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姜, 康, 強, 江, 剛)은 한국과 중국에서 사용되는 성씨이다.
- 강(姜)씨: 가장 오래된 성씨로, 진주 강씨, 금천 강씨 등이 있으며, 강이식을 시조로 하는 진주 강씨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중국에서는 염제 신농씨의 후손으로 247개의 성씨로 분파되었으며, 한국에는 약 132만 명이 있다.
- 강(康)씨: 신천 강씨가 대종이며, 곡산 강씨와 재령 강씨 등으로 분파된다. 신천 강씨는 강호경을 시조로 하며, 한국에 약 9만 명이 있다.
- 강(強)씨: 강(姜)씨에서 분성된 성씨로, 충주 강씨가 대표적이며, 한국에 약 770명이 있다.
- 강(江)씨: 중국의 성씨로, 장쩌민이 대표적이며, 한국에는 34명이 있다.
- 강(剛)씨: 만주족 출신으로, 괴산 강씨가 있으며, 한국에는 9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씨 - 강 (중국 성씨)
강씨는 중국에서 51번째로 많은 성씨로, 강태공을 시조로 하며 염제 신농씨의 후손에서 비롯되었고, 주나라 무왕을 도와 상나라를 멸망시킨 공으로 제나라의 초대 제후에 봉해졌으며, 고, 노, 여 등 247여 개의 성씨가 강씨에서 파생되었고,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주요 인물들이 배출되었다. - 강씨 - 강영훈 (외교관)
강영훈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관 생활을 하며 주미국 및 영국 대사관 근무, 외무부 통상국장, 주 영국 대사, 외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제13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강 (성씨) | |
---|---|
성씨 정보 | |
한글 | 강 |
한자 | 姜 또는 康 |
로마자 표기 | Ga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ang |
2. 강(姜)씨
성씨가 한자 '姜'인 씨족으로는 진주 강씨와 금천 강씨가 있다. 대다수는 진주 강씨(진주 강씨|晉州 姜氏한국어)에 속하며, 고구려 장수 강이식의 후손이라고 한다. 금천 강씨(금천 강씨|衿川 姜氏한국어)는 현재 서울특별시의 일부인 금천구를 본관으로 하는 조상을 둔 후손이다.
2. 1. 기원과 역사
강(姜)씨는 현존하는 성씨 중 가장 오래된 성씨 중 하나로, 중국 염제 신농씨를 시조로 한다. 염제 신농씨는 5200년 전 중국을 통치했으며, 강(姜)씨는 그가 섬서성 기산현을 흐르는 강수(姜水)에서 자란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강태공은 염제 신농씨의 후손으로, 주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제나라의 왕이 되었다. 제나라는 강태공의 후손들이 대대로 통치하며 춘추전국시대 강국으로 번성했다. 제환공 강소백은 춘추시대 첫 번째 패왕이 되어 제나라를 더욱 강하게 만들었다.
삼국시대에는 강유가 촉한의 대장군으로 활약하며 이름을 떨쳤다. 당나라 시기에는 강각, 강공보와 같은 재상들을 배출하였다.
강씨는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베트남 등 여러 나라의 역사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강씨에서 분파된 성씨는 247여 개에 이르며, 이들은 각 나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2. 1. 1. 중국
염제 신농씨에서 비롯된 강(姜)씨는 중국에서 인구 순위 51위의 성씨이다. 천수 강씨가 대종(大宗)이며, 광동, 산서 등지에 분파가 있다.염제 신농씨, 강태공 외에도 강유, 강공보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들을 많이 배출했다. 강(姜)씨에서 분파된 성씨는 247개에 달하며, 고씨(高), 노씨(盧), 여씨(呂) 등이 대표적이다.
