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식 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어식 영어, 즉 콩글리시는 한국어와 영어가 혼합된 형태로, 영어 단어나 표현이 한국어의 문법, 어법, 어휘와 결합하여 독특한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콩글리시는 단어의 의미 축소, 일본어식 영어의 영향, 한국어식 조어법 등을 통해 발생하며, '핸드폰', '미팅'과 같이 영어 단어의 잘못된 사용, '오피스텔', '개그맨'과 같이 한국에서 만들어진 단어, 그리고 한국어 문법을 영어에 적용한 표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콩글리시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모두 존재하며, 국제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효율성, 언어적 격차 심화 등 다양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식 영어 - 오피스텔
오피스텔은 업무시설이자 준주택으로 분류되는 건축물로, 1985년 처음 건설된 이후 수요 증가로 확산되었으며, 기본적인 가구가 포함된 원룸 형태로 임대되는 경우가 많고, 건축 기준에 따라 발코니 설치나 난방 방식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 한국어식 영어 - 바스트 모핑
바스트 모핑은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서 여성 캐릭터 가슴 움직임을 묘사하는 기술로, 기술 발전과 함께 자연스러운 묘사가 가능해졌으나, 성 상품화 논란 등 윤리적 문제로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영어의 혼용형 - 스팽글리시
스팽글리시는 스페인어와 영어의 혼합으로 나타나는 언어 현상으로, 주로 히스패닉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사용되며, 사용자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예술 분야에서 활용되기도 한다. - 영어의 혼용형 - 셸타어
셸타어는 아일랜드 여행자들이 사용하는 은어로, 아일랜드어 어휘와 영어 문법이 혼합되어 있으며, 외부인과의 의사소통을 어렵게 하기 위해 어휘를 변형하는 특징을 가진다. - 한국어 - 문장 부호
문장 부호는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로,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와 각 기호의 명칭(북한 명칭 포함) 및 사용법을 포함한다. - 한국어 - 한자 부활
한자 부활은 과거 한자 문화권 국가에서 한자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나 주장을 의미하며, 대한민국에서는 한글 전용법 이후 제한된 한자 사용에 대한 논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한자 교육 부활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한자 미사용이, 베트남에서는 로마자 보급 후 감소한 한자 사용에 대한 부활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어식 영어 | |
---|---|
개요 | |
유형 | 한국어식 영어 |
언어 | 영어 |
사용 국가 | 대한민국 |
특징 | 영어 어휘의 의미 변형 및 축약 한국어 발음에 맞춘 영어 차용 새로운 영어 어휘 창조 |
상세 내용 | |
정의 | 한국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영어 어휘, 문법, 발음 체계가 혼합된 변형된 형태의 영어 |
어원 | 한국어의 "콩" + 영어의 "English" |
특징 | 실제 영어와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 영어 단어의 축약형 한국어식 발음에 따른 영어 단어 변형 |
예시 | "핸들" (자동차의 steering wheel) "파이팅" (응원, 격려) "에어컨" (냉방기) "멘트" (코멘트) "핸드폰" (휴대 전화) |
문제점 | 국제적인 의사 소통의 어려움 영어 학습의 혼란 |
해결 방안 | 올바른 영어 교육 영어 사용에 대한 인식 개선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재플리시 싱글리시 프랑글레 발음 구별 기호 |
2. 발생 원인
영어는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국제어로서 거의 모든 국가에 언어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영어 자신도 수많은 외래어를 차용해 성장한 언어이기도 하다. 영어 확산은 이질적인 언어와의 접촉을 통해 필연적으로 지역 변종과 외래어를 빌려올 때 흔히 발생하는 의미 변화를 일으키며, 콩글리시도 꾸준히 언어 접촉이 누적된 결과이다.
영어는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국제어로서 거의 모든 국가에 언어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영어 자체도 수많은 외래어를 차용하여 성장한 언어이다. 따라서 영어의 확산으로 인해 이질적인 언어와의 접촉을 통해 지역 변종이 생기는 것은 필연적이며, 또한 이질 언어의 차용 과정에서 의미 변화가 발생하는 것도 흔한 일이며, 콩글리시도 마찬가지로 끊임없는 언어 접촉이 누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콩글리시는 영어 단어와 구문의 형태로 개념화되어 한국어에 통합된 한국어의 하위 범주이다.[5] 한국어 화자가 영어를 표현할 때, 한국어의 음운 체계로 발음하거나, 원래 영어에는 없는 한국어 특유의 사용법을 보이는 차용어를 사용하거나, 한국어의 문법을 반영하여, 영어 원어민이 이해할 수 없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한국어식 영어'''라고 한다.
