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사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경 사본은 히브리어 성경(타나크)과 신약 성경을 포함하며, 다양한 언어와 판본으로 존재한다. 타나크 사본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사해 문서이며, 신약 성경은 5,800여 점 이상의 그리스어 필사본을 포함하여 다양한 언어로 된 방대한 사본이 존재한다. 사본은 필사 형태에 따라 분류되며, 고문서학을 통해 연대를 측정한다. 18세기부터 성경 사본 목록화 작업이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그레고리-알란트 번호가 사용된다. 본문 비평은 원본에 가까운 본문을 재구성하기 위해 사본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다양한 사본을 비교 분석하여 원본에 가까운 본문을 도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경 사본 - 축자영감설
축자영감설은 기독교 근본주의에서 성경 원본이 하나님의 영감으로 쓰인 글자와 문장으로 구성되어 문자적으로 오류가 없다고 보는 성경관이지만, 종교개혁자들과 초기 개신교 신학계에서 거부되었고 현대에는 여러 문제점으로 비판받는다. - 성경 사본 - 사해 문서
사해 문서는 1946년에서 1956년 사이 사해 인근 동굴에서 발견된 고대 필사본 모음으로,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등으로 기록되었으며 성경 본문, 외경, 위경, 쿰란 공동체의 규칙과 신앙을 담은 교단 문서들을 포함하여 성경 텍스트의 역사와 초기 유대교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본문 연구 - 판본
판본은 원래 목판 인쇄를 의미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인쇄 방식과 대량생산품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내용 변경, 장정, 크기, 출판 정보, 미디어 종류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고, 서지학적 관점과 수집가의 관점에 따라 그 정의가 다르게 적용되며, 문학 작품에서는 내용이 유사하나 차이가 있는 여러 종류의 책을 이본이라 하고 원본에 가장 가까운 것을 정본으로 본다. - 본문 연구 - 문헌학
문헌학은 텍스트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언어 관계, 원본 복원, 고대 문서 해독 등을 연구하며, 비교언어학, 텍스트 비평 등의 분과로 나뉘고, 텍스트에 대한 비판과 언어학적 직관의 중요성 강조 등의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
성경 사본 | |
---|---|
성경 사본 | |
![]() | |
개요 | |
유형 | 필사본 |
관련 문서 | 성경 신약성경 구약성경 |
특징 | |
재료 | 파피루스 양피지 |
언어 |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라틴어 시리아어 기타 고대 언어 |
시대 | 기원전 ~ 15세기 |
중요 사본 | |
구약 성경 | 사해 문서 카이로 게니자 사본 |
신약 성경 | 파피루스 52 체스터 비티 파피루스 보드머 파피루스 시나이 사본 바티칸 사본 알렉산드리아 사본 에브라임 재기록 사본 베자 사본 워싱턴 사본 코덱스 페트로폴리타누스 푸르푸레우스 코덱스 산갈렌시스 코덱스 코로니엔시스 클레르몽 사본 |
2. 히브리어 성경 (타나크) 사본
타나크의 사본 중 가장 오래된 것들로는 알레포 사본 (920년경) 및 레닌그라드 사본 (1008년경)을 예로 들 수 있다. 1947년 쿰란에서 발견된 사해 문서로 인해, 타나크 사본의 역사는 두 완전판 고본보다 1000년을 거슬러 올라갔다. 이 발견 이전에는, 가장 오래된 현존 사본으로는 바티칸 사본 및 시나이 사본 등 그리스어 사본이었다.[17]
쿰란에서 발견된 800여 개의 사해 문서 사본 중에, 220개가 타나크였다. 에스델서를 제외한 타나크의 각 권들이 있었으나 대부분 일부분 만이 존재한 상태였다. 주목할 만한 부분으로, 이사야서의 두 종의 스크롤이 있었다. 완전하게 보존된 판(1QIsa)과 75% 정도 보존된 (1QIsb)이 그것이다. 이들 사본은 기원전 150년에서 70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다.[17]
2. 1. 현존하는 타나크 사본
1947년 쿰란에서 사해 문서가 발견되기 전까지, 타나크의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사본은 알레포 사본(서력 920년경)과 레닌그라드 사본(서력 1008년경)이었다. 사해 문서의 발견으로 타나크 사본의 역사는 1000년이나 거슬러 올라가게 되었다. 쿰란에서 발견된 800여 개의 사본 중 220개가 타나크 사본이었으며, 에스델기를 제외한 모든 책이 발견되었으나 대부분 파편 형태였다. 특히 이사야서 두루마리 두 개가 발견되었는데, 하나는 완전한 형태(1QIsa)이고 다른 하나는 75% 정도 보존된 형태(1QIsb)였다. 이 사본들은 기원전 150년에서 서기 70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17]
현존하는 타나크 사본은 다음과 같이 판본별로 정리할 수 있다.