2. 1. 2. 한국
고구려의 병마도원수(兵馬都元帥)였던 강이식을 시조로 하는 진주 강씨가 한국 강(姜)씨의 대본이다. 강이식은 597년 수나라 문제가 무례한 국서를 보내오자 "이와 같은 무례한 글은 붓으로 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답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임유관에서 수나라 군사 30만을 격퇴하는 등 큰 공을 세웠다. 강이식의 후손들은 신라 헌강왕 때 강진이 진양후에 봉해지면서 진주를 본관으로 삼았다.고려 시대에는 강감찬이 983년 과거에 급제하고 요나라의 침입을 막아냈으며, 1030년에는 문하시중에 올랐다.
진주 강씨는 박사공파, 인헌공파, 은열공파, 관서공파, 소감공파로 나뉘며, 박사공파는 다시 강사첨의 자녀에 따라 통정공파와 통계공파로 나뉜다.
금천 강씨(衿川 姜氏)는 강이식 장군의 후손 강여청의 5대손인 강궁진(姜弓珍)을 시조로 한다. 강궁진은 금천(衿川)의 호족으로서 고려 통일에 협력하여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올랐다.
2021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강(姜)씨는 1,321,575명으로 한국 성씨 인구 순위 6위이다. 문헌상으로는 114본이 전해지지만, 현존하는 본관은 진주, 전주, 강릉, 평양, 나주 등 32본이다. 이 중 시조가 기록된 본관은 진주, 금천, 안동, 배천, 해미, 동복, 광주 7본이지만, 대본은 '''진주 강씨'''이다.
2. 1. 3. 일본
일본의 강(姜)씨는 일본어로 '쿄(Kyo)'라고 발음한다. 이들은 중국 제나라 왕족의 후손이거나 재일교포 출신이다.2. 1. 4. 강씨(姜氏)가 세운 나라 (강성제국/姜姓帝國)
염제 신농씨가 세운 나라로, 520년간 중국을 통치했다.[1] 강태공이 세운 제나라는 800여 년간 32대의 왕이 통치했다.[1] 그 외에도 여국(呂國), 기국(紀國), 허국(許國), 신국(申國), 장국(鄣國), 습국(習國), 북제(北齊), 북주(北周), 후량(后凉), 후주(后周), 진나라(秦國), 명나라(大明), 베트남 등에서 강씨 또는 강씨에서 분파된 성씨가 나라를 건국하거나 통치했다.[1]강씨에서 황제(皇帝)를 배출한 성씨는 다음과 같다.[1]
2. 2. 분파
姜氏중국어는 여러 분파로 나뉜다.- '''진주 강씨'''(晉州 姜氏): 강이식을 시조로 하는 한국 강씨의 대본이다. 강이식은 고구려 때 병마원수(兵馬元帥)를 지낸 인물이다.[1] 진주 강씨는 박사공파(博士公派), 인헌공파(仁憲公派), 은열공파(殷烈公派), 관서공파(關西公派), 소감공파(少監公派) 등으로 나뉜다.
- '''금천 강씨'''(衿川 姜氏): 강여청의 후손 강궁진을 시조로 하며, 고려 시대 명장 강감찬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 그 외 안동 강씨, 배천 강씨, 해미 강씨, 동복 강씨, 광주 강씨 등이 있다.
2. 3. 주요 인물
다음은 강씨 성을 가진 주요 인물 목록이다.==== 역사적 인물 ====
- '''강이식'''(姜以式): 고구려의 병마도원수로 수나라를 격퇴했다.[1]
- '''강감찬'''(姜邯贊): 고려의 명장으로 요나라의 침입을 격퇴했다.[1]
- '''강희안'''(姜希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했다.[1]
- '''강희맹'''(姜希孟):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1]
- '''강세황'''(姜世晃): 조선 후기의 문인, 화가, 평론가.[1]
- '''강민첨'''(姜民瞻): 강감찬 장군을 도와 거란군을 격파한 고려 장군.[1]
- '''강조'''(姜兆): 고려 관리.[1]
- '''강홍립'''(姜弘立): 조선 무관.[1]
- '''강맹경'''(姜孟卿): 조선시대 영의정.[1]
- '''강빈'''(愍懷嬪 姜氏): 소현세자빈.[1]
- '''강항'''(姜沆): 임진왜란 때 일본에 납치되어 일본에 성리학을 전하고 귀국.[1]
- '''강윤성'''(姜允成): 고려 문관.[1]
==== 현대 인물 ====
- 강부자 (194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창희 (1946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
- 강창기 (1927–2007):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강동석 (195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
- 강동석 (모험가) (1969년 출생): 대한민국의 요트 선수.
