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은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의 은총은 동양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신 또는 초월적인 존재가 인간에게 베푸는 은혜를 의미한다. 불교에서는 깨달음에 이르는 길에서 자력과 타력의 개념으로 나타나며, 힌두교에서는 영적 자아 실현의 핵심 요소로 여겨진다. 기독교에서는 하느님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구원의 은혜를 강조하며, 유대교에서는 신의 자비와 긍휼을 의미한다. 이슬람교에서는 알라의 은총을 통해 천국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원 - 구원론
구원론은 종교와 철학에서 인간이 고통이나 속박에서 벗어나 행복이나 자유를 얻는 방법에 대한 이론으로, 불교의 열반, 기독교의 죄로부터의 구원, 힌두교의 모크샤 등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며, 종교와 사상에 따라 구원의 주체, 방법, 의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구원 - 상환
상환은 종교적 의미에서 죄 또는 속박으로부터의 구원을 뜻하며, 불교,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된다. - 운 - 13일의 금요일
13일의 금요일은 13을 불길한 숫자로 여기는 것과 금요일을 불길하게 여기는 미신이 결합된 것으로, 공포증 유발 및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며, 1년에 최대 3번까지 발생할 수 있다. - 운 - 마스코트
마스코트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부적의 의미를 지닌 상징으로, 스포츠 팀, 기업, 학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조직을 대표하고 홍보하며 즐거움과 친근함을 제공하고 정체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신의 은총 | |
---|---|
기본 정보 | |
제목 | 신의 은총 |
로마자 표기 | sin-ui eun-chong |
종류 | 기독교 용어 |
영어 | Divine grace |
일본어 | 神の恵み (카미노 메구미) |
중국어 | 神恩 (Shén ēn) |
기독교적 의미 | |
정의 | 신이 인간에게 베푸는 무상(無償)의 은혜, 사랑, 호의, 선물 등을 의미 |
중요성 | 기독교 신학에서 구원의 핵심 요소 중 하나 |
관련 개념 | 아가페 자비 용서 구원 |
신학적 관점 | |
칼뱅주의 | 신의 은총은 불가항력적이며, 선택된 자에게만 주어진다고 강조 |
아르미니우스주의 | 신의 은총은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며, 인간의 자유 의지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주장 |
가톨릭교회 | 신의 은총은 성사(聖事)와 선행을 통해 받을 수 있다고 가르침 |
성경적 의미 | |
구약성경 | 신의 은총은 주로 언약 관계와 관련하여 나타남 |
신약성경 |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신의 은총이 강조됨 |
윤리적 의미 | |
책임 | 신의 은총을 받은 사람은 그에 합당한 삶을 살아야 할 책임이 있다고 봄 |
사랑의 실천 | 신의 은총은 이웃 사랑의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 |
기타 | |
관련 문학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신의 은총과 인간 본성에 대한 성찰) |
관련 영화 | 신의 은총 (2012년 영화) |
2. 동양 종교
은(恩)은 후한 시대 허신의 『설문해자』에서 "혜(惠), 은혜"라는 뜻으로 풀이되었다. 일본 『일본서기』나 『고사습유』 등에서 "은(恩)"은 "메구미(혜택)", "미우츠쿠시미", "미이츠쿠시미" 등으로 읽혔다. "메구미(혜택)"는 "유채꽃이 싹트다"의 "싹트다(메구무)"를 명사로 만든 것으로, 다른 자에게 생명을 주거나 성장을 돕는 것이 은혜를 베푸는 것이고, 그 반대가 은혜를 받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은(恩)은 좁게는 사람으로부터 받는 은혜를, 넓게는 신불 또는 이 세상 모든 존재로부터 받는 은혜를 가리킨다.
