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어 한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어 한자는 일본어 표기에 사용되는 중요한 요소로, 한자와 가나 문자를 혼용하여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자는 명사, 동사, 형용사 등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히라가나는 활용 어미, 조동사, 조사 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일본어 한자는 중국에서 유입되었으며, 음독과 훈독의 두 가지 읽는 법이 존재한다. 일본은 한자 사용을 제한하거나 간략화하는 시도를 거쳤지만, 현재는 2136자의 상용한자를 사용하며, 초등 교육에서 1,026자를, 중등 교육에서 1,110자를 추가로 학습한다.

2. 일본어 표기와 한자

현대 일본어는 한자를 중심으로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혼용하는 표기(漢字仮名交じり文)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자는 명사, 동사, 형용사 등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에 주로 사용되며, 히라가나는 조사, 조동사, 활용 어미 등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요소에 사용된다.[44] 한국어에서는 한자가 주로 한자어에만 사용되는 반면, 일본어에서는 고유어에도 사용되며, 외래어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단어에 사용할 수 있다. 심지어 대항해 시대 이후 유럽에서 들어온 담배(타바코), 우비(캇파)와 같은 외래어에도 한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어 문자는 5세기에서 6세기경 한자가 수입되면서 시작되었으며, 만요가나를 거쳐 헤이안 시대 초기에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만들어졌다. 일본서기고사기에 따르면, 백제의 왕인 박사가 5세기오진 천황 시대에 일본으로 유교와 한자를 전래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일본인들은 한자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6]

도도 아키야스는 최소한 3세기부터 5세기에는 일본과 중국 양국에서 한자가 일본에 들어왔음이 확실하다고 주장했으며,[45] 모리 코이치도 북큐슈의 야요이 시대의 동경에는 대개 한자로 문장이 표현되어 있어서, 왜인이 명문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다면 한자 수용의 역사가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46] 또한, 『후한서』나 『왜인전』에서의 중일 외교 기술에서도, 늦어도 2, 3세기에는 지배자층에서의 문자 사용을 상정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의견도 있다.[47] 한편 동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 전기까지 사용되는 한자가 제한적이었고,[48] 해당 지역에서는 한자가 기호로밖에 인식되지 않았고, 고대의 한자의 보급에는 현저한 지역 편차가 존재했음이 확인되었다.[49]

2. 1. 한반도에서 유래한 일본 한자

미야와키 준코는 한반도의 강 이름이 모두 '강(江)'으로 표기되는 것을 근거로, 한반도에 처음 한자를 들여온 사람들이 중국 남부에서 해로를 통해 왔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 그녀는 이들이 일본 열도에도 동중국해를 경유해 왔을 가능성이 높으며,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온 도래인은 이른바 '제2파'였을 것이라는 설을 주장했다.[1]

3. 일본어의 한자 읽는 법

일본어에서 한자는 음독(音読み일본어)과 훈독(訓読み일본어)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읽는다.[8]

(720년). 역사학자와 고고학자들은 고대 일본의 가장 완벽한 역사 기록으로 간주하며, 완전히 한자로 작성되었다.


한자중국에서 수입된 공식 인장, 서신, 칼, 동전, 거울, 기타 장식품에 사용되었다.[8] 1세기경 중국 동전과 벼루야요이 시대 고고학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당시 일본인들은 이 문자에 대해 거의 이해하지 못했고, 5세기까지 문맹 상태로 남아있었다. 와 에 따르면, 왕인이 5세기 초 오진 천황백제에서 유교와 한자를 전래했다.[9]

일본어에서는 하나의 한자에 여러 발음이 있는 경우가 많고, 같은 발음을 가진 한자가 여럿 있기도 하다.

