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의 역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이는 기록, 포장, 위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얇은 시트 형태의 재료이다. 종이의 역사는 기원전 2세기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채륜에 의해 뽕나무 등을 이용한 종이 제조법이 개량되었다. 파피루스는 종이보다 먼저 사용되었으나 재료의 한계로 인해 종이에 의해 대체되었다. 제지술은 중국에서 아시아, 이슬람 세계, 유럽으로 전파되었으며, 각 지역에서 종이 제조 기술이 발전했다. 19세기에는 증기 동력을 이용한 제지 기계가 발명되어 종이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다. 현대 사회에서 종이는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사용되며, 문화와 예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업사 - 기계화
기계화는 산업 혁명 시기부터 기계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및 사회 현상으로, 도시화, 노동 계급 형성, 자본주의 발달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며, 4차 산업 혁명 시대에는 자동화, 로봇 기술과 융합하여 미래 사회에 영향을 줄 것이다. - 산업사 - 계획적 구식화
계획적 구식화는 기업이 이윤을 위해 제품 수명을 의도적으로 단축시켜 소비자의 재구매를 유도하는 전략으로, 자원 낭비와 환경 문제 등 윤리적 문제에 대한 규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 기술사 - 기술의 사회적 구성론
기술의 사회적 구성론은 기술이 사회적 과정을 통해 구성되며 사회적 요인이 기술 개발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이론으로, 대칭의 원리, 해석적 유연성, 관련 사회 집단의 상호작용 등의 핵심 개념을 포함하며 과학지식사회학의 영향을 받아 사회정치적 맥락과 연관된다. - 기술사 - 티푸의 호랑이
티푸의 호랑이는 1795년 티푸 술탄을 위해 제작된 자동 장치로, 호랑이가 유럽인을 공격하는 모습을 나무로 조각하고 내부 오르간을 통해 소리를 내도록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종이 - 판지
판지는 종이 섬유를 압축하여 만든 평평한 재료로, 포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1817년 영국에서 처음 생산된 후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 다양한 종류와 등급으로 생산되는 전 세계적인 산업이다. - 종이 - 크라프트지
크라프트지는 강도를 뜻하는 독일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침엽수 펄프를 사용하여 크라프트법으로 제조되어 골판지, 포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이이다.
종이의 역사 | |
---|---|
종이의 역사 | |
기본 정보 | |
![]() | |
발명 | 중국 |
발명 시기 | 기원전 2세기 |
재료 | 나무 껍질 삼 넝마 어망 |
고대 종이 제조법 | |
발명자 | 채륜 |
발명 시기 | 105년 |
제조 과정 | 나무 껍질, 삼, 넝마, 어망을 잘게 찢어 물에 담근 후 섬유질만 남을 때까지 찧는다. 남은 섬유질을 틀에 얇게 펴서 햇볕에 말린다. |
종이의 전파 | |
전파 경로 | 실크로드 이슬람 세계 유럽 |
유럽 전파 시기 | 12세기 |
유럽 내 생산 | 13세기 이후 |
종이의 혁신 | |
인쇄술 발달 기여 | 구텐베르크의 활판 인쇄술 발명에 기여 |
대량 생산 | 산업 혁명 이후 기계 생산 시작 |
현대의 종이 | |
주요 용도 | 인쇄 포장 기록 위생 |
다양한 종류 | 신문 용지 인쇄 용지 포장 용지 화장지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파피루스 양피지 죽간 목간 제지 한지 화선지 펄프 종이접기 종이 공예 |
2. 역사
종이의 역사는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에서 시작하여 중국의 제지술 발명으로 이어진다.
채륜 이전에도 제지술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가 존재한다.[4] 한나라 (기원전 202년 – 기원후 220년)의 환관 관료였던 채륜은 종이의 정확한 발명 시기나 발명자를 특정할 수 없었다. 간쑤성 팡마탄에서 발굴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종이 조각은 기원전 179–141년으로 추정되며, 지도 조각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높다.[5] 둔황에서는 기원전 65년, 위먼 관문에서는 기원전 8년으로 추정되는 종이 조각이 발견되었다.
