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다라 미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다라 미술은 기원전 330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인도 원정 이후 헬레니즘 문화와 불교 문화가 융합되어 탄생한 미술 양식이다. 인도-그리스 왕국과 쿠샨 제국 시대에 번성했으며, 그리스 조각의 영향을 받아 사실적이고 정교한 인물 표현이 특징이다. 불상을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하기 시작한 것은 불교 미술사의 획기적인 변화였으며, 건축에서도 코린트식 기둥과 아칸서스 잎 장식 등 헬레니즘 양식을 차용했다. 간다라 미술은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미술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페샤와르 박물관 등 전 세계 여러 박물관에서 그 작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다라 미술 - 간다라 여래좌상
    간다라 여래좌상은 2~3세기에 제작된 석가모니의 첫 설법 장면을 묘사한 불상으로, 헬레니즘 문화 영향을 받아 사실적인 묘사가 특징이며 불교 미술과 서양 미술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 간다라 미술 - 간다라 석불입상
    간다라 석불입상은 기원전 2세기 인도-그리스 시대에 제작된 불상으로, 불교 미술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불교 조각에도 영향을 주었다.
  • 그리스 불교 - 밀린다왕문경
    밀린다왕문경은 밀린다왕과 나가세나 장로의 문답을 통해 불교 교리를 설명하는 경전으로, 윤회, 업, 자아의 본질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도 산문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 헬레니즘 미술 - 마투라 헤라클레스
    마투라에서 발견된 마투라 헤라클레스 조각상은 사자를 목 졸라 죽이는 남성을 묘사하며, 처음에는 헤라클레스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바수데바로 해석되기도 하고, 쿠샨 왕조 시대 헬레니즘 문화와 인도 문화의 융합을 보여주는 권력과 통치력의 상징으로, 고대 그리스 조각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
간다라 미술

2. 역사적 배경

알렉산드로스 대왕인도 원정(기원전 330년) 이후, 간다라 지역에는 헬레니즘 문화가 유입되었다. 마우리아 제국(기원전 321-185년) 시대에 불교는 인도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아소카 왕은 불교를 적극적으로 장려했다. 그는 자신의 그리스 신하들을 불교로 개종시켰는데, 이는 아소카 칙령에 언급되어 있다.[13]



슝가 제국이 마우리아 제국을 무너뜨린 후, 그리스-박트리아 왕국(기원전 250-130년)과 인도-그리스 왕국(기원전 180-10년) 시대에 간다라 지역에서는 헬레니즘 문화와 불교 문화가 공존했다.[14] 특히, 인도-그리스 왕국의 메난드로스 1세는 불교를 믿고 보호하여 불교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밀린다 빤하에 따르면 메난드로스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으며 ''아라한''의 칭호를 얻었고, 불교 방식에 따라 에 묻혔다고 한다.

은화, 바크트리아의 데메트리오스 1세 (기원전 200-180년)가 인도 정복의 상징인 코끼리 가죽을 쓰고 있으며, 뒷면에는 사자 가죽과 곤봉을 든 헤라클레스가 묘사되어 있다.
바크트리아의 그리스-바크트리아 왕 데메트리오스 1세(기원전 200–180년)가 인도 정복의 상징인 코끼리 가죽을 쓴 모습을 묘사한 은화. '''뒷면:''' 헤라클레스가 사자 가죽과 팔에 걸쳐진 곤봉을 들고 있다.


헬레니즘 미술의 영향은 그리스-바크트리아 왕국의 시대의 동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데메트리오스 1세의 동전이 그 예시이다. 그리스-바크트리아 왕들의 동전은 헬레니즘 세계에서 주조된 가장 큰 은화와 금화를 포함하고 있으며, 예술적, 기술적 정교함에서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목욕하는 아프로디테.


