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등판무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등판무관은 외교, 식민지 통치, 국제기구 대표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직함이다. 영연방 국가에서는 대사에 해당하는 최고위 외교관을 지칭하며, 역사적으로는 영국 제국에서 보호령을 관리하는 역할을 했다. 또한, 덴마크, 프랑스, 포르투갈 등 여러 국가에서 국내 또는 해외 영토를 관리하는 직책으로 사용되었으며, 국제 연맹과 국제 연합에서는 신탁통치령의 행정관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외교관 - 주재무관
    주재무관은 외교 공관에 파견되어 군사 업무를 수행하며, 군사력 홍보, 협력 증진, 정보 수집 등의 역할을 하지만 스파이 활동 논란이나 외교적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 외교관 - 영사
    영사는 외국에서 자국민 보호, 교류 증진, 이익 대변을 담당하는 공무원으로, 총영사, 영사, 부영사 등의 계급으로 나뉘며, 명예 영사는 현지 주민이 임명되어 활동하기도 한다.
고등판무관
지도
직책 정보
직책 유형특별 행정 직책
임명 주체위원회
역할 및 권한
주요 기능행정 업무 감독
특정 분야 또는 지역 관리
위임된 책임 수행
특징고위 공직
특수 임무 수행
위원회에 의해 임명
국제적 맥락
외교 관계대사와 유사한 역할 수행
영국 연방 국가 간 외교 사절 (영국 연방 고등판무관)
특정 지역 또는 국제 기구 대표
기타
관련 직책총독
대사
판무관
참고여러 국가 또는 국제기구에서 사용
각 임무와 권한은 임명에 따라 다름

2. 영연방

영국 연방에서 고등판무관은 한 영연방 정부가 다른 영연방 정부에 파견하는 최고위 외교관(대사)이다. 이러한 용례에서, 영연방 국가의 고등판무관 공관은 다른 영연방 국가에 대한 대사관이다.[1]

2. 1. 양자 외교

영국 연방에서 고등판무관은 한 영연방 정부가 다른 영연방 정부에 파견하는 최고위 외교관(대사)이다. 이러한 용례에서, 영연방 국가의 고등판무관 공관은 다른 영연방 국가에 대한 대사관이다.[1]

2. 2. 영국 식민 통치

역사적으로 영국 제국에서 고등판무관은 보호령이나 여러 영토 집단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키프로스는 1878년부터 영국의 행정 아래 있었지만 1914년 영국에 완전히 합병되었다. 1878년부터 1925년까지 9명의 고등판무관이 임명되었으며, 왕령 식민지가 되면서 마지막 고등판무관이 초대 총독으로 남았다.

팔레스타인과 트란스요르단 고등판무관은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을 관리했으며, 시온주의 역사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초기 단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이셸은 1970년 자치권을 부여받았고, 1975년부터 1976년까지 마지막 총독이 고등판무관을 겸임하다가 독립 공화국이 되었다.

2. 2. 1. 영국의 간접 통치

역사적으로 영국 제국에서 고등판무관은 제국 정부가 파견한 사절로서, 영국 왕관의 완전한 주권 아래 있지 않은 보호령 또는 여러 영토 집단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고등판무관은 원주민 국가에 대한 영국의 간접 통치 대리인으로 임명되어, 원주민 통치자와 그들의 국가와의 외교 관계 관리를 담당하기도 했다.

현대 나이지리아의 경우를 보면 다음과 같다.

  • 나이지리아 북부: 1900년부터 1907년까지 세 명의 고등판무관이 재임했으며, 그중 마지막 사람은 초대 주지사로 남았다.
  • 나이지리아 남부: 1900년부터 1906년까지 세 명의 고등판무관이 네 번의 임기로 재임했으며, 그중 마지막 사람은 초대 주지사로 남았다.


말레이아, 싱가포르, 영국령 보르네오를 관할한 동남아시아 총재처럼, 특히 중요한 특정 지역에서는 여러 고등판무관과 주지사를 통제하기 위해 총재가 임명되기도 했다.

