되었다.[33]

도장 인장은 양식을 갖춘 방식으로 동물을 묘사하기 시작했으며, 또한 이 시대 말기인 기원전 4000년경에 처음으로 알려진 동물의 지배자 묘사가 나타난다.[34][26][35]

항아리; 후기 우바이드 시대(기원전 4500–4000년경); 도기; 남부 이라크 출토; 보스턴 미술관(미국)

3. 역사 시대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 미술은 수메르 문명에서 시작되어 아카드 제국, 신 수메르 시대, 바빌로니아, 아시리아를 거쳐 신 바빌로니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각 시대별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수메르 문명: S. N. 크레마의 저서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한다>>에 언급된 것처럼, 메소포타미아에서 수메르인들에 의해 조직적인 도시 문화가 시작되었고, 키시, 우루크, 우르와 같은 도시를 건설했다.[108][109]
  •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2900년 ~ 기원전 2350년): 수메르인과 셈족의 아카드 왕조를 포함한다. 석재가 부족하여 석조 조각품은 드물었고, 대신 멀리서 가져온 석재로 신상이나 예배자상을 만들었다. 카파제, 텔 아스마르, 아슈르 등지에서 발굴된 조각상들은 양손을 명치 부분에 댄 직립상 형태로, 상감을 한 큰 눈, 곱슬곱슬하고 긴 구레나룻이 특징이다. 우르 왕묘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금세공[110], 패각 세공[111]을 중심으로 정교한 공예 기술을 보여준다.
  • 아카드 제국 (기원전 2271년 ~ 기원전 2154년): 메소포타미아 전체와 레반트의 다른 영토까지 통치한 최초의 제국으로, 예술에서는 이전 수메르 예술을 이어받는 것과 더불어 왕조의 왕들에게 큰 비중을 두었다. 나람 신의 전승비나 사르곤 왕의 두부라고 불리는 청동제 작품, 마니스투수 왕 입상, 구데아 좌상 등 조각 기술이 발전된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 신 수메르 시대 (기원전 2112년 ~ 기원전 2004년): 아카드 제국 멸망 후, 라가시에 지역 왕조가 등장했다. 라가시의 통치자 구데아는 이 시기 초기에 새로운 사원의 주요 후원자였으며, 구데아 조각상은 대부분 작고 아름답게 제작되었다. 우르 제3왕조의 미술은 특히 사실주의와 정교한 장인 정신 면에서 새로운 경지에 도달했다.
  • 바빌로니아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100년): 셈어를 사용하는 정치 세력이 부상한 시기이다. 함무라비 왕 시대에는 바빌론이 주요 강대국이 되었고, 함무라비 법전과 정복으로 유명하다. 버니 부조는 특이하고 정교하며 비교적 큰 테라코타 판으로, 기원전 18세기 또는 19세기에 제작되었다. 짐리림의 임명은 메소포타미아 벽화의 뛰어난 사례이다.
  • 아시리아 (기원전 1500년 ~ 기원전 612년): 바빌로니아 미술과는 구별되는 아시리아 미술 양식이 기원전 1500년경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시리아인들은 원통형 인장 전통을 이어갔으며, 님루드에서는 아시리아 양식으로 장식된 님루드 상아와 청동 그릇이 발견되었다.
  • 신 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911년 ~ 기원전 609년): 서아시아를 지배한 강력한 군사 제국으로, 정복한 지역의 다양한 문화를 흡수하여 독특한 미술 양식을 발전시켰다.[110][111] 조각, 특히 건축물 내부 벽면을 채운 부조와 궁궐 문이나 안뜰 입구에 배치된 유익인면사자상(有翼人面獅子像)과 같은 수호신 조각상이 뛰어났다.
  • 신 바빌로니아 (기원전 626년 ~ 기원전 539년): 아시리아 제국 말기, 나보폴라사르가 바빌론에서 독립하여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다투어 탄생했다. 네부카드네자르 2세를 중심으로 약 70년의 짧은 기간이었으나 함무라비왕 시대의 바빌로니아를 계승하여 메소포타미아 문화를 부흥시켰다. 이슈타르 문은 현재 베를린페르가몬 박물관에 재건되어 있다.

3. 1. 수메르 문명 (기원전 4000년 ~ 기원전 2270년)

S. N. 크레마가 그의 저서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한다>>에서 언급했듯이,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수메르인들에 의해 조직적인 도시 문화가 시작되었고, 그들의 미의식이 뚜렷하게 표현되었다.[108] 수메르인들은 비옥하지만 거주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남메소포타미아의 습윤지에 막대한 노동력을 투입하여 키시, 우루크, 우르와 같은 도시들을 건설했다.[109]

기원전 2900년경부터 셈족의 사르곤 왕이 아카드 왕국을 세운 기원전 2350년까지를 초기 왕조 시대라고 부르며, 이 시기는 수메르인과 셈족의 아카드 왕조를 모두 포함한다.

