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빌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빌량은 포르투갈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로마 시대, 중세 시대를 거치며 발전해왔다. 1186년 포르투갈의 산초 1세로부터 포랄을 받았고, 중세 시대에는 주요 왕국의 마을 중 하나였다. 15~16세기에는 포르투갈 탐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섬유 산업으로 '포르투갈의 맨체스터'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는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가 위치하며, 섬유, 식품 생산, 관광, 광업 등의 산업이 발달했다. 지리적으로는 세라 다 에스트렐라 산맥 기슭에 위치하며, 온대 기후를 보인다. 코빌량은 21개의 시민 교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 시설과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르투갈의 도시 - 마달레나 (아소르스 제도)
    마달레나는 포르투갈 아소르스 제도 피쿠섬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로, 와인 산업 번성으로 성장했으며 경제 다각화를 거쳐 현재는 에코투어리즘이 발전했고 파이알섬과의 주요 항구 역할을 하는 6개의 교구로 나뉜다.
  • 포르투갈의 도시 - 아르가닐
    아르가닐은 포르투갈 코임브라 현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 단체로, 선사 시대부터 근현대까지 다양한 역사를 거쳐 14개의 교구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농업, 임업, 경공업, 소매 및 서비스업이 경제의 중심을 이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코빌량
개요
코빌량 시 깃발
깃발
코빌량 시 문장
문장
코빌량
코빌량
코빌량
코빌량
코빌량
코빌량
코빌량
코빌량
코빌량
코빌량
코빌량
코빌량
위치40
지역Centro (센트루)
복합 자치 구역Beiras e Serra da Estrela (베이라스 이 세라 다 이스트렐라)
Castelo Branco (카스텔루 브랑쿠)
지도자 정당PS (사회당)
지도자 이름비토르 마누엘 피녜이루 페레이라
면적555.60 km²
인구51,797명 (2011년)
교구 수21개
휴일10월 20일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지리
일반 정보
포르투갈어Covilhã
로마자 표기Covilhã (쿠빌량)

2. 역사

코빌량의 역사는 선사 시대 루시타니아인의 정착지이자 Cava Julianalat 또는 Silia Hermínialat로 알려진 고대 로마의 요새였던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중세 시대에는 1186년 포르투갈의 산초 1세로부터 포랄(Foral|포랄pt, 헌장)을 받아 자치권을 얻고 성벽이 건설되었으며, 왕국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다.

대항해 시대에는 코빌량 또는 그 주변 지역 출신 인물들이 포르투갈 탐험의 여러 중요한 순간, 예를 들어 인도로 가는 해상 항로 개척이나 지구 일주 등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도시의 중요성을 높였다. 이 시기 경제적으로도 농업, 목축업과 더불어 섬유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세라 다 에스트렐라 산맥에서 발원하는 두 하천의 수력을 바탕으로 코빌량의 산업은 더욱 발전했다. 1763년 퐁발 후작에 의해 왕립 섬유 공장이 설립되면서 섬유 산업은 더욱 번성하여, 코빌량은 한때 "포르투갈의 맨체스터"로 불리기도 했다. 이러한 발전을 바탕으로 1870년에는 포르투갈의 루이스 1세에 의해 도시(Cidade|시다드pt) 지위를 부여받았다.

20세기 들어 코빌량은 인구 증가와 감소를 모두 경험했다.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과 이민 등의 영향으로 인구가 줄어들기도 했으나, 1979년 국립 대학인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UBI)가 설립되면서 교육 및 연구 기능을 강화하며 현대적인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는 코바 다 베이라 계곡 지역을 중심으로 확장하며 새로운 기반 시설을 갖추어 나가고 있다.

2. 1. 선사 시대 ~ 중세 시대

코빌량의 역사는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선사 시대에는 루시타니아인 양치기들의 피난처였으며, ''Cava Julianala'' 또는 ''Silia Hermíniala''로 알려진 고대 로마 요새였다. 코빌량이 위치한 베이라 인테리어 지역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가 많으며,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산에는 공격과 방어 목적으로 성이 건설되었다.

중세 시대에 코빌량은 1186년 포르투갈의 산초 1세 왕으로부터 포랄을 받았고, 그는 또한 성벽을 건설했다. 이후 포르투갈의 드니 왕이 중세 지구인 포르타스 두 솔의 성벽 건설을 명령했다. 도시의 오래된 구역에는 좁은 자갈길이 있으며, 보행자는 끊임없이 오르막과 내리막길을 마주하게 된다.

