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프리드 세이어 머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은 미국의 해군 군인이자 해양 전략가로, 국가의 번영과 안보에 있어 해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인물이다. 그는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남북 전쟁에 참전했으며, 해군대학 교관과 교장을 역임했다. 머핸은 저서를 통해 해양력 이론을 제시했는데, 이는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해군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해양력이 프랑스 혁명과 제국에 미치는 영향》 등이 있다. 머핸은 1914년 워싱턴 D.C.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군사 - 해전
해전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바다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전투로, 수상함, 항공기, 잠수함, 상륙 작전, 해상 호위, 기뢰 등을 이용하며 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해왔고 역사적,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다. - 해군사 -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해군 군비 경쟁 억제를 위해 1922년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5개국이 체결한 조약으로, 주력함과 항공모함의 톤수 및 함포 제한, 신규 함선 건조 중단, 태평양 지역 요새화 금지 등의 내용을 담고 있으나, 일본의 파기 선언으로 실효되었다. - 미국 해군 소장 - 리처드 에벌린 버드
리처드 에벌린 버드는 미국의 해군 군인이자 극지 탐험가, 항공 개척자로서 북극과 남극 탐험을 주도하며 북극점과 남극점 상공 비행에 성공하고,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많은 훈장을 받았다. - 미국 해군 소장 - 래피얼 셈스
래피얼 셈스는 미국-멕시코 전쟁과 남북 전쟁에 참전하고 남부 연합 해군에서 CSS 섬터와 CSS 앨라배마를 지휘하며 상선을 약탈했으며, 앨라배마 격침 이후 변호사, 신문 편집장,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1877년에 사망했다. - 지정학자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는 1973년 칠레 쿠데타로 집권하여 1990년까지 칠레를 군사 독재 통치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그의 통치는 인권 침해와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으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을 야기했으며 1998년 인권 침해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사망했다. - 지정학자 - 알렉산드르 두긴
알렉산드르 두긴은 러시아의 정치 철학자이자 지정학자, 정치 이론가로서, 신유라시아주의 이념을 주창하며 러시아 중심의 유라시아 제국 건설을 주장하는 극우 민족주의 성향의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의 사상은 러시아 정치계에 영향을 미치고 파시즘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우크라이나 및 서방 국가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40년 9월 27일 |
사망일 | 1914년 12월 1일 |
출생지 | 뉴욕주웨스트포인트 |
사망지 | 워싱턴 D.C. |
안장 장소 | 쿼그 묘지, 쿼그, 뉴욕 |
배우자 | 엘렌 쿤 머핸 |
자녀 | 헬렌 에번스 머핸 (딸) 엘렌 쿤 머핸 (딸) 라일 에번스 머핸 (아들) |
가족 | 데니스 하트 머핸 (아버지) 메리 헬레나 오킬 머핸 (어머니) 제임스 제이 경 (증조부) |
![]() | |
군 경력 | |
소속 | 미국 연방 |
군종 | 미국 해군 북군 해군 |
복무 기간 | 1859년–1896년 |
최종 계급 | [[파일:U.S. Navy captain rank insignia (1864-1866).png|35px]] 대령 [[파일:USN Rear Admiral rank insignia.jpg|border|35px]] 소장 (퇴역 후) |
지휘 | USS 시카고 USS 와스프 USS 와추세트 |
참전 | 미국 남북 전쟁 포트 로열 전투 미국-스페인 전쟁 |
학문/저술 활동 | |
주요 저서 |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프랑스 혁명과 제국에 대한 해양력의 영향》 |
관련 개념 | 칸타이 켓센 ("결정적 전투 독트린") |
2. 생애
뉴욕주웨스트포인트에서 육군사관학교 교수였던 데니스 하트 머핸과 메리 헬레나 머핸 부부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모의 바람과 달리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2년간 공부한 후 해군사관학교에 진학했다.[13]