판본 | 발견된 예 | 언어 | 작성 연대 | 가장 오래된 사본 |
---|---|---|---|---|
은 문서 | 페니키아-히브리어 | 기원전 650–587년 | 기원전 650–587년[18] (애뮬럿과 함께 민수기에 기록된 제사장 축복(Priestly Blessing)가 출토) | |
사해 문서 |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 대략 기원전 150년 ~ 기원후 70년 | 대략 기원전 150년 ~ 기원후 70년 (단편) | |
칠십인역 | 바티칸 사본, 시나이 사본 및 몇몇 이전 파피루스 사본 | 그리스어 | 기원전 300~100년 | 기원후 2세기 (단편) 4세기 (완전판) |
페시타 | 시리아어 | 5세기 초 | ||
불가타 | 아미아티누스 사본 | 라틴어 | 5세기 초 8세기 초(완전판) | |
마소라 본문 | 알레포 사본, 레닌그라드 사본 및 다른 몇가지 일부 필사본 | 히브리어 | 대략 기원후 100년 | 10세기 (완전판) |
사마리아 오경 | 사마리아 히브리어 | 기원전 200~100년 | 최고 현존 필사본은 11세기경, 학자들에게 전해진 필사본으로는 16세기 | |
타르굼 | 아람어 | 기원후 500~1000년 | 5세기 | |
콥트어 성경 | Crosby-Schøyen Codex, British Library MS. Oriental 7594 | 콥트어 | 3~4세기 |
3. 신약 성경 사본
신약 성경은 다른 고대 문서에 비해 매우 많은 필사본을 통해 전해져 내려온다. 5,800여 점의 그리스어 필사본, 10,000여 점의 라틴어 필사본, 그리고 시리아어, 슬라브어, 고트어, 에티오피아어, 콥트어, 누비아어, 아르메니아어 등 다양한 고대 언어로 작성된 9,300여 점의 사본이 존재한다.[19] 이 사본들은 이르면 125년경(요한 복음서의 가장 오래된 사본 파편인 52)부터 15세기 독일의 인쇄술 도입 시기까지 다양한 시기에 작성되었다.
이렇게 많은 신약 성경 사본이 존재하지만, 후대에 작성된 사본의 본문 구성이 고대 사본의 구성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학자들에 따르면 내용상 99.5%는 일치하지만, 철자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0.5% 정도 차이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가 신약 성경 번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현대 성경 판본에서는 각주 형태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본은 주로 수도원 같은 곳에서 보관되었는데, 이전 사본을 재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관되는 경우가 많아 불완전하거나 완결되지 않은 사본들이 많이 발견된다.[19] 활용 방안으로는 파피루스나 양피지를 깨끗이 지워 재활용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러한 사본을 팔림프세스트(palimpsest)라고 하며, 아르키메데스 팔림프세스트가 대표적이다. 파피루스는 시간이 지나면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않은 파피루스는 소각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스도의 발언이 담긴 신성한 사본은 쓰레기 구덩이에 버리는 것보다 소각하는 것이 더 경건하게 여겨졌다. 세 번째 방법은 '사본의 묘지'라고 불리는 곳에 방치하는 것이었다. 시나이 사본이 발견된 시나이의 성녀 가타리나 수도원, 베들레헴 외곽의 성 삽바스 수도원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곳에서 발견된 사본들은 기술상의 오류나 정정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본문으로 채택되지 않았다.[20] 이러한 정정은 수도원에서 필사된 문서들이 진본과 비교되었다는 증거일 수 있다.
완전한 사본은 사용하기 쉬운 곳에 배치되어 빨리 닳았기 때문에, 반복적인 필사 작업이 필요했다. 사본 제작은 필경사의 집중을 요하는 장시간의 작업이었으며, 의뢰자의 요구에 따라 사본의 크기, 필기 방식, 삽화 추가 여부 등이 결정되었다.
'''그리스어 사본의 세기별 분포'''[21]신약성경 사본 성구집 세기 파피루스 언셜체 필사본 소문자 필사본 언셜체 필사본 소문자 필사본 2세기 2 - - - - 2~3세기 5 1 - - - 3세기 28 2 - - - 3~4세기 8 2 - - - 4세기 14 14 - 1 - 4~5세기 8 8 - - - 5세기 2 36 - 1 - 5~6세기 4 10 - - - 6세기 7 51 - 3 - 6~7세기 5 5 - 1 - 7세기 8 28 - 4 - 7~8세기 3 4 - - - 8세기 2 29 - 22 - 8~9세기 - 4 - 5 - 9세기 - 53 13 113 5 9~10세기 - 1 4 - 1 10세기 - 17 124 108 38 10~11세기 - 3 8 3 4 11세기 - 1 429 15 227 11~12세기 - - 33 - 13 12세기 - - 555 6 486 12~13세기 - - 26 - 17 13세기 - - 547 4 394 13~14세기 - - 28 - 17 14세기 - - 511 - 308 14~15세기 - - 8 - 2 15세기 - - 241 - 171 15~16세기 - - 4 - 2 16세기 - - 136 - 194
3. 1. 신약 성경 사본의 특징
신약 성경은 다른 고대 문서에 비해 매우 많은 필사본을 통해 전해져 내려온다. 5,800여 점의 그리스어 필사본, 10,000여 점의 라틴어 필사본, 그리고 시리아어, 슬라브어, 고트어, 에티오피아어, 콥트어, 아르메니아어 등 다양한 고대 언어로 작성된 9,300여 점의 사본이 존재한다.[19] 이 사본들은 이르면 125년경(요한 복음서의 가장 오래된 사본 파편인 52)부터 15세기 독일의 인쇄술 도입 시기까지 다양한 시기에 작성되었다.
이렇게 많은 신약 성경 사본이 존재하지만, 후대에 작성된 사본의 본문 구성이 고대 사본의 구성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학자들에 따르면 내용상 99.5%는 일치하지만, 철자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0.5% 정도 차이가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가 신약 성경 번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현대 성경 판본에서는 각주 형태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본의 보관 장소는 수도원 같은 곳이었는데, 이전 사본을 재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관되는 경우가 많았다.[19] 따라서 불완전하거나 완결되지 않은 사본들이 많이 발견된다. 활용 방안으로는 파피루스나 양피지를 깨끗이 지워 재활용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러한 사본을 팔림프세스트(palimpsest)라고 하며, 아르키메데스 팔림프세스트가 대표적이다.