불교에서는 자신이 받고 있는 은혜를 깨닫고 감사하는 것을 중시한다.[37] 혜택을 받는 것을 "수은(受恩)", 혜택을 받고 있음을 자각하는 것을 "지은(知恩)", 혜택에 보답하는 것을 "보은(報恩)"이라고 한다. 혜택을 받고도 깨닫지 못하거나 감사하지 않거나 보답하지 않는 것을 "은혜를 모름(恩知らず)"이라고 한다.[37]
고대 인도 원시 불교에서는 타인에 의해 자신을 위해 행해진 일을 알고 감사하는 것이 중요한 사회 윤리였다. 이 설명에 사용되는 고대 인도의 표현은 중국에서 "은"으로 번역되었다. 이 개념은 "사은"의 개념으로 발전했다.
중국에서는 유교의 영향으로 부모의 은과 효를 설하는 부모은중난보경을 중시했다. 불교에서는 은혜를 받고 있음을 깨닫는 것(지은)을 중시하며, 절 이름에도 종종 사용된다. 다만, 고대 인도 말로 "갈애"와 "친애"도 "은"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불교 수행을 방해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2. 1. 힌두교
인도와 네팔 전역에서 구할 수 있는 힌두교 신앙 또는 박티 문헌에는 영적 자아 실현에 필요한 궁극적인 열쇠로서 은혜(크리파)에 대한 언급이 가득하다.[4] 고대 현자 바시슈타는 그의 고전 요가 바시슈타에서 은혜가 여러 생의 업의 속박을 초월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했다.[5]한 힌두교 철학자인 마드바차르야는 은혜는 신으로부터의 선물이 아니라 획득해야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6]
2. 2. 불교
불교에서 공덕은 명상, 노력, 수행을 통해 오랜 시간 쌓이는 좋은 업의 힘을 의미하며, 일본어로는 "자력", 즉 "자신의 힘"이라고 한다. 이러한 공덕은 정신적 수행자나 보살에 의해 다른 중생에게 회향될 수 있으며, 이는 보리심을 얻음으로써 길러진 모든 중생에 대한 자비로 동기 부여된다. 신란은 거의 모든 인간이 진정한 자기 주도적 영적 성취를 이룰 능력이 부족하며, 현실적으로는 "본부", 즉 미혹과 이기심에 빠져 선행조차 이기적인 동기에 의해 더럽혀진 어리석은 존재라고 보았다. 그는 영적인 진보를 위한 유일한 희망은 자력을 포기하고, 신앙(신진)을 통해 무한한 자비를 가진 존재의 타력, 즉 "다른 힘"을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존재는 아미타불이며, 그는 모든 중생을 구원하기 위해 정토를 건설하겠다는 본원을 세웠고, 중생들은 그의 이름을 부름으로써 그곳에 다시 태어나 쉽게 완전한 깨달음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7]신란의 정토진종과 다른 정토교 종파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신앙과 염불이라는 작은 노력조차도 아미타불의 본원의 힘을 통해 미혹된 인간에게 작용하는 아미타불의 은총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아미타불의 이름 칭송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은총을 스스로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은총에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여겨진다.[7]
은(恩)은 이미 후한 시대 허신의 『설문해자』에서 "혜(惠) (은혜)"라는 뜻으로 풀이되었다. 일본 『일본서기』나 『고사습유』 등에서 "은(恩)"은 "메구미(혜택)", "미우츠쿠시미", "미이츠쿠시미" 등으로 읽혔다. "메구미(혜택)"는 "유채꽃이 싹트다"의 "싹트다(메구무)"를 명사로 만든 것으로, 다른 자에게 생명을 주거나 성장을 돕는 것이 은혜를 베푸는 것이고, 그 반대가 은혜를 받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은(恩)은 좁게는 사람으로부터 받는 은혜를, 넓게는 신불 또는 이 세상 모든 존재로부터 받는 은혜를 가리킨다.