1859년에 졸업 후 1861년에 소위로 임관했으며, 남북 전쟁에서는 프리깃함 콩그레스(USS Congress) , 외륜선 포카혼타스(USS Pocahontas), 제임스 아저(USS James Adger)에 승선했다.[61] 이후 남대서양 봉쇄 전대의 증기 코르벳함 에 합류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포트 로열 해전에 참전했다.[13] 1865년에는 소령으로, 1872년에 중령으로 진급했다. 부장으로 막부 말기·메이지 유신 시대의 일본을 직접 보았다.[61] 1885년에는 논문 '멕시코 만과 내해'가 평가받아 대령으로 진급하여 해군대학 초대 교관을 맡아 해전술 교육을 담당했다. 1890년에 『해상권력사론』이 발표되었고, 1892년부터 이듬해까지 해군대학 제2대 교장을 역임했다.[61]
1893년에 순양함 시카고 함장으로 영국을 방문했다.[61]
1896년에 퇴역한 후에는 미국 역사학회 회장 및 헤이그 평화 회의 미국 대표단 고문을 맡았으며 연구에 전념하여, 『넬슨 전』, 『미서 전쟁의 교훈』,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제국에서의 시파워의 영향』, 『해군 전략』을 발표한 후 1914년에 워싱턴 D.C.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은 1840년 9월 27일 뉴욕주 웨스트포인트에서 미국 육군사관학교 교수였던 데니스 하트 머핸[10]과 메리 헬레나 머핸 부부 사이에서 태어났다. 머핸의 중간 이름은 "웨스트포인트의 아버지"인 실바너스 테이어를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 머핸은 세인트 제임스 학교를 거쳐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2년간 공부하며 필로렉시안 협회 토론 클럽의 회원이었다.[11] 아버지의 바람과는 달리, 머핸은 미국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859년 졸업반에서 2등으로 졸업했다.[12]2. 2. 초기 경력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은 뉴욕주웨스트포인트에서 육군사관학교 교수였던 데니스 하트 머핸과 메리 헬레나 머핸 부부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모의 바람과 달리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2년간 공부한 후 해군사관학교에 진학했다.[13] 1859년에 졸업 후 1861년에 소위로 임관했으며, 남북 전쟁에서는 프리깃함 콩그레스(USS Congress) , 외륜선 포카혼타스(USS Pocahontas), 제임스 아저(USS James Adger)에 승선했다.[61] 이후 남대서양 봉쇄 전대의 증기 코르벳함 에 합류하여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포트 로열 해전에 참전했다.[13] 1865년에는 소령으로, 1872년에 중령으로 진급했다. 부장으로 막부 말기·메이지 유신 시대의 일본을 직접 보았다.[61] 1885년에는 대령으로 진급했다.[14][15]
그는 실제 함선 지휘 능력은 훌륭하지 못했고, 그의 지휘 하에 있던 여러 척의 함선들이 움직이는 물체와 정지된 물체와 충돌하는 사고를 겪었다. 그는 연기가 많이 나고 시끄러운 동시대의 증기선보다는 낡은 정방형 돛을 단 배를 선호했으며, 실제 해상 근무를 피하려고 했다.[16]
2. 3. 해군대학과 저술 활동
1885년,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은 논문 '멕시코 만과 내해'가 평가받아 대령으로 진급하여 해군대학 초대 교관을 맡아 해전술 교육을 담당했다.[61] 해군대학 학장 스티븐 B. 루스 제독은 머핸에게 해양력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집필하도록 지시했고, 머핸은 교수로 임용되기 전 첫 해 동안 뉴욕시 자택에서 강의를 연구하고 집필했다. 1886년 교수가 될 준비를 마쳤지만, 루스가 북대서양 함대 지휘를 맡게 되면서 머핸이 해군대학 학장이 되었다(1886년 6월 22일 – 1889년 1월 12일, 1892년 7월 22일 – 1893년 5월 10일).[17] 1888년에는 당시 방문 강사였던 미래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와 만나 친구가 되었다.[18]머핸의 강의는 2차 자료와 앙투안앙리 조미니의 군사 이론을 바탕으로 한 해양력 연구가 되었다. 주요 저서로는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1660–1783》(1890), 《해양력이 프랑스 혁명과 제국에 미치는 영향, 1793–1812》(2권, 1892), 《1812년 전쟁과 관련된 해양력》(2권, 1905), 《넬슨의 생애: 대영 제국의 해양력 구현》(2권, 1897) 등이 있다. 머핸은 역사를 형성하는 데 있어 개인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충성심, 용기, 국가에 대한 봉사의 전통적인 가치를 칭송했다. 호레이쇼 넬슨을 영국에서 국민 영웅으로 되살리려 했고, 그의 전기를 해군 전략과 전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표현하는 플랫폼으로 사용했다.[19]
머핸은 영국의 해군 역사가 존 녹스 로턴 경과 친분을 쌓았고, 런던에 있을 때 서신과 방문을 통해 관계를 유지했다. 머핸은 로턴을 "역사가"라고 불렀고, 로턴은 머핸을 이론가로 보았다.[20] 또한, 머핸은 해군대학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인 윌리엄 매카티 리틀과 긴밀히 협력했다.