아이-하눔과 같은 그리스식 도시에서는 순수한 헬레니즘 건축 양식, 헬레니즘 조각상 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그리스 요소들은 마우리아 시대의 파탈리푸트라 석주[18] (기원전 3세기)에서 볼 수 있듯이 인도에 일찍 침투했지만, 기원전 180년 인도-그리스 왕국이 설립되면서 북서부 인도에서 특히 강해졌다. 건축 양식은 과일 화환과 두루마리와 같은 헬레니즘 장식 모티프를 사용했다. 네레이스가 케토스 해양 괴물을 타고 있는 것과 같은 순수한 헬레니즘 주제를 나타내는 방향성 오일에 사용된 석재 팔레트가 발견된다.

그리스인들이 남아시아 북서부를 침략하여 인도-그리스 왕국을 세우자, 그리스 왕들이 불교에 대해 호의를 보이면서 헬레니즘과 불교 요소의 융합이 시작되었다.

2. 1. 간다라 미술의 발전과 전성기

간다라 미술은 기원전 50년에서 서기 75년 사이 파르티아 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알프레드 C. A. 푸셰는 간다라 미술에 나타나는 서양의 영향을 처음으로 파악한 학자들 중 한 명이다. 그는 초기 그리스 정착민과 이 미술 간의 연속성을 옹호했지만, 나중에 자신의 견해를 수정했다. 아이-하눔 유적지에서 발견된 다량의 미술품은 기원전 3세기와 2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그리스의 영향을 명확히 보여준다.[12]

아시아에서의 불교 확장: 대승 불교는 처음 중국 제국 (한나라)으로 쿠샨 시대에 실크로드를 통해 진입했다.


인도-그리스인 시대와 특히 쿠샨 제국 시대에 그리스-불교 미술은 간다라 지역에서 번성했으며, 중앙아시아로까지 확산되어 타림 분지의 미술에 영향을 미쳤다.[15] 쿠샨 제국카니슈카 황제는 독실한 불교 신자로, 쿠샨 시대에 불교와 그 미술이 번성했다. 그는 대승 불교와 불교 미술을 실크로드 전역으로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



간다라 불상의 특징은 나발이 파상형의 긴 머리카락이고, 눈의 테두리가 깊은 용모로 우뚝 서 있는 모습이 마치 서양인처럼 보이는 것이다. 착의의 주름도 깊게 새겨져 자연스러운 형태를 하고 있다. 작품은 대부분이 부조이며, 많은 작품이 스투파 기단 벽면에 장식되었다. 간다라 조각은 쿠샨 왕조의 카니슈카 1세 치세에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초기 대승 불교 삼위일체. 왼쪽부터 쿠샨 제국의 신자, 보살 미륵, 부처, 보살 관세음, 불교 승려. 서기 2-3세기, 간다라.


5세기에는 이 지역에 에프탈이 침입하여 간다라 미술의 번영은 막을 내렸다.

2. 2. 간다라 미술의 쇠퇴

5세기경 에프탈의 침입으로 간다라 지역은 혼란에 빠졌고, 간다라 미술은 쇠퇴하기 시작했다. 현장법사가 간다라 지역을 방문했던 7세기경에는 불교가 쇠퇴하고 많은 사원이 폐허가 된 상태였다고 기록했다.[39] 이후 이슬람 세력의 침입과 지배로 인해 간다라 지역의 불교 문화는 더욱 쇠퇴했다.

3. 주요 특징

간다라 미술은 헬레니즘 미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사실적이고 정교한 인물 표현을 보여준다. 특히 불상의 표현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지는데, 이는 이전의 불교 미술에서 부처를 상징적으로만 표현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인도 아대륙 원정 당시 불교는 주로 북동 인도에 국한되었으며, 그리스 사트라피가 형성된 북서 인도에서는 흔하지 않았다. 마우리아 제국아소카 황제는 그리스 신하들을 불교로 개종시켰다.[13] 마우리아 제국 멸망 후, 슝가 제국은 북서쪽 지역까지 확장되지 않았지만, 많은 그리스 사트라피는 불교를 계속 실천하며 그리스-불교 미술을 발전시켰다. 이는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기원전 250–130년)과 인도-그리스 왕국 (기원전 180–10년) 시대에 분명하게 나타났다.[14] 인도-그리스인 시대와 특히 쿠샨 제국 시대에 그리스-불교 미술은 간다라 지역에서 번성했으며, 중앙아시아로 확산되어 타림 분지의 미술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인도로 침투했다.[15]

양식적으로, 그리스 불교 미술은 서 있는 불상에서 뚜렷이 나타나듯이, "옷 주름의 사실적인 처리와 최고의 그리스 작품의 특징인 입체감의 힌트"를 보여주는 극도로 정교하고 사실적인 모습으로 시작되었다(보드먼). 이후 수 세기에 걸쳐 정교한 사실주의는 점차 상징적이고 장식적인 형태로 변화했다.