2. 2. 2. 행정관으로서의 고등판무관

영국 제국에서 고등판무관은 보호령이나 여러 영토 집단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왕령 식민지는 총독이, 독립적인 영연방 자치령은 총독이 이끌었다.

남아프리카 고등판무관은 케이프 식민지 총독 역할을 겸임하며, 인근 보어 정착지와의 관계를 맺는 책임을 맡았다. 1890년대에 이 직책을 맡았던 알프레드 밀너는 제2차 보어 전쟁을 일으킨 장본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베추아날랜드(현재 보츠와나), 바수토랜드(현재 레소토), 스와질랜드(현재 에스와티니)는 보호령으로, 1930년대까지 남아프리카 총독이 베추아날랜드, 바수토랜드, 스와질랜드의 영국 고등판무관을 겸임하면서 ''고등판무관령''으로 행정되었다. 이후에는 남아프리카 주재 영국 고등판무관(1961년부터 대사)이 각 지역에 주재위원을 파견하여 관할했다.

2. 3. 홍콩 반환 협상

홍콩 반환 협상 당시, 중화인민공화국 대표단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맺은 국가들이 홍콩에 영사관을 설립할 수 있도록 규정하려 했다. 영국 대표단은 대신 고등판무관 사무소 설치를 시도했다. 놀랍게도 중화인민공화국 대표단은 고등판무관 사무소가 영국 연방 국가의 수도에 설립된다는 점을 즉시 지적하며, 영국 대표단이 홍콩을 준 연방 공화국으로 만들려 한다고 비난했다. 영국 대표단은 비(非)연방 국가에도 사업 위원회가 존재한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중화인민공화국 측은 사업 위원과 고등판무관 사이에는 차이가 있으며 영국이 정직하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결국 영국 대표단은 홍콩에 있는 영국 외교 사무소를 영사관으로 명명하는 데 동의했다.

3. 기타 영토 행정관

덴마크, 프랑스, 포르투갈, 스페인,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식민지 및 자치령 관리에 고등판무관 또는 유사 직책을 활용했다.

덴마크 왕국에서는 고등판무관(Rigsombudsmanden|릭솜부스만덴da, Ríkisumboðsmaðurin|리키숨보스마뒤린fo, Naalagaaffiup Sinniisaa|날라가피웁 신니사kl)이 덴마크 국왕과 정부를 그린란드페로 제도에 대표하여 파견되며, 해당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및 결정에 대한 협상에 참여한다.

프랑스어 단어 '''고등판무관(Haut Commissaire)'''은 행정관 직무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주로 '(중위)총독(-총독)(Lieutenant-gouverneur(-général))' 및 여러 하위 직함이 사용되었다.

포르투갈에서 '''고등판무관'''(Alto Comissário da República)은 일반 주지사보다 특별하고 확대된 행정 및 입법 권한을 부여받은 일부 식민지 주지사에게 주어진 직함이었다.

스페인에서 '''고등판무관'''(Alto comisario)은 식민지에서 주지사의 직무를 수행한 관리의 직함이었다.

미국의 경우, 도미니카 공화국, 아이티, 터키, 필리핀, 오키나와 등에서 고등판무관 직책이 활용되었다.

전쟁, 점령 등으로 인해 한 국가의 정부가 제대로 செயல்ப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다른 국가나 여러 국가의 연합이 임시 정부를 구성하기도 했다. 이때 고등판무관을 임명하여 해당 지역을 관리하거나 감독하게 했다.

3. 1. 해외 영토 및 탈식민화

덴마크, 프랑스, 포르투갈, 스페인,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식민지 및 자치령 관리에 고등판무관 또는 유사 직책을 활용했다.

덴마크 왕국에서는 고등판무관(, , )이 덴마크 국왕과 정부를 그린란드페로 제도에 대표하여 파견되며, 해당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및 결정에 대한 협상에 참여한다.

프랑스어 단어 '''고등판무관(Haut Commissaire)'''은 행정관 직무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주로 '(중위)총독(-총독)(Lieutenant-gouverneur(-général))' 및 여러 하위 직함이 사용되었다.

