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루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루킨은 1979년 명명된 면역 체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백혈구에서 생성되어 다른 백혈구에 작용하는 단백질의 일종이다. 30종류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림포카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인터루킨은 면역계 기능에 필수적이며, 자가면역질환 및 면역결핍과 관련이 있다. 주요 인터루킨으로는 IL-1, IL-2, IL-3, IL-4, IL-5, IL-6, IL-7, IL-8, IL-9, IL-10, IL-11, IL-12, IL-13, IL-15, IL-17 등이 있으며, 각각의 인터루킨은 다양한 세포에서 분비되어 면역 반응 조절, 세포 증식 및 분화, 염증 반응 유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터루킨 - 인터루킨 4
인터루킨 4(IL-4)는 B 세포와 T 세포를 자극하고 형질세포로 분화시키는 사이토카인으로, 체액성 및 후천성 면역 조절, IgE 및 IgG4 생산 유도, MHC 클래스 II 생산 촉진과 함께 알레르기 질환, 기관지 천식, 만성 염증, 상처 치유, 암 발병 및 진행, HIV 질환 등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인터루킨 - 인터루킨 23
인터루킨 23(IL-23)은 활성화된 면역 세포에서 분비되어 T 헬퍼 17 세포를 활성화하고 면역 반응을 매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불균형은 자가면역 질환 및 암과 관련되며 염증성 질환 치료의 표적이 된다. - 사이토카인 - 인터페론
인터페론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세포 방어에 중요한 단백질로, 1형, 2형, 3형으로 나뉘어 면역 수용체에 따라 항바이러스, 항암 효과, 면역 체계 활성화 등의 다양한 작용을 하며, 유전자 조작을 통해 대량 생산되어 바이러스성 간염, 일부 종양 및 백혈병 치료에 활용된다. - 사이토카인 - 케모카인
케모카인은 세포 이동을 유도하는 화학 주성 인자로서, 면역 세포를 특정 위치로 유인하여 면역 감시, 염증 반응, 상처 치유 등 생리적 과정에 관여하며, 아미노산 배열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질병 발병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치료제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인터루킨 | |
|---|---|
| 지도 정보 | |
| 개요 | |
| 종류 | 사이토카인 |
| 기능 | 세포 간 신호 전달 물질 |
| 명칭 및 표기 | |
| 영어 명칭 | Interleukin |
| 약어 | IL |
| 일본어 명칭 | インターロイキン (intāroikin) |
| 한국어 명칭 | 인터루킨 |
| 발견 및 연구 | |
| 역사 | 1970년대: 백혈구 활성화 인자 연구 시작 1979년: 인터루킨-1 (IL-1) 발견 이후: 다양한 인터루킨 발견 및 기능 연구 |
| 연구 분야 | 면역학 종양학 신경과학 |
| 기능 및 역할 | |
| 면역 반응 | 염증 반응 조절 면역 세포 활성화 항체 생성 조절 |
| 세포 성장 및 분화 | 조혈 작용 조절 세포 성장 및 분화 유도 |
| 기타 기능 | 신경 세포 기능 조절 대사 조절 |
| 종류 및 특징 | |
| 인터루킨-1 (IL-1) | 염증 반응 유발 발열 유도 |
| 인터루킨-2 (IL-2) | T 세포 성장 및 활성화 면역 관용 유지 |
| 인터루킨-6 (IL-6) | 급성 염증 반응 유발 항체 생성 촉진 |
| 인터루킨-10 (IL-10) | 항염증 효과 면역 반응 억제 |
| 인터루킨-12 (IL-12) | 세포성 면역 활성화 항암 작용 |
| 질병과의 관계 | |
| 과도한 인터루킨 활성 | 자가면역 질환 유발 만성 염증 질환 악화 |
| 인터루킨 결핍 | 면역 결핍 질환 발생 감염 취약성 증가 |
| 치료제 개발 | |
| 인터루킨 작용 억제제 | 자가면역 질환 치료제 개발 염증성 질환 치료제 개발 |
| 인터루킨 투여 치료 | 항암 면역 치료 조혈모세포 이식 보조 치료 |
| 참고 문헌 | |
| 참고 자료 | Brocker C, et al. Human Genomics. 2010 Oct;5(1):30-55. Brynne A. et al. Brain Behav Immun. 2011 Jul;25(5):1008-16. |
2. 역사와 이름
인터루킨이라는 이름은 1979년에 여러 연구 그룹에서 사용하던 다양한 이름을 대체하기 위해 선택되었다.[51][52][53] '사이에서'라는 뜻의 'inter-'와 '백혈구'를 의미하는 '-leukin'을 합쳐 만든 용어로, 백혈구가 생성하고 백혈구에 작용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인터루킨(IL)은 면역 반응, 염증 반응, 조혈 작용 등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의 일종이다. 다양한 종류의 인터루킨이 존재하며, 이들은 구조적, 기능적 특징에 따라 여러 패밀리로 분류된다.
이 명칭은 1979년 5월 27일부터 31일까지 스위스 에르마팅엔에서 열린 제2차 국제 림포카인 워크숍에서 결정되었다.[2][3][4] 각 연구 그룹에서 인터루킨 1과 인터루킨 2를 지칭하던 다양한 이름들을 통일하기 위해서였다. 빅토리아 대학교의 벌 페이트카우 박사가 이 용어를 만들었다.