불교에서는 자신이 받고 있는 은혜를 깨닫고 감사하는 것을 중시한다.[37] 혜택을 받는 것을 "수은(受恩)", 혜택을 받고 있음을 자각하는 것을 "지은(知恩)", 혜택에 보답하는 것을 "보은(報恩)"이라고 한다. 혜택을 받고도 깨닫지 못하거나 감사하지 않거나 보답하지 않는 것을 "은혜를 모름(恩知らず)"이라고 한다.[37]
고대 인도 원시 불교에서는 타인에 의해 자신을 위해 행해진 일을 알고 감사하는 것이 중요한 사회 윤리였다. 이 설명에 사용되는 고대 인도의 표현은 중국에서 "은"으로 번역되었다. 이 개념은 "사은"의 개념으로 발전했다. 정법념처경에서는 어머니, 아버지, 여래, 설법해 주시는 법사로부터의 은(사은)을, 대승본생심지관경에서는 부모, 중생, 국왕, 삼보의 사은을 설했다. 중국에서는 유교의 영향으로 부모의 은과 효를 설하는 부모은중난보경을 중시했다. 불교에서는 은혜를 받고 있음을 깨닫는 것(지은)을 중시하며, 절 이름에도 종종 사용된다. 다만, 고대 인도 말로 "갈애"와 "친애"도 "은"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불교 수행을 방해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3. 아브라함계 종교
기독교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은총은 신의 은총으로, 죄인을 구원하는 신의 무상적인 작용을 의미한다.
그리스어로는 ἀπολυτρώσεως(아폴뤼트로시스), λυτρόω(뤼트로오)로 표현되며, 일본어로는 '속죄' 또는 '그리스도의 십자가형'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신의 사랑은 인간의 사랑과 달리, 상대의 성질을 조건으로 하지 않고 죄 많은 인간에게 먼저 은사를 주어 인간의 자유로운 응답을 기다린다. 신약성경에서는 '칭의'라는 번역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은총론을 전개했으며, 13세기 토마스 아퀴나스는 은총이 인간 자유 의지의 능력에 작용하여 인간 존재 자체를 성화시킨다고 보았다.
동방 그리스 교부들은 창조 및 인간·우주의 영위(營爲) 일체가 은총적인 에네르게이아의 영향 아래에 있다고 이해했다.
마르틴 루터는 은총 앞에 적나라하게 존재하는 인간의 모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대교와 이슬람교에서의 은총 개념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3. 1. 유대교
유대교에서 하나님의 은혜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의 속성으로, 자신이 선택한 백성에 대한 헤세드(사랑과 자비)와 죄인, 약자, 불운한 사람에 대한 연민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은혜는 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에게도 주어진다. 구약성경에서 선지자들은 회개하는 유대인들에게 하나님의 은혜를 약속했다.[8]탈무드에서 하나님의 은총은 하나님의 정의와 대조되는 "자비"라는 용어로 지정된다. 하나님의 이름 엘로힘은 자비를 의미하는 반면, 신명사문자는 정의를 의미한다. 유대 현자들에 따르면 은혜는 자비로운 사람들, 토라를 연구하는 사람들, 그리고 조상이나 후손이 그들을 위해 은혜를 받은 사람들에게 주어진다. 의로운 사람들은 신성한 정의를 신성한 자비로 바꿀 수 있다.[9]
중세 유대 철학자들은 하나님의 은총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유대 전례에는 특히 나팔절과 욤 키푸르에 대한 언급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스라엘의 신은 Wehu Raḥum, Ahabah Rabbah, Shemoneh 'Esrch를 포함한 많은 기도문에서 자비로운 분으로 불린다.[10]
3. 2. 기독교
기독교에서 은혜는 죄인을 구원하고 축복을 베푸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하느님의 거저 주시는 은총이다. 일반적인 기독교 가르침은 은혜란 하느님이 그의 아들 예수를 보내어 십자가에 죽게 하심으로써 인류에게 베푸신 과분한 자비(호의)라는 것이다.[11]기독교 내에서 은총을 얻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개념이 존재한다. 특히, 가톨릭과 개신교는 은총을 얻는 방식을 상당히 다르게 이해하며, 칼뱅주의와 알미니우스주의의 차이도 존재한다.[12]
