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시게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 시게루는 일본의 건축가로, 1957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그는 쿠퍼 유니언 건축 학부를 졸업하고 이소자키 아라타 아틀리에에서 근무했으며, 1985년 자신의 건축 설계를 설립했다. 반 시게루는 종이와 같은 혁신적인 재료를 건축에 활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특히 재해 지역을 지원하는 사회 공헌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 오이타 현립 미술관, 오나가와역 등이 있으며, 프리츠커상, 마이니치 디자인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건축가 - 이소자키 아라타
이소자키 아라타는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의 선구자로, 히로시마 원폭 경험을 바탕으로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추구하며 사회적 담론을 이끌었고, 국제적인 프로젝트와 건축계에 큰 영향을 미쳐 2019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일본의 건축가이다. - 일본의 건축가 - 마키 후미히코
일본 건축가 마키 후미히코는 모더니즘과 일본 전통 건축의 조화를 추구하며 힐사이드 테라스, MIT 미디어랩 증축 건물 등 국내외 주요 건축물을 설계했고, 프리츠커 건축상, 미국건축가협회 금메달 등을 수상했다. - 프리츠커상 수상자 - 리처드 마이어
리처드 마이어는 흰색과 기하학적인 구조를 선호하는 모더니즘 건축가로, 1984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했으며,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아 하이 미술관, 바르셀로나 현대미술관, 게티 센터 등의 작품을 남겼으나, 2018년 성추문으로 은퇴했다. - 프리츠커상 수상자 - 장 누벨
프랑스 건축가 장 누벨은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틀을 깬 독창적인 스타일로 아랍 세계 연구소, 루브르 아부다비 등을 설계했으며 프리츠커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고, 건축물과 주변 환경의 조화, 연극적 효과,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추구하며 아틀리에 장 누벨을 운영하고 있다.
반 시게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반 시게루 (坂 茂) |
출생일 | 1957년 8월 5일 |
출생지 | 도쿄도 |
국적 | 일본 |
배우자 | 마사코 반 |
모교 | 쿠퍼 유니언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경력 | |
소속 | 坂茂建築設計 (반 시게루 건축 설계) |
주요 작품 | |
건축물 | 퐁피두 센터-메스, 프랑스 판지 성당, 크라이스트처치, 뉴질랜드 애스펀 미술관, 미국 |
디자인 | 해당 정보 없음 |
수상 | |
수상 내역 | 요시오카상 (1996년) JIA 신인상 (1997년) 일본 건축 학회상 작품상 (2009년) 프리츠커상 (2014년) 프랑스 예술 문화 훈장 (2014년) 아사히상 (2015년) 일본 건축 대상 (2016년) 아스투리아스 황태자상 (2022년) 다카마쓰노미야 전하 기념 세계 문화상 건축 부문 |
2. 생애와 교육
반 시게루는 1985년 도쿄에 주식회사 반 시게루 건축 설계를 설립하고, 1999년 뉴욕, 2004년 파리에 사무소를 개설하여 국제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소수자와 약자의 주택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 사무소(UNHCR)와 협력하여 난민을 위한 주택을 개발했다.[35][36][37]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에는 종이(지관)를 이용한 가설 주택과 교회 집회소를 제작하여 주목받았다.[38]
터키,[39][40] 인도 지진, 쓰촨 대지진,[137] 2011년 캔터베리 지진, 동일본 대지진 등 재해 현장에서 가설 주택 및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의 가설 교회 건설을 통해 구호 활동을 펼쳤다.[41][27][42][43][44] 특히 동일본 대지진 때는 종이 파이프와 천을 이용한 피난소 칸막이를 제안하여 피난민들의 프라이버시 확보에 기여했다.
반 시게루는 재해 구호 활동의 지속성을 위해 통상적인 경제 순환에 통합하는 방안을 모색했다.[42] 개발도상국에 가설 주택 공장을 설립하여 평상시에는 슬럼가 주거 환경 개선에 사용하고, 재해 발생 시 가설 주택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개발도상국의 고용 창출과 주거 환경 개선, 재해 구호에 기여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42]
반 시게루는 타마 미술 대학, 요코하마 국립 대학, 니혼 대학, 컬럼비아 대학교, 게이오기주쿠 대학, 하버드 대학교, 코넬 대학교, 교토 조형 예술 대학, 시바우라 공업 대학 등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연도 | 내용 |
---|---|
1993년 | 타마 미술 대학 미술학부 건축과 비상근 강사[69][70][71] |
1995년 | NGO VAN (볼런터리 아키텍츠 네트워크) 설립, 요코하마 국립 대학 건축과 비상근 강사[72] |
1996년 | 니혼 대학 이공학부 건축과 비상근 강사[73][46] |
1995년 - 1999년 |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 사무소 (UNHCR) 컨설턴트[74] |
2000년 | 컬럼비아 대학교 객원 교수 |
2001년 - 2009년 | 게이오기주쿠 대학 환경 정보학부 교수 |
2010년 | 하버드 대학교 GSD 객원 교수, 코넬 대학교 객원 교수 |
2011년 | 교토 조형 예술 대학 예술학부 환경 디자인학과 교수[76] |
2013년 | 볼런터리 아키텍츠 네트워크를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으로 전환,[57] 음악당 "Cité Musicale" (프랑스) 설계 콩쿠르 채택[77] |
2019년 - | 게이오기주쿠 대학 환경 정보학부 교수[78][79] |
2023년 - | 시바우라 공업 대학 특별 초빙 교수[80] |
2. 1. 초기 생애
반 시게루는 1957년 도쿄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회사원이었고 어머니는 의상 디자이너였다. 세이케이 초등학교 시절부터 럭비를 시작하여 고등학교 때는 전국 대회에 출전하기도 했다.[31][32][33] 세이케이 중학교 시절에 건축가를 꿈꾸게 되었고, 고등학교 시절에는 건축 잡지에서 본 존 헤이덕과 그가 가르치는 뉴욕의 쿠퍼 유니온을 동경했다.1976년 세이케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66] 1977년 19세에 미국으로 건너가 영어 학교를 거쳐 1978년부터 2년 반 동안 사우스캘리포니아 건축 대학교(SCI-Arc)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1980년 쿠퍼 유니온에 편입하여 존 헤이덕의 지도를 받았으며, 1984년에 건축학사 학위를 받았다.[2] 1982년부터 1983년까지는 이소자키 아라타 아틀리에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반 시게루는 존 헤이덕의 영향으로 "건축적 시학" 또는 "3차원 시" 창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기본적인 기하학적 요소를 탐구하고, 건축 재료를 활용하여 독특한 구조적 해결책을 찾는 데 기여했다.
그는 소수자와 약자의 주택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르완다 난민 캠프에 설치할 쉘터를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 사무소(UNHCR)에 제안하여 개발하기도 했다.[35][36][37]
다음은 반 시게루의 초기 생애에 관한 주요 내용이다.
연도 | 내용 |
---|---|
1957년 | 도쿄도 출생 |
1975년 | 전국 고등학교 럭비 풋볼 대회 출전 |
1976년 | 세이케이 고등학교 졸업[66] |
1977년 | 도미, 영어 학교 재학 |
1978년-1980년 | 사우스캘리포니아 건축 대학교(SCI-Arc) 재학 |
1980년 | 쿠퍼 유니온 편입 |
1982년-1983년 | 이소자키 아라타 아틀리에 근무 |
1984년 | 쿠퍼 유니온 건축학부 졸업 (건축학사)[34] |
1985년 | 시게루 반 건축설계 설립 |
2. 2. 미국 유학
반 시게루는 1957년 도쿄도에서 태어나 세이케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7년 미국으로 건너갔다.[66] 19세에 도미하여 잠시 영어 학교에 다닌 후, 1978년부터 2년 반 동안 사우스캘리포니아 건축 대학교(SCI-Arc, SCI-Arc)에서 건축을 배웠다.[79] 1980년에는 존 헤이덕이 가르치던 뉴욕의 쿠퍼 유니언에 편입하여[32][33] 1984년에 건축학부를 졸업하고 건축학사 학위를 받았다.[34][76]반 시게루는 쿠퍼 유니언 건축 학교에서 존 헤이덕의 지도 아래 공부했으며, 헤이덕(뉴욕 파이브의 일원이었다)의 영향으로 "건축적 시학" 또는 "3차원 시"의 창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2] 그는 기본적인 기하학적 요소에 대한 탐구를 반영한 건축 작품을 선보였으며, 기본적인 건축 재료를 가지고 독특한 구조적 해결책을 찾는 데 기여했다.
