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철수의 음악캠프 20년 그리고 100장의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철수의 음악캠프 20년 그리고 100장의 음반"은 라디오 프로그램 "배철수의 음악캠프" 20주년을 기념하여 선정된 100장의 음반 목록을 다룬다. 이 목록은 195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의 팝 음악 명반들을 시대별로 묶어 소개하며, 각 시대를 대표하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을 포함한다. 1950~60년대 로큰롤, 1970년대 펑크와 디스코, 1980년대 뉴 웨이브와 헤비메탈, 1990년대 얼터너티브 록, 2000년대 힙합 등 각 시대를 대표하는 음반들을 망라하여 음악적 흐름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음악 관련 도서 - 익숙한 그집앞
익숙한 그집앞은 유희열이 작사, 작곡, 프로듀싱, 연주, 아트 디렉터, 디자인을 담당하고 함춘호 등 여러 뮤지션들이 참여하여 어린 시절, 친구, 가족, 사랑, 음악, 외로움, 생각 등을 주제로 다룬 앨범이다. - 음반 목록 -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
가슴네트워크가 2007년 발표한 한국 대중음악 명반 목록인 {{항목 이름}}은 52명의 음악 전문가 추천을 바탕으로 순위를 매겨 들국화의 《행진》을 1위로 선정,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중요한 음반들을 재조명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음반 목록 -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
《롤링 스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은 음악 잡지 《롤링 스톤》에서 발표하는 음악 목록으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여러 차례 수정되었으며, 최초 목록 1위는 비틀즈의 음반이었으나 2020년 개정판에서는 마빈 게이의 음반이 1위를 차지했다.
배철수의 음악캠프 20년 그리고 100장의 음반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책 정보 | |
제목 | 배철수의 음악캠프 20년 그리고 100장의 음반 |
저자 | 배철수, 배순탁 (글) 남무성, 양동문 (그림)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주제 | 팝음악 명반 100장 |
장르 | 교양서 |
출판사 | 예담 |
발행일 | 2010년 |
판본 | 반 양장본 |
페이지 | 510 |
2. 목록
2. 1. 1950년대 ~ 1960년대
1950년대와 1960년대는 로큰롤의 탄생과 발전, 브리티시 인베이전, 사이키델릭 록 등 다양한 장르가 등장하며 팝 음악의 황금기를 이룬 시기이다.주요 음반
- 엘비스 프레슬리 - 엘비스 프레슬리 1956
- Kind of Blue - 마일스 데이비스 1959
- Getz/Gilberto - 스탄 게츠 & 주앙 지우베르투 1963
- Highway 61 Revisited - 밥 딜런 1965
- Fresh Cream - 크림 1966
- If You Can Believe Your Eyes and Ears - 마마스 & 파파스 1966
- Pet Sounds - 비치 보이스 1966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비틀스 1967
- The Doors - 도어스 1967
-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 벨벳 언더그라운드 1967
- Blood Sweat & Tears - 블러드 스웻 앤 티어스 1968
- In-A-Gadda-Da-Vida - 아이언 버터플라이 1968
- The Beatles - 비틀즈 1968
- Astral Weeks - 밴 모리슨 1968
- Stand!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1969
2. 1. 1. 주요 음반
엘비스 프레슬리 - 엘비스 프레슬리 1956Kind of Blue - 마일스 데이비스 1959
Getz/Gilberto - 스탄 게츠 & 주앙 지우베르투 1963
Highway 61 Revisited - 밥 딜런 1965
Fresh Cream - 크림 1966
If You Can Believe Your Eyes and Ears - 마마스 & 파파스 1966
Pet Sounds - 비치 보이스 1966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 비틀스 1967
The Doors - 도어스 1967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 벨벳 언더그라운드 1967
Blood Sweat & Tears - 블러드 스웻 앤 티어스 1968
In-A-Gadda-Da-Vida - 아이언 버터플라이 1968
The Beatles - 비틀즈 1968
Astral Weeks - 밴 모리슨 1968
Stand!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1969
2. 2. 1970년대
하드 록, 프로그레시브 록, 펑크(funk), 디스코 등 다양한 장르가 발전하고, 싱어송라이터들의 활약이 두드러진 시기였다.사이먼 앤 가펑클의 Bridge over Troubled Water(1970), 블랙 사바스의 Paranoid(1970), 레드 제플린의 Led Zeppelin IV(1971), 핑크 플로이드의 The Dark Side of the Moon(1973)과 The Wall(1979), 퀸의 A Night at the Opera(1975), 이글스의 Hotel California(1976), 섹스 피스톨스의 Never Mind the Bollocks Here's the Sex Pistols(1977) 등 다수의 명반이 포함되어 있다.
