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온교환수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온교환수지는 1930년대에 개발된 물질로, 토양 입자의 이온 교환 작용을 기반으로 한다. 주로 1mm 미만의 입자 형태로 공급되며, 모체와 이온 교환기로 구성된다. 모체는 고분자 망목 구조를 가지며, 이온 교환기는 이온을 방출하는 작용기를 포함한다. 이온 교환 수지는 작용기에 따라 강산성, 약산성, 강염기성, 약염기성으로 구분되며, 양이온 교환 수지와 음이온 교환 수지로 나뉜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경수 연화, 순수 및 초순수 제조, 금속 분리 및 정제, 촉매, 식품 및 의약품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분자 - 유기 반도체
    유기 반도체는 탄소 기반 유기 분자로 구성된 반도체 물질로, 넓은 밴드갭을 가지며 전하 주입, 도핑, 광여기 등을 통해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고, OLED, 유기 태양 전지, OFET 등의 광전자 소자에 활용되며 제작 용이성, 유연성, 저렴함 등의 장점을 가진다.
  • 고분자 - 실리콘
    실리콘은 실록산 결합을 주 골격으로 하는 유기규소 화합물인 폴리실록산으로, 다양한 유기 치환기를 포함하여 여러 특성을 지니며, 다양한 형태로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지만, 일부 고리형 실록산의 환경 및 건강에 대한 우려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물 - 물대포
    물대포는 화재 진압 및 시위 진압에 사용되는 장비로, 독일에서 처음 등장하여 현재는 원격 조작이 가능하며, 분사 압력과 거리에 따라 효과가 다르며, 과도한 사용은 부상을 초래할 수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물 - 지하수
    지하수는 지구 물 순환의 중요한 부분으로, 전 세계 민물의 20%를 차지하며, 생활, 농업, 산업 용수로 사용되지만, 과다 양수와 오염으로 고갈 위기에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담수 자원이다.
이온교환수지
개요
유형고분자
구조가교된 고분자 매트릭스
기능기이온 교환 기능기
특성
특징물불용성
사용이온 교환, 촉매, 고체상 추출 등에 사용됨
역사
최초 개발1930년대
개발자B. A. 애덤스와 E. L. 홈즈
응용
물 처리물의 탈이온화
수돗물 연수화
화학 산업촉매 작용
분리 및 정제
식품 산업설탕 정제
아미노산 분리
의약품약물 전달
콜레스테롤 저하
종류
이온 유형양이온 교환 수지
음이온 교환 수지
기능기술폰산
카복실산
아민
4급 암모늄
매트릭스 구조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아크릴산 공중합체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합성
중합 방법현탁 중합
에멀션 중합
용액 중합
가교제디비닐벤젠 (DVB)
기능기 도입술폰화, 아미노메틸화 등
작동 원리
이온 교환 과정수지 내 이온과 용액 내 이온 간의 가역적 교환
선택성이온의 전하, 크기, 친화도에 따라 결정됨
재생 또는 염기 용액을 사용하여 수지 재생
수지 성능 회복
장점 및 단점
장점높은 효율
다양한 응용 분야
비교적 저렴한 비용
단점유기물 오염
pH 및 온도 제한
재생 과정 필요
추가 정보
관련 용어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연수화
탈염
주의 사항수지 종류에 따른 적절한 사용법 준수

2. 역사


  • 1845년 토양 입자에 의한 이온 교환 작용이 처음 발견되었다.
  • 1930년대에는 페놀류에서 이온 교환 능력을 가진 물질이 발견되면서 합성 이온 교환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 1935년에는 페놀류, 아닐린, 메타페닐렌디아민에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키는 축합 반응을 통해 이온 교환 수지가 처음으로 발명되었다.
  • 1938년 독일의 IG 파르벤에서 이온 교환 수지의 공업적 생산이 시작되었고, 같은 시기 일본의 미쓰비시 화학에서도 제조 연구를 시작했다.
  • 1944년 미국의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스티렌을 기반으로 한 이온 교환 수지를 개발했다.
  • 1946년 미쓰비시 화학은 다이아 이온(Diaion) 시리즈라는 이름으로 이온 교환 수지 생산을 시작했으며, 1955년부터는 스티렌 계열 제품을 생산했다.
  • 1948년부터는 순수(純水) 제조에 이온 교환 수지가 활용되기 시작했다.

