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왕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구려 왕실은 고구려를 건국한 동명성왕을 시조로 하며, 28대 보장왕까지 이어진다. 동명성왕은 해모수의 아들이며, 예랑, 소서노와 혼인하여 유리를 낳았다. 왕위는 동명성왕의 아들인 유리명왕을 시작으로 대무신왕, 모본왕, 태조대왕, 차대왕, 신대왕 등으로 이어졌다. 이후 동천왕, 중천왕, 서천왕 시대를 거쳐 봉상왕이 제거된 후 미천왕이 왕위에 올랐다. 고국원왕, 소수림왕, 광개토왕, 장수왕을 거쳐 문자명왕, 안장왕, 안원왕, 양원왕, 평원왕, 영양왕, 영류왕, 보장왕까지 이어졌다. 고구려 왕족의 후예로는 횡성 고씨, 요양 고씨, 고마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고구려 왕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왕가 정보 | |
왕가명 | 고씨 (高氏) |
국가 | 고구려 |
작위 | 고구려 국왕 |
건립일 | 기원전 37년 |
초대 통치자 | 동명성왕 |
최후 통치자 | 보장왕 |
몰락일 | 서기 668년 |
민족 | 고구려인 |
종교 | 불교 |
본가 | 해씨 |
분가 | 부여씨 |
2. 시조 및 건국
해모수(高慕漱)를 아버지로, 하유화(河柳花)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난 동명성왕(東明聖王, 기원전 58년 ~ 기원전 19년, 재위: 기원전 37년 ~ 기원전 19년)은 고구려의 초대 국왕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해모수왕(解慕漱王)이 아버지로 등장하고,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에는 천제(天帝)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고구려 건국 이전에 동명성왕이 맞이한 첫번째 부인은 예랑이며, 유리명왕(瑠璃明王, 기원전 38년 ~ 기원후 18년, 재위: 기원전 19년 ~ 기원후 18년)을 낳았다. 유리명왕은 고구려의 2대 국왕으로, 왕비는 다물후(多勿侯) 송양(松讓)의 딸인 송씨 부인이다.
졸본부여의 왕족이자 동명왕과 결혼하여 왕후(王后)가 된 소서노(召西奴, 기원전 66년 ~ 기원전 6년)는 비류와 온조왕을 양자로 두었다. 비류는 미추홀국의 국왕이 되었고, 온조왕은 백제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2. 1. 시조 동명성왕
해모수(高慕漱)를 아버지로, 하유화(河柳花)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난 동명성왕(東明聖王, 기원전 58년 ~ 기원전 19년, 재위: 기원전 37년 ~ 기원전 19년)은 고구려의 초대 국왕이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해모수왕(解慕漱王)이 아버지로 등장하고,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에는 천제(天帝)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고구려 건국 이전에 동명성왕이 맞이한 첫번째 부인은 예랑이며, 유리명왕(瑠璃明王, 기원전 38년 ~ 기원후 18년, 재위: 기원전 19년 ~ 기원후 18년)을 낳았다. 유리명왕은 고구려의 2대 국왕으로, 왕비는 다물후(多勿侯) 송양(松讓)의 딸인 송씨 부인이다.
졸본부여의 왕족이자 동명왕과 결혼하여 왕후(王后)가 된 소서노(召西奴, 기원전 66년 ~ 기원전 6년)는 비류와 온조왕을 양자로 두었다. 비류는 미추홀국의 국왕이 되었고, 온조왕은 백제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2. 2. 건국 신화
3. 역대 왕 계보
3. 1. 1대 동명성왕 ~ 5대 모본왕
고구려의 초대 국왕 동명성왕(58~19 재위:37~19)은 해모수(高慕漱)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하유화(?~24)이다. 동명성왕은 고구려 건국 이전에 예랑과 혼인하여 아들 유리명왕(38~18 재위:19~18)을 낳았다. 유리명왕은 고구려의 2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이후 동명성왕은 졸본부여의 왕족 소서노(66~6)와 혼인하였다.고구려 2대 국왕 유리명왕(38~18 재위:19~18)은 동명성왕과 예씨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왕후 송씨는 다물후(多勿侯) 송양(松讓)의 딸로, 슬하에 도절, 해명, 무휼 등을 낳았다. 무휼은 고구려의 3대 왕인 대무신왕(4~44)으로 즉위하였다. 대무신왕의 아들로는 모본왕(?~53, 재위:48~53)과 호동(?~32)이 있었다. 모본왕은 고구려의 5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유리명왕의 후궁으로는 한나라 출신인 치희(雉姬)와 골천(鶻川) 사람의 딸인 화희(禾姬)가 있었다.
고구려 3대 왕 대무신왕(4~44 재위: 18~44)은 유리명왕과 왕비 송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대무신왕은 갈사부여 갈사왕의 손녀 태후 해씨(解演)와 혼인하여 아들 호동(?~32)을 낳았다. 호동은 낙랑공주(?~32)와의 사랑이야기로 유명하며, 낙랑공주의 모함으로 자살하였다. 대무신왕의 또 다른 아들 모본왕(? ~53, 재위:48~53)은 고구려 제 5대 왕위에 올랐다.