포르투갈에서 '''고등판무관'''(Alto Comissário da República) 또는 간단히 '''고등판무관'''은 일반 주지사보다 특별하고 확대된 행정 및 입법 권한을 부여받은 일부 식민지 주지사에게 주어진 직함이었다.

스페인에서 '''고등판무관'''(Alto comisario)은 식민지에서 주지사의 직무를 수행한 관리의 직함이었다.

미국의 경우, 도미니카 공화국, 아이티, 터키, 필리핀, 오키나와 등에서 고등판무관 직책이 활용되었다.

3. 1. 1. 프랑스

1907년 3월 22일 이후, 뉴칼레도니아의 식민지 총독은 태평양 고등판무관으로도 임명되어 오세아니아의 프랑스 정착지 총독들과 프랑스 인도차이나 총독들과의 조정 업무를 담당했다. 영국-프랑스 공동 통치 지역인 누벨에브리드의 프랑스 거주 고등판무관과 왈리스왈리스 푸투나 섬 보호령의 거주관들은 그의 지휘를 받았다.

1941년 1월부터 1945년까지 샤를 드골은 프랑스 태평양 및 극동 지역 고등판무관으로 조르주 티에리 다르장리외를 임명했다. 반면 1941년 12월 비시 정부(친독일 정부)는 장 데쿠를 그 직책에 임명했다. 그는 사실상 당시 자유 프랑스에 합류하지 않은 유일한 태평양 영토인 왈리스 푸투나만을 담당했다.

탈식민화 후기, 동맹국이 될 식민지의 고등판무관 직책은 드골 대통령의 프랑스 연합 계획에서 영연방의 '밀접한 관계 외교관'과 매우 유사하게 되도록 의도되었지만, 곧 와해되기 시작하여 실제로는 대부분의 평화적인 탈식민화를 주재했다.

알제리1962년 3월 19일부터 프랑스로부터 독립할 때까지 유일한 고등판무관인 크리스티앙 푸셰를 두었다.

현재 베냉에서는 1960년 8월 1일 독립할 때까지 마지막 총독인 르네 티랑이 유일한 고등판무관으로 남았다.

차드1959년 1월 22일부터 1960년 8월 11일 프랑스로부터 독립할 때까지 단 한 명의 고등판무관인 다니엘 마리우스 두스탱이 그 직을 맡았다.

콩고브라자빌은 1959년 1월 7일부터 1960년 8월 15일까지 단 한 명의 고등판무관 기 노엘 조르지가 있었다.

코트디부아르는 자치권 부여 이후 두 명의 고등판무관을 두었다.

재임 기간이름
1958년 12월 4일 – 1960년 7월 15일에르네스트 드 나테
1960년 7월 15일 – 1960년 8월 7일이브 르네 앙리 껭나



가봉은 자치권 부여 이후 두 명의 고등판무관을 두었다.

재임 기간이름
1958년 11월 – 1959년 7월루이 마리우스 파스칼 상마르코
1959년 7월 – 1960년 8월 17일장 리스테루치



모리타니1903년 5월 12일 이후 보호령이 된 후 두 명의 고등판무관을 두었다.

재임 기간이름
1958년 10월 5일 – 1959년 2월앙리 조제프 마리 베르나르
1959년 2월 – 1960년 11월 28일아메데 조제프 에밀 장 피에르 안토니오즈



니제르1958년 8월 25일부터 1960년 11월 10일까지 단 한 명의 고등판무관인 장 콜롬바니가 있었다.

세네갈1958년 11월 25일부터 1960년 6월 20일까지 최초이자 유일한 고등판무관으로 피에르 오귀스트 미셸 마리 라미가 재임했다.

프랑스 수단은 1958년 11월 24일 자치권을 얻었으며, 두 명의 고등판무관이 있었다.

재임 기간이름
1956년 11월 3일 – 1958년 11월 24일앙리 빅토르 지풀롱
1958년 11월 24일 – 1960년 6월 20일장 샤를 시쿠라니



상볼타 공화국은 1958년 12월 11일 자치권을 부여받은 이후 두 명의 고등판무관이 있었다.