전통적으로 기원후 105년경 채륜이 뽕나무와 기타 인피 섬유, 어망, 헌 옷, 삼 폐기물을 이용하여 종이를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서양에서 헌 옷에만 의존했던 종이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혁신적인 방법이었다.[6]
2. 1. 파피루스
"종이"라는 단어는 어원적으로 ''키페루스 파피루스'' 식물을 가리키는 고대 그리스어인 ''파피루스''에서 유래되었다.[2] 파피루스는 고대 이집트와 다른 지중해 사회에서 글쓰기에 사용되었던 ''키페루스 파피루스'' 식물의 속(내부)에서 생산된 두껍고 종이와 유사한 재료이다.[2]
파피루스는 ''키페루스 파피루스'' 식물의 속(내부)을 얇고 리본 모양으로 잘라낸 조각들을 나란히 늘어놓아 시트를 만드는 방식으로 준비된다. 그 위에 두 번째 층을 놓는데, 이 층의 조각들은 첫 번째 층에 수직으로 놓인다. 그런 다음 두 층을 망치로 두들겨 시트를 만든다. 그 결과물은 매우 튼튼하지만 표면이 고르지 않으며, 특히 조각의 가장자리가 그렇다. 두루마리에 사용될 때 반복적인 롤링과 펼침은 조각들이 다시 분리되게 만들며, 일반적으로 수직선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효과는 많은 고대 파피루스 문서에서 볼 수 있다.[3]
종이는 파피루스와 달리, 종이를 누르기 전에 식물 재료를 침연(maceration) 또는 분해 과정을 거쳐 분해한다. 이는 훨씬 더 고른 표면을 만들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되는 재료에서 자연적인 약한 방향을 없앤다.[3] 종이와 달리 파피루스는 이집트와 시칠리아에서만 자라는 ''키페루스 파피루스'' 식물을 눌러 엮고 두들겨 건조하여 최종 제품을 만든다.
파피루스는 그리스와 로마에서 큰 효과를 거두었지만, 종이에 비해 몇 가지 단점이 있었다. 이는 주로 이집트에서 재배된 ''키페루스 파피루스'' 식물에 의해 지리적으로 제한되었다. 아랍인들은 830년대에 바그다드 북쪽에서 이 식물을 재배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고른 표면의 파피루스를 만드는 것은 더 힘들었고, 종이는 파피루스보다 더 풍부하고 저렴했다. 또한 파피루스는 연약하고 습기에 민감했으며, 30~35피트를 넘지 않는 두루마리 형식으로 제한되었다.
9세기 말까지 종이는 이슬람 세계에서 파피루스보다 더 인기를 얻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종이는 10세기 중반까지 파피루스를 주요 필기 재료로 대체했다. 유럽에서는 파피루스가 양피지와 수백 년 동안 공존하다가 11세기까지 대부분 사라졌다.
2. 2. 중국의 제지술
제지술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채륜에게 전해지는 전통적인 기원보다 앞선다.[4] 한나라 (기원전 202년 – 기원후 220년)의 환관 관료인 채륜은 종이의 정확한 발명 시기나 발명자를 추정할 수 없다.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종이 조각은 간쑤성의 팡마탄에서 발굴되었으며, 지도 조각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기원전 179–141년으로 추정된다.[5] 둔황에서 기원전 65년으로 추정되는 종이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위먼 관문에서는 기원전 8년으로 추정되는 종이 조각이 발견되었다.전통적으로 채륜에게 귀속된 발명은 수백 년 후에 기록되었으며, 기원후 105년으로 추정된다. 이 혁신은 뽕나무와 다른 인피 섬유, 어망, 헌 옷, 삼 폐기물로 만들어진 종이로, 이전에는 서양에서 헌 옷에만 의존했던 종이 생산 비용을 절감했다.
고대 중국의 상 왕조(기원전 1600~1050년)와 주 왕조(기원전 1050~256년) 시대에는 문서가 일반적으로 뼈나 대나무 (판이나 대나무 조각을 꿰매어 두루마리로 묶은 것)에 기록되었는데, 이는 매우 무겁고 사용하기 불편하며 운반하기 어려웠다. 실크의 가벼운 재료는 때때로 기록 매체로 사용되었지만, 일반적으로 너무 비싸서 고려할 가치가 없었다. 한나라의 중국 궁정 관리인 채륜(서기 50~121년)은 105년에 넝마 및 기타 식물 섬유를 사용하여 종이 제조 방법을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말벌과 꿀벌에서 영감을 얻음). 그러나 2006년 중국 북동부 간쑤성 팡마탄에서 한자가 적힌 표본이 발견되면서, 기원전 8년에 채륜보다 100년 이상 앞서 고대 중국 군대가 종이를 사용했으며, 팡마탄 무덤에서 발견된 지도 조각이 기원전 2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훨씬 더 일찍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 따라서 "채륜의 기여는 이 기술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개선하고 종이 제조법을 확립한 것"으로 보인다.[7]
이십사사에 실린 채륜의 전기에 따르면:[8]
> 옛날에는 글과 비문이 일반적으로 대나무 판이나 '지'라고 불리는 비단 조각에 새겨졌다. 그러나 비단은 비싸고 대나무는 무거워서 사용하기가 불편했다. 이에 채륜은 나무 껍질, 삼 조각, 천 조각, 어망으로 종이를 만드는 아이디어를 냈다. 그는 원흥 원년(서기 105년)에 이 과정을 황제에게 제출했고 그의 능력에 대한 칭찬을 받았다. 이때부터 종이는 모든 곳에서 사용되었고, 일반적으로 채후의 종이라고 불렸다.