이미 중세 시대에 주요 "왕국의 마을" 중 하나였으며, 이 사실은 15세기와 16세기에 도시 또는 주변 지역 출신의 뛰어난 인물들이 포르투갈 탐험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으로 확인된다. 대서양 진출, 인도로 가는 해상 항로 발견, 아메리카와 브라질 발견, 최초의 지구 일주 항해 등이 그것이다.

르네상스가 도래했을 때 인구 팽창이 한창이었고, 경제 부문에서는 농업, 목축, 과수 재배, 임업이 중요했으며, 무역과 산업도 호황을 누렸다. 질 비센트는 "많은 고급 천"을 언급했다. 엔히크 항해왕은 이러한 현실을 잘 알고 코빌량의 "영주"가 되었다. 포르투갈의 발견에는 많은 자금이 필요했고, 마을 사람들과 의회는 세금뿐만 아니라 자본과 재능으로 협력했다.

해외 확장은 1415년 세우타 정복으로 시작되었다. 콘세이상 교구에 묻힌 프레이 디오고 알베스 다 쿠냐와 같은 코빌량 출신 인물들이 이 행사에 참여했다. 대항해 시대 동안 코빌량 출신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페루 다 코빌량: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에 발을 디딘 최초의 포르투갈인 중 한 명으로, 향신료 생산지에 도달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주앙 2세에게 보내 인도 항로 개척을 도왔다. 그는 바스코 다 가마의 인도 원정에도 참여했으며, 인도의 첫 순교자로 알려져 있다.
  • 조앙 라말료, 페르나오 펜테아두 등도 이 과정에 참여했다.
  • 선교사 중에는 브라질로 가는 길에 살해된 프란시스코 알바레스, 일본 선교사 프란시스코 카브랄, 포르투갈령 고아에서 아비시니아로 떠난 가스파르 파이스 신부 등이 있으며, 이들 외에도 코바 다 베이라 계곡의 코빌량과 푼당의 이름을 세계에 알린 많은 이들이 있다.
  • 항해 과학 지식으로 유명해진 두 형제 루이 팔레이로와 프란시스코 팔레이로가 있다.
  • 르네상스 시대에 포르투갈 정체성을 공개적으로 옹호한 최초의 포르투갈인 중 한 명인 프리아르 헤이토르 핀토가 있다. 그의 문학 작품은 고전인 "기독교 생활의 이미지"(Imagens da Vida Cristãpt)에 표현되어 있다.
  • 바탈랴 수도원의 불완전한 예배당 입구 문을 디자인한 코빌량 출신의 건축가 마테우스 페르난데스도 코빌량의 또 다른 저명한 인물이다.


이 시기 코빌량의 중요성은 D. 세바스티앙 왕이 부여한 '주목할 만한'(Notávelpt) 칭호뿐만 아니라 이베리아 연합 시대에 카스티야 왕들이 이곳과 이 지역에서 수행한 작업으로 설명된다. 실제로 시청 광장은 20세기 말까지 스페인 필리핀 양식이었으며, 주변 거리에서도 이 양식의 여러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지방 자치 단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마누엘 양식의 예도 도시에서 찾을 수 있는데, 루아 다스 플로레스의 유대인 지구에 있는 마누엘 양식 창문이 그 경우이다.

2. 2. 대항해 시대 ~ 근대

중세 시대에 이미 주요 "왕국의 마을" 중 하나였던 코빌량은 15세기와 16세기 포르투갈 탐험 시대에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이 시기 코빌량 또는 주변 지역 출신 인물들은 대서양 진출, 인도로 가는 해상 항로 개척, 아메리카와 브라질 발견, 최초의 세계 일주 등 포르투갈의 위대한 탐험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르네상스 시기에는 인구가 크게 늘었으며, 농업, 목축, 과수 재배, 임업 등 경제 활동이 활발했고, 특히 상업과 섬유 산업이 번성하여 질 비센트는 "많은 고급 천"이 생산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러한 잠재력을 알아본 엔히크 항해왕은 코빌량의 "영주"가 되었고, 도시 주민들과 의회는 세금뿐 아니라 자본과 인재를 제공하며 포르투갈의 해양 탐험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포르투갈의 해외 확장은 1415년 세우타 정복으로 시작되었는데, 코빌량 출신인 프레이 디오고 알베스 다 쿠냐와 같은 인물들이 이 원정에 참여했다. 이후 페루 다 코빌량은 포르투갈령 모잠비크에 최초로 발을 디딘 포르투갈인 중 한 명으로, 향신료 생산지에 대한 정보를 주앙 2세에게 보내 인도로 가는 해상 항로 개척에 기여했다. 조앙 라말료, 페르나오 펜테아두 등도 이 시기 탐험 과정에 참여한 코빌량 출신 인물들이다.