3. 구조

이온 교환 수지는 주로 직경 1mm 미만의 입자 형태로 공급되거나 이용되지만, 그 외에도 섬유 형태나 액상 제품도 있다. 형태의 것은 특히 이온 교환막이라고 불린다.

3. 1. 모체

고분자의 분자 사슬이 망목 구조를 이루고 있어 물이나 이온의 침투가 용이하며, 활성탄 등의 흡착제와 마찬가지로 큰 비표면적을 갖는다.

가장 일반적인 이온 교환 수지의 구조는 스티렌과 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모체를 갖는 것이다. 폴리스티렌 장쇄 분자가 디비닐벤젠의 가교 결합에 의해 입체적인 망목 구조의 수지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비드와 같은 형태이더라도 그 내부에는 넓은 표면적을 갖는다.

3. 2. 이온 교환기

이온 교환 수지는 분자 안에 이온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기(예: 술폰산기)를 가지고 있다. 고분자 화합물이므로 물에 녹지 않는 성질(비수용성)을 가지며, 물에 녹지 않는 이나 염기로 볼 수도 있다.

이온 교환 수지는 이온기의 성질에 따라 양이온을 교환하는 양이온 교환 수지와 음이온을 교환하는 음이온 교환 수지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이온이 얼마나 잘 떨어져 나가는지(해리성)에 따라 강산성, 약산성, 강염기성, 약염기성으로도 분류된다. 각 종류별 대표적인 작용기는 다음과 같다.

분류대표 작용기
강산성 이온 교환 수지술폰산기 (-SO3H)
약산성 이온 교환 수지카복실기 (-COOH)
강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4급 암모늄기 (-N+R3)
약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1~3급 아미노기 (-NH2, -NHR, -NR2)



일반적으로 이온 교환 수지는 가수(이온의 전하량)가 크고 원자량이 무거운 이온일수록 더 잘 달라붙는 경향(이온 선택성)이 있다. 즉, 이런 이온들과 더 쉽게 교환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사용한 이온 교환 수지를 수소 이온(H+)이나 수산화물 이온(OH-)을 이용하여 원래 상태로 되돌리면(재생), 물속에 녹아있는 다양한 종류의 이온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플루오린 이온(F-)은 수산화물 이온보다 선택성이 낮아서 이온 교환 수지로 제거하기 어렵다.

4. 종류

이온 교환 수지는 작용기의 종류에 따라 크게 네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4]


  •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SAC, Strong Acid Cation): 술폰산기를 작용기로 가지며, 연수화 및 탈염에 주로 사용된다.[4]
  •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SBA, Strong Base Anion): 4급 아미노기를 작용기로 가지며, 실리카, 우라늄, 질산염 제거 등에 효과적이다.[4]
  •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WAC, Weak Acid Cation): 카복실산기를 작용기로 가지며, 탈알칼리화나 고농도 염수 연수화에 사용된다.[4]
  •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WBA, Weak Base Anion): 1차, 2차, 3차 아미노기를 작용기로 가지며, 강산 흡착 및 특정 탈염 공정(SiO2CO2 제거 불필요 시)에 사용된다.[4]


이 외에도 이미노디아세트산이나 티오요소 기반의 킬레이트 수지와 같은 특수한 목적의 이온 교환 수지도 존재한다.[4]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음이온 수지와 양이온 수지인데, 음이온 수지는 음전하를 띤 이온을, 양이온 수지는 양전하를 띤 이온을 끌어당겨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4]

4. 1. 양이온 교환 수지

양이온 교환 수지는 양전하를 띤 양이온을 끌어당겨 교환하는 수지이다.[4] 이 수지는 크게 강산성과 약산성으로 나뉜다.

  • 강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SAC, Strong Acid Cation):
  • 주로 술폰산기를 작용기로 가진다. 예를 들어 폴리스타이렌 설폰산 나트륨이나 polyAMPS 등이 있다.[4]
  • 연수화(물 속의 칼슘, 마그네슘 이온 제거) 및 탈염 작업에 자주 사용된다.[4]

  • 약산성 양이온 교환 수지 (WAC, Weak Acid Cation):
  • 주로 카복실산기를 작용기로 가진다.[4]
  • 탈알칼리화(물 속의 탄산염, 중탄산염 제거)에 이상적이며, 염분 농도가 높은 물의 연수화에도 사용될 수 있다.[4]


양이온 교환 방식은 물의 경도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처리 과정에서 물이 산성을 띠게 될 수 있다. 이 산성은 다음 이온 교환 단계에서 제거된다.[6] 양이온 교환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H + M+ ⇌ R−M + H+

여기서 R은 수지 매트릭스를, M+는 교환될 양이온(예: Na+, Ca2+)을 나타낸다.