생산 과정은 물에 넝마를 두드리고 젓는 것에서 시작되었을 수 있으며, 그 후 매트 위에 엉킨 섬유를 모았다. 특히 닥나무 껍질이 가치가 있었고, 한나라 말기에는 '탄'(檀; 백단)의 껍질을 사용하여 고품질 종이가 개발되었다. 껍질 종이는 한나라 시대에 등장했지만, 종이의 주요 재료는 당나라 때 등나무와 닥나무 껍질 종이가 점차 우세해질 때까지 삼이었다. 당나라 이후 등나무 종이는 특정 재배 지역이 필요하고, 성장 속도가 느리고, 재생 주기가 길어서 쇠퇴했다. 가장 명망 있는 종류의 껍질 종이는 정신당지(Chengxintang Paper)로 알려졌으며, 오대 십국 시대에 등장하여 황실 용도로만 사용되었다. 구양수는 이를 반짝이고, 정교하며, 부드럽고 탄력적이라고 묘사했다. 동진 시대에는 영구성을 위해 살충 염료로 처리된 고운 대나무 스크린 몰드가 종이 제조에 사용되었다. 송나라 시대에 인쇄가 대중화된 후 종이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증가했다. 껍질의 공급이 종이 수요를 따라갈 수 없게 되면서 송나라 시대에 대나무를 사용한 새로운 종류의 종이가 발명되었다. 1101년에는 150만 장의 종이가 수도로 보내졌다.[8]
2. 3. 아시아로의 전파
중국에서 기원한 종이는 생산과 사용이 점차 확대되었다. 서기 150년경 둔황, 200년경 루란(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그리고 399년경 투루판에서 종이가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3세기에는 베트남으로 전파되었다.[13]인도 아대륙에서는 7세기 후반부터 종이 사용의 증거가 나타난다.[44][45] 이징은 인도에서 종이에 불상을 인쇄하여 숭배하고 위생 용도로 사용했다는 기록을 남겼다.[44] 가장 오래된 산스크리트어 종이 사본은 카슈미르에서 발견된 1089년의 ''샤타파타 브라흐마나'' 사본이다.[48] 자이나교 사원에서는 12세기경부터 종이를 사용한 기록이 발견된다.[51] 15세기 중국 여행가 마환은 벵골의 종이가 "사슴 가죽처럼 광택이 나고 매끄럽다"고 묘사했다.[49] 종이 기술은 7세기 중반 티베트와 네팔을 거쳐 중국에서 인도로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다.[44]
2. 3. 1. 동아시아
한국에는 4세기경 제지술이 전래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뛰어난 품질의 한지로 유명했다. 일본에는 610년경 고구려의 승려 담징에 의해 제지술이 전파되었다고 알려져 있다.[11]2. 3. 2. 이슬람 세계
8세기 이후 이슬람 시대 이집트에서 발견된 콥트어 성경의 종이 조각이 존재한다.
2. 4. 유럽으로의 전파
11세기경 이슬람 세계를 통해 유럽에 제지술이 전파되었다.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종이 문서는 11세기의 무자라브 실로스의 미사 경본으로, 알 안달루스 이베리아 반도의 이슬람 지역에서 만들어진 종이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2] 이들은 삼베와 린넨 천을 섬유 원료로 사용했다. 이베리아 반도에서 최초로 기록된 제지 공장은 1056년 사티바에 있었다.[53][54]제지술은 1085년경 스페인 톨레도에 처음 전파되었고, 1150년까지 스페인 사티바에 확고히 자리 잡았다. 13세기에는 이탈리아 아말피, 파브리아노, 트레비소 및 기타 이탈리아 도시들에 제지 공장이 세워졌고, 1340년까지는 더 북쪽으로 확산되었다. 1348년경 프랑스 트루아, 1340-1350년경 네덜란드, 1390년 울만 스트로머가 세운 공장에서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종이가 만들어진 증거가 있다.[55] 이것은 목판화 판화 기술이 천에서 종이로 옮겨진 시기와 거의 일치하며, 옛 거장 판화 및 대중 판화에 사용되었다.