선교 분야에서도 코빌량 출신 인물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브라질로 가던 중 순교한 프란시스코 알바레스, 바스코 다 가마의 인도 원정에 동행했으며 인도 최초의 순교자가 된 페루 다 코빌량, 일본에서 활동한 선교사 프란시스코 카브랄, 포르투갈령 고아에서 아비시니아로 떠난 가스파르 파이스 등이 코빌량과 인근 푼당 지역의 이름을 세계에 알렸다. 또한, 항해 과학 지식으로 명성을 얻은 루이 팔레이로와 프란시스코 팔레이로 형제, 르네상스 시대 포르투갈 정체성을 강조한 작가 프리아르 헤이토르 핀토(그의 저서 "기독교 생활의 이미지"는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바탈랴 수도원의 미완성 예배당 입구를 설계한 건축가 마테우스 페르난데스 역시 코빌량이 배출한 저명한 인물들이다.

이 시기 코빌량의 중요성은 세바스티앙 1세 왕이 부여한 "주목할 만한"(Notável) 칭호와 이베리아 연합 시기 카스티야 왕가가 이 지역에서 수행한 여러 사업들을 통해 확인된다. 시청 광장은 20세기 말까지 스페인 필리핀 양식을 유지했으며, 주변 거리와 지방 자치 단체 건물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마누엘 양식 건축의 예로는 루아 다스 플로레스의 유대인 지구에 있는 창문 등이 남아 있다.

세라 다 에스트렐라에서 발원하여 도시 중심부를 흐르는 카르핀테이라(Carpinteira)와 데골드라(Degoldra) 두 하천은 풍부한 수력 에너지를 제공하며 코빌량 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이 하천들을 따라 공장들이 들어섰으며, 현재는 수십 개의 폐건물로 이루어진 산업 고고학 유적지가 남아 있다. 1681년에는 에리세이라 백작 페르난도 데 메네세스 2세에 의해 공장 학교가 세워졌다. 그러나 1755년 11월 1일 발생한 1755년 리스본 지진으로 코빌량 역시 큰 피해를 입어 성벽과 대형 탑의 일부가 파괴되었다.

19세기에 지어진 코빌량의 산타 마리아 교회. 1940년대에는 정면이 타일(''아줄레주'')로 덮였다.


이후 1763년, 퐁발 후작은 코빌량에 왕립 섬유 공장(Real Fábrica de Panos)을 설립하여 도시의 산업 부흥을 이끌었다. 이러한 산업 발전을 바탕으로 코빌량은 1870년 10월 20일 루이스 1세 왕에 의해 도시(Cidade) 지위를 부여받았다. 두 하천을 따라 늘어선 옛 섬유 공장 유적들은 코빌량이 한때 "포르투갈의 맨체스터"로 불릴 만큼 섬유 산업이 경제의 핵심이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1898년 생산을 시작한 파나스퀘이라 광산은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약 10,000명이 일할 정도로 중요한 산업 시설이었다.

19세기 전반 코빌량의 인구는 약 22,000명이었으나, 1930년에는 거의 50,000명으로 증가했고, 1960년대에는 70,000명을 넘어섰다. 하지만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1961–1974)과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이어진 이민 현상, 포르투갈 중부 내륙 산악 지역이라는 지리적 위치, 기계화 확산, 그리고 주력 산업이었던 섬유 산업의 침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1990년대에는 인구가 거의 50,000명으로 감소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1979년 국립 대학인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UBI)가 설립되어 도시 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현재 코빌량은 주로 코바 다 베이라(Cova da Beira) 계곡의 평탄한 지역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이곳에는 코바 다 베이라 종합 병원과 고속도로 등 주요 기반 시설이 들어서 있다.

