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처예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처예거는 독일어로 "전차 사냥꾼" 또는 "전차 저격병"을 의미하며, 구축전차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서 운용되었다. 1차 세계 대전 당시 전차의 등장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야포나 대전차 소총을 사용하다가,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대전차포를 장착한 다양한 자주포 형태로 발전했다. 판처예거는 얇은 장갑과 높은 실루엣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기동성을 활용하여 대전차 임무를 수행했다. 전후에는 대전차 미사일의 발달로 인해 미사일 탑재 차량으로 변화하였고, 현대에는 전차에 필적하는 주포를 장착한 장륜 장갑차가 등장하여 과거의 판처예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처예거 - 판처예거 I
판처예거 I은 1호 전차 차체에 4.7cm PaK(t) 대전차포를 탑재하여 화력을 강화한 독일군의 대전차 자주포로, 프랑스 전투, 북아프리카 전역, 바르바로사 작전 등 주요 전선에 투입되었으나 얇은 장갑과 제한적인 관측 시야로 손실이 많았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구축전차 - 헤처
헤처는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에서 3호 돌격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어 연합군 중형 전차에 대응할 화력과 방어력을 갖춘 경구축전차로, 낮은 차체와 높은 생산성으로 종전 후에도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구축전차 - 마르더 2
마르더 2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2호 전차 차체를 활용하여 제작한 구축전차로, 강력한 화력을 갖췄지만 방어력이 취약하여 주로 방어전이나 감시 임무에 투입되었다.
판처예거 | |
---|---|
개요 | |
![]() | |
종류 | 구축전차 |
다른 명칭 | 판처예거 (Panzerjäger) 야크트판처 (Jagdpanzer) |
상세 정보 | |
개발 국가 | 나치 독일 |
사용 국가 | 나치 독일 |
주요 임무 | 기갑 부대 공격 |
개발 년도 | 1939년 ~ 1945년 |
생산 년도 | 1939년 ~ 1945년 |
생산량 | 약 17,500대 |
파생형 | 마르더 I 마르더 II 마르더 III 나스호른 헤처 야크트판터 야크트티거 |
관련 항목 | 대전차포 구축전차 돌격포 대전차 자주포 |
역사 | |
개발 배경 |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독일군은 노획한 대전차포를 이용하여 임시방편으로 대전차 자주포를 만들었다. 이후, 독일군은 자체적으로 대전차 자주포를 개발하여 대전차 부대에 배치했다. |
주요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독소 전쟁 서부 전선 동부 전선 |
특징 | |
장점 | 강력한 화력 매복에 용이 낮은 생산 비용 |
단점 | 제한적인 포탑 회전 약한 측면 장갑 높은 차체 |
운용 | |
운용 교리 | 매복 전술 방어선 강화 기갑 부대 지원 |
주요 운용 국가 | 나치 독일 |
기타 | |
참고 | 판처예거(Panzerjäger)는 독일어로 "전차 사냥꾼"을 의미한다. 독일군은 판처예거를 대전차 부대의 핵심 전력으로 운용했다. |
2. 명칭
독일어로 "panzer"(발음:pántsǝr)는 갑옷, 갑주, 그리고 이에 입각해 "전차", "장갑차", "장갑함"을 가리키며,[1] "jäger"(발음: jέ:ɡǝr)는 쫓는 사람, "사냥꾼", "저격병", "전투기"를 가리킨다.[2] 두 단어를 합친 Panzerjäger는 "전차 사냥꾼" 또는 "전차 저격병"의 의미를 가지며, 이 의미는 영어로 구축전차를 의미하는 "tank destroyer"와 유사한 뜻을 가지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거점을 공격하고 상대편 전선을 돌파하기 위한 방법으로 육상 전투용 전함과 장갑차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 차량들은 대포와 기관총을 전방에 배치하여 적의 참호선을 무너뜨리는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캉브레 전투[3]에서 처음으로 기갑차량이 대규모로 배치된 이후, 사람들은 전차를 멈출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전차소총이 개발 및 배치되었고, 야포가 최전방에 배치되었다. 독일 제국은 7.7cm 야전포 96n을 사용하여 이동식 대전차 방어를 구축하려 했고, 벨기에는 57mm 장갑형 대포를 4톤 트럭에 장착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들은 적에게 쉽게 노출되어 파괴될 위험이 컸다.[4]
3.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의 재무장은 금지되었지만, 독일은 소련 등 국제연맹 비회원국과 비밀리에 협력하거나[5] 국내 민간단체를 활용하여 군비를 확장했다. 1933년 나치 집권 이후 독일의 재무장은 더욱 가속화되었고, 기계화 및 기갑차량 개발도 빨라졌다.