일부 인터루킨은 면역 반응을 매개하는 림프구 생성 사이토카인인 림포카인으로 분류된다.
3. 통상적인 패밀리
패밀리 설명 IL-1 인터루킨 1 알파(IL-1α)와 인터루킨 1 베타(IL-1β)는 면역 및 염증 반응을 조절한다. 이들은 헤파린 결합 성장 인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해마 의존성 기억 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8][9][10] IL-2 T세포 및 B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림포카인이다. 암의 면역요법에도 사용된다.[60][61][62] IL-3 조혈 작용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으로, 과립구 및 대식세포의 생성, 분화, 기능에 관여한다. T세포에서 분비되어 골수 줄기세포를 자극한다.[63][64] IL-4 B세포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이 깊다.[1] IL-5 호산구의 성장과 활성화를 조절하며, 천식과 같은 질병과 관련이 있다.[66][67] IL-6 B세포의 최종 분화, 골수종 성장, 신경 세포 분화, 급성기 반응물 유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69][70] IL-7 B세포, T세포, NK세포의 생존, 분화, 항상성에 관여한다.[77][24] IL-8 호중구의 주화성을 유도하는 케모카인으로, 선천 면역계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81][82] IL-9 비만 세포를 자극한다.[30] IL-10 여러 사이토카인의 합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86][33] IL-11 급성기 단백질 생성을 유도한다.[35] IL-12 Th1 세포 면역 반응을 자극하고 자연 살해 세포의 기능을 강화한다.[89][90] IL-13 염증 및 면역 반응을 조절하며, IL-2와 함께 작용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을 억제한다.[93][40][94][41] IL-15 킬러 T세포를 활성화하고, B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유도한다. IL-17 자가면역 질환의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종양 형성 및 이식 거부에도 관여할 수 있다.[96][97]
3. 1. 인터루킨 1 (IL-1)
인터루킨 1 알파(IL-1α) 및 인터루킨 1 베타(IL-1β)는 면역 반응, 염증 반응 및 조혈 작용 조절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이다.[5] 마우스와 인간 세포주에서 클로닝된 두 가지 유형의 IL-1 수용체는 각각 세 개의 세포외 면역글로불린(Ig) 유사 도메인, 제한된 서열 유사성(28%), 상이한 약리학적 특성을 가지며, 1형 및 2형 수용체로 명명되었다.[6] 수용체는 막관통(TM) 형태와 가용성 형태로 모두 존재한다. 가용성 IL-1 수용체는 번역 후 막 수용체의 세포외 부분 절단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두 가지 IL-1 수용체(CD121a/IL1R1, CD121b/IL1R2)는 진화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으며 동일한 염색체 위치에 매핑되는 것으로 보인다.[7] 이 수용체들은 모두 세 가지 형태의 IL-1(IL-1α, IL-1β, IL-1 수용체 길항제)에 결합할 수 있다.
IL-1α 및 IL-1β의 결정 구조가 밝혀졌으며,[8] 이들은 모두 헤파린 결합 성장 인자와 쿠니츠형 콩 트립신 억제제와 동일한 12가닥 베타-시트 구조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베타-시트는 중앙 축 주위에 4개의 유사한 로브로 배열되며, 8개의 가닥이 역평행 베타-배럴을 형성한다. 특히 4번과 5번 가닥 사이의 루프를 포함한 여러 영역이 수용체 결합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루킨 1 베타 전환 효소의 분자 클로닝은 비활성 전구체 분자의 단백질 분해적 절단에 의해 생성된다. 이 절단을 수행하는 프로테아제를 암호화하는 상보적 DNA가 클로닝되었다. 재조합 발현을 통해 세포가 인터루킨 1 베타 전구체를 성숙한 효소 형태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인터루킨 1은 중추 신경계에서도 역할을 한다. 연구에 따르면 1형 IL-1 수용체 유전자 결손 마우스는 해마 의존성 기억 기능과 장기 강화가 현저히 손상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해마의 무결성에 의존하지 않는 기억은 보존되는 것으로 보인다.[10][11] 그러나 이러한 유전자 결손 마우스에 야생형 신경 전구 세포를 해마에 주입하고 이 세포가 인터루킨-1 수용체를 포함하는 별세포로 성숙하도록 하면, 해마 의존성 기억 기능이 정상으로 나타나고 장기 강화가 부분적으로 회복된다.[10]
3. 2. 인터루킨 2 (IL-2)
T세포는 분비 단백질 인자의 방출을 통해 T세포 및 특정 B세포의 성장 및 분화를 조절한다.[60] 인터루킨 2 (IL-2)는 렉틴 또는 항원 자극 T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림포카인으로, 반응 T세포의 증식을 유도한다. 또한 수용체 특이 결합을 통해 일부 B세포에 작용하여[61] 성장 인자 및 항체 생성 자극제로 작용한다.[62]
IL-2는 단일 글리코실화된 폴리펩타이드로 분비되며, 그 활성을 위해서는 신호 서열의 절단이 필요하다.[61] Solution NMR은 IL-2의 구조가 4개의 나선 다발(A-D라고 함)로 구성되어 있으며 측면에 2개의 짧은 나선과 여러 개의 잘못 정의된 루프가 있음을 시사한다. 나선 A와 나선 A와 B 사이의 루프 영역에 있는 잔기는 수용체 결합에 중요하다. 2차 구조 분석은 IL-4 및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MCSF)와의 유사성을 제안했다.[62]
암의 면역요법에 사용되기도 한다.