남메소포타미아 지역은 석재가 부족하여 석조 조각품은 드물게 제작되었다. 대신 멀리서 가져온 석재로 신상이나 왕을 대신하여 신전에 놓인 예배자상을 만들었는데, 경제적인 이유로 조형 의욕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기술 습득의 기회도 부족했다. 카파제, 텔 아스마르, 아슈르 등지에서 발굴된 조각상들은 양손을 명치 부분에 댄 직립상 형태로, 상감을 한 큰 눈, 곱슬곱슬하고 긴 구레나룻이 특징이다. 아카드 시대에는 나람 신의 전승비나 사르곤 왕의 두부라고 불리는 청동제 작품, 마니스투수 왕 입상, 구데아 좌상 등 조각 기술이 발전된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우르 왕묘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당시 공예 기술이 매우 뛰어났음을 보여준다. 금세공[110], 패각 세공[111]을 중심으로 단금, 조금, 주금, 금립, 금선 세공 등 모든 기술을 활용하여 정교한 공예품들을 만들었다. 이러한 공예 감각은 건축 세부, 조각, 회화 등 메소포타미아 미술 전반에 걸쳐 나타나며 독특한 미술 작품을 창조하는 데 기여했다.

초기 왕조 시대는 메소포타미아 미술의 고졸기로, 이후 아시리아 미술의 고전기를 준비하는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수메르 문화는 약 2천 년에 걸쳐 발전했으며, 정교한 예술 전통과 함께 문자 (설형 문자)를 발명했다.

3. 1. 1.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2900년 ~ 기원전 2350년)

메소포타미아의 초기 왕조 시대는 기원전 2900년경부터 기원전 2350년까지로, 수메르인과 셈족의 아카드 왕조를 포함한다. 이 시기에는 메소포타미아에 조직적인 도시 문화가 발달했으며, 수메르인들은 키시, 우루크, 우르와 같은 도시를 건설했다.[108][109]
조각메소포타미아 남부 지역은 석재가 부족하여 석조 유물은 많지 않다. 카파제, 텔 아스마르, 아슈르 등지에서 발견된 조각상들은 양손을 명치 부분에 댄 직립상 형태로, 상감 기법을 사용한 큰 눈과 곱슬곱슬한 구레나룻이 특징이다. 아카드 시대에는 나람 신의 전승비, 사르곤 왕의 두부, 마니스투수 왕 입상, 구데아 좌상 등 인체 묘사가 발전된 조각상들이 제작되었다.
공예우르 왕릉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 당시 공예 기술의 정교함을 확인할 수 있다. 금세공[110], 패각 세공[111]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 정교한 공예품들이 제작되었다.
우르 발굴1922년부터 1934년까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박물관과 대영 박물관의 협력으로 C. 레오나드 울리가 이끈 우르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주요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우르 왕릉에서는 ''덤불 속의 숫양'' 조각상, ''구리 황소'', 우르의 리라 등 많은 미술품이 발견되었다.[71][72] 울리 경은 수메르인들의 주요 기술은 금속 세공의 발전과 지식이었다고 언급했다.
텔 아스마르 보물텔 아스마르 보물로 알려진 12개의 신전 조각상군은 신, 사제, 기증 숭배자들을 보여주는데, 모두 동일한 매우 단순화된 스타일을 사용한다. 특히 지역 신을 묘사한 가장 큰 조각상은 거대한 눈을 가지고 있어 "강렬한 힘"을 부여한다.[75]
특징이 시대의 미술은 숭배자나 제사장이 헌물을 바치는 모습, 숭배, 전쟁, 궁정 생활을 묘사한 사회적 장면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구리는 조각의 중요한 매체가 되었으며, 텔 알-우바이드 구리 인방과 같이 큰 작품도 제작되었다.[67][68]
주요 유물

  • 덤불 속의 숫양: 기원전 2600–2400년경, 금, 구리, 조개 껍질, 청금석, 석회암으로 제작, 높이 45.7cm, 우르 왕릉에서 발견, 대영 박물관 소장.

''덤불 속의 숫양'', 기원전 2600–2400년경, 우르 왕릉, 대영 박물관

  • 우르의 스탠다드: 기원전 2600–2400년경, 나무에 조개 껍질, 붉은 석회암, 청금석 상감, 길이 49.5cm, 우르 왕릉에서 발견, 대영 박물관 소장.
  • 푸아비 무덤에서 나온 여왕의 리라의 황소 머리: 우르, 기원전 2600년경.
  • 독수리 비석의 전투 장면: 초기 왕조 시대 III기, 기원전 2600–2350년경.
  • 메스칼람두그의 황금 투구: 우르 제1왕조의 통치자, 기원전 2500년경, 초기 왕조 시대 III기.
  • 우르-난셰 왕: 앉아 있고, 플라운스 치마를 입고 있다. 석회암, 초기 왕조 시대 III기 (기원전 2550–2500년). 텔로(고대 도시 기르수)에서 발견됨. 루브르 박물관.[77][78][79]

우르-난셰 왕, 초기 왕조 시대 III기 (기원전 2550–2500년), 루브르 박물관

  • 마리의 왕 이쿠-샤마간의 조각상, 기원전 2500년경.[80][81] 다마스쿠스 국립 박물관

3. 2. 아카드 제국 (기원전 2271년 ~ 기원전 2154년)

나람신의 승전비 (기원전 2255–2220년). 붉은 사암에 노란 반점이 있으며, 높이 , 너비 이다.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아카드 제국은 기원전 2271년부터 2154년까지 메소포타미아 전체와 레반트의 다른 영토까지 통치한 최초의 제국이었다. 아카드인들은 수메르인이 아니었으며, 셈어를 사용했다.[82] 예술에서는 이전 수메르 예술을 이어받는 것과 더불어 왕조의 왕들에게 큰 비중을 두었다. 봉인과 같은 소형 작품뿐만 아니라 대형 작품에서도 사실주의가 상당히 증가했지만, 봉인은 "잔혹한 갈등, 위험과 불확실성, 인간이 봉사해야 하지만 사랑할 수 없는, 이해할 수 없는 행위를 하는 멀리 떨어진 두려운 신들에게 호소할 수 없이 복종하는 암울한 세계"를 보여주며, 이러한 암울한 분위기는 메소포타미아 예술의 특징으로 남았다.[83]