파피루스는 시간이 지나면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않은 파피루스는 소각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스도의 발언이 담긴 신성한 사본은 쓰레기 구덩이에 버리는 것보다 소각하는 것이 더 경건하게 여겨졌다. 세 번째 방법은 '사본의 묘지'라고 불리는 곳에 방치하는 것이었다. 시나이 사본이 발견된 시나이의 성녀 가타리나 수도원, 베들레헴 외곽의 성 삽바스 수도원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곳에서 발견된 사본들은 기술상의 오류나 정정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본문으로 채택되지 않았다.[20] 이러한 정정은 수도원에서 필사된 문서들이 진본과 비교되었다는 증거일 수 있다.
완전한 사본은 사용하기 쉬운 곳에 배치되어 빨리 닳았기 때문에, 반복적인 필사 작업이 필요했다. 사본 제작은 필경사의 집중을 요하는 장시간의 작업이었으며, 의뢰자의 요구에 따라 사본의 크기, 필기 방식, 삽화 추가 여부 등이 결정되었다. 사본의 형태와 표현 방식은 주문자의 미적 감각에 크게 좌우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분의 사본을 축적하는 것은 불필요한 낭비로 여겨졌을 것이다.
'''그리스어 사본의 세기별 분포'''[21]
신약성경 사본 | 성구집 | ||||
---|---|---|---|---|---|
세기 | 파피루스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2세기 | 2 | - | - | - | - |
2~3세기 | 5 | 1 | - | - | - |
3세기 | 28 | 2 | - | - | - |
3~4세기 | 8 | 2 | - | - | - |
4세기 | 14 | 14 | - | 1 | - |
4~5세기 | 8 | 8 | - | - | - |
5세기 | 2 | 36 | - | 1 | - |
5~6세기 | 4 | 10 | - | - | - |
6세기 | 7 | 51 | - | 3 | - |
6~7세기 | 5 | 5 | - | 1 | - |
7세기 | 8 | 28 | - | 4 | - |
7~8세기 | 3 | 4 | - | - | - |
8세기 | 2 | 29 | - | 22 | - |
8~9세기 | - | 4 | - | 5 | - |
9세기 | - | 53 | 13 | 113 | 5 |
9~10세기 | - | 1 | 4 | - | 1 |
10세기 | - | 17 | 124 | 108 | 38 |
10~11세기 | - | 3 | 8 | 3 | 4 |
11세기 | - | 1 | 429 | 15 | 227 |
11~12세기 | - | - | 33 | - | 13 |
12세기 | - | - | 555 | 6 | 486 |
12~13세기 | - | - | 26 | - | 17 |
13세기 | - | - | 547 | 4 | 394 |
13~14세기 | - | - | 28 | - | 17 |
14세기 | - | - | 511 | - | 308 |
14~15세기 | - | - | 8 | - | 2 |
15세기 | - | - | 241 | - | 171 |
15~16세기 | - | - | 4 | - | 2 |
16세기 | - | - | 136 | - | 194 |
신약 성경 사본의 필사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필사 형태에 따라 북핸드(book hand)와 필기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스어 문헌의 많은 사본들은 대문자로만 구성된 두 쪽이 펼쳐진 형식인 '''북핸드'''로 기록되었다. 반면 공식성이 떨어지는 문서들은 빠른 속도로 작성하기 위해 필기체 소문자로 기록되었다.
언셜체 사본과 로마자 필기체 소문자 필사본(minuscule)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언셜체 대문자는 베이스라인과 문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반면, 로마자 필기체 사본은 베이스라인과 문자의 높이 공간을 넘나드는 어센더와 디센더가 있다. 일반적으로 언셜체 대문자 사본이 소문자 표기보다 연대가 앞서며, 대략 11세기를 전후로 구분된다.[28]
초기 대문자 필사본에는 구두점이나 숨 기호가 거의 없었고, 단어 사이의 띄어쓰기도 없었다. 단어, 문장, 절이 문자로 계속 연결되어 있었으며(스크립티오 콘티누아(scriptio continua)), 단어 중간에 줄 바꿈이 발생하기도 했다. 서책 제본 작업은 많은 노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쪽 수를 줄이기 위해 여백을 줄이거나, 노미나 사크라처럼 자주 나오는 단어를 약자로 표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팔림프세스트처럼 예전 사본을 재활용하는 방법도 사용되었다.
원래 신약성경 서책에는 제목, 문단 제목, 장과 절 구분이 없었다. 이러한 개념은 이후 '독자를 위한 도움'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 유세비안 카논은 복음서와 평행되는 이야기를 묶어 표 형태로 작성한 것으로, 초기 구분 체계로 많은 사본의 여백 부분에 사용되었다. 5세기에는 주제명 목록(κεφαλαία)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수 세기에 걸쳐 사본에는 다양한 장식들이 추가되었으며, 이는 아일랜드의 복음서, 켈의 서, 더로우의 서 등의 장식 사본 전통으로 발전되었다.