재임 기간이름
1958년 12월 11일 – 1959년 2월막스 베르테
1959년 2월 – 1960년 8월 5일폴 장 마리 마송



튀니지1955년 9월 13일부터 1956년 3월 20일까지 고등판무관 로제 세이두 포르니에 드 클로손을 두었다.

기니와 같이 고등판무관 없이 독립을 달성한 식민지도 있었다.

프랑스 고등판무관이 영국 고등판무관과 동료였던 경우로, 남해 공동 통치 지역인 뉴헤브리디스를 대표했는데, 이 지역은 현재 바누아투 공화국이 되었다.

이 직함은 드물게 남아 있는 섬 지역(이전에는 더 이상 식민지가 아니었던) 해외 영토에 사용되었는데, 이 경우에는 여전히 기능하고 있다.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는 1977년 7월 13일 이후 해외 영토에서 프랑스 공화국의 대표를 가리키는 직함이다.
  • 뉴칼레도니아의 직함은 1981년 12월 19일 해외 영토였을 때, 1984년 11월 18일 자치권을 부여받기 전에도 선택되었고, 1998년 7월 20일 그 지위가 고유한 프랑스 ''수이 제네리스 공동체''로 변경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3. 1. 2. 포르투갈

앙골라, 모잠비크, 상투메 프린시페포르투갈 식민지에서 고등판무관은 일반 주지사보다 더 큰 특별한 행정 및 입법 권한을 가진 주지사에게 주어지는 직함이었다. 1910년 이전 군주제 시대에는 '''왕실 위원'''(Comissários Régios)으로 불렸다.

고등판무관(또는 명시된 경우 왕실 위원)이 임명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재임 기간이름
앙골라1896–1897귀이르메 아우구슈투 드 브리투 카펠루 (Comissário Régio)
앙골라1921–1923호세 멘데스 리베이루 드 노르통 드 마투스
앙골라1925–1926프란시스쿠 다 쿠냐 레구 샤베스
앙골라1926–1928안토니우 비센테 페헤이라
앙골라1929–1930필로메누 다 카마라 멜루 카브랄
카보베르데1974년 12월 30일 – 1975년 7월 5일비센테 알메이다 디 에사
포르투갈령 인도1896–1897주앙 안토니우 드 브리삭 다스 네베스 페헤이라 (Comissário Régio)
모잠비크1895안토니우 에네스 (Comissário Régio)
모잠비크1911–1912호세 프란시스쿠 드 아제베두 이 실바
모잠비크1921–1923마누엘 드 브리투 카마슈
모잠비크1924–1926비토르 우구 드 아제베두 쿠티뉴
상투메 프린시페1974년 12월 18일 - 1975년 7월 12일안토니우 엘리지우 카펠루 피레스 벨로주
포르투갈령 티모르1851–1852조제 조아킴 로페스 드 리마 (Comissário Régio)


3. 1. 3. 스페인

적도 기니에는 다음 세 명의 고등판무관이 있었다.

재임 기간이름비고
1963년 12월 15일 ~ 1964년프란시스코 누녜스 로드리게스(Francisco Núñez Rodríguez)1494년 6월 7일 이후 많은 주지사 중 마지막 인물이기도 함.
1964년 ~ 1966년페드로 라토레 알쿠비에르(Pedro Latorre Alcubierre)
1966년 ~ 1968년 10월 12일빅토르 수안세스 디아스 델 리오(Víctor Suances Díaz del Río)적도 기니가 독립 공화국이 되면서 임기가 종료됨.



'''고등판무관'''이라는 직함은 모로코의 셰리프 술탄국 내 스페인의 보호령 지역(국토 대부분은 프랑스 보호령이었음)에서 스페인 대표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이 지역은 할리파(Jalifaes) – 술탄이 전권을 위임한 왕자 대리 – 이후 "엘 할리파토"(el Jalifato)로 알려졌는데, 고등판무관은 공식적으로 할리파에게 인정받았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상급자였다.