- 강동원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풀 (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웹툰 작가.
- 강경효 (1964년 출생): 대한민국의 근대 5종 선수.
- 강하늘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혜원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 강한나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희건 (예명 Gary, 1978년 출생): 대한민국의 래퍼.
- 강호동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방송인.
- 강홍석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훈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화길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가.
- 강혜정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혜미 (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 강형철: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
- 강형구 (예명 Kino,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펜타곤의 멤버.
- 강형호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 강인수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
- 강제규 (1962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강지환 (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배우.
- 강진아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
- 강정애 (1957년 출생): 대한민국의 교수이자 정치인.
- 강정호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 강기둥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기영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균성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방송인으로, 보이 그룹 노을의 멤버.
- 강경호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
- 강경헌 (197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경진 (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배드민턴 선수이자 코치.
- 강경준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경민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
- 강경옥 (1965년 출생): 대한민국의 만화가.
- 강경화 (1955년 출생):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
- 강말금 (197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민 (일명 Nal_rA,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프로 스타크래프트 선수.
- 강민아 (199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민희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 강민혁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배우로, 팝 록 밴드 씨엔블루의 멤버.
- 강민혁 (배드민턴) (199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
- 강민경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팝 듀오 다비치의 멤버.
- 강민수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강나언 (200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낙연 (1967년 출생): 대한민국의 알파인 스키 선수.
- 강남길 (195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능수 (1930–2015): 북한의 문학 평론가이자 정치인.
- 강외정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장애인 탁구 선수로, 패럴림픽 동메달리스트.
- 강옥순 (1946년 출생): 북한의 전 배구 선수.
- 강래연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
- 강량욱 (1903–1983): 북한의 전 부주석.
- 강룡운 (1942년 출생): 북한의 프로 축구 선수.
- 강산에 (1963년 출생): 대한민국의 포크 록 싱어송라이터.
- 강상희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강상재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농구 선수.
- 강상중 (1950년 출생): 일본 출생의 한국 학자.
- 강상우 (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 선수.
- 강상윤 (2004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강세정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슬기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그룹 레드벨벳의 멤버.
- 강승윤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위너의 멤버.
- 강신효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신일 (196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시라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
- 강소라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석경 (1951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가.
- 강수연 (1966–2022): 대한민국의 배우.
- 강수윤 (1976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
- 강성훈 (가수) (198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젝스키스의 전 멤버.
- 강성훈 (골프 선수)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
- 강태주 (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
- 강위석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시민 운동가.
- 강우석 (1960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이자 감독.
- 강예서 (2005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걸그룹 케플러의 멤버.
- 강예원 (197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이석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용섭 (1931–2012): 북한의 정치인.
- 강영훈 (1922–2016): 대한민국의 정치인.
- 강영현 (예명 영케이, 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팝 록 밴드 데이식스의 멤버.
- 강영중 (1949년 출생): 대한민국의 기업인.
- 강유찬 (1997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보이 그룹 ACE의 멤버.
- 강유정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 강유미 (코미디언)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코미디언이자 배우.
- 강유미 (축구 선수)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강윤구 (2002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강윤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터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강윤미 (체조 선수) (1988년 출생): 북한의 예술 체조 선수.
- 강윤성 (감독) (1971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
- 강별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
- 강찬희 (200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보이 그룹 SF9의 멤버.