간다라 미술은 고대 그리스, 시리아, 페르시아, 인도의 다양한 미술 양식을 받아들인 불교 미술로 유명하다. 기원전 50년에서 75년 사이의 파르티아 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쿠샨 왕조 시대인 1세기부터 5세기에 걸쳐 번성했다.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처음에는 붓다 자체의 우상 숭배를 부정했지만, 이 지역에서 그리스 문명과 만나 불상을 처음으로 만들어냈다. 불상 숭배는 인도를 시작으로 중국, 일본에도 전파되었으며, 대승 불교도 이 시기에 탄생했다.

원래 불교 신자들은 부처를 사실적인 조각상으로 표현하는 것을 피했다. 그러나 기원 전후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박트리아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에서 이란 동부) 지역의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에서 그리스 조각의 수법을 사용하여 사실적인 불상이나 보살상이 만들어졌다.

5세기에는 이 지역에 에프탈이 침입하여 간다라 미술의 번영은 막을 내렸다.

3. 1. 불상 조각

간다라 불상의 특징은 나발이 파상형의 긴 머리카락이고, 눈매가 깊으며, 코가 우뚝 솟은 서양인처럼 보이는 얼굴이다. 옷 주름도 깊게 새겨져 자연스러운 형태를 하고 있다.[3] 이는 그리스 조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초기 불교 미술에서는 부처를 상징적인 형태로만 표현했지만 간다라 미술에서는 처음으로 부처를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하기 시작했다.[17]

부처의 설법. 쿠샨 제국 시대. 델리 국립 박물관 소장


부처의 표현에는 그리스의 영향을 보여주는 많은 양식적 요소들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그리스의 히마티온(양쪽 어깨를 덮는 가볍고 물결치는 토가와 같은 옷), 후광, 콘트라포스토 자세, 지중해식 곱슬머리와 땋은 머리, 그리고 강한 사실주의로 묘사된 얼굴 표현 등이 있다.

부처의 수호신으로서의 바즈라파니가 묘사된 헤라클레스, 서기 2세기, 간다라, 대영 박물관.


간다라 미술에서 부처는 종종 그리스 신 헤라클레스의 보호를 받으며 묘사되기도 한다.[36]

3. 2. 건축 양식

간다라 미술은 건축에서도 헬레니즘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그리스-바크트리아의 침공 이후 인도-그리스 왕국이 인도에 설립되면서 이러한 영향이 강해졌다. 코린트식 기둥이나 인도-코린트식 기둥머리, 과일 화환, 두루마리 같은 헬레니즘 장식 모티프가 사용되었다.[18] 네레이스가 케토스 해양 괴물을 타고 있는 것과 같은 순수한 헬레니즘 주제를 나타내는 유물도 발견된다.

트로이의 목마 이야기가 묘사된 간다라 미술. 대영 박물관.


기원전 180년경 데메트리우스 1세에 의해 건설된 그리스 도시 시르카프의 탑파는 헬레니즘과 불교를 비롯해 힌두교조로아스터교와 같은 다른 종교 간의 강력한 혼합주의를 보여준다. 이 탑파는 훌륭한 헬레니즘적 기법으로 코린트식 기둥을 사용하여 장식되었다.

아틀라스가 불교 기념물을 받치고 있는 모습, 하다.


이후 하다에서는 그리스 신 아틀라스가 장식된 그리스 기둥과 함께 불교 기념물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이 모티프는 인도 아대륙 전반에 걸쳐 널리 채택되었으며, 기원전 2세기경 숭가 제국의 기념물에서 아틀라스는 인도 야크샤로 대체되었다.