1934년부터 1956년까지 서사하라의 주지사들(1912년 11월 27일부터 스페인 서아프리카의 총독을 겸임)은 고등판무관의 지휘를 받았다. 이 직책은 1939년부터 1956년까지 스페인 서아프리카 주지사들이 맡았다.

3. 1. 4. 미국

도미니카 공화국은 1905년부터 1941년까지 미국의 보호령이었으며, 1916년 11월 29일부터 1922년 7월 24일까지 미군 총독이 통치했습니다. 1922년 10월 21일 자체 대통령이 취임하기 직전인 1922년부터 1924년까지 섬너 웰스가 미국의 고등판무관을 역임했습니다.

아이티는 1915년부터 1936년까지 미국의 보호령이었으며, 1922년 2월 11일부터 1930년 11월 16일까지 존 H. 러셀 주니어가 고등판무관을 역임했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해군소장 마크 램버트 브리스톨은 1919년부터 1927년까지 미국의 터키 고등판무관으로 재직했습니다.

필리핀은 1898년 8월 13일 미국의 무편입 영토가 되었습니다. 1935년 11월 15일 자치권을 획득한 후, 다음과 같은 고등판무관들이 있었습니다.

재임 기간이름비고
1935년–1937년프랭크 머피마지막 총독
1937년–1939년폴 V. 맥넛첫 번째 임기
1939년 – 1942년 9월 7일프랜시스 보우스 세이어스일본 점령 중 1942년 12월 24일 미국으로 망명
1942년 9월 7일 – 1946년 7월 4일폴 V. 맥넛두 번째 임기, 필리핀 독립으로 종료



오키나와류큐 제도에는 다음과 같은 6명의 미국 고등판무관이 있었습니다.

재임 기간이름비고
1957년 7월 4일 – 1958년 5월 1일제임스 에드워드 무어마지막 류큐 제도 사령부 부총독이자 사령관
1958년 5월 1일 – 1961년 2월 12일도널드 프렌티스 부스
1961년 2월 16일 – 1964년 7월 31일폴 와이트 캐러웨이
1964년 8월 1일 – 1966년 10월 31일앨버트 왓슨 2세
1966년 11월 2일 – 1968년 1월 28일페르디난드 토마스 언거
1968년 1월 28일 – 1972년 5월 15일제임스 벤자민 램퍼트1972년 5월 15일 오키나와 반환으로 종료


3. 2. 획득 영토의 임시 행정

전쟁, 점령 등으로 인해 한 국가의 정부가 제대로 செயல்ப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다른 국가나 여러 국가의 연합이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임시 정부를 구성하곤 했다. 이때 이들은 고등판무관을 임명하여 해당 지역을 관리하거나 감독하게 했다.

  • 알자스-로렌: 1918년 11월 22일부터 1919년까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독일 제국의 일부였던 알자스-로렌은 프랑스에 의해 점령되었다. 프랑스는 이 지역을 반환받은 후 마린저(Maringer)를 고등판무관으로 임명하여 통치하게 했다. 알자스-로렌은 1925년이 되어서야 프랑스에 완전히 통합되었다.
  • 몬테네그로: 1941년 4월 17일부터 1943년 9월 10일까지, 무솔리니이탈리아가 몬테네그로를 점령했다. 이탈리아는 처음에 총독을 임명하고, 이후 세라피노 마졸리니(Serafino Mazzolini) 백작을 민정장관으로 임명했다. 마졸리니는 1941년 7월 12일부터 고등판무관으로 재직하며, 이탈리아의 통제하에 몬테네그로가 명목상 독립을 선포할 때 섭정 역할도 맡았다. 그러나 몬테네그로의 왕위를 제안받은 미하일로 1세 왕자와 로만 페트로비치 왕자는 모두 왕위를 거부했다. 마졸리니는 1941년 7월 23일까지 재임했으며, 이후 독일 점령 이전까지 두 명의 총독이 몬테네그로를 통치했다.

4. 국내 고등판무관

프랑스에서 고등판무관(haut-commissaire)은 프랑스 대통령이 프랑스 내 고위직에 임명하는 공무원이다.