3. 1. 기원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거점 공격과 상대편 전선을 돌파하기 위한 방법으로 육상 전투를 위한 전함과 장갑차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차량들은 대포와 기관총을 전방에 배치하여 적의 참호선을 무너뜨리는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캉브레 전투[3]에서 처음으로 전차가 대규모로 배치되자, 이 전차를 저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야포를 최전방에 배치하고 대형 탄약을 사용하는 대전차소총이 개발 및 배치되었다. 독일 제국은 7.7cm 야전포 96n을 사용하여 이동식 대전차 방어를 구축하려 했고, 벨기에는 57mm 장갑형 대포를 4톤 트럭에 장착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들은 적에게 쉽게 노출되어 파괴될 위험이 컸다.[4]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독일의 재무장은 금지되었지만, 독일은 소련 등 국제연맹 비회원국과 비밀리에 협력하거나[5] 국내 민간단체를 활용하여 군비를 확장했다. 1933년 나치가 독일에서 집권한 이후 독일의 재무장은 가속화되었고, 기계화 및 기갑차량 개발도 더욱 빨라졌다.
전차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은 전차 자신이다. 그러나 전차는 가격이 비싸 대량 배치가 어렵고, 무게 때문에 공수 부대 등에는 배치할 수 없다. 대전차 차량은 이러한 전차의 단점을 보완하는 무기이다. 대전차 차량은 장갑이 없거나 제한적이며, 전차 연대가 아닌 보병 연대나 전문 대전차부대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3.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 등장한 대전차 차량은 기존 전차의 차체에 대전차포를 고정 장착한 차량이 많다.
미국
차량명 | 설명 |
---|---|
M3 75mm 대전차 자주포 | M3 하프트랙에 75mm 포를 장착한 대전차자주포. 본격적인 대전차 자주포가 배치되기 전까지 사용되었다. |
M6 파고 | WC-55형 4륜 트럭에 37mm 포를 장착한 간이 대전차 자주포. 전투력은 약했다. |
M10 울버린 | M4 중전차의 차대에 개방형 포탑과 76mm 포를 장착한 대전차 자주포. |
M18 헬켓 | 폐쇄형 포탑에 76mm 포를 장착한 대전차 자주포. 최고 속도 80km/h로, 대전 중 가장 빠른 장갑 전투 차량이었다. |
M36 잭슨 | M4 중전차의 차대에 개방형 포탑과 90mm 포를 장착한 대전차 자주포. |
독일
차량명 | 설명 |
---|---|
1호 대전차 자주포 | 1호 전차의 차대에 47mm 포를 장착한 대전차 자주포. |
나스호른 | 3호 전차/4호 전차의 차대에 PaK43 8.8cm 포를 장착한 대전차 자주포. 장갑은 얇았지만 강력한 주포와 고정밀 조준기로 원거리 선제 공격 능력이 높았다. |
마더 I/마더 II/마더 III | 구식화된 장갑차·경전차 등의 차대에 7.5cm 포 또는 소련군으로부터 노획한 76.2mm 포를 장착한 대전차 자주포 시리즈. |