3. 건축 철학 및 디자인 접근
반 시게루는 그의 작업에서 "보이지 않는 구조"를 중요한 주제로 삼는다. 그는 구조적 요소를 과도하게 드러내기보다 디자인에 통합하는 것을 선호한다. 반 시게루는 건축물 뒤에 숨겨진 개념의 표현에 더 관심이 있으며, 이를 위해 의도적으로 재료를 선택한다.[5]
반 시게루의 작업은 여러 건축 사조를 아우른다. 그는 일본 건축가로서 전통적인 일본 건축의 주제와 방법을 사용하며, 특히 쇼지와 모든 방 사이의 연속성을 허용하는 "보편적인 바닥" 개념을 활용한다. 그의 건물에서 이는 높이 변화가 없는 바닥으로 나타난다. 서구의 교육과 영향력을 통해, 반 시게루는 서구와 동양의 건축 형태와 방법을 융합하는 선구적인 일본 건축가 중 한 명이 되었다. 그는 건축 자재로 종이와 판지 튜브를 혁신적으로 사용하여 유명해졌으며, 종이 집을 통해 종이를 주로 사용하여 건물을 짓는 최초의 일본 건축가가 되었다.[5]
반 시게루는 종이가 저렴하고, 재활용 가능하며, 기술 집약적이지 않고, 대체 가능하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다. 그의 종이 및 기타 재료 작업은 지속 가능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폐기물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그의 DIY 난민 쉼터는 고베 지진 이후 일본, 터키, 르완다 등 전 세계에서 저비용 재해 구호 주택으로 널리 사용되었다.[5]
반 시게루는 엑스포 2000에서 프라이 오토, 뷔로 하폴드와 협력하여 일본관을 만들었다. 72미터 길이의 그리드쉘 구조는 종이 튜브로 만들어졌으나, 독일의 건축법 때문에 지붕은 하부 구조로 보강해야 했다. 전시회가 끝난 후 구조물은 재활용되어 펄프로 돌아갔다.[6]
반 시게루는 "생태 건축가" 범주에 속하지만, 모더니스트, 일본 실험가, 합리주의자라고도 할 수 있다. 독일의 사상가 나티아스 노이터트는 그를 "부드러운 혁명가... 현대 건축을 투명성, 구형, 개방성으로 이끌고 있다"고 평가한다.[7]
반 시게루는 "나는 낭비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자신의 철학과 실천을 "종이 건축"으로 요약했다.
2020년 6월, 그는 다른 건축가, 요리사,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등과 함께 ''코리에레 델라 세라'',[8] ''엘 파이스''[9] 및 ''르 몽드''에 게재된 보라색 경제 ("경제의 문화적 르네상스를 향하여")를 지지하는 국제 호소에 서명했다.[10]
4. 종이 건축
반 시게루는 "나는 낭비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자신의 철학과 실천을 "종이 건축"으로 요약했다.[5] 그는 건축물의 구조재로 지관(종이 파이프)을 활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1986년부터 종이 튜브 구조를 실험적으로 개발했으며, 그 구조적 안정성이 예상보다 뛰어나고 전 세계적으로 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11]''pg29''
반 시게루가 지관을 건축 구조재로 사용하기 전까지는 건축 기준법상 전례가 없었다.[139] 1995년 "종이의 집"을 만들기 위해 구조 설계자인 마쓰이 겐고 등과 함께 실험하여 지관 구조(PTS)에 대한 건축 기준법 제38조 평가를 획득했다.[142]
반 시게루는 종이가 저렴하고, 재활용 가능하며, 기술 집약적이지 않고, 대체 가능하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다.[5] 이러한 특징 덕분에 종이 튜브는 재해 구호 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994년 르완다 난민 위기 당시에는 나무 사용으로 인한 삼림 벌채 문제를 해결하고, 비용 절감, 도난 방지, 지역 나무 보존에 도움이 되었다.[11]''pg30''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고베 재건 프로젝트에서 반 시게루는 종이 튜브를 활용한 임시 쉼터를 제안했다. 이 쉼터는 지역 사회의 참여를 유도하고, 다양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며, 매우 저렴하고 쉽게 건설할 수 있었다.[13]''pg173''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엑스포 2000 일본관은 반 시게루가 종이 튜브를 사용하여 만든 대표적인 건축물 중 하나이다. 72m 길이의 그리드쉘 구조는 종이 튜브로 만들어졌으며, 독일의 엄격한 건축법으로 인해 지붕은 하부 구조로 보강해야 했다.[6] 전시회가 끝난 후 구조물은 재활용되어 펄프로 돌아갔다.[6]
반 시게루는 "생태 건축가"로 분류될 수 있지만, 동시에 모더니스트, 일본 실험가, 합리주의자라고도 할 수 있다. 독일의 사상가이자 비평가인 나티아스 노이터트는 반 시게루를 "부드러운 혁명가... 현대 건축을 투명성, 구형, 개방성으로 이끌고 있다"고 평가했다.[7]
2020년 6월, 반 시게루는 다른 건축가, 요리사,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국제기구 지도자들과 함께 ''코리에레 델라 세라'',[8] ''엘 파이스''[9] 및 ''르 몽드''에 게재된 보라색 경제 ("경제의 문화적 르네상스를 향하여")를 지지하는 국제 호소에 서명했다.[10]
2015년 7월, 반 시게루는 네팔 지진 피해자들을 위한 주택 재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7] 주택 구조는 유연성을 위해 나무로 틀을 짜고 벽은 전적으로 벽돌로 지어졌다. 따라서 주택은 빠르고 쉽게 지을 수 있었다.
반 시게루 건축 설계와 VAN의 활동 중에는 피난소용 칸막이 시스템 제공이 있다. 동일본 대지진 때에는 "종이관"과 천으로 구성된 피난소 칸막이 시스템을 제공하여 피난소에서도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59][60][61]
4. 1. 종이 건축의 특징
반 시게루 건축의 주요 특징은 건축 구조체에 지관(종이 파이프)을 사용하는 것이다.[138]반 시게루는 건축 구조재로 지관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건축 기준법 제38조의 평가 감정을 취득했다.[138] 그는 "보이지 않는 구조"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구조적 요소를 디자인에 통합하는 것을 선호한다.[138] 즉, 최신 재료나 기술보다는 건축물 뒤에 숨겨진 개념의 표현에 더 관심이 있으며, 이를 위해 의도적으로 재료를 선택한다.