나람신 왕의 유명한 승전비는 뿔 달린 헬멧을 쓴 신-왕으로 묘사되며, 병사들과 패배한 룰루비족의 적들 위로 산을 오르고 있다. 비석은 엘람의 슈트루크나훈테 군대에 의해 훔쳐져 옮겨지면서 상단 부분이 부서졌지만, 여전히 나람신의 자부심, 영광, 신성을 뚜렷하게 드러낸다. 비석은 시청자에게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연속적인 대각선 구획을 사용하여 전통에서 벗어났지만, 더 전통적인 수평 프레임은 더 작은 파편에서 볼 수 있다. 높이는 200cm이고, 분홍색 사암으로 만들어졌다.[84][85] 같은 통치 시기에, 구리로 만들어진 바세트키 조각상의 맨다리와 하반신은 전례 없는 수준의 사실주의를 보여주며, 웅장한 청동 수염이 있는 통치자의 머리 (루브르 박물관 소장) 또한 그러하다.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이 머리는 니네베에서 발견된 실물 크기의 청동 흉상이다. 수염의 복잡한 곱슬거림과 패턴, 그리고 복잡한 헤어스타일은 사회에서 이상적인 남성의 왕족, 권력, 부를 시사한다. 미적 특징 외에도, 이 작품은 밀랍 주조법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할로우 캐스트 조각품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86] 얼굴과 눈의 왼쪽 면에 의도적인 손상이 있는데, 이는 흉상이 나중에 정치적 우상 파괴를 나타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훼손되었음을 나타낸다.[87]

조각 유품으로는 아카드 시대의 나람 신의 전승비, 사르곤 왕의 두부라 일컫는 청동제 우수작, <마니스투수왕 입상(立像)>, <구데아 좌상(坐像)> 등이 있다. 이들은 조소에 대한 관조와 조형 기법이 진보했음을 보여주며, 특히 인체의 사실적 묘사가 두드러진다.

3. 3. 신 수메르 시대 (기원전 2112년 ~ 기원전 2004년)

아카드 제국 멸망 후, 라가시에 지역 왕조가 등장했다. 라가시의 통치자 구데아 (기원전 2144년~2124년 재위)는 이 시기 초기에 새로운 사원의 주요 후원자였으며, 사원에서 발견된 26개의 구데아 조각상은 대부분 작고 아름답게 제작되었고, "값비싸고 매우 단단한 섬록암"으로 만들어져 자신감 넘치는 평온함을 발산한다.[90]

우르 제3왕조의 신 수메르 미술은 특히 사실주의와 정교한 장인 정신 면에서 새로운 경지에 도달했다.

  • --
  • --
  • --
  • --

3. 4. 바빌로니아 (기원전 2000년 ~ 기원전 1100년)

기원전 2000년에서 기원전 1100년 사이의 바빌로니아는 메소포타미아 북서부에서 기원한 셈어를 사용하는 정치 세력이 부상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아모리인의 이신-라르사 시대와 바빌론 제1왕조 (고바빌론 시대, 기원전 1830-1531년), 카시트인의 지배 기간(기원전 1531-1155년), 엘람인의 침략이 이어졌다. 메소포타미아 북부에서는 중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1392-934년)이 발전했으며, 기원전 911년 아다드-니라리 2세 치하의 신아시리아 제국의 출현으로 이 시기는 끝을 맺었다.

이신-라르사 또는 바빌론 제1왕조 (기원전 19-18세기) 시기의 버니 부조. 에레쉬키갈 또는 이슈타르를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며, 점토로 만들어졌다. 높이 , 폭 , 두께 이다.


돌 그릇에 새겨진 "림-신, 라르사의 왕"이라는 명문

3. 4. 1. 고대 바빌로니아 (기원전 1830년 ~ 기원전 1531년)

바빌로니아 왕조 시대의 미술은 함무라비 왕이 도읍한 바빌론이 아시리아 제국의 센나케리브 왕에 의해 파괴되었기 때문에 당시의 미술 작품을 찾아보기 어렵다. 오히려 남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우르·가파제의 유적과 도시국가인 마리의 유물을 통해 그 시대의 미술을 짐작해 볼 수 있다.[92]

함무라비(기원전 1792년~1750년)는 바빌론을 주요 강대국으로 만들었고, 메소포타미아와 그 주변 지역을 정복했다. 그는 함무라비 법전과 정복으로 유명하며, 그의 통치 시대의 많은 기록이 남아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이 시기 동안 바빌론은 지배 세력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위대한 도시가 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는 예술적 발전이 두드러진 시기는 아니었는데, 침략자들이 새로운 예술적 자극을 가져오지 못했고,[92] 많은 종교 미술은 오히려 의식적으로 보수적이었으며, 아마도 수메르의 가치를 의도적으로 주장하려는 의도였을 것이다.[93] 제작의 질은 이전 시대와 이후 시대보다 종종 낮았다.[94]