3호 돌격포 (후기형)/4호 돌격포 | 돌격포는 원래 보병을 근접 지원하는 장갑 자주포였으나, 동부 전선 등 대전 중기부터 대전차 전투에 사용되는 일이 많아졌다. 3호 돌격포 F형 이후에는 장포신 7.5cm 포를 탑재하여 대전차 차량으로 운용되었다. 1943년 말에는 4호 전차의 차대에 3호 돌격포 G형의 상부 구조를 장착한 4호 돌격포가 개발되었다. |
4호 구축전차 | 4호 전차의 차대에 Pak39 7.5cm 포를 장착한 구축전차. 이후, 더욱 강력한 70구경의 Pak42 7.5cm 포를 장착한 타입은 "4호 전차/70"으로 불리며, 구축전차뿐만 아니라 화력 지원 전차로도 운용되었다. |
헤처 | 38(t) 경전차의 발전형 하체를 유용하여 신설계 차대에 Pak39를 장착한 구축전차. 전투력에 비해 저렴하고 생산성이 높았다. |
엘레판트 | 포르셰 티거 중전차의 차대에 PaK43을 장착한 구축전차. |
야크트판터 | 판터 중전차의 차대에 PaK43을 장착한 구축전차. |
야크트티거 | 티거 II 중전차의 차대에 PaK44 12.8cm 포를 장착하고, 250mm의 전면 장갑을 갖춘, 역사상 최대의 구축전차. |
소비에트 연방
차량명 | 설명 |
---|---|
SU-152 | KV-IS 전차의 섀시에 고정 전투실을 설치하고, ML-20 152mm 곡사포를 장착했다. 쿠르스크 전투에서 독일군의 신형 전차 판터를 격파하는 등, "야수 사냥꾼"을 의미하는 "즈비라보이"라고 불렸다. |
SU-85/SU-100 | T-34 전차를 기반으로 85mm 대전차포 D-5S를 탑재한 SU-85가 개발되었다. SU-85의 무장을 강화하기 위해 100mm 대전차포 D-10S를 탑재하고, 장갑 등도 변경된 것이 SU-100이다. |
ISU-122/ISU-152 | IS-2 전차의 섀시를 이용한 것이 ISU-152이며, 152mm 곡사포의 생산 부족으로 대신 122mm 야포를 탑재한 것이 ISU-122. 후에 IS-2와 같은 122mm 전차포를 탑재한 ISU-122S도 만들어졌다. |
영국
차량명 | 설명 |
---|---|
디콘 | AEC 마타도르 트럭의 차대에 6파운더 포를 장착한 대전차 자주포. |
아처 | 발렌타인 보병전차의 차대에 17파운드 포를 장착한 대전차 자주포. 포를 뒤쪽으로 장착했기 때문에, 포격 시에는 조종수의 퇴피가 필요했지만, 적 격파 후 신속하게 전선 이탈하는 데 최적의 구조였다. |
대일본 제국
차량명 | 설명 |
---|---|
4식 15cm 자주포 호로 | 97식 중전차의 차체에, 구식이 된 150mm 곡사포를 탑재한 대전차 자주포. M4 중전차에 대한 조속한 대항 수단으로 개발되었다. |
3식 포전차 호니 III | 97식 중전차의 차대에 75mm 야포를 장착한 대전차 자주포. |
1식 7.5cm 자주포 호니 I | 97식 중전차의 차체 위에, 3식 포전차와 같은 75mm 야포를 탑재한 자주포. 원래 대전차 자주포는 아니었지만, 연합국군 전차에 대처하기 위해 대전차 무기로 전용되었다. |
1식 10cm 자주포 호니 II | 97식 중전차의 차체를 이용한 자주포. 105mm 곡사포를 탑재했다. 당초에는 대전차 전투에 사용할 계획은 없었지만, 연합국군 전차에 대항하기 위해 대전차 자주포로 사용하게 되었다. |
3. 3. 냉전 시대 이후
냉전 시대에는 대전차 미사일이 발달하면서 대전차차량이 미사일을 탑재하는 형태로 변화했다. 기술 발전으로 대전차 미사일이 소형화되면서, 전용 대전차차량 대신 보병 전투차나 보병 부대에 대전차 미사일을 배치하는 경우가 늘어났다.[1]최근에는 장륜 장갑차에 전차에 필적하는 주포를 장착한 장륜 전차(기동전투차)가 등장하여 대전차 임무를 수행하기도 한다.[1]
다음은 냉전 시대 이후 운용된 주요 대전차차량이다.