1432년에는 스위스에 제지 공장이 있었고, 잉글랜드 최초의 공장은 1490년경 존 테이트에 의해 허트퍼드 근처에 세워졌지만,[56][57] 영국에서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제지 공장은 1588년 존 스필만이 켄트의 다트퍼드 근처에 공장을 세운 이후였다.[58] 이 시기에 제지술은 1469년 오스트리아로,[59] 1491년 폴란드로, 1576년 러시아로, 1586년 네덜란드로, 1596년 덴마크로, 1612년 스웨덴으로 확산되었다.[20]
이탈리아 페라라 현의 보르고 사라체노에 정착한 아랍인 포로들은 안코나 현의 파브리아노 장인들에게 수제 종이 제작 기술을 전파했다. 당시 그들은 양모 직조 및 천 제조로 유명했다. 파브리아노 제지업자들은 수제 종이 제작 과정을 예술 형태로 간주하여 당시 주요 필기 매체였던 양피지와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있도록 과정을 개선했다. 그들은 종이를 만들기 위해 넝마를 펄프로 줄이는 데 스탬핑 해머를 적용하고, 동물성 접착제로 종이를 사이징하고, 종이 형성 과정에서 워터마크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파브리아노에서는 동물 가죽 두루마리나 조각을 끓여서 얻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종이를 사이징했으며, 이 기술은 지역 무두질 공장에서 권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브리아노에서 최초의 유럽 워터마크 도입은 종이 성형에 사용된 몰드에 대고 놓인 덮개에 금속 와이어를 적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60] 그들은 풀러 공장의 물레방아를 개조하여 통당 3개의 나무 망치를 작동시켰다. 망치는 큰 나무 줄기로 만든 물레방아 차축에 고정된 캠에 의해 머리가 들어 올려졌다.[61][62]
2. 5. 아메리카 대륙
고대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유럽보다 이른 시기에 종이와 유사한 재료가 사용되었다. 마야 문명에서는 5세기경부터 나무껍질을 이용해 만든 '훈'(huun)이라는 필기 재료를 사용했다.[63] 마야인들은 이 훈으로 고문서를 만들었다. 톨텍과 아즈텍 역시 '아마틀'(amatl)이라는 종이 형태를 가지고 있었는데, 필기, 장식, 의식, 마스크 재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64] 그러나 이 재료들이 무작위로 엮인 섬유로 만들어진 것인지, 아니면 잘라 얇게 늘인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어 진정한 종이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있다.스페인 정복 이후, 아즈텍인들은 코덱스 멘도사와 같은 작품을 위해 스페인에서 수입된 종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스페인 정복 이전에는 42개의 아마테 생산 아즈텍 마을이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활동을 중단했다. 멕시코의 오토미 족은 오늘날에도 아마테를 만들지만, 멸종 위기에 처한 무화과나무와 뽕나무의 공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럽의 제지 기술은 1575년경 멕시코를 거쳐[20] 1690년 미국 필라델피아에 전파되었다. 윌리엄 리텐하우스는 윌리엄 브래드포드의 도움을 받아 최초의 제지 공장을 설립했고, 이 공장은 20년 동안 식민지 유일의 제지 공장으로 남아 있었다. 19세기 중반 아황산염 펄프 공법이 도입되면서 미국은 세계 최대의 제지 제품 생산국이 되었다.
3. 한국의 제지술
楮|저중국어나무 껍질을 주원료로 하여 만든 한국의 전통 종이인 한지는 독특한 제조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한지는 질기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보존성이 우수하여 서예, 회화, 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특히, 조선 시대에는 한지가 책, 문서, 생활용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한국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4. 제지 공정
현대의 제지 공정은 크게 펄프 제조, 초지, 가공의 세 단계로 나뉜다.
이슬람 세계에서는 종이 제조에 필요한 재료와 노동력 투입이 많아 종이가 귀한 상품으로 여겨졌다. 13세기 필사본에는 고품질 종이를 생산하기 위한 여러 단계의 제지 과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주요 원료는 무화과나무 껍질이었으며, 여러 번의 침지, 두드리기, 건조 과정을 거쳐 100장의 종이를 만드는 데 12일이 걸렸다.[32] 펄프 제조 단계에서 두드린 섬유는 다양한 크기의 큐브(Kubba)로 만들어져 특정 수의 종이를 제조하는 표준 척도로 사용되었고, 크기는 레몬, 오렌지, 귤과 같은 감귤류 과일을 기준으로 결정되었다.[32]
페르시아어 삽화에는 전통적인 제지 공정의 단계와 도구들이 묘사되어 있다. 제지 공정은 크게 두 단계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펄프 제조 및 탈수 단계이다. 수력 방앗간에서 리넨 폐기물과 헝겊 조각을 물과 섞어 돌 구덩이에서 두드린 후, 물기 있는 펄프를 천에 부어 초기 탈수, 균질화, 정화 과정을 거친다. 두 번째는 종이 최종 처리 단계로, 펄프 성형, 압착, 사이징, 건조, 광택 처리 등의 여러 단계로 구성된다. 각 단계는 특정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건조 과정에서는 말총을 이용해 종이를 벽에 붙였다.