양이온 교환 수지의 재생에는 강산성 용액(예: 염산 수용액)이 사용된다. 재생 용액이 수지를 통과하면서 흡착된 양이온(M+)을 씻어내고, 수지를 다시 수소 이온(H+) 형태로 되돌려 교환 능력을 회복시킨다.[4][6]

일반적으로 이온 교환 수지의 이온 선택성은 이온의 가수(전하량)가 크고 원자량이 무거운 이온일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다. 즉, 이러한 이온들이 더 쉽게 교환된다. 이 때문에 수소 이온이나 수산화물 이온으로 재생된 수지는 물속의 다양한 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4]

4. 2. 음이온 교환 수지

음이온 수지는 음전하를 띤 이온을 끌어당기는 이온 교환 수지이다.[4] 일반적으로 화학식에서 염기성 작용기(OH)를 가진 R-OH 형태로 표현될 수 있으며, 고분자이기 때문에 성질상 비수용성이며 물에 녹지 않는 이나 염기로 간주할 수 있다. 작용기의 해리성에 따라 강염기성과 약염기성으로 나뉜다.

구분작용기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4급 암모늄기 (–NR4+)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1~3급 아미노기 (–NH2, –NHR, –NR2)



===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SBA) ===

강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Strong Base Anion exchange resin, SBA)는 일반적으로 4급 암모늄기를 작용기로 가지며,[4] 예를 들어 트리메틸암모늄기가 있다.[4] 이 수지의 활성 부위는 흔히 –NR4+OH 형태로 표현된다.[6] 이들은 주로 수지 매트릭스의 일부로 4급 암모늄 양이온을 갖는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형태이다.[6] SBA 수지는 넓은 pH 범위에서 음전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5] 이러한 특성 덕분에 실리카(SiO2), 우라늄, 질산염 등 강산 및 약산의 음이온 제거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4] 대표적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6]

: –NR4+OH + HCl → –NR4+Cl + H2O

===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 (WBA) ===

약염기성 음이온 교환 수지(Weak Base Anion exchange resin, WBA)는 일반적으로 1차, 2차 및/또는 3차 아미노기를 작용기로 가지며,[4]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아민 기반 수지가 있다.[4] WBA 수지는 높은 pH 환경에서는 염기성이 약해져 탈양성자화되어 전하를 잃을 수 있다.[5] 하지만 기계적 및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높은 이온 교환 속도를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5] 주로 염산, 황산과 같은 강산의 중화 및 흡착에 효과적이며,[4] 실리카(SiO2)나 이산화탄소(CO2) 제거가 필요하지 않은 탈염 공정에 사용된다.[4] 또한, 높은 안정성과 빠른 교환 속도 덕분에 유기 염 처리에 적합하다.[5]

=== 재생 및 이온 선택성 ===

음이온 교환 수지는 사용 후 재생 과정을 통해 교환 능력을 회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산화 나트륨(NaOH) 수용액과 같은 강염기성 용액을 사용하여 수지에 흡착된 음이온을 배출시킨다.

이온 교환 수지의 이온 선택성은 일반적으로 이온의 가수(valence)가 크고 원자량이 무거울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다. 즉, 이러한 이온들이 더 쉽게 교환된다. 이 원리에 따라 수소 이온(H+)과 수산화물 이온(OH)으로 재생된 이온 교환 수지는 물속의 다양한 이온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만, 플루오린 이온(F)은 수산화물 이온보다 선택성이 작기 때문에 이온 교환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는 이러한 음이온 교환 수지의 원리를 이용하여 혼합물이나 용액으로부터 특정 물질을 분리하고 정제하는 기술에 응용된다.[6]

5. 특성

이온 교환 수지는 종종 다음과 같은 특징에 따라 설명된다.[7]