버니 부조는 날개를 가진 벌거벗은 여신이 맹금류의 발을 가지고 있고, 부엉이와 사자가 있는, 특이하고 정교하며 비교적 큰(세로 약 50.80cm, 가로 약 38.10cm) 테라코타 판이다. 기원전 18세기 또는 19세기에 제작되었으며, 성형되었을 수도 있다. 신들의 조각상이나 부조와 같은 유사한 작품들은 가정의 제단이나 작은 길가 사당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작은 성형 테라코타 작품들은 아마도 사원에서 기념품으로 구할 수 있었을 것이다.[96]

짐리림의 임명은 메소포타미아 벽화의 뛰어난 생존 사례인 대형 궁전 프레스코이며, 유사한 도안들이 궁전에서 흔했을 것이다.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일부 "대중적인" 예술 작품은 기원전 2000년에서 1600년 사이의 이쉬찰리에서 발견된 네 개의 얼굴을 가진 걸어가는 신의 조각상과 같이 사실주의와 움직임을 보여주었다.[95]

함무라비 사후, 제1 바빌론 왕조는 1세기 반 동안 더 지속되었지만, 그의 제국은 빠르게 붕괴되었고, 바빌론은 다시 작은 국가가 되었다. 기원전 1595년에 바빌로니아는 히타이트무르실리 1세에게 함락되면서 아모리트 왕조가 끝났고, 그 후 카시트족이 통제권을 잡았다.

3. 4. 2. 카시트 시대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155년)

카시트의 원래 고향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현재 이란의 로레스탄 주에 있는 자그로스 산맥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인장 이미지의 품질이 가장 높았던 시기는 아니었다. 때때로 비문이 이미지보다 중요해졌고, 왕이 신 앞에서, 또는 관리가 앉아 있는 왕 앞에서 나타나는 "제전 장면"이 때때로 일반적인 모습이 되면서 묘사되는 장면의 다양성이 줄어들었다.[98] 특히 카시트 시대부터 여러 석재 쿠두루 석비가 남아 있는데, 대부분 토지 양도, 경계선 및 기타 공식 기록을 기록하는 비문으로 채워져 있지만 종종 신이나 왕의 인물과 문장이 함께 새겨져 있다. 멜리-쉬팍 2세의 토지 양도가 그 예시이다.[99]

카시트 왕 멜리-쉬팍 2세가 쿠두루 위에 왕좌에 앉아 있는 모습 - 훈누바트-나나야에게 토지를 양도한 모습. 팔각별은 이난나-이쉬타르의 가장 일반적인 상징이었다. 여기서는 그녀의 형제인 샤마쉬 (수메르어 우투)의 태양 원반과 그녀의 아버지 신 (수메르어 난나)의 초승달과 함께 나타난다.

3. 5. 아시리아 (기원전 1500년 ~ 기원전 612년)

메소포타미아에서 지배적인 동시대 미술이었던 바빌로니아 미술과는 구별되는 아시리아 미술 양식이 기원전 1500년경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이는 아시리아 제국이 수메르를 포함하기 훨씬 전이었으며, 기원전 612년 니네베 함락까지 지속되었다.

수메르인의 조소 유품(遺品)은 적다. 남메소포타미아에는 석재가 나오지 않아 석조(石彫)는 제작되지 않았고, 멀리서 가져온 석재로 만든 신상(神像)이나 왕의 육신 대신 신전에 놓인 예배자상(禮拜者像)도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그들의 조형 의욕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기술 습득과 연마 기회의 혜택을 받지 못하였다. 카파제·텔·아스말·아슈르 등지에서 발굴된 조상(彫像)은 양손을 명치 부분에 댄 직립상(直立像)으로 상감(象嵌)을 한 이상하게 큰 눈, 곱슬곱슬하고 긴 구레나룻을 단 것이 특색이다. 오히려 아카드 시대의 나람 신의 전승비나 사르곤왕의 두부라 일컫는 청동제의 우수한 작품, <마니스투수왕 입상(立像)>, <구데아 좌상(坐像)> 등 조소에 대한 관조와 조형 기법의 각 단계마다 진보한 작품을 계속 만들었다. 특히 인체의 사진적(寫眞的) 관조가 일변한 것을 알 수 있다.

공예 유품은 우르 왕묘에서 출토된 유품에 의하여 그 당시 얼마나 공예 감각과 기술이 뛰어났는지를 알 수 있다. 종류는 금공품(金工品)[110], 패각 세공(貝殼細工)[111]을 중심으로 단금(鍛金)·조금 주금(彫金鑄金)·금립 금선 세공(金粒金線細工) 등 모든 기술을 구사하여 우수한 공예 작품을 만들어냈다. 이와 같이 공예 감각은 메소포타미아 미술 가운데 일관하여 흘러서 건축 세부·조소·회화의 각 분야에서 살려져서 독특한 미술 작품을 창조해 갔다. 초기왕조의 미술은 메소포타미아 미술의 고졸기(古拙期)라 하여도 무방하며, 그 후 앗시리아 미술의 고전기를 준비하고 있었던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

한 쌍의 라마수, 님루드


아시리아인들은 이 지역을 지배하기 전에도 종종 매우 활기차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원통형 인장 전통을 이어갔다. 님루드에서는 아시리아 양식으로 장식되었지만, 페니키아 및 아람 장인들이 제작한 것을 포함하여 근동의 여러 지역에서 제작된 조각된 님루드 상아와 청동 그릇이 발견되었다.