- 강다현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
- 강대호 (예명 가호, 1997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프로듀서.
- 강대성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빅뱅의 멤버.
- 강다니엘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로, 보이 그룹 워너원의 전 멤버.
- 강동호 (예명 백호, 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뉴이스트의 전 멤버.
- 강해린 (200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그룹 NewJeans의 멤버.
- 강한별 (200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직 아역 배우.
- 강혜원 (1999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걸그룹 아이즈원의 전 멤버.
- 강지현 (예명 소유,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그룹 씨스타의 전 멤버.
- 강지영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그룹 카라의 멤버.
- 강주혁 (2006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 강미나 (1999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걸그룹 아이오아이와 구구단의 전 멤버.
==== 한국계 미국인 ====
- 앤젤라 강 (1976년 출생): 미국의 텔레비전 작가.
- 앤서니 강 (1972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프로 골프 선수.
- BJ 강: 미국 연방 수사국(FBI) 특별 수사관.
- C.S. 엘리엇 강 (1962년 출생): 미국의 외교관.
- 도원 강 (1931–1992): 한국계 미국인 전기 기술자이자 발명가.
- 에밀 강 (1968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예술 행정가.
- 현이 강 (1967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학자이자 작가.
- 제이 캐스피언 강 (1979년 출생): 미국의 작가이자 편집자.
- 캐서린 안나 강 (1970년 출생): 미국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 마이클 강 (감독) (1970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
- 마이클 강 (음악가) (1971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멀티 악기 연주자.
- 민수 강 (1967년 출생):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자 작가.
- 수키 강 (1952년 출생): 미국의 정치인.
- 성 강 (1972년 출생): 미국의 배우.
- 성모 강: 미국의 전기 공학 과학자.
- 팀 강 (1973년 출생): 미국의 배우.
- 영 우 강 (1944–2012): 한국계 미국인 장애인 권리 옹호자이자 작가.
- 영힐 강 (1898–1972): 한국계 미국인 작가.
2. 3. 1. 역사적 인물
- '''강이식'''(姜以式): 고구려의 병마도원수로 597년(고구려 영양왕 8년) 수 문제의 무례한 국서에 "칼로 답해야 한다"고 주장, 임유관에서 수나라 30만 대군을 격퇴했다. 603년 수 양제의 100만 침략에도 을지문덕과 함께 살수에서 수군을 대파했다.[1] 현재 중국 만주 심양현 원수림 역앞에 묘비가 있다.[1]
- '''강감찬'''(姜邯贊): 983년(고려 성종 3년) 과거에 급제, 요나라의 침입을 격퇴하고 1030년(현종 21)에 문하시중에 오른 고려의 명장.[1]
- '''강희안'''(姜希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집현전 학사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했다.[1]
- '''강희맹'''(姜希孟):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1]
- '''강세황'''(姜世晃): 조선 후기의 문인, 화가, 평론가.[1]
- '''강민첨'''(姜民瞻): 강감찬 장군을 도와 거란군을 격파한 고려 장군. 진주 강씨 은열공파 시조.[1]
- '''강조'''(姜兆): 고려 관리.[1]
- '''강홍립'''(姜弘立): 조선 무관.[1]
- '''강맹경'''(姜孟卿): 조선시대 영의정.[1]
-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 소현세자빈. 조선 인조의 맏아들 소현세자의 부인.[1]
- '''강항'''(姜沆): 임진왜란 때 일본에 납치되어 일본에 성리학을 전하고 귀국. 일본 성리학의 시조.[1]
- '''강윤성'''(姜允成): 고려 문관.[1]
2. 3. 2. 현대 인물
- 강부자 (194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창희 (1946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강창기 (1927–2007):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였다.
- 강동석 (195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바이올리니스트이다.
- 강동석 (모험가) (1969년 출생): 대한민국의 요트 선수이다.