3. 3. 인터루킨 3 (IL-3)
인터루킨 3(IL-3)은 과립구 및 대식세포의 생산, 분화 및 기능을 조절하여 조혈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이다.[63][64] 활성화된 T세포와 비만세포에서 생산되는 단량체 단백질이며,[63][64] N 말단 신호 서열이 절단되어 활성화된다.[64]
IL-3는 항원, 미토겐, 포르볼 에스테르 등의 화학적 활성화제로 자극받은 T 림프구 및 T 세포 림프종에서만 생성된다. 그러나 골수단핵구성 백혈병 세포주 WEHI-3B에서는 IL-3가 구성적으로 발현된다.[65] 이 백혈병 발병에는 세포주의 유전적 변화로 인한 IL-3의 구성적 생산이 핵심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64]
T세포에서 분비되어 골수 줄기세포를 자극한다.
3. 4. 인터루킨 4 (IL-4)
인터루킨 4(IL-4)는 B세포의 증식, 클래스 스위치 재조합, 체세포 과돌연변이를 돕는 데 특화된 CD4+ T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Th2 세포는 IL-4 생산을 통해 IgG1 및 IgE 이소형에 대한 클래스 스위치 재조합을 포함하는 B세포 반응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며, 알레르기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
3. 5. 인터루킨 5 (IL-5)
호산구 분화 인자(EDF)로도 알려진 인터루킨 5(IL-5)는 호산구 형성을 위한 계통 특이적 사이토카인이다.[66][67] IL-5는 호산구의 성장과 활성화를 조절하며,[66] 따라서 천식을 포함하여 증가된 호산구 수치와 관련된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67] IL-5는 다른 사이토카인(예: IL-2, IL-4 및 GCSF)과 유사한 전체 접힘을 갖지만 이들은 단량체 구조로 존재하지만 IL-5는 동종이합체이다. 접힘에는 두 가닥의 역평행 베타 병풍으로 연결된 왼방향 트위스트가 있는 역평행 4-알파 나선 다발이 포함되어 있다.[67][68] 단량체는 2개의 사슬간 이황화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68]
3. 6. 인터루킨 6 (IL-6)
인터루킨 6(IL-6)은 B세포 자극 인자-2 (BSF-2) 및 인터페론 베타-2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이다.[69] B세포를 면역글로불린 분비 세포로 최종 분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69] 또한 골수종/형질세포종 성장, 신경 세포 분화 및 간세포에서 급성기 반응물을 유도한다.[69][70]
여러 다른 사이토카인들은 서열 유사성에 기초하여 IL-6와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71][72][73] 여기에는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GCSF) 및 골수단핵구성 성장 인자(MGF)가 포함된다. GCSF는 혈액 내 2개의 관련된 백혈구 그룹의 생성, 분화 및 기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조혈 작용을 한다.[73] MGF는 골수 계통의 정상 및 변형된 조류 세포의 증식 및 콜로니 형성을 자극하는 조혈 작용을 한다.
IL-6/GCSF/MGF 계열의 사이토카인은 2개의 이황화 결합에 관여하는 4개의 보존된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약 170~18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당단백질이다.[74] 이것들은 2개의 이황화 결합에 의해 안정화된 조밀한 구형 접힘 (다른 인터루킨과 유사)을 가지고 있다. 구조의 절반은 왼손잡이 트위스트가 있는 4-알파-헬릭스 번들에 의해 지배된다.[75] 나선은 이중 가닥 역평행 베타 병풍에 속하는 두 개의 오버핸드 연결이 있는 역평행이다. 네 번째 알파 나선은 분자의 생물학적 활동에 중요하다.[76]
3. 7. 인터루킨 7 (IL-7)
인터루킨 7(IL-7)[77][24]은 B세포, T세포, NK세포의 생존, 분화, 항상성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이다. B세포 및 T세포 계통의 초기 림프구 세포에 대한 성장 인자 역할을 한다.
3. 8. 인터루킨 8 (IL-8)
인터루킨 8 (IL-8)은 대식세포 및 상피 세포, 기도 평활근 세포[78] 및 내피 세포와 같은 다른 세포 유형에 의해 생성되는 케모카인이다. 내피 세포는 저장 소포인 바이벨-팔라데 소체에 IL-8을 저장한다.[79][80]
인간에서 인터루킨 8 단백질은 ''CXCL8''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81] IL-8은 초기에 99개 아미노산의 전구체 펩타이드로 생성되며, 이후 절단을 거쳐 여러 활성 IL-8 이소형을 생성한다.[82] 배양에서 72개 아미노산 펩타이드는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주요 형태이다.[82]
표면 막에는 IL-8에 결합할 수 있는 많은 수용체가 있다. 가장 자주 연구되는 유형은 G 단백질 결합 사문석 수용체 CXCR1 및 CXCR2이다. IL-8에 대한 발현 및 친화력은 두 수용체 간에 다르다 (CXCR1>CXCR2). 일련의 생화학적 반응을 통해 IL-8이 분비되며 선천 면역계 반응에서 면역 반응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IL-8은 호중구의 주화성을 유도한다.
