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오티아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이오티아현은 그리스 중부에 위치한 현으로, 코린토스만과 에비아만에 접해 있으며, 리바디아가 현청 소재지이다. 주요 산맥으로는 파르나소스산, 헬리콘산 등이 있으며, 과거 코파이스호가 있었으나 매립되었다. 보이오티아는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역사적으로 테베를 중심으로 보이오티아 동맹을 결성하여 페르시아 전쟁, 펠로폰네소스 전쟁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고대 그리스 신화의 배경이 되기도 하며, 헤시오도스, 핀다로스 등 유명 인물들을 배출했다. 현재는 6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과 파스타 공장, 네슬레 등 기업의 공장들이 위치하고 있다. 주요 유적지로는 오르코메노스의 고대 극장, 오시오스 루카스 수도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그리스주의 현 - 에비아현
에비아현은 그리스 중앙 그리스 지방 동부에 위치하며 에비아섬, 스키로스섬 및 주변 섬들과 본토 일부를 포함하고, 할키다를 주도로 하며, 2011년 정부 개혁으로 8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재편되어 풍부한 문화 유적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한다. - 중앙그리스주의 현 - 포키다현
포키다 현은 코린토스 만에 접해 있고 암피사를 현도로 하는 그리스의 현으로, 산악 지형이 대부분이며 1948년 프티오티다·포키다 현이 분할되어 생겨났고 2011년 개혁으로 도리다와 델피 두 개의 지자체로 개편되었으며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 중 하나이다. - 보이오티아현 - 리바디아
그리스 보이오티아주에 있는 리바디아는 트로포니우스 신탁소로 유명했던 도시이자 지방 자치 단체이며, 리바데이아 성과 헤르키나 강변, 성 게오르기우스의 머리 등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고 2011년 지방자치제 개혁으로 주변 시정촌이 통합되어 현재의 시를 형성했다. - 보이오티아현 - 플라타이아
플라타이아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로, 아테네와 동맹하여 페르시아 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 등 주요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테베에 의해 파괴와 재건을 반복했다.
보이오티아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일반 정보 | |
명칭 (현지어) |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 보이오티아스 |
유형 | 지역 단위 |
위치 | 중앙 그리스 |
중심지 | 리바디아 |
면적 | 3211 |
인구 (2021년) | 106056명 |
우편 번호 | 32x xx, 190 12 |
지역 번호 | 226x0 |
차량 번호 | BI |
웹사이트 | 보이오티아 공식 웹사이트 |
지리 | |
좌표 | 38.44° N, 22.88° E |
행정 구역 | |
자치단체 수 | 6개 |
2. 지리
보이오티아는 코린토스만과 에비아만 사이에 위치하며, 아티카, 포키스, 프티오티스, 에비아현과 접한다.[1] 파르나소스산, 헬리콘산, 키타이론산 등의 산지가 있고, 케피소스강이 중앙 저지대를 흐른다.[1] 과거에는 코파이스호가 있었으나 19세기에 매립되어 농경지가 되었다. 테베 근처에는 일리키호가 있다. 남동부는 광업 지대이다.
2. 1. 기후
보이오티아 현은 주로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서늘한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현 북부 및 동부에서는 저녁에 흐린 날씨가 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해발 1000m를 넘는 지역에서는 겨울은 춥고, 저지대보다 여름은 서늘한 기후이다.3. 역사
보이오티아는 코린토스만 북쪽 해안에 위치하여 지리적, 군사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좋은 항구가 없어 해상 발전은 더뎠다.
전설에 따르면, 미니에라는 민족이 이 지역에 거주했으며, 고고학 유적(특히 "미니아스의 보물")을 통해 그들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보이오티아의 인구는 도리아인 침략 이전 북쪽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미니에를 제외한 원주민들은 이주민들에게 흡수되었고, 이후 보이오티아인들은 동질적인 민족으로 나타났으며, 아이올리스 그리스어를 사용했다.