단어 차원에서 콩글리시 발생 원인은 낱말을 빌려올 때, 뜻의 일부만을 빌려오게 된다는 점이다. 모르는 길을 알려주는 구실을 하는 기계를 뜻하는 navigation|내비게이션영어은 영어에서는 항해나 항공 등 어딘가 두루 다니는 것을 가리키나 그러한 뜻은 이미 그것에 해당하는 한국어 단어가 있기에 ‘자동차에 부착된 안내 기계 일종’이란 제한된 의미만이 들어오게 된다.
3. 기원
단어 수준에서 콩글리시의 발생 원인은 단어를 차용할 때 의미의 일부만을 빌려온다는 점이다. 모르는 길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기계를 의미하는 navigation|내비게이션영어은 영어에서는 항해, 항공 등 널리 어딘가를 가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의미는 한국어에 이미 해당하는 단어가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장착된 안내 기기의 일종"이라는 제한된 의미만 가져와 사용하게 되었다.
20세기 초에 많은 서양의 어휘가 일본을 통해 한반도로 유입되었다. 그중 단어의 기원이 영어인 것이 콩글리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시기에 유입된 말은 일본어식 영어의 발상이나 발음을 차용한 것이 많다.[13]
이후에 발생한 단어는 영단어를 한국어식 조어법으로 결합하여 합성어로 만들거나, 본래 영어의 의미와 다른 의미로 사용되거나, 확장·축소되어 생긴 것이 많다. 그 외, 영어 형태소와 한국어 형태소가 합성되어 합성어를 이루기도 한다. 긴 단어를 한국어 화자가 사용하기 쉽도록 줄이기도 하는데, 이러한 약어 중 영어권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것도 콩글리시이다.
한편, 국제 무역과 광고의 발달로 특정 회사의 상품명이 보통 명사화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이 경우, 보통 명사 쪽은 널리 퍼지지 않고 상품명이 더 널리 알려져, 그 특정 회사의 상품명이 다른 회사의 상품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넓은 의미에서는 단어 및 복합어 수준을 넘어, 한국어 화자가 한국어 문법의 습관을 차용하여 만든 영문도 콩글리시라고 할 수 있다.
4. 종류
한국어식 영어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 절에서는 대한민국에서의 용법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4. 1. 단어 및 구 수준
영어는 국제어로서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며, 거의 모든 국가에 언어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어 자체도 수많은 외래어를 차용하여 성장한 언어이다. 따라서 영어의 확산으로 인해 이질적인 언어와의 접촉을 통해 지역 변종이 생기는 것은 필연적이며, 또한 이질 언어의 차용 과정에서 의미 변화가 발생하는 것도 흔한 일이며, 콩글리시도 마찬가지로 끊임없는 언어 접촉이 누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콩글리시는 영어 단어와 구문의 형태로 개념화되어 한국어에 통합된 한국어의 하위 범주이다.[5]
콩글리시는 언어학적 범주에서 모호하지만, 오류적이거나 일시적인 형태의 영어와 구별되는 "새로운 영어(New Englishes)"의 정의와 유사하다.[15] 콩글리시는 영어가 대부분의 인구가 사용하는 모국어가 아닌 지역의 교육 시스템을 통해 개발되었고, 화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기능으로 사용되며, 억양 패턴 및 표현과 같은 자체적인 언어적 특징을 채택하여 현지화되었다는 점에서 "새로운 영어"의 기준에 부합한다.
세계화, 현대화 등을 통해 영어 단어가 한국에 유입되었지만, 사회적 및 언어적 요인이 이러한 단어들의 의미 변화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커뮤니티를 통해 전파되었다. 단어 수준에서 콩글리시의 발생 원인은 단어를 차용할 때 의미의 일부만을 빌려온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모르는 길을 안내하는 기능을 하는 기계를 의미하는 '내비게이션'은 영어에서 항해, 항공 등 넓은 의미를 가지지만, 한국어에서는 "자동차에 장착된 안내 기기의 일종"이라는 제한된 의미만 가져와 사용하게 되었다.