- 강동원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풀 (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웹툰 작가이다.
- 강경효 (1964년 출생): 대한민국의 근대 5종 선수이다.
- 강하늘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혜원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이다.
- 강한나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희건 (예명 Gary, 1978년 출생): 대한민국의 래퍼이다.
- 강호동 (197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다.
- 강홍석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훈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화길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 강혜정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혜미 (1974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이다.
- 강형철: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 강형구 (예명 Kino,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펜타곤의 멤버이다.
- 강형호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강인수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 강제규 (1962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 강지환 (1977년 출생): 대한민국의 은퇴한 배우이다.
- 강진아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 강정애 (1957년 출생): 대한민국의 교수이자 정치인이다.
- 강정호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다.
- 강기둥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기영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균성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방송인으로, 보이 그룹 노을의 멤버이다.
- 강경호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이다.
- 강경헌 (197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경진 (1973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배드민턴 선수이자 코치이다.
- 강경준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경민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핸드볼 선수이다.
- 강경옥 (1965년 출생):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 강경화 (1955년 출생):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이다.
- 강말금 (197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민 (일명 Nal_rA,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 프로 스타크래프트 선수이다.
- 강민아 (1997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민희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강민혁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음악가이자 배우로, 팝 록 밴드 씨엔블루의 멤버이다.
- 강민혁 (배드민턴) (199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드민턴 선수이다.
- 강민경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팝 듀오 다비치의 멤버이다.
- 강민수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강나언 (200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낙연 (1967년 출생): 대한민국의 알파인 스키 선수이다.
- 강남길 (195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능수 (1930–2015): 북한의 문학 평론가이자 정치인이다.
- 강외정 (1966년 출생): 대한민국의 장애인 탁구 선수로, 패럴림픽 동메달리스트이다.
- 강옥순 (1946년 출생): 북한의 전 배구 선수이다.
- 강래연 (1981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 강량욱 (1903–1983): 북한의 전 부주석이었다.
- 강룡운 (1942년 출생): 북한의 프로 축구 선수이다.
- 강산에 (1963년 출생): 대한민국의 포크 록 싱어송라이터이다.
- 강상희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강상재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농구 선수이다.
- 강상중 (1950년 출생): 일본 출생의 한국 학자이다.
- 강상우 (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 선수이다.
- 강상윤 (2004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강세정 (198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슬기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그룹 레드벨벳의 멤버이다.
- 강승윤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위너의 멤버이다.
- 강신효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신일 (196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시라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강소라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석경 (1951년 출생): 대한민국의 작가이다.
- 강수연 (1966–2022): 대한민국의 배우였다.
- 강수윤 (1976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이다.
- 강성훈 (가수) (198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젝스키스의 전 멤버이다.
- 강성훈 (골프 선수) (1987년 출생):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이다.
- 강태주 (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 강위석 (1986년 출생): 대한민국의 시민 운동가이다.
- 강우석 (1960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이자 감독이다.
- 강예서 (2005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걸그룹 케플러의 멤버이다.
- 강예원 (1979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이석 (1998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용섭 (1931–2012): 북한의 정치인이다.
- 강영훈 (1922–2016):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강영현 (예명 영케이, 1993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팝 록 밴드 데이식스의 멤버이다.
- 강영중 (1949년 출생):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 강유찬 (1997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보이 그룹 ACE의 멤버이다.
- 강유정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다.
- 강유미 (코미디언) (1983년 출생): 대한민국의 코미디언이자 배우이다.
- 강유미 (축구 선수) (1991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강윤구 (2002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강윤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1988년 출생):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터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 강윤미 (체조 선수) (1988년 출생): 북한의 예술 체조 선수이다.
- 강윤성 (감독) (1971년 출생):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 강별 (1990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찬희 (2000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보이 그룹 SF9의 멤버이다.
- 강다현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 강대호 (예명 가호, 1997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프로듀서이다.