2. 4. 후기 경력
1893년, 머핸은 순양함 시카고 함장으로 영국을 방문하여 환대를 받았다.[61] 1896년 현역에서 은퇴하였으나, 미국-스페인 전쟁 기간 중 해군 전략 자문을 위해 잠시 복귀하였다.[43] 퇴역 후 미국 역사학회 회장 및 1899년 헤이그 평화 회의 미국 대표단 고문을 역임했다.[45]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예일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다트머스 대학교, 맥길 대학교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43] 1902년에는 ''내셔널 리뷰''에 게재된 "페르시아만과 국제 관계"라는 기사에서 "중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이 용어를 대중화했다.[43] 1899년 헤이그 평화 회의에서 머핸은 전쟁에서 질식 가스 사용 금지에 반대하며, 그러한 무기가 전쟁을 빨리 끝내 세계 평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44]
1906년, 머핸은 미국 남북 전쟁 참전 퇴역 대령을 진급시키는 의회법에 따라 소장으로 진급했다.[46]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시, 연합국에 유리한 성명을 발표했지만, 우드로 윌슨 대통령은 모든 현역 및 퇴역 장교에게 전쟁에 대한 공개 논평을 자제하도록 명령했다.[46]
2. 5. 종교 생활
머핸은 미국 성공회 신자로 자랐으며 고교회파에 공감하는 독실한 교회 신자였다. 만년에 공동 기도문 개정을 강력하게 반대했다.[47] 1871년경, 머핸은 자신의 공로가 아닌 "십자가 위에서 그리스도의 완성된 사역에 대한 믿음"을 통해서만 하나님의 은총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회심을 경험했다.[48]만년에 머핸은 종종 성공회 교구에서 연설했다. 1899년, 브루클린의 성 안나 성 삼위일체 교회에서 머핸은 자신의 종교적 경험을 강조하며 성령의 사역을 통해 주어진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가 필요하다고 선언했다.[50] 1909년, 머핸은 "일부 개인적인 증언, 일부 성경 분석, 일부 해설 설교"인 ''내면의 추수: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생각''을 출판했다.[51]
2. 6. 사망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몇 달 후인 1914년 12월 1일, 워싱턴 D.C.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52] 미국 해군사관학교의 머핸 홀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2]3. 해양력 이론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은 국가의 번영과 안보에 있어 해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3] 그는 해양력이 상업적 이용(평시)과 해상 통제(전시)를 통해 국가의 위대함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다고 주장했다.[23] 머핸의 견해는 네덜란드 공화국, 잉글랜드 왕국, 프랑스 왕국, 합스부르크 스페인 간의 17세기 분쟁, 그리고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동안 프랑스와 스페인 간의 해상 분쟁에 의해 형성되었다.[21] 영국 해군의 우위는 결국 프랑스를 격파하여 침략과 효과적인 봉쇄를 일관되게 막았다. 머핸은 해상 작전의 주요 목적은 결정적 해전과 봉쇄를 통해 승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21] 19세기 미국은 주로 유럽으로 향하는 수출에 크게 의존하는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해상 무역에 대한 더 큰 통제를 추구했다.
머핸은 전략적 요충지(예: 해협, 운하, 석탄 보급 기지)와 함대의 정량화 가능한 전투력 수준을 강조했다.[23] 평시에는 생산 및 해운 능력 증대, 해외 영토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모국에서 너무 많은 자원을 소모하지 않도록 석탄 보급 기지 및 전략 기지의 수를 제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23]
해상 지배권 확보를 위해서는 상업 파괴가 아닌 적 함대를 파괴하거나 무력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4] 이러한 전략은 너무 크지 않지만 다수이고, 철저하게 훈련된 승무원을 갖춘 전함으로 구성된 해군력 집중을 요구했으며, 최고의 방어는 적극적인 공격이라는 원칙 하에 운용되었다.[24]
머핸은 해상 지배권을 통해, 비록 지역적이고 일시적일지라도, 육군을 지원하는 해군 작전이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해군 우위는 자유 무역의 다국적 시스템을 방어하는 초국가적 컨소시엄에 의해 행사될 수 있다고 믿었다.[25] 그의 이론은 잠수함이 전쟁에서 심각한 요인으로 부상하기 전에 전개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대영 제국 해군의 U보트 작전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호송선 도입을 지연시켰다. 1930년대에 미국 해군은 일본 해운을 공격하기 위해 장거리 잠수함을 건조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군은 여전히 머핸의 사상에 묶여 잠수함을 함대의 부속물로 설계했고, 태평양에서 미국의 보급선을 공격하지 못했다. 머핸은 미국-스페인 전쟁에 대한 분석을 통해 태평양의 광대한 거리가 미국 전함이 장거리 타격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시사했다.[25]