3. 9. 인터루킨 9 (IL-9)
인터루킨 9(IL-9)는 보조 T세포의 IL-2 독립적 및 IL-4 독립적 성장을 지원하는 사이토카인이다.[83] 초기 연구에서는 인터루킨 9와 7이 진화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으며,[84] Pfam, InterPro 및 PROSITE 항목이 인터루킨 7/인터루킨 9 계열에 대해 존재한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IL-9는 실제로 IL-7보다 IL-2 및 IL-15에 훨씬 더 가깝다.[85] 더욱이, 이 연구는 IL-7과 γc 수용체(IL-2, IL-4, IL-7, IL-9, IL-15 및 IL-21)를 통해 신호를 보내는 나머지 모든 사이토카인 사이에 양립할 수 없는 구조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IL-9는 비만 세포를 자극한다.[30]
3. 10. 인터루킨 10 (IL-10)
인터루킨 10(IL-10)은 활성화된 대식세포 및 도움 T 세포가 생성하는 단백질로, IFN-감마, IL-2, IL-3, TNF, GM-CSF 등 여러 사이토카인의 합성을 억제한다.[86][33] 구조적으로 IL-10은 약 16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이황화 결합에 관여하는 4개의 보존된 시스테인을 포함한다.[33]
IL-10은 감마-인터페론의 합성을 억제하는 인간 헤르페스바이러스 4형(엡스타인-바 바이러스) BCRF1 단백질 및 말 헤르페스바이러스 2형 E7 단백질과 매우 유사하다.[34] 또한, 인간 흑색종 세포에서 항증식 특성을 가지는 단백질인 mda-7과도 유사하지만, 그 정도는 낮다.[34] mda-7은 IL-10의 네 개 시스테인 중 두 개만 포함한다.
3. 11. 인터루킨 11 (IL-11)
인터루킨 11(IL-11)은 거대 핵세포 생성을 자극하는 분비 단백질로, 처음에는 혈소판 생성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이후 정상 혈소판 형성에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88] 파골 세포를 활성화하여 상피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멸 및 대식세포 매개체 생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기능은 IL-11의 조혈, 골 및 점막 보호 효과를 매개하는 데 특히 중요할 수 있다.[88] 급성기 단백질 생성을 유도한다.[35]
3. 12. 인터루킨 12 (IL-12)
인터루킨 12(IL-12)는 35 kDa 알파 서브 유닛과 40 kDa 베타 서브 유닛으로 구성된 이황화결합 헤테로다이머이다. 리슈마니아, 톡소플라스마, 홍역 바이러스 및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1 (HIV)과 같은 다양한 세포 내 병원체에 대한 정상적인 숙주 방어를 포함하여 Th1 세포 면역 반응의 자극 및 유지에 관여한다. IL-12는 또한 자연 살해 세포의 세포 독성 기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89][90] 염증성 장 질환 및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병리학적 Th1 반응에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질병에서 IL-12 활성의 억제는 치료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재조합 IL-12의 투여는 병리학적 Th2 반응과 관련된 상태에서 치료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91][92]
3. 13. 인터루킨 13 (IL-13)
인터루킨 13(IL-13)은 염증 및 면역 반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면발현 사이토카인이다.[93][40] B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자극하고, Th1 세포를 억제하며, 대식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을 억제한다.[94][41] IL-2와 함께 작용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을 억제하고 인터페론 감마 합성을 조절한다. IL-4와 IL-13의 서열은 서로 관련이 없다.[94][41]
3. 14. 인터루킨 15 (IL-15)
인터루킨 15(IL-15)는 세포 면역 반응의 자극 및 유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진 사이토카인이다.[95] IL-15는 T 림프구의 증식을 자극하는데, 이는 IL-15와 IL-15R 알파 및 IL-2R의 구성 요소(IL-2R 베타 및 IL-2R 감마(공통 감마 사슬, γc) 포함)의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하지만 IL-2R 알파는 필요하지 않다.
IL-15는 말초 혈액 단핵구 및 상피세포에서 생산된다. 킬러 T세포를 활성화하고, B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유도한다.