  • '''용량''': 수지 1 단위 질량당 교환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이온의 양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수지 1그램당 이온 밀리그램(mg/g)으로 표현된다.
  • '''팽윤''': 용매와 접촉하면 수지가 팽윤(부피 증가)될 수 있다. 수지의 팽윤 거동은 화학 조성, 고분자 구조, 가교 결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가교 결합 정도가 높은 수지는 가교 결합이 낮은 수지에 비해 팽윤 경향이 낮다. 팽윤은 일반적으로 특정 용매에 노출되었을 때 수지의 부피 또는 무게 증가율로 표현된다.
  • '''선택성''': 수지가 특정 이온을 다른 이온보다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교환하는 선호도 또는 능력을 나타낸다. 이는 용액에서 특정 이온을 분리하거나 제거하는 데 있어 수지의 효과를 결정하는 기본적인 특성이다.
  • '''안정성''': 수지의 완전성은 비드의 기계적 및 화학적 탄력성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6. 기공

수지 입자의 기공 매질은 제품의 효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기공들은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전체 이온 교환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상 간의 물질 전달을 담당하는 주요 특징이다. 기공 크기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7]


  • '''미세 기공''': 2nm 미만의 슬릿 폭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더 큰 기공의 끝 부분에서 발견된다. 이들의 주요 특징은 벽 전위가 중첩된다는 것이다. 즉, 내부 입자들이 고체 벽에 끌리면서 활성 부위와 접촉하게 된다.
  • '''중간 기공''': 2nm~50nm의 슬릿 폭을 가지는 중간 크기의 기공으로, 모세관 응축을 억제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며, 일반적으로 미세 기공 전에 위치한다.
  • '''거대 기공''': 50nm 이상의 슬릿 폭을 가지는 가장 큰 크기의 기공으로, 분자가 입자 안으로 들어가고 이후 다른 작은 채널을 통해 재분배되는 주요 경로 역할을 한다.

7. 재생

이온 교환 능력은 일정량의 이온 교환을 수행하면 손실되지만, 원래의 교환 이온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담가 재생할 수 있다.

8. 용도

이온 교환 수지는 수지 내부의 고정된 이온과 용액 속의 교환 대상 이온(대립 이온) 사이의 흡착력 차이를 이용하여 용액 속 이온들을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1]

주요 용도로는 중성염의 분해·탈염과 특정 이온기의 회수·제거가 있으며, 화학 공업에서의 물질 정제 등에 사용된다. 구체적인 활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수처리: 경수를 연수로 바꾸는 처리(연수화), 물속 이온을 제거하여 순수초순수 제조, 초기 해수 담수화 공정 등 다양한 수처리에 활용된다.
  • 식품 및 화학 공업: 과즙, 설탕, 물엿, 알코올, 식용·약용 유지류 등에서 불순물이나 특정 성분(유기산 등)을 제거하여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아미노산, 비타민, 항생 물질과 같은 유용 유기산이나 유기 아민을 추출하고 정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 금속 처리: 귀금속, 희토류 등의 특정 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거나 회수한다. 이 과정에서 특정 금속과 잘 결합하는 킬레이트 수지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우라늄의 화학 농축 공정에도 이용된다.
  • 에너지: 연료 전지, 특히 고분자 고체 전해질의 재료로 사용된다. 설포계 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한 연료 전지는 제미니 우주선에 탑재된 바 있다.
  • 의약품: 체내 특정 이온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 생명을 위협할 때, 이를 다른 이온으로 대체하여 치료하는 약물(폴리스티렌 설폰산 나트륨 등)의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8. 1. 수처리

이온 교환 수지는 다양한 수처리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연수화 (물 연화)'''

양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한 이상적인 물 연화 과정. 물 속의 칼슘 이온이 수지에서 나온 나트륨 이온으로 대체된다.


경수에는 칼슘 이온(Ca2+)과 마그네슘 이온(Mg2+)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이온들은 보일러나 배관 내부에 탄산 칼슘과 같은 침전물(스케일)을 형성하여 열효율을 떨어뜨리거나 배관을 막히게 할 수 있다. 이온 교환 수지는 이러한 경수를 연수(단물)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

새 이온 교환 수지의 활성 자리에는 나트륨 이온(Na+)이 붙어 있다. 경수가 이 수지를 통과하면, 물속의 칼슘 이온과 마그네슘 이온이 수지의 나트륨 이온보다 더 강하게 활성 자리에 달라붙으려는 성질 때문에, 수지에 결합하고 대신 나트륨 이온이 물속으로 방출된다. 이 과정을 통해 물속의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 농도가 크게 낮아진 연수를 얻을 수 있다.