역사 시대에 보이오티아의 주요 도시는 테베였으며, 테베는 중심 위치와 군사적 강점을 바탕으로 수도 역할을 했다. 다른 주요 도시로는 오르코메노스, 플라타이아이, 테스피아이 등이 있었다. 테베는 다른 도시들을 하나의 국가로 통합하려 했으나, 변두리 도시들의 저항으로 종교적인 성격의 느슨한 연방이 형성되었다.
보이오티아인들은 아르카디아인들과 달리 외세에 맞서 대체로 단결된 모습을 보였지만, 도시들 간의 갈등은 국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보이오티아는 기원전 6세기 말 이전에는 역사에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그 이전에는 디필론 도자기와 유사한 기하학적 도자기를 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기원전 519년경, 플라타이아이가 테베의 연방 정책에 저항하자 아테네가 개입하여 보이오티아 징집병을 격파했다.
헤시오도스의 일과 날들은 보이오티아 경제 체제와 그 발전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보이오티아 출신 시인 헤시오도스는 장인들을 통해 쟁기와 마차를 만드는 기술적인 일을 묘사하고, 해상 상업의 시작과 그리스 경제 생활에서 중요성이 커지는 모습을 보여준다.[11]
3. 1. 기원 및 초기 역사
에피루스의 보이온 산에서 "보이오티아인"이라는 이름이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2] 보이오티아의 초기 거주민은 미니아인이라고 불렸으며, 오르코메노스와 관련이 있었다.[5] 이들은 원시 그리스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파우사니아스는 미니아인들이 해양 도시 이오니아의 테오스를 건설하고,[3] 렘노스와 테라 섬을 점령했다고 언급한다. 아르고나우트는 때때로 미니아인이라고 불렸다. 전설에 따르면 테베 시민들은 에르기누스 왕에게 매년 조공을 바쳤다.[4]
미케네 문명 시대에 보이오티아는 번영했으며, 특히 오르코메노스와 테베의 유적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3. 2. 보이오티아 동맹
고대 그리스 시대에 보이오티아 지방은 테바이(테베)를 중심으로 방위 동맹을 결성했다. 보이오티아는 코린토스만 북쪽 해안에 위치하여 지리적, 군사적, 정치적으로 중요했지만, 좋은 항구가 없어 해상 발전은 더뎠다. 보이오티아인들은 아이올리스 그리스어를 사용했으며, 도시 간 갈등에도 불구하고 외세에 맞서 단결했다.옥시린쿠스 헬레니카에 따르면, 기원전 395년 보이오티아 동맹은 11개의 도시 및 읍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도시는 1명의 보이오타르크(군사 및 외교 장관)를 선출하고 테베의 연방 평의회에 대표 60명을 파견했다. 또한, 연방군에 보병 1,000명과 기병 100명을 파견했다.[14] 중앙 정부의 과도한 침해를 막기 위해 각 도시 평의회에 중요한 정책 문제를 제출하여 비준받도록 했다. 이 평의회는 재산이 있는 계급만 참여할 수 있었고, 4개의 구획으로 나뉘어 모든 새로운 조치를 차례로 투표했다.[14]
테베는 원래 보이오타르크 2명을 파견했지만, 기원전 395년에는 정복한 지역을 포함하여 4명을 파견했다. 오르코메노스, 휘시아이, 타나그라는 각각 1명을, 테스피아이, 티스베, 유트레시스는 공동으로 2명을 파견했다. 할리아르투스, 레바데아, 코로네아와 아크라이피아, 코파에, 카이로네아는 각각 1명씩 번갈아 파견했다.[15]
보이오티아 동맹의 총 군사력은 보병 11,000명과 기병 1,100명이었다.[16] 존 빈틀리프는 총 인구를 165,500명(노예 33,100명 포함)으로, 모겐스 헤르만 한센은 최대 250,000명으로 추정했다.[16][17]
도시 | 보이오타르크 수 | 연방 평의회 대표 수 | 연방군 (보병) | 연방군 (기병) |
---|---|---|---|---|