3. 1. 음독

오음은 5~6세기 경에 전해진 한자음이다. 통설에서는 중국의 남북조 시대 남부 오 지방에서 직접 또는 한반도를 경유하여 일본에 전해졌다고 하지만, 이를 실증할 수 있는 증거는 없다. 실제로는 불교 경전 등에 근거한 한음 이전의 전통적인 읽는 방식이 시대·지역 등을 고려하지 않고 묶어 '''오음'''이라고 불리게 된 경위가 있다. 한음나라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쳐 성행했던 견당사(주요 도항지는 북서부의 장안)와 유학승이 의 수도 장안에서 배운 읽는 방식이 수입되었다. 더 나아가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 선승의 유학 및 관련 서적의 전래, 민간 무역에 의해 '당음'이라고 불리는 읽는 방식이 전해졌다. 관용음은 잘못 정착된 것으로 밝혀진 것과 체계에 맞지 않는 것 등을 다이쇼 시대 이후 이렇게 부르고 있다.

일본 한자음의 특징은, 중국어에서 모두 1음절인 것이 2음절화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어말의 폐쇄음(입성)은 일본어에서는 "フ・ツ・チ・ク・キ"가 되었다. 이 중 에 해당하는 "フ"는 일본어의 하행 전호 현상과 함께 "우"로 변화하고 (集|しゅう|슈일본어, 集|시후|일본어), 혹은 촉음 "ッ"나 "츠"로 정착된 것도 있다(圧|あつ|아츠일본어, 圧|아후|일본어). 어말의 연구개 비음은 모음화되어 "우・이"가 되었다(당음에서는 "ン"). 또한 고대 중국어에는 청음(무성음)・탁음(유성음)의 대립과 함께 유기음무기음의 대립이 있었지만, 일본어에는 이 대립이 없기 때문에 자음에 반영되지 않았다. 또한 성조도 기본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 때문에 동음이의어가 많아지고 있다.

3. 2. 훈독

훈독(쿤요미)은 각각의 한자가 나타내는 의미를 이미 존재하고 있던 일본어와 대응시켜 읽는 법에 적용시킨 것이다. 중국어방언 또는 한국어에서도 훈독이 존재하나, 일본어에서는 많은 표기에 훈독이 존재한다.[8]

애초에 '(訓)'은 고전 등의 어려운 말을 알기 쉬운 말로 설명하거나, 고전 어휘를 현대어로 바꾸거나, 방언 등을 표준어로 설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일본어에서는 외국어인 중국어를 일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한자에 대응하는 일본어 어휘가 여러 개로 늘어났다. 이윽고 한문을 훈독하는 관습과 맞물려, 한 개의 한자에 대해 가능한 소수의 훈 읽기가 고착화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계속 발전하여 현대 일본어에서의 한자 훈독 체계가 이루어졌다.

개중에는 일본에서만 통용되는 훈이 한자에 연결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蛸일본어를 たこ(문어)로, 椿|일본어를 つばき(동백나무)로, 沖일본어를 おき(먼 바다)로 읽으나, 한국어중국어에서는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훈은 동식물, 특히 물고기 명칭에서 많이 보인다. 鮭|さけ、しゃけ일본어는 일본어로는 연어이나 원래는 복어를 뜻하는 한자이며, 鮎|あゆ일본어는 일본어에서는 은어를 뜻하나 본래는 메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를 곳쿤(国訓일본어)이라 분류하기도 한다. 다만, 중국에서 의미가 사라진 경우(예: 雫)는 중국에서 사라진 의미가 일본에 남아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곳쿤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고 보는 경우도 있다.

3. 3. 음독과 훈독의 혼용

일본어 한자 표기에는 음독훈독이 한 단어 안에서 혼용되는 경우가 있다. 음독 + 훈독 순서로 읽는 경우를 주바코요미(重箱読み, 주바코요미)라고 하며, 훈독 + 음독 순서로 읽는 경우를 유토요미(湯桶読み, 유토요미)라고 부른다. 전자의 경우 重(쥬) + 箱(바코)와 같이 읽으며, 후자의 경우 湯(유) + 桶(토)와 같이 읽는다.[13]

한편, 같은 한자 표기라 하더라도, 음독으로 읽느냐 훈독으로 읽느냐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仮名이라고 썼을 때, '가명'이라는 뜻이 되기도 하고(카메이), 히라가나가타카나를 총칭하는 '가나'가 되기도 한다(카나).[13]

3. 4. 오쿠리가나

일본어의 한자 표기는 명사뿐만 아니라 동사, 형용사 등 용언에도 적용된다. 용언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 뒤에 활용형을 히라가나로 표기하는데, 이 부분을 오쿠리가나라고 한다.