2. 3. 현대

퐁발 후작은 1763년 코빌량에 왕립 섬유 공장을 설립했다.[1] 1870년 10월 20일, 포르투갈의 루이스 1세 왕에 의해 코빌량은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1] 도시를 가로지르는 두 개의 시내(카르핀테이라, 데골드라)를 따라 예전의 섬유 공장 유적이 남아 있으며, 이는 한때 "포르투갈의 맨체스터"로 알려졌던 섬유 산업이 코빌량 경제에 미친 중요성을 보여준다.[1]

코빌량 시의 파나스퀘이라 광산은 1898년에 생산을 시작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약 10,000명이 이곳에서 일했다.[1]

19세기 전반 동안 코빌량 시의 인구는 약 22,000명이었고, 1930년에는 거의 50,000명에 달했다.[1] 1960년대에는 인구가 70,000명을 넘어섰으나,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1961–1974)과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포르투갈 사회 전반의 이민 현상, 산악 지역인 포르투갈 중부 내륙의 지리적 위치, 증가하는 기계화, 그리고 섬유 산업 부문의 정체 등으로 인해 1990년대에는 인구가 약 50,000명으로 감소했다.[1] 국립 대학인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UBI)가 1979년에 설립되었다.[1] 도시는 현재 주로 코바 다 베이라(Cova da Beira)라고 불리는 계곡의 평평한 지역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이곳에는 코바 다 베이라 종합 병원과 고속도로 같은 중요한 기반 시설이 들어서 있다.[1]

3. 지리

코빌량은 포르투갈 중부 센트루 지역에 위치하며, 시에라 다 에스트렐라 산맥의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도시는 높은 해발 고도에 위치하여 산악 경관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지닌다. 전반적으로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지만, 고도에 따라 기온 차이가 나타나며 겨울철 고지대에서는 눈을 볼 수 있다.[4][5]

3. 1. 위치 및 지형

토르, 포르투갈 본토에서 가장 높은 지점, 페냐스 다 사우데에서 바라본 모습


코빌량은 포르투갈 중부에 위치한 센트루 지역, 코바 다 베이라 하위 지역에 속한다. 포르투갈의 수도인 리스본에서는 북동쪽으로 300km 떨어져 있으며, 지역 행정 중심지인 코임브라에서는 동쪽으로 100km 거리에 있다. 포르투갈에서 가장 높은 산맥인 시에라 다 에스트렐라의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카스텔루 브랑쿠는 코빌량에서 남쪽으로 50km 떨어져 있으며, 코빌량 주변에서 가장 큰 지역인 푼당은 남쪽으로 20km 거리에 있다.

코빌량시는 해발 450m에서 800m 사이에 위치하여 산악 경관이 항상 존재한다. 코빌량 자치 단체는 555.6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31개의 민간 교구(freguesia)에 걸쳐 여러 지역이 분포되어 있다.

코빌량 자치구 내에 있지만 도시 지역 외부에 있는 페냐스 다 사우데는 가장 높은 지점 중 하나이다. 해발 1500m에 위치한 이 마을과 겨울 리조트는 시에라 다 에스트렐라 자연 공원 내에 있다.

3. 2. 기후

2007년 1월 페냐스 다 사우데의 눈보라.


코빌량은 겨울에는 온화하고 여름에는 비교적 따뜻한 지중해성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Csa'')를 보인다.[24] 포르투갈 유일의 스키 리조트인 세라 다 에스트렐라 스키 리조트는 코빌량에서 약 20km 떨어져 있으며, 인접한 세이아 시정촌에 위치해 있다.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낮아지는데, 시정촌의 저지대에서는 기온이 더 높고, 페냐스 다 사우데와 같이 해발 1500m가 넘는 고지대에서는 추운 달에 눈이 자주 내리며 때로는 많은 양이 내리기도 한다. 페냐스 다 사우데는 포르투갈 본토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토레 고원에서 9km 떨어져 있다. 코빌량 도심 지역에서는 눈이 쌓이는 경우가 드물다.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기온은 22.2°C이며,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은 6.2°C이다. 코빌량의 연평균 기온은 13.6°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약 1500mm이다.[4][5]

