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피니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피니티는 1989년 닛산이 미국 시장에 런칭한 고급차 브랜드이다. 초기에는 Q45와 M30 모델을 출시했으며, 1990년대에는 G20과 J30을 선보였으나 렉서스와 아큐라에 비해 판매 부진을 겪었다. 2000년대 들어 닛산 부활 계획의 일환으로 스포츠 럭셔리 자동차 라인업을 강화하여 G35, FX35/45, QX56, G37, EX35, M35/M45 등 다양한 모델을 출시하며 판매를 늘렸다. 2010년대에는 모델명 변경과 함께 중국 시장에 집중했으나, 2019년 서유럽 시장에서 철수했으며, 2020년에는 대한민국 시장에서도 철수했다. 현재 Q50, Q60, QX80, QX60, QX50, QX55 등 쿠페, 세단, SUV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모터스포츠에도 참여하여 인디 레이싱 리그와 포뮬러 원, 영국 투어링카 챔피언십 등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 닛산 자동차
닛산 자동차는 1911년 설립되어 DAT 브랜드를 거쳐 성장한 일본의 자동차 제조 회사로, 르노와의 제휴를 통해 르노-닛산 얼라이언스를 출범시켜 재건에 성공했으며, 현재는 구조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 - 다치아
다치아는 1966년 루마니아에서 설립된 자동차 제조사로, 르노 차량을 면허 생산하며 시작하여 자체 모델을 개발하고 르노에 인수된 후 저가형 자동차 브랜드로 성장했다. - 인디카 시리즈 엔진 제조업체 - 혼다
혼다는 혼다 소이치로가 1948년에 설립한 일본의 다국적 기업으로, 자동차, 오토바이, 파워 유닛 등을 생산·판매하며,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시장 중심의 제품 개발 전략, 친환경차 개발,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 진출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지만, 품질 문제와 사회적 논란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인디카 시리즈 엔진 제조업체 - 코스워스
코스워스는 마이크 코스틴과 키스 더크워스가 1958년에 설립한 영국의 레이싱 엔진 제조업체로, 로터스와의 협력, 포뮬러 주니어 엔진 성공, 포드의 지원을 통해 포뮬러 원을 지배한 DFV 엔진 개발 등 모터스포츠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는 엔지니어링 컨설팅 등 사업을 다각화했다. - 1989년 도입된 자동차 - 마쓰다 MX-5
마쓰다 MX-5는 로터스 엘란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과 뛰어난 핸들링으로 인기를 얻은 마쓰다의 경량 2인승 로드스터로, 4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2인승 스포츠카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 1989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캐피탈
기아 캐피탈은 기아가 1989년 프라이드와 콩코드 사이의 차종 공백을 메우기 위해 콩코드의 차체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차별화하여 개발한 승용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DOHC 엔진을 추가하기도 했으나 시대에 뒤쳐진 디자인과 경쟁력 약화로 1996년에 단종되었다.
인피니티 | |
---|---|
일반 정보 | |
![]() | |
설립일 | 1989년 11월 8일 |
본사 | 일본 요코하마시니시구 |
서비스 제공 지역 | 아메리카 중국 중동 타이완 국제 시장 |
산업 | 자동차 |
제품 | 고급차 고성능 차량 |
서비스 | 자동차 금융 |
모기업 | 닛산 자동차 |
웹사이트 | 인피니티 공식 웹사이트 |
주요 인물 | |
창립 총괄 관리자 | 빌 브루스 |
인피니티 아메리카 그룹 부사장 | 크레이그 키스 |
수석 부사장 겸 글로벌 총괄 | 호세 로만 |
2. 역사
1989년 11월 8일, 인피니티는 미국 시장을 위한 고급차 브랜드로 설립되었다.[60] 초기에는 유통 시스템 문제로 판매가 부진했지만, 르노와의 제휴 이후 카를로스 곤 체제 하에서 고가, 고부가가치 차량 중심의 브랜드로 판매망 정비와 차량 디자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이후 G35 (일본명: 스카이라인)의 히트[61] 등으로 인피니티는 성장하게 되었다.
인피니티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해외 시장에 진출하였다.
- 1989년: 북미 (캐나다를 포함한 북아메리카)
- 1996년: 중동
- 1997년: 중화민국
- 2004년: 대한민국
- 2005년: 러시아
- 2006년: 중국 및 우크라이나
- 2008년: 유럽
- 2012년: 오스트레일리아[62]
이후 인피니티는 40개국 이상으로 판매 국가를 확대하였다.