- 강대성 (1989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빅뱅의 멤버이다.
- 강다니엘 (1996년 출생):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로, 보이 그룹 워너원의 전 멤버이다.
- 강동호 (예명 백호, 1995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보이 그룹 뉴이스트의 전 멤버이다.
- 강해린 (2006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그룹 NewJeans의 멤버이다.
- 강한별 (2002년 출생): 대한민국의 전직 아역 배우이다.
- 강혜원 (1999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걸그룹 아이즈원의 전 멤버이다.
- 강지현 (예명 소유, 1992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그룹 씨스타의 전 멤버이다.
- 강지영 (1994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로, 걸그룹 카라의 멤버이다.
- 강주혁 (2006년 출생):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강미나 (1999년 출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로, 걸그룹 아이오아이와 구구단의 전 멤버이다.
한국계 미국인
- 앤젤라 강 (1976년 출생): 미국의 텔레비전 작가이다.
- 앤서니 강 (1972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프로 골프 선수이다.
- BJ 강: 미국 연방 수사국(FBI) 특별 수사관이다.
- C.S. 엘리엇 강 (1962년 출생): 미국의 외교관이다.
- 도원 강 (1931–1992): 한국계 미국인 전기 기술자이자 발명가였다.
- 에밀 강 (1968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예술 행정가이다.
- 현이 강 (1967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학자이자 작가이다.
- 제이 캐스피언 강 (1979년 출생): 미국의 작가이자 편집자이다.
- 캐서린 안나 강 (1970년 출생): 미국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이다.
- 마이클 강 (감독) (1970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영화 감독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 마이클 강 (음악가) (1971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멀티 악기 연주자로, 잼 밴드 The String Cheese Incident의 멤버이다.
- 민수 강 (1967년 출생):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이자 작가이다.
- 수키 강 (1952년 출생): 미국의 정치인이다.
- 성 강 (1972년 출생): 미국의 배우이다.
- 성모 강: 미국의 전기 공학 과학자이다.
- 팀 강 (1973년 출생): 미국의 배우이다.
- 영 우 강 (1944–2012): 한국계 미국인 장애인 권리 옹호자이자 작가였다.
- 영힐 강 (1898–1972): 한국계 미국인 작가였다.
3. 강(康)씨
강(康)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91,625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56위이다. 본관은 신천, 곡산, 재령, 충원, 제주, 진주 등 10여 본이 문헌에 전해지나, 현재는 신천, 곡산, 재령 3본이 주를 이룬다. 평안남도, 평안북도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3. 1. 기원과 역사
강(康)씨는 중국 주나라 무왕의 아우 강숙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강(康)씨는 신천 강씨가 대종이며, 곡산 강씨, 재령 강씨 등으로 분파된다.- 신천 강씨(信川 康氏)는 강후(康候)를 비조로 하며, 그는 기원전 198년에 고조선 평양에 들어와 왕실을 교화한 공으로 기자로부터 강씨 성을 받았다고 한다. 강호경을 시조로 하고 있으며, 중시조 강지연은 고려 고종 때 호성공신에 오르고 신성부원군에 봉해졌다.
- 곡산 강씨(谷山 康氏)는 강지연의 6세손 강서(康庶)를 시조로 하며, 그는 상산백(象山伯)에 봉해졌다.
- 재령 강씨(載寧 康氏)는 강지연의 8세손 강득룡(康得龍)을 시조로 하며, 조선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는 그의 친누이동생이다. 강득룡은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을 결심, 관악산에 들어가 은거하였다고 전해진다.
- 영강 강씨(永康 康氏) 시조 강증(康拯)은 고려 예종 때 여진정벌에 공을 세워 평장사(平章事)에 이르렀다.