3. 15. 인터루킨 17 (IL-17)
인터루킨 17(IL-17)은 활성화된 기억 T세포가 생성하는 강력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다.[96] 이 사이토카인은 염증 유발 특성, 호중구 모집 역할, 선천 및 적응 면역의 중요성을 특징으로 한다. IL-17은 류마티스 관절염(RA), 알레르기, 천식, 건선 등과 같은 많은 자가면역 질환의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질병의 발병 기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IL-17이 종양 형성(종양의 초기 형성) 및 이식 거부에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97] IL-17 계열은 척추동물 진화 전반에 걸쳐 고도로 보존된 것으로 보이는 독특한 신호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96]
4. 인간에서의 인터루킨
| 이름 | 분비하는 세포[98] | 표적 | 기능[98] | |
|---|---|---|---|---|
| 수용체[98][99] | 세포[98] | |||
| IL-1 | 대식세포, B세포, 단핵구,[100] 수지상세포[100] | CD121a/IL1R1, CD121b/IL1R2 | 보조 T세포 | 보조자극[100] |
| B세포 | 성숙과 증식[100] | |||
| 자연 살해 세포 | 활성화[100] | |||
| 대식세포, 혈관내피, 그 외 | 염증,[100] 소량은 급성기 반응, 다량은 발열 유도 | |||
| IL-2 | 보조 T세포 (Th1 세포) | CD25/IL2RA, CD122/IL2RB, CD132/IL2RG | 활성화된[100] T세포, B세포, 자연 살해 세포, 대식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 | T세포 성장과 분화 자극. 암 치료 면역요법이나 장기 이식 환자의 면역 억제에 이용. HIV 양성 환자 CD4 수 증가를 위한 임상시험(ESPIRIT. Stalwart)에 이용. |
| IL-3 | 활성화된 보조 T세포,[100] 비만 세포, 자연 살해 세포, 혈관내피, 호산구 | CD123/IL3RA, CD131/IL3RB | 조혈모세포 | 골수계 전구세포 분화와 증식.[100] 적혈구, 과립구 등으로 분화. |
| 비만 세포 | 성장과 히스타민 방출[100] | |||
| IL-4 | 보조 T세포(Th2 세포), 막 활성화된 미성숙 CD4+ 세포, 기억 CD4+ 세포, 비만 세포, 대식세포 | CD124/IL4R, CD132/IL2RG | 활성화된 B세포 | 증식과 분화, IgG1, IgE 합성.[100] 알레르기 반응(IgE)에 중요 |
| T세포 | 증식[100] | |||
| 혈관내피 | 혈관세포부착분자 1(VCAM-1) 발현 증가로 림프구 부착 촉진.[101] | |||
| IL-5 | 보조 T세포(Th2 세포), 비만 세포, 호산구 | CD125/IL5RA, CD131/IL3RB | 호산구 | 생산 |
| B세포 | 분화, IgA 생산 | |||
| IL-6 | 대식세포, 보조 T세포(Th2 세포), B세포, 별아교세포, 혈관내피 | CD126/IL6RA, CD130/IR6RB | 활성 B세포 | 형질세포로 분화 |
| 형질세포 | 항체 분비 | |||
| 조혈모세포 | 분화 | |||
| T세포, 그 외 | 급성기 반응, 조혈, 세포 분화, 염증 유도 | |||
| IL-7 | 골수, 가슴샘 기질세포 | CD127/IL7RA, CD132/IL2RG | pre/pro-B세포, pre/pro-T세포, 자연 살해 세포 | 림프계 전구세포 분화와 증식, B세포, T세포, 자연 살해 세포 생존, 발달, 항상성에 관여.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작용 강화 |
| IL-8 (CXCL8) | 대식세포, 림프구, 상피 세포, 혈관 내피 세포 | CXCR1/IL8RA, CXCR2/IL8RB/CD128 | 호중구, 호염기구, 림프구 | 호중구 화학주성 |
| IL-9 | Th2, 특히 CD4+ 보조 T세포 | CD129/IL9R | T세포, B세포 | IgM, IgG, IgE 작용 강화, 비만 세포 자극 |
| IL-10 | 단핵구, 보조 T세포(Th2 세포), CD8+ T세포, 비만 세포, 대식세포, B세포 아집단 | CD210/IL10RA, CDW210B/IL10RB | 대식세포 | 사이토카인 생산[100] |
| B세포 | 활성화[100] | |||
| 비만 세포 | ||||
| 보조 T세포(Th1 세포) | 보조 T세포(Th1) 사이토카인 (인터페론 감마, TNF-β, IL-2) 생산 억제 | |||
| 보조 T세포(Th2 세포) | 자극 | |||
| IL-11 | 골수 기질 | IL11RA | 골수 기질 | 급성기 단백질 생산, 파골세포 형성 |
| IL-12 | 수지상세포, B세포, T세포, 대식세포 | CD212/IL12RB1, IR12RB2 | 활성화된[100] T세포 | IL-2와 함께 세포독성 T세포 분화 유발,[100] ↑ IFN-γ, TNF-α, ↓ IL-10 |
| 자연 살해 세포 | ↑ IFN-γ, TNF-α | |||