코빌량 (고도: 719m), 강수량 1985-2021년의 기후 데이터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 (°F)9.411.213.516.419.224.728.128.424.418.913.19.818.1
일평균 기온 °C (°F)6.27.49.511.814.319.121.922.219.114.79.76.713.6
평균 최저 기온 °C (°F)3.13.65.67.29.513.515.716.013.910.56.33.69.0
평균 강수량 mm (인치)209.7156.4116.3123.884.532.78.317.859.3198.6217.3238.51,463.2
출처 1: Climate-data.org[4] (2013년 9월)
출처 2: 포르투갈 환경청 (강수량)[5]



페냐스 다 사우데 (고도: 1606m)의 기후 데이터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 (°F)4.45.06.48.811.517.220.821.117.312.17.14.811.4
일평균 기온 °C (°F)1.62.03.25.27.812.916.116.513.38.94.32.17.8
평균 최저 기온 °C (°F)-1.1-1.00.11.74.18.711.411.99.45.81.5-0.64.3
평균 강수량 mm (인치)261237182131116832218671612341981,710
출처: Climate-data.org[6] (2013년 9월)


4. 행정 구역

행정적으로, 코빌량 자치시는 21개의 시민 교구(프레게시아)로 나뉜다.[7]


  • 알데이아 드 상 프란시스쿠 드 아시스
  • 바르코 이 코우타다
  • 보이도브라
  • 칸타르-갈루 이 빌라 두 카르발류
  • 카세가스 이 오룬두
  • 코르테스 두 메이우
  • 코빌량 이 카뇨수
  • 도밍기주
  • 에라다
  • 페후
  • 오르자이스
  • 파울
  • 페라보아
  • 페수 이 발레스 두 히우
  • 상 조르제 다 베이라
  • 소브랄 드 상 미겔
  • 테이쇼수 이 사르제두
  • 토르토젠두
  • 운하이스 다 세하
  • 발레 포르모수 이 알데이아 두 소투
  • 베르델호스

5. 경제

코빌량의 경제는 전통 산업과 현대 산업이 조화를 이루며 발전하고 있다. 1979년에 설립된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는 도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1] 국립 대학 병원인 코바 다 베이라 대학교 병원 역시 지역 사회에 필수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경제 활동에 기여한다.[1]

역사적으로 양모와 섬유 산업의 중심지였던 코빌량은 오늘날에도 관련 산업 기반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광업, 농업, 식품 생산, 관광, 첨단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1][2][3][4]

5. 1. 주요 산업

코빌량 시청


코빌량 지역의 주요 경제 활동은 섬유, 식품 생산, 농업, 관광광업 등이다.

코빌량 시 남서쪽으로 30km 이상 떨어진 곳에는 대규모 주석-텅스텐 광산인 파나스케이라 광산이 있다. 이 광산은 1898년에 생산을 시작했으며 여러 채굴권을 포함한다. 파나스케이라 광산으로 알려진 이 산업 광업 중심지는 파나스케이라 및 발레 다 에르미다 광산 지역을 포함하여 약 20.5km2의 넓은 지역에 걸쳐 있다. 총 길이 약 12000km에 달하는 터널이 있으며, 일부는 여전히 운영 중이고 일부는 폐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약 10,000명이 이 광산에서 일했으며, 2017년에는 약 370명이 근무했다. 2017년 기준으로 이 광산은 향후 30년 이상 생산을 지속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코빌량 시의 Frulact 제조 공장


코빌량은 전통적으로 양모 및 섬유 산업의 중심지였으며, 현재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의 중앙 건물은 18세기에 폼발 후작이 설립한 왕립 섬유 공장이었다. 코빌량은 깊은 산업적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여전히 유럽에서 가장 큰 양모 직물 생산지 중 하나이다. 섬유 산업은 연간 약 40000km의 직물을 생산한다. 주요 회사로는 파울루 드 올리베이라(Paulo de Oliveira), 펜테아도라(Penteadora), 테시맥스(Tesimax), A. 사라바(A. Saraiva) 등이 있으며, 이들은 Hugo Boss, Armani, Zegna, Marks & Spencer, Yves St. Laurent, Calvin Klein, Christian Dior와 같은 세계적인 섬유패션 브랜드에 제품을 공급한다.

관광 또한 중요한 산업으로, 코빌량은 겨울 및 산악 리조트로서 역할을 한다.

과일 생산은 코빌량 시를 중심으로 하는 하위 지역인 코바 다 베이라(Cova da Beira) 지역에서 중요하다. 포르투갈의 과일 가공 회사인 Frulact는 코빌량 시에 주요 산업 시설을 두고 있다.