2010년 4월, 르노, 닛산과 다임러 AG는 소형차를 위한 공통 신설계 채택, 고효율 디젤 엔진과 가솔린 엔진 공유, 소형 상용차 협업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인피니티는 다임러 AG로부터 디젤 및 가솔린 엔진을 공급받아, 2013년에는 유럽용 Q50에 다임러 AG제 디젤 엔진이, 2014년에는 Q50에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었다.
2010년 8월에는 튜닝 부문인 인피니티 퍼포먼스 라인(IPL)이 설립되어, 같은 해 12월부터 튜닝카 판매가 시작되었다.
2012년 4월, 본사 기능을 홍콩으로 이전했으나,[63] 2020년 중반에 다시 요코하마로 이전하는 것이 발표되었다.[65] 닛산은 홍콩으로의 본사 이전을 통해 "닛산 본사의 의향에 얽매이지 않는 브랜드 전개"와 "아시아발 고급차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내세우려 했다.[64]
인피니티 설립에 따라 플래그십 차량인 Q45는 일본 시장에서 "닛산 인피니티 Q45"로 출시되었다. 그 외 일본 내수용 닛산 차량을 기반으로 한 인피니티 모델은 다음과 같다.
- M: 닛산 레파드(2세대), 닛산 세드릭/글로리아(2, 3세대), 닛산 푸가(4, 5세대)
- I: 닛산 세피로
- G: 닛산 프리메라(1, 2세대), 닛산 스카이라인(3, 4세대)
- EX: 닛산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
2000년대 중반, 닛산은 인피니티 브랜드의 일본 전개를 표명했지만, 2008년 금융 위기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2013년 1월에는 인피니티 브랜드 도입 검토가 보도되기도 했다.[66]
2013년 11월, 스카이라인 풀 모델 체인지를 통해 Q50의 일본 판매를 2014년 2월 말에 시작하면서, 프론트 그릴에 인피니티 엠블럼을 채용한다고 발표했다.[67][68] 2015년 2월에는 푸가 마이너 체인지 버전 판매를 시작하면서 인피니티 엠블럼을 채용했다.[69] 그러나 닛산은 "세계 수준으로 만들어진 고급차로서의 증거이며, '''브랜드 자체의 일본 투입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밝히며,[70] 독자적인 판매 채널을 설치하지 않고 닛산의 기존 판매망에서 판매했다. 차명도 "닛산 스카이라인", "닛산 푸가" 그대로 유지되었고, 차체 리어 가니쉬 부분에 "SKYLINE", "FUGA" 차명이 새겨졌다. 시마는 닛산 엠블럼을 유지하며 닛산의 최상위 차종임을 나타냈다.
2019년 7월, 스카이라인 빅 마이너 체인지에서 "닛산 인텔리전트 모빌리티" 구현에 따라 인피니티 엠블럼에서 닛산 CI로 변경되었다. 푸가도 2019년 12월 마이너 체인지에서 인피니티 엠블럼이 폐지되고 닛산 CI로 변경되었다.
2019년 10월, 임펄이 인피니티 각 차의 일본 병행 수입 판매를 시작했다. 북미 사양 차량을 베이스로 등화류 등을 일본 보안 기준에 맞춰 판매한다.
인피니티는 모터스포츠 분야에도 진출하여 다음과 같은 활동을 펼쳤다.
- 1997년~2002년: 북미 인디 레이싱 리그(IRL)에 V8 엔진 공급.
- 2002년: 인디카 진출 단계인 인피니티 프로 시리즈(현 인디 라이츠) 발족, 2007년까지 타이틀 스폰서 담당.
- 2011년: F1 레드불 레이싱 스폰서 및 기술 제공 (2011년 6월 5일, 동일본 대지진 부흥의 일환으로 요코하마시모토마치에 있는 요코하마 차이나타운에서 데모 주행 실시).
- 2013년~2015년: F1 레드불 레이싱 타이틀 스폰서, 인피니티 레드불 레이싱 팀명으로 참전.
- 2015년: 영국 투어링카 챔피언십에 Q50으로 참전.
- 2016년: 르노 F1 스폰서.