  • 예: 流れる|흐르다일본어
  • 예: 行かない|가지 않는다일본어

4. 일본식 한자

일본에서 만들어진 일부 한자를 고쿠지(国字일본어 또는 와세이칸지(和製漢字일본어), 와지(和字일본어)라고 한다. (한자를 사용하는 각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한자가 만들어지는 현상은 한국, 중국, 특히 베트남쯔놈 등에서도 볼 수 있으나 여기서는 언급을 생략한다.) 고쿠지의 예로는 쓰지(네거리), 도게(고개), 하타케(밭)과 같이 옛날에 만들어졌던 것과, 서양 문명의 영향을 받아 근대에 만들어진 스이(췌장)[66], 센(샘)[66], 키로그라무(킬로그램), 가방(가방) 등이 있다. 주로 훈독만 가진 것들이 많은데, 하타라쿠(일하다)와 같이 음독과 훈독을 모두 가지는 것도 있으며, 뵤(압정), 고(아귀) 등과 같이 음독만을 가지는 것도 있다.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를 국자라고 한다(국자에는 다른 의미, 혹은 일본·중국 이외의 국가에서 만들어진 국자도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국자에는 도게(고개)·하타케(밭)·쓰지(네거리) 등이 있다. 주로 음독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도(일할 동)·센(샘 선)처럼 음독을 가진 소수의 예외도 있다. 또한 중국어에 차용된 국자도 소수 존재한다(예: '腺').

5. 신자체, 한자 제한

막말 이후, 일본에서는 한자를 폐지하거나 제한하자는 논의가 있었다. 1923년 상용한자 제정, 1940년 일본 육군의 '병기명칭용제한한자표' 결정, 1942년 국어심의회의 표준한자표 답신 등 한자 수 제한 움직임이 있었다.

GHQ 점령 하인 1946년, 1850자의 당용한자를 지정한 '당용한자표'가 고시되었다. 1949년 '당용한자자체표'에 의해 신자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신자체는 한자 체계 파괴라는 비판을 받았다. 예를 들어 竜(龍)과 襲(襲), 仮(假)와 暇(暇)처럼 원래 같은 구성 요소를 가졌지만, 자체 변화로 인해 다른 구성 요소처럼 보이는 문제가 발생했다.

현재는 2136자의 상용한자가 지정되어 있으며, 이 중 1026자가 교육 한자이다.

6. 한자 표기의 부가 기호

같은 한자를 반복해서 쓸 때 '々' 부호를 그 자리에 대신 써 주는데, 이를 오도리지라고 한다. 예를 들어, 'ひとびと일본어(사람들)'에 해당하는 한자 표기는 '人人일본어'인데, '人々일본어'로, 'ひび일본어'를 '日々일본어'로 적는다.

오도리지는 가나에도 있는데, 히라가나일 경우 'ゝ일본어' 또는 'ゞ일본어'를 쓰고 가타카나일 경우 'ヽ일본어' 또는 'ヾ일본어'를 쓴다.

7. 한자 교육

초등학교에서 교육 한자 1026자를 학습하고, 중학교에서 상용 한자 중 교육 한자가 아닌 1110자를 학습한다. 고등학교에서는, 공통 필수 이수 과목 「현대의 국어」 및 「언어 문화」에서 상용 한자의 읽기에 익숙해지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58]

한자의 읽기는 상용 한자표에 제시된 것을 학습한다.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한자라도 일부 읽기를 중학교·고등학교에서 학습하는 경우가 있으며, 중학교에서 학습하는 한자라도 일부 읽기를 고등학교에서 학습하는 경우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부과학성 "[https://www.mext.go.jp/a_menu/shotou/new-cs/__icsFiles/afieldfile/2017/05/15/1385768.pdf 음훈의 소・중・고등학교 단계별 할당표]"를 참조.