2. 2. 1. 주요 음반
사이먼 앤 가펑클의 Bridge over Troubled Water(1970), 블랙 사바스의 Paranoid(1970), 레드 제플린의 Led Zeppelin IV(1971), 핑크 플로이드의 The Dark Side of the Moon(1973)과 The Wall(1979), 퀸의 A Night at the Opera(1975), 이글스의 Hotel California(1976), 섹스 피스톨스의 Never Mind the Bollocks Here's the Sex Pistols(1977) 등 다수의 명반이 포함되어 있다.2. 3. 1980년대
1980년대는 뉴 웨이브, 신스팝, 헤비메탈 등 새로운 장르가 등장하고, MTV의 등장으로 음악 산업이 시각적인 요소를 중시하게 된 시기이다.AC/DC의 Back in Black(1980), 그로버 워싱턴 주니어의 Winelight(1980), 듀란 듀란의 Rio(1982), 마이클 잭슨의 Thriller(1982), 토토의 Toto Ⅳ(1982), 폴리스의 Synchronicity(1983), 반 헤일런의 1984(1984), 밥 말리의 Legend(1984), 마돈나의 Like a Virgin(1984), 프린스의 Purple Rain(1984), 다이어 스트레이츠의 Brothers in Arms(1985), 필 콜린스의 No Jacket Required(1985), 휘트니 휴스턴의 Whitney Houston(1985), 본 조비의 Slippery When Wet(1986), 건스 앤 로지스의 Appetite for Destruction(1987), 조지 마이클의 Faith(1987), 데프 레퍼드의 Hysteria(1987), U2의 The Joshua Tree(1987) 등이 주요 음반으로 선정되었다.
2. 3. 1. 주요 음반
AC/DC의 Back in Black(1980), 그로버 워싱턴 주니어의 Winelight(1980), 듀란 듀란의 Rio(1982), 마이클 잭슨의 Thriller(1982), 토토의 Toto Ⅳ(1982), 폴리스의 Synchronicity(1983), 반 헤일런의 1984(1984), 밥 말리의 Legend(1984), 마돈나의 Like a Virgin(1984), 프린스의 Purple Rain(1984), 다이어 스트레이츠의 Brothers in Arms(1985), 필 콜린스의 No Jacket Required(1985), 휘트니 휴스턴의 Whitney Houston(1985), 본 조비의 Slippery When Wet(1986), 건스 앤 로지스의 Appetite for Destruction(1987), 조지 마이클의 Faith(1987), 데프 레퍼드의 Hysteria(1987), U2의 The Joshua Tree(1987) 등이 주요 음반으로 선정되었다.2. 4. 1990년대
1990년대는 얼터너티브 록, 그런지, 브릿팝, R&B, 힙합 등 다양한 장르가 공존하며 음악적 다양성이 확대된 시기였다.Mariah Carey - 머라이어 캐리 1990
Metallica - 메탈리카 1991
Nevermind - 너바나 1991
Ten - 펄 잼 1991
Unplugged - 에릭 클랩튼 1992
Crazysexycool - TLC 1994
Dookie - 그린 데이 1994
Parklife - 블러 1994
Superunknown - 사운드가든 1994
Mellon Collie and the Infinite Sadness - 스매싱 펌킨스 1995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 오아시스 1995
Tragic Kingdom - 노 다웃 1995
Come on Over - 셔나이어 트웨인 1997
OK Computer - 라디오헤드 1997
Urban Hymns - 버브 1997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 로린 힐 1998
Supernatural - 산타나 1999
2. 4. 1. 주요 음반
Nevermind - 너바나 1991Ten - 펄 잼 1991
Dookie - 그린 데이 1994
Parklife - 블러 1994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 오아시스 1995
OK Computer - 라디오헤드 1997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 로린 힐 1998
2. 5. 2000년대
2000년대는 힙합, R&B가 주류 음악으로 자리 잡고, 인터넷의 발달로 음악 소비 방식이 변화한 시기이다.- Chocolate Starfish and Hot Dog Flavored Water - 림프 비즈킷 (2000년)
- Hybrid Theory - 린킨 파크 (2000년)
- The Marshall Mathers LP - 에미넴 (2000년)
- A Rush of Blood to the Head - 콜드플레이 (2002년)
- Come Away with Me - 노라 존스 (2002년)
- Speakerboxxx / The Love Below - 아웃캐스트 (2003년)
- Franz Ferdinand - 프란츠 퍼디난드 (2004년)
2. 5. 1. 주요 음반
Chocolate Starfish and Hot Dog Flavored Water - 림프 비즈킷 2000Hybrid Theory - 린킨 파크 2000
The Marshall Mathers LP - 에미넴 2000
A Rush of Blood to the Head - 콜드플레이 2002
Come Away with Me - 노라 존스 2002
Speakerboxxx / The Love Below - 아웃캐스트 2003
Franz Ferdinand - 프란츠 퍼디난드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