2. 1. 브랜드 설립 (1980년대)
1985년 플라자 합의와 일본 정부의 수출 자율 규제와 같은 외부 환경 변화, 그리고 토요타의 렉서스, 혼다의 아큐라와 같은 경쟁 브랜드의 등장은 닛산이 고급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새로운 브랜드, 인피니티를 설립하는 배경이 되었다.[6]1989년, 인피니티는 미국 시장에 공식적으로 출범하며, Q45와 M30 두 모델을 출시했다.[60] Q45는 닛산 프레지던트를 기반으로, M30은 닛산 레오파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초기 인피니티의 마케팅 전략은 선(Zen) 사상에서 영감을 받은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이는 자동차 자체의 성능보다는 브랜드 이미지를 홍보하는 데 집중하는 전략이었다.
2. 2. 1990년대
1990년 9월, 인피니티는 유럽 시장을 겨냥한 소형차 모델인 닛산 프리메라 기반의 G20을 출시했다.[8][9] 1992년에는 VG30DE 엔진을 장착한 4도어 쿠페 J30을 출시했다. 이 엔진은 300ZX, 일본 내수용 닛산 세드릭, 닛산 글로리아, 닛산 시마에 사용되었으며, 3세대 일본 내수용 닛산 레오파드의 북미 버전이었다.

초기 인피니티의 광고 캠페인은 실제 자동차를 보여주지 않고 자연과 평온함에 초점을 맞춘 선(Zen)의 영향을 받은 광고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8][9] 실내 디자인은 나무 장식과 크롬 장식을 사용하지 않고, 모노톤의 유기적이고 둥근 표면 외관을 선택하여 패딩 처리된 가죽과 비닐에 집중했다. 일부 구매자들은 센터 콘솔과 실내 도어 핸들 주변에 인조 나무 장식을 추가하기도 했다. 밝은 외관을 가진 유일한 품목은 모든 모델에 중앙에 설치된 아날로그 시계였다.
1990년대 중반까지 인피니티는 렉서스와 아큐라에 비해 판매량이 뒤처졌다. Q45는 스포티한 풀 사이즈 럭셔리 세단으로서의 초점을 잃고 "일본 링컨"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둔하게 핸들링하는 세단이 되었다. 1998년 여름, 인피니티는 소형 스포츠 세단인 일본 내수용 닛산 프리메라를 기반으로 한 G20을 다시 출시했다. 2세대 G20은 유럽의 엔트리 레벨 럭셔리 스포츠 세단과 경쟁하기 위해 출시되었지만, 1세대보다 더 무거워졌다. 인피니티가 SR20DE 4기통 엔진과 소형 크기를 계속 사용했기 때문에 판매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 G20은 또한 주로 중년 전문 여성에게 마케팅되어, 아큐라 인테그라와 같은 주요 경쟁 모델만큼 인기가 없었다.
1996년 말, 인피니티는 닛산 패스파인더를 수정하고 프리미엄 편의 시설을 추가한 QX4를 출시하여 중형 프리미엄 SUV를 제공하는 최초의 럭셔리 자동차 제조업체 중 하나가 되었다.

인피니티는 J30 중형 후륜 구동 세단을 2세대 일본 내수용 닛산 세피로로 대체하고 1996년에 북미 명칭 "I30"을 부여했다. 이 모델은 맥시마와 공유하는 전륜 구동, 193PS VQ30DE 엔진을 제공했다. I30은 2000년 모델 연도에 맞게 재설계되어 출력이 231PS로 증가했다. 2001년 중반에는 I30의 외관과 성능을 더욱 개선하여 엔진을 더 강력한 259PS VQ35DE로 업그레이드하고, 차량 이름을 I35로 변경했다.
2. 3. 2000년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본의 자산 거품 붕괴로 인해 인피니티는 경영 위기를 맞았다. 모회사 닛산은 카를로스 곤 체제 하에서 르노와 동맹을 맺고 닛산 부활 계획을 추진했다. 인피니티는 BMW를 벤치마킹하여 역동적인 스포츠 럭셔리 자동차 라인업을 개발하는 데 주력했다.2001년에는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된 인피니티 Q45를 출시했다. 2002년에는 닛산 스카이라인을 기반으로 한 인피니티 G35를 출시하여 모터 트렌드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10] 2003년에는 스포츠 튜닝된 크로스오버인 인피니티 FX35/45를 출시했다. 2004년에는 닛산 아르마다를 기반으로 한 대형 SUV인 인피니티 QX56을 출시했다.