| IL-13 | 활성화된 보조 T세포(Th2 세포), 비만 세포, 자연 살해 세포 | IL13R | Th2 세포, B세포, 대식세포 | B세포 성장과 분화 자극 (IgG), Th1 세포, 대식세포 염증성 사이토카인(IL-1, IL-6) 생산 억제, ↓ IL-8, IL-10, IL-12 |
| IL-14 | T세포, 특정 악성 B세포 | 활성화된 B세포 | B세포 성장, 증식 조절, 면역글로불린 분비 억제 | |
| IL-15 | 단핵계 식세포, 기타 세포(특히 바이러스 감염 대식세포) | IL15RA | T세포, 활성화된 B세포 | 자연 살해 세포 생성 유도 |
| IL-16 | 림프구, 상피세포, 호산구, CD8+ T세포 | CD4 | CD4+ T세포 | CD4+ T세포 주화성 인자 |
| IL-17 | Th17세포 | CDw217/IL17RA, IL17RB | 상피, 내피, 그 외 | 파골세포 생성, 혈관신생, 염증성 사이토카인 증가 |
| IL-18 | 대식세포 | CDw218a/IL18R1 | Th1 세포, 자연 살해 세포 | IFNγ 생성 유도, 자연 살해 세포 활동 증가 |
| IL-19 | - | IL20R | - | |
| IL-20 | 활성화된 각질세포, 단핵구 | IL20R | 각질세포 증식, 분화 조절 | |
| IL-21 | 활성화된 보조 T세포, NKT세포 | IL21R | 모든 림프구, 수지상세포 | CD8+ T세포 활성화, 증식 보조자극 신호, 자연 살해 세포 세포독성 강화, CD40 의존적 B세포 증식, 분화, 아형 변환 강화, Th17세포 분화 촉진 |
| IL-22 | Th17세포 | IL22R | 상피세포 디펜신 생산.[102] 간암 세포 STAT1, STAT3 활성화, 혈청 아밀로이드 A, 알파 1-안티키모트립신, 합토글로빈 등 급성기 단백질 생산 증가. | |
| IL-23 |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 IL23R | IL-17 생산 세포 유지,[89] 혈관신생 증가, CD8+ T세포 침윤 감소. | |
| IL-24 | 각질세포, 멜라닌세포, 단핵구, T세포 | IL20R | 세포 생존,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영향, 종양 억제, 상처 치유, 건선 형성에 중요. | |
| IL-25 | T세포, 비만 세포, 호산구, 대식세포, 점막상피세포 | LY6E | IL-4, IL-5, IL-13 생산 유도, 호산구 증식 자극. | |
| IL-26 | T세포, 단핵구 | IL20R1 | IL-10, IL-8 분비, 상피세포 표면 CD54 발현 강화 | |
| IL-27 |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 IL27RA | B 림프구, T 림프구 활성 조절 | |
| IL-28 | - | IL28R | 바이러스 대항 면역 방어 기능 수행. | |
| IL-29 | - | 미생물 대한 숙주 면역 방어 수행 | ||
| IL-30 | - | IL-27 사슬 하나 형성 | ||
| IL-31 | 보조 T세포(Th2 세포) | IL31RA | 피부 염증에 역할 수행 | |
| IL-32 | - | 단핵구, 대식세포 TNF-α, IL-8, CXCL2 분비 유도 | ||
| IL-33 | 상피세포 | 보조 T세포 제2형 사이토카인 생산 유도 | ||
| IL-35 | 조절 T세포 | 보조 T세포 활성화 억제 | ||
| IL-36 | - | 수지상세포, T세포 반응 조절 | ||
5. 유사체 및 파생 상품에 대한 국제 일반명
| 내생 형태 이름 | INN 접미사 | 예시 |
|---|---|---|
| 인터루킨-1 (IL-1) | -나킨 | |
| 인터루킨-1α (IL-1α) | -오나킨 | 피포나킨 |
| 인터루킨-1β (IL-1β) | -베나킨 | 모베나킨 |
| 인터루킨-2 (IL-2) | -류킨 | 아달길류킨 알파, 알데슬류킨, 셀몰류킨, 데닐류킨 디프티톡스, 페갈데슬류킨, 테셀류킨, 투코투주맙 셀몰류킨 |
| 인터루킨-3 (IL-3) | -플레스팀 | 다니플레스팀, 뮤플레스팀 |
| 인터루킨-4 (IL-4) | -트라킨 | 비네트라킨 |
| 인터루킨-6 (IL-6) | -엑사킨 | 아텍사킨 알파 |
| 인터루킨-8 (IL-8) | -옥타킨 | 에목타킨 |
| 인터루킨-10 (IL-10) | -데카킨 | 일로데카킨 |
| 인터루킨-11 (IL-11) | -엘베킨 | 오프렐베킨 |
| 인터루킨-12 (IL-12) | -도데킨 | 에도데킨 알파 |
| 인터루킨-13 (IL-13) | -트레데킨 | 신트레데킨 베수도톡스 |
| 인터루킨-18 (IL-18) | -옥타데킨 | 이보옥타데킨 |
참조
[1]
논문
Evolutionary divergence and functions of the human interleukin (IL) gene family
2010-10-01
[2]
논문
Interleukin 1: the first interleukin
1990-01-01
[3]
서적
Growth Factors, Differentiation Factors, and Cytokines
Springer
[4]
논문
Revised nomenclature for antigen-nonspecific T cell proliferation and helper factors
http://www.jimmunol.[...]