국가 | 차량 | 설명 |
---|---|---|
미국 | M50 Ontos | 106mm 무반동포 6문을 장비한 대전차 자주포. 베트남 전쟁에서 대 보병 전투 등에서 활약. |
미국 | M56 스콜피온 | 공수 가능한 대전차 자주포. 경량화를 위해 90mm 포를 차체 위에 노출. |
미국 | M825 | M151트럭에 106mm 무반동포 또는 BGM-71 TOW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한 전차 구축차. |
미국 | M901 ITV | M113 장갑차 수송차 차대에 TOW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한 대전차 미사일 차량. |
미국 | LOSAT 전차 구축차 | M2 브래들리 보병 전투차나 험비 차대에 LOSAT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 1990년대 개발, 계획 중단. |
미국 | LAV-AT | LAV-25장갑차에 TOW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한 대전차 미사일 차량. |
미국 | M1128 스트라이커 MGS |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105mm 포를 장비한 기동포. |
미국 | M1134 스트라이커 ATGM |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TOW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한 대전차 미사일 차량. |
독일 | KJPZ4-5 | 90mm 포를 장비한 대전차 자주포. 낮은 자세의 고정식 전투실에 주포를 장비. |
독일 | RJPZ-2 | SS.11 대전차 미사일 14발을 장비한 대전차 미사일 차량. |
독일 | 야구아 1/야구아 2 | RJPZ-2의 발전형. HOT 대전차 미사일 20발(야구아 1), TOW 대전차 미사일 14발(야구아 2) 장비. |
중국 | 89식 자주 대전차포 | 83식 자주 유탄포 등과 유사한 차대에 120mm 50구경 활강포를 탑재한 자주 대전차포. |
중국 | 02식 100mm 장륜 자주 대전차포 | 92식 장륜 장갑차 차대에 100mm 활강포를 탑재한 장륜 대전차 자주포. GP-2 포 발사식 대전차 미사일도 발사 가능. |
소련 | 2P27 | 장륜 장갑차 BRDM-1에 3M6 슈멜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한 대전차 미사일 차량. |
소련 | 2P32 | BRDM-1에 9M17 팔랑가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 |
소련 | 9P122 | BRDM-1 또는 BRDM-2에 9M14 말리우트카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 |
소련 | 9P124 | BRDM-2에 9M11 팔랑가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 |
소련 | 9P137 | BRDM-2에 9M17 팔랑가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 |
소련 | 9P148 | BRDM-2에 9M111 파고트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 |
소련 | IT-1 | T-62 차대에 3M7 드라콘 대전차 미사일 15발을 장비한 미사일 전차. |
소련 | 오브예크트 287 | 오브예크트 430 중전차 차대에 9M15 타이푼 대전차 미사일 15발 장비. 시제품만 제작. |
소련 | 오브예크트 775 | 루빈 대전차 미사일과 바르 지대지 미사일을 발사 가능한 건 런처 장비. 시제품만 제작. |
소련 | 9П149ru | MT-LB 차체에 9K114 슈투름-S 대전차 미사일 장비. |
영국 | FV4101 찰리어티어 | 크롬웰 순항 전차 차대에 20파운드포를 장비한 대전차 자주포. |