794~795년 아바스 왕조 시대 바그다드에는 사람이나 동물이 동력을 사용하는 제지 공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11세기 이전에는 수력 제지 공장에 대한 증거가 불분명하다.[77][78][79][80][81] 13세기 후반 이탈리아에서 제지 중심지가 늘어나면서 종이 가격이 양피지의 1/6 수준으로 떨어졌고, 이후 더욱 하락했다. 제지 중심지는 한 세기 후 독일에도 진출했다.[88]
4. 1. 펄프 제조
삼베, 린넨, 면으로 만들어진 넝마는 제지 산업화 이전의 가장 흔한 섬유 원료였다.[91] 1843년 목재 펄프가 도입되기 전까지 제지 생산은 넝마 수집상으로부터 재활용된 재료에 의존했다.[91] 이슬람 세계에서는 바스트(삼베 및 아마), 면, 낡은 헝겊과 로프가 펄프 생산의 주요 재료였다. 때로는 면과 삼, 또는 아마와 삼을 혼합하여 펄프를 만들기도 했다.[30][31] 무화과나무 껍질과 같은 흔치 않은 재료들도 일부 필사본에서 보고되고 있다.[32] 1774년 독일 법학자 유스투스 클라프로트는 종이에서 인쇄 잉크를 제거하여 재생지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발명했는데, 오늘날 이 과정은 탈묵이라고 불린다.[91]4. 2. 초지
초지 과정은 종이를 만드는 중요한 단계 중 하나이다. 이슬람 지역에서는 공공 및 개인 도서관과 삽화가 있는 서적이 늘어나면서 종이의 수요가 급증했다.[27] 그러나 종이는 주요 재료와 노동력 등 많은 투입이 필요했기 때문에 첨단 기계 장치가 없던 시절에는 여전히 고급 상품이었다. 페르시아 서예가이자 삽화가인 이븐 알-바왑은 술탄에게 봉사한 대가로 귀중한 의복 대신 술탄 도서관의 종이를 받았다는 일화가 있다.[22] 또한, 바그다드의 재상 이븐 알-포라트는 손님이나 방문객에게 종이를 나눠줄 정도로 관대했다는 기록도 있다.[28]초기 펄프 생산에는 바스트(삼베 및 아마), 면, 낡은 헝겊과 로프 등이 주요 재료로 사용되었다. 때로는 면과 삼, 또는 아마와 삼을 혼합하여 펄프를 만들기도 했다.[30][31] 무화과나무 껍질과 같은 특이한 재료가 사용된 기록도 있다.[32]
제지 산업이 산업화되기 전에는 사용된 직물에서 재활용된 섬유, 즉 넝마가 가장 흔한 섬유 원료였다. 이 넝마는 삼베, 린넨, 면 등으로 만들어졌다.[91] 1843년 목재 펄프가 도입되기 전까지 제지 생산은 넝마 수집상에게 의존했다.[91] 당시에는 목재 펄프 종이의 불안정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1774년, 독일 법학자 유스투스 클라프로트는 종이에서 잉크를 제거하여 재생지를 재활용하는 방법인 탈묵을 발명했다.[91]
4. 3. 가공
초지 과정을 거친 종이는 표면 처리, 코팅, 인쇄 등 다양한 가공 과정을 거쳐 최종 제품으로 만들어진다. 가공 과정은 종이의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페르시아어로 된 삽화집의 그림은 전통적인 작업 흐름의 다양한 단계와 필요한 도구를 묘사하고 있다. 이 그림은 제지 공정의 두 가지 주요 단계를 구분했다.
- 펄프 제조 및 펄프 탈수: 수력 방앗간은 제지의 주요 재료인 리넨 폐기물(Karbas)과 헝겊 조각을 물과 혼합한다. 이 재료들은 돌 구덩이에서 잘 두들겨진다. 다음 단계에서는 물기가 있는 펄프를 두 명의 작업자 허리에 묶인 천에 부어 초기 탈수 및 균질화, 정화 과정을 거친다. 펄프가 상당한 정도로 탈수되면 다음 처리 단계를 거친다.
- 종이 최종 처리: 이 단계는 여러 연속적인 단계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철사 같은 선이 깔린 사각형으로 펄프를 성형(펄프가 들어 있는 통에 몰드를 담그는 것)하고, 압착, 사이징, 건조 및 광택 처리를 한다. 이 단계의 각 단계는 특정 장치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건조 과정에서는 말총을 사용하여 종이를 벽에 붙였다.
13세기 필사본은 제지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텍스트는 제지업자들이 고품질 종이를 생산하기 위해 여러 단계를 어떻게 거쳤는지 보여준다. 이 제지 설명서 또는 레시피는 Rasulids의 예멘 통치자인 ''al-Malik al-Muẓaffar''에게 귀속된 ''al-Mukhtara'fî funûn min al-ṣunan'' 필사본의 ''al-kâghad al-baladî''(현지 종이)라는 제목의 장이다. 이 레시피에서 제지의 주요 원료인 무화과나무 껍질은 여러 번의 침지, 두드리기, 건조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은 100장의 고품질 종이를 생산하는 데 12일이 걸렸다. 펄프 제조 단계에서 두드린 섬유는 다양한 크기의 ''Kubba''(큐브)로 변환되었으며, 이는 특정 수의 종이를 제조하는 데 표준 척도로 사용되었다. 크기는 세 가지 감귤류 과일: limun (레몬), utrunja (오렌지) 및 narenja (귤)를 기준으로 결정되었다. 이 상세한 과정의 요약 버전은 다음과 같다. 각 개별 단계는 여러 번 반복되었다.