반 시게루는 일본 건축가로서 전통적인 일본 건축의 주제와 방법을 사용하며, 서구 모더니즘의 영향도 받아들여 서구와 동양의 건축 형태와 방법을 융합하는 선구적인 건축가 중 한 명이다. 특히 종이와 판지 튜브를 건축 자재로 혁신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며, 이는 저렴하고, 재활용 가능하며, 기술 집약적이지 않고, 대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이다.[138]
반 시게루는 1986년에 종이 튜브 구조를 실험적으로 개발했으며, 종이의 구조적 완전성이 예상보다 뛰어나고 전 세계에서 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11]''pg29'' 그는 종이 튜브가 일반적인 건축 자재가 아니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하고 접근성이 좋다는 점을 활용하여, 재해 구호 현장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했다.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일본 고베의 재건 프로젝트에 참여한 반 시게루는 종이 튜브를 사용한 임시 쉼터를 제안했다.[13]''pg173'' 이 쉼터는 지역 사회 참여를 유도하여 매우 저렴하고 쉽게 개발할 수 있었으며, 벽에 종이 튜브를 사용하고 구성원 사이에 작은 통풍 틈을 두어 테이프로 막아 단열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3]''pg174'' 지붕은 방수 텐트 재료로, 기초는 모래 주머니로 채워진 맥주 상자로 구성되었다.[14]''pg107''
반 시게루는 종이 튜브의 방수 및 내화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방수 필름, 폴리우레탄, 아크릴 페인트와 같은 현대 기술을 활용했다.[11]''pg31''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엑스포 2000 일본관은 반 시게루가 종이 튜브를 사용하여 만든 대표적인 건축물이다.[140] 72미터 길이의 그리드쉘 구조는 종이 튜브로 만들어졌으며, 독일의 엄격한 건축법으로 인해 지붕은 하부 구조로 보강해야 했다.[6] 전시회가 끝난 후 구조물은 재활용되어 펄프로 돌아갔다.[6] 반 시게루는 일본관의 완전한 재활용을 위해 기계적 접합 대신 직물 테이프를 사용했다.[11]''pg32''
반 시게루는 "나는 낭비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자신의 철학과 실천을 "종이 건축"으로 요약했다. 그는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며, 폐기물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종이 및 기타 재료를 활용하여 DIY 난민 쉼터를 설계했다. 이러한 쉼터는 고베 지진 이후 일본, 터키, 르완다 등 전 세계에서 저비용 재해 구호 주택으로 사용되었다.[5]
골판지 성당의 구조는 골판지, 나무, 유리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

4. 2. 종이 건축의 활용
반 시게루는 건축물의 구조재로 지관(종이 파이프)을 활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138] 1986년부터 종이 튜브 구조를 실험적으로 개발했으며, 그 구조적 안정성이 예상보다 뛰어나고 전 세계적으로 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11]''pg29''반 시게루가 지관을 건축 구조재로 사용하기 전까지는 건축 기준법상 전례가 없었다.[139] 1995년 "종이의 집"을 만들기 위해 구조 설계자인 마쓰이 겐고 등과 함께 실험하여 지관 구조(PTS)에 대한 건축 기준법 제38조 평가를 획득했다.[142] 또한 2000년 하노버 엑스포 일본관[138] 건설 시 프라이 오토, 구조 설계 사무소인 와 협력하여 독일 건축 기준을 통과시켰다.[138][140]
반 시게루는 "나는 낭비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하며 자신의 철학을 "종이 건축"으로 요약했다. 그는 종이가 저렴하고, 재활용 가능하며, 기술 집약적이지 않고, 대체 가능하다는 점에 매력을 느꼈다.[5] 종이 튜브는 1994년 르완다 난민 위기 당시 응급 쉼터 건축에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는데, 나무 사용으로 인한 삼림 벌채 문제를 해결하고 비용 절감, 도난 방지, 지역 나무 보존에 도움이 되었다.[11]''pg30''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으로 일본 고베가 큰 피해를 입자, 반 시게루는 재건 프로젝트를 제안했다.[13]''pg173'' 그는 지역 사회 참여를 유도하고 다양한 생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매우 저렴하고 쉽게 지을 수 있는 임시 쉼터를 개발했다. 약 15.98m2 모듈은 벽에 종이 튜브를 사용하고, 구성원 사이에 작은 통풍 틈을 만들었으며, 이 틈은 단열을 위해 테이프로 막을 수 있었다.[13]''pg174'' 지붕은 방수 텐트 재료로, 기초는 모래 주머니로 채워진 기증된 맥주 상자로 구성되었다.[14]''pg107''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엑스포 2000 일본관은 종이 튜브를 사용한 72m 길이의 그리드쉘 구조였다. 독일의 엄격한 건축법으로 인해 지붕은 하부 구조로 보강해야 했지만, 전시회가 끝난 후 구조물은 재활용되어 펄프로 돌아갔다.[6]
반 시게루는 "생태 건축가" 범주에 잘 들어맞지만, 모더니스트, 일본 실험가, 합리주의자임을 주장할 수도 있다. 독일의 사상가, 비평가, 시인인 나티아스 노이터트는 그의 에세이에서 반 시게루를 "부드러운 혁명가... 현대 건축을 투명성, 구형, 개방성으로 이끌고 있다"고 평가한다.[7]
2020년 6월, 반 시게루는 다른 건축가, 요리사,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국제기구 지도자들과 함께 ''코리에레 델라 세라'',[8] ''엘 파이스''[9] 및 ''르 몽드''에 게재된 보라색 경제 ("경제의 문화적 르네상스를 향하여")를 지지하는 국제 호소에 서명했다.[10]
반 시게루는 프로그램에 따른 설계를 맡기 전에 1986년에 종이 튜브 구조를 실험적으로 개발했다. 그는 종이의 구조적 완전성이 예상보다 훨씬 뛰어나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종이가 전 세계에서 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구조물은 인도 아흐메다바드의 재해 구호 쉼터 프로젝트의 경우와 같이 섬유 공장에서 사용할 종이 튜브를 제공하는 제조업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다.[11]''pg29''
재해 구호 재건 기간 동안 재료 부족은 주요 관심사이며 시장 가격 상승을 수반한다. 반면에 일반적인 건축 자재가 아닌 종이 튜브는 비교적 저렴하고 접근성이 매우 좋다. 1999년 터키의 특별한 경우에 반 시게루는 종이 튜브를 무료로 구할 수 있었다. 종이 튜브는 또한 1994년 르완다 난민 위기 동안 응급 쉼터를 짓는 데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는데, 이 위기에서 프레임을 위해 나무를 사용하면서 삼림 벌채 문제가 발생했고, 대체 건축 자재를 찾기가 어려웠다. 유엔은 나무를 알루미늄 파이프로 보충했지만 이는 매우 비쌌고, 결국 난민들은 돈을 벌기 위해 알루미늄을 팔았다. 그런 다음 난민들은 건축 자재를 위해 나무를 베는 것으로 되돌아갔다.[11]''pg30'' 프레임용 종이 튜브로 전환하면 비용을 절감하고, 도난을 방지하고, 지역 나무를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르완다의 붐바 난민 캠프에서 반 시게루의 종이 튜브 쉼터 디자인은 PBS NewsHour 기사에 소개되었다.[12]
1995년, 규모 7.2의 한신·아와지 대지진이 일본 고베를 강타했고, 반 시게루에게 재건 프로젝트를 제안했다.[13]''pg173'' 임시 쉼터는 지역 사회 참여를 유도하기 때문에 개발하기 매우 저렴하고 쉽다는 것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텐트에 비해 더 다양한 생활 조건을 제공한다. 벽에 종이 튜브를 사용하고 구성원 사이에 작은 통풍 틈이 있으며, 이 틈은 단열을 위해 테이프로 막을 수도 있다.[13]''pg174'' 지붕은 방수 텐트 재료로 만들어졌고 기초는 모래 주머니로 채워진 기증된 맥주 상자로 구성되었다.[14]''pg107''
기존 재료를 사용하는 반 시게루의 관심은 그의 미니멀리즘 이념과 일치했다. 방수 필름, 폴리우레탄, 아크릴 페인트와 같은 현재 기술을 사용하여 재료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다른 종이 재료를 제조하는 문제는 없었다.[11]''pg31'' 1998년 "종이 돔" 설계에서 혁신적인 건축 자재로서의 종이는 엄격한 건설 규정을 충족해야 했으므로 많은 구조 공학 데이터가 정부에 제출되었다. 이 프로젝트에서 직선 종이 튜브 장선은 적층 목재 조인트로 연결되었다. 조인트는 비쌌지만 종이 튜브의 낮은 가격으로 인해 전체 예산이 저렴해졌다.[11]''pg32'' 또한 약 1.83m 종이 튜브는 오사카-초 일본에서 발견되는 습도 변화로 인한 팽창 및 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해 액체 우레탄으로 방수 처리되었다.[14]''pg93''
독일 하노버의 또 다른 프로젝트인 엑스포 2000 일본관은 종이 튜브를 사용했지만 약 20.42m의 더 긴 치수와 4.75inch 직경, 약 2.54cm 미만의 두께를 사용했다. 또한 극한의 기상 조건 및 화재 보호에 대한 테스트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코팅으로 내부와 외부 모두 방수 처리되었다. 놀랍게도 종이 튜브는 재료의 높은 밀도로 인해 타기가 매우 어렵다. 반 시게루의 디자인은 엑스포 2000의 환경주의 주제에 맞춰 일본관의 완전한 재활용을 허용했다. 기계적 접합 대신 직물 테이프가 사용되었다. 직물 테이프는 복잡한 움직임을 허용했으며, 자연스럽게 구조를 긴장시켰다.[11]''pg32'' 파빌리온의 주요 터널은 242x (L × W × H)로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큰 공간으로 설계되었다.[14]''pg135'' 직물 테이프는 수동 건설 및 해체를 허용하는 버클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었다. 독일의 엄격한 건축 규정과 혁신적인 건축 자재로서의 종이의 이례적인 사용으로 인해 일본관은 과도하게 설계되어 목재 요소를 통합해야 했고, 따라서 더 하이브리드 구조가 되었다. 혁신적인 디자인 특징은 반 시게루가 콘크리트 기초 대신 모래로 채워진 재활용 가능한 나무 상자를 사용한 것이다.[11]''pg33''
2024년 TASCHEN에서 발매된 ''시게루 반의 완전 작품집 1985–오늘''[15]에서, 건축가는 자신의 프로젝트를 위한 구조 재료로서 종이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준 일본 구조 기술자 마츠이 겐고를 주요 영감 중 하나로 언급했다. 건축가로서의 자신과 구조 기술자로서의 마츠이 겐고 간의 협업 과정을 설명하면서 시게루 반은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그는 내가 구조 엔지니어링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거의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가르쳤습니다."[16]
2015년 7월, 반 시게루는 그해 네팔 지진 피해자들을 위한 주택 재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7] 주택 구조는 유연성을 위해 나무로 틀을 짜고 벽은 전적으로 벽돌로 지어졌다. 따라서 주택은 빠르고 쉽게 지을 수 있다. 또한, 네팔 사람들은 학교와 같은 다른 많은 목적으로 주택을 사용할 수 있다.