3. 5. 1. 신 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911년 ~ 기원전 609년)

신 아시리아 제국은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전 7세기 후반까지 약 350년간 서아시아를 지배한 강력한 군사 제국이었다. 이들은 정복한 지역의 다양한 문화를 흡수하여 독특한 미술 양식을 발전시켰다.[110],[111]

신 아시리아 미술의 정수는 조각이다. 단독적인 환조(丸彫) 상은 적지만, 건축물 내부 벽면을 부조로 가득 채우거나, 궁궐 문이나 안뜰 입구에 유익인면사자상(有翼人面獅子像)과 같은 수호신 조각상을 배치하는 등 뛰어난 작품들이 많다.

님루드에서 출토된 석회암으로 만든 <아슈르 나시르 팔 2세 상>은 몇 안 되는 앗시리아 환조 상 중 하나로, 완벽한 형태를 자랑한다. 비록 머리가 작고 신체 표현이 미숙하지만, 왕의 위엄과 당당한 자태를 통해 앗시리아인들의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또한, 왕의 의복과 장신구는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가슴에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어 역사적인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이 시대의 부조 작품들은 뛰어난 기술과 세련된 조형 감각, 그리고 사실적인 표현 능력을 보여준다. 건물 입구에 사자상을 배치하는 전통은 오래되었으며, 아나톨리아 고원이나 시리아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앗시리아의 유익인면수신(有翼人面獸身) 수호신상은 히타이트 미술을 훨씬 능가하는 고도의 예술성을 보여준다. 특히, 깊게 파인 눈과 코, 왕관과 장식적인 머리카락과 구레나룻, 날카롭게 조각된 날개는 감상의 주요 포인트이다.

조형적으로 흥미로운 점은, 유제류(有蹄類)의 다리 중 앞다리 세 개를 표현하여 정면이나 측면에서 보아도 부자연스럽지 않게 만든 것이다. 이는 앗시리아인 특유의 합리적인 관점을 보여준다. 두르 샤르루킨 궁정 입구에서 발견된 수호신상은 조형 표현의 기교와 관조가 더욱 발전하여, 세부적인 의장화와 추상성이 고도화된 우수한 작품이다. 이러한 조형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 시대로 계승되어 페르세폴리스 왕궁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부조 작품은 표현 형식과 주제에 따라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님루드 북서쪽 왕궁에서 출토된 종교 의식도(儀式圖)나 제전도(祭典圖)는 하나의 작품으로 완결된 구도를 보여준다. 인간에게 이익과 풍요를 가져다주는 성수(聖樹)가 운하의 물과 칠엽(七葉)의 파메트식(式)인 대추야자수(棗椰子樹)를 중심으로 의장화되어 있고, 거기에 화분(花粉)을 수정(受精)하는 조두유익신상(鳥頭有翼神像)이 표현되어 있다. 좌우에는 왕과 시종을 그린 예도 있다.

반면, 님루드의 서북 궁전 옥좌(玉座) 사이의 남쪽 벽에 있는 전투도(戰鬪圖)와 동물 수렵도는 연속적인 설화(說話) 표현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전투도는 벽면 가득히 큰 성수와 인물 및 신상을 배치하여 장식적인 의도와 종교 의식의 중요성을 암시한다. 수렵도나 전투도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활동적인 장면을 생생하게 전개하며, 수목과 하천, 성벽, 배경 등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아슈르바니팔 2세 때는 전투도와 수렵도의 구성상 화면이 단절되지 않고 두루마리식으로 전개되며, 특히 같은 화면으로 엮은 설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니네베의 아슈르바니팔 궁전 S실(室)의 <사자 사냥>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부조 화면은 인간의 근육과 자태를 정확하게 조형하고, 세부적인 부분까지 공예적인 감각으로 섬세하게 표현하며, 동물의 형태와 표정까지 생생하고 박력 있게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앗시리아 부조 미술은 고대 서아시아 미술의 정점을 차지하며, 메소포타미아 고전 조각의 전형(典型)이라고 할 수 있다.

회화 유물은 벽면의 극히 작은 부분에 불과하다. 티글라트 필레세르 3세가 건립한 시리아의 텔 발시프 궁전 벽화 단편과 두르 샤르루킨의 사르곤 2세 옥좌 사이의 벽화 등이 유명하다.

앗시리아 공예의 대표적인 것은 상아 세공이다. 시리아-이집트 양식을 답습한 작품으로, 유익신상(有翼神像)과 수렵도, 그리고 님루드에서 출토된 <앗시리아의 모나리자>라 불리는 귀부인의 마스크와 침대 장식의 성수 등 뛰어난 작품들이 있다. 또한, 채유연와(彩釉煉瓦)나 채유도기, 청동 제품, 유리 기구 등은 당시 앗시리아가 세계 제국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여러 지역에서 공물과 작가, 공예인들이 유입되었음을 보여준다.

3. 6. 신 바빌로니아 (기원전 626년 ~ 기원전 539년)

아시리아 제국 말기, 막료였던 나보폴라사르가 바빌론에서 기병하여(군사를 일으켜) 독립,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다투어 기원전 626년에 탄생한 것이 신바빌로니아 왕조이다. 네부카드네자르 2세를 중심으로 약 70년의 짧은 기간이었으나 함무라비왕 시대의 바빌로니아를 계승한 후계자로서 메소포타미아 문화를 부흥시켰고, 셈족 최후의 왕조이다.