머핸은 첫째, 해양력의 발전에 있어서 훌륭한 정치 및 해군 리더십이 지리적 요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믿었다. 둘째, 머핸의 해양력 관련 정치 분석 단위는 단일 국민 국가가 아닌 초국가적 컨소시엄이었다. 셋째, 그의 경제적 이상은 자급자족이 아닌 자유 무역이었다. 넷째, 전략에 대한 지리의 영향을 인정한 그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우연성의 힘에 대한 강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26]
1890년, 머핸은 대영 제국과 미국 간의 전쟁에 대비한 비밀 비상 계획을 준비했다. 머핸은 영국 해군이 미국 동부 해안을 봉쇄할 경우, 미 해군은 가능한 한 두 개의 광범위하게 분리된 출구가 있는 뉴욕 항구와 같은 특정 항구에 집중해야 하며, 어뢰정을 사용하여 다른 항구를 방어해야 한다고 믿었다. 이 미 해군의 집중은 영국이 뉴욕 출구를 감시하기 위해 자국 해군의 상당 부분을 묶어두도록 하여 다른 미국 항구가 상대적으로 안전해지도록 할 것이다. 분리된 미국 순양함은 적의 노출된 위치에 대해 "지속적인 공격 작전"을 수행해야 하며, 영국이 다른 미국 항구를 공격하기 위해 뉴욕 해상 봉쇄력을 약화시킬 경우, 집중된 미 해군은 노바스코샤의 영국 석탄 보급 항구를 점령하여 미국 해안에서 영국의 해군 작전 수행 능력을 심각하게 약화시킬 수 있었다. 이 비상 계획은 머핸의 해군 전쟁 원칙 적용의 명확한 예이며, 전략적 요충지 통제에 대한 조미니의 원칙에 명백히 의존하고 있다.[27]
피터 파레트의 저서 《마키아벨리에서 핵 시대까지의 현대 전략가들》(Makers of Modern Strategy from Machiavelli to the Nuclear Age)에 따르면, 머핸은 영국의 세계 강대국으로의 부상에서 외교와 육상 무기를 무시하고 해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2] 또한, 해양력 이론은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독일 제국이나 러시아 제국과 같은 육상 제국의 부상을 설명하지 못한다.[22]
3. 1. 주요 내용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은 국가의 번영과 안보에 있어 해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3] 그는 해양력이 상업적 이용(평시)과 해상 통제(전시)를 통해 국가의 위대함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다고 주장했다.[23] 머핸의 견해는 네덜란드 공화국, 잉글랜드 왕국, 프랑스 왕국, 합스부르크 스페인 간의 17세기 분쟁, 그리고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동안 프랑스와 스페인 간의 해상 분쟁에 의해 형성되었다.[21]머핸은 전략적 요충지(예: 해협, 운하, 석탄 보급 기지)와 함대의 정량화 가능한 전투력 수준을 강조했다.[23] 평시에는 생산 및 해운 능력 증대, 해외 영토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모국에서 너무 많은 자원을 소모하지 않도록 석탄 보급 기지 및 전략 기지의 수를 제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23]
해상 지배권 확보를 위해서는 상업 파괴가 아닌 적 함대를 파괴하거나 무력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4] 이러한 전략은 너무 크지 않지만 다수이고, 철저하게 훈련된 승무원을 갖춘 전함으로 구성된 해군력 집중을 요구했으며, 최고의 방어는 적극적인 공격이라는 원칙 하에 운용되었다.[24]
머핸은 해상 지배권을 통해, 비록 지역적이고 일시적일지라도, 육군을 지원하는 해군 작전이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해군 우위는 자유 무역의 다국적 시스템을 방어하는 초국가적 컨소시엄에 의해 행사될 수 있다고 믿었다.[25]
머핸은 해양력의 발전에 있어서 훌륭한 정치 및 해군 리더십이 지리적 요인만큼 중요하며, 해양력 관련 정치 분석 단위는 단일 국민 국가가 아닌 초국가적 컨소시엄이고, 그의 경제적 이상은 자급자족이 아닌 자유 무역이며 또한 전략에 대한 지리의 영향을 인정했지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우연성의 힘에 대한 강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믿었다.[26]
1890년, 머핸은 대영 제국과 미국 간의 전쟁에 대비한 비밀 비상 계획을 준비했다. 머핸은 영국 해군이 미국 동부 해안을 봉쇄할 경우, 미 해군은 가능한 한 두 개의 광범위하게 분리된 출구가 있는 뉴욕 항구와 같은 특정 항구에 집중해야 하며, 어뢰정을 사용하여 다른 항구를 방어해야 한다고 믿었다. 분리된 미국 순양함은 적의 노출된 위치에 대해 "지속적인 공격 작전"을 수행해야 하며, 영국이 다른 미국 항구를 공격하기 위해 뉴욕 해상 봉쇄력을 약화시킬 경우, 집중된 미 해군은 노바스코샤의 영국 석탄 보급 항구를 점령하여 미국 해안에서 영국의 해군 작전 수행 능력을 심각하게 약화시킬 수 있었다.[27]
3. 2. 한계
피터 파레트의 저서 《마키아벨리에서 핵 시대까지의 현대 전략가들》(Makers of Modern Strategy from Machiavelli to the Nuclear Age)에 따르면, 머핸은 영국의 세계 강대국으로의 부상에서 외교와 육상 무기를 무시하고 해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2] 또한, 해양력 이론은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독일 제국이나 러시아 제국과 같은 육상 제국의 부상을 설명하지 못한다.[22]4. 영향