반 시게루 건축 설계와 VAN의 활동 중에는 피난소용 칸막이 시스템 제공이 있다. 2004년의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과 2005년의 후쿠오카현 서쪽 해안 지진 당시 피난소에서 실천했으며[58], 동일본 대지진 때에는 "종이관"과 천으로 구성된 피난소 칸막이 시스템을 제공했다.[59][60][61] 이 시스템은 피난소에서도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다. 구마모토 지진의 피난소에도 제공되었다.[62][63][64]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난민을 수용하는 독일에도 종이관과 골판지로 가설 주택을 지었다.[65]
5. 주요 작품
반 시게루는 종이(지관)를 건축 재료로 활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건축물을 설계했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커튼 월 하우스(1995), 일본 도쿄 이타바시구[96]
- 네이키드 하우스(2000), 일본 사이타마현 가와고에시
- 일본 관(2000) 하노버 세계 박람회 엑스포 2000, 하노버, 독일
- 노마딕 박물관 (2005–현재), 그레고리 콜버트의 비디오/사진 작품 "Ashes and Snow"를 전시하기 위해 제작됨
- 다카토리 가톨릭 교회, 일본 고베시
- 종이 돔, 대만 난터우시
- 퐁피두 센터-메스 미술관, 프랑스 메스
- 종이 대성당,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2012–2013)[19]
- 애스펜 미술관, 미국[1]
- 대나무 가구 하우스, 중국 만리장성
- 오이타 현립 미술관, 일본 오이타현 오이타시
- 오나가와역, 일본 미야기현 오나가와정
- 라 센 뮤지컬, 프랑스 부르뉴-빌랑쿠르 일 드 생에 있는 문화 단지 및 콘서트홀
- 빌라 비스타, 스리랑카 웰리가마
- 타이난 미술관, 대만 타이난시



반 시게루는 건축 구조재로 지관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데,[138] 건축 기준법에 따라 구조 설계자들과 공동 실험을 통해 지관 구조(PTS)의 안전성을 입증했다.[142]
명칭 | 연도 | 소재지 | 국가 | 상태 | 비고 |
---|---|---|---|---|---|
빌라 TCG | 1986 | 나가노현 지노시 | 일본 | ||
빌라 K | 1987 | 나가노현 지노시 | 일본 | ||
3개의 벽 | 1988 | 도쿄도 세타가야구 | 일본 | ||
M 저택 | 1989 | 도쿄도 세타가야구 | 일본 | ||
빌라 토리이 | 1990 | 나가노현 | 일본 | ||
성악가의 집 | 1991 | 도쿄도 세타가야구 | 일본 | ||
이시가미이 공원의 집합 주택 | 1992 | 도쿄도 네리마구 | 일본 | [97] | |
노선 옆의 콤플렉스 | 1992 | 도쿄도 시부야구 | 일본 | [98][99] | |
커튼월의 집 | 1995 | 도쿄도 이타바시구 | 일본 | [100] | |
2/5 하우스 | 1995 |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 일본 | [101] | |
JR 다자와코역/다자와코 관광 정보 센터 | 1997 | 아키타현 센보쿠시 | 일본 | [102] | |
벽이 없는 집 | 1997 | 나가노현 가루이자와정 | 일본 | [103] | |
하네기의 숲 | 1997 | 도쿄도 세타가야구 | 일본 | [104][105][106] | |
9 스퀘어 그리드의 집 | 1997 | 가나가와현 하다노시 | 일본 | ||
아이비 구조의 집 | 1998 | 도쿄도 스기나미구 | 일본 | ||
네무노키 미술관 녹음 속 | 1999 | 시즈오카현 가케가와시 | 일본 | [107][108] | |
아이비 구조 2 | 2000 | 도쿄도 미나토구 | 일본 | ||
목제 내화 피복 -01 GC 오사카 영업소 빌딩 | 2000 | 오사카부 주오구 | 일본 | [114][109] | |
가구의 집 No.1 | 2000 | 야마나시현 | 일본 | [110][111] | |
아지 구조 NO.2 | 2001 | 일본 | [114] | ||
알몸의 집 | 2001 | 사이타마현 가와고에시 | 일본 | [112][113] | |
Plywood Structure-03 이마이 병원 부속 탁아소 | 2001 | 아키타현 오다테시 | 일본 | [114][115] | |
대나무 가구의 집 | 2001 | 베이징시 교외 | 중국 | [116][117] | |
Plywood Structure-04 이마이 아쓰 기념 체육관 | 2002 | 아키타현 오다테시 | 일본 | [96][114][118] | |
종이 자료관 (PAM A) 특수 제지 종합 기술 연구소 (PAM B) | 2002 | 시즈오카현 누마즈시 | 일본 | [119][120] | |
유리 셔터의 스튜디오 | 2003 | 도쿄도 메구로구 | 일본 | ||
사진가의 셔터 하우스 | 2003 | 도쿄도 미나토구 | 일본 | ||
부르고뉴 운하 자료관·보트 하우스 | 2004 | 푸이앙오오와 | 프랑스 | [121][122] | |
노마딕 미술관 | 2004 | 세계 각지 | [96] | ||
종이 가설 스튜디오 - PTS | 2005 | 파리 | 프랑스 | 현존하지 않음 | [123] |
세이케이 대학 정보 도서관 | 2006 | 도쿄도 무사시노시 | 일본 | [96] | |
니콜라스 G. 하이에크 센터 | 2007 | 도쿄도 주오구 | 일본 | ||
가톨릭 다카토리 교회 | 2007 | 효고현 고베시 나가타구 | 일본 | [26] | |
Ovaless House영어 | 2009 | 후쿠시마현 | 일본 | ||
퐁피두 센터-메스 | 2010 | 메스 | 프랑스 | [51][96] | |
빌라 비스타 | 2010 | 스리랑카 웰리가마 | 개인 주택[125] | ||
오나가와정 3층 해상 컨테이너 가설 주택 | 2011 | 미야기현 오나가와정 | 일본 | [27][42][96] | |
메종 에르메스 (전시물) | 2011 | 밀라노 살로네 2011 | 이탈리아 | 현존하지 않음 | |
IE 비즈니스 스쿨 Paper Pavillion | 2013 | 마드리드 | 스페인 | ||
리트베르크 미술관 베젠동크 저택 서머 파빌리온 | 2013 (6월 16일 - 9월 7일) | 취리히 | 스위스 | 현존하지 않음 | 초경량 탄소 섬유 트러스와 종이관을 사용하여 베란다에 설치한 여름 집[127][128][129]。 |
타메디아 신 본사 | 2013 | 취리히 | #전송 | [96]koube[130] | |
오이타현립미술관 (OPAM) | 2014 | 오이타현 오이타시 | 일본 | [56][131] | |
아스펜 미술관 | 2014 | 콜로라도주 아스펜 | 미국 | [132] | |
오나가와역 | 2015 | 미야기현 오나가와정 | 일본 | [133] | |
방산테+N 저택 | 2016 | 도쿄도 세타가야구 | 일본 | ||
라 센 뮤지칼 | 2017 | 부로뉴-비양쿠르 | 프랑스 | ||
후지산 세계 유산 센터 | 2017 |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 | 일본 | [134] | |
SHONAI HOTEL SUIDEN TERRASSE[135] | 2018 | 야마가타현 쓰루오카시 | 일본 | ||
KIDS DOME SORAI | 2018 | 야마가타현 쓰루오카시 | 일본 | ||
타이난 시립 미술관 2관 (현대관) | 2019 | 타이난시 중서구 | 대만 | [136] | |