1979-12-01
[5]
논문
cDNA expression cloning of the IL-1 receptor, a member of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1988-07-01
[6]
논문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ternatively processed human type II interleukin-1 receptor mRNA
1996-08-01
[7]
논문
A novel IL-1 receptor, cloned from B cells by mammalian expression, is expressed in many cell types
1991-10-01
[8]
논문
Crystallographic refinement of interleukin 1 beta at 2.0 A resolution
1989-12-01
[9]
논문
beta-Trefoil fold. Patterns of structure and sequence in the Kunitz inhibitors interleukins-1 beta and 1 alpha and fibroblast growth factors
1992-01-01
[10]
논문
Astrocytes support hippocampal-dependent memory and long-term potentiation via interleukin-1 signaling
2011-07-01
[11]
논문
Impaired interleukin-1 signaling is associated with deficits in hippocampal memory processes and neural plasticity
[12]
논문
Use of a cDNA expression vector for isolation of mouse interleukin 2 cDNA clones: expression of T-cell growth-factor activity after transfection of monkey cells
1985-01-01
[13]
논문
Cloning, sequence, and expression of bovine interleukin 2
1986-05-01
[14]
논문
Secondary structure of human interleukin 2 from 3D heteronuclear NMR experiments
1992-08-01
[15]
논문
Characterization of a human multilineage-colony-stimulating factor cDNA clone identified by a conserved noncoding sequence in mouse interleukin-3
[16]
논문
Constitutive synthesis of interleukin-3 by leukaemia cell line WEHI-3B is due to retroviral insertion near the gene
[17]
논문
Molecular cloning, nucleotide sequence, and expression of the gene encoding human eosinophil differentiation factor (interleukin 5)
1987-10-01
[18]
논문
A novel dimer configuration revealed by the crystal structure at 2.4 A resolution of human interleukin-5
1993-05-01
[19]
논문
Human interleukin-5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ssignment of the disulfide bridges of the purified unglycosylated protein
1991-05-01
[20]
논문
Complementary DNA for a novel human interleukin (BSF-2) that induces B lymphocytes to produce immunoglobulin
[21]
논문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a positive charge and an alpha-helical structure of the C-terminus for biological activity of human IL-6
1991-05-01
[22]
논문
Disulfide structures of human interleukin-6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1989-07-01
[23]
논문
Crystal structure of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4
1992-10-01
[24]
논문
Interleukin 7: effects on early events in lymphopoiesis
1989-05-01
[25]
논문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regulate cytokine gene expression in human airway myocytes
[26]
논문
Endothelial cell "memory" of inflammatory stimulation: human venular endothelial cells store interleukin 8 in Weibel-Palade bodies
[27]
논문
Rapid secretion of prestored interleukin 8 from Weibel-Palade bodies of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28]
논문
Monocyte-derived neutrophil chemotactic factor (MDNCF/IL-8) resides in a gene cluster along with several other members of the platelet factor 4 gene superfamily
[29]
논문
The role of interleukin-8 and its receptors in gliomagenesis and tumoral angiogenesis
[30]
논문
Human P40/IL-9. Expression in activated CD4+ T cells, genomic organization, and comparison with the mouse gene
1990-06-01
[31]
논문
Hematopoietin sub-family classification based on size, gene organization and sequence homology
1993-09-01
[32]
논문
The tertiary structure of γc cytokines dictates receptor sharing
2019-02-01
[33]
논문
Crystal structure of interleukin-10 reveals the functional dimer with an unexpected topological similarity to interferon gamma
1995-06-01
[34]
논문
Subtraction hybridization identifies a novel melanoma differentiation associated gene, mda-7, modulated during human melanoma differentiation, growth and progression
1995-12-01
[35]
논문
Interleukin-11
[36]
서적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Elsevier/Saunders
[37]
저널
Interleukin-12 improves cytotoxicity of natural killer cells via upregulated expression of NKG2D
2008-08-00
[38]
저널
Il-12: keeping cell-mediated immunity alive
2001-06-00
[39]
저널
The interleukin-12/interleukin-12-receptor system: role in normal and pathologic immune responses
[40]
저널
Interleukin-13 is a new human lymphokine regulating inflammatory and immune responses
1993-03-00
[41]
저널
Interleukin-13 as an important cytokine: A review on its roles in some human diseases
http://real.mtak.hu/[...]
2015-12-00
[42]
저널
Role of IL-15 on monocytic resistance to human herpesvirus 6 infection
2000-04-00
[43]
저널
IL-17: prototype member of an emerging cytokine family
2002-01-00
[44]
저널
Th17 cells in human disease
2008-06-00
[45]
서적
Lippincott's Illustrated Reviews: Immun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07-01
[46]
웹사이트
Cytokines - Master Regulators of the Immune System
http://www.ebioscien[...]
eBioscience
2007-05-01
[47]
웹사이트
Cytokine tutorial, The University of Arizona
http://microvet.ariz[...]
[48]
저널
Biological activity of IL-4 and IL-13 on human endothelial cells: functional evidence that both cytokines act through the same receptor
1996-12-00
[49]
저널
Evolutionary divergence and functions of the human interleukin (IL) gene family
2010-10-00
[50]
저널
Astrocytes support hippocampal-dependent memory and long-term potentiation via interleukin-1 signaling
2011-07-00
[51]
저널
Interleukin 1: the first interleukin
1990-01-00
[52]
서적
Growth Factors, Differentiation Factors, and Cytokines
Springer
[53]
저널
Revised nomenclature for antigen-nonspecific T cell proliferation and helper factors
http://www.jimmunol.[...]