다음은 단어 및 구 수준에서 나타나는 콩글리시의 예시이다.
한국어 표현 | 영어 표현 | 설명 |
---|---|---|
핸드폰 | cellular phone, cell phone, mobile phone | 핸드폰은 독일, 싱가포르 등에서 널리 쓰이지만, 영어권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
탤런트(talent) | TV actor, TV star | 대한민국에서 배우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지만, 영어권에서는 재능, 소질의 뜻으로 쓰인다. |
미팅 | 소개팅 | 한국에서 미팅은 소개팅을 의미하지만, 영어 meeting은 일반적인 만남을 의미한다.[20] |
어그로 (어그로|ʌ.ɡɯ.ɾo한국어) | (aggravation) | "공격받기를 자청하는 행위, 대규모 트롤링" |
캐리 (캐리|kʰɛ.ɾi한국어) | (carry) | "실패한 프로젝트를 혼자 힘으로 성공으로 이끌다" |
디카 (디카|ti.kʰa한국어) | (digital camera) | 디지털 카메라 |
더치 페이 (더치 페이|tʌ.tɕʰi pʰe.i한국어) | (Dutch + pay) | 각자 계산 |
아이 쇼핑 (아이 쇼핑|a.i ɕjo.pʰiŋ한국어) | (eye + shopping) | 아이 쇼핑 |
핸드폰 (핸드폰|hɛn.dɯ.pon한국어) | (hand + phone) | 휴대 전화 |
헌팅 (헌팅|hʌn.tʰiŋ한국어) | (hunting) | "데이트 상대를 찾기" |
킥보드 (킥보드|kʰik̚.p͈o.dɯ한국어) | (kick + board) | 킥보드 |
니트 (니트|ni.tʰɯ한국어) | (knit) | 니트 |
매니큐어 (매니큐어|mɛ.ni.kʰju.ʌ한국어) | (manicure) | 매니큐어 |
뉴트로 (뉴트로|nju.tʰɯ.ɾo한국어) | (new + retro) | "복고 트렌드의 새로운 재해석" |
미팅 (미팅|mi.tʰiŋ한국어) | (meeting) | "단체 소개팅" |
오피스텔 (오피스텔|o.pʰi.sɯ.tʰel한국어) | (office + hotel) | "사무실로도 사용 가능한 아파트" |
원 플러스 원 (원 플러스 원|wʌn pʰɯl.lʌ.sɯ wʌn한국어) | (one + plus + one) | "하나 사면 하나 더 증정" |
원샷 (원샷|wʌn.ɕjat̚한국어) | (one + shot) | "원샷" |
오버 (오버|o.bʌ한국어) | (over) | "과도하게 하다, 과장하다, 지나치게 극적으로 하다" |
오바이트 (오바이트|o.ba.i.tʰɯ한국어) | (overeat) | "토하다" |
패딩 (패딩|pʰɛ.diŋ한국어) | (padding) | "패딩 다운 재킷/코트" |
팬티 스타킹 (팬티 스타킹|pʰɛn.tʰi sɯ.tʰa.kʰiŋ한국어) | (panty + stocking) | 스타킹 |
포크레인 (포크레인|pʰo.kʰɯ.ɾe.in한국어) | (Poclain) | 굴착기 |
포켓볼 (포켓볼|pʰo.kʰet̚.p͈ol한국어) | (pocket + ball) | 포켓볼 |
팝송 (팝송|pʰap̚.s͈oŋ한국어) | (pop + song) | "영어권 대중음악" |
리본 (리본|ɾi.bon한국어) | (ribbon) | "리본, 머리띠" |
셀카 (셀카|sel.kʰa한국어) | (self + camera) | 셀카 |
셀프 (셀프|sel.pʰɯ한국어) | (self) | 셀프 서비스 |
센스 (센스|sen.s͈ɯ한국어) | (sense) | "눈치, 센스" |
스킨스쿠버 (스킨스쿠버|sɯ.kʰin.sɯ.kʰu.bʌ한국어) | (skin + scuba) | 스킨 다이빙 및 스쿠버 다이빙 |
소울 푸드 (소울 푸드|so.ul.pʰu.dɯ한국어) | (soul + food) | 소울 푸드 |
빌라 (빌라|pil.la한국어) | (villa) | "소규모 연립 주택 (4층 이하의 다세대 주택)"[22] |
