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52년은 명나라 경태 3년, 일본 호토쿠 4년/교토쿠 원년, 조선 문종 2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고려사절요 편찬, 단종 즉위, 대규모 화산 폭발로 인한 전 지구적 냉각 현상 발생 등이 있었다. 포르투갈의 항해사 디오고 데 테이베가 아조레스 제도의 코르보 섬과 플로레스 섬을 발견했고, 에든버러가 스코틀랜드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2월 22일 윌리엄 더글러스가 살해되었고, 3월 프리드리히 3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 루도비코 스포르차, 리처드 3세 등이 태어났으며, 문종, 슈비트리가일라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52년 - 말라테스티아나 도서관
말라테스티아나 도서관은 1447년부터 1452년까지 말라테스타 노벨로의 지시로 체세나에 건설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40만 권 이상의 책과 16세기 필사본을 소장하고 있다.
1452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연도 | 1452년 |
기원 | 서기 1452년 |
15세기 | |
53번째 해 | 1400년대 53번째 해 |
2. 연호
3. 기년
간지 | 조선 (연호) | 단기 | 일본 | 황기 | 중국 | 베트남 | 불멸기원 | 이슬람력 | 유대력 |
---|---|---|---|---|---|---|---|---|---|
임신 | 문종 2년 | 3785년 | 교토쿠 원년 7월 25일 (율리우스력 8월 10일) | 2112년 | 경태 3년 | 대화 10년 | 1994년 - 1995년 | 855년 - 856년 | 5212년 - 5213년 |
4. 사건
- 고려사절요 편찬[1]
- 단종 즉위[1]
- 2월 - 알렉산드렐(몰다비아)이 페트루 아론과의 오랜 투쟁 끝에 몰다비아 왕위를 되찾았다.
- 2월 22일 - 윌리엄 더글러스가 스터링 성에서 제임스 2세에 의해 살해되다.[1]
- 3월 17일 - 레콩키스타 - 로스 알포르초네스 전투(무르시아의 로르카 시 부근): 카스티야 왕국과 그 속국인 무르시아 지방의 연합군이 그라나다 에미르국을 패퇴시키다.[1]
- 3월 19일 - 프리드리히 3세가 로마에서 마지막으로 대관식을 치르다.[2]
- 5월 31일 - 겐트 반란(1449년–1453년):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2세가 공식적으로 겐트에 선전포고하다.
- 6월 18일 - 니콜라스 5세가 교황령(papal bull)인 둠 디베르사스(Dum Diversas)를 발표하여 식민주의적 노예 무역을 합법화하다.
- 10월
- * 존 탈봇 지휘하의 영국군이 프랑스의 기옌(Guyenne)에 상륙하여 별다른 전투 없이 그 지방 대부분을 탈환하다.
- * 비잔티움-오스만 전쟁: 테살리아(Thessaly)의 오스만 총독 투라칸 베그(Turakhan Beg)가 헥사밀리온 성벽(Hexamilion wall)을 네 번째로 돌파하여 콘스탄티노플 함락 최종 오스만 포위 공격 중에 모레아 데스포타트가 콘스탄티노플을 돕는 것을 막기 위해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유린하다.[3]
- 1452년 또는 1453년에 발생한 대규모 화산 폭발(1452/1453년 미상의 화산 폭발)로 인해 전 지구적 냉각 현상이 발생했다 (이 폭발로 이전 700년 동안 어떤 사건보다 많은 황산염이 방출되었다).
- 포르투갈의 항해사 디오고 데 테이베가 아조레스 제도의 코르보 섬과 플로레스 섬을 발견했다.
- 밸러크 넘 브로이그 전투 (스코틀랜드 씨족 간의 전투).
- 에든버러가 공식적으로 스코틀랜드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4]
4. 1. 조선
4. 2.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 고려사절요 편찬
- 단종 즉위
- 간지 : 임신
- 일본
- * 보덕 4년, 교토쿠 원년 7월 25일 (율리우스력 8월 10일)
- * 황기 2112년
- 중국
- * 명 : 경태 3년
- ** 朱徽煠|주휘염중국어 : 현원 원년 (경태 2년 구력 12월)
- 조선
- * 이씨조선 : 문종 2년
- * 단기 3785년
- 베트남
- * 후레 왕조 : 대화 10년
4. 3. 서양
- 4월 15일 - 이탈리아의 건축가, 조각가, 예술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 출생. (~?)