고구려 4대 왕은 민중왕(?~48)이였으며, 5대 왕 모본왕(? ~53, 재위:48~53)은 대무신왕과 왕후 대실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민중왕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모본왕에게는 아들 고익(高翊)이 있었으나, 태자 책봉 이외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3. 2. 6대 태조왕 ~ 10대 산상왕
고재사는 유리명왕의 아들이자 태후 해씨의 아들로, 모본왕 사후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고령을 이유로 사양하고 아들 태조대왕에게 왕위를 잇게 했다. 태조대왕에게는 막근, 막덕이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146년 차대왕의 왕위 찬탈 이후 살해당했다.《삼국사기》에는 차대왕이 태조대왕의 형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후한서》에는 차대왕의 아버지로 기록되어 있어 논란이 있다. 차대왕에게는 고추안이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명림답부에 의해 차대왕이 살해되고 신대왕이 즉위하자 궁궐을 빠져나가 숨었다. 이후 신대왕의 대사면령에 따라 신대왕에게 용서를 구하고 양국군에 봉해졌다.
신대왕에게는 고남무, 고발기, 고연우, 고계수 등의 아들이 있었다. 고발기는 어리석다는 이유로 태자에 책봉되지 못하고 왕위 계승 분쟁을 일으켰다가 자살했다. 고계수는 고국천왕과 산상왕 시대에 장수로 활약했다.
고국천왕 사후, 왕후 우씨는 산상왕과 재혼하였다. 왕후 우씨는 고국천왕과 산상왕의 부인으로, 유언으로 산상왕릉 곁에 묻혔다. 산상왕은 주통촌 출신의 평민 여인인 소후(小后)를 후궁으로 두었고, 고우위거를 낳았다.
3. 3. 11대 동천왕 ~ 15대 미천왕
산상왕의 아들이자 신대왕의 손자인 동천왕에게는 중천왕이 되는 고연불과, 248년에 반란을 일으켰다가 살해된 고예물, 고사구 등의 아들이 있었다. 또한, 《삼국사기》에 따르면, 동천왕 19년(245년) 3월에 동해 사람이 미녀를 왕에게 바쳐 후궁으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동천왕의 아들 중천왕에게는 서천왕이 되는 고약로와 280년 숙신을 정벌한 고달가, 286년 모반을 획책하다 서천왕에게 살해된 고일우와 고소발 등의 아들이 있었다. 명림홀도는 256년에 중천왕의 사위가 되었다. 중천왕의 측실인 관나부인은 왕후 연씨를 투기하여 모함하였으나, 결국 자신이 모함한 방법대로 처형되었다.
중천왕의 아들 서천왕의 왕후는 서부 대사자 우수의 딸 왕후 우씨로, 271년에 왕후로 간택되었다. 서천왕에게는 봉상왕이 되는 고상부와 293년 봉상왕에 의해 자결한 고돌고 등의 아들이 있었다. 고돌고의 아들 고을불은 창조리의 반란으로 봉상왕이 제거된 후 왕위에 올랐다.
서천왕의 아들 봉상왕은 아들들과 함께 목을 매 자결하였다.
서천왕의 손자이자 고돌고의 아들인 미천왕의 왕비 왕후 주씨는 342년 모용황에게 미천왕의 시신과 함께 포로로 끌려가 355년까지 인질로 고초를 겪었다. 미천왕의 장남은 고국원왕이며, 차남 고무는 342년 연나라군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343년 연나라에 사신단을 이끌고 다녀왔다.
3. 4. 16대 고국원왕 ~ 20대 장수왕
미천왕의 아들이자 왕후 주씨의 소생인 고국원왕의 왕후는 정묘이다. 고국원왕의 장남은 소수림왕이며, 차남은 고국양왕이다. 고국양왕의 아들은 광개토왕(고담덕)이며, 며느리와의 사이에서 장수왕(고거련)을 낳았다. 장수왕은 아들 고조다와 고승천을 두었다.[4] 광개토왕의 아들인 장수왕은 아들 고조다와 고승우를 두었으며, 딸 횡성 고씨 공주(이름 미상)가 있었다.[5]3. 5. 21대 문자명왕 ~ 28대 보장왕
장수왕의 손자이자 고조다의 아들인 문자명왕이 21대 왕으로 즉위하였다.[6] 문자명왕의 아들로는 안장왕과 안원왕이 있었다.[7] 안장왕 사후 아들이 없자 동생인 안원왕이 23대 왕으로 즉위하였다.[8] 안원왕에게는 왕비인 정부인과 중부인, 소부인이 있었으며, 중부인의 아들 양원왕이 24대 왕이 되었다.양원왕의 아들 평원왕이 25대 왕으로 즉위하였고, 평원왕의 장남 영양왕이 26대, 차남 영류왕이 27대 왕이 되었다. 영류왕에게는 고환권, 고복덕 등의 아들이 있었다. 평원왕의 3남 고대양의 아들 보장왕이 28대 왕이 되었다. 보장왕에게는 고복남, 고덕남, 고임무, 고덕무, 고련, 고인승, 보덕왕 등의 아들이 있었다.