영국 | FV102 스트라이커 | 스콜피온경전차 차대에 스윙파이어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한 대전차 미사일 차량. |
영국 | FV438 스윙파이어 | 트로이전장갑차 수송차 차대에 스윙파이어 대전차 미사일 14발을 장비한 대전차 미사일 차량. |
프랑스 | AMX-10RC | 105mm 포를 장비한 장륜 장갑차. |
프랑스 | AMX-13 T75 | AMX-13 경전차에 SS.11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한 대전차 차량. |
프랑스 | VBCI 대전차 미사일 차량형 | VBCI 장갑차에 ERYX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 |
일본 | 60식 자주 106mm 무반동포 | 106mm 무반동포 2문을 장비한 대전차 자주포. |
일본 | 96식 다목적 유도탄 시스템 | 96식 다목적 유도탄을 운용 가능한 대전차·대주정 미사일 차량. |
일본 | 중거리 다목적 유도탄 | 87식 대전차 유도탄 시스템의 후계. 보통과 중대에서 운용. |
일본 | 16식 기동전투차 | 105mm 포를 장비한 장륜 전투차. 신속기동연대와 정찰 전투 대대에서 운용. |
이스라엘 | 페레프 | 마가프 5(M48A5) 차체에 신설계 포탑을 탑재, 포탑 내 12기 스파이크-NLOS 미사일 런처 탑재. |
이탈리아 | 센타우로 | 대전차 전투 등을 상정하여 105mm 포를 장비한 중화력 장륜 장갑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루이캣 | 62구경 76mm 라이플 포를 탑재한 장륜 전투차. 정지 시 속도는 120km/h. 수출용으로 105mm 포 탑재 루이캣 105 존재. |
4. 특징
대전차차량은 전차의 단점을 보완하는 병기이다. 전차는 강력하지만, 가격이 비싸 대량으로 배치하기 어렵고, 무게가 무거워 공수 부대 등에는 배치할 수 없다.
대전차차량은 크게 대전차포를 주 무장으로 하는 것과 대전차 미사일을 주 무장으로 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무렵까지는 전자가 주류였지만, 냉전 이후에는 후자가 주류가 되었다. 포를 장착하는 경우 포격 시 반동을 억제하기 위해 대부분 궤도식 차량이었으나, 미사일을 장착하는 현대의 대전차차량은 륜식(바퀴식) 차량도 많다. 미사일은 포보다 반동과 무게가 적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대전차차량은 장갑이 얇아 적 전차의 포격에 취약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이다.
- 중장갑을 적용하면 무게와 제조 비용이 증가하여 조달이 어려워진다.
- 원래 중장갑을 적용할 수 없는 경차량을 개조하여 만들어진다.
- 강력한 포를 장비하여 무게를 상쇄하기 위해 장갑을 줄여야 한다.
이 때문에 대전차차량은 방어력이 약하여 적 전차와 정면으로 교전하기보다는 방어 전투나 매복 공격에 주로 투입된다.
대전차차량은 전차 연대가 아닌, 보병 연대나 전문 대전차부대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초기 판처예거는 노획한 경전차의 섀시에 포 방패와 함께 기존의 대전차포를 장착하여 만들어졌다. 얇은 장갑과 높은 실루엣에도 불구하고, 자주 대전차포라는 본래의 역할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기동성이 뛰어나 기존 대전차포보다 훨씬 빠르게 재배치하거나 후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5. 운용
대전차차량은 전차 연대가 아닌 보병 연대나 전문 대전차 부대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은 판처예거를 독립 부대로 운용하거나, 기갑사단 및 판저그레나디어(Panzergrenadier) 사단 내에 편성하여 전차 공격 예상 경로 방어, 측면 배치, 보병 지원 등에 활용했다.
1943년부터 제44형 보병 사단에는 다음과 같은 사단 ''판처예거-아프테일룽''('대전차 중대')이 편성되었다.