3. 2. 카탈로그화 작업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는 1516년에 자신이 작업한 몇몇 사본을 바탕으로 그리스어 신약성경의 첫 번째 인쇄본을 편찬했다. 에라스무스는 단일한 완전본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각 사본에는 약간의 오류들이 있었기 때문에 여러 사본을 이용했다. 18세기 성서학자 요한 야콥 베트슈타인(Johann Jakob Wettstein)은 성경 사본 목록화를 시작한 초기 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사본을 기록 방식(언셜체 및 소문자체), 형식(성구집) 및 내용(복음서, 파울루스 서신, 사도행전 + 공동서간, 요한묵시록)을 바탕으로 분류했다.[29] 각 내용 그룹 별로 언셜 번호 및 소문자 필사본 번호, 성구집 번호 등을 각 작품에 매겨, 사본들이 그룹에 따라 같은 번호나 문자가 부여되도록 작업했다.알렉산드리아 사본(A)이나 Codex Ephraemi Rescriptus(C)와 같이 신약성경 전체가 실려 있는 사본에 대해서는 내용 그룹에 따라 문자가 대응하도록 매겨졌다. Codex Vaticanus Graecus 1209(B)와 같이 초기의 주목할 만한 사본에는 B 문자를 매겼다. (이 사본은 요한계시록을 불포함) 10세기 경의 요한계시록 사본에도 B가 매겨져 혼란이 발생했다. 콘스탄틴 폰 티쉔도르프는 베트슈타인의 목록 체계 도입 후 1세기가 지나서 거의 완전한 성경 사본 중 하나인 시나이 사본을 발견했다. 그는 이 사본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겨 히브리 문자 알레프()를 분류 문자로 매겼다. 충분한 양의 언셜체 사본들이 발견되어 로마자의 모든 문자가 번호 매김에 소진되자, 학자들은 그리스 문자를 이어서 사용했으며, 나중에는 로마자 문자에 윗첨자를 붙이는 분류 문자로 이어갔다. 소문자 필사본들에도 7 종류의 다른 사본들이 같은 번호를 가지거나, 신약성경 완전본 사본에 여러 그룹에 포함된 이유로 4개의 다른 숫자가 매겨지는 경우가 있는 등 혼동의 여지가 존재한다.[30]
'''그리스어 사본의 세기별 분포'''[21]
신약성경 사본 | 성구집 | ||||
---|---|---|---|---|---|
세기 | 파피루스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2세기 | 2 | - | - | - | - |
2~3세기 | 5 | 1 | - | - | - |
3세기 | 28 | 2 | - | - | - |
3~4세기 | 8 | 2 | - | - | - |
4세기 | 14 | 14 | - | 1 | - |
4~5세기 | 8 | 8 | - | - | - |
5세기 | 2 | 36 | - | 1 | - |
5~6세기 | 4 | 10 | - | - | - |
6세기 | 7 | 51 | - | 3 | - |
6~7세기 | 5 | 5 | - | 1 | - |
7세기 | 8 | 28 | - | 4 | - |
7~8세기 | 3 | 4 | - | - | - |
8세기 | 2 | 29 | - | 22 | - |
8~9세기 | - | 4 | - | 5 | - |
9세기 | - | 53 | 13 | 113 | 5 |
9~10세기 | - | 1 | 4 | - | 1 |
10세기 | - | 17 | 124 | 108 | 38 |
10~11세기 | - | 3 | 8 | 3 | 4 |
11세기 | - | 1 | 429 | 15 | 227 |
11~12세기 | - | - | 33 | - | 13 |
12세기 | - | - | 555 | 6 | 486 |
12~13세기 | - | - | 26 | - | 17 |
13세기 | - | - | 547 | 4 | 394 |
13~14세기 | - | - | 28 | - | 17 |
14세기 | - | - | 511 | - | 308 |
14~15세기 | - | - | 8 | - | 2 |
15세기 | - | - | 241 | - | 171 |
15~16세기 | - | - | 4 | - | 2 |
16세기 | - | - | 136 | - | 194 |
3. 3. 필사 작업
신약성경은 다른 고대 문서들보다 훨씬 많은 필사본을 통해 보존되어 왔다. 5,800여 점의 그리스어 필사본, 10,000여 점의 라틴어 필사본, 그리고 9,300여 점의 시리아어, 슬라브어, 고트어, 에티오피아어, 콥트어, 아르메니아어 등 다양한 고대 언어로 작성된 사본들이 존재한다. 이 사본들은 이르면 125년(요한 복음서의 가장 오래된 사본 파편인 52)부터 15세기 독일의 인쇄술 도입 시기까지 작성되었다.[19]이렇게 많은 사본이 존재하지만, 후대에 작성된 사본의 본문 구성이 고대 사본의 구성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학자들에 따르면 99.5%는 내용상 일치하지만, 철자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0.5%의 차이가 있다고 한다. 이러한 차이는 번역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며, 현대 성경 판본에서는 각주 형태로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본 보관 장소는 이전 사본을 재활용하는 곳 이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불완전하거나 완결되지 않은 사본들이 보관되어 수도원이나 필사실에서 활용 방안을 결정했다.[19] 활용 방안으로는 파피루스나 양피지를 깨끗이 지우고 재활용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러한 사본을 팔림프세스트라고 하며 아르키메데스 팔림프세스트가 대표적이다.
재활용되지 않은 파피루스는 시간이 지나면 훼손되기 쉬워 소각 처리되기도 했다. 그리스도의 발언을 포함하는 신성한 사본은 쓰레기 구덩이에 버리는 것보다 소각하는 것이 더 경건하게 여겨졌다. 세 번째 방법은 '사본의 묘지'에 방치하는 것이었다. 시나이 사본이 발견된 성녀 가타리나 수도원이나 베들레헴 외곽의 성 삽바스 수도원처럼, 학자들은 도서관이 아닌 폐기된 문서 저장고에서 사본을 찾았다. 이 사본들은 필사 오류나 정정을 포함하고 있어 본문으로 채택되지 않았다.[20] 이러한 정정은 수도원에서 필사한 문서들이 진본과 비교되고 있었다는 증거일 수 있다. 완전하고 오류가 없더라도 반복 사용으로 약해졌거나, 분실된 문서의 일부가 보관되었을 수도 있다. 저장된 사본들은 습기와 충해로 손실을 입었을 것이다.