3. 2. 분파
- '''신천 강씨(信川 康氏)'''는 고구려 유민 출신인 성골장군(聖骨將軍) '''강호경'''(康虎景)을 시조로 하고 있다. 시조 강호경은 중국 주나라 무왕의 아우 강숙(康叔)의 둘째 아들의 후손으로 기원전 198년에 고조선 평양에 들어와 왕실을 교화한 공으로 기자로부터 강씨 성을 받았다고 한다. 중시조 '''강지연'''(康之淵)은 강호경의 14세손으로 고려 고종 때 호성공신에 오르고 신성부원군에 봉해졌다. 신천 강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5명을 배출하였다. 2015년 인구는 52,945명이다.[1]
- '''곡산 강씨(谷山 康氏)'''의 시조 '''강서'''(康庶)는 신천 강씨의 중시조인 강지연(康之淵)의 6세손으로 상산백(象山伯)에 봉해졌다. 2015년 인구는 29,107명이다.[1]
- '''재령 강씨(載寧 康氏)'''의 시조 '''강득룡'''(康得龍)은 신천 강씨의 중시조인 강지연(康之淵)의 8세손으로 조선 태조의 계비(繼妃) 신덕왕후(神德王后)는 그의 친누이동생이다. 강득룡은 고려 공민왕 때 삼사우사(三司右使)를 지내다가,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을 결심, 관악산에 들어가 암자에 살면서 매일같이 산에 올라 개성을 향해 통곡하였는데, 이곳이 연주대(戀主臺)와 연주암으로 전해지고 있다. 태조는 그를 안릉부원군(安陵府院君)에 봉하여 안정공(安靖公)이란 시호를 내렸고 그의 후손들이 본관을 재령으로 하였다. 2015년 인구는 3,401명이다.[1]
- '''영강 강씨(永康 康氏)''' 시조 '''강증'''(康拯)은 고려 예종 때 병마판관(兵馬判官)을 지냈는데 여진정벌(女眞征伐)에 공이 있어 벼슬이 평장사(平章事)에 이르렀다.[1]
4. 강(強)씨
강(強)씨는 강(姜)씨에서 분성된 성씨로, 중국 송나라 때 강준명(強浚明)에 연원을 두고 있다. 천수 진(晋)의 대부 강일(强釰)의 후손으로 전해진다.[2]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강(強)씨는 770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충주(忠州) 668명, 괴산(槐山) 57명, 상산 21명 등이다.
본관 | 인구 (2015년) |
---|---|
충주(忠州) | 668명 |
괴산(槐山) | 57명 |
상산 | 21명 |
조선 현종 때 '''괴산 강씨'''(槐山強氏) 강의립(强義立)의 아들 강이민(强以敏, 1638년 ~ ?)이 1670년(현종 11년) 별시(別試) 무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3] 강이민은 1680년 서천만호(舒川萬戶)를 지내고, 1703년(숙종 29년) 어유간 첨사(魚游澗僉使)가 되었다.
5. 강(江)씨
강(江)씨는 중국의 성씨이다. 대표적인 인물로 중국 공산당 전 총서기 강택민이 있다.
강(江)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34명으로 조사되었다.[1]
6. 강(剛)씨
강(剛)씨는 중국 청나라 때 만주족 관료 출신 강의자(剛毅字)의 아들이었던 강량(剛良)의 후손으로 전한다. 강의자와 강량 부자는 만주인으로 공부상서를 지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1930년 국세조사에서 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방곡리에 강응룡(剛應龍) 1가구가 처음 나타났다. 강응룡에 따르면 1908년(융희 2) 민적부(民籍簿)에 기재할 때 강(强)을 강(剛)으로 잘못 기록했다고 한다.[1]
강(剛)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9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괴산(槐山)이 6명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행정구역(시도)/성씨·본관별 가구 및 인구
https://web.archive.[...]
KOSIS
2016-03-16
[2]
웹사이트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충주목 괴산군
http://sillok.histor[...]
[3]
서적
『경술추문무과별시방목(庚戌秋文武科別試榜目)』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