편제 | 장비 |
---|---|
참모 중대(Stabskompanie) | |
제1 판처예거-중대(Panzerjäger-Kompanie) | 9-12문의 견인식 대전차포 |
제2 돌격포-포대(Sturmgeschütz-Batterie) | 10대의 포방어형 StuG III, StuG IV 돌격포 또는 헤처 |
제3 경(輕) 대공포 중대(leichte FlaK-Kompanie) | 12문의 견인식 20mm FlaK 자동 기관포 |
독립된 대대와 연대는 군단에서 전차 공격이 예상되는 통로를 방어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사단은 종종 판처예거를 측면에 배치하거나, 전차를 사용하는 적에 대한 보병의 진격을 지원하는 데 사용했다. 치열한 부대 간 경쟁에도 불구하고, 전차와 함께 사용될 때 판처예거는 팀을 이루어 전차 승무원은 적 전차가 발포하도록 유도하여 위치를 노출시키고, 판처예거는 사각지대에서 적과 교전했다. 판처예거는 특히 시가전에서 기관총과 포병 진지를 파괴하여 보병에게 직접적인 고폭탄 지원 사격을 제공하도록 자주 요청받았다.
전차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은 전차 그 자체이다. 그러나 전차는 고가이므로 대량 배치할 수 없고, 대중량으로 인해 공수 부대 등에는 배치할 수 없다. 대전차 차량은 이러한 전차의 결점을 보완하는 병기이다.
6. 주요 차량
1940년부터, 판처예거 부대는 궤도 차체에 포 방패와 함께 기존의 대전차포를 장착하여 생산된 차량을 장비했다. 초기에는 노획된 경전차 차체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보병 사단에서 독일의 이동식 대전차 무기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했다. 얇은 장갑과 높은 실루엣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자주 대전차포라는 본래의 역할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판처예거는 전쟁 전부터 돌격포로 지정된 장갑 자주포로 시작되었으며, 1944년까지 이어져 완전히 밀폐된 야크트판처 "헌팅 탱크"가 완성되었다. 판처예거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독일 육군(국방군)의 별도 부대로 계속 복무했으며, 생산 부족으로 인해 종종 전차를 대체했다.
판처예거 차량의 설계는 사용된 차대에 따라 달랐으며,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초기형 경전차 차대에 오픈형 상부 구조물
- 중기형 중전차 또는 중전차 차대에 완전히 밀폐된 승무원실 (일반적으로 원래 차체 장갑에 통합되지 않고 추가된 개체)
- 후기형 하프트랙 차대에 장갑이 없거나 방패가 있는 마운트
실전에 투입된 판처예거 설계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차량명 | 설명 |
---|---|---|
판처예거 계열 | 판처예거 I | 1호 전차 차대에 체코제 4,7cm KPÚV vz. 38cs (47 mm PaK)를 탑재. |
4,7 cm Pak (t) auf Panzerjäger Renault R35(f) | 르노 R35에 47 mm Pak을 탑재 | |
마르더 1 | 노획한 프랑스 차대인 로렌 37L에 75 mm PaK 40를 탑재. | |
마르더 2 | 2호 전차 경전차 차대에 75 mm PaK 40 또는 7.62 cm Pak 36(r)ru (재활용된 소련 76.2 mm 포)를 탑재. | |
마르더 3 | 체코에서 제작한 38(t) 전차 차대에 75 mm PaK 40 또는 7.62 cm Pak 36(r)ru를 탑재. | |
10.5 cm K gepanzerte Selbstfahrlafette "디커 막스" | 4호 전차 차대에 자체 추진형 벙커 버스터로 2대의 시제품을 대전차 무기로 시험. | |
슈투어 에밀 | 12.8 cm Selbstfahrlafette auf VK 30.01(H), 거부된 1형 티거 전차 차체 설계에서 실험적인 자주포로 2대의 시제품 중전차 차체를 재사용. | |
호르니세, 나중에 나스호른 | 3호 전차/4호 전차 복합 차대에 88 mm PaK 43을 탑재. | |
페르디난트, 나중에 엘레판트 | 마지막으로 지정된 판처예거de 차량으로, 거부된 VK 45.01 (P) 차체에서 완전히 밀폐된 포탑을 통합. | |
야크트판처 계열 | 야크트판저 38(t) (일명 헤처) | - |
야크트판터 | - | |
야크트판처 4호 | - | |
야크트티거 | - |
6.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은 다양한 판처예거와 야크트판처를 개발하여 운용했다. 초기에는 노획한 경전차 차체에 대전차포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시작하여, 점차 중(重)전차 차체를 활용한 구축전차를 개발했다.- '''판처예거 계열'''
- 판처예거 I: 1호 전차 차체에 체코제 4,7cm KPÚV vz. 38cs (47 mm PaK)를 탑재했다.