완전한 사본은 사용하기 쉬운 곳에 배치되어 빨리 닳았기 때문에 반복적인 필사 작업이 필요했다. 사본 제작은 장시간의 집중을 요하는 작업이었으므로, 의뢰자가 사본의 크기, 필기 방식, 삽화 추가 여부 등을 결정한 후에야 만들어졌다. 사본의 형태와 표현 방식은 주문자의 미적 감각에 따라 맞춤화되었기 때문에, 여분의 사본을 축적하는 것은 불필요한 낭비로 여겨졌을 것이다.
'''그리스어 사본의 세기별 분포'''[21]
세기 | 파피루스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언셜체 성구집 | 소문자 성구집 |
---|---|---|---|---|---|
2세기 | 2 | - | - | - | - |
2~3세기 | 5 | 1 | - | - | - |
3세기 | 28 | 2 | - | - | - |
3~4세기 | 8 | 2 | - | - | - |
4세기 | 14 | 14 | - | 1 | - |
4~5세기 | 8 | 8 | - | - | - |
5세기 | 2 | 36 | - | 1 | - |
5~6세기 | 4 | 10 | - | - | - |
6세기 | 7 | 51 | - | 3 | - |
6~7세기 | 5 | 5 | - | 1 | - |
7세기 | 8 | 28 | - | 4 | - |
7~8세기 | 3 | 4 | - | - | - |
8세기 | 2 | 29 | - | 22 | - |
8~9세기 | - | 4 | - | 5 | - |
9세기 | - | 53 | 13 | 113 | 5 |
9~10세기 | - | 1 | 4 | - | 1 |
10세기 | - | 17 | 124 | 108 | 38 |
10~11세기 | - | 3 | 8 | 3 | 4 |
11세기 | - | 1 | 429 | 15 | 227 |
11~12세기 | - | - | 33 | - | 13 |
12세기 | - | - | 555 | 6 | 486 |
12~13세기 | - | - | 26 | - | 17 |
13세기 | - | - | 547 | 4 | 394 |
13~14세기 | - | - | 28 | - | 17 |
14세기 | - | - | 511 | - | 308 |
14~15세기 | - | - | 8 | - | 2 |
15세기 | - | - | 241 | - | 171 |
15~16세기 | - | - | 4 | - | 2 |
16세기 | - | - | 136 | - | 194 |
사본 복제는 필법과 서책 제조에 전문 교육을 받은 필경사가 수행했다. 일부 사본은 교정 작업을 거쳤으며, 학자들은 사본에서 원본과 수정된 내역을 발견하기도 한다. 6세기에는 사본 작성을 위한 별도의 방이 주어졌으며, 중세 유럽 수도회에는 장식 필사를 위한 필사실이 사용되었다. 어떤 경우에는 한 사람이 문서를 읽으면 여러 필경사가 사본을 만들기도 했다.[22]
초기 신약 성경 사본은 파피루스에 기록되었는데, 파피루스는 나일강 삼각주에서 채취한 갈대 줄기로 만들어졌으며 8세기까지 이어졌다.[23] 파피루스는 부식되거나 부서지기 쉬웠지만, 이집트의 건조한 기후 덕분에 일부 파피루스는 부분적으로 보존되었다. 77을 제외하고 완전한 파피루스 사본은 없으며, 대다수는 단편적인 단일 페이지 형태였다.[24]
4세기 초에는 양피지 또는 벨럼지가 신약 성경 사본의 주요 매체가 되기 시작했다.[25] 12세기에 중국에서 처음 만든 면화 또는 식물 섬유로 만들어진 종이가 인기를 얻기까지 유지되었다.[26]
2세기경 비기독교 사본의 97%는 두루마리 형태였지만, 8점의 기독교 관련 사본은 코덱스였다. 4~5세기까지 코덱스 형태가 비기독교 본문으로 도입되는 예는 주류가 아니었다. 이는 코덱스 형태가 초기 기독교인에게 선호되었음을 보여준다.[27] 파울로스 서신 등 일부 신약성경의 분량을 고려하면, 단일 두루마리에 싣기에는 적합하지 않았고, 코덱스는 수백 장으로 확장이 가능했다.
3. 4. 사본의 구축
초기 성경 사본은 파피루스로 기록되었는데, 파피루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되거나 부서지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24] 이집트의 건조한 기후 덕분에 일부 파피루스 사본이 부분적으로 보존되기도 했지만,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경우는 드물었다.4세기 초부터는 양피지나 벨럼지(vellum)가 주요 기록 매체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25] 12세기에는 면이나 식물 섬유로 만든 종이가 사용되기 전까지 널리 사용되었다.[26]
2세기경 비기독교 사본의 97%는 두루마리 형태였던 반면, 초기 기독교 관련 사본은 대부분 코덱스 형태였다.[27] 이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코덱스 형태를 선호했음을 보여준다. 코덱스는 두루마리에 비해 더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파울로스 서신과 같이 긴 내용을 담기에는 두루마리보다 코덱스가 훨씬 유리했다.
사본은 수도원 등에서 보관되었는데, 이전 사본을 재활용하거나, 보관, 혹은 소각하는 방식으로 처리되었다.[19] 재활용되는 경우 팔림프세스트라 불렸으며, 대표적인 예시로 아르키메데스 팔림프세스트가 있다. 재활용이 불가능한 파피루스 사본은 소각 처리되었는데, 이는 신성한 내용을 담은 사본을 단순히 버리는 것보다 경건한 행위로 여겨졌다. 또한, '사본의 묘지'라 불리는 곳에 보관되기도 했다.
