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 (음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르는 쌀, 우유, 설탕 등을 넣어 만든 달콤한 쌀 푸딩의 일종으로, "젖"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크시라"에서 유래되었다. 남인도에서는 "파야삼"이라는 용어로 불리며, 고대 인도 문헌에도 등장할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키르는 힌두교 사찰 음식으로 프라사다로 제공되기도 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재료와 조리법으로 변형되어 만들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이데라바드 요리 - 비리아니
비리아니는 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쌀 요리로, 쌀과 고기, 해산물 또는 채소, 다양한 향신료를 넣어 만들며, 페르시아에서 유래하여 무굴 제국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파키 방식과 카치 방식으로 나뉘며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스리랑카의 후식 - 다히
다히는 남아시아에서 유래한 발효 유제품으로, 우유를 발효시켜 만들며 요구르트와 유사한 질감을 가지고 인도, 방글라데시, 네팔, 파키스탄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단맛을 첨가하거나 과일, 향신료를 넣은 다양한 종류와 물소젖으로 만든 다히가 존재하고 여러 요리에 활용된다. - 스리랑카의 후식 - 쿨피
쿨피는 16세기 무굴 제국 시대 델리에서 유래한 인도의 전통 아이스크림으로, 농축된 우유에 향료를 넣어 얼린 후 '덮인 컵'이라는 페르시아어 이름처럼 다양한 맛으로 인도 아대륙에서 판매된다.
키르 (음식)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파야삼 파야사 Ksheeram (크시람) 페레니 |
국가 | 남아시아 |
관련 국가 | 이란 인도 아대륙 네팔 방글라데시 부탄 아프가니스탄 인도 파키스탄 |
종류 | 푸딩 |
코스 | 간식 후식 |
주요 재료 | 쌀 우유 설탕 카르다몸 재거리 피스타치오 아몬드 |
변형 | 보리 키르 호박 키르 파야삼 페야슈 |
영양 정보 | |
칼로리 | 249kcal |
2. 어원
'''키르'''(ખીરgu, खिरne, l2=mai|l3=hi|खीरmr, l2=sd|کھیرur ਖੀਰpa), '''키리'''(ଖିରିor) 등의 이름은 "젖"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크시라(क्षीरsa)"에서 유래했고, '''파야사'''(ಪಾಯಸkn), '''파야삼'''(പായസംml, பாயசம்ta, పాయసంte), '''파예시'''(পায়েসbn) 등의 이름은 "젖"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파야사(पायसsa)"에서 파생했다.[2][3][4][5]
키르는 남인도에서 ''파야삼''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대 인도 문헌에 처음 언급된 이래 2천 년 넘게 쌀, 우유, 설탕을 혼합한 조리법이 유지되어 왔다. ''파야삼''은 특히 힌두교 사찰 음식의 주식으로, 사원에서 신자들에게 프라사다로 제공된다.[7]
남인도에서 키르에 사용되는 단어 ''파야삼''은 산스크리트어 ''파야사''(पायस)에서 유래했으며, "우유" 또는 우유로 만든 요리를 뜻한다. 이 단어는 말라얄람어 (പായസം, pāyasaṁ), 텔루구어 (పాయసం, pāyasaṁ), 타밀 (பாயசம், pāyacam) 등 다양한 지역 언어로 발전했다.
힌디어와 마라티어에서는 खीर ''khīr''; 펀자브어에서는 کھیر/ਖੀਰ; 오리야어에서는 ଖିରି ''khiri''; 신디어에서는 کھیر; 우르두어에서는 کھیر; 디베히어에서는 ކިރު "kiru"; 네팔어에서는 खिरne라고 한다. 구자라트어에서는 ''dūdpāk'' (દૂધપાક)이라고 불린다. 실레트의 일부 지역에서는 firni, 이란에서는 Ferni (فرنی)라고도 한다. 또한 "파야삼 ''payasam''" (타밀어: பாயாசம், 텔루구어: పాయసం, 말라얄람어: പായസം), "파야사 ''payasa''" (칸나다어: ಪಾಯಸ), "페야슈 ''peyash''" (벵골어: পায়েসbn), ''faesh'' (실레트어: ꠙꠣꠄꠡsyl), ''payox'' (아삼어: পায়স), ''Passys'' (콘칸어: पायस)라고도 불린다.[11]
인도 무슬림에게 특히 이드 (축제)의 중요한 달콤한 요리이며, 무슬림 식문화는 이후 다른 인도인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북인도에서 사용되는) "키르"라는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Ksheera'' (유(乳)의 의미)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이 단어는 우르두어로 차용되었다.[12][13] 파야삼이나 (벵골 지방에서 사용되는) 파야슈와 같은 기타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payasa'' 또는 ''payasam''에서 유래하며, 이 단어들도 "유(乳)"를 뜻한다.