- 마르더 1: 노획한 프랑스 로렌 37L 차체에 75 mm PaK 40를 탑재했다.
- 마르더 2: 2호 전차 차체에 75 mm PaK 40 또는 7.62 cm Pak 36(r)ru (노획한 소련제 76.2 mm 포)를 탑재했다.
- 마르더 3: 체코제 38(t) 전차 차체에 75 mm PaK 40 또는 7.62 cm Pak 36(r)ru를 탑재했다.
- 10.5 cm K gepanzerte Selbstfahrlafette ("디커 막스"): 4호 전차 차체를 이용한 자주포로, 2대의 시제품이 대전차 무기로 시험되었다.
- 슈투어 에밀: 1형 티거 전차 개발 과정에서 거부된 중전차 차체를 재활용한 실험적인 자주포로, 2대가 제작되었다.
- 나스호른: 3호 전차/4호 전차 복합 차체에 88 mm PaK 43을 탑재했다.
- 엘레판트: VK 45.01 (P) (포르셰 티거) 차체에 88mm Pak 43을 탑재한 구축전차이다.
- '''야크트판처 계열'''
- 헤처: 38(t) 경전차의 발전형 차체에 7.5 cm Pak 39를 탑재한 구축전차이다.
- 야크트판터: 판터 중전차 차체에 8.8 cm Pak 43을 탑재한 구축전차이다.
- 야크트판처 4호: 4호 전차 차체에 Pak39 7.5cm포를 탑재했다.
- 야크트티거: 티거 2 중전차 차체에 12.8cm포를 탑재한 구축전차이다.
미국은 M4 중전차 차체를 활용한 M10 울버린, M36 잭슨 등의 대전차자주포를 운용했다. M18 헬켓은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대전차자주포였다.
소련은 T-34 차체를 기반으로 한 SU-85, SU-100과 IS-2 차체를 활용한 ISU-122, ISU-152 등의 자주포를 개발했다.
영국은 발렌타인 보병전차 차체에 17파운더 포를 탑재한 아처를 운용했다.
일본은 97식 중전차 차체를 활용하여 4식 15cm 자주포 호로, 3식 포전차 호니 III, 1식 7.5cm 자주포 호니 I, 1식 10cm 자주포 호니 II 등을 개발했다.
6. 2. 냉전 시대 이후
냉전 이후, 대전차 미사일이 발달하면서 전용 대전차 차량 대신 보병 전투차나 장륜 장갑차에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미국


- M50 Ontos: 106mm 무반동포 6문을 장비한 대전차 자주포로, 베트남 전쟁에서 활약했다.
- M56 스콜피온: 공수 가능한 대전차 자주포로, 90mm 포가 차체 위에 노출되어 있다.
- M825: M151트럭에 106mm 무반동포 또는 BGM-71 TOW 대전차 미사일을 장착했다.
- M901 ITV: M113 장갑차 수송차 차대에 TOW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 LOSAT 전차 구축차: M2 브래들리 보병 전투차나 험비 차대에 LOSAT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으나, 계획이 중단되었다.
- LAV-AT: LAV-25장갑차에 TOW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 M1128 스트라이커 MGS: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105mm 포를 장비한 기동포이다.
- M1134 스트라이커 ATGM: 스트라이커 장갑차에 TOW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독일
- KJPZ4-5: 90mm 포를 장비한 대전차 자주포로, 제2차 세계 대전형 구축 전차의 특징을 계승한다.
- RJPZ-2: SS.11 대전차 미사일 14발을 장비한 대전차 미사일 차량이다.
- 야구아 1/야구아 2: HOT 대전차 미사일 20발(야구아 1) 또는 TOW 대전차 미사일 14발(야구아 2)을 장비했다.