'''그리스어 사본의 세기별 분포'''[21]
신약성경 사본 | 성구집 | ||||
---|---|---|---|---|---|
세기 | 파피루스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2세기 | 2 | - | - | - | - |
2~3세기 | 5 | 1 | - | - | - |
3세기 | 28 | 2 | - | - | - |
3~4세기 | 8 | 2 | - | - | - |
4세기 | 14 | 14 | - | 1 | - |
4~5세기 | 8 | 8 | - | - | - |
5세기 | 2 | 36 | - | 1 | - |
5~6세기 | 4 | 10 | - | - | - |
6세기 | 7 | 51 | - | 3 | - |
6~7세기 | 5 | 5 | - | 1 | - |
7세기 | 8 | 28 | - | 4 | - |
7~8세기 | 3 | 4 | - | - | - |
8세기 | 2 | 29 | - | 22 | - |
8~9세기 | - | 4 | - | 5 | - |
9세기 | - | 53 | 13 | 113 | 5 |
9~10세기 | - | 1 | 4 | - | 1 |
10세기 | - | 17 | 124 | 108 | 38 |
10~11세기 | - | 3 | 8 | 3 | 4 |
11세기 | - | 1 | 429 | 15 | 227 |
11~12세기 | - | - | 33 | - | 13 |
12세기 | - | - | 555 | 6 | 486 |
12~13세기 | - | - | 26 | - | 17 |
13세기 | - | - | 547 | 4 | 394 |
13~14세기 | - | - | 28 | - | 17 |
14세기 | - | - | 511 | - | 308 |
14~15세기 | - | - | 8 | - | 2 |
15세기 | - | - | 241 | - | 171 |
15~16세기 | - | - | 4 | - | 2 |
16세기 | - | - | 136 | - | 194 |
3. 5. 현존하는 초기 사본
신약성경은 다른 고대 문헌보다 더 많은 사본으로 보존되어 왔다. 5,800개 이상의 완전하거나 파편화된 그리스어 사본, 10,000개의 라틴어 사본, 시리아어, 슬라브어, 고트어, 에티오피아어, 콥트어, 아르메니아어 등 기타 고대 언어로 된 9,300개의 사본이 목록화되어 있다. 이 사본의 연대는 52(요한 복음서 조각의 가장 오래된 사본, 2세기 중엽)부터 15세기 독일에서 인쇄술이 도입될 때까지이다.신약성경의 초창기 사본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명함 크기의 파피루스에 요한 복음서가 기록된 52로 2세기 중엽으로 추측된다. 완전판의 신약성경 낱권 사본은 서기 200년 전후에 나타나며, 신약성경 전체의 완전본은 4세기에 작성된 시나이 사본()이다.[38] 신약성경의 각 낱권 별로 발견된 현존하는 사본은 다음 표와 같다.
낱권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본 | 년대 | 상태 |
---|---|---|---|
마태 | 1, 19, 21, 25, 37, 45, 53, 64, 67, 70, 77, 101, 103, 104[39] | 약 150~250년 (2세기~3세기) | 대형 파편 |
마르 | 45 | 약 250년 (3세기) | 대형 파편 |
루카 | 4, 69, 75, 45 | 약 175~250년 (2~3세기) | 대형 파편 |
요한 | 5, 6, 22, 28, 39, 45, 52, 66, 75, 80, 90, 95, 106 | 약 125~250년 (2~3세기) | 대형 파편 |
사도행전 | 29, 38, 45, 48, 53, 74, 91 | 3세기 초[40] | 대형 파편 |
로마 | 27, 40, 46 | 약 175~225년 (2~3세기) | 파편 |
1고린 | 14, 15, 46 | 약 175–225 (2~3세기) | 파편 |
2고린 | 46 | 약 175~225년 (2~3세기) | 파편 |
갈라 | 46 | 약 175~225년 (2~3세기) | 파편 |
에페 | 46, 49 | 약 175~225년 (2~3세기) | 파편 |
필립 | 16, 46 | 약 175~225년 (2~3세기) | 파편 |
골로 | 46 | 약 175~225년 (2~3세기) | 파편 |
1데살 | 30, 46, 65 | 약 175~225년 (2~3세기) | 파편 |
2데살 | 30 | 3세기 초 | 파편 |
1디모 | 약 350년 (4세기) | 완전본 | |
2디모 | 약 350년 (4세기) | 완전본 | |
디도 | 32 | 약 200년 (2세기 말~3세기 초) | 파편 |
필레 | 87 | 3세기 | 파편 |
히브 | 12, 13, 17, 46 | 약 175~225년 (2~3세기) | 파편 |
야고 | 20, 23, 100 | 3세기 | 파편 |
1베드 | 81,[39] 72 | 약 300년 (3세기 말~4세기 초) | 파편 |
2베드 | 72 | 약 300년 (3세기 말~4세기 초) | 파편 |
1요한 | 9 | 3세기 | 파편 |
2요한 | 약 350년 (4세기) | 완전본 | |
3요한 | 약 350년 (4세기) | 완전본 | |
유다 | 72, 78 | 약 300년 (3세기 후반 ~ 4세기 초) | 파편 |
묵시 | 18, 24, 47, 98, 115 | 약 150~250년 (2~3세기) | 파편 |
3. 6. 본문 비평