아우구스티누스는 은총론을 전개했으며, 13세기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은총론을 정교하게 탐구했다. 동방 그리스 교부들의 사상에서는 창조 및 인간·우주의 영위(營爲) 일체가 은총적인 에네르게이아의 영향 아래에 있다고 이해된다. 마르틴 루터는 은총 앞에 적나라하게 존재하는 인간의 모습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3. 2. 1. 한국 기독교의 특수성
기독교에서 은총은 죄인의 구원과 축복을 통해 나타나는 하느님의 무상하고 정당한 호의이다.[11] 일반적인 기독교 교리는 은총이 하느님이 자신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어 십자가에서 죽게 하심으로써 인류에게 베푸신 무상한 자비 (호의)이며, 이를 통해 인간의 죄로부터의 영원한 구원을 보장한다는 것이다.기독교 내에서 은총을 얻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개념이 존재한다. 특히, 가톨릭교와 개혁교회 신교는 은총을 얻는 방식을 상당히 다르게 이해한다. 이는 "가톨릭교와 개신교, 칼뱅주의와 알미니우스주의, 현대 자유주의와 보수주의를 나누는 분수령"으로 묘사되어 왔다.[12] 가톨릭 교리는 하느님이 인류에게 신성한 은총을 부여하셨으며, 믿음으로 행해지는 성사를 은총을 받도록 돕는 주요하고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한다고 가르친다.[13][14] 가톨릭교와 전례주의 개신교 신자들에게 성사 (믿음으로 행해지는)는 하느님의 은총이 개인적이고 실존적으로 전달되는 화신적 또는 유형적인 매개체이다.[15] 일반적으로 복음주의 개신교 신자는 이러한 은총 전달에 대한 성례전적 견해를 공유하지 않으며,[16] 대신 덜 제도화된 방식을 선호한다. 예를 들어, 가톨릭 교회와 초기 개신교회 (루터교, 개혁교, 장로교, 성공회 등)에서는 은총의 상태로의 주된 입문이 믿음 안에서 유아 세례를 통해 하느님에 의해 부여된다.[17] 단순한 믿음의 기도 (죄인의 기도)가 아니다. 그러나 가톨릭교는 하느님의 은총이 흘러넘치도록 하는 단순한 기도조차도 효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열망에 의한 세례).[18][19]
또 다른 예로, 가톨릭교 신자들에게 고해성사 (믿음 안에서)는 대죄를 범한 후에 은총을 전달하는 주요 수단이다.[20]
신약성경에서 은총으로 번역된 단어는 그리스어 ''charis'' (χάρις|카리스grc)이며, 스트롱 성구 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호의 (만족스러운)로서, 태도나 행위 (추상적이거나 구체적; 문자적, 비유적 또는 영적; 특히 마음속에 미치는 신성한 영향력, 그리고 삶에 나타나는 그 반영; 감사 포함)".[21][22] ''charis'' 어족에서 파생된 영적 은사 또는 ''charismata''는 ''신약 성경 사전''에서 "말이나 행위로 나타나는 은총"으로 정의된다.[23] ''charis''와 관련된 그리스어는 ''charisma'' (은혜로운 선물)이다. 이 두 단어는 또 다른 그리스어인 ''chairo'' (기뻐하다, 즐거워하다, 기뻐하다)에서 유래했다.[24]
구약성경에서 사용된 히브리어 용어는 ''chen''[25][26] (חֵן|첸he)이며, 스트롱 사전에서는 "호의, 은총 또는 매력; 은총은 친절함의 도덕적 자질로, 호의적인 기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다.[27] 킹 제임스 번역본에서 ''chen''은 38번 "은총"으로, 26번 "호의"로, 2번 "은혜로운"으로,[28] 1번 "즐거운"으로,[29] 1번 "소중한"으로 번역되었다.[30]
3. 3. 이슬람
살라피 학자 우마르 술라이만 알 아슈카르는 요르단 자르카에 있는 자르카 사립 대학교 이슬람 율법 대학 학장으로서 "천국은 엄청난 가치를 지닌 것이며, 사람은 자신의 행실만으로는 천국을 얻을 수 없고, 알라의 은총과 자비로써 얻을 수 있다"고 썼다.[31] 이러한 입장은 하디스에 의해 뒷받침된다. 아부 후라이라에 따르면, 무함마드는 "너희 중 누구도 자신의 행실만으로는 천국에 들어갈 수 없다. ... 심지어 나조차도, 알라께서 그의 은총과 자비로 나를 감싸주신 것이 아니라면"이라고 말했다고 한다.[32]꾸란은 "알라는 무한한 은총을 지니신 분"이라고 말하며[33] "그는 이 은총을 원하시는 자에게 베푸신다."[34] 은총은 이 세상에서 꾸란의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자들이 하느님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들은 "하느님과 그의 사자들을 믿고", "그들의 주님으로부터의 용서와 그 넓이가 하늘과 땅을 포괄하는 천국을 향해 달려간다."[35]
참조
[1]
서적
Lorna Doone
http://worldcat.org/[...]