3. 기원 및 역사
키르는 인도의 이슬람 제국 셰프의 주방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인도 무슬림에게 특히 이드 축제에 중요한 음식이다. 무슬림 식문화는 이후 다른 인도인에게도 영향을 미쳤고, 키르나 그 변종은 힌두교 축제, 사원, 특별한 날에 널리 만들어진다.
"키르"라는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Ksheera'' (유(乳)의 의미)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이 단어는 우르두어로 차용되었다.[12][13] 파야삼이나 (벵골 지방에서 사용되는) 파야슈와 같은 다른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payasa'' 또는 ''payasam''에서 유래하며, 이 단어들 역시 "유(乳)"를 의미한다. 키르는 유(乳), 쌀, 기, 설탕/자구리, 코아로 만들어지지만, 원래의 키르보다 묽지 않다. 맛을 더욱 풍부하게 하기 위해 소량의 크림을 첨가하기도 한다. 종종 아몬드, 캐슈넛, 건포도, 피스타치오를 곁들인다. 북인도 바라나시에서는 축제나 호마 때 먹는 유(乳), 쌀, 카다몬, 건과일, 사프란만 사용한 키르가 인기 있다.
키르는 대부분 쌀을 사용하여 만들지만, 버미셀리나 타피오카와 같은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카슈미르에서는 필니는 세몰리나, 유(乳), 사프란, 설탕, 건과일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14]
쌀은 로마인에 의해 알려졌고, 늦어도 8세기 또는 10세기에는 식용 작물로 유럽에 도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5] 따라서, 잉글랜드의 라이스 푸딩 레시피는 키르에서 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12] 유사한 쌀 레시피는 잉글랜드 역사에서 가장 초기의 레시피 문헌의 일부로 거슬러 올라간다.[16]
자구리와 쌀로 만들어지는 파야삼은 사원 축제 또는 의식에서 제공되는 의 일부이기도 하다. 파야삼의 변종은 렌즈콩으로도 만들어진다.[17] 쌀 아다로 만들어지는 파야삼의 또 다른 변종은 프라타만이라고 불리며, 케랄라의 에서 가장 훌륭한 요리로 여겨진다. 망고 키르와 밀 키르는 키르의 변종이다.[18]
3. 1. 체스판의 전설
수천 년 전, 남인도에서 처음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이야기는 케랄라에서 "체스판의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전해지는데, 크리슈나의 모습으로 나타난 한 옛 현자가 암발라푸자 왕(체스 애호가)에게 체스 대결을 제안했다. 현자를 격려하기 위해 왕은 현자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주겠다고 약속했다. 현자는 겸손하게 쌀알 몇 개만 요구했지만, 한 가지 조건을 걸었다. 왕은 첫 번째 체스 칸에 쌀 한 톨을 놓고, 그다음 칸마다 두 배로 늘려야 한다는 것이었다.
크리슈나(현자)는 게임에서 승리했고, 왕은 쌀알을 놓기 시작했다. 쌀알을 쌓아 올리면서 왕은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결국 그 수는 수조에 달했다. 크리슈나는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고 왕에게 그곳에 있는 그의 사원에 오는 모든 순례자들에게 키르를 제공하라고 요청했다. 암발라푸자 크리슈나 사원은 여전히 이 전통을 따르고 있으며, 케랄라 알라푸자 지역에 위치해 있다.[6]
4. 지역별 특징
키르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조리법으로 만들어진다.
언어 | 표기 |
---|---|
힌디어, 마라티어 | खीर khīr |
펀자브어 | کھیر/ਖੀਰ |
오리야어 | ଖିରି khiri |
신디어 | کھیر |
우르두어 | کھیر |
디베히어 | ކިރު "kiru" |
네팔어 | खिरne |
타밀어 | பாயாசம் payasam |
텔루구어 | పాయసం payasam |
말라얄람어 | പായസം payasam |
칸나다어 | ಪಾಯಸ payasa |
벵골어 | পায়েসbn peyash |
실레트어 | ꠙꠣꠄꠡsyl faesh |
아삼어 | পায়স payox |
콘칸어 | पायस Passys |
구자라트어 | dūdpāk (દૂધપાક) |
실레트 일부 지역 | firni |
이란 | Ferni (فرنی) |
[11]
"키르"라는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Ksheera'' (유(乳)의 의미)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12][13] 파야삼이나 (벵골 지방에서 사용되는) 파야슈와 같은 기타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payasa'' 또는 ''payasam''에서 유래하며, 이 단어들도 "유(乳)"를 의미한다.