  • 원자력 고등판무관은 CEA의 수장이다.
  • 비슷한 직책으로는 Haute Autorité가 있다.


포르투갈에서는 고등판무관(alto comissário)이라는 직책이 있는데, 대통령, 의회 또는 정부가 국가적으로 중요한 특별한 사안을 처리하기 위해 임명하는 관리의 직함이다 (예: 이민 및 문화 간 대화 고등판무관은 이민 및 소수 민족 문제를 담당하는 정부 관리이다).

5. 다자간 위임

다자간 위임 하에서 고등판무관은 특정 지역이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국제기구나 여러 국가에 의해 임명되었다.

1898년 크레타오스만 제국 내 자치국이 된 후, 프랑스, 이탈리아, 러시아, 영국은 그리스의 조지 왕자(1898~1906년)와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1906년 9월 18일~1908년 9월 24일)를 고등판무관(Ὕπατος Ἁρμοστὴςel)으로 임명했다. 크레타 의회는 1908년 그리스와의 합병을 일방적으로 선포했고, 발칸 전쟁 이후 1913년 공식적으로 그리스의 일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항복한 후, 연합국은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을 점령했다.[1] 1920년 3월 16일부터 1923년 10월 22일까지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의 고등판무관들이 콘스탄티노플을 공동 관리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은 오스트리아독일을 점령하고 각 구역별로 고등판무관을 임명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1955년 7월 27일 연합군 점령이 종식될 때까지 영국, 미국, 소련, 프랑스 점령구에 각각 고등판무관이 임명되었다. 독일의 경우, 1945년부터 1955년까지 영국, 미국, 소련, 프랑스 점령구에 군정장관과 고등판무관이 임명되었다. 베를린은 별도로 네 명의 군사 시장 사령관이 관할했다.

국가점령 구역임명 기간고등판무관 및 기타 직책
오스트리아영국 점령구1945년 7월부터6명
오스트리아미국 점령구1945년 7월 5일부터4명
오스트리아소련 점령구1945년 7월부터4명
오스트리아프랑스 점령구1945년 7월 8일부터2명
독일영국 점령구1945년 5월 22일부터3명의 군정장관, 이후 마지막 군정장관을 포함한 3명의 고등판무관 (1949년 9월 21일 ~ 1955년 5월 5일)
독일미국 점령구1945년 5월 8일부터5명의 군정장관, 이후 4명의 고등판무관 (1949년 9월 2일 ~ 1955년 5월 5일)
독일소련 점령구1945년 4월부터군사 사령관 (1945년 4월 ~ 1945년 6월 9일), 3명의 군정장관 (1945년 6월 9일 ~ 1949년 10월 10일), 소련 통제 위원회 위원장 (1949년 10월 10일 ~ 1953년 5월 28일), 2명의 고등판무관 (1953년 5월 28일 ~ 1955년 9월 20일)
독일프랑스 점령구1945년 5월부터군사 사령관, 군정장관, 1명의 고등판무관 (1949년 9월 21일 ~ 1955년 5월 5일)



국제 연맹과 국제 연합은 분쟁 해결 및 신탁통치령 관리를 위해 고등판무관을 임명했다.[1] 이들은 국제 연맹 사명지와 유엔 신탁통치령의 '식민 통치로부터의 해방' 기간 동안 행정관 역할을 수행하며, 해당 지역을 완전한 독립으로 이끄는 역할을 맡았다.[1] 프리드쇼프 난센 등이 국제연맹 고등판무관으로 활동했다. 유럽 안보 협력 기구에는 소수민족 고등판무관이 있다.

5. 1. 국제 연합 대표

국제 연합 대표로서 고등판무관은 특정 지역이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임명되었다.

5. 1. 1. 크레타

1898년 프랑스, 이탈리아, 러시아, 영국의 크레타 해상봉쇄 이후, 크레타는 오스만 제국 내의 자치국이 되었다. 이 보호국들은 1908년 크레타 의회가 그리스와의 합병을 일방적으로 선포할 때까지(크레타는 그 후 발칸 전쟁 이후인 1913년에 공식적으로 그리스의 일부가 됨) 다음 인물을 고등판무관(Ὕπατος Ἁρμοστὴςel)으로 임명했다.

