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특화점은 러시아어로 "점"을 의미하는 용어로, 장기적인 화점(долговременная огневая точка)에서 유래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즈음에 등장하여,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어져 기관총이나 소형 화포를 배치하여 소규모 부대의 공격을 방어하는 데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마지노 선, 대침공 방어선 등에서 활용되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도 참호전의 일환으로 사용되었다. 특화점은 다양한 형태로 위장되거나 다른 구조물과 연계되어 방어선을 구축하며, 콘크리트, 모래주머니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공격 방법으로는 전차, 공수 작전, 공성포, 함포 사격, 폭격, 보병용 중화기 등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특화점 | |
---|---|
정의 | |
설명 | 병사들이 원거리 무기를 발사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린 작은 요새 |
특징 | |
용도 | 주로 기관총을 사용하기 위한 콘크리트 요새 |
기원 | |
발명 | 독일인이 발명 |
2. 역사
제1차 세계대전 무렵 특화점(토치카)이 등장하였다. 최초의 특화점은 작고 가벼워서 포탄에 쉽게 파괴되었다. 그러나 이후 더 견고한 방어 시설로 발전하였다. 1차 세계대전 동안 영국의 토목기술자 어니스트 윌리엄 모어는 콘크리트 기관총 특화점을 제작하여 서부전선에 보급했다.
토치카는 방어자가 방어를 준비한 지역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위장되기도 한다. 다른 토치카와 연계하여 방어선을 구축하거나 교량, 부두 등 전략적 구조물을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5] 육각형, 원형,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이 용어의 기원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참호의 총안과 우체통의 편지 투입구를 비교하면서 우체통을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4]
이 용어는 1917년 8월 2일자 ''더 타임스''와 1917년 9월 17일자 ''스코츠맨''에서 인쇄물로 발견되었다. 다른 미발표 사례는 같은 시기의 전쟁 일기 및 유사한 문서에서 발견되었으며, 1916년 3월 초에는 "Pillar Box"라는 용어로도 사용되었다.[4]
마지노 선은 세계 대전 사이에 프랑스에서 건설되었으며 거대한 벙커와 터널 단지로 구성되었지만, 대부분 지하에 있어 지상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다. 예외는 지상에 배치되어 마지노 선 주둔군이 공격하는 적과 교전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블록하우스, 포탑, 참호 요새 및 돔이었다.
1936년 아비시니아 위기와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영국은 이탈리아 침공에 대비하여 몰타 섬에 약 200개의 참호 요새를 건설했다.[8] 1940년 영국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대(對) 침공 대비의 일환으로 약 28,000개의 참호 요새 및 기타 강화 야전 요새가 건설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국경 요새를 위한 참호 요새는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독일의 공격에 대비하여 체코슬로바키아에 건설되었다. 일본도 이오지마 전투와 다른 점령된 섬 및 영토의 요새에서 참호 요새를 활용했다.
750,000개의 참호 요새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알바니아의 호자주의 정부에 의해 건설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동안, 참호 요새는 참호전에서 이점을 얻기 위해 사용되었다.[18] 토치카(точкаru)는 러시아어로 "점"을 의미하며, "돌고브레멘나야 오그네바야 토치카"(долговременная огневая точкаru, 직역: 장기적인 화점)에서 마지막 부분을 따온 것이다.
3. 사용
토치카는 기관총이나 소형 고성능 화포의 등장으로 소규모 단위로 적의 공격을 저지할 수 있게 되면서 성채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일반 가옥을 개조하거나, 모래 주머니와 흙을 이용해 간이 토치카를 만들기도 한다. 콘크리트로 만든 본격적인 토치카는 유탄포 직격에도 견딜 수 있어 제거하기 매우 어렵다. 자재가 부족한 경우 돌, 산호초, 모래, 폐자재 등 모든 것이 활용된다. 전차의 포탑만 노출시켜 즉석 토치카로 만들기도 한다.[6][7]
토치카는 구조상 대부분 지면 아래에 있고, 참호나 지하도로 다른 토치카, 보루, 요새와 연결되기도 한다. 정면에 총안이 있고, 사각을 줄이기 위해 여러 토치카를 배치하여 십자포화를 가하도록 설계하기도 한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어니스트 윌리엄 모어는 조립식 콘크리트 기관총 토치카를 설계하여 서부전선에 보급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마지노 선을 따라 지상에 건설되었고, 영국에서는 침공 방지를 위해 약 28,000개가 건설되어 약 6,500개가 남아있다. 일본도 이오지마 전투에서 토치카를 사용했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의 네무로시-도마코마이시 사이 태평양 연안, 이오지마 등에 토치카 유적이 남아있다. 북방 영토에는 소비에트 연방이 설치한 IS-3중전차가 토치카로 방치되어 있다. 아오모리현의 야마다노 연병장, 아키타현의 고와쿠비 육군 연병장 등에는 연병장 내 감적호로 만들어진 토치카 유적이 있다.