Parkurbis는 코빌량에 새로운 사업을 유치한 과학 공원이다.


코빌량에는 Parkurbis라는 과학 공원이 조성되어 이 지역에 여러 새로운 사업을 유치했다. 또한 유럽에서 가장 큰 데이터 센터 중 하나가 코빌량에 위치해 있다. Altice 소유의 이 데이터 센터는 2013년 9월에 개장했으며, 초기 저장 용량은 30 페타바이트에 달하고 크기는 축구장 13개에 해당한다.

코빌량에는 대규모 쇼핑 센터인 '세라 쇼핑(Serra Shopping)'이 있으며, 다양한 상점 외에도 대형 마트, 4개의 영화관, 많은 레스토랑이 입점해 있다. 도시 하부에는 Continente ('세라 쇼핑' 내 입점), Intermarché, Pingo Doce, Lidl과 같은 대형 마트 및 슈퍼마켓이 있다. 공공 시장인 메르카두 무니시팔(Mercado Municipal)에서는 생산자로부터 직접 신선한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다.

6. 교육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의 모습


코빌량 시에는 3세에서 6세 사이 미취학 아동을 위한 여러 유치원과 3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또한 여러 중고등학교 및 기본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주요 중등 및 기본 학교 목록
학교명
프레이 헤이토르 핀토 중고등학교
토르토센두 2º e 3º 사이클 기본 학교
상 도밍고스 통합 기본 학교
파울 2º e 3º 사이클 기본 학교
페로 다 코빌량 2º 사이클 기본 학교
캄포스 멜로 중고등학교
킨타 다스 팔메이라스 중고등학교
테이쇼수 2º e 3º 사이클 기본 학교
노사 세뇨라 도스 레메디오스 외부 학교
코빌량 국제 학교



코빌량에는 1979년에 설립된 국립 대학교인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UBI)가 있다. 이 대학에서는 의학, 수학, 스포츠 과학, 항공 공학, 산업 디자인, 패션 디자인, 영화,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모든 대학 학위(학사 학위 "''licenciatura''", 석사 학위, 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7. 문화

코빌량 전경과 정면에 보이는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 본 도서관


코빌량 시청은 시내 영화관 중 한 곳의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1년 내내 다양한 활동을 제공한다. 시립 극장인 Teatro Municipal da Covilhã|테아트로 무니시팔 다 코빌량pt은 2001년부터 2021년까지 문을 닫았다가 2021년 11월에 재개장했다.[12] 또한, Teatrubi|테아트루비pt, ASTA|아스타pt, Teatro das Beiras|테아트로 다스 베이라스pt, Quarta Parede|콰르타 파레데pt 등 다양한 극단이 활동하며 연중 연극 및 멀티미디어 작품을 선보인다. 특히 11월에는 지역 극단인 테아트로 다스 베이라스가 주최하는 극단 축제가 열린다. 트라베사 다 타파에 위치한 극단 GICC (Companhia de Teatro das Beiraspt)는 전문적인 공연을 제공하며, 이 외에도 여러 아마추어 극단과 댄스 그룹이 활동하고 있다.

음악 분야에서는 유명한 대학교 합창단과 EPABI 오케스트라, Orquestra da Banda Filarmónica|오르케스트라 다 반다 필라르모니카pt 등 여러 합창단과 오케스트라가 있다.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에는 학문적 분위기와 전통을 반영하는 학생 음악 그룹인 'Tunas|투나스pt'가 있다. Desertuna|데세르투나pt, Moçoilas Tuna|모실라스 투나pt, J’ B’ubi & To Kokuskopuspt와 같은 투나스 그룹들은 연중 공연하며, 학문적 정신을 함께 나누고 싶은 모든 이들의 참여를 환영한다. 시청은 주로 시내 중심부('펠루리뇨')의 Teatro Cine|테아트로 시네pt에서 음악 행사를 개최하기도 한다.

코빌량에서는 컨퍼런스, 전시회, 무역 박람회, 콘서트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자주 열린다. 특히 여러 무역 박람회는 전국 섬유 제조업 협회(ANIL) 소유의 파빌리온(ANIL)에서 연중 개최된다.

다른 대학 도시들처럼 코빌량 역시 활기찬 밤문화를 가지고 있다. 도시 규모가 작아 이동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다양한 술집과 즐길 거리가 있다.