머핸의 이론이 널리 받아들여지는 데는 시의적절함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비록 그의 역사적 근거는 2차 자료에 기반을 둔 상대적으로 빈약한 것이었지만, 그의 활기찬 문체와 명확한 이론은 해군 옹호론자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신제국주의 지지자들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24]
추진 (석탄에서 석유로, 왕복 엔진에서 터빈으로), 무기 (더 나은 사격 통제 장치와 새로운 고성능 폭발물) 및 장갑 분야에서 급격한 기술 변화가 진행되고, 구축함과 잠수함과 같은 새로운 함선이 등장하는 상황에서, 머핸이 주력함과 제해권에 대한 강조는 매우 적절한 시점에 이루어졌다.[24]
;미국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의 이론은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비롯한 미국의 정치 지도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4] 머핸은 미국이 지협 운하를 건설하면 태평양 강국이 될 것이라고 믿었으며, 하와이를 점령하여 미국 서부 해안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했다.[40] 그의 이론은 미국의 해군력 증강과 파나마 운하 건설, 하와이 합병 등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필리핀의 미국 합병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입장을 보였다.[41]
;영국
머핸의 이론은 활기찬 문체와 명확한 이론으로 해군 옹호론자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신제국주의 지지자들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24] 추진, 무기, 장갑 분야에서 급격한 기술 변화가 진행되고 구축함과 잠수함과 같은 새로운 함선이 등장하는 상황에서, 머핸의 주력함과 제해권에 대한 강조는 매우 적절한 시점에 이루어졌다.[24]
머핸은 강력한 함선을 자국 영해에 집중시키고 원해의 전력을 최소화하는 보편적 원칙을 주장했다. 머핸과 영국의 초대 제1해군대신 존 피셔(1841–1920)는 모두, 둘 다 할 수 없는 해군력으로 자국 영해와 원해를 어떻게 지배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33]
;독일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제독(1849–1930)은 머핸의 명성을 이용하여 강력한 공해 함대를 건조하는 데 자금을 조달했다.[28] 머핸의 '바다가 세계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는 주장을 굳게 믿었던 열렬한 해군 옹호론자 티르피츠는 1898년에 ''해상권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을 독일어로 번역하여 8,000부를 무상으로 배포하여 제국 의회가 제1차 해군 법안에 찬성하도록 압력을 가했다.[29]
티르피츠는 머핸을 독일 여론을 얻는 수단으로 활용했을 뿐만 아니라 전략적 사고의 지침으로도 활용했다.[30] 1914년 이전, 티르피츠는 상업 약탈을 전략으로 전면 거부하고 대신 머핸이 이상으로 여긴 두 함대 간의 결정적인 섬멸전을 통해 해상 지배권을 쟁취하는 방식을 옹호했다.[7] 티르피츠는 항상 독일 공해 함대가 영국 그랜드 함대를 상대로 "헬골란트와 템스 강 사이의 해역"에서 ''Entscheidungsschlacht''(결정적 해전)에서 승리하도록 계획했는데, 이는 그가 ''해상권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을 읽고 얻은 전략이었다.[7]
제1차 세계 대전의 해전은 머핸의 영향을 받은 독일의 계획가들이 예상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영국 해군은 공개적인 전투를 피하고 독일을 봉쇄하는 데 집중했기 때문이다. 후고 폰 폴 제독은 헬골란트 만 해전과 도거 뱅크 해전 이후, 독일 해군 함대의 대부분을 북해 기지에 묶어두었다. 라인하르트 셰어는 유틀란트 해전에서 그랜드 함대를 머핸이 제시한 결정적인 해전으로 유인하려 했지만, 전략적인 패배로 끝났다.[31] 독일군이 백일 공세에서 패배에 임박하자, 독일 해군 수뇌부는 로열 네이비와의 결정적인 교전을 위해 함대를 동원하려 했으나, 수병들은 킬 반란을 일으켰고, 이는 호엔촐레른 왕가를 무너뜨린 1918-1919년 독일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32]
;일본
머핸의 ''해상권력사, 1660–1783''은 일본어로 번역되어[35] 일본 제국 해군(IJN)의 교재로 사용되었다.[36] 이는 극동 지역에서의 러시아 해군 확장을 종식시키려는 IJN의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04-05년의 러일 전쟁으로 절정에 달했다.[36] IJN이 "결전"(함대 결전)을 추구한 것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의 패배에 기여했다는 주장이 있다.[37][38] 잠수함과 항공모함의 발달이 기술 발전과 결합되어 함대 간의 결정적인 전투 교리를 크게 무용지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39] 그럼에도 불구하고, IJN은 특히 진주만 공격과 미드웨이 해전 동안 전술적으로 병력이 분산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마한의 교리를 엄격히 따르지는 않았다.