3. 1. 현대의 활용
현대에도 토치카는 국경 방어나 분쟁 지역 등에서 여전히 활용되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참호전의 일환으로 토치카가 사용되었다.[18] 알바니아에서는 냉전 시대에 호자주의 정부에 의해 약 750,000개의 토치카가 건설되었는데, 현재는 카페, 숙박 시설, 박물관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14][15][16][17]
시리아 등 중동 국가에서는 구식 전차를 고정 진지화하여 토치카로 활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독소전 초기 모스크바 방어를 위해 차체를 엄폐호에 넣고 포탑만 내놓은 BT 전차가 있었다. 독일군은 판터 전차의 포탑을 사용한 설치식 대전차 토치카인 "동방의 벽 포탑"을 만들었는데, 이는 영국군에게 성가신 존재로 평가받았다. 베를린 공방전 직전에는 수리 중이던 4호 전차와 판터 전차의 차체를 묻어 토치카로 사용했다. 종전 후 오스트리아군은 M47 패튼 전차를 땅에 묻어 국경 방어용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북방 영토나 시나이 반도에서는 구식화되거나 노획된 소련제 전차를 개조하여 토치카로 사용한 사례도 있다.
4. 구조 및 특징
토치카는 일반적으로 원형이나 사각형 등 단순한 외형으로, 전체 길이가 수 미터에서 십수 미터 정도이며, 총안을 제외하고 벽으로 보호되는 방어 시설이다. 모래 주머니로 벽을 쌓고 통나무 등을 얹은 뒤 흙을 덮어 만드는 간이 토치카도 있다. 콘크리트로 만든 본격적인 토치카는 유탄포 직격에도 견딜 수 있어 제거하기 매우 어렵다. 자재가 부족하면 현지에서 돌, 산호초의 단단한 모래, 폐자재 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일반 가옥을 개조하거나, 전차를 묻고 포탑만 노출시켜 즉석 토치카로 만들기도 한다. 처음부터 잉여 전차나 해군 함정의 포탑을 이용하여 건설된 토치카도 있다.[5][6][7]
지하에 매몰해야 할 거주 시설의 후방이 참호에 노출되어 있다
토치카는 구조 대부분이 지면 아래에 위치하며, 다른 토치카와 연결될 때는 굴착된 도랑 모양의 참호나 지하도를 이용한다. 지하도로 후방의 보루나 요새와 연결되기도 한다.
토치카는 정면 총안 외에는 구멍이 거의 없어 사각이 많이 생긴다. 따라서 여러 토치카를 배치하여 서로 사각을 보완하고 적에게 십자포화를 가할 수 있도록 한다. 대서양 방벽의 독일 국방군 기관총 토치카처럼, 해안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위치에 총안을 설치하지 않고, 좌우 대각선 전방으로 사선을 형성하여 상륙하는 적을 십자포화로 제압하도록 설계된 것도 있다.
일본 홋카이도의 네무로시-도마코마이시 사이 태평양 연안에는 여러 토치카군이 유적으로 남아있다. 이오지마에는 파괴된 일식 육상 공격기를 활용한 엄폐호 잔해가 현재도 남아있다. 북방 영토에는 소비에트 연방이 설치한 IS-3중전차가 토치카로 방치되어 있다. 아오모리현 야마다노 연병장, 아키타현 고와쿠비 육군 연병장 등에는 연병장 내 감적호로 만들어진 토치카 유적이 남아있다.
전차나 그 포탑을 토치카 또는 화기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1941년 독소전 초기, 모스크바 방어를 위해 차체를 엄폐호에 넣고 포탑만 노출시킨 BT 전차 사진이 남아있다. 독일군은 판터 전차 포탑을 사용한 설치식 대전차 토치카 「동방의 벽 포탑」을 만들었는데, 영국군은 이를 "일반적인 대전차포보다 방어력이 높고 성가신 존재"로 평가했다. 1945년 베를린 공방전 직전, 4호 전차 12대와 판터 10대의 기관부와 하체를 철거하고 시내 도로에 차체를 묻어 토치카로 사용했다. 종전 후, 오스트리아군은 국경 방어용으로 M47 패튼 전차를 땅에 묻었고, 북방 영토나 시나이 반도에는 구식화되거나 노획한 소련제 전차의 엔진과 하체를 제거하고 여분의 탄약을 보관하거나 후방 출입구를 추가한 토치카들이 만들어졌으며, 현재도 일부가 스크랩화되어 남아있다.
5. 토치카에 대한 공격 방법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보병이 접근하여 총안에 폭약을 던져 넣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전차, 공수 작전, 공성포, 함포 사격, 폭격 등 다양한 공격 방법이 고안되었다.