쌀은 로마인에 의해 알려졌고, 늦어도 8세기 또는 10세기에는 식용 작물로 유럽에 도입되었을 것이다.[15] 따라서, 인기 있는 잉글랜드의 라이스 푸딩 레시피는 키르에서 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12] 유사한 쌀 레시피 (원래는 "포타주"라고 불렸다)는 잉글랜드 역사에서 가장 초기의 레시피 문헌의 일부로 거슬러 올라간다.[16]
4. 1. 인도
수천 년 전, 남인도에서 키르가 처음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케랄라에서는 "체스판의 전설"이라는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크리슈나의 모습으로 나타난 한 현자가 암발라푸자 왕에게 체스 대결을 제안했다. 왕은 현자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주겠다고 약속했고, 현자는 첫 번째 체스 칸에 쌀 한 톨을 놓고, 그다음 칸마다 두 배로 늘려달라고 요청했다. 현자가 게임에서 승리하자 쌀알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수조에 달했다. 크리슈나는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고 왕에게 그의 사원에 오는 모든 순례자들에게 키르를 제공하라고 요청했다. 암발라푸자 크리슈나 사원은 여전히 이 전통을 따르고 있으며, 케랄라 알라푸자 지역에 위치해 있다.[6]음식 역사가인 K. T. Achaya에 따르면, 남인도에서 ''파야삼''으로 알려진 키르는 고대 인도에서 인기 있는 요리였다. 고대 인도 문헌에 처음 언급된 이 음식은 쌀, 우유, 설탕을 혼합한 것으로, 2천 년 넘게 그 조리법이 유지되었다. ''파야삼''은 특히 힌두교 사찰 음식의 주식이었으며, 사원에서 신자들에게 프라사다로 제공된다.[7]
키르는 인도의 이슬람 제국 셰프의 주방에서 유래했다. 인도 무슬림에게 특히 이드 축제의 중요한 달콤한 요리이다. 무슬림 식문화는 이후 다른 인도인에게도 영향을 미쳤고, 키르나 그 변종과 같은 일부 요리는 힌두교 축제, 사원, 모든 특별한 날에 널리 만들어진다.
북인도에서는 축제나 호마 때 먹는 우유, 쌀, 카다몬, 건과일, 사프란만 사용한 키르가 인기 있다. 이것은 많은 힌두교 축제와 연회에서 필수적인 요리이다. 이 요리는 대부분 쌀을 사용하여 만들지만, 버미셀리 (극세면, 남인도에서는 ''semiya'', 기타 ''seviyan'', ''seviyaan'', ''sayviah'' 등) 또는 타피오카 (현지에서는 sabudana)와 같은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카슈미르에서는 필니는 세몰리나 (''suji''), 우유, 사프란, 설탕, 건과일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14]
자구리와 쌀로 만들어지는 파야삼은 사원 축제 또는 의식에서 제공되는 프라사다의 일부이기도 하다. 파야삼의 변종은 렌즈콩으로도 만들어진다.[17] 파야삼의 또 다른 변종은 쌀 아다로 만들어지며, 프라타만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케랄라의 사디야에서 가장 훌륭한 요리로 여겨진다. 망고 키르와 밀 키르는 키르의 변종이다.[18]
4. 2. 기타 지역

힌디어와 마라티어에서는 खीर ''khīr'', 펀자브어에서는 کھیر/ਖੀਰ, 오리야어에서는 ଖିରି ''khiri'', 신디어에서는 کھیر, 우르두어에서는 کھیر, 디베히어에서는 ކިރު "kiru", 네팔어에서는 खिरne라고 한다. 또한 "파야삼 ''payasam''" (타밀어: பாயாசம், 텔루구어: పాయసం, 말라얄람어: പായസം), "파야사 ''payasa''" (칸나다어: ಪಾಯಸ), "페야슈 ''peyash''" (벵골어: পায়েসbn), ''faesh'' (실레트어: ꠙꠣꠄꠡsyl), ''payox'' (아삼어: পায়স), ''Passys'' (콘칸어: पायस)라고도 불린다[11].구자라트어에서는 ''dūdpāk'' (દૂધપાક)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실레트의 일부 지역에서는 firni, 이란에서는 Ferni (فرنی)라고도 한다.