동시대 일본에서 머핸의 저작과 사상을 소개, 도입, 응용하는 데 관여한 인물로는 가네코 겐타로, 키모츠키 카네유키, 오가사와라 나가나리, 사토 테츠타로, 테라시마 무네노리가 있었다.
;한국에 대한 함의
머핸의 이론은 강대국들의 해양 경쟁 논리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으며, 이는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들의 각축에 영향을 미쳤다.[24] 그의 활기찬 문체와 명확한 이론은 해군 옹호론자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신제국주의 지지자들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24] 특히, 일본이 머핸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해군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대한제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는 과정은 한국 근대사의 비극적인 전개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가네코 겐타로, 키모츠키 카네유키, 오가사와라 나가나리, 사토 테츠타로, 테라시마 무네노리 등은 일본에서 머핸의 저작과 사상을 소개, 도입, 응용하는 데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추진 (석탄에서 석유로, 왕복 엔진에서 터빈으로), 무기 (더 나은 사격 통제 장치와 새로운 고성능 폭발물) 및 장갑 분야에서 급격한 기술 변화가 진행되고, 구축함과 잠수함과 같은 새로운 함선이 등장하는 상황에서, 머핸이 주력함과 제해권에 대한 강조는 매우 적절한 시점에 이루어졌다.[24]
현대 한국 해군 역시 머핸의 이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그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의 현실에 맞는 해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4. 1. 미국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의 이론은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비롯한 미국의 정치 지도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24] 머핸은 미국이 지협 운하를 건설하면 태평양 강국이 될 것이라고 믿었으며, 하와이를 점령하여 미국 서부 해안을 보호해야 한다고 생각했다.[40] 그의 이론은 미국의 해군력 증강과 파나마 운하 건설, 하와이 합병 등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필리핀의 미국 합병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입장을 보였다.[41]4. 2. 영국
머핸의 이론은 활기찬 문체와 명확한 이론으로 해군 옹호론자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신제국주의 지지자들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24] 추진, 무기, 장갑 분야에서 급격한 기술 변화가 진행되고 구축함과 잠수함과 같은 새로운 함선이 등장하는 상황에서, 머핸의 주력함과 제해권에 대한 강조는 매우 적절한 시점에 이루어졌다.[24]머핸은 강력한 함선을 자국 영해에 집중시키고 원해의 전력을 최소화하는 보편적 원칙을 주장했다. 머핸과 영국의 초대 제1해군대신 존 피셔(1841–1920)는 모두, 둘 다 할 수 없는 해군력으로 자국 영해와 원해를 어떻게 지배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했다.[33]
4. 3. 독일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제독(1849–1930)은 머핸의 명성을 이용하여 강력한 공해 함대를 건조하는 데 자금을 조달했다.[28] 머핸의 '바다가 세계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는 주장을 굳게 믿었던 열렬한 해군 옹호론자 티르피츠는 1898년에 ''해상권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을 독일어로 번역하여 8,000부를 무상으로 배포하여 제국 의회가 제1차 해군 법안에 찬성하도록 압력을 가했다.[29]티르피츠는 머핸을 독일 여론을 얻는 수단으로 활용했을 뿐만 아니라 전략적 사고의 지침으로도 활용했다.[30] 1914년 이전, 티르피츠는 상업 약탈을 전략으로 전면 거부하고 대신 머핸이 이상으로 여긴 두 함대 간의 결정적인 섬멸전을 통해 해상 지배권을 쟁취하는 방식을 옹호했다.[7] 티르피츠는 항상 독일 공해 함대가 영국 그랜드 함대를 상대로 "헬골란트와 템스 강 사이의 해역"에서 ''Entscheidungsschlacht''(결정적 해전)에서 승리하도록 계획했는데, 이는 그가 ''해상권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을 읽고 얻은 전략이었다.[7]
제1차 세계 대전의 해전은 머핸의 영향을 받은 독일의 계획가들이 예상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영국 해군은 공개적인 전투를 피하고 독일을 봉쇄하는 데 집중했기 때문이다. 후고 폰 폴 제독은 헬골란트 만 해전과 도거 뱅크 해전 이후, 독일 해군 함대의 대부분을 북해 기지에 묶어두었다. 라인하르트 셰어는 유틀란트 해전에서 그랜드 함대를 머핸이 제시한 결정적인 해전으로 유인하려 했지만, 전략적인 패배로 끝났다.[31] 독일군이 백일 공세에서 패배에 임박하자, 독일 해군 수뇌부는 로열 네이비와의 결정적인 교전을 위해 함대를 동원하려 했으나, 수병들은 킬 반란을 일으켰고, 이는 호엔촐레른 왕가를 무너뜨린 1918-1919년 독일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32]
4. 4. 일본
머핸의 ''해상권력사, 1660–1783''은 일본어로 번역되어[35] 일본 제국 해군(IJN)의 교재로 사용되었다.[36] 이는 극동 지역에서의 러시아 해군 확장을 종식시키려는 IJN의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04-05년의 러일 전쟁으로 절정에 달했다.[36] IJN이 "결전"(함대 결전)을 추구한 것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의 패배에 기여했다는 주장이 있다.[37][38] 잠수함과 항공모함의 발달이 기술 발전과 결합되어 함대 간의 결정적인 전투 교리를 크게 무용지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39] 그럼에도 불구하고, IJN은 특히 진주만 공격과 미드웨이 해전 동안 전술적으로 병력이 분산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마한의 교리를 엄격히 따르지는 않았다.동시대 일본에서 머핸의 저작과 사상을 소개, 도입, 응용하는 데 관여한 인물로는 가네코 겐타로, 키모츠키 카네유키, 오가사와라 나가나리, 사토 테츠타로, 테라시마 무네노리가 있었다.