테베 | 4 | 240 | 4,000 | 400 |
오르코메노스, 휘시아이, 타나그라 | 1 | 60 | 1,000 | 100 |
테스피아이, 티스베, 유트레시스 | 2 | 120 | 2,000 | 200 |
할리아르투스, 레바데아, 코로네아, 아크라이피아, 코파에, 카이로네아 | 1 | 60 | 1,000 | 100 |
3. 3. 페르시아 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
페르시아 전쟁에서 테베는 페르시아 제국 편에 서서 아테네와 맞섰다. 이 때문에 테베는 동맹의 주도권을 잃기도 했다.[22]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침공 당시 테베는 페르시아를 지원했고, 그 결과 한동안 보이오티아 동맹의 의장직을 박탈당했다. 그러나 기원전 457년 스파르타는 타나그라 전투 이후 아테네의 침략에 대한 방어벽으로 테베를 다시 복원했다. 아테네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보이오티아를 급습하여 오이노피타 전투에서 승리하고, 스파르타가 건설한 벽을 허물고 전 지역을 장악했다. 또한 분쟁 지역인 포키스와 오푼티아 로크리스도 점령했다.[13] 이후 10년 동안 이 지역은 아테네의 통제를 받았지만, 기원전 447년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켜 코로네이아 전투에서 승리하고 독립을 되찾았다.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보이오티아인들은 아테네에 맞서 열정적으로 싸웠다. 비록 니키아스 평화 이후 스파르타와 약간 소원해졌지만, 이웃에 대한 적대감은 멈추지 않았다. 시라쿠사와 아르기누사이 해전 등 펠로폰네소스 전쟁 마지막 해에 큰 공을 세웠지만, 가장 큰 업적은 델리움 전투 (기원전 424년)에서 아테네 군대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것이었다. 이 전투에서 보이오티아의 중장보병과 기병은 모두 뛰어난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3. 4. 기원전 4세기와 헬레니즘 시대
코린토스 전쟁에서 보이오티아는 스파르타에 대항하여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할리아르투스 전투와 코로네이아 전투 (기원전 395–394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22] 이러한 정책 변화는 주로 외세 간섭에 대한 대중의 불만 때문이었다. 그러나 테베에 대한 불만이 커져갔고, 스파르타는 안탈키다스의 평화 (기원전 387년)에서 모든 도시의 완전한 독립을 주장하며 이러한 감정을 부추겼다. 기원전 374년, 펠로피다스가 테베의 지배력을 회복했다. 보이오티아 병력은 에파미논다스가 스파르타에 대항하여 벌인 모든 전투에 참여했으며, 특히 기원전 371년의 레욱트라 전투와 제3차 신성 전쟁 (기원전 356–346년)에서 포키스에 대항하여 싸웠다. 한편, 필리포스 2세와의 관계에서 도시들은 테베를 따랐다.카이로네이아 전투 이후, 보이오티아 중장보병이 다시 한번 두각을 나타냈지만, 그 이후로 이 지역은 다시 번영하지 못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한 테베의 파괴(기원전 335년)는 보이오티아인들의 정치력을 붕괴시켰다. 그들은 다시는 독립적인 정책을 추구하지 못하고, 보호 세력의 지휘를 따랐다. 군사 훈련과 조직은 계속되었지만, 사람들은 국경을 방어할 수 없었다. 보이오티아는 잠시 아이톨리아 동맹에 가입했지만(기원전 245년경), 일반적으로 마케도니아에 충성했고, 로마에 맞서 후기 왕들을 지지했다. 로마는 기원전 171년에 이 동맹을 해체했지만, 아우구스투스 아래에서 부활하여 아카이아 동맹의 다른 중앙 그리스 연맹과 합병되었다. 이 나라의 번영에 대한 치명적인 타격은 제1차 미트리다테스 전쟁 동안의 황폐화로 가해졌다.