웹툰 (웹툰|wep̚.tʰun한국어) | (web + cartoon) | 웹코믹 |
서비스 (서비스|sʌbisɯ한국어) | (service) | "무료/공짜" |
4. 1. 1. 일본어식 영어의 영향
20세기 초, 많은 영어 어휘가 일본을 통해 한국으로 들어왔다. 이 중 영어에서 기원한 단어들이 콩글리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 시기에 들어온 말들은 일본어식 영어 표현 방식이나 발음을 그대로 가져다 썼다.[13]4. 1. 2. 다른 언어를 거친 영어
긴 단어를 줄여 쓰거나 줄여서 이어 붙이거나 다른 조어 방법을 이용해 만들어진 단어다. 주로 일본어식 영어를 그대로 따라 쓴 말이다. 넘어오는 과정에서 원의와 다른 뜻이 생기거나 되기도 하고 원의 일부가 사용되기도 한다.- 리모컨 - 영어권에서는 "remote control"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일본에서 リモコン|리모콘일본어이라 부르자 한국에서 그대로 따라 써서 비롯된 말이다. 영어권에서 "remote" 로 줄여서 사용되는 때도 있다.
- 미니 앨범 - 영어권에서는 "extended play"라고 한다. 한편, 일본어로는 ミニ・アルバム|미니 아루바무일본어, 인도네시아어로는 album mini|알붐 미니id로 표기한다.
- 미싱 - 영어권에서는 "sewing machine"이라고 한다. 일본에서 sewing machine에서 machine을 ミシン ''mishin''|미신/미싱일본어이라고 부른 데에서 비롯되었다. 순화 용어로 재봉틀이 제시된다.
- 아파트 - 'apartment'를 줄인 일본어 アパート ''apāto''|아파토일본어를 그대로 받아 쓰는 말이다. 현재 표준어로 되어 있는데 미국이나 영국에서 말하는 'apartment'는 한국에서 사용하는 의미와 달리 개인이 소유한 집이 아닌, '임대용 공공주택'을 뜻한다. 일본어 アパート|아파토일본어도 한국어와 의미가 다르다. 일본에서 アパート일본어는 서민용 연립주택을 가리키고 한국식 아파트는 맨션(マンション manshon|만숀일본어 ← mansion)이라고 부른다. 한때 대한민국에서도 일반 아파트 단지를 맨션이라 부른 적이 있으나 현재는 그런 어법은 사라졌다.
- 와이셔츠: 영어권에서는 그냥 shirts나 dress shirts라고 한다. 일본에서 white shirts'라는 말을 줄여서 ワイシャツ ''waishatsu''|와이샤쓰일본어라고 부른 데에서 유래되었다. 현재 '와이셔츠'는 표준어로 되어 있다.
- 오토바이 - 영어권에서는 "motorcycle"이나 "motorbike"라고 하며, 일본에서 "auto"와 "bicycle"을 합성한 뒤 줄여 쓴 オートバイ Ōtobai|오토바이일본어를 그대로 받아 쓰는 말이다.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표준어이고 한국 내에서 흔하게 쓰이는 단어이다. 국내 모터사이클 동호인 사이에서는 일본어식 영어라는 이유로 영어에 해당하는 모터사이클(motorcycle)이나 모터바이크(motorbike), 바이크(bike)라는 말을 주로 사용하며, 현대 일본어에서도 바이크(バイク|바이크일본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커닝 - 영어 cunning에서 온 말. 컨닝이라 말하는 때도 잦으나 영어 발음이 이므로(영어에서는 자음 철자가 이중이어도 2번 발음하지 않는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으면 '커닝'이라서 표준어로는 '커닝'이 채택됐는데 영어 cunning은 '교활(한)' 혹은 '정교(한)'이라는 뜻인데 일본어식 영어 カンニング|간닌구일본어를 그대로 따라 썼다. 한국어식 영어 '커닝'에 해당하는 말은 영어권에서는 cheating인데 cheating은 한국 '커닝' 이외에 더 넓은 뜻을 포함한다.