사용하여 성능이 저하된 수지는 고농도의 소금(NaCl)물로 세척하여 재생할 수 있다. 소금물 속의 많은 나트륨 이온이 수지에 붙어 있는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을 다시 밀어내고 활성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이렇게 재생된 수지는 다시 연수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장치를 연수기라고 부른다. 특히 보일러 용수 처리에 널리 사용되어 스케일 생성을 방지한다.

'''정수 (물 정제)'''

이온 교환 수지는 물에서 독성을 가진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구리(Cu2+), (Pb2+), 카드뮴(Cd2+)과 같은 유해 금속 이온을 인체에 비교적 덜 해로운 나트륨 이온이나 칼륨 이온(K+) 등으로 교환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 과정에는 양이온 교환 수지와 음이온 교환 수지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이온 교환 수지는 물속의 염소(Cl₂)나 유기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물질들은 보통 활성탄 필터를 함께 사용하여 제거한다. 최근에는 MIEX(자성 이온 교환) 수지와 같이 유기 이온을 제거하는 데 특화된 이온 교환 수지도 개발되었다. 가정용 정수기에 사용되는 이온 교환 수지는 일반적으로 재생하지 않고, 수명이 다하면 교체하여 폐기한다.

'''순수 및 초순수 제조'''

반도체 제조, 정밀 과학 실험, 원자력 발전 등 고도의 청정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물속의 이온을 거의 완벽하게 제거한 순수(純水) 또는 초순수(超純水)가 필요하다. 이온 교환 수지는 순수 및 초순수 제조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이 공정에서는 먼저 양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물속의 모든 양이온(Na+, Ca2+ 등)을 수소 이온(H+)으로 교환한다. 그런 다음 음이온 교환 수지를 사용하여 물속의 모든 음이온(Cl, SO₄2− 등)을 수산화물 이온(OH)으로 교환한다. 이렇게 물속으로 방출된 수소 이온(H+)과 수산화물 이온(OH)은 서로 반응하여 물(H₂O) 분자가 되므로, 결과적으로 물속에 용해된 거의 모든 이온이 제거된 순수한 물을 얻을 수 있다. 최근에는 이온 교환막 기술과 결합하여 수지를 재생할 필요가 없는 연속적인 순수 제조 장치도 개발되고 있다.

'''해수 담수화'''

과거 초기 해수 담수화 기술에서는 바닷물에 녹아 있는 다량의 염분(주로 NaCl)을 제거하여 마실 수 있는 물을 만드는 탈염(desalination) 공정에 이온 교환 수지가 이용되기도 했다.

8. 2. 금속 분리 및 정제

옐로케이크 드럼통


이온 교환 공정은 다양한 금속의 분리 및 정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온 교환 수지 내의 고정된 이온과 용액 속의 교환 대상 이온(대립 이온) 사이의 흡착력 차이를 이용하여 용액에 포함된 특정 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거나 회수할 수 있다.