5. 19세기 제지 기술의 발전
19세기에는 증기 동력 제지 기계가 등장하면서 목재 펄프에서 섬유를 추출하여 종이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이전에도 비슷한 기계들이 있었지만, 포드리니어 제지기가 현대 제지의 기초가 되었다. 1799년 프랑스 에손에서 니콜라 루이 로베르가 연속 제지기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 당시 그는 레제 디도를 위해 일하고 있었는데, 발명품의 소유권을 두고 다툼이 있었다. 디도는 처남인 존 갬블을 런던의 문구상인 헨리 포드리니어와 시일리에게 보내 프로젝트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 갬블은 1801년 10월 20일에 영국 특허 2487호를 받았다.[92] 숙련된 기술자인 브라이언 덩킨의 도움을 받아 로베르의 원형을 개선한 기계가 1803년 허트퍼드셔의 프로그모어 제지 공장에 설치되었고, 1804년에는 또 다른 기계가 설치되었다. 세 번째 기계는 투 워터스에 있는 포드리니어의 공장에 설치되었다. 포드리니어는 또한 세인트 니오츠에 공장을 구입하여 두 대의 기계를 설치할 계획을 세웠고, 공정과 기계는 계속 발전했다.[92]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에는 나무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1800년경 매티어스 쿠프스는 나무를 사용하여 종이를 만드는 아이디어를 더 연구했고, 1801년에는 ''Historical account of the substances which have been used to describe events, and to convey ideas, from the earliest date, to the invention of paper.''라는 제목의 책을 쓰고 출판했다.[92] 그의 책은 나무 부스러기를 접착하여 만든 종이에 인쇄되었다. 펄프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페이지는 없었다. 그는 자신의 인쇄기를 제작하고 인쇄 사업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재료와 인프라를 확보하기 위해 왕실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그의 사업은 오래가지 못했다. 그가 쓰고 인쇄한 첫 번째이자 유일한 책을 출판한 지 불과 몇 년 만에 그는 파산했다. 그 책은 매우 잘 만들어졌지만 비용이 매우 많이 들었다.[93][94][95]
1830년대와 1840년대에는 프리드리히 고틀로프 켈러와 찰스 페너티가 나무를 펄프화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들은 거의 같은 시기인 1844년 중반쯤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들은 나무에서 섬유를 추출하고 그 섬유로 종이를 만드는 기계를 발명했다. 찰스 페너티는 또한 펄프를 표백하여 종이가 하얗게 되도록 했다. 이것은 제지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19세기 말까지 서구 세계의 거의 모든 인쇄업자들이 종이를 만들기 위해 헝겊 대신 나무를 사용하게 되었다.[96]
실용적인 만년필의 발명과 대량 생산된 연필, 그리고 증기 동력 회전식 인쇄기의 출현과 함께 나무 기반 종이는 19세기 산업 국가의 경제와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저렴한 종이의 도입으로 1900년경까지 교과서, 소설, 논픽션, 신문을 점차 구할 수 있게 되었다.
6. 종이의 종류와 용도
인도 아대륙에서 종이 사용의 증거는 7세기 후반에 처음 나타난다.[44] 7~8세기 중국 불교 순례자들의 회고록과 일부 인도 불교도들이 'Kakali'와 'Śaya'로 언급했는데, 이는 중국어 'Zhǐ'(tsie)의 인도식 음역일 가능성이 높다.[44][45] 이징은 인도에서 승려와 평신도들이 부처의 이미지를 비단이나 종이에 인쇄하고 이 이미지를 숭배하는 관행에 대해 썼으며, 인도인들이 모자를 만들고 우산을 보강하며 위생을 위해 종이를 사용한다고 자신의 회고록에 기록했다.[44]
자작나무 껍질의 얇은 조각과 특별히 처리된 팜 잎은 인도 대부분 지역에서 중세 후기까지 문학 작품을 위한 선호되는 필기 재료로 남아 있었다.[51] 발견된 가장 오래된 산스크리트어 종이 사본은 카슈미르에 있는 ''샤타파타 브라흐마나''의 종이 사본으로 10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구자라트에 있는 가장 오래된 산스크리트어 종이 사본은 1180년에서 1224년 사이로 거슬러 올라간다.[48] 가장 오래된 종이 사본 중 일부는 구자라트와 라자스탄의 자이나교 사원에서 발견되었으며, 자이나교 서기들의 종이 사용은 12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51]
이르판 하비브에 따르면, 종이 제조가 11세기 전에 신드 (현재 파키스탄 남부)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신드에서 아랍 통치가 시작되면서부터이다.[48]
15세기에 중국 여행가 마환은 벵골의 종이 품질을 칭찬하며, "나무 껍질"로 만들어지고 "사슴 가죽처럼 광택이 나고 매끄러운" 흰 종이라고 묘사했다.[49] 나무 껍질을 종이의 원료로 사용한다는 것은 인도 동부 지역의 종이 제조가 서아시아 또는 중앙 아시아 정복으로 형성된 술탄국보다는 중국에서 직접 왔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48] 종이 기술은 7세기 중반경 티베트와 네팔을 통해 중국에서 인도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당시 불교 승려들은 자유롭게 여행하며 티베트와 인도 불교 중심지 간에 아이디어와 물품을 교환했다.[44]
7. 종이와 문화
종이는 인류의 지식과 문화를 기록하고 전달하는 중요한 매체였다. 고대 중국의 상 왕조(기원전 1600~1050년)와 주 왕조(기원전 1050~256년) 시대에는 문서가 주로 뼈나 대나무에 기록되었는데, 이는 무겁고 불편했다. 실크를 사용하기도 했지만, 비싸서 널리 쓰이지는 못했다.[8]
한나라의 환관 채륜은 105년에 뽕나무 껍질, 삼 조각, 헌 옷, 어망 등을 이용하여 종이를 만드는 방법을 발명했다.[6] 이십사사에 따르면, 채륜은 이 공로를 인정받아 그가 만든 종이가 '채후지'라고 불리며 널리 보급되었다.[8] 그러나 최근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채륜 이전에도 종이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
동진 시대에는 살충 염료 처리된 대나무 스크린 몰드를 사용하여 종이 품질이 향상되었다. 송나라 시대에는 인쇄술의 발달로 종이 수요가 급증했고, 1101년에는 수도로 150만 장의 종이가 보내졌다.[8] 닥나무 껍질은 종이의 주요 재료였으며, 당나라 이후에는 등나무 종이가 등장했지만, 재배가 어려워 쇠퇴했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정신당지(Chengxintang Paper)라는 고급 껍질 종이가 황실 용도로 사용되었다.[18]
페르시아어로 종이를 뜻하는 'kaghaz'는 중국어에서 유래했으며, 아랍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에 차용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발칸 반도 정복을 통해 페르시아어 'kaghaz'는 오스만 튀르크어를 거쳐 세르비아어 등 이 지역 언어에 유입되었다.[18]
참조
[1]
서적
Tian gong kai wu: Zhongguo gu dai ke ji wen wu zhan
香港歷史博物館 [Hong Kong Museum of History]