3. 5. 중세와 근대

아테네를 다스린 프랑크족 통치자들 (1205–1310)의 짧은 번영기를 제외하고 보이오티아는 지하 배수 채널(καταβόθρα|카타보트라el)을 복구하고 농업을 장려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야만족의 침입으로 악화된 쇠퇴 상태를 오랫동안 지속했다.[22] 이 지역의 회복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1895년, 코파이스 호수의 배수 채널이 다시 가동되면서 시작되었다.[22]
4. 행정 구역
보이오티아현은 1836년, 1899년, 1943년에 설치되었으며, 세 번 모두 아티카-보이오티아 현에서 분리되었다.
그리스의 주는 다음과 같았다.
4. 1. 현
보이오티아현은 2011년 칼리크라티스 정부 개혁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이전의 보이오티아 현과 동일한 영토를 가지고 있다.[18] 보이오티아 현은 다음 6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다.[18]신 시정촌 | 구 시정촌 및 코뮌 | 소재지 |
---|---|---|
알리아르토스-테스피에스 | 알리아르토스 | 알리아르토스 |
테스피아이 | ||
디스토모-아라호바-안티키라 | 디스토모 | 디스토모 |
아라호바 | ||
안티키라 | ||
리바디아 | 리바디아 | 리바디아 |
다블레야 | ||
코로네이아 | ||
키리아키 | ||
카이로네이아 | ||
오르코메노스 | 오르코메노스 | 오르코메노스 |
아크라이프니아 | ||
타나그라 | 타나그라 | 스키마타리 |
데르베노코리아 | ||
오이노피타 | ||
스키마타리 | ||
테베 (티바) | 테베 | 테베 |
바기아 | ||
디스비 | ||
플라타이에스 |
5. 경제
보이오티아는 농업이 발달한 지역이며, 특히 파스타 제조업체인 미스코(MISKO)의 공장이 위치해 있다. 미스코는 바릴라 그룹의 계열사로, 2001년에 보이오티아에 유럽에서 세 번째로 큰 파스타 공장을 건설했다.[19] 네슬레와 비오할코 등 그리스와 유럽의 대기업들도 보이오티아의 이노피타에 공장을 두고 있다.
6. 문화
보이오티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의 주요 배경이었다. 미케네 문명 시대(기원전 1600년~1200년)에 미케네인들이 보이오티아에 정착하면서 테베는 중요한 도시로 성장했다. 이 지역과 관련된 주요 신화는 다음과 같다.
- 에로스: 테스피아이에서 풍요를 기원하는 숭배를 받았다.
- 헬리콘 산의 무사: 예술과 학문의 여신들.
- 오귀게스와 오기기아 대홍수
- 카드모스: 테베를 건설하고 그리스에 알파벳을 가져왔다고 전해진다.
- 디오니소스와 세멜레
- 나르키소스
- 헤라클레스: 테베 출신.
- 테베의 순환: 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 신화, 테베 공략 7장수 포함.
- 안티오페와 그녀의 아들 암피온과 제토스
- 니오베
- 오리온: 보이오티아 출신으로, 지역 강 신의 딸들과 50명의 아들을 두었다고 한다.
이러한 신화들은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등 그리스 비극 시인들의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아이스킬로스의 ''테베 공략 7장수'',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 ''안티고네''(테베 비극으로 알려짐), 에우리피데스의 ''바카이'', ''페니키아 여인들'', ''탄원자'', ''헤라클레스'' 등이 있다.