카를로스 곤 닛산 사장은 인피니티를 닛산에서 분리하는 전략을 추진했다. 인피니티 G 시리즈는 BMW 3 시리즈를, M35/45는 Car and Driver 비교 테스트에서 우승하고 컨슈머 리포트에서 최고의 럭셔리 세단으로 선정되는 등 "일본의 BMW"로 재정의하는 데 기여했다.[10]
2006년에는 인피니티 G35 세단이 재설계되었고, 2007년에는 인피니티 G37 쿠페가 출시되었다. 2007년에는 소형 럭셔리 크로스오버 인피니티 EX35가 출시되었다.
2008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인피니티는 유럽 시장 진출을 발표했다.[11] 유럽 시장에는 인피니티 FX37/50, 인피니티 G37, 인피니티 G37 쿠페, 인피니티 EX37 등 4가지 모델이 제공되었다. 인피니티 유럽 본사는 스위스 롤에 위치한다.[12]
2. 4. 2010년대


카를로스 곤은 로스앤젤레스의 한 호텔에서 인피니티 M을 공개했다. 이 모델은 VQ37VHR 엔진을 공유하며, 새로운 파워트레인으로는 VVEL이 장착된 5.6L V8 엔진(VK56VD), 가솔린 직접 분사, 닛산-르노의 V9X 엔진 V6 터보 디젤(유럽 전용), 그리고 가솔린 엔진과 전기 모터가 동시에 뒷바퀴를 구동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모델이 탑재되었다.[13]
2010 제네바 모터쇼에서 인피니티는 르노-닛산 얼라이언스가 개발한 새로운 V9X 엔진을 탑재한 파워트레인을 유럽 시장에 출시했다. 이 엔진은 인피니티 FX, 인피니티 EX, 그리고 새로운 인피니티 M에 사용되었다.
2010년 8월, 인피니티는 인피니티 퍼포먼스 라인(IPL)을 공개했다.[13] 2011년에는 레드불 레이싱을 후원하며 포뮬러 원에 진출했다.[14]
2011년, 인피니티 G 시리즈가 판매의 60%를 차지했지만, SUV의 인기가 높아지는 미국 시장에서 인피니티의 SUV는 좁은 틈새 시장을 겨냥한 탓에 판매량이 감소했다.[15] 같은 해 인피니티 JX를 출시하며 전륜구동 차량을 다시 선보였다. JX는 3열 좌석을 제공하여 아큐라 MDX, BMW X5 등과 경쟁했다.[18][16]
2012년, 인피니티는 본사를 홍콩으로 이전하고 '''인피니티 글로벌 리미티드'''로 법인을 변경했다.[19] 2013년, 모델 명칭을 변경하여 쿠페와 세단은 Q, SUV 및 크로스오버는 QX로 시작하고 숫자를 붙이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M 세단은 Q70이 되었고, G 세단은 Q50으로 대체되었다. QX56은 QX80이 되었고, EX는 QX50이 되었다.[22]
2014년, 중국 샹양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으며, 닛산 자동차 제조 영국은 잉글랜드 선덜랜드에서 인피니티 Q30 생산을 위해 확장했다.[19]
2018년, 인피니티는 2021년까지 모든 신차를 하이브리드 또는 완전 전기차로 만들 것이라고 발표했다.[26]
2019년, 인피니티는 서유럽 시장 철수를 발표했다. 이는 부진한 판매와 브렉시트의 불확실성 때문이었다.[6][27][28] 인피니티는 중국, 중동, 북미 시장에 집중하고, QX30과 Q30은 생산이 중단될 예정이었다.[29][30][31] 또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도 철수한다고 발표했다.[32][33]
2. 5. 2020년대
2012년 4월, 본사 기능을 홍콩으로 이전했으나,[63] 2020년 중반에 다시 요코하마로 이전하는 것이 발표되었다.[65] 2020년에는 유럽, 남아프리카, 호주, 뉴질랜드, 홍콩, 마카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한민국, 베트남 시장에서 철수했다. 특히 대한민국 시장에서는 일본 상품 불매 운동 등의 영향으로 판매량이 감소하여 철수를 결정했다.3. 대한민국 시장에서의 인피니티
닛산은 2004년에 한국닛산을 공식 출범시키고, 2005년에 대한민국 시장에 인피니티 브랜드를 공식 진출시켰다.[13]
닛산 스카이라인을 기반으로 한 인피니티 G35를 비롯하여, 닛산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 기반의 인피니티 EX, 닛산 푸가 기반의 인피니티 M 등의 모델을 출시하며 대한민국 시장에서의 활동을 전개했다.