스와치 그룹 신 본사 | 2019 | 비엘 | 스위스 |
명칭 | 년도 | 소재지 | 국가 | 상태 | 비고 |
---|---|---|---|---|---|
알바 알토 전 전시장 구성 | 1986년 | 도쿄도 미나토구 | 일본 | 현존하지 않음 | |
세계 디자인 박람회 "수금굴의 정자" | 1989년 | 아이치현 나고야시 | 일본 | 현존하지 않음 | [141] |
도키메키 오다와라 메인 회장 홀 | 1990년 |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 | 일본 | 현존하지 않음 | |
시인의 서고 | 1991 | 가나가와현 즈시시 | 일본 | [142][143] | |
구 MDS 갤러리 | 1994 | 도쿄도 시부야구 | 일본 | ||
종이의 집 | 1995 | 야마나시현 야마나카코촌 | 일본 | [142] | |
대지진 피해자용 가설 주택 () | 1995 | 효고현 고베시 | 일본 | ||
가톨릭 다카토리 교회 가설 집회소 () | 1995 | 효고현 고베시[26] | 일본 | 이전 | 대만 난터우현푸리진 |
하노버 엑스포 2000·일본관 | 2000 | 하노버 | 독일 | 현존하지 않음 | [140] |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 (가설) | 2013 | 크라이스트처치 | 뉴질랜드 |
5. 1. 일본
도쿄도에서 태어나, 1976년 세이케이 고등학교 졸업 후 미국으로 건너갔다. 1984년 뉴욕의 쿠퍼 유니온(The Cooper Un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Art) 대학의 건축학부를 졸업했다. (건축학사)[34][76]1985년, 도쿄에 주식회사 坂茂建築設計(반 시게루 건축 설계)를 설립했다.[68] 1999년, 뉴욕에 사무소를 개설했다.[27] 2003년, 퐁피두 센터-메스 공모[50][51]에서 당선된 것을 계기로 2004년, 파리에도 사무소를 개설했다.[27][52] 현재는 도쿄, 파리, 뉴욕의 사무소를 오가며,[53] 파트너 건축가와 팀을 이루어 개인 저택[54]이나 대규모 건축에서 재해 지역 지원까지 다양한 건축 디자인을 다루고 있다.
반 시게루 건축 설계의 파트너 건축가는 스가이 케이타, 스즈키 그란트(도쿄), Jean de Gastines|장 드 개스틴프랑스어(Jean de Gastines, 유럽), 딘 몰츠(Dean Maltz, 미국)이다.[55] 반 시게루 건축 설계에서는 반 시게루가 디자인의 핵심을 생각하고, 프로젝트 총괄과 사무소 운영에는 파트너가 큰 역할을 하고 있다.[27]
소수나 약자의 주택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난민 수용소를 국제 연합 난민 고등판무관 사무소에 제안하여 개발, 1995년 한신 대지진 이후의 가설 주택이나 교회의 집회소를 "종이(지관)"로 만들었다. 이소자키 아라타의 아틀리에에 근무한 적이 있다.[67][76]
주요 작품에 《커튼월의 집》, 《가구의 집》, 한신 대지진 이후의 《종이의 집》등이 있다. 종이의 교회는 마이니치 디자인상 수상, 일본건축가협회 제3회 간사이 건축가상 대상 및 신인상을 수상했다.
- 커튼 월 하우스(1995), 일본 도쿄 이타바시구[100][96]
- 벽이 없는 집 (1997)[103]
- 하네기의 숲 (1997)[104][105][106]
- 아이비 스트럭쳐의 집 (1998)
- 네무노키 미술관 (1999)[107][108]
- 목재내화피복-01 지시 오사카 영업소 빌딩 (2000)[114][109]
- 아지로 구조 (2001)[114]
- 하다카의 집 (2001)[112][113]
- 종이자료관 특수제조종합기술연구소 Pam (2002)[119][96]
- PLYWOOD STRUCTUREー03 (2003)
- 유리셔터의 스튜디오 (2003)
- 사진가의 셔터 하우스 (2003)
- 노마딕 미술관 (2004〜)[137][96]
- 세이케이 대학 정보도서관 (2006)[96]
- 니콜라스 G 하이에크 센터 (2007)
- 오나가와역 (2015), 일본 미야기현 오나가와정[133]
반 시게루 건축의 특징은 지관을 건축 구조재로 사용하는 것이다.[138] 반 시게루가 제안하기 전까지,[139] 건축 구조재로서 지관의 사용은 건축 기준법에서 전례가 없었다. 이 때문에 종이의 집(1995년)[142]을 실현하기 위해 구조 설계자인 마쓰이 겐고 및 테즈카 노보루와 공동으로 실험, 지관 구조(PTS)에 건축 기준법 제38조 평가를 획득했다.
연도 | 수여 기관 | 수상 내역 | 비고 |
---|---|---|---|
1995 | 마이니치 디자인상 | 대상 | [46] |
1996 | 일본 건축가 협회 | 제3회 칸사이 건축가 대상 | 「종이 교회」[46][72] |
제12회 요시오카상 | 「커튼월의 집」[72] | ||
1997 | 일본 건축가 협회 | 신인상 | 「종이 교회」[46][72] |
1998 | 일본 건축 학회 | 제18회 도호쿠 건축상 | 「JR다자와코역」[46][72] |
명칭 | 연도 | 소재지 | 국가 | 상태 | 비고 |
---|---|---|---|---|---|
빌라 TCG | 1986 | 나가노현 지노시 | 일본 | ||
빌라 K | 1987 | 나가노현 지노시 | 일본 | ||
3개의 벽 | 1988 | 도쿄도 세타가야구 | 일본 | ||
M 저택 | 1989 | 도쿄도 세타가야구 | 일본 | ||
빌라 토리이 | 1990 | 나가노현 | 일본 | ||
성악가의 집 | 1991 | 도쿄도 세타가야구 | 일본 | ||
이시가미이 공원의 집합 주택 | 1992 | 도쿄도 네리마구 | 일본 | [97] | |
노선 옆의 콤플렉스 | 1992 | 도쿄도 시부야구 | 일본 | [98][99] | |
커튼월의 집 | 1995 | 도쿄도 이타바시구 | 일본 | [100][96] | |
구 MDS 갤러리 | 1994 | 도쿄도 시부야구 | 일본 | ||
5. 2. 해외
반 시게루는 도쿄도에서 태어나 1976년 세이케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1984년 뉴욕의 쿠퍼 유니언 건축학부를 졸업했다. (건축학사)[34][76] 1999년에는 뉴욕에 사무실을 개설했고,[27] 2003년 퐁피두 센터-메스 공모[50][51]에서 당선된 것을 계기로 2004년 파리에도 사무실을 개설했다.[27][52]반 시게루는 국제 연합 난민 고등판무관 사무소에 난민 수용소를 제안하여 개발하는 등 소수자와 약자의 주택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주요 작품으로는 노마딕 박물관(2005~현재), 퐁피두 센터-메스(프랑스 메스), 종이 대성당(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2012–2013),[19] 애스펜 미술관(미국),[1] 라 센 뮤지컬(프랑스 부르뉴-빌랑쿠르 일 드 생), 빌라 비스타(스리랑카 웰리가마), 타이난 미술관(대만 타이난시) 등이 있다.
현재는 도쿄, 파리, 뉴욕의 사무소를 오가며[53] 파트너 건축가와 팀을 이루어 대규모 건축에서 재해 지역 지원까지 다양한 건축 디자인을 다루고 있다. Jean de Gastines프랑스어(유럽), 딘 몰츠(Dean Maltz, 미국)가[55] 파트너 건축가로 있다.
2000년에는 컬럼비아 대학교 객원 교수로 부임했고, 2010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GSD 객원 교수, 코넬 대학교 객원 교수로 부임했다.