베이라 인테리어 대학교 학생 연합(Associação Académica da Universidade da Beira Interiorpt)이 주최하는 신입생 환영 주간은 보통 11월에 열린다. 이 행사에는 시내를 행진하는 '라타다' 퍼레이드와 여러 콘서트가 포함된다.

8. 요리

코빌량의 음식은 시에라 다 에스트렐라와 코바 다 베이라 지역의 영향을 받았다.[13][14][15]

양고기염소고기 요리, 송어 요리, 싸리를 넣은 쌀밥, 다양한 종류의 콜드 컷(초리소와 프레준토 포함), 순대, 시에라 다 에스트렐라 자연 공원에서 생산되는 꿀, 지역 레케이장, 국제적으로 유명한 시에라 다 에스트렐라 치즈, 복숭아, 사과, , 체리, 베리 등은 코빌량 전통 요리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역산 재료 및 제품이다.[16]

고기 베이스에 사프란 소스를 곁들인 코빌량의 전통 페이스트리인 파스텔 드 몰류(Pastel de Molhopt)는 이 도시의 미식 별미로 여겨진다.[17][18]

하얀 당근과 비슷하게 생긴 체로비아(Pastinaca sativa|파스티나카 사티바la, 파스닙) 역시 코빌량 및 주변 지역의 전형적인 음식이다.[19]

9. 스포츠

코빌량에는 실내 수영장이 있으며, 수영이 가능한 강과 호수도 있다. 승마카트 시설도 이용할 수 있다. 주변 산맥은 산악 자전거, 트레킹, 클라이밍, 스키, 스노보드를 즐기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며, 연중 이용 가능한 인공 눈 트랙도 갖추어져 있다. 또한, 시내에는 사우나, 피트니스, 무술, 요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러 체육관이 있다.

1923년에 설립된 스포르팅 클루브 다 코빌량은 이 도시의 가장 중요한 스포츠 클럽이다. 이 클럽의 축구 팀은 현재 포르투갈 2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포르투갈 축구 1부 리그에서도 활약한 경험이 있다. 이는 포르투갈 내륙 지역 클럽 중 1부 리그 경험이 있는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이다. 홈 경기는 1935년에 개장한 ''주제 두스 산투스 핀투 시립 경기장''에서 열리며, 이 경기장은 시청 소유로 해발 1200m 높이의 도시 상부에 위치한다. 시청은 또한 2003년에 도시 하부에 개장한 ''코빌량 스포츠 단지''도 소유하고 있는데, 이곳에는 경기장과 육상 트랙이 있다.

10. 교통

가장 가까운 공항은 리스본포르투에 있다. 이 두 도시에서 코빌량까지는 기차와 버스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코빌량의 기차역과 버스 터미널은 서로 도보로 10분 거리에 위치한다. 해외에서 코빌량까지 바로 오는 버스 노선도 이용 가능하다.

코빌량 중심부와 배경 산의 부분적인 모습


코빌량은 포르투갈의 주요 도시인 리스본포르투에서 300km 이내, 스페인의 수도 마드리드에서는 약 400km 떨어져 있다. 여러 국내 및 국제 버스 노선이 코빌량을 지나가므로 다양한 목적지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버스나 기차를 이용하면 리스본까지 3시간 30분에서 4시간 정도 소요된다. 버스 터미널은 도시의 낮은 지역에 있으며, 기차역은 약 10분 거리에 있다. 포르투갈 철도 회사 (CP)는 다양한 종류의 열차 서비스를 제공하며, 코빌량까지는 인터시티(Intercidades) 열차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도시 내에는 렌터카 회사도 있다.

과거 코빌량에서 북쪽 과르다까지 디젤 열차가 운행되었다. 이 노선은 베이라 바익사 철도를 벨몬테를 거쳐 과르다로 연결하는 경치 좋은 산악 노선이었으나, 현대화 및 전철화 공사를 위해 12년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당초 2011년 완공 예정이었던 이 공사는 2010–2014년 포르투갈 금융 위기로 인한 자금 문제로 지연되었고, 2021년 5월에야 과르다까지 46km 구간이 마침내 재개통되었다.[20]

도시 내에서는 코빌량 도시 교통 (Transportes Urbanos da Covilhã)이라는 버스 네트워크가 운행된다. 이 버스 노선은 도시 전체와 외곽 지역을 연결하여 이동을 돕지만, 배차 간격이 1시간 이상으로 긴 편이다. 여러 버스 노선이 대학교 건물을 경유한다. 택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주로 크림색(최근에는 대부분 검은색)이고 식별을 위해 지붕에 등이 달려 있기도 하다. 시내에서는 택시 미터기를 사용하지만, 도시 경계를 벗어나면 거리(km)당 요금이 부과된다.