페르가몬 박물관(베를린)에 재건된 건축 재건(reconstruction (architecture))의 일부인 이슈타르 문


유대인을 추방한 신바빌로니아 제국의 왕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기원전 575년경에 건설한 바빌론의 주요 입구였던 유명한 이슈타르 문의 일부는 현재 베를린페르가몬 박물관에 재건되어 있다.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626년부터 기원전 539년까지 존속했다. 입구를 둘러싼 벽은 유약을 바른 벽돌로 된 큰 부조 동물의 행렬로 장식되어 있어 색상을 유지하고 있다. 사자, 용, 황소가 묘사되어 있다. 이 문은 도시로 들어가는 행렬 길의 훨씬 더 큰 계획의 일부였으며, 그 일부는 다른 많은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02] 이 시기 동안 대형 목재 문은 강화되었고, 종종 부조로 장식된 수평 금속 띠로 장식되었으며, 여러 개가 보존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다양한 발라와트 문 등이 있다.

다른 전통적인 유형의 예술도 계속 생산되었으며, 신바빌로니아인들은 그들의 고대 유산을 매우 강조하려 했다. 정교하고 정교하게 조각된 많은 인장이 남아 있다. 메소포타미아가 예술적 전통이 훨씬 더 단순했던 페르시아아케메네스 제국에 넘어간 후, 메소포타미아 예술은 고대 그리스 미술과 함께, 등장한 세계주의적 아케메네스 양식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으며,[103] 이 지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 미술에서도 많은 고대적 요소를 유지했다.

바빌론 세계 지도, 기원전 6세기 점토판

4. 메소포타미아 미술의 특징

메소포타미아 미술은 지리적, 환경적 요인과 시대적 배경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남메소포타미아 지역은 석재가 부족하여 석조 조각이 발달하기 어려웠다. 대신 멀리서 가져온 석재로 신상이나 왕을 대신하여 신전에 놓는 예배자상을 만들었는데, 경제적인 이유로 조형 의욕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기술 습득 및 연마 기회가 부족했다. 카파제, 텔 아스말, 아슈르 등지에서 발굴된 조각상은 양손을 명치 부분에 댄 직립상으로, 상감 기법을 사용한 큰 눈과 곱슬곱슬하고 긴 구레나룻이 특징이다. 아카드 시대에는 나람 신의 전승비, 사르곤 왕의 두상으로 알려진 청동제 작품, <마니스투수 왕 입상>, <구데아 좌상> 등 조형 기법이 진보한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특히 인체에 대한 사실적인 관찰이 두드러진다.

우르 왕묘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당시 공예 기술과 감각이 뛰어났음을 보여준다. 금세공품[110], 패각 세공[111]을 중심으로 단금, 조금, 주금, 금립, 금선 세공 등 모든 기술을 활용하여 우수한 공예품을 제작했다. 이러한 공예 감각은 건축 세부, 조소, 회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 독특한 미술 작품을 창조하는 데 기여했다. 초기 왕조의 미술은 메소포타미아 미술의 고졸기(古拙期)라고 할 수 있으며, 이후 앗시리아 미술의 고전기를 준비하는 시대였다.

앗시리아는 강력한 군사력과 피정복 민족에 대한 압정을 통해 광대한 영토를 지배한 세계 제국이었다. 이들은 이집트, 아나톨리아, 시리아, 서방(西方)이란 등 다양한 지역의 문화와 미술을 흡수하여 발전시켰기 때문에 바빌로니아 문화와는 다른 미술 유산을 남겼다.

앗시리아 미술의 정수는 조소 유품이다. 단독적인 환조상은 적지만, 건축 내부 벽면에 부조 장식을 가득 채우거나 외문(外門)이나 내정 입구에 유익인면사자상(有翼人面獅子像)의 수호신을 배치하는 등 뛰어난 작품이 많다. 님루드에서 출토된 석회암제 <아슈르 나시르 팔 2세 상>은 몇 안 되는 앗시리아 환조상 중 완벽한 작품으로, 왕의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위엄 있고 당당한 자태로 표현했다. 당시 왕자의 의장 풍속이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고, 흉부에 명문이 새겨져 있어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이 시대의 부조 유품은 우수한 기술과 세련된 조형 감각, 사실적인 묘사 능력이 돋보인다. 건물 입구에 사자상을 배치하는 전통은 아나톨리아 고원이나 시리아에서 유래되었으며, 히타이트의 영향을 받았지만 앗시리아의 유익인면수신(有翼人面獸身) 수호신상은 조형 감각과 표현 형식의 예술성이 뛰어나 히타이트 미술을 능가한다. 특히 인면의 깊은 눈과 코, 왕관과 장식적인 머리카락과 구레나룻, 날카로운 날개 등은 의장화된 조형과 어우러져 감상의 요점이 된다. 유제류(有蹄類)의 다리 중 앞다리 세 개를 표현하여 정면이나 측면에서 보아도 부자연스럽지 않게 만든 점은 앗시리아인 특유의 합리적인 관찰 방식을 보여준다. 두르 샤르루킨 궁정 입구에서 발견된 수호신상은 조형 표현의 기교와 관찰이 더욱 진전되어 세부까지 의장화와 추상성이 고도화된 우수한 작품이다. 이러한 조형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시대로 계승되어 페르세폴리스 왕궁에서도 그 유품을 찾아볼 수 있다.