- 피규어 - 영어 figure에서 온 말. figure를 일본에서는 フィギュア ''figyua''|휘규아일본어라고 부르는데 정교하게 표현된 인체 모형이나 이것을 수집하는 문화가 일본을 통해 한국에 소개되면서 이 일본어식의 변형된 발음을 영어 원발음으로 착각하여 잘못 일컬은 것이다. 영어권에서 "figure"의 발음은 "피겨" 이지 "피규어"가 아니며, 대한민국의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피규어라는 표기는 인정하지 않는다. 영어권에서는 "figurine"이라고도 표기한다.
- 핸들 - 본래 handle이라는 말은 영어에 있으나 자동차의 운전대를 의미할 때에는 "steering wheel"이라고 한다. 이것도 일본어식 영어를 그대로 따라 쓴 말인데 일본어에서는 ハンドル ''handoru''|한도루일본어라고 한다.
4. 1. 3. 상품명이 보통명사화된 경우
- 스테이플러: '호치키스(Hotchkiss)'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상표명에서 유래했다.[51]
- 승합차: 기아자동차의 봉고에서 유래하여 '봉고(Bongo)'라고도 불린다.[51] 현재 기아는 승합형 봉고를 생산하지 않는다.
- SUV: '지프(Jeep)'라는 SUV 전문 회사명에서 유래하여 '지프'라고도 불린다.
- 경적: '클랙슨, 클락션(Klaxon)'이라고도 불리는데, 1930년대 미국 경적 제조 회사의 상표이다. 미국 영어로는 'horn'이라고 한다.
- 바바리 코트(Burberry coat): 주로 봄과 가을에 입는 코트로, 영국의 버버리 회사의 제품 이름에서 유래한다.[52] 영어로는 'trench coat'라고 한다.
- 굴삭기: '포크레인(Poclain)'이라고도 불리는데, 대한민국에 최초로 도입된 프랑스 굴삭기 회사 이름에서 유래했다. 영어로는 'excavator'라고 부른다.
- 반주(MR, Music Recorded): 노래에서 보컬을 제외한 반주를 의미하며, TJ미디어 반주기 상표 이름에서 유래했다. 영어권에서는 'instrumental'로 칭하며, 한국에서도 음반에는 대개 'inst.', 'instrumental'로 표기한다. 일본에서는 'off vocal'이라는 표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 콜라: 원래는 코카콜라 컴퍼니만 사용하는 용어였다. 동양에서 말하는 콜라는 원래 라틴 계열의 언어로 'cocon'이나 'coca', 영어로 'coke'이며, 코카콜라의 "코카"는 콜라나무의 열매 'coca'이다.
- 맨투맨
- 셀로판 테이프: 접착용 셀로판 테이프를 의미하지만 3M(3M사)의 상품명 'Scotch tape영어'에서 유래하여 '스카치테이프'라고도 불린다.
4. 1. 4. 한국에서 만들어진 단어
다른 영어권 국가에는 없는 한국만의 사회적 현상이나 사물, 행위를 나타내는 데 영어 단어나 어근을 조합하여 탄생한 한국제 영어 단어가 있다. 단어를 이용하기도 하고, 영어 어근의 일부가 접사 파생 형식으로 한국어 단어와 결합하기도 한다. 이는 일본어식 영어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개그맨(Gagman)/개그우먼(Gagwoman): 희극 배우를 일컫는 말로 영어권에는 없는 표현이다. 전유성이 방송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53], 영어권에서는 "Comedian"이라고 표기한다.
- 디카(Digital Camera): 디지털 카메라의 준말로 영어권에 없는 준말이다. 영어권에서는 "digicam", 일본에서는 "데지카메(デジカメ일본어)"라는 준말을 쓴다.
- 랜덤박스: 비디오 게임에서 다른 아이템을 무작위로 받을 수 있는 가상의 소모성 아이템이다. 영어권에서는 ‘loot box’라고 한다.
- 셀카(Self Camera): 사진기(카메라)로 자기 자신의 모습을 직접 찍은 행위 및 그러한 행위로 찍은 사진을 뜻하는 말로 영어권에서는 "self shot" 또는 "selfie"라고 줄여 쓴다. '셀프'와 '카메라'에서 앞글자를 따온 '''셀카'''라는 줄임말도 널리 퍼져 있다.