연도 | 수여 기관 | 수상 내역 | 비고 |
---|---|---|---|
2000 | 베를린 예술상 | [72] | |
2008 | 프랑스 | 국가 공로 훈장 오피시에 수훈 | [81] |
2011 | 프랑스 예술 문화 훈장 오피시에 수훈(11월) | ||
국제 건축가 연맹 | 오귀스트 페레상 | 피난처의 창조적 탐구에 대해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림)[82] | |
2014 | 프리츠커상 | [83][84][85][86][87][38] | |
프랑스 정부 | 프랑스 예술 문화 훈장 코망되르 | ||
2018 | 타이난시(타이완) | 명예 시민 수훈 | [91] |
2022 | 아스투리아스 공작상 평화 부문 | [72][93][94] |
6. 사회 공헌 활동
반 시게루는 소수자, 약자의 주택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르완다 난민 캠프에 설치하는 쉘터를 유엔 난민 고등 판무관 사무소(UNHCR)에 제안하여 개발·시작했다.[35][36][37]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종이 로그 하우스(가설 주택)나 교회[26]의 집회소를 특수 가공된 「종이(지관)」으로 제작했다.[38] 터키[39][40], 인도에서 발생한 지진 시에도 가설 주택 건설을 했다.
2005년 쓰나미로 피해를 입은 스리랑카 키린다 마을에서 복구 주택을 지었고, 2008년 대지진을 겪은 중국쓰촨성에서는 초등학교의 가설 교사를,[137] 2011년 지진에 대해 크라이스트처치 대성당의 가설 교회 건설을 제안했다.
동일본 대지진에서는 체육관 등의 피난소에 피난했지만, 하나의 공간에서 많은 사람들이 동거하여 프라이버시가 전혀 없었다. 반 시게루는 종이 파이프와 천을 사용하여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는 칸막이[41]를 제안하고, 각지의 시청 직원들을 설득하는 한편, 가설 주택의 건설과 질 향상에도 관여했다. 여자와정에서 반 시게루가 제안한 해상 수송용 컨테이너를 사용한 2–3층짜리 가설 주택은 가구가 설치되어 쾌적했기 때문에, 기한이 지나도 그대로 계속 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보도되었다.[27][42][43][44]
반 시게루는 건축 자재 등을 미리 확보해 두고, 어느 국가에서 대재해가 발생했을 때 그것을 공급하는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42] 자선이나 기부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인 경제 순환에 통합하여 지속성을 갖게 하는 것도 추진하고 있다. 개발 도상국에 가설 주택 공장을 만들고, 거기서 만들어지는 주택은 재해가 없을 때에는 각국의 슬럼가 주거 환경 개선에 사용하며, 재해가 발생하면 가설 주택으로 공급하여, 개발 도상국에서 고용을 창출하면서 주거 환경 개선도 실현하고, 재해 시에는 고통받는 사람들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42]
'''볼런터리 아키텍츠 네트워크'''(자원 건축가 네트워크, '''Voluntary Architects' Network영어''', '''VAN''')는 반 시게루가 1995년 효고현 남부 지진(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건축 분야에서 재해 지역을 지원하고자 고베시에 설립한 자원 봉사 조직이다. 임시 주택과 교회의 임시 집회소 건설을 진행했으며, 반 시게루의 국내외 재해 지역 지원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2013년에는 특정 비영리 활동 법인으로 전환되었다.[57]
처음에는 VAN 운영은 반 시게루 건축 설계 사원이 본업과 겸하여 담당했다. 반 시게루가 게이오기주쿠 대학 SFC 교수로 재직한 기간(2001년 – 2009년)에는 해당 연구실 활동의 일환으로, SFC 학생들이 VAN 운영의 중심이 되었다. 2003년에는 연구실 학생들이 SFC 캠퍼스(가나가와현)에 종이로 만든 임시 스튜디오 "게이오기주쿠 대학 SFC 반 시게루 연구실"을 완성했으며, 폭과 깊이가 각각 10 m, 높이 5 m의 원룸은 2008년에 해체될 때까지 전동 공구도 사용할 수 있는 임시 건축 실험장이자 VAN의 거점으로서 기능했다.[137]
사카 시게루 건축 설계와 VAN의 활동 중에는 피난소용 칸막이 시스템 제공이 있다. 2004년의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과 2005년의 후쿠오카현 서쪽 해안 지진 당시 피난소에서 실천했으며,[58] 동일본 대지진 때에는 "종이관"과 천으로 구성된 피난소 칸막이 시스템을 제공했다.[59][60][61] 이 시스템은 피난소에서도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다. 구마모토 지진의 피난소에도 제공되었다.[62][63][64] 우크라이나 난민을 수용하는 독일에도 종이관과 골판지로 가설 주택을 지었다.[65]
7.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97 | 일본건축가협회(JIA) 올해의 젊은 건축가상[66] |
2001 | 타임 지 올해의 혁신가 (미국)[66] |
2004 | 프랑스 건축 아카데미상[66] |
2005 | 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건축학 아놀드 W. 브루너 기념상 (미국)[66] |
2009 | 뮌헨 공과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66] |
2010 | 예술 문화 훈장 (프랑스)[66] |
2011 | 뉴스쿨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미국)[66] |
2011 | 국가 공로 훈장 (프랑스)[66] |
2011 | 건축 기술 응용 오귀스트 페레 상[66] |
2012 | 마이니치 디자인상 (일본)[66] |
2014 | 프리츠커 건축상[66] |
2014 | 아시아 게임 체인저 어워드[66] |
2015 | 세계 경제 포럼 크리스탈 상[66] |
2022 | 아스투리아스 공작 부인상-일치[66] |
8. 저서 및 작품집
발행 연도순:
- 『SHIGERU BAN』일본어 파이돈 출판 (2005년)
- 『紙の建築 行動する―震災の神戸からルワンダ難民キャンプまで』일본어 지쿠마쇼보 (1998년)
- 『坂茂プロジェクツ・イン・プロセス―ハノーバー万博2000日本館までの歩み ギャラリー・間叢書』일본어 TOTO출판 (1999년)
- ja30『坂 茂』일본어 (신건축사)
- * 이와나미 문고로 개정 개제.
- 부제 『시게루 반: 재료, 구조 및 공간』영어
- 존 헤이덕의 시도로부터
- 종이에 대한 시도
- 건축의 폼을 찾다 1 - 재료·구조의 합리성으로부터
- 케이스 스터디 하우스
- 미스 재독
- 종이의 가구체
- 건축의 폼을 찾다 2 - 프로그램 탐구로부터
- 가구의 집
- 셔터의 집
- 경관의 집
- 허의 집
- 종이 건축
- 건축의 폼을 찾다 3 - 나무가 여는 건축
- 재해 지원
- 건축의 폼을 찾다 4 - 대가구 공간을 만들다
- 프로덕트
- 『SHIGERU BAN Complete Works 1985–2010』영어,2010년。
- 『SHIGERU BAN』영어타셴、2012년。ISBN 3836530767
- 『신건축』일본어 신건축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73권, 1998-04.
- *
- *
- *
- * 제74권, 1999-09.
- *
- *
- *
- *
- *
- * 제85권 제7호, 2010-05.