- 10월 2일 - 영국의 왕 리처드 3세 출생. (~1485년)
- 2월 - 알렉산드렐(Alexăndrel of Moldavia)이 페트루 아론(Petru Aron)과의 오랜 투쟁 끝에 몰다비아(Moldavia) 왕위를 되찾았다.
- 2월 22일 - 윌리엄 더글러스가 스터링 성에서 제임스 2세에 의해 살해되었다.[1]
- 3월 17일 - 레콩키스타 - 로스 알포르초네스 전투(Battle of Los Alporchones)(무르시아의 로르카 시 부근): 카스티야 왕국과 그 속국인 무르시아 지방의 연합군이 그라나다 에미르국을 패퇴시켰다.[1]
- 3월 19일 - 프리드리히 3세가 로마에서 마지막으로 대관식을 치렀다.[2]
- 5월 31일 - 겐트 반란(Revolt of Ghent (1449–53)):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2세가 공식적으로 겐트에 선전포고하였다.
- 6월 18일 - 니콜라스 5세가 교황령(papal bull)인 둠 디베르사스(Dum Diversas)를 발표하여 식민주의적 노예 무역을 합법화하였다.
- 10월
- * 존 탈봇 지휘하의 영국군이 프랑스의 기옌(Guyenne)에 상륙하여 별다른 전투 없이 그 지방 대부분을 탈환하였다.
- * 비잔티움-오스만 전쟁: 테살리아(Thessaly)의 오스만 총독 투라칸 베그(Turakhan Beg)가 헥사밀리온 성벽(Hexamilion wall)을 네 번째로 돌파하여 콘스탄티노플 함락 최종 오스만 포위 공격 중에 모레아 데스포타트가 콘스탄티노플을 돕는 것을 막기 위해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유린하였다.[3]
- 1452년 또는 1453년에 발생한 대규모 화산 폭발(1452/1453년 미상의 화산 폭발)로 인해 전 지구적 냉각 현상이 발생했다 (이 폭발로 이전 700년 동안 어떤 사건보다 많은 황산염이 방출되었다).
- 포르투갈 왕국의 항해사 디오고 데 테이베가 아조레스 제도의 코르보 섬과 플로레스 섬을 발견했다.
- 밸러크 넘 브로이그 전투 (스코틀랜드 씨족 간의 전투).
- 에든버러가 공식적으로 스코틀랜드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4]
5. 탄생
- 2월 6일 - 포르투갈의 공주 조안나 (사망 1490년)
- 2월 14일
- * 다비데 기를란다요(Davide Ghirlandaio), 이탈리아 화가이자 모자이크 예술가 (사망 1525년)[5]
- * 판돌포 페트루치(Pandolfo Petrucci), 시에나의 폭군 (사망 1512년)
- 3월 10일 – 아라곤의 페르디난드 2세(Ferdinand II of Aragon) 국왕, 아라곤 국왕이자 카스티야의 이사벨라와의 결혼을 통해 통일 스페인의 초대 국왕 (사망 1516년)[6]
- 4월 15일 - 레오나르도 다 빈치[14], 이탈리아의 화가·과학자 (사망 1519년)
- 4월 19일 – 나폴리의 프레데리크(Frederick of Naples) 국왕 (사망 1504년)[8]
- 5월 18일 – 포데브라디의 헨리히(Henry the Younger of Poděbrady), 보헤미아 귀족 (사망 1492년)
- 7월 27일 - 루도비코 스포르차[15], 밀라노 공 (사망 1508년)
- 8월 12일 – 아브라함 자쿠토(Abraham Zacuto), 스페인 유대인 천문학자, 점성가, 수학자, 랍비이자 역사가 (사망 1515년)
- 9월 21일 - 지롤라모 사보나롤라, 도미니코회의 수도사, 피렌체 공화국의 정치가 (사망 1498년)
- 10월 2일 - 리처드 3세, 요크 왕조 잉글랜드 왕 (사망 1485년)
- 12월 6일 – 안토니오 만치넬리(Antonio Mancinelli), 이탈리아 인문주의 교육자이자 문법학자 (사망 1505년)
- 12월 10일 – 요하네스 슈퇴플러(Johannes Stöffler), 독일 수학자 (사망 1531년)
- 날짜 미상
- * 디오구 강(Diogo Cão), 포르투갈 탐험가 (사망 1486년)
- * 루크레치아 크리벨리(Lucrezia Crivelli), 밀라노의 루도비코 스포르차의 정부 (사망 1508년) (추정 날짜)
- * 아이즈우 히사타다,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병법가 (사망 1538년)
- * 이나와시로 카네요리,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연가사 (사망 1510년)
- * 간슈지 마사아키,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공경 (사망 1522년)
- * 쿠마가이 젠나오,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아키 쿠마가이 씨의 당주 (사망 1515년)
- * 코바야카와 케이헤이,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누마다 코바야카와 씨의 당주 (사망 1499년)
- * 타무키 시게하루,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공경 (사망 1535년)
- * 나와 아키타다,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나와 씨의 제19대 당주 (사망년도 불명)
- * 후루이치 스미타네,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문인 (사망 1508년)
- * 야마시나 토모쿠니,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궁중 귀족 (사망 1503년)

6. 사망
- 6월 1일 - 문종, 조선의 제5대 국왕. (1414년~)
- 2월 10일
- * 슈비트리가일라, 리투아니아 대공.