간다라의 조각가들은 수도원과 종교 건축물의 장식을 위해 석고와 돌을 널리 사용했다. 특히 석고는 예술가에게 훌륭한 유연성을 제공하여 조각에 높은 수준의 표현력을 부여할 수 있게 했다.

3. 3. 다양한 신들의 표현

간다라 미술은 불교의 신들뿐만 아니라 그리스 신화의 신들도 표현했다. 예를 들어, 헤라클레스금강역사의 모습으로[37], 아틀라스는 불교 건축물을 떠받치는 모습으로 표현되었다.[36]

4. 동아시아 미술에 미친 영향

간다라 미술은 불교 전파와 함께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간다라 미술의 특징인 사실주의, 정교한 옷 주름, 곱슬머리, 화환을 든 날개 달린 인물 등이 동아시아 미술에 영향을 주었다.[46]

타림 분지의 미술은 세린디아 미술이라고도 불리며, 간다라 미술에서 유래하여 인도, 그리스, 로마의 영향을 받았다. 이 미술은 실크로드를 통해 불교와 함께 전파되었으며, 중국과 페르시아의 영향과 혼합되었다.

원래 불교 신자들은 불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지 않았지만, 기원 전후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박트리아 지역에서 고대 그리스 조각 수법을 사용하여 사실적인 불상보살상이 만들어졌다. 간다라 불상은 서양인처럼 보이는 뚜렷한 이목구비와 깊게 새겨진 옷 주름이 특징이다. 이러한 간다라 불상 조각 기술은 인도 본토는 물론,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 대륙, 한반도, 일본에까지 전해졌다.

인도 문명은 동남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부분의 국가가 인도식 문자와 문화를 받아들였다. 힌두교, 대승 불교, 상좌부 불교도 함께 전파되었다. 그리스-불교 미술의 영향은 동남아시아에서 부처 묘사의 이상주의, 사실주의, 옷의 세부 묘사 등에서 나타나며, 점차 지역적 요소와 혼합되었다.

헬레니즘 불교 미술의 연대기 및 영향
시대북아시아중앙아시아간다라인도동남아시아
기원전 5세기불교의 탄생
기원전 4세기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점령 (기원전 330년)
기원전 3~2세기셀레우코스 제국 (기원전 300-250년)

----------
그레코-박트리아 왕국 (기원전 250-125년)
(헬레니즘 미술)
마우리아 제국 (기원전 321-185년)
(비상징 미술)

미얀마로의 불교 전래
기원전 2~1세기중국, 한나라
중앙아시아에서 불상 수입에 대한 최초 언급 (기원전 120년)
인도-그리스 왕국 (기원전 180년-서기 10년)
불교 상징주의와 포교


자립형 불상 (푸셰 외.)

숭가 제국 (기원전 185-73년)

기원전 1세기월지족
헬레니즘화되어 불교를 전파한 유목민 침략자
인도-스키타이 (기원전 80-20년)


서기 1세기중국 불교의 공식적인 시작. 서기 70년에 불상 도착.인도-파르티아

마투라의 미술
서기 1~3세기
중국 최초의 불상 (후기 , 서기 200년경)
쿠샨 제국 (서기 10-350년)


서기 4~6세기타림 분지

중국

일본 불교의 시작
박트리아굽타 제국 (서기 320-550년)


대승 불교가 , 캄보디아, 베트남으로 전파
서기 7~13세기일본
이슬람의 침략팔라 제국 (11세기)
동남아시아

--
11세기에 스리랑카에서 상좌부 불교 도입


4. 1. 중국

중국의 불교 미술은 초기에는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간다라 불상과 유사한 양식을 보였다. 한나라 시대의 화폐수 유물에서는 높은 육계(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혹), 세로로 묶은 머리카락, 콧수염, 대칭적인 옷 주름 등 간다라 미술의 특징이 나타나는 작은 불상들이 발견된다.[45]