보이오티아는 레바데이아에 있는 고대 신탁 신전인 트로포니우스 신전으로도 유명했다. 또한, 보이오티아의 고대 도시 그라이아는 영어 단어 ''Greece''와 ''Greeks''의 어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헤시오도스, 핀다르, 플루타르코스와 같은 훌륭한 인물들이 보이오티아 출신이다. 한편, 프랑스에서는 베오티앵("보이오티아인")이라는 용어가 속물 근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6. 1. 주요 유적지

1880년부터 1886년까지, 하인리히 슐리만은 오르코메노스에서 발굴을 진행하여, 그가 "미니아스의 무덤"이라고 부른 미케네 시대의 유물을 발견했다. 이는 미케네의 원형 무덤인 아테우스의 보물고에 필적하는 것이었다. 1893년에는 A. 드 리더가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을 발굴했으며, 로마 시대의 묘지에서 몇몇 매장을 발견했다. 1903년부터 1905년까지, 하인리히 불레와 아돌프 푸르트벵글러가 이끄는 바이에른 고고학 탐사대가 이 지역에서 성공적인 발굴을 수행했다. 1970년부터 1973년까지, 테오도르 스피로풀로스가 이끄는 고고학 연구팀은 미케네 시대의 궁전, 선사 시대의 묘지, 고대 원형극장 및 기타 구조물들을 발굴했다.
- 오시오스 루카스 수도원(디스토모-아라호바-안티키라)
: 디스토모 교외에 있는 동방 정교회 수도원. 세계 유산 "다프니 수도원, 오시오스 루카스 수도원, 히오스 섬의 네아 모니 수도원"을 구성한다.[1]
- 파르나소스 산
: 파르나소스 산지에는 스키장이 정비되어 있다. 또한, 하계에는 등산도 이루어지며, 그리스에서도 유수의 리조트지로 꼽힌다.[2]
- Arachova|아라호바영어 (디스토모-아라호바-안티키라)
: 급경사면에 지어진 마을로,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다.[3]
7.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Boeotia ! Greece, Map, Location, & Hi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0-08
[2]
서적
History of the language sciences: an international handbook on the evolutio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3]
문서
Pausanias.Description of Greece 7.3.6
[4]
문서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Bibliotheke]] 2.4.11 records the origin of the Theban tribute as recompense for the mortal wounding of [[Clymenus]], king of the Minyans, with a cast of a stone by a charioteer of [[Menoeceus]] in the precinct of Poseidon at Onchestus; the myth is also reported by [[Diodorus Siculus]], 4.10.3."
[5]
문서
"harvnb|Cambitoglou|Descœudres|1990|p=7 under Excavations in the Region of Pylos by George S. Korrés"
[6]
서적
Archaic Greece. The Greek city-states 700-500 BC
Ernest Benn Ltd. London & Tonbridge
[7]
웹사이트
The Parian marble. Entry No 5: "When [[Amphictyon]] son of [[Hellen]] became king of [[Thermopylae]] brought together those living round the temple and named them ''Amphictyones''; Entry No 6: Graeces-Hellenes
http://www.ashmolean[...]
[8]
서적
Archaic Greece. The Greek city states c. 700-500 B.C
Ernest Benn Ltd. London & Tonbridge
[9]
서적
The Merriam-Webster New Book of Word Histories
Merriam-Webster
1991-01-01
[10]
간행물
Some Greek Stereotypes of other Peoples
SAGE Publications
1959-04
[11]
간행물
The Age of Hesiod: A Study in Economic History
1924-04
[12]
서적
A history of Boeotia
Th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13]
서적
The Ancient Greeks: A Critical Histo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4]
문서
Thucydides (v. 38), in speaking of the "four councils of the Boeotians," is referring to the plenary bodies in the various states. (Chisholm 1911)
[15]
문서
Nick Sekunda, The Ancient Greeks, p.27
[16]
문서
Bintliff 1985, 141-43.
[17]
서적
The shotgun method : the demography of the ancient Greek city-state culture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6
[18]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Greece)
[19]
웹사이트
Καλώς ήρθατε στην MISKO
http://www.miskocare[...]
2010-10-03
[20]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miskocare[...]
2010-10-03
[21]
웹사이트
デルフィ周辺の旅
http://www.visitgree[...]
ギリシャ政府観光局
[22]
서적
헨드릭 W. 반 룬, 반 룬의 지리학, 109~110쪽, 2011년, 도서출판 아이필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