현대에는 정밀 유도 폭탄(벙커 버스터) , 대전차 미사일, 대물 저격총, 중기관총 등이 사용된다.[1]
5. 1. 각 공격 방법의 예시
- 전차: 2차 세계대전 당시 전차가 공병을 지원하여 토치카를 공격했다.
- 공수 작전: 전투 공병 등이 공수 강하하여 토치카의 전투 능력을 무력화하였다.
- 공성포 사용: 열차포와 같은 공성포는 긴 사거리와 큰 파괴력으로 종심 진지나 토치카군에 사용된다.
- 함포 사격: 태평양 전쟁에서 미국군은 일본군의 방어 진지 공격에 함포 사격을 활용하였다.
- 폭격: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급강하 폭격을 사용하였고, 현대에는 유도 폭탄 등 정밀 폭격을 통해 특화점을 파괴한다.
- 보병용 중화기: 화염 방사기, 바주카를 사용하거나, 대전차 미사일, 대물 저격총, 중기관총 등이 사용되었다.[1]
5. 1. 1. 전차
1942년 엘 알라메인 전투 당시 토브루크 요새 공략에서 전차가 공병을 직접 지원하여 토치카를 공격했다.[1]5. 1. 2. 공수 작전
1940년 에반 에마엘 요새 공략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 참조)에서, 전투 공병 등이 공수 강하하여 토치카의 전투 능력을 무력화하였다.[1]5. 1. 3. 공성포 사용
일반적인 포병이 운용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열차포와 같은 공성포는 긴 사거리와 큰 파괴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병이나 전차가 접근할 수 없는 종심 진지나 토치카군에 사용된다. 다만, 준비에 시간이 걸리고 병참에 대한 부담도 크기 때문에, 중요한 요새 공략 등 공격 대상은 제한된다. 한편, 고초속 철갑유탄을 사용한 고사포의 수평 사격이나, 대형 대전차포의 직접 사격으로 파괴하는 경우도 있었다.[1]5. 1. 4. 함포 사격
태평양 전쟁에서 미국군은 일본군의 토치카를 비롯한 방어 진지 공격에 함포 사격을 활용하였다.[1]5. 1. 5. 폭격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급강하 폭격을 사용하였고, 현대에는 유도 폭탄 등 정밀 폭격을 통해 특화점을 파괴한다. 특화점이 아닌 독일의 U보트 벙커나 이라크의 지하 군사 시설과 같이 견고한 엄폐호형 시설에 대해서는 관통력이 뛰어난 벙커 버스터를 이용한 공격도 이루어졌다.[1]5. 1. 6. 보병용 중화기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보병이 폭약이나 수류탄을 맨손으로 던지는 것뿐만 아니라, 화염 방사기나 바주카를 사용하여 공격하였다. 종전 후에는 더욱 사거리가 긴 대전차 미사일이나 대물 저격총, 중기관총도 실전 투입되었다.[1]그러나 이러한 공격 방법도 결정적이지 않아, 토치카 제압에는 역시 보병에 의한 (인적 희생을 동반하는) 접근과 돌입이 불가피하다.[1]
참조
[1]
서적
Soldiers' Songs and Slang of the Great Wa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4-08-20
[2]
웹사이트
Photos show Second War War pillbox on beach which has collapsed
https://www.edp24.co[...]
2021-02-18
[3]
간행물
Why the name Pillbox?
http://www.pillbox-s[...]
Pillbox Study Group
[4]
문서
[5]
웹사이트
Papers on:- Machine-gun pill-box designed by Mr. E. W. Moir, Munitions Council member
http://discovery.nat[...]
National Archives of the UK
2016-12-04
[6]
문서
[7]
웹사이트
Moir pillbox
http://sussexhistory[...]
2016-12-04
[8]
뉴스
Guided tour of WWII defences
http://www.timesofma[...]
2005-12-02
[9]
뉴스
Wartime pillbox at Salina being pulled down
http://www.independe[...]
2014-04-10
[10]
뉴스
WWII pillbox is not worth preserving, cultural watchdog says
http://www.timesofma[...]
2016-08-30
[11]
웹사이트
Albania's 750,000 Concrete Cold War Bunkers
https://slate.com/hu[...]
2013-09-27
[12]
웹사이트
Bunkers of Albania
http://www.atlasobsc[...]
[13]
서적
Concresco
https://www.worldcat[...]
2012
[14]
서적
Tony Wheeler's Bad Lands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15]
웹사이트
Once a state secret, these Albanian bunkers are now museums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21-03-24
[16]
웹사이트
The Cold War Bunkers of Albania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9-06-13
[17]
웹사이트
Former nuclear bunker becomes museum of Albanian persecution
https://chicago.sunt[...]
Chicago Sun-Times
2016-11-20
[18]
뉴스
Defenses Carved Into the Earth
https://www.nytimes.[...]
2022-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