예를 들어, 「和」는 초등학교 3학년에서 학습하는 한자이지만,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읽기는 「와」뿐이며, 중학교에서 「나고-무, 나고-야카, 야와-라구, 야와-라게루」의 읽기를 학습하고, 고등학교에서 「오」의 읽기를 학습함으로써 상용 한자표에 제시된 「和」의 읽기가 모두 갖춰진다.

다만, 중학 입시나 고교 입시에서는 중학교·고등학교에서 학습하는 한자의 읽고 쓰기도 출제되는 경우가 있다.

문부과학성은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한자에 대해, 몇 학년에 읽기를 배우는지까지는 지정하지 않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는 1학년·2학년에서 학습하는 한자에 대해, 훈독을 먼저 배우고, 음독은 더 높은 학년에서 배우는 경향이 있다[59](한자의 음독・훈독의 구별에 대해서는 초등학교 3학년에서 학습한다).

참조

[1] 간행물 The Linguistic Nature of Kanji Reexamined: Do Kanji Represent Only Meanings? https:/ 1996
[2] 서적 Writing and literacy i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3] 서적 Language change in East Asia Curzon
[4] 서적 The Phonetics of Japanese Language: With Reference to Japanese Scrip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 서적 Handbook of orthography and litera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웹사이트 Tawayama find hints kanji introduced in Yayoi Period https://www.japantim[...] 2001-10-05
[7] 웹사이트 A Study of Japanese Loanwords in Chinese https://www.duo.uio.[...] University of Oslo 2014
[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Kanji 漢字の歴史 https://itsjapantime[...] 2017-11-19
[9] 웹사이트 Gold Seal (Kin-in) http://museum.city.f[...] Fukuoka City Museum 2014-09-01
[10] 서적 Kanji and Kana: A Complete Guide to the Japanese Writing System Tuttle Publishing 2012
[11] 간행물 Review of Ishiwara Kanji and Japan's Confrontation with the West https://www.jstor.or[...] 1975
[12] 웹사이트 人名用漢字の新字旧字 第82回 「鉄」と「鐵」 https://dictionary.s[...] Sanseidō 2015-08-14
[13] 문서 www.kanjidatabase.com: a new interactive online database for psychological and linguistic research on Japanese kanji and their compound words 2017
[14] 웹사이트 JIS X 0208:1997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JIS X 0212:1990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JIS X 0213:2000 https://web.archive.[...]
[17] 서적 CJKV Information Processing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1999
[18] 서적 CJKV Information Processing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1999
[19] 간행물 Introducing the SING Gaiji architecture https://www.adobe.co[...] Adobe 2015-10-18
[20] 간행물 OpenType Technology Center https://www.adobe.co[...] Adobe 2015-10-18
[21] 간행물 P5: Guidelines for Electronic Text Encoding and Interchange TEI-C 2011-12-26
[22] 간행물 P5: Guidelines for Electronic Text Encoding and Interchange TEI-C 2011-12-26
[23] 웹사이트 Chinese Dilemmas : How Many Ideographs are Needed http://www.ntpu.edu.[...] National Taipei University 2006
[24] 웹사이트 The Totality of Chinese Characters—A Digital Perspective http://www.colips.or[...]
[25] 웹사이트 SCML: A Structural Representation for Chinese Characters http://www.cs.dartmo[...] 2007-05-29