4. 왕족 및 후예
4. 1. 주요 왕족
4. 2. 후예
횡성 고씨(橫城 高氏)는 강원도 횡성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동명성왕 고주몽이며, 중시조 고인승(高仁承)은 동명성왕 고주몽의 26대손이다. 1824년 횡성 고씨(橫城 高氏) 족보가 발견되어 시조가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임을 밝혔고, 고구려 마지막 왕인 보장왕의 둘째 아들 인승(仁勝)이 동국고씨(東國高氏)의 시조이고, 중시조 인승으로부터 12세 손인 민후(旻厚)가 횡성에 정착, 횡성 고씨(橫城 高氏)의 시조가 되었다는 것이다. 1995년과 2004년 강원일보의 보도기사[9]로 그 존재가 세상에 알려졌다. 영서 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에 1만여명이 있다.중국의 요양(遼陽) 고(高)씨는 고구려의 20대 왕인 장수왕의 후손으로, 요령성(遼寧城) 태안현(台安縣)의 한 작은 읍인 大高麗房鎭(대고려방진)에 2천여명이 있다.[10][11]
고마씨(高麗氏)는 일본에서 고구려 왕족을 조상으로 하는 도래 씨족으로 고마(高麗)를 성으로 한다. 가바네(姓)은 고키시(王) 또는 아손(朝臣). 668년 고구려가 멸망한 뒤, 약 1,799명의 고구려인이 일본으로 망명했다. 다이호(大寶) 3년(703년)에 일본 조정은 고구려의 왕족으로 여겨지는 고구려의 옛 사신 현무약광(玄武若光)에게 고마노고키시(高麗王)라는 카바네를 주었다. 덴표쇼호(天平勝寶) 2년(750년)에는 고구려 광개토왕의 5대 손 배내복덕의 후예 다카쿠라노 후쿠노부 등의 일족에게 고마노아손(高麗朝臣)의 카바네를 내렸는데, 아손이라는 카바네를 도래인에게 내리는 것은 당시 일본에서는 이례적인 것이었다. 그 뒤 후쿠노부는 다시 성을 다카쿠라(高倉)로 고쳤다. 또한 약광의 자손은 대대로 고마 신사의 궁사(宮司)를 맡아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동족으로는 고구려 안장왕의 3대 손을 시조로 하는 고마(狛)씨가 있고, 센고쿠 시대의 무장 고마 쓰네즈미(高麗經澄)가 있다.
5. 멸망과 그 이후
5. 1. 멸망
5. 2. 멸망 이후
참조
[1]
문서
재사의 막내아들로 알려진 신대왕의 출생년도가 89년이다. 그러나 재사에 대해서는 주몽과 함께 온 개국공신 재사와 동일인이라는 설 혹은 후손이라는 설,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 의하면 대무신왕의 후손이라는 설이 존재한다.
[2]
문서
재사의 막내아들로 알려진 신대왕의 출생년도가 89년이다. 그러나 재사에 대해서는 주몽과 함께 온 개국공신 재사와 동일인이라는 설 혹은 후손이라는 설,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 의하면 대무신왕의 후손이라는 설이 존재한다.
[3]
문서
재사의 막내아들로 알려진 신대왕의 출생년도가 89년이다. 그러나 재사에 대해서는 주몽과 함께 온 개국공신 재사와 동일인이라는 설 혹은 후손이라는 설, 신채호의 조선상고사에 의하면 대무신왕의 후손이라는 설이 존재한다.
[4]
문서
삼국사기 권 제 19 고구려 본기 제 7 문자명왕 원년 조. "遣從叔<升千>, 隨使者詣闕. 夏六月, 遣使入<魏>朝貢. 종숙 승천으로 하여금 사신을 따라 위나라 황제를 예방하게 하였다." 여기서 문자명왕의 종숙 승천은 문자명왕의 아버지 조다의 사촌을 의미한다. 따라서 광개토왕에게 거련말고 또 다른 아들이 있었음을 이 기록을 통해 분명히 알 수 있다.
[5]
문서
북위의 풍태후가 그녀를 북위 헌문제의 후궁으로 삼고자 했으나, 장수왕은 공주가 결혼했다고 둘러대고 보내지 않았다.
[6]
문서
장수왕의 즉위 시점과 관련하여 광개토왕릉비는 광개토왕의 사망연도를 412년, 삼국사기는 413년으로 기록하고 있다.
[7]
삼국사기
안장왕 즉위 관련 내용
[8]
삼국사기
안장왕 즉위 관련 내용
[9]
뉴스
언중언 고구려 고씨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04-01-29
[10]
뉴스
학술 "이것이 광개토대왕 얼굴"
http://news.naver.co[...]
[11]
뉴스
장수왕 61대손 고붕씨 국내 대학서 석사과정
http://news.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