소련/ 러시아


- 2P27: BRDM-1에 3M6 슈멜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 2P32: BRDM-1에 9M17 팔랑가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 9P122: BRDM-1 또는 BRDM-2에 9M14 말리우트카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 9P124: BRDM-2에 9M11 팔랑가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 9P137: BRDM-2에 9M17 팔랑가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 9P148: BRDM-2에 9M111 파고트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 IT-1: T-62 차대에 3M7 드라콘 대전차 미사일 15발을 장비한 미사일 전차이다.
- 오브예크트 287: 오브예크트 430 중전차 차대에 9M15 타이푼 대전차 미사일 15발을 장비했으나, 시제품만 제작되었다.
- 오브예크트 775: 루빈 대전차 미사일과 바르 지대지 미사일을 발사 가능한 건 런처를 장비했으나, 시제품만 제작되었다.
- 9П149ru: MT-LB 차체에 9K114 슈투름-S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영국
- FV4101 찰리어티어: 크롬웰 순항 전차 차대에 20파운드포를 장비한 대전차 자주포이다.
- FV102 스트라이커: 스콜피온경전차 차대에 스윙파이어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 FV438 스윙파이어: 트로이전장갑차 수송차 차대에 스윙파이어 대전차 미사일 14발을 장비했다.
프랑스

- AMX-10RC: 105mm 포를 장비한 장륜 장갑차이다.
- AMX-13 T75: AMX-13 경전차에 SS.11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 VBCI 대전차 미사일 차량형: VBCI 장갑차에 ERYX 대전차 미사일을 장비했다.
일본
- 60식 자주 106mm 무반동포: 106mm 무반동포 2문을 장비한 대전차 자주포이다.
- 96식 다목적 유도탄 시스템: 96식 다목적 유도탄을 운용 가능한 대전차·대주정 미사일 차량이다.
- 중거리 다목적 유도탄: 87식 대전차 유도탄 시스템의 후계로, 보통과 중대에서 운용된다.
- 16식 기동전투차: 105mm 포를 장비한 장륜 전투차로, 신속기동연대와 정찰 전투 대대에서 운용된다.
중국

- 89식 자주 대전차포: 83식 자주 유탄포와 유사한 차대에 120mm 50구경 활강포를 탑재했다.
- 02식 100mm 장륜 자주 대전차포: 92식 장륜 장갑차 차대에 100mm 활강포를 탑재했으며, GP-2 포 발사식 대전차 미사일도 발사 가능하다.
이스라엘
이탈리아
- 센타우로: 105mm 포를 장비한 중화력 장륜 장갑차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 루이캣: 62구경 76mm 라이플 포를 탑재한 장륜 전투차로, 화력 지원이나 대전차 전투를 상정하고 있다.
7. 한국의 대전차 무기
서독 및 이후 독일의 분데스베어de에서 '판처예거'는 독일 육군의 별도 병과로 재도입되었다. 판처예거트루페는 1956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했으며, 이후 기갑 병과에 통합되었다. 주요 무기 체계로는 재규어 1, 재규어 2, 카노넨야크트판처, 라케텐야크트판처 1, 라케텐야크트판처 2 및 '캄프판처 M48A2GA2' (105mm 주포를 장착한 M48 패튼 전차의 파생형) 등이 있었다. 최하위 계급의 '판처예거트루페' 병사들은 계급명으로 '판처예거'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참조
[1]
웹인용
네이버 독일어사전 Panzer
https://dict.naver.c[...]
2024-03-07
[2]
웹인용
네이버 독일어사전 Jäger
https://dict.naver.c[...]
2024-03-07
[3]
웹인용
1 Royal Tank Regiment History
http://www.army.mod.[...]
Ministry of Defence
2014-05-03
[4]
서적
Panzerabwehrkanonen 1916–1977
Motorbuch-Verlag, Stuttgart
1978
[5]
논문
Rapallo Reexamined: A New Look at Germany's Secret Military Collaboration with Russia in 1922
https://www.jstor.or[...]
197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