그러나 2019년부터 본격화된 일본 상품 불매 운동과 한일 관계 악화는 인피니티 판매 부진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브랜드 자체의 인지도 및 판매망 부족,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와의 경쟁 심화 역시 대한민국 시장 철수에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결국 인피니티는 2020년 5월에 대한민국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철수했다.[75]
3. 1. 진출 (2005년)
이 섹션은 인피니티의 대한민국 진출(2005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주어진 소스에는 2010년 인피니티 퍼포먼스 라인(IPL) 공개에 대한 내용만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와 요약을 바탕으로 섹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수정해야 합니다.```text
2004년 한국닛산이 공식 출범하고, 2005년 인피니티 브랜드가 대한민국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13]
3. 2. 활동
닛산 스카이라인을 기반으로 한 인피니티 G35 등의 모델이 출시되었고, 닛산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를 기반으로 한 인피니티 EX 등의 모델이 출시되었다.[67][68][69] 또한, 닛산 푸가를 기반으로 한 인피니티 M 등의 모델도 출시되었다.1996년에는 인디 레이싱 리그에 참가하여 에디 치버가 2000 시즌에 3위를 기록하기도 했다.[47][48] 2011년부터는 포뮬러 원 팀 레드불 레이싱을 후원했으며, 세바스티안 베텔을 글로벌 홍보대사로 영입했다.[49][50][51] 2016년에는 르노 F1 팀과 협력하여 에너지 회수 시스템(ERS) 공동 개발에 참여하고, 인피니티 엔지니어링 아카데미를 통해 공학 학생들에게 협력 기회를 제공했다.[54][55][56]
2013년에는 일본 내수 시장에서 스카이라인과 푸가에 인피니티 엠블럼을 채용하여 판매하기 시작했다.[67][68][69] 그러나 이는 브랜드 자체의 일본 도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으며, 기존 닛산 판매망을 통해 판매되었다.[70] 2019년에는 스카이라인과 푸가 모두 닛산 CI로 변경되었다.
2020년에는 영국 투어링 카 챔피언십에 인피니티 Q50이 출전하여 애슐리 서튼의 운전으로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3. 3. 철수 (2020년)
일본 상품 불매 운동 등 외부 환경 요인으로 판매가 부진해져, 2020년 5월에 대한민국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철수했다.[75]3. 4. 평가
인피니티는 대한민국 시장에서 여러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철수를 결정했다. 2020년 5월, 모기업 닛산은 대한민국 시장에서 인피니티 브랜드를 철수한다고 발표했다.2019년부터 본격화된 일본 제품 불매 운동과 한일 관계 악화는 인피니티의 판매 부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일본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면서, 인피니티 차량의 판매량이 급감했다.
또한, 인피니티 브랜드 자체의 인지도와 판매망 부족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경쟁 브랜드에 비해 딜러망과 서비스 센터가 부족하여 고객 접근성이 떨어졌고, 이는 판매 부진으로 이어졌다.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와의 경쟁 심화 역시 인피니티의 대한민국 시장 철수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과의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으면서, 대한민국 시장에서의 입지가 약화되었다.