5. 1. 2. 콘스탄티노플

무드로스 휴전 협정에 따라 오스만 제국이 항복한 후, 연합국은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을 점령했다.[1] 1920년 3월 16일부터 1923년 10월 22일 연합군 점령이 종료될 때까지 영국 고등판무관 1명과 프랑스, 이탈리아, 미국에서 파견된 연합군 고등판무관이 콘스탄티노플을 공동 관리했다.[1]

5. 1.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맹의 주요 회원국들은 점령된 국가나 영토를 물리적으로 분할하여 각 구역별로 고등판무관을 임명했다.

  • 오스트리아에서는 1955년 7월 27일 연합군 점령이 종식되고 오스트리아의 주권이 회복될 때까지, 다음과 같이 고등판무관이 임명되었다.

점령 구역임명 기간고등판무관 수
영국 점령구1945년 7월부터6명
미국 점령구1945년 7월 5일부터4명
소련 점령구1945년 7월부터4명
프랑스 점령구1945년 7월 8일부터2명


  • 독일에서도 점령 지역이 네 개로 나뉘어 각 구역별로 고등판무관이 임명되었다.

점령 구역임명 기간고등판무관 및 기타 직책
영국 점령구1945년 5월 22일부터3명의 군정장관, 이후 마지막 군정장관을 포함한 3명의 고등판무관 (1949년 9월 21일 ~ 1955년 5월 5일)
미국 점령구1945년 5월 8일부터5명의 군정장관, 이후 4명의 고등판무관 (1949년 9월 2일 ~ 1955년 5월 5일)
소련 점령구1945년 4월부터군사 사령관 (1945년 4월 ~ 1945년 6월 9일), 3명의 군정장관 (1945년 6월 9일 ~ 1949년 10월 10일), 소련 통제 위원회 위원장 (1949년 10월 10일 ~ 1953년 5월 28일), 2명의 고등판무관 (1953년 5월 28일 ~ 1955년 9월 20일)
프랑스 점령구1945년 5월부터군사 사령관, 군정장관, 1명의 고등판무관 (1949년 9월 21일 ~ 1955년 5월 5일)



소련 점령구에 속한 나치 수도 베를린은 네 명의 군사 시장 사령관이 별도로 관할했다. 네덜란드와의 국경 근처의 작은 네덜란드 점령구는 1949년에 합병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landdrost(튀더렌, (네덜란드) 림뷔르흐 주에 속함, 그리고 엘텐, 헬더란트 주에 속함)가 관할하는 두 개의 지역으로 나뉘었지만, 1963년 8월 11일 보상금 지급과 경계 수정 후 독일에 반환되었다.

5. 2. 국제기구 대표

국제 연맹과 국제 연합은 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전에는 국가들이 처리했을 특수 상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았다. 이들은 고등판무관을 임명하여 분쟁 해결 및 신탁통치령 관리를 위임하기도 했다.[1]

고등판무관은 국제 연맹 사명지와 유엔 신탁통치령의 '식민 통치로부터의 해방' 기간 동안 행정관들에게 사용된 직함이다. 이들은 국제 연맹 또는 UN의 권한 아래 설립된 '과도기적' 체제 하에 있는 비주권 국가들을 완전한 독립으로 이끌기 위한 역할을 맡았다.[1]

이러한 '수호'는 이전의 식민지 지배국이나, 해당 국가가 이전 세계 대전에서 패배했을 경우 '해방'한 연합국 승전국에게 주어졌다. 신탁통치령들은 현재 모두 자치 또는 독립을 얻었으며, 별개의 국가가 되거나 인접한 독립 국가에 합류했다.[1]

5. 2. 1. 국제연맹

프리드쇼프 난센 등이 국제연맹 고등판무관으로 활동했다.

5. 2. 2. 유럽 안보 협력 기구

소수민족 고등판무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