- 오피스텔(Office+Hotel): 일하는 사무실에 숙식을 겸하는 주거 형태이다. 최근 이러한 사례를 따라 고시텔, 원룸텔 등의 신조어도 등장했다.
- 원룸(One Room): 주로 젊은 사람이나 독신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 하나짜리 주거 형태를 일컫는다. 방이 하나라 원룸이라는 말이 등장한 것으로 보이나, 영어권에서 이러한 주거 형태는 "studio apartment" 또는 줄여서 "studio"라고 한다.
- 웹툰(Web+Cartoon): 웹 만화를 일컫는 말로, ‘comic’과 ‘cartoon’의 혼동으로 만들어진 말이다. 영어권에서는 ‘web comic’이라고 한다.
- 포켓볼(Pocket ball): 포켓 당구를 일컫는 말로, 영어권에서는 ‘pocket billiards’ 또는 ‘pool’이라고 한다.
4. 2. 표현 수준
한국어 화자가 영어를 사용할 때 한국어 문법에 익숙하여 문법적인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실수를 한국어식 영어의 범주에 넣기도 한다. 또한, 문화적인 차이로 인하여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 역시 한국어식 영어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49]영어의 타동사에 대응하는 한국어 단어가 형용사인 경우, 능동태와 수동태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에서는 수동태보다 능동태가 더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너 심심하니?'는 영어로 "Are you bored?영어"라고 써야 하지만, "Are you boring?영어"이라고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심심하다'는 형용사이고 bore는 타동사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수를 많이 한다.
한국어에서 수동태가 되는 동사가 영어에서는 능동태가 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보이다'와 '들리다'는 영어에서 "It looks영어", "It sounds영어"와 같이 능동태가 된다.
영어 전치사는 한국어 조사와 일대일 대응되지 않아 실수를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한국어 자동사와 영어 타동사를 대응시켜 실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누구와 결혼하다'의 경우, 타동사인 "marry영어"를 자동사인 '결혼하다'와 같이 생각하여 "marry with영어"라고 잘못 사용하기도 한다.
문화 차이, 혹은 관용구나 속담 등의 차이로 다른 의미의 문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Have you eaten?영어"을 '밥 먹었니?'와 같은 인사말로 사용한다면 한국어식 영어 사용이다.[49]
부정 의문문에서 yes영어와 no영어를 혼동하여 대답하는 실수도 한다. 의문문 형태를 사용하지 않고 평서 부정문 형태로 묻거나, 상대가 "No?영어"라고 다시 확인할 때, 이런 실수가 더 많아진다. 예를 들어 "Do you mind if I have your cookie please?영어"라고 물었을 때, yes영어는 쿠키를 줄 수 없다는 뜻이고, no영어는 괜찮으니 쿠키를 가지라는 뜻이다.[50]
5. 콩글리시와 혼동하기 쉬운 것
콩글리시는 한국어와 영어의 혼합인데, 영어 이외 유럽어와의 혼합을 흔히 한국어식 영어로 착각하기도 하며,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국어와 잘 어울리게 변형된 외래어도 한국식 발음이나 강세를 사용하여 원어민이 알아들을 수 없는 경우에도 콩글리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영어 이외의 유럽어에서 온 말들이 한국어식 영어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해당 언어와도 다른 의미로 쓰이는, 일종의 한국어식 해당 언어라 볼 수 있다.
- 미라: 썩지 않게 보존해 놓은 시체를 의미하는 말로, 과거에 이를 만들 때 쓰던 몰약을 뜻하는 포르투갈어 ‘mirra’에서 온 말이며, 이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는 ‘myrrh’이다. 한국어로 미라라 부르는 것을 포르투갈어와 영어로는 각각 ‘múmia’와 ‘mummy’로 부른다.
- 스포이트: 작은 양의 액체를 옮기는 데에 쓰는 실험 도구를 의미하는 말로, 주사기를 뜻하는 네덜란드어 ‘spuit’에서 온 말이다. 한국어로 스포이트라고 부르는 것을 영어로는 ‘pipette’로 부른다.
- 아르바이트: 일, 특히 정규직 노동이라는 뜻의 독일어 ‘Arbeit’라는 단어에서 왔는데, 한국에서는 시간제로 일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part-time job’이다. 최근 이를 ‘알바’로 줄여 부르는 현상도 있다.