4. 디자인 철학
인피니티(INFINITI)는 무한을 의미한다. 영어 단어 "INFINITY"가 아닌 이탈리아어 "INFINITI"를 사용하며, 이 명칭은 1987년 7월에 결정되었다.[60]
엠블럼은 "무한의 저편으로 향하는 열린 길"과 후지산을 나타낸다.[72] 현재 사용되는 엠블럼은 2023년 6월에 새롭게 디자인된 것이다.[73]
4. 1. 초기 디자인
1985년 가을 도쿄 모터쇼에서 인피니티 Q45의 전신이 되는 콘셉트 카 "CUE-X"가 공개되었다. "CUE-X"의 특징은 그릴 없는 전면 디자인이었는데, 이 디자인이 초대 "Q45"에 채택되었다. 이는 고급차로서는 참신했지만, 보수적인 성향의 고객들에게는 인기가 없었다.[75] 이후 마이너 체인지에서 전통적인 세로 격자 디자인의 그릴이 장착되었다. 해당 차량은 닛산 브랜드 차종으로 일본 시장에도 도입되었다.4. 2. 2000년대 이후 디자인
인피니티는 고급차 브랜드로서 스포티함을 강조하고 있다. 디자인상으로는 오센틱한 면을 강조하며, 럭셔리하고 스포티하며, 클래식한 요소도 갖춘 스타일링이 특징으로 꼽힌다. 대표적으로 "더블 아치" 프론트 그릴과 "더블 웨이브" 인테리어가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75]5. 모델
인피니티는 1989년 미국 시장을 겨냥한 고급차 브랜드로 설립되었다.[60] 초기에는 유통 문제로 판매가 부진했지만, 르노와의 제휴 이후 카를로스 곤 체제 하에서 고가, 고부가가치 차량 중심 브랜드로 판매망과 디자인을 개선했다. 이후 G35 (일본명: 스카이라인)가 히트[61]를 치면서 성장했다.
인피니티는 북아메리카(1989년)를 시작으로 중동(1996년), 중화민국(1997년), 대한민국(2004년), 러시아(2005년), 중국 및 우크라이나(2006년), 유럽(2008년), 오스트레일리아(2012년) 등 전 세계 40개국 이상으로 판매를 확대했다.[62]
2010년에는 르노, 닛산과 다임러 AG 간의 전략적 협력 계약이 체결되어, Q50에 다임러 AG의 디젤 및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었다.
2012년에는 본사를 홍콩으로 이전하여[63] "아시아발 고급차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강조하려 했으나,[64] 2020년 요코하마로 다시 이전했다.[65]
인피니티는 초기에 Q45를 일본 시장에서 "닛산 인피니티 Q45"로 출시하는 등 일본 시장에도 진출했으나, 2008년 금융 위기로 본격적인 진출은 무산되었다. 이후 2014년 스카이라인 (Q50), 2015년 푸가 (Q70)에 인피니티 엠블럼을 부착하여 판매했지만, 이는 "세계 수준의 고급차"임을 나타내는 것이며, 브랜드 자체의 일본 투입은 아니라고 밝혔다.[70]
### 모델명 체계
인피니티는 과거에 쿠페와 세단에는 한 글자, SUV에는 두 글자를 사용하고 엔진 배기량을 나타내는 숫자를 모델명에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QX56은 5.6L 엔진을 장착한 SUV였다. 예외적으로 QX4는 3.3L 엔진(1996–2000)과 3.5L 엔진(2000–2003)을 장착했다.[22]
인피니티 세단의 엔진 배기량 뒤에 붙는 "x"는 사륜구동 모델, "s"는 스포츠 패키지, "h"는 하이브리드 모델, "d"는 디젤 모델을 나타냈다.
2013년, 인피니티는 모델명 지정 방식을 변경하여 쿠페와 세단은 Q, SUV와 크로스오버는 QX로 시작하고, 모델의 브랜드 라인업 내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를 사용하게 되었다.[22] 이에 따라 M 세단은 Q70, G 쿠페는 Q60, G 세단은 Q50, QX56은 QX80, FX는 QX70, JX는 QX60, EX는 QX50으로 변경되었다.
2014년 이후 모델명은 다음과 같은 체계를 따른다.[74]
- 세단, 쿠페, 컨버터블: "Q" + 두 자리 숫자 (등급)
- 크로스오버, SUV: "QX" + 두 자리 숫자 (등급)
예를 들어 Q50의 경우, V6 3.7L 엔진 탑재 차량은 Q50 '''3.7''', 스포츠 등급은 Q50'''S''' 3.7, 4WD 차량은 Q50 3.7 '''AWD''', 하이브리드 차량은 Q50 '''HYBRID''', 디젤 차량은 Q50 2.2'''d''', V6 3L 트윈 터보 엔진 탑재 차량은 Q50 '''3.0t'''로 표기한다.