1998
[2]
웹사이트
Papyrus definition
http://dictionary.re[...]
2008-11-20
[3]
논문
1985
[4]
논문
1985
[5]
서적
Envisaging the City
https://books.google[...]
U Chicago Press
[6]
문서
Papermaking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7]
웹사이트
New Evidence suggests longer paper making history in China
http://news.xinhuane[...]
World Archeological Congress
2006-08
[8]
논문
1985
[9]
논문
1985
[10]
논문
1985
[11]
논문
1985
[12]
논문
1985
[13]
문서
The Invention of Printing
Francis Hart & Co.
1876
[14]
서적
A History of Graphic Design
John Wiley & Sons, Inc.
1998
[15]
간행물
A survey of the development of papermaking in Islamic Countries
1989
[16]
서적
Paper Before Print: The History and Impact of Paper in the Islamic World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Paper-making and the exchange of ideas
https://www.iup.edu/[...]
Indiana University of Pennsylvania
[18]
서적
The Persianate World: The Frontiers of a Eurasian Lingua Fran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
[19]
서적
The Muqqadimah
https://asadullahali[...]
Purity Publications
2019-06-07
[20]
문서
A Book about Books
John Murray
1943
[21]
서적
Hodud Al-'Alam, The reigns of The world: A Persian Geography
http://www.bulgari-i[...]
University Press
1937
[22]
서적
Mu'jam al-Udabā
Soroush Publications
1381
[23]
서적
Alfehrest
Asatir Publications
1381
[24]
간행물
Revolution by the Ream: A History of Paper
https://archive.aram[...]
1999
[25]
간행물
The Origins of Paper Based Packaging
http://faculty.quinn[...]
2010-03-20
[26]
문서
The famous Kutubiya mosque is named so because of its location in this street
[27]
간행물
The introduction of paper to the Islamic lands and the development of the illustrated manuscript
2000
[28]
간행물
al-Waraq wa'l-kāḡaḏ
1984
[29]
서적
Alfehrest
Asatir Publications
1381
[30]
간행물
Material Properties of Islamic Paper
2016
[31]
간행물
Materials and techniques of Islamic manuscripts
2018
[32]
간행물
On the Making of Local Paper: A Thirteenth Century Yemeni Recipe
http://www.medievali[...]
2002
[33]
서적
Farrokh Nameh
Amir Kabir
1386
[34]
서적
Mobilities of Knowled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
[35]
간행물
Review: ''Paper Before Print: The History and Impact of Paper in the Islamic World'' by Jonathan M. Bloom
MIT Press
[36]
서적
Wind, Water, Work: Ancient and Medieval Milling Technology
Brill Publishers
[37]
서적
Papermaking: the history and technique of an ancient craft
Courier Dover Publications
[38]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4, Part 2.
1986
[39]
서적
A History of Writing
Reaktion Books
[40]
간행물
"1001 Inventions, Muslim heritage in Our World"
FSTC Publishing
2006
[41]
간행물
'Review: Paper Before Print: The History and Impact of Paper in the Islamic World by Jonathan M. Bloom'
MIT Press
[42]
서적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43]
서적
The Weber MSS – Another collection of ancient manuscripts from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44]
문서
[45]
서적
Indian Epigraph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46]
서적
Jews, Christians and Muslims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Times: A Festschrift in Honor of Mark R. Cohen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47]
서적
Paper Before Print: The History and Impact of Paper in the Islamic World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48]
서적
Economic History of Medieval India, 1200-1500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49]
간행물
Paper Technology in medieval India
[50]
서적
The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of Chinese Calligraphy, Printing and Library Work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51]
서적
The Archaeology of Tibetan Book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52]
웹사이트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Paper Records and Books: A RAMP Study with Guidelines
http://unesdoc.unesc[...]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1984
[53]
간행물
'Papermaking in Britain 1488–1988: A Short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2015
[54]
간행물
'Humans on Earth: From Origins to Possible Futures.'