11. 저명한 출신 인물

페루 다 코빌량

  • 페루 다 코빌량 (ca. 1460 – 1526년 이후): 포르투갈의 외교관이자 탐험가.[21]
  • 마테우스 페르난데스 (15세기 - 1515년): 마누엘 양식으로 활동한 포르투갈 건축가.
  • 루이 팔레이루 (15세기 후반 - 16세기):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세계 일주를 계획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포르투갈의 지리학자, 점성가 및 천문학자.
  • 조제 소크라테스 (1957년 출생): 코빌량에서 성장했으며, 2005년부터 2011년까지 포르투갈 총리를 지냈다. 2014년 부패, 탈세 및 돈세탁 혐의로 기소되어 재판이 진행 중이다.
  • 에우제니아 멜루 이 카스트루 (1958년 출생): 포르투갈의 싱어송라이터.[22]
  • 아돌푸 메스키타 누네스 (1977년 출생): 포르투갈의 법학자이자 정치인.
  • 미겔 곤칼베스 멘데스 (1978년 출생): 포르투갈의 영화 감독, 시나리오 작가이자 프로듀서.[23]

12. 자매 도시

코빌량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NE Census 2021: Covilhã (5 urban civil parishes); last updated: November 23, 2022 https://www.ine.pt/x[...] 2022-12-29
[2] 웹사이트 INE Census 2021: Covilhã (21 civil parishes); last updated: November 23, 2022 https://www.ine.pt/x[...] 2022-12-29
[3] 웹사이트 Áreas das freguesias, concelhos, distritos e país https://web.archive.[...] 2018-11-05
[4] 웹사이트 Covilhã climate: Temperature Covilhã & Weather By Month - Climate-Data.org https://en.climate-d[...]
[5] 웹사이트 Monthly Precipitation Covilhã https://snirh.apambi[...] APA 2021-08-14
[6] 웹사이트 Penhas da Saúde climate: Temperature Penhas da Saúde & Weather By Month - Climate-Data.org https://en.climate-d[...]
[7] 웹사이트 Law nr. 11-A/2013, pages 552 42-43 http://dre.pt/pdf1sd[...] 2014-07-21
[8] 웹사이트 Paulo de Oliveira https://www.paulo-ol[...]
[9] 웹사이트 Penteadora https://www.penteado[...]
[10] 웹사이트 Paulo de Oliveira http://www.tessimax.[...]
[11] 웹사이트 Home https://www.serrasho[...]
[12] 웹사이트 António Costa Inaugurou Renovado Teatro Municipal da Covilhã https://www.cm-covil[...]
[13] 웹사이트 Serra da Estrela DOP - Cheese.com https://www.cheese.c[...] 2023-04-26
[14] 웹사이트 Produtos Tradicionais Portugueses https://tradicional.[...] 2023-04-26
[15] 웹사이트 Queijo Serra da Estrela será candidato a património da UNESCO https://www.jornalde[...] 2023-04-26
[16] 웹사이트 Tudo o que queria saber sobre a Beira Interior, Gastronomia Serrana e Características. https://www.clubevin[...] 2014-10-18
[17] 웹사이트 Pastel de Molho da Covilhã já é marca registada https://observador.p[...] 2023-04-26
[18] 웹사이트 pasteldemolhodacovilha.pt – Covilhã https://pasteldemolh[...] 2023-04-26
[19] 웹사이트 Pastinaca ou cherovia: saiba como utilizar a raiz com forma de cenoura e cor de nabo https://lifestyle.sa[...] 2023-04-26
[20] 웹사이트 Portugal's Beira Baixa link reopens after 12 years https://www.railwayg[...] 2023-04-13
[21] 서적 Covilham, Pero
[22] 웹사이트 Eugenia Melo e Castro https://www.imdb.com[...] 2023-04-13
[23] 웹사이트 Miguel Gonçalves Mendes https://www.imdb.com[...] 2023-04-13
[24] 웹사이트 Climate data: Covilhã - Climate-data.org http://en.climate-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