5. 1. 현재 판매 모델 (2024년 기준)
차종 | 사진 | 첫 등장 연도 | 현행 모델 | 비고 | 생산 공장 |
---|---|---|---|---|---|
Q50 | -- | 2013년 | 2017년 4월 (1세대 부분변경) | 글로벌 D세그먼트 프리미엄 세단. 일본 시장에서는 "닛산 스카이라인"으로 판매. | 닛산 자동차 도치기 공장 (일본 도치기현) |
Q60 | -- | 2002년 | 2016년 9월 (3세대) | Q50 기반 2도어 쿠페. 이전 모델은 일본에서 "닛산 스카이라인 쿠페"로 판매되었으나, 현행 모델은 해외 시장 전용. | 닛산 자동차 도치기 공장 (일본 도치기현) |
QX80 | -- | 1996년 | 2017년 11월 (3세대 부분변경) | 해외 시장 전용 모델. 인피니티 SUV 라인업 중 가장 큰 풀 사이즈 SUV. 닛산 아르마다와 많은 부분을 공유. 2013년 7월, "인피니티 QX"에서 명칭 변경. | 닛산 차체 큐슈 (일본 후쿠오카현) |
QX60 | -- | 2021년 | 2021년 6월 (2세대) | 해외 시장 전용 모델. 2021년 6월 완전 변경. CVT를 폐지하고, 3.5리터 V형 6기통 가솔린 엔진과 9단 AT 변속기 탑재. 이전 모델의 하이브리드 모델은 폐지. | 북미 닛산 회사 스머나 공장 (미국 테네시주) |
QX50 | -- | 2007년 | 2018년 1월 (2세대) | 이전 모델은 "닛산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로 일본 시장에서도 판매되었지만, 2018년 출시된 2세대는 해외 시장 전용 모델. | 멕시코 닛산 자동차 회사 아구아스칼리엔테스 제2공장 (멕시코) |
QX55 | -- | 2020년 | 2020년 11월 (1세대) | QX50의 자매차, 쿠페 SUV. 기본적인 설계는 QX50과 공유. | 멕시코 닛산 자동차 회사 아구아스칼리엔테스 제2공장 (멕시코) |
5. 2. 과거 판매 모델
인피니티는 과거에 쿠페와 세단에는 한 글자, SUV에는 두 글자를 사용하고 엔진 배기량을 나타내는 숫자를 모델명에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QX56은 5.6L 엔진을 장착한 SUV였다. 예외적으로 QX4는 3.3L 엔진(1996–2000)과 3.5L 엔진(2000–2003)을 장착했다.[22]인피니티 세단의 엔진 배기량 뒤에 붙는 "x"는 사륜구동 모델, "s"는 스포츠 패키지, "h"는 하이브리드 모델, "d"는 디젤 모델을 나타냈다.
2013년, 인피니티는 모델명 지정 방식을 변경하여 쿠페와 세단은 Q, SUV와 크로스오버는 QX로 시작하고, 모델의 브랜드 라인업 내 위치를 나타내는 숫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M 세단은 Q70, G 쿠페는 Q60, G 세단은 Q50, QX56은 QX80, FX는 QX70, JX는 QX60, EX는 QX50으로 변경되었다.[22]
차종 | 첫 등장 연도 | 현행 모델 | 비고 | ||
---|---|---|---|---|---|
발표 | 마이너 체인지 | ||||
해치백 | |||||
-- Q30 | Q30 | 2015년 | 2015년 12월 (초대) | 해외 시장 전용 모델. 주로 유럽 및 아시아 시장에 투입. C세그먼트 클래스의 프리미엄 컴팩트. 인피니티의 엔트리 모델. 3세대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와 기본 컴포넌트를 공유. 엔진은 르노제의 1.5L 디젤 터보, 다임러제 1.6L 터보, 2.0L 터보, 2.2L 디젤 터보 총 4종. |
- 인피니티 Q45(일본명: 인피니티 Q45 / 시마&프레지던트)
- 인피니티 I(일본명: 세피로)
- 인피니티 J(일본명: 레파드)
- 인피니티 M(일본명: 글로리아&세드릭 / 시마&푸가)
- 인피니티 EX(일본명: 스카이라인 크로스오버)
- 인피니티 FX
- 인피니티 JX
- 인피니티 QX(일본명: 테라노 레글라스)
5. 2. 1. 세단
(도치기현)Q50L: 둥펑 닛산 승용차 회사
샹양 공장(중국 후베이성)
Q70L
(4세대)
3세대・4세대 일본명: 스카이라인(250GT 세단:V36)
2014년 8월 개량 시 "G"에서 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