[26] 서적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Approach Blackwell 2005
[27] 간행물 The multiple pronunciations of Japanese kanji: A masked priming investigation https://www.research[...]
[28] 웹사이트 Gogen Yurai Jiten https://gogen-yurai.[...] Lookvise, Inc. 2006-03-26
[29] 웹사이트 How many possible phonological forms could be represented by a randomly chosen single character? https://japanese.sta[...] 2017-07-15
[30] 웹사이트 How do Japanese names work? http://www.sljfaq.or[...] 2017-11-14
[31] 문서 Daijirin
[32] 문서 Kōjien
[33] 문서 Kōjien
[34] 문서 Kōjien
[35] 문서 Daijirin 3
[36] 문서 Digital Daijisen
[37] 웹사이트 ateji Archives https://web.archive.[...] 2016-02-18
[38] 웹사이트 Satoshi http://jisho.org/sea[...] 2016-03-05
[39] 웹사이트 Haruka http://jisho.org/sea[...] 2016-03-05
[40] 논문 Review of Remembering the Kanji 2: A Systematic Guide to Reading the Japanese Characters. 3rd ed.; Remembering the Kanji 3: Writing and Reading Japanese Characters for Upper-Level Proficiency. 2nd ed., JAMES W. HEISIG https://www.jstor.or[...] 2010
[41] 논문 Compositional Features of Kanji for Effective Instruction https://www.jstor.or[...] 2000
[42] 서적 The Kodansha Kanji Learner's Dictionary 2006
[43] 서적 The Japanese Writing System: Challenges,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for Learning Kanji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2017-06-05
[44] 문서 いわゆる助動詞 (国文法)を含む。
[45] 문서 東京大学文学部講義、「中国音韻学の諸問題」、1948年。
[46] 서적 日本神話の考古学 朝日新聞社 1999
[47] 문서 「神武東征」の原像 青垣出版 2006
[48] 간행물 墨書土器とその字形 : 古代村落における文字の実相 https://doi.org/10.1[...] 国立歴史民俗博物館 1991-11
[49] 문서 1991
[50] 서적 朝鮮半島をめぐる歴史歪曲の舞台裏 韓流時代劇と朝鮮史の真実 扶桑社 2020-04-30
[51] 문서 『新明解国語辞典』三省堂「真名」より
[52] 논문 Building dictionaries as basic tools for machine translation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pplications https://bibdb.ninjal[...] 立命館大学国際言語文化研究所 2004-02
[53] 웹사이트 Gunarto's Kanji Learning Systems https://gunarto.org/[...]
[54] 웹사이트 「鉄」と「鐵」 https://dictionary.s[...] 2011-02-24
[55] 웹사이트 公用文作成の考え方(建議) https://www.bunka.go[...] 文化審議会 2024-12-15
[56] 웹사이트 「労う=ろうう?」読めそうで読めない漢字3選【ベテラン国語教師が解説】 https://classy-onlin[...] 2024-12-15
[57] 웹사이트 放送研究と調査 https://www.nhk.or.j[...] 2024-12-15
[58] 웹사이트 【国語編】高等学校学習指導要領(平成30年告示)解説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4-12-15
[59] 웹사이트 言葉とセットで読み方を覚えよう|1年生の漢字学習|2年生の漢字学習|3年生の漢字学習 https://kanji.cloud/[...] 2024-11-02
[60] 뉴스 漢字の「正しい筆順」存在しないのに… 教科書に掲載、入試に出題されることも|漢字学習 どこまで必要?|朝日新聞EduA https://www.asahi.co[...]
[61] 웹사이트 各級の出題内容と審査基準 ! 漢検の概要 ! 日本漢字能力検定 https://www.kanken.o[...] 2024-12-15
[62] 웹사이트 筆順が二通りある場合、検定ではどちらで答えれば... https://faq-kanken.d[...] 2024-12-15
[63] 웹사이트 横書き移行に伴う変化について http://www.shosha.ko[...]
[64] 뉴스 日本初の漢字学会設立 京都、漢検協会呼び掛けで https://www.nikkei.c[...] 2018-03-30
[65] 문서 한국에서도 쓰인다.
[66] 웹인용 人名用漢字の新字旧字:「鉄」と「鐵」 http://dictionary.sa[...] 산세이도 국어 사전 2015-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