- *
- *
- *
- 『건축 문화』일본어쇼코쿠샤,
- *
- *
- 『JA: the Japan architect』일본어신건축사,
- * 「반 시게루 시리즈」 『JA』일본어30호 신건축사、1998년
- * 시게루 반, 야스히로 테라마츠「시게루 반」일본어『JA』일본어(영문판)신건축사, 1998년
- *
- *
- *
- *
- *
- * 타메디아 신사옥
- * S저택
- 게재지 별도 『Journal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일본어
- 『닛케이 아키텍처』일본어닛케이 BP,
- *
- *
- *
- *「PAPER(시인의 서고; 종이의 집 외)
- *「WOOD(GC 오사카 영업소 빌딩; 이마이 병원 부속 보육소; 이마이 아츠시 기념 체육관; 아지로그물가의 집)」
- *「BAMBOO(대나무 가구의 집; 슈바르츠 저택; 대나무 그리드 쉘 구조)」
- *「PREFABRICATION(PC 파일의 집; JR 타자와코역/타자와코 관광 정보 센터 외)」
- *「SKIN(덴티스트의 집; 커튼 월의 집 외)」
- 반 시게루, 하라 겐야 기획 편집 『Japan car Designs for the crowded globe 포화된 세계를 위한 디자인』일본어 디자인 플랫폼 재팬 편, 아사히 신문 출판, 2009년 7월.,
- 『반 시게루 스케치집』일본어 미츠무라 스이코 샤인, 2024년. ISBN 978-4-8381-0627-1
- * 「Dialogue 1 아트 시설과 크리에이션」
- * 「Dialogue 2 빌라 건축과 세토 내해」
- 부제 『시게루 반: 재료, 구조 및 공간』영어
- 원서는 『Shigeru Ban: Timber in Architecture』영어(Rizzoli International Publications], 2022)[144](표제지 뒷면)。
- * 가구의 집 No.1, 대나무 가구의 집, 사가포낙 하우스, 무쿠스기의 집, 센고쿠하라의 주택, 빛과 그림자의 집, 책장의 집, 스콜코보 골프 클럽 하우스, 후지산 시즈오카 공항, 아트 비오토프 스위트 빌라, 시시이와 하우스 No.2, 이마이 병원 부속 보육소, 이마이 아츠시 기념 체육관, 여가역 + 유폿포, 퐁피두 센터 메스, GC 오사카 영업소 빌딩, TAMDIC 나고야, 오이타 현립 미술관(OPAM), 시즈오카현 후지산 세계 유산 센터, 라 센 뮤지컬〔외〕
참조
[1]
웹사이트
Shigeru Ban's Aspen Art Museum opens
http://www.dezeen.co[...]
Dezeen.com
2014-08-06
[2]
웹사이트
Biography
https://web.archive.[...]
The Hyatt Foundation
2014-03-25
[3]
잡지
Innovators, Time 100: The Next Wave – He Builds With a Really Tough Material: Paper
https://web.archive.[...]
Time Warner
2000-07-17
[4]
웹사이트
Shigeru Ban named 2014 Pritzker Prize Winner
http://www.archdaily[...]
2014-03-24
[5]
뉴스
Pritzker Architecture Prize Goes to Shigeru Ban
https://www.nytimes.[...]
2014-03-24
[6]
문서
name="Belinda Luscombe 2000"
[7]
서적
Shigeru Ban – a gentle revolutionary
Junius Verlag
[8]
웹사이트
Per un rinascimento culturale dell'economia
https://www.corriere[...]
2020-06-07
[9]
웹사이트
Por un renacimiento cultural de la economía
https://elpais.com/c[...]
2020-06-07
[10]
웹사이트
En dépit de son importance croissante, le culturel n'a pas suffisamment été pensé comme un écosystème
https://www.lemonde.[...]
2020-06-07
[11]
서적
Immaterial Ultramaterial: Architecture, Design and Materials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2002
[12]
웹사이트
Pritzker Prize winner used paper to build cathedral, concert hall and homes for refugees
https://www.pbs.org/[...]
2014-03-27
[13]
서적
Earthquake Architecture: New construction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Loft Publications S.L. and HBI
2000
[14]
서적
Shigeru Ban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001
[15]
웹사이트
Shigeru Ban: New TASCHEN Monograph Records the Pritzker-Winning Architect’s Complete Works Since 1985
https://www.aarhuss.[...]
2024-09-09
[16]
웹사이트
A Conversation with Shigeru Ban
https://arccadigest.[...]
[17]
웹사이트
SBA {{!}} Nepal Project
https://web.archive.[...]
[18]
웹사이트
Profile | Shigeru Ban Architects
http://www.shigeruba[...]
[19]
뉴스
Emotional moment for bishop at handover of new cathedral
https://archive.toda[...]
2013-08-03
[20]
웹사이트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 Award Winners
https://web.archive.[...]
Artsandletters.org
[21]
잡지
POMP AND CIRCUMSTANCE
https://www.newyorke[...]
2011-06-06
[22]
웹사이트
International Union Of Architects
http://www.uia-archi[...]
Uia-architectes.org
[23]
뉴스
Shigeru Ban, 3/11-born charity to receive Asia Game Changer Awards
https://archive.toda[...]
2014-09-17
[24]
뉴스
Shigeru Ban, Andrea Bocelli, Angelique Kidjo get Crystal award
http://www.business-[...]
2015-01-20
[25]
웹사이트
2022 Princess of Asturias Award for Concord: Shigeru Ban
https://www.fpa.es/e[...]
[26]
간행물
『JA』
2001
[27]
간행물
日経アーキテクチュア
2013
[28]
웹사이트
Shiberu Ban, Profile
http://www.shigeruba[...]
Shigeru Ban Architects
[29]
웹사이트
坂 茂
http://www.jia.or.jp[...]
日本建築家協会
[30]
웹사이트
NYS Professions - Online Verifications
http://www.nysed.gov[...]
[31]
간행물
「ジョン・ヘイダックからの試行」
2017
[32]
간행물
『紙の建築 行動する』
1998
[33]
간행물
2008
[34]
문서
所定の実務経験を経ることでアメリカにおける建築士の受験資格が得られ、日本でも同様にして一級建築士試験の受験者要件を満たす。
[35]
간행물
「紙の建築」
2000
[36]
웹사이트
坂茂氏にプリツカー賞、日本人が2年連続受賞 〈追加情報あり〉 世界各国の被災地で貢献/避難シェルター(ルワンダ)
http://kenplatz.nikk[...]
日経BP
2014-03-25
[37]
웹사이트
坂茂氏 / 紙の建築 紙管利用のデザインは難民のシェルターから
http://www.com-et.co[...]
2014-12-06
[38]
웹사이트
坂茂氏にプリツカー賞、日本人が2年連続受賞 〈追加情報あり〉 紙の教会
http://kenplatz.nikk[...]
ケンプラッツ(日経BP)
2014-03-25
[39]
논문
1999
[40]
논문
2000
[41]
뉴스
被災地支援、進化する「紙管」の仮設間仕切り
https://www.nikkei.c[...]
2011-05-10
[42]
뉴스
坂茂 被災者を救う"紙の建築"(1)
http://cgi4.nhk.or.j[...]
NHK BS
2014-05-27
[43]
뉴스
http://cgi4.nhk.or.j[...]
2015-06
[44]
웹사이트
坂茂氏にプリツカー賞、日本人が2年連続受賞 〈追加情報あり〉東日本大震災でも被災者を支援
http://kenplatz.nikk[...]
日経BP
2015-09-15
[45]
웹사이트
1995/H7 《41st》
http://macs.mainichi[...]
2014-06-12
[46]
웹사이트
坂茂:略歴 Shigeru Ban : biography
https://jp.toto.com/[...]
TOTO
2024-12-03
[47]
웹사이트
関西建築家大賞歴代受賞者及び受賞作品
http://park18.wakwak[...]
2014-06-12
[48]
웹사이트
JIA新人賞
http://www.jia.or.jp[...]
2014-06-12
[49]
웹사이트
平成23年度芸術選奨 受賞者及び贈賞理由
http://www.bunka.go.[...]
文化庁
2014-11-30
[50]
간행물
建築家・坂茂、ポンピドー・センター・メッツを語る。
大分県報
2012
[51]
논문
ポンピドゥ・センター・メス
2023
[52]
간행물
新建築
2005
[53]
웹사이트
Announcement: Shigeru Ban
https://www.pritzker[...]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2024-11-19
[54]
간행물
JA
2013
[55]
웹사이트
Shigeru Ban Architects, Partners
http://www.shigeruba[...]
2016-04-25
[56]
간행물
大分県報
2012
[57]
웹사이트
NPO法人の詳細情報
https://www.npo-home[...]
2016-04-25
[58]
웹사이트
東日本大地震 津波 支援プロジェクト - 避難所間仕切りシステムの必要性
http://www.shigeruba[...]
坂茂建築設計
2016-04-25
[59]
웹사이트
東日本大地震 津波 支援プロジェクト - 東日本大震災 避難所用間仕切りシステム4
http://www.shigeruba[...]
坂茂建築設計
2016-04-25
[60]
웹사이트
避難所用簡易間仕切りシステム4
http://www.shigeruba[...]
坂茂建築設計
2014-12-22
[61]
웹사이트
紙管を使った建築で被災地を支援する 世界的建築家・坂茂
https://crea.bunshun[...]
文藝春秋
2013-02-23
[62]
웹사이트
避難所用間仕切りシステムの提供について
http://www.shigeruba[...]