Ryerson Press
1900
[2]
문서
"OED'', 2nd ed.: grace(n), 11b"
[3]
문서
"OED'', 2nd ed.: grace(n), 11e"
[4]
뉴스
Descent of divine grace
https://web.archive.[...]
The Hindu
2005-06-30
[5]
웹사이트
Yoga Vasistha - Daily Readings - Swami Venkatesananda
https://web.archive.[...]
2011-10-28
[6]
서적
"Great Thinkers of the Eastern World'', Ian McGreal."
[7]
웹사이트
Amazing Grace: Christian and Buddhist | Shin Dharma Net
http://bschawaii.org[...]
[8]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Divine Grace
https://www.jewishen[...]
[9]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Divine Grace
https://www.jewishen[...]
[10]
웹사이트
Jewish Encyclopedia: Divine Grace
https://www.jewishen[...]
[11]
문서
"OED'', 2nd ed.: grace(n), 11a"
[12]
서적
The Grace of God
Moody Press
1963
[13]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127
[14]
웹사이트
Justification by Grace
http://www.saintaqui[...]
[15]
서적
Christ, the Sacrament of Encounter with God
Rowman & Littlefield
1963
[16]
웹사이트
Heaven: Encyclopedia II - Heaven - Heaven in Protestant Christianity
https://web.archive.[...]
2010-12-14
[17]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992
[18]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260
[19]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281
[20]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No. 1446
[21]
웹사이트
Strong's Greek: 5485. χάρις (charis) -- grace, kindness
http://strongsnumber[...]
[22]
문서
Strong (2001) Grk entry number 5485 (p. 1653)
[23]
웹사이트
Spiritual Gifts: Listed by Paul, Motivated by Love
https://www.crosswal[...]
[24]
문서
Strong (2001) Grk entry numbers 5486 and 5463
[25]
웹사이트
Blue Letter Bible entry for Strongs Hebrew term 2580
http://www.bluelette[...]
Blue Letter Bible
2011-01-01
[26]
웹사이트
Chen - Old Testament Hebrew Lexicon - New American Standard
http://www.biblestud[...]
[27]
문서
Strong (2001) Hebrew entry number 2580 (p. 1501)
[28]
문서
Proverbs 11:16 and Ecclesiastes 9:11
[29]
문서
Proverbs 5:19
[30]
문서
Proverbs 17:8
[31]
웹사이트
Answering Common Questions on Salvation That Christians Pose to Muslims
http://www.call-to-m[...]
2011-01-01
[32]
간행물
Sahih Muslim, Book 39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enter for Jewish-Muslim engagement
2011-01-01
[33]
문서
Quran 62:4
[34]
문서
Source: Quran 57:29
[35]
문서
see Quran 57:21
[36]
사전
大辞林
[37]
사전
恩知らず
デジタル大辞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