5. 변형
키르는 인도의 이슬람 제국 셰프의 주방에서 유래했다. 인도 무슬림에게 특히 이드 축제 때 중요한 달콤한 요리이다. 무슬림 식문화는 이후 다른 인도인에게도 영향을 미쳤고, 키르나 그 변종과 같은 일부 요리는 힌두교 축제, 사원, 특별한 날에 널리 만들어진다.[12][13] 파야삼이나 (벵골 지방에서 사용되는) 파야슈와 같은 기타 용어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payasa'' 또는 ''payasam''에서 유래하며, 이 단어들도 "유(乳)"를 의미한다.
파야삼은 유(乳), 쌀, 기, 설탕/자구리, 코아로 만들어지지만, 원래의 키르보다 묽지 않다. 맛을 더욱 풍부하게 하기 위해 소량의 크림을 첨가하기도 한다. 종종 아몬드, 캐슈넛, 건포도, 피스타치오를 곁들인다. 북인도 바라나시에서는 축제나 호마 때 먹는 유(乳), 쌀, 카다몬, 건과일, 사프란만 사용한 키르가 인기 있다. 이 요리는 대부분 쌀을 사용하여 만들지만, 버미셀리 (극세면, 남인도에서는 ''semiya'', 기타 ''seviyan'', ''seviyaan'', ''sayviah'' 등) 또는 타피오카 (현지에서는 sabudana)와 같은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카슈미르에서는 필니는 세몰리나 (''suji''), 유(乳), 사프란, 설탕, 건과일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진다.[14]
쌀은 로마인에 의해 알려졌고, 늦어도 8세기 또는 10세기에는 식용 작물로 유럽에 도입되었을 것이다.[15] 따라서, 인기 있는 잉글랜드의 라이스 푸딩 레시피는 키르에서 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12]
자구리와 쌀로 만들어지는 파야삼은 사원 축제 또는 의식에서 제공되는 의 일부이기도 하다. 파야삼의 변종은 렌즈콩으로도 만들어진다.[17] 파야삼의 또 다른 변종은 쌀 아다로 만들어지며, 프라타만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케랄라의 에서 가장 훌륭한 요리로 여겨진다. 망고 키르와 밀 키르는 키르의 변종이다.[18]
6.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Best rated puddings in the world
https://www.tasteatl[...]
[2]
서적
A Sanskṛit-English Dictionary Etymologically and Philologically Arranged: With Special Reference to Greek, Latin, Gothic, German, Anglo-Saxon, and Other Cognate Indo-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872
[3]
웹사이트
Kheer: An Essential Dish {{!}} Civilization of India
https://people.smu.e[...]
2024-09-10
[4]
웹사이트
DS group enters dairy market, with 'ksheer' - Hindustan Times
http://www.hindustan[...]
2024-09-10
[5]
웹사이트
payasam
https://www.oed.com/[...]
[6]
웹사이트
History of Indian Food
http://www.haldiramu[...]
2024-04-25
[7]
뉴스
A truly international dessert
https://www.hindusta[...]
2009-10-03
[8]
웹사이트
Bengali Payesh – Rice Kheer Recipe
http://kfoods.com/be[...]
2014-06-28
[9]
웹사이트
Rice Kheer
http://www.desidiete[...]
2014-06-28
[10]
웹사이트
Rice Kheer
https://www.nestlede[...]
2018-08-17
[11]
웹사이트
payasam - Definition of payasam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
2018-08-17
[12]
Blog
Dessert! Kheer!
http://www.easternar[...]
2008-05-30
[13]
서적
The book of Hindu festivals and ceremonies
UBS Publishers Distributors ltd.
[14]
웹사이트
Kong Phirin —– A kashmiri dessert popularly known as Phirni
https://daawatesuchi[...]
2019-09-07
[15]
웹사이트
WHKMLA : The History of Rice Cultivation in Europe
http://www.zum.de/wh[...]
2018-08-17
[16]
서적
Curye on Inglysch
Early English Text Society
[17]
서적
Indian Cuisine
https://books.google[...]
Thangam Philp
[18]
웹사이트
Your Guide to All Things Kheer
https://livingfoodz.[...]
2019-07-19
[19]
뉴스
맨백ㆍ다타키ㆍ카본 뉴트럴ㆍ여미 마미…옥스퍼드 사전에 '신고식'
http://news.hankyung[...]
2018-07-09
[20]
뉴스
어묵, 호떡을 잇는 세계인들의 ‘겨울철 별미’
http://www.realfoods[...]
2018-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