'''본문 비평'''은 고문서학을 바탕으로, 성경의 원본이 현존하지 않고 사본마다 차이가 있는 상황에서, 어떤 사본이 원본에 더 가까운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41] 신약성경은 알렉산드리아 사본 형태, 서방 본문 형태, 비잔틴 텍스트 형태의 세 가지 주요 사본 유형으로 전해져 내려온다.[41] 이 중 비잔틴 텍스트 형태는 전체 사본의 80% 이상을 차지하지만, 비교적 후대에 작성된 것들이다.19세기 중반 이후, 신약성경 본문 비평에서는 특정 사본에 대한 선입견 없이 다양한 사본을 비교하여 가장 원문에 가까운 본문을 찾는 절충주의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2014년부터는 연합성서공회(United Bible Society)의 5판과 네스틀레-알란트(Nestle-Aland) 28판이 이러한 절충주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사본의 증거를 종합하여 가장 적합한 본문을 구성하며, 특히 오래된 알렉산드리아 사본을 중요하게 고려한다.[42] 현대 신약성경 번역판들은 대부분 이러한 알렉산드리아 사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성서학자 바트 D. 에르만은 신약성경 사본들이 오랜 세월 동안 필사되면서 많은 오류가 포함되었고, 그 수가 수천 개에 달한다고 지적하며, 원문 재구성의 어려움을 강조했다.[43] 그러나 브루스 M. 메츠거는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같은 다른 고대 문헌과 비교했을 때, 신약성경은 훨씬 많은 사본이 존재하며, 원본 작성 시기와 가까운 시기에 필사된 사본도 있다고 설명했다.[44][45]
성서학자 게리 하버마스는 신약성경이 다른 고전 작품들에 비해 훨씬 이전 시기의 사본들이 많이 존재하며, 이는 본문 재구성을 용이하게 한다고 덧붙였다.[46]
신약성경 사본 | 성구집 | ||||
---|---|---|---|---|---|
세기 | 파피루스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2세기 | 2 | - | - | - | - |
2~3세기 | 5 | 1 | - | - | - |
3세기 | 28 | 2 | - | - | - |
3~4세기 | 8 | 2 | - | - | - |
4세기 | 14 | 14 | - | 1 | - |
4~5세기 | 8 | 8 | - | - | - |
5세기 | 2 | 36 | - | 1 | - |
5~6세기 | 4 | 10 | - | - | - |
6세기 | 7 | 51 | - | 3 | - |
6~7세기 | 5 | 5 | - | 1 | - |
7세기 | 8 | 28 | - | 4 | - |
7~8세기 | 3 | 4 | - | - | - |
8세기 | 2 | 29 | - | 22 | - |
8~9세기 | - | 4 | - | 5 | - |
9세기 | - | 53 | 13 | 113 | 5 |
9~10세기 | - | 1 | 4 | - | 1 |
10세기 | - | 17 | 124 | 108 | 38 |
10~11세기 | - | 3 | 8 | 3 | 4 |
11세기 | - | 1 | 429 | 15 | 227 |
11~12세기 | - | - | 33 | - | 13 |
12세기 | - | - | 555 | 6 | 486 |
12~13세기 | - | - | 26 | - | 17 |
13세기 | - | - | 547 | 4 | 394 |
13~14세기 | - | - | 28 | - | 17 |
14세기 | - | - | 511 | - | 308 |
14~15세기 | - | - | 8 | - | 2 |
15세기 | - | - | 241 | - | 171 |
15~16세기 | - | - | 4 | - | 2 |
16세기 | - | - | 136 | - | 194 |
매년 새로운 신약성경 필사본이 발견되고 있으며, 2008년에는 알바니아에서 47개의 새로운 필사본이 발견되기도 했다.[13] 이들 사본에는 수많은 차이점(이문)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필사 과정에서 발생한 사소한 오류이거나 의도적인 수정이다. 이러한 이문들은 성경 본문의 의미를 더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대한민국의 보수적인 신학계 일각에서는 성경무오설을 주장하며 본문 비평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학계에서는 다양한 사본을 비교 연구하여 성경 본문의 의미를 더 정확하게 이해하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성경의 역사성과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해석을 강조하며 본문 비평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경향이 있다.
4. 사본 목록
신약 성경은 다른 고대 문헌보다 많은 사본으로 보존되어 왔으며, 5,800개 이상의 완전하거나 파편화된 그리스어 사본, 10,000개의 라틴어 사본, 시리아어, 슬라브어, 고트어, 에티오피아어, 콥트어, 누비아어를 포함한 기타 고대 언어로 된 9,300개의 사본이 목록화되어 있다. 이 사본의 연대는 년(요한 복음서 조각의 가장 오래된 사본인 파피루스)부터 15세기 독일에서 인쇄술이 도입될 때까지이다.
사본들이 보관되던 장소는 수도원 같은 곳에서는 이전의 사본을 재활용하기 위한 곳 이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불완전하거나 완결되지 않은 사본들이 저장되었으며, 이 사본들은 수도원이나 필사처에서 어떻게 활용할지를 결정하였다.[19] 활용을 위해 몇 가지 방안이 존재했다. 첫 번째는 사본이 적힌 파피루스나 양피지를 깨끗이 지우고 재활용하는 경우로, 이러한 일은 옛날, 특히 중세에 이르러서는 빈번하였다. 이렇게 재활용된 사본들은 팔림프세스트(palimpsest)라 하며, 유명한 팔림프세스트로는 아르키메데스 팔림프세스트를 들 수 있다.