  • 희토류 금속 분리: 란타넘족악티늄족(토륨 포함)에 속하는 희토류 원소들은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이 매우 유사하여 분리가 어렵다. 이온 교환법은 1940년대 프랭크 스페딩에 의해 개발된 이후 오랫동안 란타넘, 네오디뮴, 이터븀, 사마륨, 루테튬 등을 포함한 희토류 원소들을 대량으로 분리하는 유일하고 실용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최고 순도의 제품 생산을 제외하고는 용매 추출법이 이온 교환법을 상당 부분 대체하였다.
  • 퓨렉스 공정: 핵연료 재처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퓨렉스(Plutonium-Uranium Extraction) 공정은 핵반응기에서 사용된 핵연료로부터 플루토늄우라늄을 분리하고 방사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데 이온 교환 기술을 활용한다. 이렇게 분리된 플루토늄과 우라늄은 새로운 원자로 연료를 만들거나 핵무기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 현장 용출 우라늄 채광: 우라늄 채광 방식 중 하나인 현장 용출법(In-situ Leaching)에서도 이온 교환 수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시추공을 통해 우라늄을 함유한 용액(약 0.05%의 U3O8)을 지상으로 추출한 뒤, 이 용액을 이온 교환 수지 비드가 채워진 설비에 통과시킨다. 이 과정에서 수지 비드가 용액 속의 우라늄 이온을 선택적으로 흡착한다. 우라늄이 농축된 수지는 처리 공장으로 옮겨져 우라늄을 분리하고 정제하여 옐로케이크(U3O8) 형태로 생산한다. 사용된 수지 비드는 다시 이온 교환 시설로 보내져 재사용된다.
  • 지르코늄하프늄 분리: 화학적으로 매우 유사한 성질을 가진 지르코늄(Zr)과 하프늄(Hf)을 분리하는 데에도 이온 교환 공정이 사용된다. 이 두 원소의 분리는 핵 산업에서 특히 중요한데, 지르코늄은 중성자를 거의 흡수하지 않아 원자로 구조재로 사용되는 반면, 하프늄은 중성자를 매우 잘 흡수하여 원자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봉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 기타 금속 회수: 귀금속이나 희토류와 같은 유가 금속을 회수하는 데에도 이온 교환 수지, 특히 특정 금속 이온과 강하게 결합하는 킬레이트 수지 등이 활용된다.
  • 우라늄 화학 농축: 우라늄의 화학 농축 공정에도 이온 교환 기술이 사용된다.

8. 3. 촉매

이온 교환 수지는 유기 합성에서 에스테르화나 가수 분해와 같은 반응의 촉매로 활용된다. 표면적이 넓고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특징 덕분에 기체 상태나 액체 상태의 반응 모두에 적합하다. 산성(H+ 형태) 이온 교환 수지는 고체 산 촉매로서 에테르 보호기를 절단하거나[10] 재배열 반응을 촉진하는 데 쓰인다.[11] 염기성(OH 형태) 이온 교환 수지는 암모늄 염을 중화시키거나[8] 4급 암모늄 할라이드를 수산화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9]

8. 4. 식품 산업

이온 교환 수지는 과일 주스 제조 과정에서 쓴맛을 내는 성분을 제거하고 풍미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오렌지 주스나 크랜베리 주스 생산 시 활용되며, 이를 통해 신맛이 강하거나 상대적으로 맛이 덜한 과일로도 주스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원료로부터 설탕을 만들 때도 이온 교환 수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설탕의 종류를 바꾸거나 설탕 시럽의 색을 빼고 깨끗하게 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유기산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활성탄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작은 분자의 유기산을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해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품의 가치를 높인다. 구체적인 활용 예는 다음과 같다.

  • 농축 과즙에 포함된 유기산을 제거하여 신맛을 줄인다.
  • 조(粗)정제된 설탕이나 물엿 등에 색을 유발하는 유기산을 제거하여 탈색시킨다.
  • 알코올이나 식용유, 약용 유지류에 섞인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제한다.


더불어 아미노산, 비타민, 항생 물질과 같이 유용한 유기산이나 유기 아민을 추출하고 정제하는 데에도 이온 교환 수지가 활용된다.

8. 5. 의약품

이온 교환 수지는 의약품 제조 과정에서 특정 반응의 촉매 역할을 하거나, 의약품의 유효 성분을 분리하고 정제하는 데 사용된다.

다음 세 가지 이온 교환 수지는 그 자체가 유효 성분으로 사용된다.

  • 폴리스티렌 설폰산 나트륨: 강산성 이온 교환 수지로, 고칼륨혈증(혈액 내 칼륨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 치료에 쓰인다.
  • 콜레스티폴: 약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로, 고콜레스테롤혈증(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상태) 치료에 사용된다.
  • 콜레스티라민: 강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로, 콜레스티폴과 마찬가지로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에 사용된다.


콜레스티폴과 콜레스티라민은 담즙산과 결합하여 체외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담즙산 결합제로 분류된다.