- * 미하우 볼레스와프 지그문토비치 (미하우 지기만타이티스), 흑루테니아 공작.
- 2월 14일 - 콘라트 7세 백작, 올레슈니차 공작.
- 2월 22일 - 윌리엄 더글러스, 더글러스 제8대 백작 (1425년~)
- 4월 20일 - 하나우 백작 라인하르트 3세 (1412년~)
- 5월 - 존 스태퍼드, 캔터베리 대주교[12]
- 10월 - 니콜라스 클로즈, 잉글랜드 주교
- 추정 - 게미스투스 플레톤, 그리스 철학자
- 7월 9일 - 소정성(宗貞盛), 무로마치 시대 쓰시마의 슈고 다이묘, 소씨(宗氏) 제9대 당주 (1385년~)
- 10월 13일 - 시바 요시타케(斯波義健), 무로마치 시대의 슈고 다이묘, 시바 씨(斯波氏) 제9대 당주 (1435년~)
- 슈비트리가이라(Švitrigaila), 리투아니아 대공 (1370년~)
- 하타케야마 모치토미(畠山持富),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생년 미상)
- 게오르기오스 게미스토스 플레톤(Georgios Gemistos Plethon), 동로마 제국 팔레올로고스 왕조의 플라톤 학자 (1360년~)
- 마하귀래(摩訶貴來), 참파 왕국의 제4대 국왕 (생년 미상)
- 미콜라스 지기만타이티스(Mykolas Žygimantaitis), 리투아니아 대공 지기만타스 케이스투타이티스(Žygimantas Kęstutaitis)의 아들 (1406년 이전~)
참조
[1]
서적
Enemies in the Plaza: Urban Spectacle and the End of Spanish Frontier Culture, 1460-1492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5-04-03
[2]
뉴스
Historical Events in 1452
http://www.onthisday[...]
2017-08-08
[3]
서적
The Papacy and the Levant (1204–1571), volume II: The Fif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4]
웹사이트
Why is Edinburgh the capital of Scotland?
https://edinburghtou[...]
2018-06-20
[5]
서적
Great Drawings of All Time: Italian, thirteenth through nine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Kodansha International
[6]
웹사이트
Ferdinand II {{!}} Biography & Facts
https://www.britanni[...]
2020-06-30
[7]
웹사이트
Leonardo da Vinci {{!}} Biography, Art, & Facts
https://www.britanni[...]
2019-05-03
[8]
서적
Charles the Bold and Italy (1467-1477): Politics and Personnel
https://books.google[...]
Liverpool University Press
[9]
서적
Academic Americ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rolier
[10]
서적
Botticelli: From Lorenzo the Magnificent to Savonarola
https://books.google[...]
Skira
[11]
웹사이트
Richard III {{!}} Biography & Facts
https://www.britanni[...]
2020-06-26
[12]
서적
Handbook of British Chro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Ferdinand II king of Spain
https://www.britanni[...]
[14]
웹사이트
Leonardo da Vinci Italian artist, engineer, and scientist
https://www.britanni[...]
[15]
웹사이트
Ludovico Sforza duke of Milan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