- 프로(%): ‘percent’의 뜻을 가진 용어의 네덜란드어는 프로센트(procent)인데, 이 말을 축약형으로 사용해서 프로가 되었다고 한다.
- 호프집: ‘생맥주 마시는 술집’을 의미하는 호프는 독일어 ‘Hof’에서 왔는데, 본디 뜻은 ‘마당’, ‘뜰’이며, 농장은 원래 뜻이 아니라 독어에서도 2차적인 뜻이다.
이 단어들은 한국어에서 올바른 표현이고, 영어 단어와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지만 원어민들은 쉽게 이해하기 힘든 단어들이다. 콩글리시라는 것이 주로 잘못 알려진 표현을 일컫는 경우가 많으므로, 한국식 영어 표현이라기보다는 ‘'''외래어'''’다.
- 아파트(apart): apartment에서 ment를 뺀 말이다.
- 텔레비전(티비): television 및 그 약어 TV에서 온 말로 v 발음이 b와 비슷한 발음으로 바뀌고, 강세가 한국어식으로 바뀌어서 사용된다. 과거에 티브이라고 불렀던 이유도 v발음을 b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표현이다.
6. 콩글리시에 대한 논쟁
영어 학습은 한국 사회에 널리 퍼져 있으며, 조셉 성율 박은 2009년 논문에서 이를 필요성, 외현화, 자기 비하라는 세 가지 주요 발전과 특성으로 설명한다.[8] 영어는 한국어 어휘의 외래어 중 90% 이상을 차지하며,[9] 한국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세계화 시대에 대한민국의 국어를 영어로 정하는 것이 현명한 결정일지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0]
콩글리시가 해로운지 유익한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부에서는 콩글리시가 대한민국의 국제 경쟁력에 제한적인 이점을 가지며, 잠재적으로 한국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29][5] 반면, 이화여자대학교의 법학 교수인 재스퍼 김은 콩글리시가 글로벌 상황에서 필수적이며, 문법 규칙을 엄격하게 따르는 것보다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30]
일부에서는 콩글리시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원어민 영어 사용자는 콩글리시 용어가 영어와 다른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에 혼란을 느낄 수 있다.[31] 이는 관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32][33] 인천국제공항이 처음 개항했을 때, 49개 이상의 영어 표지판에서 오류가 발견되었다.[39]
또한 일부에서는 콩글리시가 한국의 언어적 격차를 심화시킨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남북 간의 한국어 차이에서 대한민국에서만 사용되는 콩글리시는 탈북자가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34] 콩글리시 사용에 있어서 농촌과 도시 간의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35]
콩글리시는 교육 시스템의 결함에 의해 지지받았을 수도 있다.[36] 자격 미달의 한국인 교사가 교실에서 콩글리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37][38][39]
참조
[1]
서적
Attitudes to World Englishes: Implications for Teaching English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
간행물
The Rise of Konglish, the Korean-English Hybrid That's Both Beautiful and Perilous
https://www.wired.co[...]
2016-09-29
[3]
서적
Korean English: A corpus-driven study of a new English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4]
뉴스
"'Konglish' floods into apartment brand names"
http://www.koreahera[...]
2015-07-22
[5]
학술지
The Korean English linguistic landscape
[6]
문서
A multitude of 'lishes': The nomenclature of hybridity
[7]
뉴스
After 70 years of division, North and South Koreans losing shared language
https://www.theglobe[...]
2017-03-25
[8]
서적
The Local Construction of a Global Language: Ideologies of English in South Korea
Mouton de Gruyter
2009
[9]
서적
The Routledge Course ni Korean Translation
Routledge
2018
[10]
학술지
Diglossia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s://doi.org/10.1[...]
2002
[11]
서적
Linguistic Emblems of South Korean Society
Wiley-Blackwell
2015
[12]
서적
"Standard Language" and "Cultured Languag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6
[13]
학술지
English Loanwords in Korean: Patterns of Borrowing and Semantic change
https://journals.uai[...]
1993
[14]
웹사이트
Origins of Konglish
http://www.koreatime[...]