Springer
2012
[5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paper
http://users.stlcc.e[...]
2011-01-24
[56]
뉴스
'Tate, John (c.1448–1507/8)'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57]
웹사이트
Historie ručního papíru
http://www.manufactu[...]
2011-01-24
[58]
웹사이트
Dartford, cradle of Britain's papermaking industry
http://www.dartforda[...]
[59]
웹사이트
Papiermühlen in Niederösterreich
https://www.museumno[...]
[60]
간행물
Early Italian papermaking : a crucial technical revolution
1936
[61]
간행물
The Papermaking Craft
1991
[62]
간행물
Paper Manufacture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Before the Introduction of Paper-making Machines
http://www.paperhist[...]
2008-07
[63]
웹사이트
The Construction of the Codex In Classic- and post classic-Period Maya Civilization
http://www.mathcs.du[...]
[64]
간행물
"Organic Offerings, Paper, and Fibers from the Huitzilapa Shaft Tomb, Jalisco, Mexico"
2006
[65]
웹사이트
Paper and Papermaking
https://philadelphia[...]
Rutgers University
[66]
웹사이트
'Market share of the leading paper manufacturers in the United States in 2017'
https://www.statista[...]
2018-04
[67]
서적
Study of monopoly power : hearings before the Subcommittee on Study of Monopoly Power of the Committee on the Judiciary, House of Representatives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68]
간행물
Something Will Drop: Socialists, Unions and Trusts in Nineteenth-Century Holyoke
http://www.wsc.mass.[...]
2009
[69]
잡지
Stabilizing the Paper Industry, A Lesson for Those Who Will Learn
https://books.google[...]
1921-06-16
[70]
잡지
Eight Paper Towns
https://archive.org/[...]
1885-07
[71]
간행물
Emory Alexander Ellsworth
https://books.google[...]
1916-10
[72]
간행물
Memoir of Ashley Bemis Tower
https://books.google[...]
[73]
간행물
Manufacturing and Technical
https://books.google[...]
1890-05-31
[74]
서적
Kotex, Kleenex, Huggies: Kimberly-Clark and the Consumer Revolution in American Business
https://archive.org/[...]
Th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75]
서적
A History of Paper-manufacturing in the United States, 1690-1916
https://books.google[...]
Lockwood Trade Journal Company
[76]
보고서
An Assessment of the Economic Contribution of Pulp, Paper and Converting to the State of Wisconsin
https://wedc.org/wp-[...]
Wisconsin Economic Development Corpor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 Stevens Point
2019-08-05
[77]
문서
Tsien, Tsuen-Hsuin 1985, pp. 68–73
[78]
문서
Lucas 2005, p=28, fn. 70
[79]
인용
Burns 1996, pp=414f. It has also become universal to talk of paper "mills" (even of 400 such mills at [[Fes|Fez]]!), relating these to the hydraulic wonders of Islamic society in east and west. All our evidence points to non-hydraulic hand production, however, at springs away from rivers which it could pollute.
[80]
인용
Thompson 1978, p=169 European papermaking differed from its precursors in the mechanization of the process and in the application of water power. [[Jean Gimpel]], in ''The Medieval Machine'' (the English translation of ''La Revolution Industrielle du Moyen Age''), points out that the Chinese and Muslims used only human and animal force. Gimpel goes on to say : "This is convincing evidence of how technologically minded the Europeans of that era were. Paper had traveled nearly halfway around the world, but no culture or civilization on its route had tried to mechanize its manufacture."'
[81]
문서
Burns 1996, p=414
[82]
서적
Mobilities of Knowled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cations
2017
[83]
인용
A history of engineering in classical and medieval times
Routledge
[84]
간행물
Christian Impurity versus Economic Necessity: A Fifteenth-Century Fatwa on European Pap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85]
문서
Burns 1996, pp=414−417
[86]
문서
Burns 1996, pp=417f.
[87]
서적
Medieval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88]
문서
Burns 1996, p=417
[89]
문서
Stromer 1960
[90]
문서
Stromer 1993, p=1
[91]
인용
Recycled Fiber and Deinking
Fapet Oy
[92]
문서
Historical account of the substances which have been used to describe events, and to convey ideas, from the earliest date, to the invention of paper.
Printed by T. Burton
1800
[93]
문서
Paper in the Making
The Garden City Press Co-Operative
1947
[94]
문서
"Koops. Matthias."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year 2000, Vol. 32.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95]
서적
Charles Fenerty and his Paper Invention
Peter Burger
2007
[96]
서적
Charles Fenerty and his Paper Invention
Peter Burger
2007
[97]
서적
The Book: A Global Histo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