4. 5. 한국에 대한 함의
머핸의 이론은 강대국들의 해양 경쟁 논리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으며, 이는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들의 각축에 영향을 미쳤다.[24] 그의 활기찬 문체와 명확한 이론은 해군 옹호론자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신제국주의 지지자들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24] 특히, 일본이 머핸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해군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대한제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는 과정은 한국 근대사의 비극적인 전개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가네코 겐타로, 키모츠키 카네유키, 오가사와라 나가나리, 사토 테츠타로, 테라시마 무네노리 등은 일본에서 머핸의 저작과 사상을 소개, 도입, 응용하는 데 적극적으로 관여했다.추진 (석탄에서 석유로, 왕복 엔진에서 터빈으로), 무기 (더 나은 사격 통제 장치와 새로운 고성능 폭발물) 및 장갑 분야에서 급격한 기술 변화가 진행되고, 구축함과 잠수함과 같은 새로운 함선이 등장하는 상황에서, 머핸이 주력함과 제해권에 대한 강조는 매우 적절한 시점에 이루어졌다.[24]
현대 한국 해군 역시 머핸의 이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그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의 현실에 맞는 해양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5. 저서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은 다양한 저서를 통해 해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해군 전략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걸프 해와 내륙 수로》 (1883)
-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1660–1783》 (1890)
- 《해양력이 프랑스 혁명과 제국에 미치는 영향, 1793–1812》 (1892)
- 《파라갓 제독》 (1892)
- 《해양력에 대한 미국의 이익, 현재와 미래》 (1897)
- 《넬슨의 생애: 대영 제국의 해양력 구현》 (1897)
- 《스페인과의 전쟁의 교훈, 그리고 다른 글들》 (1899)
- 《아시아의 문제와 국제 정책에 미치는 영향》 (1900)
- 《영국 해군의 역사에서 얻은 해군 장교의 유형》 (1901)
- 《1812년 전쟁과 관련된 해양력》 (1905)
- 《일본해 해전에서 제안된 역사적, 기타 반성》 (1906)
- 《돛에서 증기로, 해군 생활의 회상》 (1907)
- 《해군 행정 및 전쟁: 몇 가지 일반적인 원칙, 기타 에세이 포함》 (1908)
- 《내면의 추수: 그리스도인의 삶에 대한 생각》 (1909)
- 《해군 전략: 육상 군사 작전의 원칙 및 실제와 비교 및 대조》 (1911)
- 《군비 및 중재; 또는, 국가의 국제 관계에서 무력의 위치》 (1912)
- 《미국 독립 전쟁에서의 해군의 주요 작전》 (1913)
머핸의 저서는 일본 해군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해군 전략과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6. 가계
앨프리드 세이어 머핸의 아버지는 데니스 하트 머핸이고, 어머니는 메리 헬레나 오킬이다.[55] 1872년 6월에는 엘렌 라일 에반스와 결혼하여 헬렌 에반스 머핸, 엘렌 쿤 머핸, 라일 에반스 머핸 등의 두 딸과 한 아들을 두었다.[55]
참조
[1]
논문
My Parents, Rear Admiral and MRS. Alfred Thayer Mahan
https://www.jstor.or[...]
1990
[2]
서적
The American Civil War
Knopf
[3]
논문
NWC 1005
https://www.usnwc.ed[...]
Naval War College
2016-12-12
[4]
서적
Makers of Modern Strategy from Machiavelli to the Nuclear Ag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God and Sea Power: The Influence of Religion on Alfred Thayer Mahan
Naval Institute Press
[6]
서적
Naval Classical Thinkers and Operational Art
https://www.usnwc.ed[...]