'''그리스어 사본의 세기별 분포'''[21]
신약성경 사본 | 성구집 | ||||
---|---|---|---|---|---|
세기 | 파피루스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언셜체 필사본 | 소문자 필사본 |
2세기 | 2 | - | - | - | - |
2~3세기 | 5 | 1 | - | - | - |
3세기 | 28 | 2 | - | - | - |
3~4세기 | 8 | 2 | - | - | - |
4세기 | 14 | 14 | - | 1 | - |
4~5세기 | 8 | 8 | - | - | - |
5세기 | 2 | 36 | - | 1 | - |
5~6세기 | 4 | 10 | - | - | - |
6세기 | 7 | 51 | - | 3 | - |
6~7세기 | 5 | 5 | - | 1 | - |
7세기 | 8 | 28 | - | 4 | - |
7~8세기 | 3 | 4 | - | - | - |
8세기 | 2 | 29 | - | 22 | - |
8~9세기 | - | 4 | - | 5 | - |
9세기 | - | 53 | 13 | 113 | 5 |
9~10세기 | - | 1 | 4 | - | 1 |
10세기 | - | 17 | 124 | 108 | 38 |
10~11세기 | - | 3 | 8 | 3 | 4 |
11세기 | - | 1 | 429 | 15 | 227 |
11~12세기 | - | - | 33 | - | 13 |
12세기 | - | - | 555 | 6 | 486 |
12~13세기 | - | - | 26 | - | 17 |
13세기 | - | - | 547 | 4 | 394 |
13~14세기 | - | - | 28 | - | 17 |
14세기 | - | - | 511 | - | 308 |
14~15세기 | - | - | 8 | - | 2 |
15세기 | - | - | 241 | - | 171 |
15~16세기 | - | - | 4 | - | 2 |
16세기 | - | - | 136 | - | 194 |
- List of New Testament papyri|신약성경 파피루스 목록영어
- List of New Testament uncials|신약성경 언셜체 사본 목록영어
- List of New Testament minuscules|신약성경 소문자 필사본 목록영어
- List of New Testament lectionaries|신약성경 성구집 사본 목록영어
- List of New Testament Latin manuscripts|신약성경 라틴어 사본 목록영어
참조
[1]
웹사이트
Codex Sinaiticus
http://www.codexsina[...]
2008-12-31
[2]
웹사이트
Greek NT Scribe – Job Description
https://greektomeonl[...]
2018-07-25
[3]
웹사이트
Seid
http://www.earlham.e[...]
2014-10-04
[4]
웹사이트
Waltz
http://www.skypoint.[...]
2014-10-04
[5]
웹사이트
Seid
http://www.earlham.e[...]
2014-10-04
[6]
간행물
Manuscripts, the Codex, and the Canon
[7]
웹사이트
New Testament Virtual Manuscript Room
http://ntvmr.uni-mue[...]
University of Münster
2018-02-20
[8]
문서
Nestle-Aland Novum Testamentum Graece
[9]
웹사이트
Britannica Online: Types of manuscript errors
https://www.britanni[...]
2021-06-30
[10]
서적
Egypt on the Pentateuch's Ideological Map
Sheffield Academic Press
[11]
웹사이트
Complete List of Greek NT Papyri
http://www-user.uni-[...]
2008-04-17
[12]
웹사이트
The Reliability and Inspiration of the Bible
http://www.garyhaber[...]
[13]
웹사이트
NT scholar on discovery of giant trove of Bible manuscripts
http://www.christian[...]
2008-04-21
[14]
웹사이트
The Number of Textual Variants: An Evangelical Miscalculation
https://bible.org/ar[...]
2009-04-13
[15]
웹사이트
The Majority Text and the Original Text: Are They Identical?
https://bible.org/ar[...]
2013-11-23
[16]
문서
Are the New Testament Documents Reliable?
[17]
문서
Bruce 1964
[18]
문서
Barkay, Vaughn, Lundberg and Zuckerman 2004 pp. 41-71
[19]
문서
Ehrman 2005
[20]
웹인용
Archived copy
http://www.codexsina[...]
2008-12-31
[21]
문서
Aland, p 81
[22]
웹인용
Seid
http://www.earlham.e[...]
2014-10-04
[23]
문서
Metzger 2005, pp.3f
[24]
웹인용
Waltz
http://www.skypoint.[...]
2014-10-04
[25]
문서
Metzger 2005, pp.3-10
[26]
문서
Aland 1995, p. 77
[27]
웹인용
Seid
http://www.earlham.e[...]
2014-10-04
[28]
문서
Metzger 2005, pp. 17-18, 20
[29]
문서
Aland 1995, p. 72
[30]
문서
Aland 1995, pp. 72-73
[31]
문서
Die Schriften des Neuen Testaments, in ihrer ältesten erreichbaren Textgestalt hergestellt auf Grund ihrer Textgeschichte
Glaue, Berlin
[32]
문서
Aland 1995, pp. 40-41
[33]
웹사이트
New Testament Virtual Manuscript Room
http://ntvmr.uni-mue[...]
뮌스터 대학교
2018-02-20
[34]
문서
Aland 1995, pp. 73f
[35]
문서
NA27 1996, pp. 64*-76*
[36]
웹인용
Britannica Online: Types of manuscript errors
http://original.brit[...]
2014-10-04
[37]
서적
Egypt on the Pentateuch's Ideological Map
[38]
논문
2004
[39]
웹인용
Complete List of Greek NT Papyri
http://www-user.uni-[...]
2008-04-17
[40]
서적
The Text of the Earliest New Testament Greek Manuscripts
Tyndale House Publishers Incorporated
2001
[41]
서적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Its Transmission, Corruption, and Restoration
[42]
간행물
1994
[43]
문서
The New Testament: An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44]
서적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Its Transmission, Corruption & Restoration
1992
[45]
서적
The Text Of The New Testament: Its Transmission, Corruption & Restoration
1992
[46]
웹사이트
http://www.garyhab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