坂茂建築設計
2016-04-25
[63]
뉴스
紙と布で作った間仕切りを避難所に設置
http://www3.nhk.or.j[...]
2016-04-24
[64]
뉴스
熊本の避難所に布の仕切り 坂茂さん代表の NPO が設置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6-04-24
[65]
웹사이트
Form Finding, Not Form Making -
https://www.world-ar[...]
2022-05-23
[66]
웹사이트
建築家 坂茂さん(高27回)特別講演会のご案内(2024/3/31開催)終了
https://www.seikei-a[...]
一般社団法人 成蹊会
2024-12-03
[67]
웹사이트
世界で闘う 坂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10-06
[68]
웹사이트
Shigeru Ban Given Princess of Asturias Award for Concord -
https://www.world-ar[...]
2024-12-03
[69]
웹사이트
『SHIGERU BAN』坂 茂【著】ファイドン(2005/06発売)(中略)商品コード 9784902593150
https://www.kinokuni[...]
2024-12-03
[70]
웹사이트
『SHIBERU BAN』坂 茂【著】ファイドン(2005/06発売)、サイズ B4判/ページ数 : 240p/高さ 29cm、商品コード : 9784902593150(後略)
https://www.kinokuni[...]
紀伊國屋書店
2024-12-04
[71]
웹사이트
坂茂:建築家
https://park.org/Jap[...]
VAN - Voluntary Architects' Network
2024-12-04
[72]
웹사이트
坂 茂 - 作品づくりと社会貢献の両立をめざして:東西アスファルト事業協同組合
https://www.tozai-as[...]
2024-12-03
[73]
서적
設計演習II:課題「プログラムの変容と再構築」
http://www.arch.cst.[...]
日本大学
[74]
웹사이트
プロフィール
http://www.shigeruba[...]
2016-04-25
[75]
웹사이트
Japan car Designs for the crowded globe 飽和した世界のためのデザイン
http://japancar.desi[...]
2016-04-25
[76]
웹사이트
坂 茂
https://www.kyoto-ar[...]
京都芸術大学
2024-12-03
[77]
웹사이트
Cite Musicale Competition Winning Proposal
https://www.world-ar[...]
[78]
웹사이트
SFC Open Research Forum 2021
https://orf.sfc.keio[...]
慶應義塾大学湘南藤沢事務室 ORF事務局
2024-12-03
[79]
웹사이트
藤沢キャンパス(SFC)βヴィレッジ
https://b-village.sf[...]
慶應義塾大学湘南
2024-12-03
[80]
보도자료
4月から芝浦工業大学の教授に就任する建築家 坂茂氏と本学学生によるトルコ・シリア大地震支援プロジェクト
https://www.shibaura[...]
芝浦工業大学
2024-12-03
[81]
웹사이트
建築家の坂茂氏が国家功労勲章を受章
https://jp.ambafranc[...]
駐日フランス大使館
2012-04-12
[82]
웹사이트
世界が注目!紙の建築、災害住宅... "役に立つ建築"に挑み続ける男!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2013-06-13
[83]
웹사이트
“建築のノーベル賞”米プリツカー賞に坂茂氏 災害支援「紙の住宅」評価
http://sankei.jp.msn[...]
2014-03-25
[84]
웹사이트
素材の可能性 切り開く建築家 坂茂さん プリツカー賞
http://sankei.jp.msn[...]
2014-04-03
[85]
웹사이트
坂茂さんにプリツカー賞:「疲れを知らない建築家」
http://www.asahi.com[...]
2014-06-12
[86]
웹사이트
坂茂さんに「プリツカー賞」:建築界のノーベル賞が贈られた理由とは
https://www.huffingt[...]
2014-03-24
[87]
웹사이트
坂茂氏にプリツカー賞、日本人が2年連続受賞 〈追加情報あり〉
http://kenplatz.nikk[...]
2014-03-24
[88]
웹사이트
朝日賞 2014(平成26)年度 受賞者一覧
https://www.asahi.co[...]
2016-05-24
[89]
웹사이트
平成29年秋の褒章 受章者 東京都
https://www8.cao.go.[...]
内閣府
2017-11-03
[90]
웹사이트
建築家・坂茂さんにマザー・テレサ社会正義賞 日本人初
https://www.asahi.co[...]
[91]
웹사이트
建築家・坂茂氏が台南市の名誉市民に 美術館設計で文化貢献
http://japan.cna.com[...]
フォーカス台湾
[92]
웹사이트
「難民や被災者に仮設住居を提供」 坂茂氏:読売国際協力賞
https://info.yomiuri[...]
[93]
웹사이트
Shigeru Ban Given Princess of Asturias Award for Concord -
https://www.world-ar[...]
2022-07-07
[94]
웹사이트
Shigeru Ban, Princess of Asturias Award for Concord
https://www.fpa.es/e[...]
[95]
뉴스
「世界文化賞」建築家 坂茂さんが受賞 災害支援にも取り組む
https://www3.nhk.or.[...]
NHK
2024-09-10
[96]
웹사이트
Shigeru Ban Architects - Tokyo, Japan
https://www.world-ar[...]
[97]
간행물
[98]
간행물
[99]
간행물
[100]
간행물
[101]
간행물
新建築社
1996-12
[102]
간행물
[103]
간행물
[104]
간행물
[105]
간행물
[106]
간행물
『新建築』
1998
[107]
간행물
『新建築』
1999
[108]
간행물
『JA』
2000
[109]
서적
ジーシー大阪営業所ビル
2023
[110]
서적
無印良品×坂茂「5 家具の家」
2013
[111]
서적
家具の家 No.1
2023
[112]
간행물
はだかの家 坂茂建築設計--柔らかな光に包み込まれた開放感ある大空間
2001
[113]
간행물
作品 The Case Study House-10 はだかの家
2002
[114]
서적
WOOD
2005
[115]
서적
今井病院付属託児所
2023
[116]
서적
BAMBOO
2005
[117]
서적
竹の家具の家
2023
[118]
서적
今井篤記念体育館
2023
[119]
간행물
『新建築』
2003
[120]
웹사이트
Paper Art Museum
https://www.world-ar[...]
2024-12-03
[121]
간행물
ブルゴーニュ運河博物館〔含 解説:紙管とL字形アングル〕
2006
[122]
간행물
特集 大架構の建築
2008
[123]
간행물
紙の仮設スタジオ(PTS-17)--〔含 展示物としてのパリ仮設事務所〕
2005
[124]
웹사이트
Ovaless House
https://www.world-ar[...]
2024-12-03
[125]
웹사이트
Villa Vista
https://www.world-ar[...]
2024-12-03
[126]
웹사이트
エルメス「ホーム・コレクション」は坂茂氏設計の"家"で
https://messe.nikkei[...]
日本経済新聞社
2011-06-02
[127]
웹사이트
Pavillon « Information
http://www.rietberg.[...]
Museum Rietberg
2024-11-18
[128]
웹사이트
Film: Shigeru Ban builds Pavilion - Japanese, Museum Rietberg Zürich
http://www.plattner.[...]
ManuMente Productions
2024-11-19
[129]
웹사이트
Foyer
https://rietberg.ch/[...]
Museum Rietberg
2024-11-19
[130]
간행물
Tamedia New Office Building
2013
[131]
서적
大分県立美術館(OPAM)
2023
[132]
간행물
3次元曲面で構成された木造スペースフレーム アスペン美術館
2014
[133]
서적
女川駅+ゆぽっぽ
2023
[134]
서적
静岡県富士山世界遺産センター
2023
[135]
웹사이트
SHONAI HOTEL SUIDEN TERRASSE
https://www.suiden-t[...]
2024-11-18
[136]
웹사이트
台南美術館あす開館 日本時代庁舎再利用の1号館、2号館は坂氏設計
http://japan.cna.com[...]
2019-01-26
[137]
서적
Voluntary Architects' Network─建築をつくる。人をつくる。
[138]
서적
2000
[139]
서적
紙への試行
2017
[140]
간행물
ギャラリー・間叢書
1999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서적
Rizzoli
[145]
웹사이트
スーパープレゼンテーション これまでの放送 5月14日放送
http://www.nhk.or.jp[...]
NHK
2014-12-16
[146]
웹사이트
番組詳細 ASIAN VOICES「被災者を救う“紙の建築” 坂茂」
https://pid.nhk.or.j[...]
NHKネットクラブ
2015-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