또한, 이온 교환 수지는 정제(알약), 캡슐, 껌, 현탁액 등 다양한 제약 제형에서 부형제(약효 성분 외에 약의 형태를 만들거나 특정 기능을 부여하는 첨가제)로도 활용된다. 부형제로서 이온 교환 수지는 다음과 같은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약의 쓴맛이나 불쾌한 맛을 가리는 맛 가림(taste masking)
  • 약효 성분이 천천히 방출되도록 하는 서방 방출(sustained release)
  • 정제가 잘 부서지도록 돕는 정제 붕해(tablet disintegration)
  • 약물이 체내에 흡수되는 비율인 생체 이용률 증가
  • 유효 성분의 화학적 안정성 개선


선택적으로 특정 이온과 결합하는 고분자 킬레이터는 만성 치료가 필요한 일부 질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내에 특정 이온이 과도하게 쌓이는 만성 이온 생물 축적이 발생하는 윌슨병(구리 축적)[12]이나 유전성 혈색소침착증(철 과부하, 즉 축적)[13][14][15] 치료에 사용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고분자 킬레이터는 체내에 거의 흡수되지 않으면서(전신 생물학적 이용률이 미미하거나 없음), 위장관 내에서 과도한 철 이온(Fe2+ 및 Fe3+)과 안정적인 복합체를 형성하여 이들 이온의 흡수와 장기적인 축적을 억제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방법은 저분자 킬레이터(예: 데페라시록스, 데페리프론, 데페록사민)에 비해 효능은 제한적일 수 있으나, 만성 독성 연구에서 경미한 부작용만 나타내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15] 특히, Fe2+와 Fe3+를 동시에 킬레이션(결합)하는 경우 치료 효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8. 6. 기타

음이온 교환 수지는 건조한 상태에서 이산화탄소(CO2)를 쉽게 흡수하고, 습기에 노출되면 다시 방출하는 특성을 가진다.[16] 이러한 특성 덕분에, 주변 공기에서 직접 탄소를 포집하는 기술인 직접 공기 포집(DAC) 분야에서 유망한 물질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는 기존의 다른 흡착제들이 사용하는 에너지 소모가 큰 온도 변화나 압력 변화 방식 대신, 습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습윤 스윙)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17] 클라우스 라크너는 탄소 배출량 감축 센터에서 이 공정을 실제로 구현하는 프로토타입을 개발했다.

참조

[1] 논문 Experimental study on the adsorption of excess heparin with anion exchange resin fiber https://pubmed.ncbi.[...] 1989-12-01
[2] 서적 Ion Exchangers Wiley-VCH, Weinheim
[3] 웹사이트 Ion Exchange (IX) {{!}}Water Solutions https://www.dupont.c[...] 2023-05-21
[4] 간행물 Definitions of Terms Relating to Reactions of Polymers and to Functional Polymeric Materials (IUPAC Recommendations 2003) http://media.iupac.o[...]
[5] 문서 Wikibooks:Proteomics/Protein Separations - Chromatography/Ion exchange#Anion Exchangers
[6] 서적 Water treatment in remote and rural areas: A conceptual screening protocol for appropriate POU/POE technologies http://www.sciencedi[...] Elsevier 2020-10-27
[7] 논문 Chemical engineers' handbook 1950-09
[8] 논문 ε-Aminocaproic Acid
[9] 논문 Alkenes Via Hofmann Elimination: Use of Ion-exchange Resin for Preparation of Quaternary Ammonium Hydroxides: Diphenylmethyl Vinyl Ether
[10] 논문 Methyl 4-Hydroxy-2-butynoate
[11] 논문 1,3-Dichloroacetone as a Cyclopropanone Equivalent: 5-oxaspiro[3.4]octan-1-one
[12] 논문 Chelating polymeric beads as potential therapeutics for Wilson's disease
[13] 논문 Hydroxamic Acid-Containing Hydrogels for Nonabsorbed Iron Chelation Therapy: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Evaluation
[14] 논문 Nonabsorbable Iron Binding Polymers Prevent Dietary Iron Absorption for the Treatment of Iron Overload
[15] 논문 Chelating Polymers for Hereditary Hemochromatosis Treatment
[16] 논문 A Moisture Swing Sorbent for Direct Air Capture of Carbon Dioxide: Thermodynamic and Kinetic analysis 2013-01-01
[17] 논문 CO2 Absorption over Ion Exchange Resins: The Effect of Amine Functional Groups and Microporous Structures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2020-08-27
[18] 간행물 Definitions of Terms Relating to Reactions of Polymers and to Functional Polymeric Materials (IUPAC Recommendations 2003) http://media.iup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