Naval War College
2016-12-12
[7]
문서
Herwig, 69–105
[8]
서적
The Unfinished Nation
McGraw-Hill
[9]
문서
Geissler, 134–135
[10]
웹사이트
Mahan, Alfred Thayer
https://www.history.[...]
2023-07-13
[11]
웹사이트
Alfred Thayer Mahan
http://www.c250.colu[...]
2022-08-10
[12]
문서
Geissler, 24–26
[13]
웹사이트
Mahan, Alfred Thayer
https://www.history.[...]
[14]
서적
The Ambiguous Relationship: Theodore Roosevelt and Alfred Thayer Mahan
Greenwood Press
[15]
논문
'Mahan and the "English Club" of Lima, Peru: The Genesis of The Influence of Sea Power upon History'
2008-07
[16]
서적
Makers of Modern Strategy from Machiavelli to the Nuclear Ag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Presidents of the U
http://www.nwc.navy.[...]
2006-05-17
[18]
문서
Geissler, 99–100
[19]
웹사이트
ODNB entry for Carola Oman
http://www.oxforddnb[...]
2012-07-08
[20]
웹사이트
The Foundations of Naval History: John Knox Laughton, the Royal Navy and the Historical Profession, Review of book by Professor Andrew Lambert
http://www.history.a[...]
Institute for Historical Research
2007-04-03
[21]
논문
NWC 1005
https://www.usnwc.ed[...]
Naval War College
2016-12-12
[22]
서적
Makers of Modern Strategy from Machiavelli to the Nuclear Ag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문서
Crowl, Alfred Thayer Mahan, 451, 460
[24]
문서
"Alfred Thayer Mahan: The Naval Historian," in Paret, Peter, Gordon A. Craig, and Felix Gilbert, eds. Makers of Modern Strategy from Machiavelli to the Nuclear Age
[25]
웹사이트
Go Get Mahan's Yardstick
https://www.usni.org[...]
2020-12-09
[26]
서적
Inventing Grand Strategy and Teaching Command: The Classic Works of Alfred Thayer Maha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7]
간행물
"Captain Mahan's 'War' with Great Britain," U.S. Naval Institute Proceedings
1968
[28]
간행물
"The Failure of German Sea Power, 1914–1945: Mahan, Tirpitz, and Raeder Reconsidered", The International History Review
1988-02
[29]
문서
Herwig, 69–105
[30]
문서
Herwig, 72–73
[31]
웹사이트
Naval Warfare
https://encyclopedia[...]
2022-07-20
[32]
웹사이트
Kiel Mutiny
https://encyclopedia[...]
Freie Universität Berlin
2024-04-29
[33]
간행물
Geography, Technology, and British Naval Strategy in the Dreadnought Era. Naval War College Review
2006
[34]
간행물
"L'epreuve des Faits: ou la Pensee Navale Française face a la Grande Guerre", Revue Historique Des Armées
1996
[35]
서적
Kaigun
U.S. Naval Institute Press
[36]
간행물
Proceedings article 1906
[37]
서적
The Pearl Harbor Papers
Brassey's
[38]
서적
The Japanese Merchant Marine in WW2
U.S. Naval Institute Press
[39]
간행물
Alfred Thayer Mahan
[40]
서적
The Unfinished Nation
McGraw-Hill
[41]
문서
[42]
서적
Masters and Commanders: The Military Geniuses Who Led the West to Victory in World War II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43]
서적
London and the Invention of the Middle East: Money, Power, and War, 1902–1922
Yale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Proud Tower
[45]
웹사이트
Subordination in Historical Treatment
https://www.historia[...]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웹사이트
Midshipmen Learn Lessons from the Fleet
http://www.news.navy[...]
2007-10-20
[53]
문서
[54]
웹사이트
Mahan Division website
http://www.mahandivi[...]
[55]
논문
My Parents, Rear Admiral and MRS. Alfred Thayer Mahan
https://www.jstor.or[...]
1990
[5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4-03-01
[57]
웹사이트
Alfred Thayer Mahan
https://www.amacad.o[...]
2023-02-09
[58]
논문
Review of ''The Life of Nelson, The Embodiment of the Sea Power of Great Britain'' by Captain A. T. Mahan
https://babel.hathit[...]
1898-01
[59]
Youtube
2020 Issues in National Security Lecture Series: John Maurer on Alfred Thayer Mahan
https://www.youtube.[...]
U.S. Naval War College
[60]
문서
朝日東亜年報. 昭和17年版 (大東亜戦争特輯)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61]
논문
海軍戦略家アルフレッド・マハンと将軍徳川慶喜
https://www.sof.or.j[...]
笹川平和財団海洋政策研究所
2014-08-05
[62]
서적
The American Civil War
Knop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