1979-12-00
[54]
저널
cDNA expression cloning of the IL-1 receptor, a member of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1988-07-00
[55]
저널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ternatively processed human type II interleukin-1 receptor mRNA
1996-08-00
[56]
저널
A novel IL-1 receptor, cloned from B cells by mammalian expression, is expressed in many cell types
1991-10-00
[57]
저널
Crystallographic refinement of interleukin 1 beta at 2.0 A resolution
1989-12-00
[58]
저널
beta-Trefoil fold. Patterns of structure and sequence in the Kunitz inhibitors interleukins-1 beta and 1 alpha and fibroblast growth factors
1992-01-00
[59]
저널
Impaired interleukin-1 signaling is associated with deficits in hippocampal memory processes and neural plasticity
[60]
저널
Use of a cDNA expression vector for isolation of mouse interleukin 2 cDNA clones: expression of T-cell growth-factor activity after transfection of monkey cells
1985-01-00
[61]
저널
Cloning, sequence, and expression of bovine interleukin 2
1986-05-00
[62]
저널
Secondary structure of human interleukin 2 from 3D heteronuclear NMR experiments
1992-08-00
[63]
저널
Characterization of a human multilineage-colony-stimulating factor cDNA clone identified by a conserved noncoding sequence in mouse interleukin-3
[64]
저널
Constitutive synthesis of interleukin-3 by leukaemia cell line WEHI-3B is due to retroviral insertion near the gene
[65]
저널
Constitutive synthesis of interleukin-3 by leukaemia cell line WEHI-3B is due to retroviral insertion near the gene
[66]
저널
Molecular cloning, nucleotide sequence, and expression of the gene encoding human eosinophil differentiation factor (interleukin 5)
1987-10-00
[67]
저널
A novel dimer configuration revealed by the crystal structure at 2.4 A resolution of human interleukin-5
1993-05-00
[68]
저널
Human interleukin-5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ssignment of the disulfide bridges of the purified unglycosylated protein
1991-05-00
[69]
저널
Complementary DNA for a novel human interleukin (BSF-2) that induces B lymphocytes to produce immunoglobulin
[70]
저널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a positive charge and an alpha-helical structure of the C-terminus for biological activity of human IL-6
1991-05-00
[71]
저널
Complementary DNA for a novel human interleukin (BSF-2) that induces B lymphocytes to produce immunoglobulin
[72]
저널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a positive charge and an alpha-helical structure of the C-terminus for biological activity of human IL-6
1991-05-00
[73]
저널
Disulfide structures of human interleukin-6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1989-07-00
[74]
저널
Disulfide structures of human interleukin-6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1989-07-00
[75]
저널
Crystal structure of recombinant human interleukin-4
1992-10-00
[76]
저널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a positive charge and an alpha-helical structure of the C-terminus for biological activity of human IL-6
1991-05-00
[77]
저널
Interleukin 7: effects on early events in lymphopoiesis
1989-05-00
[78]
저널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regulate cytokine gene expression in human airway myocytes
[79]
저널
Endothelial cell "memory" of inflammatory stimulation: human venular endothelial cells store interleukin 8 in Weibel-Palade bodies
[80]
저널
Rapid secretion of prestored interleukin 8 from Weibel-Palade bodies of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81]
저널
Monocyte-derived neutrophil chemotactic factor (MDNCF/IL-8) resides in a gene cluster along with several other members of the platelet factor 4 gene superfamily
[82]
저널
The role of interleukin-8 and its receptors in gliomagenesis and tumoral angiogenesis
[83]
저널
Human P40/IL-9. Expression in activated CD4+ T cells, genomic organization, and comparison with the mouse gene
1990-06-00
[84]
저널
Hematopoietin sub-family classification based on size, gene organization and sequence homology
1993-09-00
[85]
저널
The tertiary structure of γc cytokines dictates receptor sharing
2019-02-00
[86]
저널
Crystal structure of interleukin-10 reveals the functional dimer with an unexpected topological similarity to interferon gamma
1995-06-00
[87]
저널
Subtraction hybridization identifies a novel melanoma differentiation associated gene, mda-7, modulated during human melanoma differentiation, growth and progression
1995-12-00
[88]
저널
Interleukin-11
[89]
서적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https://archive.org/[...]
Elsevier/Saunders
[90]
저널
Interleukin-12 improves cytotoxicity of natural killer cells via upregulated expression of NKG2D
2008-08-00
[91]
저널
Il-12: keeping cell-mediated immunity alive
2001-06-00
[92]
저널
The interleukin-12/interleukin-12-receptor system: role in normal and pathologic immune responses
[93]
저널
Interleukin-13 is a new human lymphokine regulating inflammatory and immune responses
1993-03-00
[94]
저널
Interleukin-13 as an important cytokine: A review on its roles in some human diseases
http://real.mtak.hu/[...]
2015-12-00
[95]
저널
Role of IL-15 on monocytic resistance to human herpesvirus 6 infection
2000-04-00
[96]
저널
IL-17: prototype member of an emerging cytokine family
2002-01-00
[97]
저널
Th17 cells in human disease
2008-06-00
[98]
서적
Lippincott's Illustrated Reviews: Immun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07-01
[99]
웹인용
Cytokines - Master Regulators of the Immune System
http://www.ebioscien[...]
eBioscience
2007-05-01
[100]
웹사이트
Cytokine tutorial, The University of Arizona
http://microvet.ariz[...]
[101]
저널
Biological activity of IL-4 and IL-13 on human endothelial cells: functional evidence that both cytokines act through the same receptor
1996-12-00
[102]
서적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https://archive.org/[...]
Elsevier/Saund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