부조 유품은 표현 형식과 주제에 따라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님루드 북서 왕궁에서 출토된 종교 의식도나 제전도는 하나의 작품으로 완결된 구성을 보여준다. 성수(聖樹)는 운하의 물과 칠엽(七葉)의 파메트식 대추야자수를 중심으로 의장화되어 있으며, 여기에 화분을 수정하는 조두유익신상(鳥頭有翼神像)이 표현되어 있다. 좌우에 왕과 시종을 그린 예도 있다. 님루드 서북 궁전 옥좌 사이 남쪽 벽에 있는 전투도와 동물 수렵도는 연속 설화 표현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전투도는 벽면 가득히 큰 성수와 인물, 신상을 배치하여 장식 의도와 종교 의식의 중요성을 암시하며, 수렵도나 전투도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활동적인 장면을 생생하게 전개한다. 수목과 하천의 세밀한 묘사, 성벽과 배경 무대의 표현도 볼 수 있다. 아슈르바니 아플리 2세 때는 전투도와 수렵도가 두루마리식으로 전개되며, 같은 화면으로 엮은 설화 형식을 취한다. 니네베의 아슈르바니 아플리 궁전 S실의 <사자 사냥>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 부조 화면은 인간의 근육과 자태를 정확하게 조형하고, 세부까지 공예 감각이 넘치는 세밀한 표현과 동물의 형태와 표정까지 생생하고 박력 있게 묘사한 점이 특징이다. 앗시리아 부조 미술은 고대 서아시아 미술의 정점을 차지하며, 메소포타미아 고전 조각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회화 유품은 벽면의 극히 작은 것에 불과하며, 티글라트 필레세르 3세가 건립한 시리아의 텔 발시프 궁전 벽화 단편과 두르 샤르루킨의 사르곤 2세 옥좌 사이 벽화 등이 유명하다. 앗시리아 공예의 대표적인 것은 상아 세공인데, 시리아-이집트 양식을 답습한 작품으로 앗시리아 공예품이라 생각되는 유익신상(有翼神像)과 수렵도, 님루드에서 출토된 <앗시리아의 모나리자>라 불리는 귀부인의 마스크와 침대 장식의 성수 등 뛰어난 작품이 있다. 채유연와(彩釉煉瓦)나 채유도기, 청동제품과 유리 기구 등은 당시 세계 제국적인 성격을 보여주며, 여러 지방에서 헌납품과 작가, 공예인들이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메소포타미아의 중앙 예배 장소는 계단식 피라미드인 지구라트였으며, 숭배자들이 하늘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제단으로 이어지는 계단이 있었다.

주로 작은 조각품들이 주요 예술 작품으로 남아있다. 후기 시대의 아시리아 조각은 궁전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종종 매우 컸다. 수메르와 아카드 조각상 대부분은 기도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사용된 주요 석재 유형은 석회암과 설화 석고이다.

자이나브 바흐라니는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의 시각 예술은 단순히 현실을 모방하거나 복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실제 사물의 대리자 또는 대체물 역할을 하는 표현을 제작하는 것이 목표였으며, 이 표현은 실제 현실의 일부로 인식되었다고 말했다.[104]