둔황의 벽화에는 한 무제가 불상을 숭배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불상이 기원전 2세기, 즉 인도-그리스 시대에 이미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자료로 해석되기도 한다. 후한서에는 서기 67년경 한 명제가 불교에 대해 질문하고, 월지에 사절을 보내 불상의 그림과 조각상을 가져왔다는 기록이 있어, 이 시기 이전에 이미 불상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북위 시대의 불상은 간다라 불상의 영향을 받았지만, 점차 중국화된 양식으로 발전했다. 일부 북위북제 시대 불상은 간다라 양식의 입상 불상을 연상시키지만, 보다 상징적인 스타일을 띠고 있다. 동위 시대의 불상 중에는 정교한 그리스풍 옷 주름과 화환을 든 비천(하늘을 나는 천사)상으로 장식된 불상도 있다.

4. 2. 한국

한국의 불교 미술은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삼국시대 불상은 간다라 불상의 특징을 계승하면서도 한국적인 특징을 더하여 독자적인 양식을 발전시켰다. 신라석굴암 본존불상은 간다라 불상의 영향을 받아 뚜렷한 이목구비와 신체 비례, 옷 주름 표현 등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한국적인 이상미를 추구하여 독자적인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4. 3. 일본

548년 불교가 일본에 전파되면서 불교 미술이 발전하였다. 백제를 통해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은 일본은 아스카 시대의 불상에서 헬레니즘 양식의 옷 주름과 사실주의적인 표현을 보여주는 고전적인 스타일을 나타냈다.[46] 중국과 한국의 영향도 받아 일본 불교 미술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그리스풍 옷 주름을 한 부처의 묘사처럼, 고대 그리스 미술의 요소들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일본의 바람의 신 후진은 그리스 신 보레아스와 도상학적 특징이 유사하다. 이는 간다라 미술의 영향이 일본까지 전해졌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47]


5. 주요 유물 및 유적


  • 비마란 사리함: 간다라에서 발견된 초기 불상 중 하나로, 헬레니즘 양식과 불교 도상학을 보여준다.
  • 카니슈카 사리함: 쿠샨 왕조의 카니슈카 왕 시대에 제작된 사리함으로, 불교 도상과 함께 쿠샨 왕조의 문화를 보여준다. 브라흐마인드라에 둘러싸인 부처의 모습과 카니슈카 왕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38]
  • 타파 쇼토르 사원: 간다라 지역의 대표적인 불교 사원 유적 중 하나로, 헬레니즘 양식의 불상과 건축 장식이 발견되었다.
  • 바미안 석불: 아프가니스탄 바미안 계곡에 있던 거대한 불상으로,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받은 헬레니즘 양식의 대표적인 사례였으나, 2001년 탈레반에 의해 파괴되었다.

6. 주요 소장처

박물관/미술관명국가도시소장 유물 수비고
페샤와르 박물관파키스탄페샤와르세계 최대 소장품
라호르 박물관파키스탄라호르
탁실라 박물관파키스탄탁실라
파키스탄 국립 박물관파키스탄카라치
인도 박물관인도콜카타인도 최대 소장품
찬디가르 정부 박물관 및 미술관인도찬디가르627점인도에서 두 번째로 큰 소장처
마투라 박물관인도마투라
국립 박물관인도뉴델리
기메 미술관프랑스파리약 150점아시아 외 최대 소장품
대영 박물관영국런던약 100점간다라의 좌불 포함
도쿄 국립 박물관일본도쿄약 50점
동양 예술 국립 박물관이탈리아로마약 80점
아시아 미술관독일다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미국뉴욕
고대 오리엔트 박물관일본도쿄약 20점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영국런던약 30점
고대 미술 시립 박물관 in 마담 궁전이탈리아토리노
루빈 미술관미국뉴욕
체이즌 미술관미국매디슨