2009-12-24
[15]
서적
New Englishes
Routledge & Kegan Paul
[16]
문서
Allophonic variation in English /l/ and its implications for phonetic implementation
[17]
문서
Three dimensional ultrasound imaging of pre- and post-vocalic liquid consonants in American English: Preliminary observations
[18]
학술지
Speaking in Tongues: Chinglish, Japlish, and Konglish
https://www.research[...]
[19]
웹사이트
Explaining about Konglish
https://www.koreatim[...]
2021-09-07
[20]
웹사이트
Explaining about Konglish
https://www.koreatim[...]
2015-01-22
[21]
웹사이트
"'Konglish' floods into apartment brand names"
http://www.koreahera[...]
2015-07-22
[22]
뉴스
"[Survive & Thrive] Korean 'villas' are not what you expect"
https://www.koreaher[...]
The Korea Herald
2023-07-15
[23]
서적
Moon Living Abroad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Moon Publications
[24]
웹사이트
Time to clean up cunning Konglish
https://ja.scribd.co[...]
2008-01-16
[25]
웹사이트
Hwaiting: 'Fighting'
https://blogs.transp[...]
2020-11-29
[26]
웹사이트
Let's avoid 'Konglish'
https://www.koreatim[...]
2014-04-03
[27]
문서
"[Letters to the Editor] Konglish: It's not that bad"
www.lexisnexis.com/h[...]
2002-06-25
[28]
웹사이트
Not Konglish (Part 2). Korea Times
https://www.koreatim[...]
2016-06-20
[29]
웹사이트
Groups Call for Scrapping of 'English-Worshipping'
https://www.koreatim[...]
2009-08-02
[30]
웹사이트
"[New Perspective]Konglish as a second language?"
http://www.koreahera[...]
2009-08-02
[31]
웹사이트
"It's just not cool to mangle the King's English"
http://joongangdaily[...]
Korea JoongAng Daily
2009-08-02
[32]
웹사이트
Recommendations for Upgrading Tourism
https://www.koreatim[...]
2009-08-02
[33]
웹사이트
How Can Korea Attract Tourists?
https://www.koreatim[...]
2009-08-02
[34]
웹사이트
A wordy problem faces the Koreas
http://joongangdaily[...]
Korea JoongAng Daily
2009-08-02
[35]
웹사이트
"[VIEWPOINT]Divided by a common language"
http://joongangdaily[...]
Korea JoongAng Daily
2009-08-02
[36]
웹사이트
Future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https://www.koreatim[...]
2009-08-02
[37]
웹사이트
Korea's 'English' classrooms: Held hostage by Konglish?
http://www.koreahera[...]
2009-08-02
[38]
웹사이트
"[A READER'S VIEW]High stakes in English tests"
http://www.koreahera[...]
2009-08-02
[39]
웹사이트
'Konglish' replaces good English
https://www.theguard[...]
2009-08-02
[40]
문서
訳注: 要するに「[[カンニング]]」のこと。
[41]
문서
訳注: 要するに「[[ステンレス鋼|ステンレス]]」のこと。
[42]
서적
lang|ko|이젠 국어사전을 버려라
lang|ko|행담
2001
[43]
문서
参考: [[シングリッシュ]]
[44]
문서
訳注: 要するに[[携帯電話]]のこと。
[45]
간행물
lang|ko|새국어소식
http://www.korean.go[...]
2004-02
[46]
문서
訳注: 一般にはフランスのクラクソン社({{lang|fr|Klaxon}})が語源とされる
[47]
문서
訳注: 要するに「[[セルフサービス]]」のこと。
[48]
문서
訳注: 「考試」は元来国家試験のことを指し、「考試院」は受験勉強用の個室寮のことである。
[49]
문서
訳注: 韓国人は「こんにちは。ご飯食べた?」のような挨拶をしばしば行うようである。
[50]
문서
訳注: この例は否定疑問文でも平叙疑問文でもないようである。もっとも lang|en|yes/lang|en|no の違いという意味では言わんとしていることは通じる。
[51]
뉴스
〈새국어소식〉
http://www.korean.go[...]
2004-02
[52]
웹사이트
바바리코트 명칭 유래
https://stdict.korea[...]
[53]
뉴스
전유성, 알고보니 '개그맨'이란 단어의 창시자
http://www.tvreport.[...]
TV리포트
2011-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