참조

[1] 문서 Frankfort, 124-126
[2] 문서 Frankfort, Chapters 2–5
[3] 문서 Convenient summaries of the typical motifs of cylinder seals in the main periods are found throughout in Teissier
[4] 문서 Frankfort, 66–74
[5] 문서 Frankfort, 71–73
[6] 문서 Frankfort, 66–74; 167
[7] 서적 Milestones in Archaeology: A Chronolog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7
[8] 뉴스 The Skeletons of Shanidar Cave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2010-03
[9] 서적 Treasures of the Holy Land: Ancient Art from the Israel Museum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86
[10] 서적 "Horse from Hayonim Cave, Israel, 30,000 years" in Israel Museum Studies in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Samuel Bronfman Biblical and Archaeological Museum of the Israel Museum 2002
[11] 웹사이트 Hayonim horse https://museums.gov.[...]
[12] 간행물 The Aurignacian at Hayonim Cave https://www.persee.f[...] 1981
[13] 서적 The Archaeology of Malt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8-25
[14] 웹사이트 The Earliest Uses of Clay in Syria https://www.penn.mus[...]
[15] 서적 Feast, Famine or Fighting?: Multiple Pathways to Social Complex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
[16] 서적 Premier temple. Göbekli tepe (Le): Göbelki Tepe https://books.google[...] CNRS Editions 2015
[17] 서적 Gobekli Tepe: Genesis of the Gods: The Temple of the Watchers and the Discovery of Ede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4
[18] 서적 Life in Neolithic Farming Communities: Social Organization,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
[19] 서적 La protohistoire https://books.google[...] De Boeck Supérieur 2008
[20]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21] 서적 The Emergence of Civilisation: From Hunting and Gathering to Agriculture, Cities and the State of the Near E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
[22] 서적 Mineral Resources of Turke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
[23] 서적 Ancient Mesopotamian Materials and Industries: The Archaeological Evidenc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999
[24]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25] 웹사이트 A Dish from the Jarmo Culture https://www.worldhis[...]
[26] 서적 Critical Approaches to Ancient Near Eastern Art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3
[27]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28] 웹사이트 Beyond the Ubaid: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in the Late Prehistoric Societies of the Middle East (Studies in Ancient Oriental Civilization, Number 63) http://oi.uchicago.e[...]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2010
[29] 서적 Al-'Ubaid. Ur Excavations 1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27
[30] 서적 'Concluding Remarks' in Henrickson, Elizabeth and Thuesen, Ingolf (eds.) ''Upon This Foundation - The ’Ubaid Reconsidered'' Copenhagen: Museum Tusculanum Press 1989
[31] 서적 'Deconstructing the Ubaid' in Carter, Robert A. and Philip, Graham (eds.) ''Beyond the Ubaid: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in the Late Prehistoric Societies of the Middle East'' Chicago: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2010
[32] 서적 Archaeologies of the Middle East: Criti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2009
[33] 서적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34]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35] 서적 Mesopotamia Befor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
[36]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2019-04-20
[37] 서적 The Looting Of The Iraq Museum Baghdad The Lost Legacy Of Ancient Mesopotamia https://archive.org/[...] 2005
[38] 문서 Crawford 2004
[39] 문서 Crawford 2004
[40] 문서 Frankfort
[41] 문서 Frankfort
[42] 문서 Frankfort
[43] 문서 Frankfort
[44] 서적 Art History Pearson
[45] 문서 Frankfort
[46] 문서 Frankfort
[47] 문서 Frankfort
[48] 서적 Art of the first cities :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https://archive.org/[...]
[49] 서적 The Looting Of The Iraq Museum Baghdad The Lost Legacy Of Ancient Mesopotamia https://archive.org/[...] 2005
[50]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e Western Perspective – Volume 1 https://archive.org/[...] Thomson Wadsworth
[51] 서적 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3
[52] 웹사이트 Vorderasiatisches Museum Berlin http://repository.ed[...] 2019-04-20
[53] 웹사이트 Vorderasiatisches Museum Berlin http://repository.ed[...] 2019-04-20
[54]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2019-05-08
[55] 웹사이트 Site officiel du musée du Louvre http://cartelfr.louv[...] 2019-05-08
[56] 서적 The Study of the Ancient Near East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William Foxwell Albright Centennial Conferenc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2019-05-08
[57]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Egyptian Ar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9-05-08
[58] 문서 The Dictionary of Ancient Egypt British Museum Press 1995
[59] 웹사이트 Earliest Egyptian Glyphs https://archive.arch[...]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12-02-29
[60]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Egyptian Ar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9-05-08
[61] 서적 The Study of the Ancient Near East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William Foxwell Albright Centennial Conferenc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2019-05-08
[62] 서적 The Mediterranean Context of Early Greek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9-05-08
[63] 서적 Ancient Near Eastern Ar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05-08
[64] 서적 The Sumerian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5-04
[65] 간행물 Que savons-nous exactement du kaunakès mésopotamien? https://www.cairn.in[...] 2020-05-04
[66] 서적 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20-05-29
[67] 문서 Frankfort
[68] 문서 Frankfort
[69] 문서 Frankfort
[70] 문서 Frankfort
[71] 논문 Excavations at Ur https://www.jstor.or[...] 1933
[72] 웹사이트 "Ram In the Thicket" - Near East Section Highlights - Penn Museum https://www.penn.mus[...] 2024-12-08
[73] 웹사이트 Ur {{!}} Mesopotamia, Map, Definition, Histor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2-08
[74] 웹사이트 UrOnline - The Digital Resource for the Excavation of Ur http://www.ur-online[...] 2024-12-08
[75] 문서 Frankfort, 46-49; the group are now divided between the [[Metropolitan Museum]], New York, [[University of Chicago Oriental Institute|Oriental Institute]], Chicago, and the [[National Museum of Iraq]] (with the god).
[76] 문서 Frankfort, 55-60, 55 quoted
[77] 웹사이트 Perforated Relief of King Ur-Nanshe http://www.louvre.fr[...] Louvre 2017-12-01
[78]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2020-04-21
[79]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2020-04-21
[80] 서적 Handbuch der Orientalistik https://books.google[...] BRILL 1981
[81] 논문 Les fouilles de Mari Huitième campagne (automne 1952) 1953
[82] 문서 Frankfort, 83–91
[83] 문서 Frankfort, 91
[84]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omson-Wadsworth
[85] 문서 Frankfort, 86
[86] 서적 Art History Pearson
[87] 논문 Earless in Nineveh: Who Mutilated 'Sargon's' Head? 1980-07
[88] 논문 The Bronze Head of the Akkadian Period from Nineveh https://www.jstor.or[...] 1936
[89] 논문 An Akkadian Victory Stele 1970
[90] 문서 Frankfort, 93 (quoted)-99
[91] 문서 Frankfort, 114–119
[92] 문서 Frankfort, 127
[93] 문서 Frankfort, 93
[94] 문서 Frankfort, 110-116, 126
[95]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96] 문서 Frankfort, 110–112
[97] 서적 Ancient Iraq Penguin Books 1992-08-27
[98] 문서 Frankfort, 102-126
[99] 문서 Frankfort, 130
[100] 문서 Frankfort, 141–193
[101] 문서 Frankfort, 205
[102] 문서 Frankfort, 203–205
[103] 문서 Frankfort, 348-349
[104] 서적 ʾEreṣ-Yiśraʾel: meḥqariym biydiyʿat haʾareṣ wʿatiyqwteyha haḤebrah laḥaqiyrat ʾEreṣ-Yiśraʾel wʿatiyqwteyha haʾWniybersiyṭah haʿibriyt biYrwšalayim, haMakwn lʾarkeʾwlwgyah 2011
[105] 서적 The 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Bloomsbury 2018
[106] 웹사이트 Gods and Goddesses http://www.mesopotam[...] 2015-11-09
[107] 서적 Architectural Details Ivy Press 2002
[108] 문서
[109] 문서
[110] 문서
[111] 문서
[11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