참조

[1] 서적 The art of Gandhara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7-12-01
[2] 문서 Craven, 40, 70, 84; Harle, 126
[3] 문서 Craven, 100-101; Harle, 84
[4] 백과사전 Maritime Buddhism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2-20
[5]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6] 서적 An Historical Atlas of the Indian Peninsula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7] 서적 The Coin Types of the Indo-Greek Kings, 256-54 B.C. Ares 1976
[8] 서적 Grosser Atlas zur Weltgeschichte: Vorzeit, Altertum, Mittelalter, Neuzeit Georg Westermann Verlag 1978
[9] 문서 Rowland, 125-128
[10] 문서 The title, for example, of Rowland's "Part 3".
[11] 문서 Rowland, 126
[12] 문서 Harle, 82-83; Rowland, 126
[13] 문서 Rowland, 121
[14] 문서 Rowland, 122, 126
[15] 문서 Harle, 84; Craven, 97
[16] 웹사이트 Mauryan Period and the Rise of Buddhism | Asian Art History https://courses.lume[...]
[17] 서적 The Art of Buddhism: An Introduction to Its History & Meaning https://books.google[...] Shambhala Publications 2008
[18] 서적 The Diffusion of Classical Art in Antiqu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19] 서적 Greek Gods in the East https://books.google[...] Charles University in Prague, Karolinum Press 2012
[20] 서적 The Monuments of Afghanistan: History, Archaeology and Architecture I. B. Tauris 2008
[21] 서적 The Buddha Image: Its Origin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Bharatiya Vidya Bhavan 1996
[22] 서적 The Buddha Image: Its Origin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Bharatiya Vidya Bhavan 1996
[23] 서적 Ancient Indian History and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New Age International 1999
[24] 서적 Buddhist Landscapes in Central India: Sanchi Hill and Archaeologies of Religious and Social Change, C. Third Century BC to Fifth Century AD https://books.google[...] Left Coast Press 2013
[25]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0
[26] 서적 An Encyclopaedia of Indian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BRILL
[27] 서적 Buddhist Landscapes in Central India: Sanchi Hill and Archaeologies of Religious and Social Change, C. Third Century BC to Fifth Century AD https://books.google[...] Left Coast Press 2013
[28] 간행물 An Indian Statuette From Pompeii https://ja.scribd.co[...] Artibus Asiae 1950
[29] 서적 Ashoka: The Search for India's Lost Emperor https://books.google[...] Hachette UK 2012
[30] 서적 The Diffusion of Classical Art in Antiqu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0
[32] 서적 The stūpa of Bharhut: a Buddhist monument ornamented with numerous sculptures illustrative of Buddhist legend and history in the third century B. C https://archive.org/[...]
[33]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Grafikol 2010
[34] 학술지 Le site ruiné de Hadda https://halshs.archi[...]
[35] 웹사이트 Tepe Shotor Tableau. Hadda, Nangarhar Province. ACKU Images System https://ackuimages.p[...]
[36] 웹아카이브 Vajrapani-Herakles Image http://www.exoticind[...] 2013-12-16
[37] 서적 Alexander the Great, East-West cultural contacts from Greece to Japan
[38] 웹사이트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s://www.metmuseu[...]
[39] 서적 The Spread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BRILL 2007-05-11
[40] 간행물 An Exceptional Group of Painted Buddha Figures at Ajanṭā https://journals.ub.[...]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1981
[41] 서적 The Śāmalājī Sculptures and 6th Century Art in Western India https://books.google[...] BRILL 1985
[42] 서적 The Buddhist Caves at Aurangabad: Transformations in Art and Relig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0
[43] 서적 The Śāmalājī Sculptures and 6th Century Art in Western India https://books.google[...] BRILL 1985
[44] 간행물 An Exceptional Group of Painted Buddha Figures at Ajanṭā https://journals.ub.[...]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1981
[45] 서적 Crossroads of Asia
[46] 서적 Alexander the Great, East-West cultural contacts from Greece to Japan
[47] 서적 Alexander the Great, East-West cultural contacts from Greece to Japan
[48] 뉴스 Musee Guimet and the Greek Buddhas of Gandhara http://www.minorsigh[...] 2014-04-06
[49] 웹사이트 ガンダーラのギリシャ仏教美術 http://www.youscribe[...] 1923
[50] 서적 The art of Gandhara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7-12-01
[51] 문서 Craven, 40, 70, 84; Harle, 126
[52] 문서 Craven, 100-101; Harle, 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